KR101936768B1 -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768B1
KR101936768B1 KR1020170029868A KR20170029868A KR101936768B1 KR 101936768 B1 KR101936768 B1 KR 101936768B1 KR 1020170029868 A KR1020170029868 A KR 1020170029868A KR 20170029868 A KR20170029868 A KR 20170029868A KR 101936768 B1 KR101936768 B1 KR 101936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
bidding
announcement
notifica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240A (ko
Inventor
이충헌
Original Assignee
(주) 나눔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눔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 나눔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02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76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찰 공고 수집 서버에서 실행되는 입찰 공고 수집 방법은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 각각에 대해서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히스토리 중 상기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면,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상기 입찰 기업과 연관된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BIDDING NOTIFICATION COLLECTION METHOD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에 해당하는 입찰 공고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우리의 생활환경뿐만 아니라 문화까지도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인터넷의 보급은 일 예로 해당 발주처를 정해진 시간에 직접 방문하여 입찰을 하던 종래의 현장입찰을 전자 입찰이라는 새로운 용어와 문화를 잉태시켰다.
전자 입찰이란 직접 입찰장소에 방문하여 입찰서류를 제출할 필요 없이 인터넷을 통해 물품조달 또는 시설공사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입찰방식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전자 입찰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입찰자가 입찰공고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입찰 공고 정보 중 입찰하고자 하는 입찰 건을 선택하는 투찰 건 단계, 선택된 투찰 건에 대하여 투찰 예정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투찰 예정금액으로 입찰 건을 공고한 해당 발주기관의 전자 입찰 사이트에 접속하여 투찰을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 입찰이라는 새로운 문화는 급속히 우리 기업문화 속으로 파고들었고, 국가적으로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각각의 기업에 해당하는 입찰정보를 일일이 검색하는 것은 물론 투찰 예정금액을 산출하여 용지에 기재해 놓았다가, 입찰 건을 발주한 해당 발주처 전자입찰 서버에 접속하여 투찰 예정금액란에 상기 용지에 기재해 놓은 투찰 예정금액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전혀 다른 투찰 예정금액을 기재하여 낙찰순위에서 제외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입찰 과정이 어려워 외부에 의뢰를 했던 업체들이나 하루에 몇 시간씩 발주처의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본인이 몸담은 기업의 입찰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각 발주처 전자입찰 사이트를 헤매던 입찰담당자들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전자입찰 과정이 간편하면서도 기업정보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전자입찰 방법이 모색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에 해당하는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입찰 기업이 낙찰 확률이 높은 입찰 공고에 입찰할 수 있도록 하는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찰 진행 중인 입찰 공고 중 동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해당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수집하는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찰 진행 중인 입찰 공고 중 동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의 낙찰 원인 정보 및 유찰 원인 정보를 분석하여 낙찰 가능성이 높은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입찰 기업의 낙찰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입찰 공고 수집 서버에서 실행되는 입찰 공고 수집 방법은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 각각에 대해서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히스토리 중 상기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면,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상기 입찰 기업과 연관된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입찰 공고 수집 서버는 입찰 기업 별 입찰 히스토리가 저장되는 입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 발주처 별 입찰 공고가 저장되는 입찰 공고 데이터베이스, 상기 입찰 공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 각각에 대해서 상기 입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히스토리 중 상기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입찰 히스토리 관리부 및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상기 입찰 기업과 연관된 단말에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는 입찰 히스토리 관리부에 의한 확인 결과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면,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에 해당하는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입찰 기업이 낙찰 확률이 높은 입찰 공고에 입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찰 진행 중인 입찰 공고 중 동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해당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수집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찰 진행 중인 입찰 공고 중 동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의 낙찰 원인 정보 및 유찰 원인 정보를 분석하여 낙찰 가능성이 높은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입찰 기업의 낙찰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찰 공고 수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찰 공고 수집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찰 공고 수집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찰 공고 수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찰 공고 수집 시스템은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 발주처 서버(200) 및 입찰 기업 단말(300)을 포함한다.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입찰 기업 단말(300)에 제공하는 서버이다.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입찰 기업의 사업 분야, 사업 분야 별 매출액, 사업 분야 별 기간, 기술 용역 및 사업 참여 실적을 포함하는 입찰 기업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상기 입찰 기업 정보에 매칭되는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추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하기 때문에 입찰 회사가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에 입찰하면 낙찰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입찰 기업의 입찰 히스토리를 기초로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면,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의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상기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를 비교하여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원인 정보 및 유찰 원인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낙찰된 경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비교하여 입찰 조건 차이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동일한 경우 입찰 공고 리스트 상에서 해당 입찰 공고를 삭제하지 않고 유지시키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상이한 경우 낙찰 가능성에 따라 입찰 공고 리스트 상에서 해당 입찰 공고를 삭제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상기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동일하면 낙찰 가능 확률을 미리 결정된 확률(예를 들어, 100%)로 결정하고,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상기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상이하면 입찰 조건 차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의 “사업 기간” 및 발주처의 입찰 공고의 “사업 기간”이 상이하면, 입찰 조건 차이 정보로 “사업 기간”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입찰 조건 차이 정보 및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를 비교하여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한다. 즉,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입찰 조건 차이 정보 및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얼마만큼 일치하느냐에 따라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입찰 조건 차이 정보가 “사업 기간”인 경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해당 “사업 기간” 이상이면 낙찰 가능 확률을 높게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하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고,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상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지 않고 유지시킨다.
또한,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유찰된 경우,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를 비교하여 기업 상태 차이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동일한 경우, 입찰 공고 리스트 상에서 해당 입찰 공고를 삭제하고,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상이한 경우 낙찰 가능성에 따라 입찰 공고 리스트 상에서 해당 입찰 공고를 삭제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동일한 경우, 낙찰 가능 확률을 미리 결정된 확률(예를 들어, 0%)로 결정하고,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상이하면 기업 상태 차이 정보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기업 상태 차이 정보 및 상기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비교하여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 산출한다. 즉,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기업 상태 차이 정보 및 상기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얼마만큼 일치하느냐에 따라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 후,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하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고,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상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지 않고 유지시킨다.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한 후,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기업 단말(300)에 제공한다.
발주처 서버(200)는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발주처에서 공고한 입찰 공고를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주처 서버(200)는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에 발주한 입찰 공고의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발주처에서 공고한 입찰 공고 중 특정 기간 동안에 발주한 입찰 공고를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발주처 서버(200)는 입찰 기업 단말(300)로부터 특정 입찰 공고에 대한 전자 입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특정 입찰 공고에 대한 전자 입찰 절차를 를 제공한다.
입찰 기업 단말(300)은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로부터 입찰 공고 리스트를 수신하면, 입찰 공고 리스트의 특정 입찰 공고에 입찰하는 기업이 보유하는 단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찰 공고 수집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입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10), 입찰 공고 데이터베이스(120), 입찰 히스토리 관리부(130) 및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를 포함한다.
입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입찰 기업 별 입찰 히스토리가 저장된다. 입찰 기업 별 입찰 히스토리는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하는데 사용된다.
입찰 공고 데이터베이스(120)에는 발주처 서버로부터 수신된 발주처 별 입찰 공고가 저장된다. 이때, 입찰 공고 데이터베이스(120)에는 발주처 서버로부터 수신된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현재 입찰 진행 중인 입찰 공고가 저장되며, 입찰 기간이 종료되면 해당 입찰 공고는 삭제된다.
입찰 공고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발주처 별 입찰 공고는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에 의해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생성되는데 사용된다.
입찰 히스토리 관리부(130)는 입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추출한 입찰 기업의 입찰 히스토리를 기초로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입찰 히스토리 관리부(130)는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면,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를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입찰 히스토리 관리부(130)로부터 수신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를 기초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미리 생성된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입찰 공고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입찰 공고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 정보에 매칭되는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입찰 기업 정보는 입찰 기업의 사업 분야, 사업 분야 별 매출액, 사업 분야 별 기간, 기술 용역 및 사업 참여 실적을 포함하는 입찰 기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입찰 히스토리 관리부(130)에 의한 확인 결과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면 입찰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한다.
이때,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의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해당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의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상기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를 비교하여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원인 정보 및 유찰 원인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낙찰된 경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비교하여 입찰 조건 차이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동일한 경우 입찰 공고 리스트 상에서 해당 입찰 공고를 삭제하지 않고 유지시키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상이한 경우 낙찰 가능성에 따라 입찰 공고 리스트 상에서 해당 입찰 공고를 삭제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상기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동일하면 낙찰 가능 확률을 미리 결정된 확률(예를 들어, 100%)로 결정하고,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상기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상이하면 입찰 조건 차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의 “사업 기간” 및 발주처의 입찰 공고의 “사업 기간”이 상이하면, 입찰 조건 차이 정보로 “사업 기간”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입찰 조건 차이 정보 및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를 비교하여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한다.
즉,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입찰 조건 차이 정보 및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얼마만큼 일치하느냐에 따라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입찰 조건 차이 정보가 “사업 기간”인 경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해당 “사업 기간” 이상이면 낙찰 가능 확률을 높게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하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고,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상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지 않고 유지시킨다.
또한,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유찰된 경우,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를 비교하여 기업 상태 차이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동일한 경우, 입찰 공고 리스트 상에서 해당 입찰 공고를 삭제하고,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상이한 경우 낙찰 가능성에 따라 입찰 공고 리스트 상에서 해당 입찰 공고를 삭제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동일한 경우, 낙찰 가능 확률을 미리 결정된 확률(예를 들어, 0%)로 결정하고,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상이하면 기업 상태 차이 정보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기업 상태 차이 정보 및 상기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비교하여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 산출한다. 즉,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기업 상태 차이 정보 및 상기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얼마만큼 일치하느냐에 따라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 후,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140)는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하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고,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상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지 않고 유지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찰 공고 수집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한다(단계 S310).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입찰 기업의 입찰 히스토리를 기초로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320).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확인 결과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면(단계 S330),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한다(단계 S340).
입찰 공고 수집 서버(100)는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상기 입찰 기업과 연관된 단말에 제공한다(단계 S35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입찰 공고 수집 서버
110: 입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
120: 입찰 공고 데이터베이스
130: 입찰 히스토리 관리부
140: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
200: 발주처 서버
300: 입찰 기업 단말

Claims (10)

  1. 입찰 공고 수집 서버에서 실행되는 입찰 공고 수집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히스토리를 기초로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면,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상기 입찰 기업과 연관된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낙찰된 경우,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상기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동일하면 낙찰 가능 확률을 미리 결정된 확률로 결정하고,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상기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발주처의 입찰 공고가 상이하면 입찰 조건 차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찰 조건 차이 정보 및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를 비교하여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하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고,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상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지 않고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낙찰 또는 유찰 여부에 따라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유찰된 경우, 상기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낙찰 가능 확률을 미리 결정된 확률로 결정하고, 상이하면 기업 상태 차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업 상태 차이 정보 및 상기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비교하여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하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고,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상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지 않고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업 상태 차이 정보는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상이한 경우 낙찰 가능성에 따라 입찰 공고 리스트 상에서 해당 입찰 공고를 삭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찰 공고 수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찰 기업의 사업 분야, 사업 분야 별 매출액, 사업 분야 별 기간, 기술 용역 및 사업 참여 실적을 포함하는 입찰 기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상기 입찰 기업 정보에 매칭되는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찰 공고 수집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입찰 기업 별 입찰 히스토리가 저장되는 입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
    발주처 서버로부터 수신된 발주처 별 입찰 공고가 저장되는 입찰 공고 데이터베이스;
    상기 입찰 공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입찰 기업과 연관된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
    상기 입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히스토리를 기초로 상기 생성된 입찰 공고 리스트 상의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입찰 히스토리 관리부; 및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상기 입찰 기업과 연관된 단말에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낙찰된 경우,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 및 상기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상기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비교하여 입찰 조건 차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입찰 조건 차이 정보 및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를 비교하여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하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고,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상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지 않고 유지하고, 상기 발주처의 과거 입찰 공고에 유찰된 경우, 상기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낙찰 가능 확률을 미리 결정된 확률로 결정하고 상이하면 기업 상태 차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업 상태 차이 정보 및 상기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비교하여 낙찰 가능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하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고, 낙찰 가능 확률이 특정 확률 이상이면 입찰 공고 리스트에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삭제하지 않고 유지하고,
    상기 기업 상태 차이 정보는
    과거 입찰 공고에 입찰할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 및 현재 시점의 상기 입찰 기업의 입찰 기업 정보가 상이한 경우 낙찰 가능성에 따라 입찰 공고 리스트 상에서 해당 입찰 공고를 삭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찰 공고 수집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입찰 기업의 사업 분야, 사업 분야 별 매출액, 사업 분야 별 기간, 기술 용역 및 사업 참여 실적을 포함하는 입찰 기업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발주처 별 입찰 공고 중 상기 입찰 기업 정보에 매칭되는 입찰 공고를 발주한 발주처의 입찰 공고를 추출하여 상기 입찰 공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찰 공고 수집 서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29868A 2017-03-09 2017-03-09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1936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868A KR101936768B1 (ko) 2017-03-09 2017-03-09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868A KR101936768B1 (ko) 2017-03-09 2017-03-09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40A KR20180103240A (ko) 2018-09-19
KR101936768B1 true KR101936768B1 (ko) 2019-01-09

Family

ID=6371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868A KR101936768B1 (ko) 2017-03-09 2017-03-09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191B1 (ko) * 2019-01-24 2021-01-12 서동식 아웃소싱 중개 시스템
KR102217992B1 (ko) * 2019-12-04 2021-02-19 김영학 전자 입찰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623420B1 (ko) * 2021-02-16 2024-01-10 (주)엑소텍 입찰전략 수립을 위한 전략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53260B1 (ko) * 2021-10-05 2022-10-11 신범수 투찰 관리 시스템
KR102520146B1 (ko) * 2022-08-29 2023-04-11 주식회사 디노마드 입찰 서버에서 수집한 빅데이터, 대상 기업의 입찰 경험 데이터 및 머신 러닝 기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찰 공고의 성공률을 예측하는 방법
KR102516892B1 (ko) * 2022-12-09 2023-03-31 주식회사 플러스 인공지능 기반 공공조달입찰의 가격 산정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1690A (ja) * 2009-03-12 2010-09-24 Yahoo Japan Corp オークション取引情報報知装置およ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1690A (ja) * 2009-03-12 2010-09-24 Yahoo Japan Corp オークション取引情報報知装置およ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40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768B1 (ko) 입찰 공고 수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US11995707B2 (en) Leveraging a social network to search for local inventory
US7461024B2 (en) Bidder-side auction dynamic pricing agent,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0418060C (zh) 对问题报告的响应行为进行优先级区分的装置和方法
EP3996021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extracting user related data stored on a blockchain
US106145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CN102422315A (zh) 基于策略的媒体联合和货币化
KR101517966B1 (ko) 입찰 참여 분석서비스 제공방법
US201100406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borrowers and lenders
KR101007796B1 (ko) 비중부여를 이용한 사정율 예측방법
CN111415067A (zh) 企业及个人信用评级系统
US20130211946A1 (en) Bidder automation of multiple bid groups or cascades for auction dynamic pricing market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70148015A1 (en) Location aware trust-based peer-to-peer currency exchange
CN116302640A (zh) 异常分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798603B (zh) 交易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20200113699A (ko) Ui개발 툴을 이용한 지능형 입찰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59752A1 (en) Post trade handling module and a method therein
CN107609942A (zh) 一种业务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JP7265737B2 (ja) 再販支援システム、再販支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M580230U (zh) Financial Services Application Review System
US20180181890A1 (en) Assignment creation and contractor selectio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items
CN115545837A (zh) 一种订单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N113298675A (zh) 一种用于家政服务的自动化平台的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13744066A (zh) 信息推送方法及装置
JP2011150652A (ja) Vwap取引市場システムおよびvwap取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