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500B1 - Oled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Oled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500B1
KR101936500B1 KR1020170047178A KR20170047178A KR101936500B1 KR 101936500 B1 KR101936500 B1 KR 101936500B1 KR 1020170047178 A KR1020170047178 A KR 1020170047178A KR 20170047178 A KR20170047178 A KR 20170047178A KR 101936500 B1 KR101936500 B1 KR 10193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d
cover plate
spr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039A (ko
Inventor
윤철오
조용태
공웅걸
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7004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50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OLED 지그 장치는 OLED 단위소자의 종류 또는 구성이 변화하더라도 이에 맞게 전기적 배선 설계와 기구 설계가 가능하며 OLED 소자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전기적인 접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그 장치내 광학 필터를 구비하여 광세기의 정확성을 향상하는 OLED 지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OLED 소자의 성능 평가나 검사시 OLED 소자를 고정하면서 전기적, 광학적 측정이 용이하며 이로 인하여 측정의 정확성과 사용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OLED 지그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JIG Device}
본 발명은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OLED 단위소자(Unit Cell)의 종류 또는 구성이 변화하더라도 이에 맞게 전기적 배선 설계와 기구 설계가 가능하며 OLED 단위소자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전기적인 접촉이 잘 이루어지며, 광학적 측정이 가능한 OLED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산업이 급속하게 발달함에 따라 휴대전화기, 오디오, 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대면적 TV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디스플레이(LCD), 박막트랜지스터-액정디스플레이(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OLED 패널 제품을 디자인하기 전, OLED 소재의 성능 및 구조를 최적화 하기 위하여, OLED 패널 제품보다는 작은 규모의 시험 평가용 OLED 단위소자를 제조하여 OLED 단위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측정 검사한다.
또한, 복수의 OLED 단위소자를 하나의 대면적 글래스 상에 디자인하여 제조한 뒤, 각각의 OLED 단위소자를 절단하여 제품화하는 공정에서, 동일한 글래스 내 일부 면적을 이용하여 OLED 단위소자를 동시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품에 대한 샘플링 품질 검사를 진행한다.
검사 과정에서 OLED 단위소자를 지그 장치에 고정하고 직류 또는 펄스 전류를 인가하여 OLED 단위소자의 특성을 측정한다.
종래의 지그 장치는 특정 형태의 OLED 단위소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측정 대상인 OLED 단위소자의 종류 또는 구성이 변화하게 되면, 지그 장치의 접촉 단자나 PCB 구성을 새롭게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지그 장치는 범용의 광센서(Photodiode)를 이용하여 OLED 단위소자의 광 세기를 측정하여 실제 사람이 느끼는 밝기 세기와 차이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지그 장치는 OLED 단위소자의 종류나 구성에 따라 각각의 지그 장치를 구성해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측정 효율도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20-0311318호(등록일: 2003년 04월 10일), 발명의 명칭: "평판표시소자 검사용 시료 고정 장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OLED 단위소자의 종류 또는 구성이 변화하더라도 이에 맞게 전기적 배선 설계와 기구 설계가 가능하며, OLED 단위소자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전기적인 접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그 장치내 광학 필터를 구비하여 광세기의 정확성을 향상하는 OLED 지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OLED 지그 장치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면 일측에 탑재되고 사각형 형태의 일정 두께를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테두리면보다 낮도록 중앙부에 단차를 이루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의 중앙부에 복수의 제1 광센서가 삽입되는 센서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광센서의 주위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제1 스프링핀이 삽입되는 스프링핀홀이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복수의 유기발광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단위소자가 형성된 글래스를 삽입하여 고정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광센서와 상기 제1 스프링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광센서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파장 대역을 갖는 빛을 투과하고 일부 파장 대역을 차단하여 사람의 눈에서 보는 시감 응답 특성이 나오도록 하는 제1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OLED 단위소자의 종류 또는 구성이 변화하더라도 이에 맞게 전기적 배선 설계와 기구 설계가 가능하며 OLED 소자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전기적인 접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며 광학 필터를 구비하여 광세기의 정확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OLED 단위소자의 성능 평가나 검사시 OLED 단위소자를 고정하면서 전기적, 광학적 측정이 용이하며 이로 인하여 측정의 정확성과 사용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와 필터부재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의 스위치 동작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와 필터부재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탑재되는 안착부재(120)와, 상기 안착부재(120)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판(111)과, 상기 베이스판(111)의 일측 끝단에 수직으로 격벽(132)이 세워지며, 상기 격벽(132)의 외측으로 손잡이(131)를 구비한 손잡이부재(130)가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하부에 하부틀(133, 136)이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하부틀(133, 136)의 사이에 전기적 신호 연결을 위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미도시)이 삽입된다.
PCB는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각종 신호 배선 패드와 회로 부품이 내장되어 있으며 신호 배선을 제어하는 전자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1)의 타측 끝단 부분에는 양쪽 테두리 부분에 포워드(Forward) 극성 선택 스위치(112)와 리버스(Reverse) 극성 선택 스위치(113), Bottom 선택 스위치(114), Top 선택 스위치(115)가 설치되고, 중앙 부분에 복수개의 결합홈을 구비한 통신 커넥터가 설치된다. 이러한 선택 스위치들은 PCB의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안착부재(120)는 정사각형 형태로 일정 두께를 가지고, 베이스판(111)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몸체부(121)와, 상기 몸체부(121)의 상부 테두리면(121a)보다 낮도록 중앙부에 단차를 이루는 안착홈(122)을 형성하며, 복수의 유기발광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단위소자가 형성된 글래스를 안착홈(122)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부 테두리면(121a)에는 자석부재(125)가 하나 이상이 매설되고, 안착홈(122)의 바닥면에는 중앙부에 복수의 광센서(134)가 삽입되는 센서홀(123)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광센서(134)의 주위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스프링핀(160)이 삽입되는 스프링핀홀(122a)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광센서(134)에는 상부면에 필터부재(135)가 결합된다.
복수의 OLED 단위소자가 형성된 글래스는 안착홈(122)에 삽입하여 탑재되면, 복수의 OLED 단위소자 중 어느 하나의 OLED 단위소자가 복수의 스프링핀(160)에 접촉하여 상기 각각의 OLED 단위소자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PCB의 신호 배선은 복수의 스프링핀(160)과 광센서(1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스프링핀(160)은 저저항 금속물질이고 전자파 차폐 처리된 도전성 선재로 형성되며, 상기 OLED 단위소자에 접촉시 상하로 움직이는 접촉부재(161)와, 상기 접촉부재(161)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재(161)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162)와, 상기 스프링부재(162)가 삽입되는 스프링삽입홈(163a)을 구비한 샤프트(163)를 포함한다. 접촉부재(161)는 스프링부재(162)의 수축과 복원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각각의 스프링핀(160)은 상기 OLED 단위소자가 접촉할 때 완충 작용을 하여 OLED 단위소자가 밀착하여 접촉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접촉부재(161)는 상기 OLED 단위소자에 접촉시 긁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PCB는 외부의 OLED 단위소자의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장치(170)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장치(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PCB는 전원장치(1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OLED 단위소자에 인가하고 OLED 단위소자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측정장치(170)로 전송하여 OLED 단위소자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장치(170)는 PCB로부터 OLED 단위소자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OLED 단위소자의 특성 예를 들어 OLED 단위소자의 누설 전류나 발광 전류 등을 산출한다.
측정장치(170)의 제어부(미도시)는 전원장치(180)의 전원 공급과 OLED 단위소자의 특성 측정 및 에이징 등이 제어된다.
커버 플레이트(140)는 복수의 OLED 단위소자가 형성된 글래스를 향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제1 커버 플레이트(141)와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141)의 상부에 결합된 제2 커버 플레이트(142)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140)는 외부광이 글래스 상의 OLED 단위소자에 도달하여 광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커버 플레이트(141)는 안착부재(120)의 상부 테두리면(121a)에 접촉하여 결합하고, 하부면 일측에 자석부재가 하나 이상이 매설되어 있다.
제1 커버 플레이트(141)와 안착부재(120)의 상부 테두리면(121a)의 결합시 제1 커버 플레이트(141)의 자석부재(146)와 상부 테두리면(121a)의 자석부재(125)가 대응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커버 플레이트(140)는 안착부재(120)와 경첩식으로 결합하고 자석부재(125, 146)를 배치하여 잠금 기능을 강화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135)는 OLED 단위소자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일부 투과시키고 일부 빛을 차단하여 사람의 눈에서 보는 시감 응답 특성이 나오도록 한다.
필터부재(135)는 400nm 이상의 최소 투과 모드와 700nm 이하의 최대 투과 모드를 적용하여 소정의 파장 대역을 갖는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로 인하여 필터부재(135)는 400 내지 700nm의 파장 대역만을 통과시켜 광센서(134)에 의해 센싱하게 하여 사람의 눈에서 보는 것과 같은 시감 응답 특성 곡선을 얻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3, 4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장치의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탑재되는 안착부재(120)와, 상기 안착부재(120)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140)를 포함하며, 제1 커버 플레이트(141)의 하부면 중앙부에 복수의 광센서(143)와 상기 각각의 광센서(143)의 상부면에 필터부재(144)가 결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탑재되는 안착부재(120)와, 상기 안착부재(120)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140)를 포함하며, 제1 커버 플레이트(141)의 하부면에 복수의 제1 스프링핀(150)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각각의 제1 스프링핀(150)은 상기 OLED 단위소자에 접촉시 상하로 움직이는 제1 접촉부재(151)와, 상기 제1 접촉부재(151)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접촉부재(151)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부재(152)와, 상기 제1 스프링부재(152)가 삽입되는 제1 스프링삽입홈(153a)을 구비한 제1 샤프트(153)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OLED 지그 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탑재되는 안착부재(120)와, 상기 안착부재(120)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14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의 제1 커버 플레이트(141)와 제2 커버 플레이트(142)의 중앙 부분이 관통된 관통공(145)이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공(145)은 OLED 단위소자가 모두 보일 수 있도록 안착홈(122)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커버 플레이트(140)는 관통공(145)을 통해 외부 측정을 위해 개방되어 사람의 눈으로 광량을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의 스위치 동작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는 OLED 단위소자가 스프링핀(160)에 접촉하는 위치와 OLED 단위소자의 빛이 발광하는 위치가 동일한 경우이다(Top 형태의 OLED 단위소자). 따라서, 스프링핀(160)과 광센서(134)가 동일선상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OLED 단위소자는 안착홈(122)의 스프링핀(160)에 접촉하고, 빛이 발광하여 안착홈(122)에 형성된 광센서(134)가 센싱하게 된다.
전술한 제2 실시예는 OLED 단위소자가 스프링핀(160)에 접촉하는 위치와 OLED 단위소자의 빛이 발광하는 위치가 다른 경우이다(Bottom 형태의 OLED 단위소자).
다시 말해, OLED 단위소자는 안착홈(122)의 스프링핀(160)에 접촉하고, 빛이 발광하여 제1 커버 플레이트(141)의 하부면에 형성된 광센서(143)가 센싱하게 된다.
물론 제2 실시예는 안착홈(122)에 광센서(134)와 스프링핀(16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Top 형태의 OLED 단위소자도 탑재할 수 있다.
전술한 제3 실시예는 제1 커버 플레이트(141)의 하부면에 스프링핀(150)이 OLED 단위소자에 접촉하고, OLED 단위소자의 빛이 발광하여 안착홈(122)의 광센서(134)가 센싱할 수 있다(Bottom 형태의 OLED 단위소자).
PCB는 Top 선택 스위치(115)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Top 형태의 OLED 단위소자가 삽입되어 안착홈(122)에 형성된 스프링핀(160)과 광센서(13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PCB는 Bottom 선택 스위치(114)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Bottom 형태의 OLED 단위소자가 삽입되어 안착홈(122)에 형성된 스프링핀(160)과 제1 커버 플레이트(141)에 형성된 광센서(14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PCB는 포워드(Forward) 극성 선택 스위치(112) 또는 리버스(Reverse) 극성 선택 스위치(113)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OLED 단위소자의 극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광센서 선택 스위치(116)는 PCB의 일측에 형성되어 PCB의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광센서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LED 지그 장치(100)는 측정 대상인 OLED 단위소자의 종류 또는 구성이 변화하더라도 이에 맞게 PCB의 Top 선택 스위치(115), Bottom 선택 스위치(114), 포워드(Forward) 극성 선택 스위치(112), 리버스(Reverse) 극성 선택 스위치(113), 광센서 선택 스위치(116)를 바꾸어 연결할 수 있어 지그 장치 자체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OLED 지그 장치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 베이스판 112: 포워드(Forward) 극성 선택 스위치
113: 리버스(Reverse) 극성 선택 스위치
114: Bottom 선택 스위치 115: Top 선택 스위치
116: 광센서 선택 스위치 120: 안착부재
121: 몸체부 121a: 상부 테두리면
125: 자석부재 122: 안착홈
123: 센서홀 122a: 스프링핀홀
130: 손잡이부재 131: 손잡이
132: 격벽 134: 광센서
135: 필터부재 133, 136: 하부틀
140: 커버 플레이트 141: 제1 커버 플레이트
142: 제2 커버 플레이트 143: 광센서
144: 필터부재 145: 관통공
146: 자석부재 150: 제1 스프링핀
151: 제1 접촉부재 152: 제1 스프링부재
153: 제1 샤프트 153a: 제1 스프링삽입홈
160: 스프링핀 161: 접촉부재
162: 스프링부재 163: 샤프트
163a: 스프링삽입홈 170: 측정장치
180: 전원장치

Claims (9)

  1. 평판 형태의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면 일측에 탑재되고 사각형 형태의 일정 두께를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테두리면보다 낮도록 중앙부에 단차를 이루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의 중앙부에 복수의 제1 광센서가 삽입되는 센서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광센서의 주위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제1 스프링핀이 삽입되는 스프링핀홀이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복수의 유기발광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단위소자가 형성된 글래스를 삽입하여 고정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광센서와 상기 제1 스프링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광센서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파장 대역을 갖는 빛을 투과하고 일부 파장 대역을 차단하여 사람의 눈에서 보는 시감 응답 특성이 나오도록 하는 제1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지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몸체부에 경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면 중앙부에 복수의 제2 광센서와 상기 각각의 광센서의 상부면에 제2 필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지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몸체부에 경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복수의 제2 스프링핀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지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핀은 전자파 차폐 처리된 도전성 선재로 형성되며, 상기 OLED 단위소자에 접촉시 상하로 움직이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재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스프링부재가 삽입되는 스프링삽입홈을 구비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지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몸체부에 경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이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OLED 단위소자가 모두 보이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지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면 일측 끝단 부분에는 Top 선택 스위치와 Bottom 선택 스위치, 포워드(Forward) 극성 선택 스위치와 리버스(Reverse) 극성 선택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택 스위치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Top 선택 스위치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광센서와 상기 제1 스프링핀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지그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면 일측 끝단 부분에는 Top 선택 스위치와 Bottom 선택 스위치, 포워드(Forward) 극성 선택 스위치와 리버스(Reverse) 극성 선택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택 스위치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Bottom 선택 스위치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광센서와 상기 제1 스프링핀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지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제1 광센서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광센서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지그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재와 상기 제2 필터부재는 400 내지 700nm의 파장 대역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지그 장치.
KR1020170047178A 2017-04-12 2017-04-12 Oled 지그 장치 KR10193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78A KR101936500B1 (ko) 2017-04-12 2017-04-12 Oled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78A KR101936500B1 (ko) 2017-04-12 2017-04-12 Oled 지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039A KR20180115039A (ko) 2018-10-22
KR101936500B1 true KR101936500B1 (ko) 2019-01-08

Family

ID=6410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178A KR101936500B1 (ko) 2017-04-12 2017-04-12 Oled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5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318Y1 (ko) 2002-12-18 2003-04-30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평판표시소자 검사용 시료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318Y1 (ko) 2002-12-18 2003-04-30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평판표시소자 검사용 시료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039A (ko) 201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17506A (zh) 膜上芯片封装件、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7654857B2 (en) Digital multimeter having sealed input jack detection arrangement
CA2465330A1 (en) Hospital grade receptacle with power light indicator
KR101410175B1 (ko) 터치 키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JP2015021973A (ja) 光電子ユニット測定用高周波プローブカード
TW201341774A (zh) 成像感測器陣列測試設備
EP3035534A1 (fr) Clavier a fiabilite amelioree
KR20100026923A (ko) 테스트 소켓 및 테스트 모듈
JP2019075434A (ja) プローバ装置およびウェハチャック
US11347093B2 (en) Touch panel,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and touch control apparatus
KR101936500B1 (ko) Oled 지그 장치
CN110018127B (zh) 分光反射测定器
US20150355407A1 (en) Backlight simulating device
US9285265B2 (en) Integrated module having multiple light emitters or sensors for televisions and other appliances
KR100699407B1 (ko) 발광소자가 장착된 정전용량 스위치 모듈
JP2008129484A (ja) 双方向光モジュールおよび光パルス試験器
JP2012079657A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140167807A1 (en) Probe frame for array substrate detecting apparatus and dete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1470263B (zh) 电湿润显示装置
US2007024756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electrical connector
EP1217807A1 (en) A printed circuit board ( PCB) unit
KR200311318Y1 (ko) 평판표시소자 검사용 시료 고정 장치
JP2016038443A (ja) 車両用表示装置
CN103245396B (zh) 具模拟功能的物液位传感器
JP6224126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