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399B1 -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399B1
KR101936399B1 KR1020170049741A KR20170049741A KR101936399B1 KR 101936399 B1 KR101936399 B1 KR 101936399B1 KR 1020170049741 A KR1020170049741 A KR 1020170049741A KR 20170049741 A KR20170049741 A KR 20170049741A KR 101936399 B1 KR101936399 B1 KR 101936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oil
roots
contaminated soil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881A (ko
Inventor
김재봉
Original Assignee
(주)에니스환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니스환경건설 filed Critical (주)에니스환경건설
Priority to KR102017004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39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2101/00In situ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등의 중장비의 도움 없이도 오염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하도록 구현한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오염토를 적재하고, 공기를 공급받아 오염토에 제공하기 위한 루츠블로우장치; 및 상기 루츠블로우장치에 연결 설치되어, 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루츠블로우장치에 공급해 주기 위한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Polluted Soil Aerator System}
본 발명은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 등의 중장비의 도움 없이도 오염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하도록 구현한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문제는 특정지역과 한 국가의 문제로 그치지 않고 범 지구 차원의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므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많은 국가들은 토양오염방지를 위한 각종 법률 및 규정을 제정하여 시행하면서 토양오염지역의 조사 및 복원을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실시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토양환경보전법과 그 하위 법령 등을 통해 토양오염 유발시설(주유소, 유류저장소, 송/배유 시설, 공장, 군부대 등의 유류를 저장하거나 취급하는 시설) 및 오염물질 등을 지속적으로 감시 관리하고 있다.
최근 주한미군기지 이전과 관련하여 시행된 토양오염도조사결과 유류저장시설에서의 누출 및 사격장 내 중금속유류 또는 중금속에 의한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면서 토양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토양오염은 동식물의 성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생태계를 파괴하고, 계속해서 방치할 경우에는 지하수 등의 광범위한 오염확산으로 토양작물의 생장과 함께 인간에게까지 큰 위해를 입히게 됨에 따라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는 다양한 정화기술을 통한 처리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여기서,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는 정화기술의 방법을 살펴보면, 오염현장 내 원위치에서 직접 오염토양을 처리하는 원위치(in-situ) 처리방법과, 지상으로 끌어올려 오염원을 처리하는 탈위치(ex-situ) 처리방법으로 구분되며, 탈위치 처리방법 중에서도 오염토양을 교반시켜 호기성 조건에서 오염물질의 생물학적 분해를 유도하는 토양경작을 통한 정화기술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토양경작법은 오염토양을 굴삭기로 굴착하여 방수처리된 지표면으로 이송한 후 깔아놓고 정기적으로 뒤집어 적정수분을 유지하며 공기를 공급해줌으로써, 토양미생물에 의한 호기성 생분해공정을 촉진시키는 공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7343호(2012.06.11.)는 논밭 갈이, 오염토양 정화, 습윤토양 건조, 토양 이물질 제거 등의 토양개선 작업에 적용하기 위한 복합토양경작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주행장치에 다기능갈이장치, 다기능선별장치, 다기능주입장치, 다기능추출장치, 심도조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하나 이상 개수로 결합된 구성물이 야외 또는 실내에서 1층 이상의 굴착층 또는 1층 이상의 성토층에 대하여 논밭 갈이, 오염토양 정화, 습윤토양 건조, 토양 이물질 제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토양개선 작업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은 연결대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주행장치는 경운기, 트랙터, 불도져, 포크레인, 그레이더 중의 어느 하나이고, 이는 다기능갈이장치, 다기능선별장치, 다기능주입장치, 다기능추출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끌고 다니는 것이고, 상기 다기능갈이장치는 상기 논밭 갈이, 오염토양 정화, 습윤토양 건조, 토양 이물질 제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토양개선 작업에 있어서 처리대상토양을 갈이하는 것으로, 갈이축에 하나 이상의 쟁기, 직선고리, 곡선고리, 절곡고리, 나선칼날, 격자망이 부착된 것이고, 이는 주행장치의 전방, 측방, 후방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에 결합되어 주행장치의 경로를 따라 가면서 처리대상토양을 갈이하는 것이고, 이는 처리대상토양 심도내설치개수에 따라 단일심도형 및 다단심도형이 있고, 상기 다기능갈이장치에는 필요시 갈이카바가 부착되고, 상기 갈이축은 쟁기, 직선고리, 곡선고리, 절곡고리, 나선칼날, 격자망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는 것으로 자신에 부착된 부착물을 지지하는 축이고, 이는 회전여부에 따라 비회전형 및 회전형이 있고, 상기 쟁기는 맞쟁기(이랑쟁기)와 외쟁기(삭쟁기)로 구분되고, 이는 갈이축에 하나 이상 개수로 일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맞쟁기는 쟁기날이 서로 마주보고 있어 갈이를 할 경우 고랑과 산을 만드는 것이고, 상기 외쟁기는 쟁기날이 일정한 방향으로 모두 되어 있어 한쪽방향으로만 갈아업는 것이고, 상기 직선고리는 일정한 길이 및 두께를 가진 직선 형상의 고리이고, 이는 갈이축에 하나 이상 개수로 일방향 또는 다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곡선고리는 일정한 길이 및 두께를 가진 곡선 형상의 고리이고, 이는 갈이축에 하나 이상 개수로 일방향 또는 다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절곡고리는 일정한 길이 및 두께를 가진 절곡 형상의 고리이고, 이는 갈이축에 하나 이상 개수로 일방향 또는 다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나선칼날은 일정한 길이 및 폭 및 두께를 가진 칼날 형상의 날이고, 이는 갈이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휘감아져 부착되고, 상기 격자망은 일정한 간격을 가진 격자 형상의 망이고, 이는 갈이축에 하나 이상 개수로 일방향 또는 다방향으로 부착되고, 상기 단일심도형은 다기능갈이장치가 처리대상토양의 전체심도에 1단으로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다단심도형은 다기능갈이장치가 처리대상토양의 심도별로 2단 이상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갈이카바는 다기능갈이장치의 갈이질에 의한 처리대상토양의 외부 튀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비회전형은 갈이축이 회전하지 않는 것이고, 상기 회전형은 갈이축이 회전하는 것이고, 이의 회전은 수동회전 또는 능동회전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수동회전은 주행장치의 주행력에 의하여 갈이축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능동회전은 주행장치의 주행력에 관계없이 갈이축이 자체적으로 능동적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능동회전의 경우에는 갈이축에 회전모터, 도르레 또는 톱니바퀴, 구동줄이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회전모터는 도르레 또는 톱니바퀴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도르레 또는 톱니바퀴는 회전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줄은 회전력을 갈이축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다기능선별장치는 상기 논밭 갈이, 오염토양 정화, 습윤토양 건조, 토양 이물질 제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토양개선 작업에 있어서 처리대상토양 중의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회전켄베이어벨트, 상부 회전대, 하부회전대, 갈고리, 선별물적치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켄베이어벨트는 상부회전대 및 하부회전대를 궤적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밸트이고, 상기 상부회전대는 처리대상토양 외부에 있는 회전대이고, 이에는 회전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회전대는 처리대상토양 내부에 있는 회전대이고, 이는 자석기능을 가지고 상기 갈고리는 회전켄베이어벨트 표면에 장착되어 처리대상토양내 이물질을 걷어 올리고, 상기 선별물적치대는 갈고리에 의하여 걷어 올려진 선별물을 적치하는 것이고, 상기 선별물은 가연물, 이물질, 조대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다기능주입장치는 상기 논밭 갈이, 오염토양 정화, 습윤토양 건조, 토양 이물질 제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토양개선 작업에 있어서 처리대상토양에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영양분, 탈취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주입하는 것으로, 주입관, 주입호스, 주입펌프, 주입통으로 구성이 되고, 상기 다기능추출장치는 상기 논밭 갈이, 오염토양 정화, 습윤토양 건조, 토양 이물질 제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토양개선 작업에 있어서 처리대상토양 내의 공기, 가스, 수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는 것으로, 추출관, 추출호스, 추출펌프, 추출통으로 구성이 되고, 상기 주입관 및 추출관은 개별로 설치되어 독자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개별이 아닌 공통으로 설치되어 상호 병행으로 사용되고, 상기 주입통 및 추출통은 개별로 설치되어 독자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개별이 아닌 공통으로 설치되어 상호 병행으로 사용되고, 상기 주입관은 수직관, 경사관, 수평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이는 처리대상토양 내에 주입물을 주입하는 관이고, 상기 주입호스는 주입물을 주입관까지 이송하는 호스이고, 상기 주입펌프는 처리대상토양 내에 주입물을 주입하는 주입력을 제공하는 펌프이고, 상기 주입통은 주입물을 저장하는 통이고, 상기 주입물은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영양분, 탈취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공기는 냉풍공기, 대기공기, 온풍공기 중의 어느 하나이고, 이는 냉풍기, 송풍기, 열풍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공되고, 상기 산소는 산소통 또는 산소발생기로부터 제공되고, 상기 오존은 오존발생기로부터 제공되고, 상기 음이온은 음이온발생기로부터 제공되고, 상기 추출관은 수직관, 경사관, 수평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이는 처리대상토양 내의 공기, 가스, 수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는 관이고, 상기 추출호스는 추출관으로부터 추출물을 이송하는 호스이고, 상기 추출펌프는 처리대상토양 내에서 공기, 가스, 수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는 추출력을 가하는 펌프이고, 상기 추출통은 추출물을 저장하는 통이고, 상기 추출물은 대기 방출되어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주입통에 저장되어 주입제로 재사용되고, 상기 수직관, 경사관, 수평관은 관의 내부는 빈 중공이고 관의 주변은 무공 또는 유공이고, 상기 중공은 관의 내부가 빈 것이고, 상기 무공은 관의 주변에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것이고, 상기 유공은 관의 주변에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중공 및 구멍으로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영양분, 탈취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주입되거나 또는 공기, 가스, 수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추출되고, 상기 심도조정장치는 톱니식지지봉, 톱니윈치, 윈치회전손잡이, 지지고리, 보조대로 구성되고, 이는 주행장치에 정착이 되고, 이는 다기능갈이장치, 다기능선별장치, 다기능주입장치, 다기능추출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처리대상토양내 매입심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톱니식지지봉에는 연결대 및 보조대가 부착되고, 이의 주위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톱니윈치는 톱니식지지봉에 맞물리게 되고, 이이 주위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윈치회전손잡이는 톱니윈치를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기 지지고리는 톱니식지지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이는 주행장치에 고정이 되고, 상기 보조대는 연결대의 보조적인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기존의 오염토양 정화기능 뿐만아니라 논밭 갈이, 습윤토양 건조, 토양 이물질 제거기능도 두루 갖춘 복합토양경작장치이고 이를 통하여 매우 우수한 토양개선하며, 토양 갈이뿐만아니라 선별기능, 선별물제거기능이 추가되어 가연물, 이물질, 조대물의 선별제거가 가능하여 최종적으로 양질의 토양을 제공하며, 주입기능, 추출기능을 갖추어 다양한 물질의 주입 및 추출이 가능하여 토양개선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9564호(2012.11.02.)는 오염토양을 분산시켜 정화함에 있어서 토양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1,2차에 걸쳐 분산시키도록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오염된 토양을 고르게 분산시키면서 토양의 지중 내로 충분한양의 산소가 골고루 공급될 수 있어 경작을 통해 토양의 정화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오염토양 경작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굴삭기의 한쪽에 연결 결합하도록 상측에 링크부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이 폭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5열로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2행을 이루며 각각 고정설치되어 오염토양을 좌우로 분산시키도록 제1교반날개가 가로로 형성되는 수평혼합형경작부와 상기 몸체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상하 2행으로 배치되는 제2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회전축의 축방향으로 5열을 이루며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오염된 토양을 상하로 분산시키도록 제2교반날개가 세로로 형성되는 수직혼합형경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토양 경작 장치는, 포크레인 또는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토양을 경작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는바, 작업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비용도 상승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토양 경작 장치는, 작업 시 오염토양을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오직 수직방향으로만 토양을 분산시키는 것으로서, 회전하는 교반날의 사이마다 분산됨이 어려운 영역이 발생하므로 오염토양을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734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9956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굴삭기 등의 중장비의 도움 없이도 오염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하도록 구현한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부에 오염토를 적재하고, 공기를 공급받아 오염토에 제공하기 위한 루츠블로우장치; 및 상기 루츠블로우장치에 연결 설치되어, 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루츠블로우장치에 공급해 주기 위한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루츠블로우장치는, 상기 공기공급장치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전달하기 위한 공기전달부; 및 상기 공기전달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공기전달부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아 오염토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공기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제공부는, 상부에 오염토를 적재하고, 상기 공기전달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공기전달부로부터 공기를 전달받기 위한 연결관수단; 및 상기 연결관수단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수단을 통해 공기를 전달받아 배출시켜 오염토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 개의 배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제공부는, 상기 연결관수단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배출수단을 덮어 오염토가 상기 배출수단을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막힘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막힘방지수단은, 상기 배출수단을 덮어 주기 위한 덮개; 및 상기 연결관수단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지지해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제공부는, 상기 배출수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수단으로 오염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방지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루츠블로우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루츠블로우장치가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파손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제공부 사이의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제공부가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파손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루츠블로우장치를 덮어 주며, 오염토를 통과한 오염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한 하우스장치; 및 상기 하우스장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며, 오염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장치에 연결 설치되며, 오염가스를 처리해 주기 위한 가스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굴삭기 등의 중장비의 도움 없이도 오염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하도록 구현한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포크레인 또는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함이 없이도, 작업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염토 전반에 걸친 정화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염토양을 전반적으로 고르게 정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루츠블로우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공기제공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공기제공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10)은, 루츠블로우장치(100) 및 공기공급장치(200)를 포함한다.
루츠블로우장치(100)는, 공기공급장치(200)에 연결 설치되며, 상부에 오염토를 적재하고, 공기공급장치(2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으며, 해당 공급받은 공기를 배출하여 오염토에 제공한다.
공기공급장치(200)는, 루츠블로우장치(100)에 연결 설치되어, 공기를 발생시키며, 해당 발생시킨 공기를 루츠블로우장치(100)에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기공급장치(200)는, 통상의 공기 공급 장치, 즉 에어콤프레셔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10)은, 공기공급장치(200)에 의해 루츠블로우장치(100)로 항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항시 가동이 가능하여 오염토의 정화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오염토의 반입 또는 반출 주기를 짧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10)은, 굴삭기 등의 중장비의 도움 없이도 오염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포크레인 또는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함이 없이도, 작업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10)은, 적재되어 있는 오염토의 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루츠블로우장치(100)에 의해 오염토 전반에 걸친 정화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염토양을 전반적으로 고르게 정화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루츠블로우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루츠블로우장치(100)는, 공기전달부(110) 및 다수 개의 공기제공부(120)를 포함한다.
공기전달부(110)는, 일측에 다수 개의 공기제공부(120-1, 120-N)가 연결 설치되며, 공기공급장치(2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으며, 해당 공급받은 공기를 다수 개의 공기제공부(120-1, 120-N)로 전달한다.
공기제공부(120)는, 공기전달부(110)의 일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공기전달부(110)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아 오염토에 제공한다.
도 3은 도 2에 있는 공기제공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제공부(120)는, 연결관수단(121) 및 다수 개의 배출수단(122)을 포함한다.
연결관수단(121)은, 공기전달부(11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부에 오염토를 적재하고, 상부에 다수 개의 배출수단(122-1, 122-M)가 관통 형성되며, 공기전달부(110)로부터 공기를 전달받는다.
배출수단(122)은, 연결관수단(121)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며, 연결관수단(121)을 통해 공기를 전달받아 배출시켜 오염토에 제공한다.
도 4는 도 2에 있는 공기제공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제공부(120)는, 연결관수단(121), 다수 개의 배출수단(122) 및 다수 개의 막힘방지수단(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관수단(121) 및 다수 개의 배출수단(122)은 도 2의 구성요소도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막힘방지수단(123)은, 연결관수단(121)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며, 배출수단(122)을 덮어 오염토가 배출수단(122)을 막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막힘방지수단(123)은, 덮개(1231) 및 다수 개의 지지대(1232)를 포함한다.
덮개(1231)는, 지지대(1232)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며, 배출수단(122)을 덮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1231)는, 삿갓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배출수단(122)을 덮어 오염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1231)는, 유입방지턱수단(124)의 상부를 삽입할 정도로 덮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지지대(1232)는, 연결관수단(121)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어, 덮개(1231)를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막힘방지수단(123)은, 하나의 삿갓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배출수단(122)만을 덮어주도록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관수단(12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연결관수단(121) 전체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수 개의 배출수단(122-1, 122-M)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제공부(120)는, 유입방지턱수단(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방지턱수단(124)은, 배출수단(122)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어, 덮개(1231)의 내부 공간에 의해 덮일 정도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배출수단(122)으로 오염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20)은, 루츠블로우장치(100), 공기공급장치(200) 및 제1파손방지장치(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루츠블로우장치(100) 및 공기공급장치(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파손방지장치(300)는, 루츠블로우장치(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루츠블로우장치(100)가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파손방지장치(300)는, 루츠블로우장치(100)를 손상시키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설치되기 위해 하부에 다수 개의 지지대를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대는, 루츠블로우장치(100)의 높이보다 높이가 높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파손방지장치(300)는, 루츠블로우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가 관통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30)은, 루츠블로우장치(100), 공기공급장치(200) 및 다수 개의 제2파손방지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루츠블로우장치(100) 및 공기공급장치(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파손방지장치(400)는, 공기제공부(120) 사이의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높이(바람직하게는, 공기제공부(120)의 높이보다 높이가 높도록 함)로 형성되어 공기제공부(120)가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40)은, 루츠블로우장치(100), 공기공급장치(200), 하우스장치(500) 및 배출장치(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루츠블로우장치(100) 및 공기공급장치(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하우스장치(500)는, 내부 공간의 상부에 배출장치(600)가 설치되며, 루츠블로우장치(100)를 덮어 주며, 오염토를 통과한 오염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배출장치(600)는, 하우스장치(500) 내부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며, 오염가스를 흡입하며, 해당 흡입한 오염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40)은, 가스처리장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처리장치(700)는, 배출장치(600)에 연결 설치되며, 오염가스를 처리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루츠블로우장치
110: 공기전달부
120:공기제공부
121: 연결관수단
122: 배출수단
123: 막힘방지수단
1231: 덮개
1232: 지지대
124: 유입방지턱수단
200: 공기공급장치
300: 제1파손방지장치
400: 제2파손방지장치
500: 하우스장치
600: 배출장치

Claims (10)

  1. 상부에 오염토를 적재하고, 공기를 공급받아 오염토에 제공하기 위한 루츠블로우장치; 및
    상기 루츠블로우장치에 연결 설치되어, 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루츠블로우장치에 공급해 주기 위한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루츠블로우장치는,
    상기 공기공급장치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전달하기 위한 공기전달부; 및
    상기 공기전달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공기전달부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아 오염토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공기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제공부는,
    상부에 오염토를 적재하고, 상기 공기전달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공기전달부로부터 공기를 전달받기 위한 연결관수단; 및
    상기 연결관수단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수단을 통해 공기를 전달받아 배출시켜 오염토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 개의 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제공부는,
    상기 연결관수단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배출수단을 덮어 오염토가 상기 배출수단을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막힘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막힘방지수단은,
    상기 배출수단을 덮어 주기 위한 덮개; 및
    상기 연결관수단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지지해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제공부는,
    상기 배출수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수단으로 오염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방지턱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막힘방지수단의 덮개는, 유입방지턱수단의 상부를 삽입할 정도로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막힘방지수단은, 하나의 삿갓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배출수단에 대응되어 이를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츠블로우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루츠블로우장치가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파손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공부 사이의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제공부가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파손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츠블로우장치를 덮어 주며, 오염토를 통과한 오염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한 하우스장치; 및
    상기 하우스장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며, 오염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에 연결 설치되며, 오염가스를 처리해 주기 위한 가스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KR1020170049741A 2017-04-18 2017-04-18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KR101936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41A KR101936399B1 (ko) 2017-04-18 2017-04-18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41A KR101936399B1 (ko) 2017-04-18 2017-04-18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81A KR20180116881A (ko) 2018-10-26
KR101936399B1 true KR101936399B1 (ko) 2019-04-03

Family

ID=6409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741A KR101936399B1 (ko) 2017-04-18 2017-04-18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3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9780B2 (ja) * 2000-11-06 2005-10-26 株式会社大林組 汚染物質の分解システム
KR100719059B1 (ko) * 2006-11-08 2007-05-16 (주)부흥이엔씨 폐수처리장치
JP2016010780A (ja) *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奥村組 土壌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343B1 (ko) 2008-09-25 2012-06-15 이주형 복합토양경작장치
KR101199564B1 (ko) 2010-08-11 2012-11-12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오염토양 경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9780B2 (ja) * 2000-11-06 2005-10-26 株式会社大林組 汚染物質の分解システム
KR100719059B1 (ko) * 2006-11-08 2007-05-16 (주)부흥이엔씨 폐수처리장치
JP2016010780A (ja) *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奥村組 土壌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81A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5851B2 (en) Soil remediation apparatus
US5631160A (en) Method for in situ soil remediation
KR101199564B1 (ko) 오염토양 경작장치
US50611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
DE3720833C2 (de) Verfahren zur biologischen Rekultivierungsbehandlung von mit Xenobiotica kontaminiertem Erdreich und Anlagen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H04228718A (ja) 汚染土壌の現場処理クレーン装着ドリルおよび方法
KR101429471B1 (ko) 토양정화 방법 및 장치
KR100633111B1 (ko) 토양 세척 장치
JP2007098313A (ja) 廃プラスチックシート破砕片用洗浄装置
KR20180086689A (ko) 어망 세척 및 건조 설비
DE3818398A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rekultivierungsbehandlung von xenobiotisch-kontaminiertem erdreich mittels mikroorganismen
US20210339292A1 (en) Pressure-washing apparatus
KR101157343B1 (ko) 복합토양경작장치
US20080240862A1 (en)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apparatus
US6564878B2 (en) Vertical rotating tiller
KR101936399B1 (ko) 오염토양 폭기 시스템
US5863119A (en) Apparatus for mixing a slurry within a bioreactor vessel
JP5704605B2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
US61552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oil contaminants
EP0413947B1 (de)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schadstoffhaltigen Böden
KR200302229Y1 (ko) 오염토양 개량장치
KR100919276B1 (ko) 오염토양 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2349600B1 (ko) 오염토양 정화용 경작시스템
US4821754A (en) Flitch washer
KR102055520B1 (ko)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