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394B1 -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394B1
KR101936394B1 KR1020160161524A KR20160161524A KR101936394B1 KR 101936394 B1 KR101936394 B1 KR 101936394B1 KR 1020160161524 A KR1020160161524 A KR 1020160161524A KR 20160161524 A KR20160161524 A KR 20160161524A KR 101936394 B1 KR101936394 B1 KR 101936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den
garden plant
plant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518A (ko
Inventor
김영민
김용광
김성광
윤용기
이석
조동길
이정아
김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주식회사 티에스웨이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주식회사 티에스웨이,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Priority to KR102016016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3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설치 가능한 센서부를 통해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수분부족상황 알림, 비료살포주기 알림, 조도 또는 온도에 따른 화분이동 알림 등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식물관리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Method for gardening by using smartphone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본 발명은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동 설치 가능한 센서부를 통해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수분부족상황 알림, 비료살포주기 알림, 조도 또는 온도에 따른 화분이동 알림 등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식물관리가 가능한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사 기술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만들어진 지능화된 농장 스마트 팜은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이용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 습도, 햇볕량, 이산화탄소, 토양 등을 측정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어 장치를 구동하여 적절한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 팜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격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스마트폰 기반 화분관리시스템이 공개특허 제10-2016-0122598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화분에 설치된 화분수분측정단말기(110)의 수분 센서를 통하여 실내와 화분 내의 수분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원격에서 블루투스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1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확한 수치의 수분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내부 수분 센서(111), 실내 수분 센서(114), 배터리(113), 메모리가 내장된 MCU(112), 블루투스모듈(115), 그리고 USB충전장치(116)가 포함되고, 고정핀(117)이 결합되며, 방수가 되는 화분수분측정 단말기(110); 스마트폰(120)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사용자가 직접 화분 가까이 다가가 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블루투스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실내 수분량과 화분 내 수분량의 정확한 수치를 스마트폰 화면에 출력하고, 수분량이 부족할 시 경고하여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나, 단순히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통해 식물관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식물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분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관리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효율적인 식물관리를 위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259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설치 가능한 센서부를 통해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수분부족상황 알림, 비료살포주기 알림, 조도 또는 온도에 따른 화분이동 알림 등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식물관리가 가능한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정원 구조를 직접 설계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설계에 적합한 다수의 조경업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신경쓰지 않아도 주기적으로 관리를 받을 수 있는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수의 정원식물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정원식물을 선택하여 등록하는 정원식물 등록단계; 정원식물과 근접설치되는 센서부를 통해 정원식물 주변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센싱하는 환경정보 센싱단계; 정원식물 관리서버에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환경정보를 기설정된 정원식물의 적정환경정보와 비교하는 환경정보 비교단계; 및 상기 환경정보 비교단계를 통해 비교된 정원식물의 센싱 환경정보가 기설정된 적정환경정보를 벗어난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원식물 등록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정원구조를 직접 설계할 수 있도록 정원식물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원구조를 설계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다수의 정원식물을 각각 심기 위한 위치를 각 구역별로 분할한 분할화면을 제공하여 각 구역별로 정원식물을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정원구조의 설계가 완료되면,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에서 해당 설계도를 기등록된 다수의 조경업체 단말기로 전송하며, 다수의 조경업체에서는 해당 정원 설계에 따른 시공기간 및 비용을 정원식물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에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정원식물 주변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의 누적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역별 환경에 따른 정원식물의 적정 위치를 재설정하며, 적정 위치에 따른 정원식물의 위치 변경을 위한 유지보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이를 해당 정원을 시공한 조경업체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람발생단계에서는 센서부를 통해 수집된 온도, 습도 및 조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수분부족상황 알림 및 조도 또는 온도에 따른 정원식물 이동설치 알림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되, 사용자가 등록한 다수의 정원식물별로 각각의 비료살포 주기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설치 가능한 센서부를 통해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수분부족상황 알림, 비료살포주기 알림, 조도 또는 온도에 따른 화분이동 알림 등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식물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정원 구조를 직접 설계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설계에 적합한 다수의 조경업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신경쓰지 않아도 주기적으로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의 정원식물 등록단계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의 정원유지보수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의 알람발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화명을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의 구역별 정원식물 등록과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 시스템은 센서부(100), 사용자 단말기(200), 정원식물 관리서버(300), 조경업체 단말기(400)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부(100)는 정원식물과 근접설치되어 정원식물 주변의 온도, 습도 및 조도 등의 환경정보를 센싱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온도, 습도, 조도뿐만 아니라, CO2, EC, PH, 풍향, 풍속, 일사 등 각종 환경을 측정 가능한 통합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센서부(100)는 화분 또는 정원의 토양에 직접 설치 가능한 기구적 특징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사용자 필요에 따라 이동 설치가 가능하도록 포터블(portable)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에는 측정된 환경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로 전송 가능하도록 통신부가 구비되며, 외부전원이 아닌 자체전원을 통해 작동이 가능하도록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정원식물 관리서버(300)에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로부터 정원식물의 성장조건, 사용자가 행동해야 할 알람발생 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센서부(100) 또는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로부터 환경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원식물에 언제 물을 주어야 하며, 언제 추비를 진행해야 하는지 또는 화분을 어디에 두어야 정원식물 성장에 도움이 되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가 다수의 정원식물의 성장조건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정원설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정원 구조를 직접 설계하여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며, 정원식물 관리서버(300)에 기등록된 조경업체 단말기(400)로부터 정원 시공을 위한 기간정보 및 비용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정원 시공을 위한 조경업체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는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되는 환경정보를 기설정된 정원식물의 적정환경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알람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화분 또는 정원관리를 위한 다수의 사용자 정보 및 다수의 정원식물 각각에 대한 성장조건 및 사용자가 행동해야 할 알람발생 등을 포함한 각종 정원식물 정보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는 사용자가 정원구조를 직접 설계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정원식물을 각각 심기 위한 위치를 각 구역별(a,b,c,...)로 분할한 분할화면을 제공하여 각 구역별로 정원식물을 등록하도록 가이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a)구역을 선택시 (a)구역에 등록할 정원식물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특정 정원식물을 (a)구역에 등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정원설계정보를 조경업체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사용자와 조경업체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하여 다수의 조경업체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는 다수의 사용자들간에 화분 또는 정원에 대한 다양한 사진, 인테리어 소품 등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경업체 단말기(400)는 정원식물 관리서버(300)에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다수의 조경업체가 각각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정원 설계정보를 제공 받으며, 해당 정원 시공을 위한 기간정보 및 비용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조경업체 단말기(400)는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정원의 각 구역별 환경에 따른 정원식물의 적정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정원식물의 위치 변경을 위한 유지보수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수의 정원식물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정원식물을 선택하여 등록(S100)한다.
상기 정원식물 등록단계(S100)에서는 사용자가 정원구조를 직접 설계할 수 있도록 정원식물 관리서버(3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원구조를 설계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다수의 정원식물을 각각 심기 위한 위치를 각 구역별로 분할한 분할화면을 제공하여 각 구역별로 정원식물을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한 정원구조의 설계가 완료되면,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300)에서 해당 설계도를 기등록된 다수의 조경업체 단말기(400)로 전송하며, 다수의 조경업체에서는 해당 정원 설계에 따른 시공기간 및 비용을 정원식물 관리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조경업체를 직접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간단한 화분 등을 관리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정원구조 설계 진행과정없이 바로 정원식물을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한 정원식물의 등록이 이루어지게 되면, 정원식물과 근접하여 기설치된 센서부(100)를 통해 정원식물 주변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센싱(S200)하게 되는데, 이때, 정원식물 관리서버(300)에서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 센싱된 환경정보를 기설정된 정원식물의 적정환경정보와 비교(S300)하여 기설정된 해당 정원식물의 적정환경정보를 벗어난 경우 알람을 발생(S400)시킨다.
상기 알람발생단계(S400)에서는 센서부(100)를 통해 수집된 온도, 습도 및 조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수분부족상황 알림 및 조도 또는 온도에 따른 정원식물 이동설치 알림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등록한 다수의 정원식물별로 각각의 비료살포 주기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300)에는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 센싱된 정원식물 주변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일정기간동안 저장하여 누적데이터를 생성한 후, 누적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역별 환경에 따른 정원식물의 적정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예를 들어, 최초 정원 시공시 (a)구역에 위치하였던 정원식물1이 (a)구역 환경보다는 (h)구역 환경에 더 적합한 경우, 정원식물 관리서버(300)에서 조경업체 단말기(400)로 정원식물1을 (a)구역에서 (h)구역으로 위치를 변경해야함을 통지하게 되며, 조경업체에서는 해당 정보를 통해 이전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기설정된 각각의 정원식물의 적정환경정보를 기반으로 각 구역별로 일정기간동안 누적된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정원식물별로 최적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조경업체에서는 정원식물 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환경정보의 누적데이터를 확인하여 정원식물의 위치 변경이 아닌 온도, 습도, 조도 등을 변화시켜 적정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물 등의 설치를 진행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센서부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정원식물 관리서버 400: 조경업체 단말기
S100: 정원식물 등록단계 S200: 환경정보 센싱단계
S300: 환경정보 비교단계 S400: 알람발생단계

Claims (5)

  1.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수의 정원식물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정원식물을 선택하여 등록하는 정원식물 등록단계;
    정원식물과 근접설치되는 센서부를 통해 정원식물 주변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센싱하는 환경정보 센싱단계;
    정원식물 관리서버에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환경정보를 기설정된 정원식물의 적정환경정보와 비교하는 환경정보 비교단계; 및
    상기 환경정보 비교단계를 통해 비교된 정원식물의 센싱 환경정보가 기설정된 적정환경정보를 벗어난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정원식물 등록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정원구조를 직접 설계할 수 있도록 정원식물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원구조를 설계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다수의 정원식물을 각각 심기 위한 위치를 각 구역별로 분할한 분할화면을 제공하여 각 구역별로 정원식물을 등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정원구조의 설계가 완료되면,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에서 해당 설계도를 기등록된 다수의 조경업체 단말기로 전송하고, 다수의 조경업체에서는 해당 정원 설계에 따른 시공기간 및 비용을 정원식물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정원식물 관리서버에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정원식물 주변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의 누적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역별 환경에 따른 정원식물의 적정 위치를 재설정하고, 적정 위치에 따른 정원식물의 위치 변경을 위한 유지보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정원식물의 위치 변경 정보를 해당 정원을 시공한 조경업체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알람발생단계에서는 센서부를 통해 수집된 온도, 습도 및 조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수분부족상황 알림 및 조도 또는 온도에 따른 정원식물 이동설치 알림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되, 사용자가 등록한 다수의 정원식물별로 각각의 비료살포 주기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61524A 2016-11-30 2016-11-30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 KR101936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524A KR101936394B1 (ko) 2016-11-30 2016-11-30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524A KR101936394B1 (ko) 2016-11-30 2016-11-30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18A KR20180062518A (ko) 2018-06-11
KR101936394B1 true KR101936394B1 (ko) 2019-01-18

Family

ID=6260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524A KR101936394B1 (ko) 2016-11-30 2016-11-30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0044A (zh) * 2021-04-12 2021-07-13 成都市半农科技有限公司 家庭植物培育方法与家庭植物培育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139A (ja) 2001-02-27 2002-09-06 Sekisui House Ltd 住宅庭園の設計システム
JP2004029941A (ja) * 2002-06-21 2004-01-29 Tak One Kk 庭園情報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836B1 (ko) * 2009-06-22 2011-11-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원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752542B1 (ko) 2015-04-14 2017-06-2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 화분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139A (ja) 2001-02-27 2002-09-06 Sekisui House Ltd 住宅庭園の設計システム
JP2004029941A (ja) * 2002-06-21 2004-01-29 Tak One Kk 庭園情報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18A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ullah et al. AgriSys: A smart and ubiquitous controlled-environment agriculture system
Monica et al. Iot based control and automation of smart irrigation system: An automated irrigation system using sensors, gsm, bluetooth and cloud technology
US10728336B2 (en) Integrated IoT (Internet of Things) system solution for smart agriculture management
Jagüey et al. Smartphone irrigation sensor
KR101696611B1 (ko) 온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06455496A (zh) 适于作物的电力产生方法
CN103701845A (zh) 基于云计算的温室群物联网监测预警控制云服务系统及其方法
Pusatkar et al. Implement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 for real time monitoring of agriculture
CN105228441A (zh) 温室用的安装评价装置、温室用的日照量调整装置和程序
KR102071719B1 (ko) 식물체 성장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wo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 a plant factory to save energy
KR101936394B1 (ko) Ict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원식물 관리방법
Huynh et al. Smart greenhouse construction and irrigation control system for optimal Brassica Juncea development
Difallah et al. Implementing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smart irrigation
Singh et al. IoT-based greenhouse technologies for enhanced crop production: a comprehensive study of monitoring, control,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US20230157217A1 (en) Heuristic plant production systems, methods, and associated devices
KR102157374B1 (ko) 벽면 녹화 장치
KR101632737B1 (ko) 식물의 굴광성 방지를 위한 광센서기반 자동 식물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bay et al. A novel agriculture tracking system using data mining approaches
Suciu et al. IoT and energy efficiency for smart agriculture using adcon telemetry devices
Zaina et al. Evaluation of smart irrigation systems in hot-arid climates for green roofs and walls: case of Doha, Qatar
Vithlani et al. An open source real time IoT based environmental sensor monitoring system
Yousif et al. A rule-based smart automated fertilization and irrigation systems
CN203745877U (zh) 杂草信息采集装置
Manashti et al. Design GSM-SMS based system for old structured greenhouses with monitoring and logging network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