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961B1 -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961B1
KR101935961B1 KR1020180056031A KR20180056031A KR101935961B1 KR 101935961 B1 KR101935961 B1 KR 101935961B1 KR 1020180056031 A KR1020180056031 A KR 1020180056031A KR 20180056031 A KR20180056031 A KR 20180056031A KR 101935961 B1 KR101935961 B1 KR 101935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escription
input
interface
prescrip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현
한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Priority to KR102018005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961B1/ko
Priority to PCT/KR2019/005769 priority patent/WO20192214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은, 처방 정보를 획득하는 처방 정보 추출부, 상기 처방 정보가 입력되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을 추출하는 입력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처방 정보 중 상기 입력 정보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의 입력 필드에 자동 입력하는 처방 정보 입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prescription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에서 발행한 처방전의 처방 정보를 약국에서 사용하는 처방전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에 입력하는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 분업이 실시된 이후, 일부 약품은 병원 또는 의원에서 발급한 처방전에 의해서만 약국에서 구입하거나 조제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약국은 환자가 가져온 처방전의 내용을 전산에 입력하여 약가의 의료보험비에 의한 보상을 청구한다.
현재 대부분의 약국에서 처방전의 기재 내용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처방전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에 수동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처방전의 입력 자동화에 대한 요구가 있었지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는 처방전의 포맷이 다양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역시 다양하고 각 소프트웨어마다 인터페이스가 서로 상이하여 실현되지 않고 있다(도 6 및 도 7에 기재된 정보는 가상의 인물에 대한 정보임).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2516호(2002.05.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포맷의 처방전들에 대해서도 처방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추출된 처방 정보를 인터페이스 상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은, 처방전으로부터 처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처방 정보를 입력하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처방 정보 중 상기 추출된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의 입력 필드에 자동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처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처방전 이미지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방 정보는 환자의 인적 정보, 처방전을 발행한 의료기관의 정보, 질병분류기호 및 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는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상기 처방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도록 상기 처방 정보가 입력된 상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상기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입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추출된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입력 필드에 자동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은, 처방 정보를 획득하는 처방 정보 추출부, 상기 처방 정보가 입력되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을 추출하는 입력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처방 정보 중 상기 입력 정보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의 입력 필드에 자동 입력하는 처방 정보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처방 정보 추출부는 상기 처방 정보가 기재된 처방전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는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이미지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정보 추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상기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추출된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입력 필드에 자동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다양한 포맷의 처방전들에 대해서도 처방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추출된 처방 정보를 인터페이스 상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약사가 처방전에 기재된 처방 정보를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상에 타이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고, 처방 정보를 입력하는 시간,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병원에서 발생하는 처방전의 포맷 및 약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처방전의 처방 정보를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에 자동으로 입력하므로, 병원과 약국은 처방전 자동 입력을 위해 새로운 장비 등을 도입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을 이용해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에 처방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처방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을 이용해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에 처방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1)은 처방전 자동 입력 소프트웨어(10)를 포함한다.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1)은 처방전 자동 입력 소프트웨어(10) 이외에 처방전(P)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캐너(20) 및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컴퓨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처방전 자동 입력 소프트웨어(10)는 컴퓨터(30)에서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와 함께 실행되거나, 컴퓨터(30)와 연결되는 별도의 전용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다.
처방전 자동 입력 소프트웨어(10)는 처방 정보 추출부(110), 처방 정보 입력부(120),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130) 및 입력 정보 추출부(140)를 포함한다.
처방 정보 추출부(110)는 처방전(P)에 기재된 처방 정보를 획득한다. 처방 정보 추출부(110)는 처방전(P)을 스캔한 스캐너(20)로부터 처방전(P)의 이미지를 전달받고, 처방전(P)의 이미지로부터 처방 정보를 추출한다. 처방 정보 추출부(110)는 처방전(P)의 이미지에 기재된 문자를 인식하여 처방 정보를 추출한다. 실시예에 따라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1)은 스캐너(20) 대신에 처방전(P)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다른 이미지 획득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1)은 스캐너(20) 대신에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획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처방 정보는 처방전(P)에 기재된 처방전의 종류(건강보험(의료보험), 의료급여, 산재보험, 자동차보험, 기타), 환자의 인적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처방전(P)을 발행한 의료기관의 정보(명칭, 전화번호, 팩스번호, e-mail 주소), 질병분류기호, 처방 의료인의 성명, 면허종별, 면허번호 및 조제 정보(처방의약품의 명칭,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일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방 정보 추출부(110)는 처방 정보의 각 항목의 명칭과 해당 항목의 내용을 대응시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 정보 추출부(110)는 '성명'이라는 항목의 명칭과 환자의 이름(예를 들어, '홍길동')인 해당 항목의 내용이 대응되도록 추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방전에 기재된 처방 정보 중 일부는 항목의 명칭 우측에 항목의 내용이 기재되고, 다른 일부는 항목의 명칭 아래에 항목의 내용이 기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처방전에서 환자의 주민등록번호는 '주민등록번호' 항목 우측에 기재되지만, 처방된 의약품의 명칭은 '처방 의약품의 명칭' 항목의 아래에 기재된다.
따라서, 처방 정보 추출부(110)는 항목의 내용이 항목의 명칭의 측부와 하부에 기재되는 경우 모두에 대응하여 항목의 명칭과 항목의 내용이 대응되도록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각 의료기관마다 사용하고 있는 처방전의 포맷이 일률적이지 않다. 따라서, 처방 정보 추출부(110)는 처방전(P)의 다양한 포맷에 대응하여 처방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처방 정보 추출부(110)는 추출된 처방 정보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컴퓨터(30)에 구비된 저장 장치이거나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와 연결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저장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는 약국 관리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130)는 처방 정보가 입력되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는 컴퓨터(30)의 모니터에 처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도 3에 기재된 처방 정보 등은 가상의 인물에 대한 정보이다.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130)는 모니터에 표시된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130)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캡쳐하여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130)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로부터 인터페이스 정보를 직접 전달받을 수도 있다.
입력 정보 추출부(140)는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130)가 획득한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입력 항목(11a, 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 20a)과 입력 필드(11b, 12b, 13b, 14b, 15b, 16b, 16c, 17b, 18b, 19b, 20b)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130)가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입력 정보 추출부(140)는 인터페이스의 이미지에 기재된 문자를 인식하여 입력 항목(11a, 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 20a)을 추출할 수 있다. 동시에 입력 정보 추출부(140)는 각 입력 항목(11a, 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 20a)에 대응하는 입력 필드(11b, 12b, 13b, 14b, 15b, 16b, 16c, 17b, 18b, 19b, 20b)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좌표값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130)가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로부터 인터페이스 정보를 직접 전달받은 경우, 입력 정보 추출부(140)는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입력 항목(11a, 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 20a)과 이에 대응하는 입력 필드(11b, 12b, 13b, 14b, 15b, 16b, 16c, 17b, 18b, 19b, 20b)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입력 정보 추출부(140)는 입력 항목(11a, 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 20a)과 입력 필드(11b, 12b, 13b, 14b, 15b, 16b, 16c, 17b, 18b, 19b, 20b)가 상호 대응되도록 추출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입력 정보 추출부(140)는 '건강 보험'이라는 입력 항목(11a)을 추출하고, '건강 보험'의 입력 필드(11b)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즉, 입력 정보 추출부(140)는 '건강 보험'이라는 입력 항목(11a)의 입력 필드(11b)는 입력 항목(11a) 좌측에 위치한다는 위치 정보 또는 입력 필드(11b)의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인적 정보 중 '주민등록번호'라는 항목이 생략되었지만, 주민등록번호의 입력 필드(16c)가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도, 입력 정보 추출부(140)는 '환자이름'의 입력 항목(16a)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2개의 입력 필드(16b, 16c)를 추출하고, 2개의 입력 필드(16b, 16c) 중 어느 하나를 성명을 입력하는 입력 필드(16b)로 추출하고, 다른 하나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 필드(16c)로 추출할 수 있다. 입력 정보 추출부(140)는 2개의 입력 필드(16b, 16c) 중 보다 길게 형성된 입력 필드(16c)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 필드(16c)로 추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에는 입력 필드(11b, 12b, 13b, 14b, 15b)가 입력 항목(11a, 12a, 13a, 14a, 15a)의 좌측에 위치하기도 하고, 입력 필드(16b, 16c)가 입력 항목(16a)의 우측에 위치하기도 하며, 입력 필드(17b, 18b, 19b, 20b)가 입력 항목(17a, 18a, 19a, 20a)의 아래에 위치하기도 한다.
따라서, 입력 정보 추출부(140)는 각 경우에 대응하여, 입력 항목과 입력 필드의 위치가 상호 대응되도록 추출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각 약국마다 사용하고 있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가 서로 다르며 처방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역시 서로 다르다. 따라서, 입력 정보 추출부(140)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입력 항목과 입력 필드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처방 정보 입력부(120)는 처방 정보 추출부(110)가 처방전(P)으로부터 추출한 처방 정보를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상에 자동으로 입력한다. 처방 정보 입력부(120)는 처방 정보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들을 입력 정보 추출부(140)가 인터페이스로부터 추출한 각 입력 항목과 각 입력 필드에 대응하여 자동 입력한다.
예를 들어, 처방 정보 입력부(120)는 처방 정보 추출부(110)가 도 4 또는 도 5의 처방전으로부터 추출한 환자의 성명에 대한 정보를 도 3의 인터페이스의 입력 필드들(11b, 12b, 13b, 14b, 15b, 16b, 16c, 17b, 18b, 19b, 20b) 중 해당 입력 필드(16b)의 위치에 입력한다.
처방 정보 입력부(120)는 메모리에 저장된 처방 정보들 중 처방 정보 추출부(110)가 추출한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불러와서 해당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입력 필드의 위치에 해당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상에 처방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처방 정보 입력부(120)가 처방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한 결과는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통해 처방 정보가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처방 정보 중 일부가 잘못 기재된 경우에는 컴퓨터(30)의 입력 장치(마우스, 키보드 등)를 통해 기재를 수정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처방 정보가 정확히 기재된 것을 확인한 이후, 사용자는 처방 정보의 입력 결과를 최종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도 3의 인터페이스 상의 '완료'(도 3 참고) 아이콘을 클릭하는 방식으로 처방 정보의 입력 결과를 최종 승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최종 승인을 마친 처방 정보의 입력 결과는 컴퓨터(30)의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30)와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최종 승인에 의해 입력된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약을 조제하는 과정이 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1)은 다양한 포맷의 처방전들에 대해서도 처방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추출된 처방 정보를 인터페이스 상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약사가 처방전에 기재된 처방 정보를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상에 타이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고, 처방 정보를 입력하는 시간,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1)은 병원에서 발생하는 처방전의 포맷 및 약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처방전의 처방 정보를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에 자동으로 입력하므로, 병원과 약국은 처방전 자동 입력을 위해 새로운 장비 등을 도입할 필요가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은 처방전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1), 처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2),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 입력 항목 및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4), 처방 정보를 자동 입력하는 단계(S15), 처방 정보가 입력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6), 사용자 승인 단계(S17) 및 처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8)를 포함한다.
처방전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1)와 처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2)는 처방전으로부터 처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처방전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1)에서는 스캐너, 카메라 등과 같은 이미지 획득 유닛을 통해 처방 정보가 기재된 처방전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처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2)에서는 처방 정보 추출부(110)가 처방전 이미지로부터 처방 정보를 추출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에서는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130)가 처방 정보가 입력되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한다. 인터페이스 정보는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130)가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입력 항목 및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4)에서는 입력 정보 추출부(140)가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입력 항목(11a, 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 20a)과 입력 필드(11b, 12b, 13b, 14b, 15b, 16b, 16c, 17b, 18b, 19b, 20b)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입력 정보 추출부(140)가 입력 항목과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 및 입력 항목 및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4)는 처방전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1) 및 처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2) 보다 이전에 진행되거나, 처방전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1) 또는 처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2)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처방 정보를 자동 입력하는 단계(S15)에서는 처방 정보 입력부(120)가 처방 정보를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상에 자동으로 입력한다. 즉, 처방 정보 입력부(120)는 처방 정보 추출부(110)가 처방전(P)으로부터 추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처방 정보들 중 S14 단계에서 추출한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들을 해당 입력 필드에 입력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처방 정보가 입력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6)에서는 처방 정보 입력부(120)에 의해 인터페이스 상에 처방 정보가 입력된 상태가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처방 정보가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처방 정보 중 일부가 잘못 기재된 경우, 사용자는 컴퓨터(30)의 입력 장치(마우스, 키보드 등)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처방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 승인 단계(S17)에서 사용자는 모든 처방 정보가 정확히 기재한 것을 확인한 이후, 처방 정보의 입력 결과를 최종 승인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30)의 입력 장치(마우스, 키보드 등)를 이용해 도 3의 인터페이스 상의 '완료'(도 3 참고) 아이콘을 클릭하는 방식으로 처방 정보의 입력 결과를 최종 승인할 수 있다.
처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8)에서는 S17 단계에서 승인된 처방 정보의 입력 결과를 저장한다. 처방 정보의 입력 결과는 컴퓨터(30)의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30)와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가 조제 작업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최종 승인에 의해 입력된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약을 조제하는 과정이 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포맷의 처방전들에 대해서도 처방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추출된 처방 정보를 인터페이스 상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약사가 처방전에 기재된 처방 정보를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상에 타이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고, 처방 정보를 입력하는 시간,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은 병원에서 발생하는 처방전의 포맷 및 약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처방전의 처방 정보를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에 자동으로 입력하므로, 병원과 약국은 처방전 자동 입력을 위해 새로운 장비 등을 도입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10: 처방전 자동 입력 소프트웨어
20: 스캐너 30: 컴퓨터
110: 처방 정보 추출부 120: 처방 정보 입력부
130: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 140: 입력 정보 추출부
11a, 12a, 13a, 14a, 15a, 16a, 17a, 18a, 19a, 20a: 입력 항목
11b, 12b, 13b, 14b, 15b, 16b, 16c, 17b, 18b, 19b, 20b: 입력 필드

Claims (10)

  1. 처방 정보 추출부가 처방전으로부터 처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가 상기 처방 정보를 입력하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모니터의 화면 상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입력 정보 추출부가 획득된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 및
    처방 정보 입력부가 상기 처방 정보 중 상기 추출된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의 입력 필드에 자동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이미지 획득 유닛이 상기 처방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처방 정보 추출부가 상기 획득한 처방전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정보는 환자의 인적 정보, 처방전을 발행한 의료기관의 정보, 질병분류기호 및 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는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상기 처방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는 상기 처방 정보가 입력된 상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 추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상기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입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처방 정보 입력부는 상기 추출된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추출된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입력 필드에 자동 입력하는,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
  7. 처방 정보를 획득하는 처방 정보 추출부;
    상기 처방 정보가 입력되는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모니터의 화면 상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을 추출하는 입력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처방 정보 중 상기 입력 정보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의 입력 필드에 자동 입력하는 처방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정보 추출부는 상기 처방 정보가 기재된 처방전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를 추출하는,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 획득부는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처방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이미지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 추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상기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입력 필드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추출된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입력 필드에 자동 입력하는,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KR1020180056031A 2018-05-16 2018-05-16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93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031A KR101935961B1 (ko) 2018-05-16 2018-05-16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9/005769 WO2019221478A1 (ko) 2018-05-16 2019-05-14 의무 기록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031A KR101935961B1 (ko) 2018-05-16 2018-05-16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961B1 true KR101935961B1 (ko) 2019-01-08

Family

ID=6502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031A KR101935961B1 (ko) 2018-05-16 2018-05-16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9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478A1 (ko) * 2018-05-16 2019-11-21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의무 기록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0495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유니메오 동물병원 영수증을 이용한 오씨알 기반 전자진료차트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7216A (ja) 1999-05-24 2007-12-06 Yoshiro Mizuno 2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薬局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7216A (ja) 1999-05-24 2007-12-06 Yoshiro Mizuno 2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薬局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478A1 (ko) * 2018-05-16 2019-11-21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의무 기록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0495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유니메오 동물병원 영수증을 이용한 오씨알 기반 전자진료차트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298669B1 (ko) * 2019-06-25 2021-09-08 주식회사 유니메오 동물병원 영수증을 이용한 오씨알 기반 전자진료차트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385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beling pharmaceutical prescriptions
US20160246928A1 (en) Medication reconciliation system and method
JP2019115707A (ja) 遠隔医薬検証
US20070143141A1 (en) Integrated Clinical and Medication Reconciliation System
US20050033606A1 (en) Medication order process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1122501B1 (ko) 조제제어시스템
KR20090073125A (ko) 약제 관리 지도 지원 시스템
KR101935961B1 (ko)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JP2013125377A (ja) 処方データベース、処方データベースを用いた処方監査システム、及び、処方監査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処方データベースの更新方法
US200301897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prescriptions with captured images
JP6550223B2 (ja) 電子お薬手帳連携システム、装置、電子お薬手帳連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92764B2 (ja) 薬剤混合調製管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545446B2 (ja) 処方箋情報送信システム、患者情報管理サーバ、情報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71738B1 (ko)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JP5568112B2 (ja) 薬剤混合調製管理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9192272A (ja) 処方箋情報送信システム、患者情報管理サーバ、情報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17348B2 (ja) 処方箋情報受付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18618B2 (ja) 処方情報入力装置
JP7274529B2 (ja) 薬剤識別システムおよび薬剤識別方法
US20210142878A1 (en) Patient-Facing App for Health Literacy and Numeracy
JP2014102707A (ja) 処方管理システム
JP2021196803A (ja) 薬剤情報管理システム
CN115440336A (zh) 一种数字化交互式电子处方及其应用方法
JP6257309B2 (ja) 薬剤混合調製管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50246203A1 (en) Crucial and significant (C&S)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and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