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762B1 -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762B1
KR101935762B1 KR1020180099826A KR20180099826A KR101935762B1 KR 101935762 B1 KR101935762 B1 KR 101935762B1 KR 1020180099826 A KR1020180099826 A KR 1020180099826A KR 20180099826 A KR20180099826 A KR 20180099826A KR 101935762 B1 KR101935762 B1 KR 10193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m
composition
gelatin
animal
adjuv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재 filed Critical 김민재
Priority to KR102018009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762B1/ko
Priority to PCT/KR2019/000301 priority patent/WO20200457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은 동물용 의약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역한 냄새와 맛을 마스킹하고, 의약품에 대한 동물의 기호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의약품을 거부감 없이 즐겁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supporting administration to animal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의약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역한 냄새와 맛을 마스킹하고, 의약품에 대한 기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투약 보조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 진단,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은 우리의 생활사에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식물과 같은 자연물로부터 유래한 천연물 유래 의약품부터 생물 화학적으로 합성된 합성 의약품까지, 다양한 종류와 유형의 의약품이 인간을 비롯한 동물의 질병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약품은 특유한 냄새와 맛을 나타내기 때문에, 경구 투여로 섭취할 경우 약의 독특한 냄새와 맛으로 인해 섭취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특히 약의 쓴맛과 독특한 냄새를 참지 못하는 소아, 신생아, 장애인, 노인, 치매 환자 등의 경우 약의 경구 투여를 거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약을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돕는 투약 보조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인구 구조가 고령화되고 출산율이 낮아지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2020년에 약 6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등, 관련 산업의 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사료, 의약품, 의약외품, 반려동물용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산업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을 더욱 건강하게 키우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반려동물에게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의약품에 대한 연구 및 상업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표적인 반려동물인 개, 고양이의 경우 사람에 비해 후각과 미각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반려동물용 의약품을 투여하는 데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질병을 가진 개나 고양이를 대상으로 약을 처방하더라도 의약 조성물 특유의 향미 때문에 개나 고양이 자체가 투여를 강하게 거부하기 때문이다. 특히 실제 동물병원에서는 다수의 약제를 혼합한 가루형 혼합 조성물을 처방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루 성분의 특유하고도 역한 냄새로 인해 반려동물에 대한 투여가 매우 어렵다. 더욱이 보호자에 대한 신뢰나 의존도가 극히 낮은 고양이의 경우 투여 자체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개나 고양이가 스스로 의약품 투여를 거부함에 따라 질병 치료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강제적으로 장기간 반복적으로 경구 투여하거나 주사 투여시 보호자와 반려동물의 스트레스가 유발된다.
따라서, 반려동물로 하여금 의약품을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도록, 반려동물 의약품, 특히 가루 형태로 이루어진 의약 조성물의 역겨운 냄새와 맛을 마스킹할 수 있는 투약 보조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현재 반려동물의 경우 투약 보조제(㈜벨벳의 웰케어)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기는 하나, 액상 형태로서 반려동물이 혀로 핥아서 섭취하기 때문에 맛과 냄새의 마스킹 효과가 크지 않고, 특히 기름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췌장염이 있는 반려동물이 섭취할 경우 건강에 치명적이며, 갑작스런 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섭취 후 반려동물의 입 주변에 많이 묻게 되는 관리상 문제점도 있다.
그 동안 동물병원에서는 보통 반려동물에게 의약품을 섭취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꿀이나 딸기잼과 같은 단맛의 젤 타입의 식품에 섞어 투여하도록 권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투약 보조 식품은 충치, 치주염과 같은 치과 질환이나 당뇨, 비만이 있는 반려동물에게는 이들 질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며, 물리화학적 특성상 끈적임으로 인해 약의 뒷맛을 오히려 느껴지게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의약품 조성물의 역겨운 냄새와 맛을 마스킹하여, 소아, 장애인, 치매 환자와 같은 인간, 반려동물과 같은 대상으로 하여금 거부감 없이 의약품을 섭취하도록 보조할 수 있는 복합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7281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잔탄검,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및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동물 투약 보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및 스테비아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약 보조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하나의 양태는 동물 투약 보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동물 투약 보조제 조성물은 잔탄검, 젤라틴, 콜라젠 및 글루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잔탄검,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및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동물'은 사람과 그 이외의 동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상기 사람에는 투약 보조제 조성물을 섭취할 수 있는 신생아, 소아, 유아, 청소년, 성인, 노인, 치매 환자, 장애인이 모두 포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의약품을 경구 투여 받기 어려운 신생아, 소아, 유아, 노인, 치매 환자 또는 장애인일 수 있다. 상기 '동물'에는 반려동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반려동물'이란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의 의미로서,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여 종래 애완동물이라는 표현 대신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반려동물에는 가정에서 키우는 가정용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축산업에서의 가축 또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은 개, 고양이, 소, 염소, 말, 양, 돼지, 낙타, 사슴, 기니피그, 쥐, 햄스터 등과 같은 포유류, 두꺼비, 개구리, 뱀, 도마뱀, 카멜레온과 같은 파충류 또는 양서류, 새, 앵무새, 카나리아 등과 같은 조류를 제한 없이 포함하며,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를 섭취 가능한 종이면 제한 없이 포함 가능하다.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란 개체에 의약품을 투약하는 과정에 있어서 투약을 보조하는 조성물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동물 투약 보조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는 가루 약의 역겨운 냄새와 맛을 마스킹하고 식감과 기호성을 높여 자발적 섭취를 유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투약 또는 투여는 경구 투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투약 보조제 조성물은 잔탄검,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및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잔탄검,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및 스테비아는 화학적으로 합성되거나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액상형 또는 분말형 일 수 있다. 이는 식품학적 안정성이 입증된 물질들로서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투약 보조제로서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투약 보조제 조성물은 동물 의약품의 특유한 맛 또는 냄새를 마스킹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마스킹'이란 대상이 되는 물질의 맛, 냄새를 차폐 또는 은폐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의약품, 분말형 의약품에서 나는 쓴 맛, 떫은 맛, 짠 맛, 아린 맛 등의 불쾌한 맛과, 특이한 냄새를 감소시키거나 없애는 것을 말한다.
환자 중에서도 특히 신생아, 소아, 유아, 노인, 치매 환자, 장애인은 의약품을 경구 투여 받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많기 때문에,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 조성물을 함께 활용할 경우 의약품의 맛과 냄새를 마스킹하여 의약품을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은 인간과 달리 미각과 후각이 매우 예민할 뿐만 아니라,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라는 개념에 대한 인식 자체가 없기 때문에, 반려동물에게 약을 먹이는 것은 보호자로서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의 경우 반려동물 대상의 의약품과 함께 투여할 경우 보호자로 하여금 반려동물에게 쉽게 약을 먹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반려동물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 (도 12 내지 17).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를 구성하는 상기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및 스테비아 각각의 함량비, 조성비는 특별한 한정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및 스테비아의 조성비는 5 내지 7 : 6 내지 8 : 1 내지 2 : 1 내지 2 : 1 내지 2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잔탄검과 콜라젠의 조성비 또는 잔탄검과 글루텐의 조성비는 5 내지 7 : 1일 수 있고,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과 콜라젠 또는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과 글루텐의 조성비는 6 내지 8 : 1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젤라틴과 콜라젠 또는 젤라틴과 글루텐의 조성비는 3 내지 4 : 1일 수 있으며, 콜라젠과 스테비아 또는 글루텐과 스테비아의 조성비는 1 : 1 내지 2일 수 있다.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및 스테비아는 각각 20~60%, 20~50%, 5~20%, 1~10%, 1~10%, 5~15%의 중량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의 제형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액상, 젤 상태, 고형, 분말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분말 형태일 수 있으며, 물을 첨가할 경우 젤 상태로 변하는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점증제 또는 단미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구아검, 로커스트 콩 검, 카제인, 펙틴,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검, 카라기난, 덱스트란, 셀루로우즈 검, 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한천, 젤란 검, 퍼셀러랜, 젤라틴, 커들란, 타라 검, 알긴산, 알긴산염, 아조트바크타비네란지감, 카시아 검, 사이륨시드 검, 타미린드 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칼슘, 유청 단백, 전분, 가공 전분,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미제는 효소처리 스테비아,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D-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락티톨, 환원 팔라티노스, 수크랄로스, 또는 프락토 올리고당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및 스테비아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약 보조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또는 스테비아, 투약 보조제에 대해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또는 스테비아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혼합은 내용물 온도가 15 내지 65℃, 20 내지 60℃, 또는 25 내지 56℃ 이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혼합의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젤라틴, 스테비아, 콜라젠의 순서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그 이후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및 글루텐을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는 투약 보조제와 가루약의 혼합시 투여 대상이 되는 동물이 선호하는 음식물, 성분을 함께 혼합 또는 코팅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약품+투약보조제 혼합체에 대한 동물의 기호성을 증가시키고 식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가 포함된 의약품+투약 보조제의 혼합체에 투약 보조제를 코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의약품+투약보조제 혼합체, 또는 가루약+투약보조제 혼합체로서 구형의 반죽 형태 혼합체의 표면에 투약 보조제 조성물을 추가로 입혀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적으로 투약 보조제와 혼합된 약물체에, 추가로 가루 형태의 투약 보조제를 코팅시켰을 때 페이스트화(paste) 되어 가루 약의 특유한 냄새나 맛을 더욱 차단시켜 투약 보조제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는 식품학적으로 안전성, 안정성이 입증된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어 동물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루 형태 등으로 구성된 동물용 의약품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맛(이미)과 냄새(이취)를 제거하거나 차폐, 은폐하여 동물의 약 섭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6은 가루약의 맛이 투약 보조제에 의해 마스킹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식이 색소인 비트를 활용하여 물에 색소가 녹아 나오는 정도를 시간 순서로 확인한 사진이다.
도 7 내지 11은 가루약의 냄새가 투약 보조제에 의해 마스킹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구연산 용액과 반응하는 베이킹 소다를 활용하여 용액 내, 혼합체 외부 또는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정도를 시간 순서로 확인한 사진이다.
도 12 내지 17은 역겨운 맛과 냄새를 갖는 항생제인 세프라딘과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다양한 반려동물이 자발적으로 섭취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투약 보조제 제조
투약 보조제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투약 보조제 구성 성분으로서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및 스테비아를 준비하였다.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및 스테비아를 20~60%, 20~50%, 5~20%, 1~10%, 1~10%, 5~15% 비율로 넣고 믹서기에서 25℃~56℃ 사이에서 혼합하였다.
그 결과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및 스테비아가 골고루 혼합된 분말형 투약 보조제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제조예 2: 처방된 가루약과 투약 보조제의 혼합 조성물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투약 보조제 조성물을 처방된 가루약과 혼합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먼저 동물에게 투약하고자 하는 가루약의 2배에 해당하는 투약 보조제를 가루약에 넣고,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충분히 교반하였다. 상기 가루약+투약 보조제 혼합물에 실온의 물을 첨가하였으며, 이 때 물은 투약 보조제 무게의 3 내지 10배 정도로 첨가하였다. 물을 첨가한 후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반죽 형태를 갖는 가루약+투약보조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투약에 보다 민감한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가루약+투약보조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죽 형태의 가루약+투약보조제 혼합물의 표면에 얇게 물을 도포한 후, 제조예 1의 투약 보조제 조성물을 재 도포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가루약의 냄새와 맛을 더욱 효과적으로 마스킹하는 가루약+투약보조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가루약+투약 보조제의 혼합 조성물의 가루약 마스킹 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투약 보조제가, 제조예 2의 가루약+투약보조제 혼합물로 사용될 경우 가루약 특유의 맛과 냄새를 마스킹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만 반려동물의 경우 가루약+투약보조제 섭취의 선호도에 대한 관능 검사 결과를 표현 할 수 없기 때문에, 가루약의 맛과 냄새에 대한 반려동물의 기호성, 만족도, 마스킹 효과를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동물 대상의 가루약 특유의 맛, 냄새를 투약 보조제가 마스킹 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디자인하였으며, 당업계 상식에 비추어 볼 때 맛과 냄새의 마스킹 효과를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험임을 확인하였다.
1-1. 가루약 맛 마스킹 효과 확인
먼저, 가루약의 맛이 투약보조제에 의해 마스킹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식이 색소인 비트를 사용하여 제조예 2의 방법과 같이 반죽형태의 비트+투약보조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가루약 특유의 맛이 마스킹 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루약 대신 색소를 띠는 비트를 이용하여 발색 정도를 통해 마스킹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상기 반죽형태의 비트+투약보조제 혼합물에 제조예 2와 같이 투약 보조제를 도포하고 정제수에 담근 후, 반죽형태의 비트+투약보조제 혼합체 표면으로부터 비트의 색소가 단순 확산에 의해 녹아 나오는 정도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일반적으로 동물병원에서 반려동물이 의약품을 거부하지 않고 섭취할 수 있도록 추천하는 딸기잼을 투약 보조제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를 도 1 내지 6에 나타내었으며 좌측부터 차례로 비트 분말, 비트+딸기잼 조성물, 비트+투약보조제 조성물, 투약보조제로 추가 코팅된 비트+투약보조제 조성물을 나타낸다.
도 1은 물에 투여한 직후를, 도 2는 1분 경과 후 상태를 나타낸다. 1분 경과 시점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비트 분말만을 투여한 군은 색소가 곧바로 물에 용해되어 나타났으며, 딸기잼과 혼합한 대조군에서도 비트 분말이 물에 서서히 용해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트+투약보조제 조성물은 비트 색소의 방출이 상당부분 제어되었으며, 투약보조제로 추가 코팅된 비트+투약보조제 조성물의 경우 비트 색소가 전혀 용해되어 나오지 않았다. 이는 5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도 3). 뿐만 아니라, 무려 12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투약보조제로 추가 코팅된 비트+투약보조제 조성물에서는 비트 색소가 전혀 용해되어 나오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6).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를 의약품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동물이 인식 가능한 의약품의 맛을 현저하게 마스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가루약+투약보조제 혼합체에 투약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코팅할 경우 가루약의 특이한 쓴 맛에 대한 마스킹 효과가 더욱 극대화 됨을 알 수 있다.
1-2. 가루약 냄새 마스킹 효과 확인
다음으로, 가루약의 냄새가 투약보조제에 의해 마스킹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베이킹 파우더를 사용하여 제조예 2의 방법과 같이 반죽형태의 베이킹소다+투약보조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반려동물의 민감한 후각을 고려할 때 가루약 특유의 냄새가 마스킹 되는지 정성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루약 대신 산 용액과 반응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베이킹 소다를 이용하여 기포 발생 정도를 통해 마스킹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상기 반죽형태의 베이킹소다+투약보조제 혼합물에 제조예 2와 같이 투약 보조제를 도포하고 구연산 용액에 담근 후, 반죽형태의 베이킹소다+투약보조제 혼합체 표면으로부터 기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10분 간격으로 관찰하였으며, 혼합체 내부 가스 발생에 의한 베이킹소다+투약보조제 혼합체의 부유 여부도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일반적으로 동물병원에서 반려동물이 의약품을 거부하지 않고 섭취할 수 있도록 추천하는 딸기잼을 투약 보조제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를 도 7 내지 11에 나타내었으며 좌측부터 차례로 베이킹소다, 베이킹소다+딸기잼 조성물, 베이킹소다+투약보조제 조성물, 투약보조제로 추가 코팅된 베이킹소다+투약보조제 조성물을 나타낸다.
도 7은 구연산에 투여한 직후를, 도 8는 1분 경과 후 상태를 나타낸다. 1분 경과 시점인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킹 소다 분말만을 투여한 군에서는 곧바로 기포가 발생했으며, 딸기잼과 혼합한 군에서도 기포 발생이 거의 억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투약 보조제로 활용되는 딸기잼이 가루약의 냄새를 실질적으로 마스킹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반면, 베이킹소다+투약보조제 조성물의 경우 베이킹 소다로 인한 기포 발생이 상당 부분 제어되었으며, 투약보조제로 추가 코팅된 베이킹소다+투약보조제 조성물의 경우 기포가 거의 발생되지 않았다. 이는 3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도 10). 뿐만 아니라, 무려 6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투약보조제로 추가 코팅된 베이킹소다+투약보조제 조성물에서는 혼합체 표면상 기포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단지 약간의 내부 기포로 인해 수면 위로 떠오르는 정도에 그침을 확인하였다 (도 11). 이는 투약보조제 성분이 베이킹소다와 구연산의 반응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발생된 가스의 포집 효과에 따른 것으로, 투약 보조제가 가루약과 혼합될 경우 가루약의 냄새를 현저하게 마스킹 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를 의약품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동물이 인식 가능한 의약품의 냄새를 현저하게 마스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가루약+투약보조제 혼합체에 투약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코팅할 경우 마스킹 효과가 더욱 극대화 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한 투약 보조제 효과 확인
상기 투약 보조제를 포함하는 가루약+투약보조제 혼합체를 반려동물이 자발적으로 섭취하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루약으로는 맛과 냄새가 역겨워 반려동물에게 경구 투여하기 매우 어려운 항생제인 세프라딘을 사용하였다. 항생제 사용이 필요한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세프라딘을 가루약으로 처방한 후, 보호자로 하여금 세프라딘+투약보조제 혼합체를 제조하여 반려동물에게 직접 경구 투여하도록 하였으며, 반려동물이 상기 혼합체를 거부감 없이 섭취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세프라딘과 투약 보조제를 혼합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 12에 나타내었으며, 세프라딘+투약보조제 혼합체를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모습을 도 13 내지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3 내지 도 17에서 볼 수 있듯이, 역겨운 맛과 냄새를 갖는 세프라딘을 처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투약 보조제 조성물을 혼합한 혼합체를 섭취하도록 한 결과, 다양한 반려동물들이 세프라딘+투약보조제 혼합체를 거부감 없이 섭취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구 투여가 매우 까다로운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서도 항생제 경구 투여에 성공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5).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잔탄검,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및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동물 투약 보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 보조제 조성물은 동물 의약품의 맛 또는 냄새를 마스킹하는 것인,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및 스테비아의 중량비는 5 내지 7 : 6 내지 8 : 1 내지 2 : 1 내지 2 : 1 내지 2인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형태인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점증제 또는 단미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구아검, 로커스트 콩 검, 카제인, 펙틴,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검, 카라기난, 덱스트란, 셀루로우즈 검, 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한천, 젤란 검, 퍼셀러랜, 젤라틴, 커들란, 타라 검, 알긴산, 알긴산염, 아조트바크타비네란지감, 카시아 검, 사이륨시드 검, 타미린드 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칼슘, 유청 단백, 전분, 가공 전분,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인,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미제는 효소처리 스테비아,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D-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락티톨, 환원 팔라티노스, 수크랄로스, 또는 프락토 올리고당인 것인, 조성물.
  9. 잔탄검, 난소화성 말토 덱스트린, 젤라틴, 콜라젠, 글루텐 및 스테비아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의약품의 맛 또는 냄새를 마스킹하는 투약 보조제의 제조 방법.
KR1020180099826A 2018-08-25 2018-08-25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826A KR101935762B1 (ko) 2018-08-25 2018-08-25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9/000301 WO2020045771A1 (ko) 2018-08-25 2019-01-08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826A KR101935762B1 (ko) 2018-08-25 2018-08-25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762B1 true KR101935762B1 (ko) 2019-01-04

Family

ID=6501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826A KR101935762B1 (ko) 2018-08-25 2018-08-25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5762B1 (ko)
WO (1) WO20200457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771A1 (ko) * 2018-08-25 2020-03-05 김민재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6096A1 (en) 2003-08-22 2005-06-23 Davidson R. S. Edible films for administration of medicaments to animals,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methods for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animals
KR101566036B1 (ko) 2007-03-23 2015-11-04 닛신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71B1 (ko) * 2005-10-27 2008-05-27 주식회사종근당 서방출과 pH 의존성 속방출을 나타내는 약제학적 조성물
CA2861533C (en) * 2011-12-07 2020-07-14 Calpis Co., Ltd. Lipid metabolism and/or sugar metabolism improver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um or treatment product thereof
KR101935762B1 (ko) * 2018-08-25 2019-01-04 김민재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6096A1 (en) 2003-08-22 2005-06-23 Davidson R. S. Edible films for administration of medicaments to animals,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methods for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animals
KR101566036B1 (ko) 2007-03-23 2015-11-04 닛신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771A1 (ko) * 2018-08-25 2020-03-05 김민재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771A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71853B2 (en) Granular jelly drink capable of masking bitter
CN102397552B (zh) 一种含喹诺酮类的药物复合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191955B2 (ja) 粘膜免疫調節剤並びにその用途
KR101935762B1 (ko)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epino et al. Infant rats respond differently to alcohol after nursing from an alcohol-intoxicated dam
KR101999073B1 (ko) 동물 투약 보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106948B2 (ja) ペット用経口投与補助剤組成物
Hunt et al. Enhanced intake of ethanol in preweanling rats following interactions with intoxicated siblings
US20040105849A1 (en) Treatment for SMA disease
Hutchison Lectures on diseases of children
JP2008094743A (ja) 摂食・嚥下改善食品
JP3240345B2 (ja) 経口催眠剤、催眠性飲食物及び催眠性餌料
WO2017186954A1 (en)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speed and endurance capacity
Wyllie et al. Pink Disease: its Morbid Anatomy, with a Note on Treatment
JP4634589B2 (ja) 食品又は医薬品易服用化剤
Neff The treatment of colic in infants
Sadler Infant feeding by artificial means: a scientific and practical treatise on the dietetics of infancy
JP2000204042A (ja) 環状オリゴ糖
JP4010062B2 (ja) アトピー性皮膚炎を防ぐ保健食品
Jacobi Therapeutics of infancy and childhood
ES2302463A1 (es) "composicion a base de fibra de cacao".
US20050202038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inimizing residual fecal matter in the perianal area
JPH11180864A (ja) クエン酸アルカリ塩を含有するゼリ−製剤
BR102019022397A2 (pt) mix de fibras e processo de preparação
Pillay et al. Little known dangers of an exotic poisonous fruit: lessons from two cases of konjac inges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