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575B1 -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575B1
KR101935575B1 KR1020170016937A KR20170016937A KR101935575B1 KR 101935575 B1 KR101935575 B1 KR 101935575B1 KR 1020170016937 A KR1020170016937 A KR 1020170016937A KR 20170016937 A KR20170016937 A KR 20170016937A KR 101935575 B1 KR101935575 B1 KR 101935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bar
authentication
shu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567A (ko
Inventor
이두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니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니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니스트
Priority to KR1020170016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5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57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2Pedestrian barriers; Barriers for channelling or controlling crow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펜스 설치를 위한 스마트 차단봉은, 상기 스마트 차단봉은, 소정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됨에 따라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여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SMART BARRICADE BAR AND METHOD FOR INSTALLING SMART FEN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관리자 인증을 통해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인증 받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의 침입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야흐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시대가 도래하였다. 사물 인터넷 기술에 의해 유/무선 통신 수단을 보유한 모든 디바이스(Device)들은 상호 연결되어 수집한 정보를 공유하고, 그에 따라 디바이스의 제어가 자동으로 수행되어 인간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물 인터넷 기술을 국가 차원에서 권장하는 핵심 사업으로 선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가정용 사물 인터넷 기술을 시작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기술 개발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 그에 따라 디바이스 제조사들은 사물 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디바이스의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통신사들은 원활한 사물 인터넷 기술 구현의 기반이 되는 통신망 설치 및 보급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 기술은 물류(Logistics) 분야에도 적용되며, 그 대표적인 예로 창고관리를 들 수 있다. 창고에는 운송이 수행될 화물들이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우에 따라 장기간 보관되어야 하는 화물, 귀금속과 같이 높은 가격 또는 식자재와 같이 변질이 용이하다는 화물 자체의 특성 등으로 인해 특별 취급을 받아야 하는 화물 등 다양한 화물이 보관된다.
한편, 창고에서 화물을 보관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는바, 대형 컨테이너 내부에 화물을 보관하는 방법, 펜스(Fence)를 설치하고 그 위에 그물을 깔아놓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컨테이너 구매 또는 대여 비용과 펜스를 설치하는 사람의 인건비가 소모되며,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해 화물이 변질되는 경우라도 변질 여부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인증 받지 않은 외부인의 침입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외부인의 침입에 따라 화물이 도난되거나 훼손되는 경우, 더 나아가 높은 가격의 화물이 도난되거나 훼손되는 경우에는 그 손해가 막대할 수밖에 없으며, 같은 종류의 화물을 다수 개 보관하고 있을 때, 그 중 일부가 도난되는 경우에는 도난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의 창고에는 CCTV를 설치하고 있으나, CCTV의 설치 위치에 따라, 녹화가 불가능한 사각지대가 존재하며, 야간 촬영이나 컨테이너 내부와 같이 주변 환경이 어두운 경우 화질이 상대적으로 떨어짐에 따라 영상을 식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창고에 보관하는 화물에 대한 인증 받지 않은 외부인의 침입을 근본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인의 침입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를 창고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새로운 창고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4271호(2016.11.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리자 인증을 통해 소정 구획의 펜스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증 받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의 침입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관되는 화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외부 환경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펜스 설치를 위한 스마트 차단봉은, 상기 스마트 차단봉은, 소정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됨에 따라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여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사람의 시각을 통해 식별 가능한 유색의 레이저 차단선 또는 사람의 시각을 통해 식별 불가능한 무색의 레이저 차단선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며, 레이저 침입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차단선에 사람 또는 사물이 접촉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위치-충격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차단봉의 이동 또는 상기 스마트 차단봉에 가해지는 소정의 충격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온도-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차단봉이 설치된 위치의 외부 환경이 소정 범위 이상 변경되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으로부터 차단선 체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을 제외한 다른 스마트 차단봉에게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부는, 공인 인증서를 통한 인증, 지문을 통한 인증, 홍채를 통한 인증, 망막을 통한 인증, 음성을 통한 인증, 정맥을 통한 인증 및 얼굴인식을 통한 인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차단봉은,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단선에 사람 또는 사물이 침입한 경우, 상기 스마트 차단봉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마트 차단봉에 소정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및 상기 스마트 차단봉이 설치된 위치의 외부 환경이 소정 범위 이상 변경되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 이상에 이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경고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차단봉은,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단선에 사람 또는 사물이 침입한 경우, 상기 스마트 차단봉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마트 차단봉에 소정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및 상기 스마트 차단봉이 설치된 위치의 외부 환경이 소정 범위 이상 변경되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 이상에 이를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차단봉은,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 관리자 단말 및 중앙 서버 중 하나 이상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인증부, 체결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차단봉 주변의 CCTV에 영상 전송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차단봉은, 상기 인증부, 체결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차단봉 주변의 CCTV에 영상 전송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차단봉을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은,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인증부가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주변의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를 탐색하여 차단선 체결 요청 송신을 준비하는 단계,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인증부가 상기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송신한 차단선 체결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을 출력하여 연결함으로써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통신부가 중앙 서버 또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인증 수행 정보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과의 스마트 펜스 형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인증부가 상기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주변의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를 탐색하여 차단선 체결 요청 송신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송신한 차단선 체결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을 출력하여 연결함으로써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인증부가 상기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를 탐색하여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송신한 차단선 체결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을 출력하여 연결함으로써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 인증을 통해 소정 구획의 펜스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펜스 설치를 위한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증 받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의 침입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바, 화물의 도난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물이 보관되는 외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외부 환경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바, 보관되는 화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차단봉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차단봉의 외부 모습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차단봉의 외부 모습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인증부가 바디부의 측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부의 구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체결부가 바디부의 상단, 중단 및 하단에 하나씩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체결부 자체를 바디부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3개의 스마트 차단봉을 이용하여 삼각형 모양의 스마트 펜스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스마트 차단봉을 포함하는 스마트 펜스 설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어부를 포함한 스마트 차단봉의 모든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 에 도시된 단계에 포함되는 제2 스마트 차단봉과 제3 스마트 차단봉 사이에 스마트 펜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단계에 포함되는 제3 스마트 차단봉과 제1 스마트 차단봉 사이에 스마트 펜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차단봉(100)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마트 차단봉(100)은 바디부(10), 인증부(20) 및 체결부(30)를 포함하며, 경고등(40), 스피커(50), 통신부(60) 및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디부(10)는 스마트 차단봉(100)의 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바디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기둥, 직육면체 등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든 무방하다. 그러나 스마트 펜스 설치를 위해 스마트 차단봉(100)을 지면에 세워둬야 하기 때문에 바디부(10)의 저면은 평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바디부(10)의 저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바디부(10)의 저면에 결합되어 평평한 저면을 갖는 별도의 지지부(미도시)를 구비하면 문제없이 지면에 세워둘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스마트 차단봉(100)을 스마트 펜스 설치를 위해 특정 위치에 세워둔 경우, 바람이나 미세한 충격에 의해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아야 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디부(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중량을 갖는 스테인리스 소재나 강화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바디부(10)를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한다면 녹이 생기지 않고 스크래치에도 강할 뿐만 아니라, 일정 수준 이상의 중량을 갖기 때문에 바람이나 미세한 충격에 의해 그 위치가 변경되지도 않을 것이다.
이렇듯, 바디부(10)를 일정 수준 이상의 중량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마트 펜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스마트 차단봉(100)을 들고 다니면서 특정 위치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까지 고려하여 지나치게 무겁게 형성하는 것은 삼가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개별적인 스마트 차단봉(100)의 무게는 1kg 이상, 2kg 이하가 바람직하다.
인증부(20)는 상기 바디부(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인증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부(10)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 관리자에 의한 인증이 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 차단봉(100)의 높이 자체가 관리자의 팔 또는 어깨의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인증의 편의를 위해서 인증부(20)는 최대한 높은 곳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부(20)가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부(20)의 구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인증부(20)는 다양한 방식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바, 공인 인증서를 통한 인증, 지문을 통한 인증, 홍채를 통한 인증, 망막을 통한 인증, 음성을 통한 인증, 정맥을 통한 인증 및 얼굴인식을 통한 인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밖에 공지된 인증 방식 중 어떤 것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인증부(20)에는 상기 열거한 인증 방식을 인식할 수 있는 인증 인식부(21)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을 통한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인식부가 인증 인식부(21)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지문을 통한 인증을 제외한 나머지 인증 방식에 대한 인증 인식부(21)의 자세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인증부(20)는 디스플레이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디스플레이부(22)에는 인증을 위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인증 인식부(21)에 의해 인증을 수행하여 유효하게 완료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부(2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Welcome XXX(관리자의 이름)"와 같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Fail"과 같은 인증 실패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증부(20)의 디스플레이부(22)는 스마트 차단봉(100)의 디스플레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바, 상기 인증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2)에는 현재 온도, 습도, 날씨, 시간 등과 같은 정보들까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인증부(20)는 바디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착탈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인증부(20) 자체가 바디부(10), 더 나아가 스마트 차단봉(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어도 독자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스마트 차단봉(100)에 관한 것인바, 인증부(20)는 이와 관련된 인증을 수행하고 정보를 출력하지만, 스마트 차단봉(100)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스마트 네트(그물) 등과 같은 다른 스마트 기기에서 관련된 인증을 수행하고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인증부(20)는 스마트 차단봉(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어도 독자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독립된 구성인바, 인증부(20)가 스마트 차단봉(10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스마트 차단봉(100) 내부의 배터리(미도시)에 의한 인증부(20)의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인증부(20)의 디스플레이부(22)에는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가 더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인증부(20)는 스마트 차단봉(100)으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스마트 기기에서 관련된 인증을 수행하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바, 스마트 차단봉(100)으로부터의 분리 및 다른 스마트 기기와의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 수도 있으므로, 인증부(20)는 별도의 소형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소형의 수은 건전지나 리튬 건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부(20)는 저전력 운용이 가능한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인증부(20)는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바, 스마트 차단봉(100)으로부터의 분리 및 다른 스마트 기기와의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출력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인증부(20) 자체가 매우 소형화된 구성이기 때문에, 안테나를 주파수 대역에 맞춰 여러 개를 모두 포함시키는 경우 설치 공간상의 제약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안테나가 여러 주파수 대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듀얼(Dual) 밴드 안테나나 트리플(Triple) 밴드 안테나 등과 같은 멀티(Multi) 밴드 통합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인증부(20)는 GSM/WCDMA 및 GPS/GLONASS 통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통신망에 적용 가능한 공지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증부(20)가 스마트 차단봉(100)에 결합되는 경우 또는 다른 스마트 기기에 결합되는 경우 모두 실내가 아닌 실외에 설치될 수도 있으므로, 방수 및 방진 설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차단봉(100)이 창고건물 외부에서 보관하고 있는 화물에 대한 스마트 펜스를 설치하는데 이용되는 경우,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비 또는 눈이 오면 무방비 상태가 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방수 및 방진 설계는 필수이며, 예를 들어, 인증부(20)는 IP65를 따르는 방수 및 방진 설계를 할 수 있다.
체결부(30)는 바디부(10)의 일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인증부(20)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됨에 따라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여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한다. 여기서 차단선은 사람의 시각을 통해 식별 가능한 유색의 레이저 차단선 또는 사람의 시각을 통해 식별 불가능한 무색의 레이저 차단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차단선이 레이저 차단선인 경우 체결부(30)는 레이저 침임 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차단선에 사람 또는 사물이 접촉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30)는 스마트 펜스 내부에 보관하는 화물로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 하나의 체결부(30)만을 형성하는 경우 이를 회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30)는 바디부(10)의 일 측면에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으며, 최소한의 개수만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의 상단, 중단 및 하단에 하나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부(3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여 다른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존재하는 방향과 차단선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부(30) 자체를 착탈식으로 설계하여 필요에 따라 바디부(10)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차단선이 사람의 시각을 통해 식별 가능한 유색의 레이저라면 침입자가 차단선 자체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보관된 화물로의 침입을 위해 다른 방법을 강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0) 자체를 바디부(10) 내부에 형성하여 사람의 시각을 통해 식별 불가능한 무색의 레이저 차단선을 출력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경우 침입자는 체결부(30), 더 나아가 차단선의 존재 자체를 인식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보관된 화물로 특별한 주의 없이 다가갈 것인바, 침입자의 발각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차단선으로의 침입이 감지된 경우 체결부(30)는 인증부(20)의 디스플레이부(22)에 이를 시각적인 문구로 출력할 수 있으며, 후술할 경고등(40) 및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체결부(30)는 위치-충격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스마트 차단봉(100)의 이동 또는 스마트 차단봉(100)에 가해지는 소정의 충격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침입자가 스마트 펜스 내부에 보관된 화물로의 침입을 위해 스마트 차단봉(100)의 위치를 옮기고 그에 따라 소정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바, 위치-충격 센서(미도시)는 이러한 경우에 침입자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펜스를 다시 설치하기 위해 스마트 차단봉(100)을 이동시키거나 작업 중에 실수로 스마트 차단봉(100)을 건들여 소정 충격을 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 경우에는 관리자가 인증부(20)에 재인증을 수행하여 스마트 차단봉(100)을 이동시키거나 충격 감지를 무마시킬 수 있다.
스마트 차단봉(100)의 이동 또는 스마트 차단봉(100)에 가해지는 소정 충격이 감지된 경우 체결부(30)는 인증부(20)의 디스플레이부(22)에 이를 시각적인 문구로 출력할 수 있으며, 후술할 경고등(40) 및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체결부(30)는 온도-습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스마트 차단봉(100)이 설치된 위치의 외부 환경이 소정 범위 이상 변경되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스마트 차단봉(100)이 설치된 위치의 온도가 25℃, 습도가 50%이며, 소정 범위가 온도의 경우 ±5℃, 습도의 경우 ±5%의 범위, 소정 시간이 10분이라면, 범위 밖의 변경이 10분 동안 지속된다면 이를 감지하여 인증부(20)의 디스플레이부(22)에 이를 시각적인 문구로 출력할 수 있으며, 후술할 경고등(40) 및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소정 범위와 소정 시간의 경우 스마트 펜스 내부에 보관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바, 관리자는 이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하는 화물이 식자재인 경우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식자재가 쉽게 변질될 수 있으므로 소정 범위를 좁게, 소정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관하는 화물이 건축자재라면 변질의 우려가 적기 때문에 소정 범위를 넓게,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체결부(30)는 인증부(20)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됨에 따라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여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한다고 한바, 복수개의 스마트 차단봉(100)을 이용하여 차단선을 체결하는 경우 차단선 체결 요청의 송신 및 수신 순서가 문제될 수 있다. 즉, 어떤 체결부(30)는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어떤 체결부(30')는 체결 요청을 수신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도 8은 3개의 스마트 차단봉(100, 100', 100'')을 이용하여 삼각형 모양의 스마트 펜스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각각의 스마트 차단봉을 제1 스마트 차단봉(100), 제2 스마트 차단봉(100') 및 제3 스마트 차단봉(100'')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우선, 관리자는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인증부(20)에 인증을 수행하게 되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는 차단선 체결 요청 송신을 수행할 준비가 된다. 이후, 관리자는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인증부(20')에 인증을 수행하게 되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는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는 이를 수신하여 차단선이 연결된다.
한편, 관리자가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인증부(20')에 인증을 수행한바,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 역시 차단선 체결 요청 송신을 수행할 준비가 된다. 이후, 관리자는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인증부(20'')에 인증을 수행하게 되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경우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는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는 이를 수신하여 차단선이 연결된다.
상기 설명한 단계에 이르면, 제1 스마트 차단봉(100)에서 제2 스마트 차단봉(100')으로, 제2 스마트 차단봉(100')에서 제3 스마트 차단봉(100'')으로 2개의 차단선이 연결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제3 스마트 차단봉(100'')에서 제1 스마트 차단봉(100)으로 차단선이 연결되어야 삼각형 모양의 스마트 펜스가 설치된다.
한편, 관리자가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인증부(20'')에 인증을 수행한바,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 역시 차단선 체결 요청 송신을 수행할 준비가 된다. 이 경우,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은 관리자에 의한 인증이 이미 유효하게 종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추가 인증을 수행할 필요 없이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는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는 이를 수신하여 차단선이 연결된다.
정리하면, 체결부(30)는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100' 또는 100'') 으로부터 차단선 체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을 제외한 다른 스마트 차단봉에게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한다. 즉, 차단선 체결 요청의 송신과 수신이 같은 방향이 아니라는 것이다. 차단선 체결 요청의 송신과 수신이 같은 방향인 경우,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는 경우, 각 스마트 차단봉은 이를 수신하여 직선 형태의 차단선을 연결할 수는 있겠으나, 상기 실시 예와 같이 삼각형 모양의 스마트 펜스, 더 나아가 다각형 모양의 스마트 펜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스마트 차단봉이 필요한바, 차단선 연결을 위해서는 하나의 스마트 차단봉(100)에 복수 개의 체결부(30)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설치하고자 하는 스마트 펜스의 모양에 따라 하나의 스마트 차단봉(100)에 체결부(30)가 필수적으로 복수 개 필요한 경우가 존재하지만, 제조 비용 절감을 위해서 체결부(30)의 개수는 적을수록 좋기 때문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차단선 체결 요청의 송신과 수신이 같은 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관리자는 자신이 구획하고자 하는 스마트 펜스의 모양에 맞게 스마트 차단봉(100)을 순서대로 설치하여 인증을 수행해야 한다. 상기 삼각형 모양의 스마트 펜스의 실시 예에서 관리자는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설치 및 인증,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설치 및 인증,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설치 및 인증의 순서대로 진행한 것이 그것이다.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설치 및 인증 이후에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설치 및 인증이 수행되었으므로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와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차단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차단선 체결 요청의 송신과 수신은 같은 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이후에 설치된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마트 펜스를 설치한다면 다각형 모양의 스마트 펜스의 설치도 문제없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차단봉(100)은 인증부(20)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지 않은 경우, 차단선에 사람 또는 사물이 침입한 경우, 스마트 차단봉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스마트 차단봉에 소정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및 스마트 차단봉(100)이 설치된 위치의 외부 환경이 소정 범위 이상 변경되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 이상에 이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경고등(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고등(40)은 바디부(10)의 상면이나 측면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경고의 알림은 눈에 잘 보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경고등(40)은 상기 기재한 경우에 따라 독자적인 색상의 경고등(40)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20)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지 않은 경우 붉은 색상의 경고등(40)을 출력할 수 있으며, 스마트 차단봉(100)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파란 색상의 경고등(4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차단봉(100)은 인증부(20)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지 않은 경우, 차단선에 사람 또는 사물이 침입한 경우, 스마트 차단봉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스마트 차단봉에 소정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및 스마트 차단봉(100)이 설치된 위치의 외부 환경이 소정 범위 이상 변경되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 이상에 이를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피커(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50)는 바디부(10)의 상면이나 측면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는 잘 전파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스피커(50)는 상기 기재한 경우에 따라 독자적인 경고 문구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20)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지 않은 경우 "인증에 실패하였습니다"라는 경고 문구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스마트 차단봉(100)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인증 없는 이동이 감지되었습니다" 라는 경고 문구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경고등(40) 및 스피커(50) 모두가 경고등 또는 경고 문구를 출력하는 경우에 인증부(20)의 디스플레이부(22)에 동일한 문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20)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지 않은 경우 붉은 색상의 경고등(40)이 출력되고, "인증에 실패하였습니다"라는 경고 문구가 스피커(50)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되며, 디스플레이부(22)에 "인증에 실패하였습니다"라는 경고 문구를 시각적으로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스마트 차단봉(100)은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100'), 관리자 단말(200) 및 중앙 서버(300) 중 하나 이상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60)는 인증부(20)에 포함된 안테나와는 상이한 개념인바, 인증부(20)의 안테나는 인증부 자체의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며, 통신부(60)는 스마트 차단봉(100) 전체의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이용된다. 도 9는 스마트 차단봉(100)을 포함하는 스마트 펜스 설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인바, 통신부(60)를 통해 관리자 단말(200) 및 중앙 서버(300)와 통신이 가능하다.
관리자 단말(200)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스마트 펜스 운영에 대한 독자적인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스마트 차단봉(100)을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다. 또한 인증부(20)의 디스플레이부(22), 경고등(40) 및 스피커(50)가 출력하는 모든 정보를 통신부(60)의 송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중앙 서버(300)는 공지된 서버의 구성 또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 어떤 것이든 무방하며, 스마트 차단봉(100)을 이용한 스마트 펜스의 모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정보, 관리자 정보 등과 더불어 스마트 차단봉(100)이 취급하는 모든 정보를 통신부(60)의 송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렇듯, 스마트 차단봉(100), 관리자 단말(200) 및 중앙 서버(300)를 통해 웹 기반의 스마트 펜스 관리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200) 및 중앙 서버(300)의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바, 그 편의성은 증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차단봉(100)은 인증부(20), 체결부(30) 및 통신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말 그대로 인증부(20), 체결부(30) 및 통신부(60)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든 포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일종의 CPU와 같은 개념이다. 아울러, 제어부(70)는 상기 구성들뿐만 아니라, 경고등(40) 및 스피커(50)까지 제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모든 구성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통신부(60)를 통해 스마트 차단봉(100) 주변의 CCTV에 영상 전송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등(40) 및 스피커(50)가 구동하는 모든 경우, 구체적으로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단선에 사람 또는 사물이 침입한 경우, 상기 스마트 차단봉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마트 차단봉에 소정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및 상기 스마트 차단봉이 설치된 위치의 외부 환경이 소정 범위 이상 변경되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 이상에 CCTV에 영상 전송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60)가 CCTV로부터 영상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70)는 이를 인증부(20)의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통신부(60)를 통해 관리자 단말(200) 및 중앙 서버(300)에 수신한 영상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이렇게 스마트 차단봉(100)이 주변의 CCTV와 연계됨으로써 보다 안전한 스마트 펜스 운영이 가능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펜스 설치를 위한 스마트 차단봉(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스마트 차단봉(100)은 관리자 인증을 통해 소정 구획의 펜스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펜스 설치를 위한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증 받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의 침입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바, 화물의 도난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이 보관되는 외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외부 환경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바, 보관되는 화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차단봉(100)을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스마트 차단봉(100), 제2 스마트 차단봉(100') 및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을 이용하여 삼각형 모양의 스마트 펜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스마트 차단봉(100)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기술한 부분은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우선,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인증부(20)가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S210),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면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주변의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를 탐색하여 차단선 체결 요청 송신을 준비한다(S220). 여기서 주변의 스마트 차단봉은 제2 스마트 차단봉(100') 또는 제3 스마트 차단봉(100')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후,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인증부(30')가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230).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면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송신한 차단선 체결 요청을 승인한다(S240). 상기 S22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주변의 스마트 차단봉이 제2 스마트 차단봉(100') 또는 제3 스마트 차단봉(100'')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고 했던바, 관리자가 제2 스마트 차단봉(100')에 대한 인증을 먼저 수행했기 때문에 차단선 체결 요청은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로 송신된다.
차단선 체결 요청이 승인되었기 때문에 이후,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을 출력하여 연결함으로써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가 형성된다(S250). 즉, S250 단계까지 따르면 제1 스마트 차단봉(100)과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을 연결하는 직선 형태의 스마트 펜스가 형성된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S230 단계에서 제2 스마트 차단봉(100')에 대한 관리자 인증이 수행되었기 때문에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주변의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를 탐색하여 차단선 체결 요청 송신을 준비할 수 있다(S231). 여기서 주변의 스마트 차단봉은 제1 스마트 차단봉(100) 또는 제3 스마트 차단봉(100')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후,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232).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면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송신한 차단선 체결 요청을 승인한다(S233). 상기 S231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주변의 스마트 차단봉이 제1 스마트 차단봉(100) 또는 제3 스마트 차단봉(100'')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고 했던바, 관리자가 제1 스마트 차단봉(100)에 대한 인증을 먼저 수행하였지만, 차단선 체결 요청의 송신과 수신이 같은 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뒤에 인증이 수행된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로 송신된다.
차단선 체결 요청이 승인되었기 때문에 이후, 제2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을 출력하여 연결함으로써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가 형성된다(S234). 즉, S234 단계까지 따르면 제2 스마트 차단봉(100')과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을 연결하는 직선 형태의 스마트 펜스가 형성된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S232 단계에서 제3 스마트 차단봉(100'')에 대한 관리자 인증이 수행되었기 때문에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를 탐색하여 차단선 체결 요청 송신하고,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이를 승인한다(S235). 이후,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가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의 체결부(30)에 차단선을 출력하여 연결함으로써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가 형성된다(S236). 즉, S236 단계까지 따르면 제3 스마트 차단봉(100'')과 제1 스마트 차단봉(100)을 연결하는 직선 형태의 스마트 펜스가 형성된다.
상기 설명한 단계를 통해 제1 스마트 차단봉(100), 제2 스마트 차단봉(100') 및 제3 스마트 차단봉(100'')을 이용한 삼각형 모양의 스마트 펜스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삼각형 모양이 아닌 다각형 모양의 스마트 펜스라 하여도 상기 설명한 단계를 동일하게 수행해 나간다면 관리자가 원하는 스마트 펜스의 설치가 손쉽게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한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하는 단계(S250, S234, S236) 이후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한 스마트 차단봉의 통신부는 중앙 서버(300) 또는 관리자의 단말(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인증 수행 정보 또는 다른 스마트 차단봉과의 스마트 펜스 형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할 수 있다(S260). 그에 따라 웹 기반의 스마트 펜스 관리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중복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차단봉(100)의 기술적 특징은 스마트 차단봉(100)을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스마트 차단봉
10: 바디부
20: 인증부 22: 디스플레이부
30: 체결부
40: 경고등
50: 스피커
60: 통신부
70: 제어부
100': 제2 스마트 차단봉
100'': 제3 스마트 차단봉
200: 관리자 단말
300: 중앙 서버

Claims (13)

  1. 스마트 펜스(Fence) 설치를 위한 스마트 차단봉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차단봉은,
    소정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됨에 따라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여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차단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사람의 시각을 통해 식별 가능한 유색의 레이저 차단선 또는 사람의 시각을 통해 식별 불가능한 무색의 레이저 차단선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며,
    레이저 침입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차단선에 사람 또는 사물이 접촉한 경우 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단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위치-충격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차단봉의 이동 또는 상기 스마트 차단봉에 가해지는 소정의 충격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단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온도-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차단봉이 설치된 위치의 외부 환경이 소정 범위 이상 변경되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단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으로부터 차단선 체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을 제외한 다른 스마트 차단봉에게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단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공인 인증서를 통한 인증, 지문을 통한 인증, 홍채를 통한 인증, 망막을 통한 인증, 음성을 통한 인증, 정맥을 통한 인증 및 얼굴인식을 통한 인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단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차단봉은,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단선에 사람 또는 사물이 침입한 경우, 상기 스마트 차단봉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마트 차단봉에 소정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및 상기 스마트 차단봉이 설치된 위치의 외부 환경이 소정 범위 이상 변경되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 이상에 이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경고등;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단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차단봉은,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단선에 사람 또는 사물이 침입한 경우, 상기 스마트 차단봉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스마트 차단봉에 소정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및 상기 스마트 차단봉이 설치된 위치의 외부 환경이 소정 범위 이상 변경되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 이상에 이를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단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차단봉은,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인증이 유효하게 완료된 다른 스마트 차단봉, 관리자 단말 및 중앙 서버 중 하나 이상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인증부, 체결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차단봉 주변의 CCTV에 영상 전송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단봉.
  10. 스마트 차단봉을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에 있어서,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인증부가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주변의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를 탐색하여 차단선 체결 요청 송신을 준비하는 단계;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인증부가 상기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송신한 차단선 체결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을 출력하여 연결함으로써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통신부가 중앙 서버 또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인증 수행 정보 또는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과의 스마트 펜스 형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인증부가 상기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주변의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를 탐색하여 차단선 체결 요청 송신을 준비하는 단계;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송신한 차단선 체결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을 출력하여 연결함으로써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인증부가 상기 관리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를 탐색하여 차단선 체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송신한 차단선 체결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가 상기 제1 스마트 차단봉의 체결부에 차단선을 출력하여 연결함으로써 소정 구획의 스마트 펜스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
KR1020170016937A 2017-02-07 2017-02-07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935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37A KR101935575B1 (ko) 2017-02-07 2017-02-07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37A KR101935575B1 (ko) 2017-02-07 2017-02-07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567A KR20180091567A (ko) 2018-08-16
KR101935575B1 true KR101935575B1 (ko) 2019-01-04

Family

ID=6344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937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5575B1 (ko) 2017-02-07 2017-02-07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5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610A1 (ko) * 2019-07-29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벨트 타입 차단봉 및 벨트 타입 차단봉의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제어 시스템
US11403940B2 (en) 2020-01-07 2022-08-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stalling a structure using moveable objects
US11748781B1 (en) 2022-05-23 2023-09-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s, systems, and vehicles for route modification and displaying cont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112B1 (ko) * 2021-08-11 2023-11-15 최종운 스마트 펜스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문화재 안전관리시스템
KR102608704B1 (ko) * 2021-11-08 2023-11-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현장의 위험반경 알림장치
KR102711463B1 (ko) * 2022-03-04 2024-09-30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방역로봇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5383A (ja) 2010-11-24 2014-02-27 クランボ エスエー 仮想空間の生成を含む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017B1 (ko) 2015-05-15 2017-02-17 이명식 스마트 침입인식 및 대응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5383A (ja) 2010-11-24 2014-02-27 クランボ エスエー 仮想空間の生成を含む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610A1 (ko) * 2019-07-29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벨트 타입 차단봉 및 벨트 타입 차단봉의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제어 시스템
US11182996B2 (en) 2019-07-29 2021-11-23 Lg Electronics Inc. Belt type barricade and automatic control system capable of improving operation efficiency of belt type barricade
US11403940B2 (en) 2020-01-07 2022-08-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stalling a structure using moveable objects
US11748781B1 (en) 2022-05-23 2023-09-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s, systems, and vehicles for route modification and displaying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567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575B1 (ko) 스마트 차단봉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펜스 설치 방법
US10163319B2 (en) Security system tracking of remote items using reduced power
KR102768963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5424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node authentication
CN104732635A (zh) 一种锁具系统
CN102916465B (zh) 嵌入式彩信实时监控多功能充电装置
CN104732634A (zh) 一种锁具的显示方法
US1124396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rrelate mobile device wireless activity and security data
EP39891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rming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KR10136875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항만 및 선박용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4254A (ko)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 장치의 도난 추적 시스템 및 도난 추적 방법
KR101714006B1 (ko) 도난 방지 장치 및 이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581129A (zh) 车辆防盗方法、系统、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60066923A (ko) Rfid 기반의 출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Sreeram et al. Development of Industrial Intrusion Detection and Monitoring Using Internet of Things
KR20180060924A (ko) 자전거용 스마트 디지털 자물쇠
WO2017132401A1 (en) Security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4808506A (zh) 一种智能家居数据服务器
CN204066281U (zh) 便携式防盗装置及相关的防盗系统
CN204650627U (zh) 一种路由锁具
JP7307884B2 (ja) 多機能型仮設柱及び現場管理システム
CN104790733A (zh) 一种智能控制锁具
JP2018145739A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100820112B1 (ko) 차량용 단말기가 구비된 차량간 데이터 전송장치 및 그방법
CN204552302U (zh) 一种智能控制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