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458B1 - 약장 조립체 - Google Patents

약장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458B1
KR101935458B1 KR1020120054134A KR20120054134A KR101935458B1 KR 101935458 B1 KR101935458 B1 KR 101935458B1 KR 1020120054134 A KR1020120054134 A KR 1020120054134A KR 20120054134 A KR20120054134 A KR 20120054134A KR 101935458 B1 KR101935458 B1 KR 101935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medicine
button
flow prevent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371A (ko
Inventor
신지윤
Original Assignee
신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윤 filed Critical 신지윤
Priority to KR102012005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45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1Badges
    • A44C3/002Honorific badges, e.g. ribbon holders for dec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장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20)에 별개로 만들어진 다수개의 약장(40)이 장착된다. 상기 지지판(20)에는 각각 제1버튼(24)이 구비되고, 상기 약장(40)의 배면에는 상기 제1버튼(24)에 결합되는 제2버튼(46)이 구비된다. 상기 제1버튼(24)과 제2버튼(46)은 스냅 파스너를 구성하는 것으로 서로 결합되어 약장(40)이 지지판(20)에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판(120)과 약장(140)의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125,146)이 위치되어 약장조립체가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약장(140)과 지지판(12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유동방지공(126)과 유동방지핀(148)이 구비되어 약장(140)이 지지판(120)에 대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 별개로 만들어진 약장(40)을 지지판(20)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약장(40)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약장(40)의 낭비가 없어지고 다수개의 약장(40)을 일정하고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약장 조립체{A miniature decoration assembly}
본 발명은 약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별개로 만들어진 약장을 지지판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약장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약장(略章)이라 함은 군이나 경찰에서 복무중 공로로 받은 각종 훈장, 취장, 문장, 포장, 기장(기념장) 등을 대신하여 정복 착용시에 부착하는 것으로, 원래의 훈장, 취장, 문장, 포장을 대신하도록 소형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약장을 지지판에 다수개 장착한 것을 약장 조립체라 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약장 조립체에서는 한 줄에 3개의 약장이 위치되게 하고, 4개의 약장이 있게 되면, 3개로 된 줄의 중앙에 대응되는 상단에 약장을 위치시켰다. 그리고 5개의 약장이 있게 되면, 위의 4개의 약장에서 상단 중앙에 있는 것의 오른쪽에 위치시키고, 6개의 약장이 있게 되면 왼쪽에 위치시켰다. 그리고, 7개 이상에서는 위의 설명과 같은 방식으로 계속해서 부착해 나갔다.
종래에는 상기 약장 조립체에 부착되는 약장을 한 줄에 구비되는 3개를 일체로 만들거나, 여러 줄에 구비되는 것을 모두 일체로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이렇게 하는 경우, 약장이 추가되면 기존의 것은 폐기하고 전체를 새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2796(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제시되었다. 도 1에 그 요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삽지편(9,9')을 구비하는 지지대(8)의 배면에 핀(10)이 있고, 이 핀(10)에 체결구(11)가 체결되어 정복에 약장 조립체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약장(1)은 철심편(5)의 둘러싸서 약장커버지(4)가 구비되고, 상기 철심편(5)의 상단과 하단에는 절곡편(6,6')이 형성되어 상기 삽지편(9,9')에 걸어진다. 도면부호 7은 약장커버지(4)를 고정하여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판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지지대(8)의 일단부에서 별개로 만들어진 3개의 약장(1)을 한 줄로 차례로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순서가 잘못된 경우에는 최소한 지지대(8)의 단부에 있는 약장(1)을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약장 조립체에서는 하나의 지지대(8)에 3개의 약장(1)이 장착되므로 3개 이상의 약장(1)이 있게 되면, 별도로 만들어진 지지대(8)를 구해서 약장(1)을 장착해야 한다. 따라서, 서로 줄이 다른 약장(1)은 서로 결합되지 못하고 분리되어 위치될 수 밖에 없다. 즉, 많은 수의 지지대(8)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약장(1)의 절곡편(6,6')이 지지대(8)의 삽지편(9,9')에 대해 스토핑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사용중에 약장(1)이 지지대(8)에서 분리되어 빠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23279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약장조립체에서 지지대에 각각의 약장을 별개로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지지판 상에 다수개의 약장을 각각 정해진 위치에 바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냅 파스너를 구성하는 제1버튼이 구비되는 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제1버튼과 결합되어 상기 스냅 파스너를 구성하는 제2버튼이 약장몸체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약장몸체의 전면에는 커버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약장과,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옷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와 체결되는 장착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약장과 지지판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횡단면이 원형인 유동방지핀과 횡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유동방지핀이 끼워지는 유동방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핀과 유동방지공의 쌍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2쌍인 경우에는 상기 제1버튼으로부터의 거리가 달리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약장의 갯수에 따라 형상이 달라지며,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된 장식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버튼은 철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버튼은 요면을 구비하여 서로 결합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는 것으로 약장몸체의 전면에는 커버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약장과,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옷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와 체결되는 장착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약장과 지지판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일측에 자석이 구비되고 반대쪽에 자석이나 금속체가 설치되며, 상기 약장에 설치된 자석이나 금속체는 상기 약장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약장몸체의 자석이나 금속체가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의 내부에 자석이나 금속체가 설치되며, 상기 약장과 지지판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횡단면이 원형인 유동방지핀과 횡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유동방지핀이 끼워지는 유동방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핀과 유동방지공의 쌍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2쌍인 경우에는 상기 장착공으로부터의 거리가 달리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약장의 갯수에 따라 형상이 달라지며,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된 장식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는 것으로 약장몸체의 전면에는 커버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약장과,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옷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와 체결되는 장착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약장과 지지판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일측에 자석이 구비되고 반대쪽에 자석이나 금속체가 설치되며, 상기 약장이나 지지판에 있는 자석이나 금속체는 상기 약장몸체나 지지판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약장과 지지판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횡단면이 원형인 유동방지핀과 횡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유동방지핀이 끼워지는 유동방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핀과 유동방지공의 쌍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2쌍인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에서 하나의 약장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달리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약장의 갯수에 따라 형상이 달라지며,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된 장식부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착공이 형성된 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는 것으로 약장몸체의 전면에는 커버지가 구비되고 상기 약장몸체의 배면에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는 탄성장착봉이 형성되는 약장과,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옷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와 체결되는 장착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횡단면이 원형인 유동방지핀이 형성되고 상기 약장몸체에는 횡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유동방지핀이 끼워지는 유동방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핀과 유동방지공의 쌍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2쌍인 경우에는 상기 장착공으로부터의 거리가 달리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약장의 갯수에 따라 형상이 달라지며,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된 장식부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약장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약장 조립체의 지지판에 각각 별개로 만들어진 약장이 직접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약장이 생기더라도 기존의 약장을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에 약장을 고정하기 위해서 스냅파스너, 자석 또는 탄성고정봉 등을 사용함과 동시에 유동방지핀을 사용하므로 지지판에 대해 약장이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시에 약장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되어 약장 조립체 사용자의 품질만족도가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약장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약장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판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판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판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약장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약장 조립체는 지지판(20)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판(20)은 판형상으로 된 것으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물론, 장착되는 약장(40)의 개수에 따라, 그 형상은 약간 다르게 된다. 이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에는 총 10개의 약장(40)이 장착되는 지지판(20)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만약에 3개의 약장(40)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도 4에서 원으로 둘러쳐진 숫자 ①, ②, ③에 해당되는 점선 영역이 지지판(20)의 형상이다. 참고로, 점선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한 것으로 실제로는 표시되지 않는다. 4개의 약장(40)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④에 해당되는 점선영역이 추가된 형상으로 지지판(20)이 만들어지고, 5개의 약장(40)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④의 우측에 해당되는 영역인 ⑤에 해당되는 영역이 추가된 지지판(20)이 사용된다. 또한, 6개의 약장(40)이 장착되는 경우는 ④의 좌측에 해당되는 ⑥에 해당되는 영역이 추가된 지지판(20)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판(20)의 형상은 ⑩으로 표시된 영역까지가 있다.
상기 지지판(2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된 장식부(22)가 구비된다. 상기 장식부(22)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는데, 지지판(20)의 형상이 어떠하든지 간에, 지지판(20)의 전체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20)에서는 점선으로 구획된 영역(하나의 약장(40)이 장착되는 영역)마다 하나씩 제1버튼(24)이 구비된다. 상기 제1버튼(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약장(40)에 있는 제2버튼(46)과 함께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일명 똑딱이 단추)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버튼(24)은 일부가 돌출된 철(凸)면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버튼(46)은 일부가 함몰되어 제1버튼(24)의 돌출부분이 압입되는 요(凹)면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판(20)에서 하나의 약장(40)이 장착되는 영역에는 상기 제1버튼(24)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유동방지공(26)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공(26)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약장(40)에 대해 유동방지공(26)이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동방지공(26)은 상기 제1버튼(24)에서 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횡단면이 원형이다. 상기 유동방지공(26)은 상기 지지판(20)을 관통하지 않고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유동방지공(26)이 상기 지지판(20)을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0)에는 장착나사(30)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나사(30)는 상기 지지판(20)의 사출성형시에 그 금형 내부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장착나사(30)는 나사머리(32)와 나사몸체(34)로 구성되는데,상기 나사머리(32)는 상기 나사몸체(34)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크다. 상기 나사머리(32)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판(20)의 전면에 일면이 노출되게 설치된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지지판(20)의 내부에 나사머리(32)가 묻혀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나사머리(32)의 형상은 적어도 일측에 평면구간이 있는 원판형상이나 다각형 판상으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6각형판상이다. 이와 같이 나사머리(32)가 구성되는 것은 상기 장착나사(30)가 상기 지지판(20)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나사머리(32)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된 나사몸체(34)의 외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에는 고정너트(36)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너트(36)는 상기 나사몸체(34)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너트(36)와 지지판(20)의 사이에 군복이나 경찰복을 구성하는 일부가 위치하도록 한다.
약장(40)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인 약장몸체(42)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약장몸체(42)의 전면에는 커버지(44)가 부착된다. 상기 커버지(44)는 약장몸체(42)의 전면 전체와 배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약장몸체(42)의 배면에는 제2버튼(4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버튼(46)은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제1버튼(24)과 함께 스냅 파스너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버튼(46)은 상기 제1버튼(24)과 결합되어 약장(40)이 지지판(2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2버튼(46)은 본 실시예에서는 요면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버튼(46)은 상기 약장몸체(42)의 제작시에 금형 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된다.
상기 약장몸체(42)의 배면에는 상기 제2버튼(46)을 중심으로 양측에 유동방지핀(4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핀(48)은 상기 유동방지공(26)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유동방지핀(48)은 그 형상이 상기 유동방지공(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동방지공(26)의 형상과 대응되는 것으로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봉형상이다. 상기 유동방지핀(48)은 각각의 약장몸체(42)에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유동방지공(26)의 개수와 대응되어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서로 대응되는 구성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판(120)에서 하나의 약장(140)이 장착되는 영역에 각각 장착공(124)이 형성되고, 그 장착공(124) 내에 자석(125) 또는 금속이 위치된다. 상기 장착공(124)은 본 실시예에서는 그 입구가 직사각형으로 된다. 상기 장착공(124)의 내부공간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장착공(124)의 양단에는 유동방지공(126)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공(1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약장(140)의 유동방지핀(148)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지지판(120)에 장착공(124)이 형성되어 있어 약장(140)에 돌출되어 있는 자석(146)이 장착공(124)에 삽입되면 약장(140)이 지지판(120)에 대해 유동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 유동방지공(126)에 유동방지핀(148)이 삽입되는 구조가 없으면 약장(140)에 가해지는 힘이 모두 자석(146)에 가해지면서 자석(146)이 약장(140)에서 분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자석(146)이 약장(140)에서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120)에는 유동방지공(126)을 하나의 약장(140)에 대해 하나 이상 형성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상기 지지판(120)과 상기 약장(140)에서 자석(125,146)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약장(140)과 지지판(12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유동방지공(126)과 유동방지핀(148)을 형성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판(120)에 유동방지공(126)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핀(148)이 약장(140)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나사(130)와 관련된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약장(14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약장몸체(142)의 전면과 필요한 경우에는 배면 가장자리까지 커버지(144)가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약장(140)의 배면에 유동방지핀(148)이 두 개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관련해서, 상기 약장(140)을 지지판(120)에 부착하기 위한 자석(125,146)들의 구성은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즉, 2개의 자석(125,146)을 사용하는 대신에 한쪽에는 자석을 두고 다른 쪽에는 금속을 둘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지판(120)에는 그 내부 전체에 걸쳐 금속판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게 되면 지지판(120)을 금속판이 보강하게 되어 지지판(12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약장(14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별개의 금속조각을 둘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20)의 내부 전체에 걸쳐 자석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판형상으로 된 자석(125)을 지지판(120)의 내부에 인서트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석(125)이 지지판(120)의 내부에 완전히 들어가도록 되거나 일측 표면이 지지판(120)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약장(140)에는 자석(146)이 있거나 금속이 구비되어 있으면 된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125,146)과 관련된 구성이 다음과 같이 되는 것이다. 즉, 지지판(120)과 약장(140)중 적어도 일측에 자석을 설치하고 반대쪽에는 자석이나 금속을 두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이나 금속은 지지판(120)과 약장(140)의 표면으로 드러나도록 지지판(120)과 약장(140)의 내부에 두도록 하고, 약장(140)이 지지판(120)에 대해 유동되는 것은 유동방지핀(148)과 유동방지공(126)을 적어도 하나 이상 두어 해결한다.
다음으로, 도 8 이하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들에 대해서는 2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판(220)은 판형상으로 된 것으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물론, 장착되는 약장(240)의 개수에 따라, 그 형상은 약간 다르게 된다. 이는 위에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지지판(22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레이스형태의 장식부(222)가 구비된다. 상기 장식부(222)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는데, 지지판(220)의 전체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220)에서는 점선으로 구획된 영역(하나의 약장(240)이 장착되는 영역)마다 하나씩 장착공(224)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공(224)은 상기 지지판(22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지지판(220)을 관통하지 않고 홈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공(224)중 상기 지지판(220)의 배면에 인접한 위치에는 걸이단(2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단(226)은 상기 장착공(224)의 내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장착공(224)의 내면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2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220)의 전면에는 각각의 약장(240)에 장착되는 영역마다 하나의 유동방지핀(228)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유동방지핀(2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약장(240)의 유동방지공(248)에 삽입되어 지지판(220)에 대해 약장(24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동방지핀(2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약장(240)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공(248)이 상기 지지판(2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동방지핀(228)은 봉형상으로 된다.
상기 지지판(220)에는 장착나사(230)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나사(230)는 상기 지지판(220)의 사출성형시에 그 금형 내부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장착나사(230)는 나사머리(232)와 나사몸체(234)로 구성되는데,상기 나사머리(232)는 상기 나사몸체(234)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크다. 상기 나사머리(232)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판(220)의 전면에 일면이 노출되게 설치된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지지판(220)의 내부에 나사머리(232)가 묻혀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나사머리(232)의 형상은 적어도 일측에 평면구간이 있는 원판형상이나 다각형 판상으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6각형판상이다. 이와 같이 나사머리(232)가 구성되는 것은 상기 장착나사(230)가 상기 지지판(220)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나사머리(232)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된 나사몸체(234)의 외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에는 고정너트(236)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너트(236)는 상기 나사몸체(234)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너트(236)와 지지판(220)의 사이에 군복이나 경찰복을 구성하는 일부가 위치하도록 한다.
약장(240)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인 약장몸체(242)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약장몸체(242)의 전면에는 커버지(244)가 부착된다. 상기 커버지(244)는 약장몸체(242)의 전면 전체와 배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약장몸체(242)의 배면에는 탄성장착봉(246)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장착봉(246)은 상기 지지판(220)의 장착공(224)에 삽입되어 걸이단(226)에 걸어진다. 상기 탄성장착봉(246)은 봉형상으로 만들어지고, 그 길이방향으로 변형공간(246')이 형성되어 2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2부분으로 나누어진 탄성장착봉(246)의 선단 양측에는 각각 걸이턱(247)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양측의 걸이턱(247)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걸이턱(247)은 상기 장착공(224)의 걸이단(226)에 걸어진다.
상기 약장몸체(242)의 배면에는 상기 유동방지핀(228)이 삽입되는 유동방지공(2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방지공(248)은 상기 탄성장착봉(246)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공(248)과 유동방지핀(228)은 각각 하나씩이 하나의 약장(24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하나의 약장(240)에 대해 각각 2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약장 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약장 조립체에서 총 10개의 약장(40)이 지지판(20)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도 설명되었듯이, 약장(40)의 갯수에 따라 지지판(20)의 모양이 달라지게 되는데, 예를 들면 9개의 약장(40)이 있다가 하나가 더 생기면 도시된 실시예의 지지판(20)을 사용하게 된다. 물론, 이 전의 지지판(20)은 상기 ⑩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이 없는 것이다.
즉, 이 전의 지지판(20)은 사용하지 못하나 약장(40)들은 모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전의 지지판(20)에서 각각의 약장(40)들을 분리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판(20)에 각각의 약장(40)들을 부착하는 것이다.
상기 약장(40)을 상기 지지판(20)에 부착할 때는 각각의 약장(40) 배면에 있는 제2버튼(46)과 상기 지지판(20)에 있는 제1버튼(24)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면 된다. 즉, 스냅 파스너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약장(40)을 각각 지지판(20)에 부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약장(40)이 상기 지지판(2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동방지공(26)에 상기 유동방지핀(48)이 삽입되어 상기 약장(40)이 상기 지지판(20)에 대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약장(40)은 상기 스냅 파스너의 결합에 의해서만도 유동되지 않도록 될 수 있으나, 상기 유동방지핀(48)이 유동방지공(26)에 삽입됨에 의해 보다 정확한 위치에 유동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약장(40)을 지지판(20)의 각각의 영역에 다 장착하면 도 2의 상태가 된다. 모든 약장(40)을 지지판(20)에 장착한 후에는 옷에 약장 조립체를 부착한다.
옷에 약장 조립체를 부착하는 것은 상기 장착나사(30)의 나사몸체(34)가 옷을 관통하도록 하고 옷을 사이에 두고 고정너트(36)가 상기 나사몸체(34)에 체결되면 된다. 상기 고정너트(36)를 상기 나사몸체(34)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장착나사(30)에는 상기 지지판(20)에 대해서 회전하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 장착나사(3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장착나사(30)는 지지판(20)에 대해 회전하려한다. 하지만, 상기 장착나사(30)의 나사머리(32)에는 적어도 일측에 직선구간이 있어 지지판(20)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장착나사(30)의 나사몸체(34)에 상기 고정너트(36)를 다 채우게 되면 약장 조립체는 옷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착나사(30)는 본 실시예에서 2개가 구비되나, 상기 지지판(20)의 크기에 따라 그 갯수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자석(125,146)을 사용하여 약장(140)을 지지판(120)에 부착한다. 이때, 상기 유동방지핀(148)이 유동방지공(126)에 들어가서 약장(14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자석(125,146)은 약장(140)이 지지판(120)에 부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유동방지핀(148)과 유동방지공(126)은 약장(14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자석(146)이 돌출되고, 상기 자석(125)이 장착공(124) 내에 있는 경우에는 자석(146)이 장착공(124)내로 들어가 있어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자석(125,146)을 사용하므로 장착하고 분리할 때, 그리 큰 힘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약장(140)을 지지판(120)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자석(125,146)이 지지판(120)과 약장(140)의 내부에 매립된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마지막으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약장(240)을 지지판(22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장착봉(246)이 상기 지지판(220)의 장착공(224) 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장착봉(246)의 걸이턱(247) 선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장착공(224)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어 상기 탄성장착봉(246)의 변형공간(246')이 좁아진 상태로 장착공(224)을 지나간다. 그리고, 상기 걸이턱(247)이 상기 걸이단(226)에 안착되어 걸어지면서 상기 변형공간(246')이 원래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방지핀(228)이 상기 약장(240)의 유동방지공(248)에 삽입되어 약장(240)이 지지판(220)에 대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동방지핀(228)과 유동방지공(248)이 하나의 약장(240)에 대해 하나씩만 있게 되면 약장(240)이 장착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즉, 약장(240)이 장착되는 방향까지 안내할 수 있게 되어 한 번에 정확하게 약장(240)을 지지판(220)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유동방지핀(228)과 유동방지공(248)이 장착공(224)과 탄성장착봉(246)을 중심으로 양측에 있는 경우에는 탄성장착봉(246)이나 장착공(224)까지의 거리를 달리 하면 약장(240)의 장착방향이 잘못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20: 지지판 22: 장식부
24: 제1버튼 26: 유동방지공
30: 장착나사 32: 나사머리
34: 나사몸체 36: 고정너트
40: 약장 42: 약장몸체
44: 커버지 46: 제2버튼
120: 지지판 122: 장식부
124: 장착공 125: 자석
126: 유동방지공 130: 장착나사
132: 나사머리 134: 나사몸체
136: 고정너트 140: 약장
142: 약장몸체 144: 커버지
146: 자석 148: 유동방지핀
220: 지지판 222: 장식부
224: 장착공 226: 걸이단
228: 유동방지핀 230: 장착나사
232: 나사머리 234: 나사몸체
236: 고정너트 240: 약장
242: 약장몸체 244: 커버지
246: 탄성장착봉 246': 변형공간
247: 걸이턱 248: 유동방지공

Claims (10)

  1. 스냅 파스너를 구성하는 제1버튼이 구비되는 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제1버튼과 결합되어 상기 스냅 파스너를 구성하는 제2버튼이 약장몸체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약장몸체의 전면에는 커버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약장과,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옷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와 체결되는 장착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약장과 지지판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횡단면이 원형인 유동방지핀과 횡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유동방지핀이 끼워지는 유동방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핀과 유동방지공의 쌍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2쌍인 경우에는 상기 제1버튼으로부터의 거리가 달리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약장의 갯수에 따라 형상이 달라지며,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된 장식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버튼은 철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버튼은 요면을 구비하여 서로 결합되는 약장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는 것으로 약장몸체의 전면에는 커버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약장과,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옷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와 체결되는 장착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약장과 지지판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일측에 자석이 구비되고 반대쪽에 자석이나 금속체가 설치되며,
    상기 약장에 설치된 자석이나 금속체는 상기 약장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약장몸체의 자석이나 금속체가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의 내부에 자석이나 금속체가 설치되며,
    상기 약장과 지지판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횡단면이 원형인 유동방지핀과 횡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유동방지핀이 끼워지는 유동방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핀과 유동방지공의 쌍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2쌍인 경우에는 상기 장착공으로부터의 거리가 달리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약장의 갯수에 따라 형상이 달라지며,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된 장식부가 형성되는 약장조립체.
  7. 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는 것으로 약장몸체의 전면에는 커버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약장과,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옷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와 체결되는 장착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약장과 지지판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일측에 자석이 구비되고 반대쪽에 자석이나 금속체가 설치되며,
    상기 약장이나 지지판에 있는 자석이나 금속체는 상기 약장몸체나 지지판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약장과 지지판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횡단면이 원형인 유동방지핀과 횡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유동방지핀이 끼워지는 유동방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핀과 유동방지공의 쌍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2쌍인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에서 하나의 약장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달리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약장의 갯수에 따라 형상이 달라지며,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된 장식부가 형성되는 약장조립체.
  8. 장착공이 형성된 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는 것으로 약장몸체의 전면에는 커버지가 구비되고 상기 약장몸체의 배면에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는 탄성장착봉이 형성되는 약장과,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옷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와 체결되는 장착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횡단면이 원형인 유동방지핀이 형성되고 상기 약장몸체에는 횡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유동방지핀이 끼워지는 유동방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핀과 유동방지공의 쌍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2쌍인 경우에는 상기 장착공으로부터의 거리가 달리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약장의 갯수에 따라 형상이 달라지며,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된 장식부가 형성되는 약장조립체.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54134A 2012-05-22 2012-05-22 약장 조립체 KR101935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134A KR101935458B1 (ko) 2012-05-22 2012-05-22 약장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134A KR101935458B1 (ko) 2012-05-22 2012-05-22 약장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371A KR20130130371A (ko) 2013-12-02
KR101935458B1 true KR101935458B1 (ko) 2019-01-04

Family

ID=4998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134A KR101935458B1 (ko) 2012-05-22 2012-05-22 약장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489B1 (ko) 2017-05-22 2019-08-20 신지윤 약장 자동 조회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7326A (ja) * 2003-05-15 2004-12-02 Ru Van:Kk 脱着式飾り具
KR200454317Y1 (ko) * 2011-02-23 2011-06-28 신경임 약장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6614B1 (en) * 2004-04-30 2006-08-29 Williams Daniel T Military ribbon assembly
KR100976260B1 (ko) * 2010-04-21 2010-08-18 명유선 도자기 장신구의 장착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7326A (ja) * 2003-05-15 2004-12-02 Ru Van:Kk 脱着式飾り具
KR200454317Y1 (ko) * 2011-02-23 2011-06-28 신경임 약장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371A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3973A1 (en) Rotatable holder
US7850023B2 (en) Modular device for displaying and merchandising retail articles
KR101935458B1 (ko) 약장 조립체
US20140117179A1 (en) Signage devices
JP2012061110A (ja) パーツ供給品
KR101867245B1 (ko) 가격태그용 홀더
US8776414B2 (en) Media display assembly and merchandising system associated therewith
KR200454317Y1 (ko) 약장 조립체
JP5953052B2 (ja) 物品陳列什器およびフェンス部材
JPH11171287A (ja) 大型基板用カセット
JP5972725B2 (ja) 商品陳列棚の表示装置
KR20100099825A (ko) 실험 용기용 받침대
CN213524697U (zh) 一种展示鞋墙
CN220263518U (zh) 一种可拆卸式清洗托盘
ES2687607T3 (es) Montura para un elemento de visualización
ES2316242B1 (es) Dispensador de botellas.
KR20090087389A (ko) 쇼케이스용 선반
JP7251877B2 (ja) 保持具、保持具の製造方法。
CN209858593U (zh) 反应杯、反应盘组件及仪器
JP3135800U (ja) 棚板のプライス表示装置
US20210190623A1 (en) Display structure of pressure gauge of air compressor
JP2022168428A (ja) 陳列具
JP3131564U (ja) ボトルホルダー
JP6669454B2 (ja) 商品情報表示補助具
JP4316037B2 (ja) 展示用商品見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