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824B1 - 농약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농약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824B1
KR101934824B1 KR1020170080048A KR20170080048A KR101934824B1 KR 101934824 B1 KR101934824 B1 KR 101934824B1 KR 1020170080048 A KR1020170080048 A KR 1020170080048A KR 20170080048 A KR20170080048 A KR 20170080048A KR 101934824 B1 KR101934824 B1 KR 101934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ap
lid
position fix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973A (ko
Inventor
임인선
박성주
Original Assignee
임인선
박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인선, 박성주 filed Critical 임인선
Priority to KR102017008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8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oi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농약 보관용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농약 보관용기는: 개구된 입구가 일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농약이 보관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와 결합되고, 입구와 마주보는 면에 제1공급부가 형성되는 결합캡과, 결합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공급부가 형성되는 회전캡을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약 보관용기{STORAGE CONTAINER OF AGRICULTURAL CHEMICALS}
본 발명은 농약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약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농약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약(農藥, pesticide)은 농작물의 재배 ·저장 중 발생한 병 ·해충 ·잡초를 방제하는데 사용하는 화학농약 및 생물농약,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 생장조정제, 약효를 증진시키는 보조제 등의 총칭이다. 넓은 의미에서 농약은 비료까지도 포함하며 토양소독으로부터 종자소독, 발아에서 결실, 저장에 이르기까지 농업경영상 동식물에 의한 피해를 막는데 쓰이는 모든 약제를 말한다. 이러한 농약은 용기에 넣어 판매되며, 사용자는 농약이 든 용기을 개방하여 외부로 농약을 공급할 때 용기에서 한꺼번에 많이 양이 외부로 공급되어 농약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9283호(발명의 명칭:농약 병(용기), 등록일:2012.10.0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농약의 양을 적절히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농약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농약 보관용기는 : 일측에 개구된 입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농약이 보관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입구와 마주보는 면에 제1공급부가 형성되는 결합캡과, 상기 결합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공급부가 형성되는 회전캡을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부는 상기 회전캡과 결합되며, 상기 제2공급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공급부는, 중공 형상의 소량공급부; 중공 형상으로 상기 소량공급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너비가 상기 소량공급부의 너비보다 넓은 대량공급부; 및 상기 대량공급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농약이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폐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캡은, 기둥 형상으로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내측면에 상기 회전캡이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입구를 덮으며, 상기 제1공급부가 형성되는 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캡은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판에는 회전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캡에는 상기 회전홀부에 삽입되는 회전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캡은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캡에는 체결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체결홀부에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제1덮개와; 상기 제2공급부를 덮는 제2덮개와;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를 연결하는 접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덮개는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2공급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덮개는 하측면에 상기 제2공급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이격되게 위치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덮개에는 상기 위치고정홈부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가 측부에서 상기 결합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돌기는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는 상기 덮개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위치고정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홈부는, 상기 소량공급부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소량위치고정홈부; 상기 대량공급부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대량위치고정홈부; 및 상기 폐쇄부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폐쇄위치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이격되게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에는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측부에서 상기 결합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는 상기 덮개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소량위치고정홈부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소량결합홈부; 상기 대량위치고정홈부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대량결합홈부; 및 상기 폐쇄위치고정홈부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폐쇄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측면에 상기 입구가 배치되며, 상부 외측면에 장착돌기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는 낙하방지부; 및 상기 낙하방지부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낙하방지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가진 저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부의 외측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장착돌기와 맞물려 결합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는 소량공급부, 대량공급부 및 폐쇄부로 이루어진 제1공급부가 형성되는 결합캡과, 결합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공급부가 형성되는 회전캡을 포함하는 마개부를 통해 상황에 따라 회전캡을 회전시켜 농약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여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공급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2공급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캡의 결합부에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캡은 가이드홈부를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캡에 형성된 체결홀부와, 제1덮개에 형성되며, 체결홀부에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통해 덮개를 회전캡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덮개에 제2공급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통해 제2공급부 전면을 완벽하게 폐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위치고정홈부와, 위치고정홈부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소량공급부, 대량공급부 및 폐쇄부로 이루어진 제1공급부 중 원하는 부분와 마주보도록 제2공급부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된 제2공급부의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결합홈부와,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소량공급부, 대량공급부 및 폐쇄부로 이루어진 제1공급부 중 원하는 부분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공급부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는 낙하방지부를 통해 사용자가 본체부를 놓쳐 본체부를 낙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돌기를 통해 사용자가 본체부를 잡았을 때 손에서 본체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돌기가 형성되는 본체와, 장착돌기와 맞물려 결합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본체부에 마개부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마개부를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의 마개부를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약 보관용기(1)는 본체부(100)와 마개부(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기둥 형상으로 일측에 개구된 입구(111)가 구비되고, 내부에 농약이 보관된다.
마개부(200)는 결합캡(210)과 회전캡(220)을 포함한다. 결합캡(210)은 본체부(100)와 결합되고, 입구(111)와 마주보는 면에 제1공급부(212a)가 형성된다.
회전캡(220)은 결합캡(2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공급부(221)가 형성된다. 회전캡(220)은 원판 형태로 결합캡(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마개부(200)는 덮개(230)를 더 포함한다. 덮개(230)는 회전캡(220)과 결합되며, 제2공급부(221)를 개폐한다. 덮개(230)는 회전캡(220)과 동일한 형태로 회전캡(220)에 접철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공급부(212a)는 소량공급부(212b), 대량공급부(212c) 및 폐쇄부(212d)를 포함한다. 소량공급부(212b)는 중공 형상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입구(111)와 마주보는 면 즉, 결합캡(210)의 커버판(212)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캡(220)가 결합캡(210) 상에서 회전되어 제2공급부(221)가 소량공급부(212b)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본체부(100)의 내부에 보관된 농약이 소량공급부(212b)를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도 6a 참조). 도 6에서는 복수개의 소량공급부(212b)가 커버판(212)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하나만 커버판(21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량공급부(212b)의 형태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대량공급부(212c)는 중공 형상으로 소량공급부(212b)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너비가 소량공급부(212b)의 너비보다 넓다. 대량공급부(212c)는 제2공급부(22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하나만 커버판(212)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캡(220)가 결합캡(210) 상에서 회전되어 제2공급부(221)가 대량공급부(212c)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본체부(100)의 내부에 보관된 농약이 대량공급부(212c)를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도 6b 참조). 이때, 외부로 공급되는 농약의 양은 소량공급부(212b)보다 많이 공급된다.
도 6에서는 대량공급부(212c)가 하나만 커버판(212)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소량공급부(212b)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가진 복수개의 대량공급부(212c)가 커버판(21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량공급부(212c)의 형태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폐쇄부(212d)는 대량공급부(212c)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본체부(100)로부터 농약이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한다. 구체적으로, 회전캡(220)이 결합캡(210) 상에서 회전되어 제2공급부(221)가 폐쇄부(212d)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본체부(100)의 내부에 보관된 농약이 폐쇄부(212d)에 의해 외부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도 6c 참조). 이때, 폐쇄부(212d)는 대량공급부(212c)와 소량공급부(212b)와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대량공급부(212c)와 이격될 수 있다.
결합캡(210)은 결합부(211)와 커버판(212)을 포함한다. 결합부(211)는 기둥 형상으로 본체부(100)와 결합되며, 내측면에 회전캡(22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부(211a)가 형성된다.
커버판(212)은 결합부(21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입구(111)를 덮으며, 제1공급부(212a)가 형성된다. 회전캡(220)은 가이드홈부(211a)를 따라 외력에 의해 회전된다. 이에 따라, 회전캡(220)은 가이드홈부(211a)를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시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판(212)에는 회전홀부(212e)가 형성되고, 회전캡(220)에는 회전홀부(212e)가 삽입되는 회전축부(222)가 구비된다. 회전캡(220)은 회전축부(22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회전홀부(212e)는 커버판(212)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회전축부(222)는 회전홀부(212e)에 끼움결합되어 회전홀부(212e) 상에서 회전된다.
회전캡(220)에는 체결홀부(223)가 형성된다. 체결홀부(223)는 복수개로 회전캡(220) 상에서 제2공급부(221)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체결홀부(223)는 회전캡(220)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회전캡(220)에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덮개(230)는 제1덮개(231), 제2덮개(232) 및 접철부(233)를 포함한다. 제1덮개(231)는 체결홀부(223)에 결합되는 체결돌기(231a)가 구비된다. 제1덮개(231)는 반원형 형상으로 복수개의 체결돌기(231a)가 제1덮개(231)의 하측면에서 체결홀부(223)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체결홀부(223)에 끼움결합된다. 이에 따라, 덮개(230)를 회전캡(2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체결돌기(231a)가 제1덮개(231)의 하측면에서 체결홀부(223) 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제1덮개(231)에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돌기(231a)는 체결홀부(223)와 동일한 개수로 변경될 수 있다.
제2덮개(232)는 반원형 형상으로 제2공급부(221)를 덮는다. 접철부(233)는 제1덮개(231)와 제2덮개(232)를 연결한다. 제2덮개(232)는 접철부(233)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제2공급부(221)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2덮개(232)를 파지하면, 제2덮개(232)는 접철부(233)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회전캡(220)의 제2공급부(221)을 개방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덮개(232)를 닫으면, 제2덮개(232)는 접철부(233)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회전캡(220)의 제2공급부(221)을 폐쇄한다(도 4, 도 5 참조).
제2덮개(232)는 하측면에 제2공급부(221)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32a)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2덮개(232)을 닫으면 고정돌기(232a)가 제2공급부(221)에 삽입되므로, 제2공급부(221) 전면을 완벽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결합부(211)에는 이격되게 위치고정홈부(211b)가 형성된다. 도 2와 같이, 결합부(211)에는 복수개의 위치고정홈부(211b)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덮개(231)에는 위치고정홈부(211b)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231b)가 측부에서 결합부(211)를 향해 돌출형성된다. 위치고정돌기(231b)는 회전캡(220)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는 덮개(230)와 함께 회전되면서 위치고정홈부(211b)에 삽입된다.
위치고정홈부(211b)는 소량위치고정홈부(211c), 대량위치고정홈부(211d) 및 폐쇄위치고정홈부(211e)를 포함한다. 소량위치고정홈부(211c)는 소량공급부(212b)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대량위치고정홈부(211d)는 대량위치고정홈부(211d)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폐쇄위치고정홈부(211e)는 폐쇄부(212d)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위치고정돌기(231b)는 회전캡(220)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는 덮개(230)와 함께 회전되면서 소량위치고정홈부(211c), 대량위치고정홈부(211d) 및 폐쇄위치고정홈부(211e) 중 하나에 삽입되므로, 사용자는 회전캡(220)을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제2공급부(221)를 소량공급부(212b), 대량공급부(212c) 및 폐쇄부(212d) 중 원하는 부분과 마주보도록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된 제2공급부(221)의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211)에는 이격되게 결합홈부(211f)가 형성된다. 제2덮개(232)에는 결합홈부(211f)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32b)가 측부에서 결합부(211)를 향해 돌출형성된다. 결합돌기(232b)는 회전캡(220)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는 덮개(230)와 함께 회전되면서 결합홈부(211f)에 삽입된다.
결합홈부(211f)는 소량결합홈부(211g), 대량결합홈부(211h) 및 폐쇄결합홈부(211i)를 포함한다. 소량결합홈부(211g)는 소량위치고정홈부(211c)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대량결합홈부(211h)는 대량위치고정홈부(211d)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폐쇄결합홈부(211i)는 폐쇄위치고정홈부(211e)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232b)는 회전캡(220)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는 덮개(230)와 함께 회전되면서 소량결합홈부(211g), 대량결합홈부(211h) 및 폐쇄결합홈부(211i) 중 하나에 삽입될 수 있어, 사용자는 회전캡(220)을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제2공급부(221)를 소량공급부(212b), 대량공급부(212c) 및 폐쇄부(212d) 중 원하는 부분과 마주도록 위치시킨 다음, 제2덮개(232)를 회동시켜 제2공급부(221)를 폐쇄시킬 수 있다.
본체부(100)는 본체(110), 낙하방지부(120) 및 저면부(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상측면에 입구(111)가 배치되며, 상부 외측면에 장착돌기(112)가 형성된다. 낙하방지부(120)는 본체(110)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본체(110)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가진다. 저면부(130)는 낙하방지부(120)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낙하방지부(120)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체부(100)에 낙하방지부(120)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놓쳐 본체부(100)를 낙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낙하방지부(120)의 외측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121)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잡았을 때 손에서 본체부(1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결합부(211)의 내측면에는 장착돌기(112)와 맞물려 결합되는 장착홈부(211g)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본체부(100)에 마개부(2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농약 보관용기 100 : 본체부
110 : 본체 111 : 입구
112 : 장착돌기 120 : 낙하방지부
121 : 미끄럼방지돌기 130 : 저면부
200 : 마개부 210 : 결합캡
211 : 결합부 211a : 가이드홈부
211b : 위치고정홈부 211c : 소량위치고정홈부
211d : 대량위치고정홈부 211e : 폐쇄위치고정홈부
211f : 결합홈부 211g : 소량결합홈부
211h : 대량결합홈부 211i : 폐쇄결합홈부
211g : 장착홈부 212 : 커버판
212a : 제1공급부 212b : 소량공급부
212c : 대량공급부 212d : 폐쇄부
212e : 회전홀부 220 : 회전캡
221 : 제2공급부 222 : 회전축부
223 : 체결홀부 230 : 덮개
231 : 제1덮개 231a : 체결돌기
231b : 위치고정돌기 232 : 제2덮개
232a : 고정돌기 232b : 결합돌기
233 : 접철부

Claims (15)

  1. 일측에 개구된 입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농약이 보관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입구와 마주보는 면에 제1공급부가 형성되는 결합캡과, 상기 결합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공급부가 형성되는 회전캡을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회전캡과 결합되며, 상기 제2공급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캡에는 체결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체결홀부에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제1덮개와, 상기 제2공급부를 덮는 제2덮개와,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를 연결하는 접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부는,
    중공 형상의 소량공급부;
    중공 형상으로 상기 소량공급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너비가 상기 소량공급부의 너비보다 넓은 대량공급부; 및
    상기 대량공급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농약이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폐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캡은,
    기둥 형상으로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내측면에 상기 회전캡이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입구를 덮으며, 상기 제1공급부가 형성되는 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캡은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에는 회전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캡에는 상기 회전홀부에 삽입되는 회전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캡은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는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2공급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는 하측면에 상기 제2공급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이격되게 위치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덮개에는 상기 위치고정홈부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가 측부에서 상기 결합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돌기는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는 상기 덮개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위치고정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홈부는,
    상기 소량공급부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소량위치고정홈부;
    상기 대량공급부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대량위치고정홈부; 및
    상기 폐쇄부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폐쇄위치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11. 제 4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이격되게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에는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측부에서 상기 결합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는 상기 덮개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소량위치고정홈부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소량결합홈부;
    상기 대량위치고정홈부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대량결합홈부; 및
    상기 폐쇄위치고정홈부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폐쇄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측면에 상기 입구가 배치되며, 상부 외측면에 장착돌기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는 낙하방지부; 및
    상기 낙하방지부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낙하방지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가진 저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부의 외측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장착돌기와 맞물려 결합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보관용기.
KR1020170080048A 2017-06-23 2017-06-23 농약 보관용기 KR10193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048A KR101934824B1 (ko) 2017-06-23 2017-06-23 농약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048A KR101934824B1 (ko) 2017-06-23 2017-06-23 농약 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73A KR20190000973A (ko) 2019-01-04
KR101934824B1 true KR101934824B1 (ko) 2019-01-07

Family

ID=6501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048A KR101934824B1 (ko) 2017-06-23 2017-06-23 농약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8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242B1 (ko) * 2013-09-23 2015-01-27 화성제관 주식회사 포장용 캔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242B1 (ko) * 2013-09-23 2015-01-27 화성제관 주식회사 포장용 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73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558B2 (en) Meter for dispensing a granular product
US7765943B2 (en) Dual function seed meter
US20060208009A1 (en) Product dispensing cap with pivotal directional spout
US20170265374A1 (en) System for providing prescriptive application of multiple products
KR101934824B1 (ko) 농약 보관용기
KR101655517B1 (ko) 점파식 파종기
KR101228242B1 (ko) 점파식 파종기
JP2010030669A (ja) 容器のキャップ
KR20170078927A (ko) 입제비료와 액제농약을 동시에 살포할 수 있는 농업용 보트
EP3544408B1 (en) Handheld apparatus for spreading material
KR100510954B1 (ko) 점파 파종기
US2663462A (en) Seed planter
KR101315328B1 (ko)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KR101194496B1 (ko)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KR101484149B1 (ko) 육묘상 약제 살포기
US3412905A (en) Marking attachment for lawn spreader
KR20150034020A (ko) 손수레 탑재식 비료 및 농약 살포기
TW201818816A (zh) 用於草皮撒播機總成的閘門組件
US1277999A (en) Hand seed-drill.
JP3260648B2 (ja) 施肥装置
EP3465486B1 (en) System for providing prescriptive application of multiple products
KR20170004102U (ko)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KR200288481Y1 (ko) 벨트형 씨앗통
KR200407855Y1 (ko) 휴대용 수동식 씨앗 파종기
GB2406322A (en) Spreader for particulat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