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749B1 -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 Google Patents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749B1
KR101934749B1 KR1020170091644A KR20170091644A KR101934749B1 KR 101934749 B1 KR101934749 B1 KR 101934749B1 KR 1020170091644 A KR1020170091644 A KR 1020170091644A KR 20170091644 A KR20170091644 A KR 20170091644A KR 101934749 B1 KR101934749 B1 KR 101934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rame
insulating material
wove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9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 투과가 가능한 직조 프레임으로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연속 배치되는 와이어 또는 원, 타원, 삼각 및 다각 형태의 바(bar)로 이루어진 금속; 및 나노미터(㎚) 내지 밀리미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위로 이루어진 줄(line)로서, 상기 금속과 직교하게 엮여 상기 금속을 구속하고 블록을 생성시키는 절연재;를 포함하며, 상기 직조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블록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직조 프레임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금속 사이 사이에 전파 투과 또는 전력 전송이 가능토록 절연재가 배치되므로, 근거리 무선통신, 무선전력전송, 모바일 결제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모듈이 구비된 기기의 외관 케이스로 사용되거나, 내장되어 방열수단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Weaved metal frame capable of transmitting electric wave}
본 발명은 직조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독립적 금속체 사이 사이에 전파의 투과가 가능토록 절연재가 배치되며, 전체적으로 직조체 형태를 이루고, 절연재로써 독립적 금속체를 상호 결속시켜줄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무선전력전송, 모바일 결제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모듈이 구비된 기기의 외관 케이스로 사용되거나, 내장되어 방열수단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및 무선 충전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 및 충전 기술은 모바일 기기는 물론, 각종 생활 기기 등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특히, 무선 충전은 비접촉 충전이라고도 하는데, 크게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는 것과 자기공진을 이용하는 두 가지로 나뉜다.
전자기 유도방식 충전기술은 충전 패드와 휴대전화 내부에 있는 두 개 코일이 유도전류를 일으키면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고, 자기공진방식은 수 m 떨어진 송수신단에 동일한 주파수로 전력을 보내 충전을 하는 방식이며, 이 중, 전자기 유도방식이 현재 가장 대중화되어 있는 기술로서 수백 kHz대의 주파수 사용이 가능하므로, 특히, 100 ~ 300k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휴대전화는 물론, 노트북 내지 모바일 기기의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전기 자동차의 충전까지도 가능하다.
한편,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의 메이커들은 그간 기기 성능의 극대화를 목표로 꾸준히 기술을 개발하여 온 결과 기술의 첨단화를 이루었으며, 따라서 메이커들간에 기기 성능간 차별성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이전에 비하여 디자인적인 요소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바, 기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재질을 어떤 것으로 선택하느냐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경량화를 목표로 플라스틱 재질의 외관을 채택하는 모바일 기기가 주로 제작되어 왔으나, 플라스틱에 의하여 질감의 고급화를 이루기에는 한계상황에 다다른 바, 색다른 질감의 표현이 가능한 대체 재질을 찾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에 있다. 금속의 외관은 플라스틱 외관을 대체하는 후보군 중 가장 우수한 후보군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금속은 전파에 대한 차폐 경향을 가지고 있어 무선 충전은 물론 근거리 무선통신(NFC), 삼성페이 등 각종 모바일 결제수단 등 다양한 무선 송수신 모듈의 작동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의 외관 케이스로서 플라스틱을 대체하여 외적 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대체재가 요망되므로 금속 재질을 대체 적용하되, 경량화 유지는 물론, 전파 전달이 가능하여 무선 모듈로서의 정상적 작동이 가능한 케이스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기기에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전파 전달 특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방열특성까지 부여할 수 있도록 탄소계열 방열체를 대체할 수 있는 금속 재질의 대체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623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사이 사이에 전파 투과 및 전력 전송이 가능토록 절연재가 배치되므로, 근거리 무선통신, 무선전력전송, 모바일 결제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모듈이 구비된 기기의 외관 케이스로 사용되거나, 내장되어 방열수단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규칙적인 표면을 갖는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을 압연 등 가압 과정을 통하여 평탄화할 수 있으므로, 직조 프레임을 얇은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직조 프레임을 가압에 의하여 자유롭게 두께 조절할 수 있어 제작공정이 간이한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보다 더 우수하고 고급스런 질감을 가지므로, 기기 외관의 심미감과 더불어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기의 내장재로서, 방열수단인 탄소계열의 그라파이트를 대체하거나,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기에 대하여 방열 효과를 배가실 수 있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NFC 모듈에 다단으로 적층할 경우,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NFC 모듈에 대한 송수신율을 보다 증폭시킴으로써, NFC 모듈 탑재 기기의 성능을 제고할 수 있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파 투과가 가능한 직조 프레임으로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연속 배치되는 와이어 또는 곡면이나 절곡면, 직선면을 갖는 바(bar)로 이루어진 금속; 및 상기 금속과 함께 직조되어 상기 금속을 구속하고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을 생성시키는 절연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또는 바와 절연재는 각각 날줄과 씨줄 또는 씨줄과 날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직조 프레임을 제공한다.
상기 직조 프레임은 직조 형태로 제작된 후 가압과정을 통하여 두께방향으로 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조 프레임은, 전자파 및 열에 의해 용융되는 상기 절연재를 매개로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조 프레임은, 전자파 및 열에 의해 용융되는 상기 절연재에 의해 각 금속 사이가 구획되며, 금속과 절연재 사이의 간극이 메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조 프레임은, 무선전력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무선전력 및 무선통신의 주 송수신 방향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되, 적어도 무선전력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이 온전히 커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조 프레임은, 상기 무선통신 모듈 중 NFC에 적층되어, 전계를 증폭시키는 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조 프레임은, 기기의 방열체인 탄소소재를 대체하거나, 상기 탄소소재와 함께 적층되어 방열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또는 바와 상기 절연재와 동일 또는 상이한 절연재가 교번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사이 사이에 전파 투과 또는 전력 전송이 가능토록 절연재가 배치되므로, 근거리 무선통신, 무선전력전송, 모바일 결제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모듈이 구비된 기기의 외관 케이스로 사용되거나, 내장되어 방열수단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규칙적인 표면을 갖는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을 압연과정을 통하여 평탄화할 수 있으므로, 직조 프레임을 얇은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 때, 직조 프레임을 압연에 의하여 자유롭게 두께 조절할 수 있어 제작공정이 간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과 절연재로 엮인 블록이 절연재의 용융을 매개로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여, 프레임으로서의 강도를 보강 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블록 사이가 절연재에 의해 경계 구획되므로 전기적 쇼트(short)로 인하여 발생하는 훼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보다 더 우수하고 고급스런 질감을 가지므로, 기기 외관의 심미감과 더불어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기의 내장재로서, 방열수단인 탄소계열의 그라파이트를 대체하거나,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기에 대하여 방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NFC 모듈에 다단으로 적층할 경우,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NFC 모듈에 대한 송수신율을 보다 증폭시켜 NFC 모듈 탑재 기기의 성능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상태는 나타낸 상세도,
도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모듈간의 크기 획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이 적용되는 기기는 모바일 기기인 휴대전화를 대표 실시예로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휴대전화는 물론,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무선 충전기 등의 케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이, 빌트인 충전기 내지는 가전제품 등의 외관 케이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은 휴대전화의 외관 케이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독립된 형태로 내장될 수도 있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직조 형태 금속 프레임은 직물을 제조하는 통상적인 직조방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금속이면서 전파 전달이 가능하므로, 근거리 무선통신, 무선전력 전송 및 모바일 결제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전화(M)의 외관 케이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100)은 종래 플라스틱보다 우수하고 고급스러운 질감을 가짐으로써, 휴대전화(M)에 대한 심미감 향상과 더불어, 금속으로서의 방열성능이 양호하여 과열이 방지되므로 휴대전화(M)의 안정적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케이스로서의 고급스러운 질감과 더불어 방열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금속(110)과, 금속(110) 사이에 존재하여, 전파전달이 가능토록 하는 절연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금속(110)은 금속 와이어나, 바 형태의 금속편이 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와이어나 바의 형태도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금속(110)은 독립된 복수개가 사용되며, 또한 복수개가 사용되는 절연재(120)와 직조 형태를 이루도록 결속됨으로써, 직물의 형태를 이룬다. 즉, 금속(110)이 날줄을 이루면 절연재(120)는 씨줄을, 금속(110)이 씨줄을 이루면 절연재(120)는 날줄을 각각 이룬다.
한편, 연속 배열된 금속(110)의 경우, 상기 금속(110)들 간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그 사이사이에 위 절연재(120)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절연재를 더 배열할 수 있다. 그 결과 금속(110)과 절연재가 교번하여 배치된다. 도 2와 도 9에서는 예로써 각 절연재가 모두 동일한 절연재(120)임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이한 절연재로 배치해도 무방하다.
금속(110)은 전도체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연속 배치되는 와이어 또는 다양한 형상의 바(bar)이며, 방열의 극대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구리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도형은 곡면형, 직선형, 다각형 등이 될 수 있으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금속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도형일 수도 있다.
또한, 금속(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굴절부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 및 절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체로 이루어진다.
즉, 금속(110)은 도 3a와 같이 일자 형태를 가지거나, 양단 사이가 도 3b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3c와 같이 양단 사이가 지그재그 형태로서 다수의 절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때, 금속(110)이 도 3b 그리고 3c와 같이 양단 사이가 다수의 면체일 경우에는, 서로 인접한 금속(110)이 서로를 구속하여 길이방향으로 금속(110)의 이동 내지는 이탈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서로 마주하는 면이 자웅의 형태로 맞물리게 되므로, 서로를 구속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금속(110)은 절연재(120)에 의해 밀착 구속되어 패드 형태의 블록(130)으로 생성된다.
여기서, 블록(130)을 정의할 수 있는데, 블록(130)은 단일층의 직조 프레임(100)과 상하 적층된 복수층의 직조 프레임(100)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즉, 블록(130)은 그 자체만으로 프레임(100)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적용되는 기기 내지는 용도 즉, 요구되는 내구성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4a) 또는 복수(4b)의 블록이 적층되어 프레임(100)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보다 범용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프레임(100) 또는 블록(130)을 도 5와 같이 압연(R)하여 직조 형태의 전형적 특징인 표면 굴곡을 완화하는 것이 좋다. 즉히, 압연공정을 이용하면 금속(110)과 절연재(120) 모두 압착되어 좌우로 퍼짐으로써 각 금속(110)간 또는 절연재(120)간 또는 절연재(120)와 금속(110)간의 간극이 메워질 수 있다. 또한, 압연공정으로써 블록(1320)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복수의 블록(130)의 상하 적층 공정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압연과 동시 또는 압연 이후에 가열과정을 거침으로써 이러한 간극을 보다 더 확실히 메울 수도 있다. 여기서, 압연은 가압공정의 일 예이며, 프레스 등 압연 이외에도 다른 공정도 가능하다.
절연재(120)는 금속(110)과 예를 들어 직교하게 엮이며, 이를 통하여 금속(110) 간 구속력을 부여하되, 절연재 두께에 대응하는 만큼의 이격공간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개인용 무선단말 등의 프레임(100)으로서 금속(110)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전파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바, 무선충전, 무선통신 등에 전혀 무리가 없다. 여기서 직교여부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물론이다. 이 때, 절연재(120) 1본과 금속(110) 1본이 서로 엮이나(직조되나), 절연재(120) 및 금속(110)이 모두 다발을 이룬 상태에서 엮여도 무방하다. 즉, 직조되는 절연재(120)와 금속(110)의 단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절연재(120)는 블록(130)을 적층할 때, 접합을 위한 매개로서 존재할 수 있다. 즉, 절연재(120)는 블록(130)을 적층할 때, 전자파(초음파) 및 열 압착에 의해 용융되어 접합의 매개는 물론, 블록(130) 사이 절연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전기적 쇼트(short)로 인하여 발생하는 단말 및 구성품의 훼손을 예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절연재(120)는 나노미터(㎚) 내지는 밀리미터(㎜) 단위의 두께를 가지는 와이어 또는 바(bar)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나노미터와 같이 두께가 얇은 수록 좋은데, 이는 절연내(120)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파 전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질감의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다. 즉, 금속(110) 및 절연재(120)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프레임(100)의 질감, 성능 등의 선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절연재(120)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금속(110)의 노출을 높여, 최소한 플라스틱보다 더 우수하고 고급스런 질감과 더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연재(120)는 적어도 나노미터 내지는 밀리미터 단위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며, 밀리미터를 초과할 경우에는 육안으로의 식별이 용이하기 때문에 심미감을 저해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심미감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밀리미터 단위를 초과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프레임을 예를 들어 휴대전화에 적용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파 전달을 통하여 휴대전화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금속(110) 사이에 절연재(12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무선전력의 전송과 무선통신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무선전력의 경우, 송신부(143)에서 송출되는 전력은 프레임(100)을 경유하여 무선으로 송출되고, 송출된 무선전력은 수신부(141)의 프레임(100) 요소에 배치된 프레임(100)을 통하여 휴대전화의 배터리(B)에 수신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프레임(100)은 금속재로서 방열특성이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열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프레임(100)을 기기의 외관 케이스로 한 후 무선충전을 실시하였으며, 충전시간은 약 1시간 동안 온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40분이 경과 되는 시점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100)은 약 36 ~ 39℃의 온도범위를 나타내어 무선충전의 지속성에 문제가 없었음이 확인되었다. 통상 무선 충전시 기기의 외관 케이스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45℃ 이하인 경우, 큰 문제 없으며, 그 이상인 경우 과열이 우려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로부터 볼 때,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100)은 무선 충전기 또는 모바일 기기 등의 외관 케이스로 적용하는데 전혀 손색이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0)은 기기에 내장되어 각종 무선 송수신 모듈(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킬 수도 있다.
한편, 금속은 열전도성이 우수하므로 가장 바람직한 방열재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을 무선 충전 모듈(140)의 방열재료로 적용할 경우, 전파를 차단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궁극적으로 금속은 방열재료로 사용되는데 곤란성이 있어, 통상 무선 충전 모듈(140)의 방열수단으로 탄소계열 물질을 사용하여 왔다. 예를 들어 송신모듈(144)과 수신모듈(142) 인접 위치에 그라파이트(160, Graphite)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프레임(100)에는 절연재(120)가 마련되어 있어, 금속재질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투과하여 전파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금속을 통한 방열기능의 수행과 무선 충전 또는 무선 송수신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프레임(100)을 사용하면 무선 충전 또는 무선 송수신 모듈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의 훼손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140)을 이루는 송신모듈(144), 수신모듈(141) 이외에도 무선 송수신을 위한 모듈인 NFC 모듈(145), 삼성페이와 같은 모바일 결제용 MST 모듈(147)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은 발열의 근원인 각 모듈에 단독 또는 그라파이트(150)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도 7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파이트(150)와 함께 적층하거나, 도 7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파이트(150)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라파이트(150)와 함께 적층할 때, 적층 순서나 그라파이트(150)의 성상,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됨이 없다.
또한, 이외에도 도 7e,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 모듈(140)상에 자성체시트(160)를 더 개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성체시트(160)와 프레임(100) 또는 자성체시트(160)와 프레임(100) 그리고 그라파이트(150)를 함께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성체시트(160)와 프레임(100) 및 그라파이트(150)의 적층 순서는 모든 경우의 수를 포함한다. 자성체시트(160)는 기존의 무선 송수신 모듈(140)에서 담당하는 작용을 그대로 담당한다.
한편, 그라파이트(150)와 본 발명의 프레임(100)이 함께 적층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그라파이트(150)는 판상의 결정구조를 가지며, 층간 결합력이 약하므로 2차원적 수평 방향으로의 열전달 특성은 우수하나, 상하 방향으로의 열전달 특성은 매우 취약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프레임(100)은 높은 전도성을 가지므로 상하 방향으로의 열전달 특성이 우수하며, 따라서 그라파이트(150)의 열전달 특성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여기서, 그라파이트(150)는 탄소계열 방열체의 일 예이며, 탄소계열 방열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당연하다.
이때, 그라파이트(150)가 프레임(100)상에 코팅될 수 있으나, 그라파이트(150)상에 프레임(100)이 적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직조 프레임(100)은 무선전력전송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각종 모듈이 차지하는 유효면적보다 동일하거나 큰 면적이면서도 상기 모듈이 위치하는 영역을 전부 커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와류(eddy current)를 방지하여 충전 또는 전송 효율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즉, 위와 같이 형성되지 아니하면, 전파의 투과가 제대로 일어날 수 없다.
이를 도 9에 나타내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40)은 블록(130)의 내부에 형성되며, 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110 : 금속
120 : 절연재 130 : 블록
140 : 무선 충전 모듈 141 : 수신부
142 : 수신모듈 143 : 송신부
144 : 송신모듈 145 : NFC 모듈
147 : MST 모듈 150 : 그라파이트(Graphite)
160 : 자성체 시트

Claims (8)

  1. 전파 투과가 가능한 직조 프레임으로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연속 배치되는 와이어 또는 곡면이나 절곡면, 직선면을 갖는 바(bar)로 이루어진 금속; 및
    상기 금속과 함께 직조되어 상기 금속을 구속하고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을 생성시키는 절연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또는 바와 절연재는 각각 날줄과 씨줄 또는 씨줄과 날줄을 이루며, 금속이 이루는 씨줄 또는 날줄에는 절연재가 각 금속 사이를 모두 구획하도록 개재되어 모든 금속간의 접촉을 차단하고,
    무선전력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무선전력 및 무선통신의 주 송수신 방향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되, 적어도 무선전력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이 온전히 커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프레임은 직조 형태로 제작된 후 가압과정을 통하여 두께방향으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프레임은,
    전자파 및 열에 의해 용융되는 상기 절연재를 매개로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어,
    상기 직조 프레임은,
    전자파 및 열에 의해 용융되는 상기 절연재에 의해 각 금속 사이가 구획되며, 금속과 절연재 사이의 간극이 메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프레임은,
    상기 무선통신 모듈 중 NFC에 적층되어, 전계를 증폭시키는 매체로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또는 바와 상기 절연재와 동일 또는 상이한 절연재가 교번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KR1020170091644A 2017-07-19 2017-07-19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KR101934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644A KR101934749B1 (ko) 2017-07-19 2017-07-19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644A KR101934749B1 (ko) 2017-07-19 2017-07-19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749B1 true KR101934749B1 (ko) 2019-01-03

Family

ID=6502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644A KR101934749B1 (ko) 2017-07-19 2017-07-19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7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60B1 (ko) * 2009-06-10 2014-06-19 애플 인크. 얽힌 섬유들로부터 형성되는 전자 디바이스들 및 전자 디바이스 액세서리들
WO2014126135A1 (ja) 2013-02-13 2014-08-21 東洋紡株式会社 熱線反射電波透過透明積層体
KR101545573B1 (ko) 2008-08-27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573B1 (ko) 2008-08-27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제조 방법
KR101402060B1 (ko) * 2009-06-10 2014-06-19 애플 인크. 얽힌 섬유들로부터 형성되는 전자 디바이스들 및 전자 디바이스 액세서리들
WO2014126135A1 (ja) 2013-02-13 2014-08-21 東洋紡株式会社 熱線反射電波透過透明積層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12176A1 (en) Device having a multimode antenna with conductive wire width
JP5790200B2 (ja) 通信装置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5877355B2 (ja) 放熱構造を備えた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送受電装置
US10658104B2 (en) Magnetic sheet and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460847B2 (en) Soft magnetic layer,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107371387A (zh) 无线充电用散热单元及包括其的无线电力充电模块
US20170040696A1 (en)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having a unitary body constru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CN105474459A (zh) 接收天线和包含该接收天线的无线电力接收装置
US10028420B2 (en) Sheet for shielding against electromagnetic waves and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KR102085646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US11282639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150476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装置
KR101843258B1 (ko) 자성체 시트 및 무선충전 모듈
KR20160087039A (ko) 무선충전 송신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101843267B1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EP3340427A1 (en) Metal frame transmitting the electromagnetic waves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CN209983020U (zh) 磁性片、电子装置和电子设备
KR101934749B1 (ko) 전파 투과가 가능한 금속과 절연체의 직조 프레임
CN107591230A (zh) 磁性片及电子设备
JP2023545624A (ja) 無線充電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移動手段
KR102154258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20150084213A (ko) 무선전력시스템의 전력 수신부 안테나용 연자성 시트
KR101763734B1 (ko) 무선충전 송신부 또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장치용 금속 프레임
KR101808605B1 (ko) 전파 전달이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가지는 전도층이 코팅된 비전도성 프레임
KR20180000490A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