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675B1 -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675B1
KR101934675B1 KR1020180080638A KR20180080638A KR101934675B1 KR 101934675 B1 KR101934675 B1 KR 101934675B1 KR 1020180080638 A KR1020180080638 A KR 1020180080638A KR 20180080638 A KR20180080638 A KR 20180080638A KR 101934675 B1 KR101934675 B1 KR 10193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mobile terminal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나영
임지영
Original Assignee
(주)컨벤션헤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컨벤션헤리츠 filed Critical (주)컨벤션헤리츠
Priority to KR102018008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텔을 단순히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호텔 기반으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약품 또는 약품 투여와 같은 전문적인 메디컬 서비스를 제외하고 자연 치유될 수 있는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일반적인 정상활동이 가능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질병의 경중에 따라 차별화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대 시설과 객실 내를 IoT 기반으로 연결하여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편안한 객실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호텔 내의 부대 시설의 활용을 통해 자연적으로 치유 환경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객관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아서 만족하는 경우 다시 호텔을 찾아서 연속성 있는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Hotel operating system based on medical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텔을 단순히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호텔 기반으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약품 또는 약품 투여와 같은 전문적인 메디컬 서비스를 제외하고 자연 치유될 수 있는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층간소음, 도로소음, 대인관계 스트레스 등과 같은 현대인 생활 속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환경에서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약화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질병으로 악화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인은 병원을 제외하고는 일상 속에서 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이에 따른 대안으로 종래의 호텔과 같은 숙박시설에서 단순히 숙박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의약품 또는 약품 투여와 같은 전문적인 메디컬 서비스를 제외하고 자연 치유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95043호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NON-STOP MEDICAL MANAGING SERVI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텔을 단순히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호텔 기반으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약품 또는 약품 투여와 같은 전문적인 메디컬 서비스를 제외하고 자연 치유될 수 있는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정상활동이 가능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질병의 경중에 따라 차별화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대 시설과 객실 내를 IoT 기반으로 연결하여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편안한 객실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호텔 내의 부대 시설의 활용을 통해 자연적으로 치유 환경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객관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아서 만족하는 경우 다시 호텔을 찾아서 연속성 있는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방법은, 호텔 운영 서버(300)가 각 IoT 디바이스 그룹(100)을 이루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를 허여하고, 데이터베이스(330)에서 현재의 객실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한 뒤, 객실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예약 정보를 수신한 뒤,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함께 예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되, 예약 정보로 객실 번호, 객실 사용 기간(일수 또는 시간 단위), 객실의 레벨 정보(스탠다드 객실, 주니어 스위트 객실, 수페리어 객실, 패밀리 트윈 객실, 앙코르 프리미어 객실 등),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제 1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갈수록 메디컬 서비스가 향상)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수신하고,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와 매칭되는 메디컬 서비스 정보(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하여 함께 저장하는 제 1 단계; 호텔 운영 서버(300)가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대한 예약 정보 중 객실 사용 기간의 시기(時期) 도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를 이용해 메디컬 설정을 위한 건강 정보에 대한 질의를 통해 건강 정보를 수집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저장하는 제 2 단계; 호텔 운영 서버(300)가 건강 정보를 활용해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건강 등급 정보(제 1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갈수록 건강 상태가 악화) 중 하나로 분석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예약 정보에 포함된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매칭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판단 결과 매칭되는 경우, 호텔 운영 서버(300)가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에 대한 객실 메디컬 등급을 확정하며, 판단 결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 중 메디컬 등급 정보가 상위 등급 또는 하위 등급에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예약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조정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4 단계는, 호텔 운영 서버(300)가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 중 메디컬 등급 정보가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예약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조정 요청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요청하여 응대하는 경우, 객실의 레벨 정보에 따른 호텔 비용에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와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객실 사용 기간에 대한 시간 단위로 분할한 분할 매도권을 생성하는 단계; 및 호텔 운영 서버(300)가 분할 매도권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고, 호텔 웹 페이지 또는 왑 페이지를 통해 공개하여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의한 구매 요청에 따른 계약 체결이 수행되도록 하며, 계약 체결 완료시 매수자에 해당하는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한 예약 정보에 따른 호텔 비용에 분할 매도권에 대한 호텔 비용분을 합한 형태로 호텔 비용을 지불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호텔을 단순히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호텔 기반으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약품 또는 약품 투여와 같은 전문적인 메디컬 서비스를 제외하고 자연 치유될 수 있는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일반적인 정상활동이 가능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질병의 경중에 따라 차별화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부대 시설과 객실 내를 IoT 기반으로 연결하여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편안한 객실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호텔 내의 부대 시설의 활용을 통해 자연적으로 치유 환경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객관적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아서 만족하는 경우 다시 호텔을 찾아서 연속성 있는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1)에서의 IoT 디바이스 그룹(100)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1) 중 호텔 운영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1)에서의 IoT 디바이스 그룹(100)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1)은 복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100), 네트워크(200), 호텔 운영 서버(300),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IoT 디바이스 그룹(100)은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객실 IoT 장치 그룹(140)을 포함할 수 있다.
객실 IoT 장치 그룹(140)은 전동 침대(141), 공기 청정기(142), 전자레인지(143), 룸 에어컨디셔너(144), 객실 전화(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은 카운터 단말(410),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 호텔 식당 단말(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1) 중 호텔 운영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호텔 운영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객실 예약 모듈(321), 메디컬 설정 모듈(322),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 및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을 포함할 수 있다.
객실 예약 모듈(321)은 각 IoT 디바이스 그룹(100)을 이루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를 허여하고, 데이터베이스(330)에서 현재의 객실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한 뒤, 객실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예약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함께 예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약 정보에는 객실 번호, 객실 사용 기간(일수 또는 시간 단위), 객실의 레벨 정보(스탠다드 객실, 주니어 스위트 객실, 수페리어 객실, 패밀리 트윈 객실, 앙코르 프리미어 객실 등),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제 1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갈수록 메디컬 서비스가 향상됨), 메디컬 서비스 정보(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객실 예약 모듈(321)은 예약 정보로 객실 번호, 객실 사용 기간(일수 또는 시간 단위), 객실의 레벨 정보(스탠다드 객실, 주니어 스위트 객실, 수페리어 객실, 패밀리 트윈 객실, 앙코르 프리미어 객실 등),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제 1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갈수록 메디컬 서비스가 향상)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수신하고,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와 매칭되는 메디컬 서비스 정보(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하여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디컬 설정 모듈(322)은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대한 예약 정보 중 객실 사용 기간의 시기(時期) 도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를 이용해 메디컬 설정을 위한 건강 정보에 대한 질의를 통해 건강 정보를 수집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건강 정보는 메디컬 설정 모듈(322)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 간에 미리 설정된 OX 설문지 등을 통해 질병 도출을 위한 수집 정보일 수 있다.
메디컬 설정 모듈(322)은 건강 정보를 활용해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건강 등급 정보(제 1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갈수록 건강 상태가 악화됨) 중 하나로 분석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예약 정보에 포함된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매칭되는 경우,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에 대한 객실 메디컬 등급을 확정하고, 확정된 객실 메디컬 등급에 해당하는 제 1 내지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에 대한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메디컬 설정 모듈(322)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예약 정보에 포함된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매칭되지 않는 경우,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 중 메디컬 등급 정보가 상위 등급에 해당하여 필요 이상의 메디컬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예약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조정 요청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요청하여 응대하는 경우, 객실의 레벨 정보에 따른 호텔 비용에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와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객실 사용 기간에 대한 시간 단위로 분할한 분할 매도권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디컬 설정 모듈(322)은 분할 매도권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고, 호텔 웹 페이지 또는 왑 페이지를 통해 공개하여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의한 구매 요청에 따른 계약 체결이 수행되도록 하며, 계약 체결 완료시 매수자에 해당하는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한 예약 정보에 따른 호텔 비용에 분할 매도권에 대한 호텔 비용분을 합한 형태로 호텔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반대로, 메디컬 설정 모듈(322)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예약 정보에 포함된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매칭되지 않고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 중 건강 등급 정보가 상위 등급에 해당하여 필요로 하는 메디컬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예약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조정 요청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요청하여 응대하는 경우, 건강 등급 정보와 매칭되는 분할 매도권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대한 검색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객실 사용 기간과 매칭되는 기간 동안에 분할 매도권 하나로 충분한 경우, 하나의 분할 매도권을 매입하고, 충분하지 않은 경우 복수의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이 제시한 분할 매도권에 대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객실 사용 기간에 모두 충족되도록 합산하는 과정에 따른 매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디컬 설정 모듈(322)은 매입된 분할 매도권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고, 계약 체결 완료에 따라 매수자에 해당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한 예약 정보에 따른 호텔 비용에 분할 매도권에 대한 호텔 비용분을 합한 형태로 호텔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메디컬 설정 모듈(322)은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대한 예약 정보 중 객실 사용 기간의 시기(時期) 도래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를 객실 번호와 매칭되는 각 IoT 디바이스 그룹(100)의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로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페어링을 설정하도록 하는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디컬 설정 모듈(322)은 각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의한 통신 페어링이 최초에 한번 수행되는 것에 대한 알림을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대해서 자신의 IoT 디바이스 그룹(100)에 속하는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및 객실 IoT 장치 그룹(140)에 대한 통신 채널을 활성화하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은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가 정상인인 경우 정상인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은 제 1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갖는 객실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 경우 IoT 디바이스 그룹(100)에 포함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131)일 수 있다. 여기서 정상인은 수집된 건강 정보에서 질병에 대한 특이점이 없는 사람으로, 그 범위는 건강 정보에서 각 파라미터 중 임계치를 초과하는 숫자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인 사용자로 제한될 수 있으며, 각 파라미터는 간수치, 혈압수치, 흡연여부 등이 일 예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병원 서버와 메디컬 설정 모듈(322)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은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의한 제어에 따라 카메라(111)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 인식 수행 및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를 통한 생체 정보 수집에 따라,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인식 영상 정보와 생체 정보를 함께 암호화한 뒤, 인식된 영상 및 생체 정보를 활용하여 객실 IoT 장치 그룹(140)을 이루는 전동 침대(141), 공기 청정기(142), 전자레인지(143), 룸 에어컨디셔너(144), 객실 전화(145)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은 인식된 영상 및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전동 침대(141)에서 취침을 개시하는 것으로 인식시, 전동 침대(141)가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로 구분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장치인 경우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의 각도를 취침을 위한 미리 설정된 각도(예로 0°내지 15°)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며, 공기 청정기(142)를 취침 모드로 동작시키고 전자레인지(143)의 전원을 차단하며, 룸 에어컨디셔너(144)의 온도를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서 취침 전에 적어도 한번 이상 측정된 체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고, 객실 전화(145)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를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대한 일련의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취침을 개시하는 것으로의 인식을 위해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은 인식된 영상이 사용자가 전동 침대(141)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고정된 자세를 영상 인식을 통해 확인하고, 일반적으로 취침시 체온이 떨어진다는 점을 활용해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 부착된 온도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온도가 낮아지는 두 가지의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은 인식된 영상 및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전동 침대(141)에서 잠을 깨서 일어나는 것으로 인식시, 전동 침대(141)의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의 각도를 기상을 위한 미리 설정된 각도(예로 15°내지 35°) 내에서 단계적으로 각도가 높아지게 조절되도록 제어하며, 공기 청정기(142)를 일반 모드 또는 터보 모드로 동작시키고 전자레인지(143)의 전원을 제공하며, 룸 에어컨디셔너(144)의 온도를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서 취침 상태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측정된 체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고, 객실 전화(145)의 전원을 제공하는 제어를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대한 일련의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잠을 깨는 것으로의 인식을 위해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은 인식된 영상이 사용자가 전동 침대(141)에서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이동하는 자세를 영상 인식을 통해 확인하고, 일반적으로 잠에서 깨는 경우 체온이 차츰 올라간다는 점을 활용해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 부착된 온도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온도가 높아지는 두 가지의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은 인식된 영상 및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와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 간의 통신 채널이 끊겨서 사용자가 외출하는 것으로 인식시, 전동 침대(141)의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의 각도를 디폴트 상태(예로 0°)로 조절되도록 제어한 뒤, 전동 침대(141)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며, 공기 청정기(142) 및 룸 에어컨디셔너(144)를 절전 모드로 운행하도록 제어하고, 객실 전화(145)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를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대한 일련의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은 후술하는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을 이루는 카운터 단말(410),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에 의한 객실 전화(145)로의 호출 명령에 따른 외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와,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을 이루는 카운터 단말(410),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페어링 설정이 완료시, 예약 정보의 메디컬 서비스 정보(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와 매칭되는 호출 명령에 사용자가 응대한 것으로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은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을 이루는 카운터 단말(410),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매칭되어 저장된 예약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330)에 대한 액세스 이후 예약 정보의 메디컬 서비스 정보(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와 매칭되는 호출 명령을 전송시, 각 카운터 호출 명령, 피트니스 호출 명령, 스파 호출 명령 등에 대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와 연결된 객실 IoT 장치 그룹(140)의 객실 전화(145)로 통화 연결을 제어하거나,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의 스피커를 통해 호출 명령 출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가 경증 환자인 경우 경증 환자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로 피트니스 센터와 같은 약물이나 주사가 아닌 자가 치료 요법을 활용할 수 있다. 즉,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제 2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갖는 객실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 경우 IoT 디바이스 그룹(100)에 포함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는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이 제공하는 모든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경증 환자에 대한 뇌파 측정기(132)에 의해 측정된 뇌파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한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 호텔 식당 단말(440) 등을 포함하는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에 대한 즉각적인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뇌파 중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로 분류하여 각 구분된 파형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일정 시간 단위 또는 시각에서의 형태의 조합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에 대한 피트니스 단말(420)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세션 연결 대기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피트니스 단말(42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제 2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대 카테고리, 그리고 건강 등급 정보 생성의 근거가 된 건강 정보에서의 질병 내역에 대한 정보를 소 카테고리로 하는 피트니스 기구 용도 정보 셀 DB에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 사용자와 매칭되는 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피트니스 기구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셀에는 사용자의 질병에 따른 처방에 해당하는 다이어트, 근력증가, 바디 밸런스, 실버 케어, 특정 부위 몸매 관리 등과 같은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명칭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셀에는 색인된 피트니스 기구 사용의 조합 정보 및 피트니스 기구 사용 순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각 셀에서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명칭뿐만 아니라, 각 피트니스 기구 사용의 조합 정보 및 순서 정보를 함께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와, 피트니스 단말(42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세션이 연결되고,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중 스마트 워치(13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트니스 기구 중 설정된 순서에 따른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순차적인 사용을 각 순번에 따른 피트니스 기구와 스마트 워치(131) 간에 RFID 태그, NFC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한 확인을 완료하면, 각 피트니스 기구 또는 스마트 워치(131)에서 제시된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사용 완료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스마트 워치(131)에 대한 뇌파 변화 정보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워치(131)에 대한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전에 또는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이후에 스마트 워치(131)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페어링된 뇌파 측정기(133)로부터 뇌파 변화 정보가 스마트 워치(131) 및 피트니스 단말(420)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면 전달된 뇌파 변화 정보를 피트니스 단말(42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에서 제공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치료 단계에 매칭되는 각 셀에 색인된 피트니스 기구 사용의 조합 정보 및 피트니스 기구 사용 순서 정보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모든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는 피트니스 센터를 떠나서 호텔 객실로 이동할 것이므로,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스마트 워치(131) 및/또는 뇌파 측정기(132))와 피트니스 단말(42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피트니스 센터 이탈 정보에 대한 피트니스 단말(420)에 의해 생성되어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피트니스 단말(420)과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 세션 연결이 해지되어 네트워크(200)를 통해 피트니스 단말(42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한 피트니스 센터 이탈 정보에 대한 수신에 따라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를 소지한 사용자에 의한 피트니스 센터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다시 사용자의 피트니스 센터로 입장 또는 객실로의 복귀를 피트니스 단말(420) 또는 I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의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커버리지로의 액세스 상황을 피트니스 단말(420) 또는 I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피트니스 센터의 재차 입장에 따른 뇌파 측정기(132)를 활용한 뇌파측정 요청에 대한 스마트 워치(131)로의 전달 명령을 피트니스 단말(42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워치(131) 상에서 뇌파 측정기(132)와 재차 근거리 무선 통신 페어링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뇌파 측정기(132) 상에서 이전 차수 이후에 제시하는 순차적인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일부 또는 전체의 사용 후 뇌파 측정기(132)에서 뇌파 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각 사용 횟수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사용자의 재차 입장이 초기의 가입 입장 이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하거나, 이전 변화 점검 기간 이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여부를 분석할 수 있으며, 여기서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주기는 1일 1회 또는 1시간 1회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변화 점검 기간에 해당하는 객실 사용 기간(일수 또는 시간 단위) 경과 여부 판단에 따라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피트니스 센터에 대한 다음번 입장을 대기하며, 반대로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한 경우, 각 방문에 따른 뇌파 정보를 수집한 뒤, 변화 점검 주기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변화 점검 주기에 따른 입장 횟수는 미리 설정된 최소 입장 횟수 내지 최대 입장 횟수 사이로 제한되거나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가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피트니스 센터에 대한 다음번 입장을 대기하며, 반대로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변화 점검 기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가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의 누적된 뇌파 정보를 이용한 상황의 악화 및 호전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와 함께 차후의 투숙시 뇌파 정보의 정보 활용 여부 질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차후의 투숙시 뇌파 정보의 정보 활용에 동의할 경우,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암호화하여 저장하며, 동의하지 않을 경우, 분석 정보를 파기할 수 있다.
한편,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분석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 상태의 호전이 없는 경우, 누적된 뇌파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서 지정하거나 데이터베이스(330)에서 빅데이터 매칭을 통해 추천된 병원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는 병원을 이용한 약물 치료 및 상담 코칭을 위한 안내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반대로,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판단 결과 상태의 호전이 있는 경우, 추가적인 호텔 투숙을 위한 제안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가 중증 환자인 경우 중증 환자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며, 피트니스 센터에 대해서는 중증 환자가 이용이 어려우므로, 주로 스파나 호텔 식당과 같은 약물이나 주사가 아닌 자가 치료 요법을 활용할 수 있다. 즉,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갖는 객실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 경우 IoT 디바이스 그룹(100)에 포함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는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 및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이 제공하는 모든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중증 환자에 대한 뇌파 측정기(132) 의해 측정된 뇌파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한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 호텔 식당 단말(440) 등을 포함하는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에 대한 즉각적인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에서 제공하는 피트니스 단말(420)을 통해 제공하는 피트니스 서비스는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대 카테고리, 그리고 건강 등급 정보 생성의 근거가 된 건강 정보에서의 질병 내역에 대한 정보를 소 카테고리로 하는 피트니스 기구 용도 정보 셀 DB에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 사용자와 매칭되는 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피트니스 기구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후의 과정은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에서 제공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에 의해 추출되는 피트니스 기구는 다이어트, 근력증가가 아닌 주로 실버 케어, 바디 밸런스 등을 위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뇌파 중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로 분류하여 각 구분된 파형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일정 시간 단위 또는 시각에서의 형태의 조합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에 대한 스파 단말(430)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세션 연결 대기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피트니스 단말(42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대 카테고리, 그리고 건강 등급 정보 생성의 근거가 된 건강 정보에서의 질병 내역에 대한 정보를 소 카테고리로 하는 스파 종류 정보 셀 DB에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 사용자와 매칭되는 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파 종류(허브 스파, 마사지 스파, 아로마 스파 등)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셀에는 사용자의 질병에 따른 처방에 해당하는 신진 대사, 피부 관리, 정신 건강 관리 등과 같은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 종류에 대한 명칭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셀에는 색인된 스파 종류 사용의 조합 정보 및 스파 종류 사용 순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각 셀에서 스파 종류에 대한 명칭뿐만 아니라, 각 스파 종류 사용의 조합 정보 및 순서 정보를 함께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와, 스파 단말(43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세션이 연결되고,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중 스마트 워치(13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파 종류 중 설정된 순서에 따른 스파 종류에 대한 순차적인 사용을 각 순번에 따른 스파 욕조의 리더기와 스마트 워치(131) 간에 RFID 태그, NFC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한 확인을 완료하면, 각 스파 종류 또는 스마트 워치(131)에서 제시된 스파 종류에 대한 사용 완료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스마트 워치(131)에 대한 뇌파 변화 정보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워치(131)에 대한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전에 또는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이후에 스마트 워치(131)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페어링된 뇌파 측정기(133)로부터 뇌파 변화 정보가 스마트 워치(131) 및 스파 단말(430)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면 전달된 뇌파 변화 정보를 스파 단말(43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에서 제공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치료 단계에 매칭되는 각 셀에 색인된 스파 종류 사용의 조합 정보 및 피트니스 기구 사용 순서 정보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모든 스파 종류에 대한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는 스파 센터를 떠나서 호텔 객실로 이동할 것이므로,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스마트 워치(131) 및/또는 뇌파 측정기(132))와 스파 단말(43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스파 센터 이탈 정보에 대한 스파 단말(430)에 의해 생성되어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스파 단말(430)과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 세션 연결이 해지되어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파 단말(43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한 스파 센터 이탈 정보에 대한 수신에 따라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를 소지한 사용자에 의한 스파 센터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다시 사용자의 스파 센터로 입장 또는 객실로의 복귀를 스파 단말(430) 또는 I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의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커버리지로의 액세스 상황을 스파 단말(430) 또는 I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스파 센터의 재차 입장에 따른 뇌파 측정기(132)를 활용한 뇌파측정 요청에 대한 스마트 워치(131)로의 전달 명령을 스파 단말(43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워치(131) 상에서 뇌파 측정기(132)와 재차 근거리 무선 통신 페어링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뇌파 측정기(132) 상에서 이전 차수 이후에 제시하는 순차적인 스파 종류에 대한 일부 또는 전체의 사용 후 뇌파 측정기(132)에서 뇌파 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각 사용 횟수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사용자의 재차 입장이 초기의 가입 입장 이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하거나, 이전 변화 점검 기간 이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여부를 분석할 수 있으며, 여기서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주기는 1일 1회 또는 1시간 1회로 설정할 수 있다.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변화 점검 기간에 해당하는 객실 사용 기간(일수 또는 시간 단위) 경과 여부 판단에 따라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스파 센터에 대한 다음번 입장을 대기하며, 반대로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한 경우, 각 방문에 따른 뇌파 정보를 수집한 뒤, 변화 점검 주기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변화 점검 주기에 따른 입장 횟수는 미리 설정된 최소 입장 횟수 내지 최대 입장 횟수 사이로 제한되거나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가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스파 센터에 대한 다음번 입장을 대기하며, 반대로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변화 점검 기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가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의 누적된 뇌파 정보를 이용한 상황의 악화 및 호전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와 함께 차후의 투숙시 뇌파 정보의 정보 활용 여부 질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차후의 투숙시 뇌파 정보의 정보 활용에 동의할 경우,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암호화하여 저장하며, 동의하지 않을 경우, 분석 정보를 파기할 수 있다.
한편,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분석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 상태의 호전이 없는 경우, 누적된 뇌파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서 지정하거나 데이터베이스(330)에서 빅데이터 매칭을 통해 추천된 병원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는 병원을 이용한 약물 치료 및 상담 코칭을 위한 안내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반대로,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판단 결과 상태의 호전이 있는 경우, 추가적인 호텔 투숙을 위한 제안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 내지 325) 모두는 피트니스 단말(420) 및 스파 단말(430)에서 제공하는 뇌파 분석 정보 제공 방식을 호텔 식당의 부페 식단 메뉴 중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대 카테고리, 그리고 건강 등급 정보 생성의 근거가 된 건강 정보에서의 질병 내역에 대한 정보를 소 카테고리로 하는 부페 식단 음식명 정보 셀 DB에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 사용자와 매칭되는 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식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제 1 내지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 내지 325) 각각은, 상술한 피트니스 단말(420) 및/또는 스파 단말(430)과의 관계에서 제시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음식명 정보에 해당하는 음식을 섭취하고 일정 시간 이후의 뇌파 정보를 수집하여, 뇌파 정보를 이용한 상황의 악화 및 호전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와 함께 차후의 투숙시 뇌파 정보의 정보 활용 여부 질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호텔 운영 서버(300)는 각 IoT 디바이스 그룹(100)을 이루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를 허여하고, 데이터베이스(330)에서 현재의 객실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한 뒤, 객실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예약 정보를 수신한 뒤,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함께 예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다(S11).
예약 정보에는 객실 번호, 객실 사용 기간(일수 또는 시간 단위), 객실의 레벨 정보(스탠다드 객실, 주니어 스위트 객실, 수페리어 객실, 패밀리 트윈 객실, 앙코르 프리미어 객실 등),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제 1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갈수록 메디컬 서비스가 향상됨), 메디컬 서비스 정보(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 이후, 호텔 운영 서버(300)는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대한 예약 정보 중 객실 사용 기간의 시기(時期) 도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를 이용해 메디컬 설정을 위한 건강 정보에 대한 질의를 통해 건강 정보를 수집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저장한다(S12).
단계(S12) 이후, 호텔 운영 서버(300)는 건강 정보를 활용해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건강 등급 정보(제 1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갈수록 건강 상태가 악화됨) 중 하나로 분석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예약 정보에 포함된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매칭여부를 판단한다(S13).
단계(S13)의 판단 결과 매칭되는 경우, 호텔 운영 서버(300)는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에 대한 객실 메디컬 등급을 확정한다(S14).
한편, 단계(S13)의 판단 결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호텔 운영 서버(300)는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 중 메디컬 등급 정보가 상위 등급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단계(S15)의 판단 결과, 호텔 운영 서버(300)는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 중 메디컬 등급 정보가 상위 등급에 해당하여 필요 이상의 메디컬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예약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조정 요청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요청하여 응대하는 경우, 객실의 레벨 정보에 따른 호텔 비용에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와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객실 사용 기간에 대한 시간 단위로 분할한 분할 매도권을 생성한다(S16).
단계(S16) 이후, 호텔 운영 서버(300)는 분할 매도권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고, 호텔 웹 페이지 또는 왑 페이지를 통해 공개하여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의한 구매 요청에 따른 계약 체결이 수행되도록 하며, 계약 체결 완료시 매수자에 해당하는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한 예약 정보에 따른 호텔 비용에 분할 매도권에 대한 호텔 비용분을 합한 형태로 호텔 비용을 지불 요청한다(S17).
단계(S15)로 회귀하여, 호텔 운영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예약 정보에 포함된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매칭되지 않고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 중 건강 등급 정보가 상위 등급에 해당하여 필요로 하는 메디컬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예약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조정 요청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요청하여 응대하는 경우, 건강 등급 정보와 매칭되는 분할 매도권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대한 검색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객실 사용 기간과 매칭되는 기간 동안에 분할 매도권 하나로 충분한 경우, 하나의 분할 매도권을 매입하고, 충분하지 않은 경우 복수의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이 제시한 분할 매도권에 대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객실 사용 기간에 모두 충족되도록 합산하는 과정에 따른 매입을 수행한다(S18).
단계(S18) 이후, 호텔 운영 서버(300)는 매입된 분할 매도권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고, 계약 체결 완료에 따라 매수자에 해당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에게 자신이 등록한 예약 정보에 따른 호텔 비용에 분할 매도권에 대한 호텔 비용분을 합한 형태로 호텔 비용을 지불 요청을 수행한다(S19).
단계(S14), 단계(S17) 및/또는 단계(S19) 이후, 호텔 운영 서버(300)는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대한 예약 정보 중 객실 사용 기간의 시기(時期) 도래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를 객실 번호와 매칭되는 각 IoT 디바이스 그룹(100)의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로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페어링을 설정하도록 하는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한다(S20).
단계(S20) 이후, 호텔 운영 서버(300)는 각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의한 통신 페어링이 최초에 한번 수행되는 것에 대한 알림을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대해서 자신의 IoT 디바이스 그룹(100)에 속하는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및 객실 IoT 장치 그룹(140)에 대한 통신 채널을 활성화하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21).
단계(S21) 이후, 호텔 운영 서버(300)는 예약 정보에 해당하는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에 매칭되는 각 호텔 객실에 구비된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제어를 통해 예약 정보에 매칭되는 메디컬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S22).
한편,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에 매칭되는 메디컬 서비스는 상술한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 내지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에 의한 기능 및 동작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메디컬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100 : IoT 디바이스 그룹
110 : IoT 인공 지능 중계기
120 : 사용자 모바일 단말
130 :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
140 : 객실 IoT 장치 그룹
141 : 전동 침대
142 : 공기 청정기
143 : 전자레인지
144 : 룸 에어컨디셔너
145 : 객실 전화
200 : 네트워크
300 : 호텔 운영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객실 예약 모듈
322 : 메디컬 설정 모듈
323 :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
324 :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
325 :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
410 : 카운터 단말
420 : 피트니스 단말
430 : 스파 단말
440 : 호텔 식당 단말

Claims (2)

  1. 각각이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객실 IoT 장치 그룹(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100); 호텔 운영 서버(300); 및 카운터 단말(410),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 호텔 식당 단말(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 을 포함하는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1)에 있어서, 호텔 운영 서버(300)는,
    각 IoT 디바이스 그룹(100)을 이루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를 허여하고, 데이터베이스(330)에서 현재의 객실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한 뒤, 객실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예약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함께 예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시, 예약 정보로 객실 번호, 객실 사용 기간(일수 또는 시간 단위), 객실의 레벨 정보(스탠다드 객실, 주니어 스위트 객실, 수페리어 객실, 패밀리 트윈 객실, 앙코르 프리미어 객실 중 하나),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제 1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갈수록 메디컬 서비스가 향상)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수신하고,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와 매칭되는 메디컬 서비스 정보(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하여 함께 저장하는 객실 예약 모듈(321);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대한 예약 정보 중 객실 사용 기간의 시기(時期) 도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를 이용해 메디컬 설정을 위한 건강 정보에 대한 질의를 통해 건강 정보를 수집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저장시 건강 정보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OX 설문지를 통해 질병 도출을 위한 수집 정보를 수집하며,
    건강 정보를 활용해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건강 등급 정보(제 1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갈수록 건강 상태가 악화됨) 중 하나로 분석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예약 정보에 포함된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매칭되는 경우,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에 대한 객실 메디컬 등급을 확정하고, 확정된 객실 메디컬 등급에 해당하는 제 1 내지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에 대한 통지를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예약 정보에 포함된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매칭되지 않는 경우,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 중 메디컬 등급 정보가 상위 등급에 해당하여 필요 이상의 메디컬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예약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조정 요청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요청하여 응대하는 경우, 객실의 레벨 정보에 따른 호텔 비용에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와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객실 사용 기간에 대한 시간 단위로 분할한 분할 매도권을 생성하며, 분할 매도권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고, 호텔 웹 페이지 또는 왑 페이지를 통해 공개하여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의한 구매 요청에 따른 계약 체결이 수행되도록 하며, 계약 체결 완료시 매수자에 해당하는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한 예약 정보에 따른 호텔 비용에 분할 매도권에 대한 호텔 비용분을 합한 형태로 호텔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며,
    반대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예약 정보에 포함된 객실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매칭되지 않고 메디컬 등급 정보와 건강 등급 정보 중 건강 등급 정보가 상위 등급에 해당하여 필요로 하는 메디컬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예약 정보에 포함된 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에 대한 조정 요청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요청하여 응대하는 경우, 건강 등급 정보와 매칭되는 분할 매도권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대한 검색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객실 사용 기간과 매칭되는 기간 동안에 분할 매도권 하나로 충분한 경우, 하나의 분할 매도권을 매입하고, 충분하지 않은 경우 복수의 다른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이 제시한 분할 매도권에 대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객실 사용 기간에 모두 충족되도록 합산하는 과정에 따른 매입을 수행함으로써, 매입된 분할 매도권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고, 계약 체결 완료에 따라 매수자에 해당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한 예약 정보에 따른 호텔 비용에 분할 매도권에 대한 호텔 비용분을 합한 형태로 호텔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며,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대한 예약 정보 중 객실 사용 기간의 시기(時期) 도래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를 객실 번호와 매칭되는 각 IoT 디바이스 그룹(100)의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로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페어링을 설정하도록 하는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각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 의한 통신 페어링이 최초에 한번 수행되는 것에 대한 알림을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대해서 자신의 IoT 디바이스 그룹(100)에 속하는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및 객실 IoT 장치 그룹(140)에 대한 통신 채널을 활성화하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메디컬 설정 모듈(322);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가 정상인인 경우 정상인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 1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갖는 객실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시, IoT 디바이스 그룹(100)에 포함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가 스마트 워치(Smart watch)(131)를 활용하며,
    정상인이 수집된 건강 정보에서 질병에 대한 특이점이 없는 사람으로, 정산인 범위는 건강 정보에서 각 파라미터 중 임계치를 초과하는 숫자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인 사용자로 제한되며, 각 파라미터는 간수치, 혈압수치, 흡연여부가 제공되며, 병원 서버와 메디컬 설정 모듈(322)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수집되며,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의한 제어에 따라 카메라(111)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 인식 수행 및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를 통한 생체 정보 수집에 따라,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인식 영상 정보와 생체 정보를 함께 암호화한 뒤, 인식된 영상 및 생체 정보를 활용하여 객실 IoT 장치 그룹(140)을 이루는 전동 침대(141), 공기 청정기(142), 전자레인지(143), 룸 에어컨디셔너(144), 객실 전화(145)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를 수행하되,
    인식된 영상 및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전동 침대(141)에서 취침을 개시하는 것으로 인식시, 전동 침대(141)가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로 구분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장치인 경우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의 각도를 취침을 위한 미리 설정된 각도(0°내지 15°)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며, 공기 청정기(142)를 취침 모드로 동작시키고 전자레인지(143)의 전원을 차단하며, 룸 에어컨디셔너(144)의 온도를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서 취침 전에 적어도 한번 이상 측정된 체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고, 객실 전화(145)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를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대한 일련의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인식된 영상 및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전동 침대(141)에서 잠을 깨서 일어나는 것으로 인식시, 전동 침대(141)의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의 각도를 기상을 위한 미리 설정된 각도(15°내지 35°) 내에서 단계적으로 각도가 높아지게 조절되도록 제어하며, 공기 청정기(142)를 일반 모드 또는 터보 모드로 동작시키고 전자레인지(143)의 전원을 제공하며, 룸 에어컨디셔너(144)의 온도를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서 취침 상태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측정된 체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고, 객실 전화(145)의 전원을 제공하는 제어를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대한 일련의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인식된 영상 및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와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 간의 통신 채널이 끊겨서 사용자가 외출하는 것으로 인식시, 전동 침대(141)의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의 각도를 디폴트 상태(0°)로 조절되도록 제어한 뒤, 전동 침대(141)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며, 공기 청정기(142) 및 룸 에어컨디셔너(144)를 절전 모드로 운행하도록 제어하고, 객실 전화(145)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를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대한 일련의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을 이루는 카운터 단말(410),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에 의한 객실 전화(145)로의 호출 명령에 따른 외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와,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을 이루는 카운터 단말(410),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페어링 설정이 완료시, 예약 정보의 메디컬 서비스 정보(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와 매칭되는 호출 명령에 사용자가 응대한 것으로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며,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을 이루는 카운터 단말(410),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식별번호와 매칭되어 저장된 예약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330)에 대한 액세스 이후 예약 정보의 메디컬 서비스 정보(메디컬 등급에 따른 부대시설 사용정보, 룸 서비스 정보)와 매칭되는 호출 명령을 전송시, 각 카운터 호출 명령, 피트니스 호출 명령, 스파 호출 명령에 대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와 연결된 객실 IoT 장치 그룹(140)의 객실 전화(145)로 통화 연결을 제어하거나, IoT 인공 지능 중계기(110)의 스피커를 통해 호출 명령 출력 제어를 수행하는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가 경증 환자인 경우 경증 환자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며 피트니스 센터와 같은 약물이나 주사가 아닌 자가 치료 요법을 활용하기 위해 제 2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갖는 객실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시 IoT 디바이스 그룹(100)에 포함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가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를 활용하며,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이 제공하는 모든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경증 환자에 대한 뇌파 측정기(132)에 의해 측정된 뇌파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한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 호텔 식당 단말(440)을 포함하는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에 대한 즉각적인 예약을 수행하되,
    뇌파 중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로 분류하여 각 구분된 파형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일정 시간 단위 또는 시각에서의 형태의 조합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에 대한 피트니스 단말(420)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세션 연결 대기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피트니스 단말(42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제 2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대 카테고리, 그리고 건강 등급 정보 생성의 근거가 된 건강 정보에서의 질병 내역에 대한 정보를 소 카테고리로 하는 피트니스 기구 용도 정보 셀 DB에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 사용자와 매칭되는 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피트니스 기구를 추출하며, 각 셀에는 사용자의 질병에 따른 처방에 해당하는 다이어트, 근력증가, 바디 밸런스, 실버 케어, 특정 부위 몸매 관리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명칭이 포함되며, 각 셀에는 색인된 피트니스 기구 사용의 조합 정보 및 피트니스 기구 사용 순서 정보를 포함하므로, 각 셀에서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명칭뿐만 아니라, 각 피트니스 기구 사용의 조합 정보 및 순서 정보를 함께 추출하며,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와, 피트니스 단말(42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세션이 연결되고,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중 스마트 워치(13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트니스 기구 중 설정된 순서에 따른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순차적인 사용을 각 순번에 따른 피트니스 기구와 스마트 워치(131) 간에 RFID 태그, NFC 방식 중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한 확인을 완료하면, 각 피트니스 기구 또는 스마트 워치(131)에서 제시된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사용 완료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스마트 워치(131)에 대한 뇌파 변화 정보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워치(131)에 대한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전에 또는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이후에 스마트 워치(131)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페어링된 뇌파 측정기(133)로부터 뇌파 변화 정보가 스마트 워치(131) 및 피트니스 단말(420)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면 전달된 뇌파 변화 정보를 피트니스 단말(42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에서 제공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치료 단계에 매칭되는 각 셀에 색인된 피트니스 기구 사용의 조합 정보 및 피트니스 기구 사용 순서 정보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모든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는 피트니스 센터를 떠나서 호텔 객실로 이동할 것이므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와 피트니스 단말(42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피트니스 센터 이탈 정보에 대한 피트니스 단말(420)에 의해 생성되어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시 피트니스 센터 이탈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다시 사용자의 피트니스 센터로 입장 또는 객실로의 복귀를 피트니스 단말(420) 또는 I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의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커버리지로의 액세스 상황을 피트니스 단말(420) 또는 I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확인하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피트니스 센터의 재차 입장에 따른 뇌파 측정기(132)를 활용한 뇌파측정 요청에 대한 스마트 워치(131)로의 전달 명령을 피트니스 단말(42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워치(131) 상에서 뇌파 측정기(132)와 재차 근거리 무선 통신 페어링 수행되도록 하며,
    뇌파 측정기(132) 상에서 이전 차수 이후에 제시하는 순차적인 피트니스 기구에 대한 일부 또는 전체의 사용 후 뇌파 측정기(132)에서 뇌파 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각 사용 횟수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누적하여 저장하며,
    사용자의 재차 입장이 초기의 가입 입장 이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하거나, 이전 변화 점검 기간 이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여부를 분석하며,
    변화 점검 기간에 해당하는 객실 사용 기간(일수 또는 시간 단위) 경과 여부 판단에 따라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하지 않고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피트니스 센터에 대한 다음번 입장을 대기하며, 반대로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한 경우, 각 방문에 따른 뇌파 정보를 수집한 뒤, 변화 점검 주기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며,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가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 초과 여부를 판단하며,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피트니스 센터에 대한 다음번 입장을 대기하며, 반대로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변화 점검 기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가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의 누적된 뇌파 정보를 이용한 상황의 악화 및 호전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와 함께 차후의 투숙시 뇌파 정보의 정보 활용 여부 질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차후의 투숙시 뇌파 정보의 정보 활용에 동의할 경우,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은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암호화하여 저장하며, 동의하지 않을 경우, 분석 정보를 파기하며,
    분석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 상태의 호전이 없는 경우, 누적된 뇌파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서 지정하거나 데이터베이스(330)에서 빅데이터 매칭을 통해 추천된 병원 서버로 전송하고,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는 병원을 이용한 약물 치료 및 상담 코칭을 위한 안내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반대로, 판단 결과 상태의 호전이 있는 경우, 추가적인 호텔 투숙을 위한 제안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 및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가 중증 환자인 경우 중증 환자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며, 피트니스 센터에 대해서는 중증 환자가 이용이 어려우므로, 스파나 호텔 식당과 같은 약물이나 주사가 아닌 자가 치료 요법을 활용하되,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갖는 객실에 대한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하며, IoT 디바이스 그룹(100)에 포함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는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를 활용하며,
    제 1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 및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이 제공하는 모든 메디컬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중증 환자에 대한 뇌파 측정기(132) 의해 측정된 뇌파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한 피트니스 단말(420), 스파 단말(430), 호텔 식당 단말(440)을 포함하는 부대 시설용 단말 그룹(400)에 대한 즉각적인 예약을 수행하며,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에서 제공하는 피트니스 단말(420)을 통해 제공하는 피트니스 서비스는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대 카테고리, 그리고 건강 등급 정보 생성의 근거가 된 건강 정보에서의 질병 내역에 대한 정보를 소 카테고리로 하는 피트니스 기구 용도 정보 셀 DB에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 사용자와 매칭되는 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피트니스 기구를 추출한 뒤의 과정은 제 2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4)에서 제공하는 방식과 동일하며,
    뇌파 중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로 분류하여 각 구분된 파형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일정 시간 단위 또는 시각에서의 형태의 조합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에 대한 스파 단말(430)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세션 연결 대기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피트니스 단말(42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대 카테고리, 그리고 건강 등급 정보 생성의 근거가 된 건강 정보에서의 질병 내역에 대한 정보를 소 카테고리로 하는 스파 종류 정보 셀 DB에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 사용자와 매칭되는 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파 종류(허브 스파, 마사지 스파, 아로마 스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출하며, 각 셀에는 사용자의 질병에 따른 처방에 해당하는 신진 대사, 피부 관리, 정신 건강 관리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 종류에 대한 명칭이 포함되고, 각 셀에는 색인된 스파 종류 사용의 조합 정보 및 스파 종류 사용 순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각 셀에서 스파 종류에 대한 명칭뿐만 아니라, 각 스파 종류 사용의 조합 정보 및 순서 정보를 함께 추출하며,
    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와, 스파 단말(43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세션이 연결되고,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중 스마트 워치(13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파 종류 중 설정된 순서에 따른 스파 종류에 대한 순차적인 사용을 각 순번에 따른 스파 욕조의 리더기와 스마트 워치(131) 간에 RFID 태그 및 NFC 방식 중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한 확인을 완료하면, 각 스파 종류 또는 스마트 워치(131)에서 제시된 스파 종류에 대한 사용 완료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스마트 워치(131)에 대한 뇌파 변화 정보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워치(131)에 대한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전에 또는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이후에 스마트 워치(131)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페어링된 뇌파 측정기(133)로부터 뇌파 변화 정보가 스마트 워치(131) 및 스파 단말(430)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면 전달된 뇌파 변화 정보를 스파 단말(43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에서 제공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치료 단계에 매칭되는 각 셀에 색인된 스파 종류 사용의 조합 정보 및 피트니스 기구 사용 순서 정보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모든 스파 종류에 대한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는 스파 센터를 떠나서 호텔 객실로 이동할 것이므로,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스마트 워치(131) 및 뇌파 측정기(132))와 스파 단말(43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스파 센터 이탈 정보에 대한 스파 단말(430)에 의해 생성되어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스파 센터 이탈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다시 사용자의 스파 센터로 입장 또는 객실로의 복귀를 스파 단말(430) 또는 I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의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커버리지로의 액세스 상황을 스파 단말(430) 또는 IT 인공 지능 중계기(11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확인하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스파 센터의 재차 입장에 따른 뇌파 측정기(132)를 활용한 뇌파측정 요청에 대한 스마트 워치(131)로의 전달 명령을 스파 단말(43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워치(131) 상에서 뇌파 측정기(132)와 재차 근거리 무선 통신 페어링 수행되도록 하며,
    뇌파 측정기(132) 상에서 이전 차수 이후에 제시하는 순차적인 스파 종류에 대한 일부 또는 전체의 사용 후 뇌파 측정기(132)에서 뇌파 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각 사용 횟수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누적하여 저장하며,
    사용자의 재차 입장이 초기의 가입 입장 이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하거나, 이전 변화 점검 기간 이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여부를 분석하며,
    변화 점검 기간에 해당하는 객실 사용 기간(일수 또는 시간 단위) 경과 여부 판단에 따라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스파 센터에 대한 다음번 입장을 대기하며, 반대로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한 경우, 각 방문에 따른 뇌파 정보를 수집한 뒤, 변화 점검 주기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며,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가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 초과 여부를 판단하며,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의 스파 센터에 대한 다음번 입장을 대기하며, 반대로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변화 점검 기간의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횟수가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의 누적된 뇌파 정보를 이용한 상황의 악화 및 호전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와 함께 차후의 투숙시 뇌파 정보의 정보 활용 여부 질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차후의 투숙시 뇌파 정보의 정보 활용에 동의할 경우,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은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암호화하여 저장하며, 동의하지 않을 경우, 분석 정보를 파기하며,
    분석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 상태의 호전이 없는 경우, 누적된 뇌파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에서 지정하거나 데이터베이스(330)에서 빅데이터 매칭을 통해 추천된 병원 서버로 전송하고,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는 병원을 이용한 약물 치료 및 상담 코칭을 위한 안내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반대로, 판단 결과 상태의 호전이 있는 경우, 추가적인 호텔 투숙을 위한 제안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5); 을 포함하며,
    제 1 내지 제 3 모드 메디컬 제공 모듈(323 내지 325) 모두는 피트니스 단말(420) 및 스파 단말(430)에서 제공하는 뇌파 분석 정보 제공 방식을 호텔 식당의 부페 식단 메뉴 중 제 1 내지 제 3 단계로 구분된 메디컬 등급 정보를 대 카테고리, 그리고 건강 등급 정보 생성의 근거가 된 건강 정보에서의 질병 내역에 대한 정보를 소 카테고리로 하는 부페 식단 음식명 정보 셀 DB에서 각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 사용자와 매칭되는 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식명 정보를 추출하며,
    피트니스 단말(420) 및 스파 단말(430)과의 관계에서 제시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음식명 정보에 해당하는 음식을 섭취하고 일정 시간 이후의 뇌파 정보를 수집하여, 뇌파 정보를 이용한 상황의 악화 및 호전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와 함께 차후의 투숙시 뇌파 정보의 정보 활용 여부 질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2. 삭제
KR1020180080638A 2018-07-11 2018-07-11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4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638A KR101934675B1 (ko) 2018-07-11 2018-07-11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638A KR101934675B1 (ko) 2018-07-11 2018-07-11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675B1 true KR101934675B1 (ko) 2019-03-25

Family

ID=6590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638A KR101934675B1 (ko) 2018-07-11 2018-07-11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05B1 (ko) * 2019-07-15 2020-02-10 이노파이안 주식회사 의료관광 콘텐츠 플랫폼 운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837B1 (ko) * 2006-02-21 2006-10-27 (주)지포유넷 객실관리시스템
KR20100009156A (ko) * 2008-07-18 2010-01-27 강봉석 종합 휴양 건강관리 시스템
KR20160081344A (ko) * 2014-12-31 2016-07-08 김준형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837B1 (ko) * 2006-02-21 2006-10-27 (주)지포유넷 객실관리시스템
KR20100009156A (ko) * 2008-07-18 2010-01-27 강봉석 종합 휴양 건강관리 시스템
KR20160081344A (ko) * 2014-12-31 2016-07-08 김준형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95043호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NON-STOP MEDICAL MANAGING SER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05B1 (ko) * 2019-07-15 2020-02-10 이노파이안 주식회사 의료관광 콘텐츠 플랫폼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3061B2 (en) Detecting unauthorized visitors
US20180158555A1 (en) Medical kiosk and method of use
US20190272725A1 (en) Pharmacovigilance systems and methods
CN205540731U (zh) 一种多功能医疗服务系统
CN101326527A (zh) 基于测量相关的外部用户接口
CN107038326A (zh) 一种多功能医疗服务系统
CN10360591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社区智能医护系统控制方法
CN104244812A (zh) 医疗亭及使用方法
JP2009519549A (ja) 遠隔で収集された外部センサ計測結果の認証提供
CN112669922A (zh) 一种社区健康服务系统
WO2007148681A1 (ja) 設定装置、生体測定装置、生体測定装置の設定システム、生体測定装置の設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0084930B (zh) 一种基于his的护士站用病房监管系统
US113543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data to facility computing entities
KR101934675B1 (ko) 메디컬 서비스 기반 호텔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635052A (zh) 一种可调节的医疗健康信息管理咨询用服务系统
US20190371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reporting
JP5845235B2 (ja) 病院利用支援システム
KR20130014884A (ko)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KR20170123172A (ko) 증상 검색을 통한 맞춤형 질병 정보 제공 시스템
Kumar et al. Ten questions concerning smart and healthy built environments for older adults
KR20020041575A (ko)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6794A (ko) 헬스 케어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700855A (zh) 一种用于医院的远程探视及现场探视的探视系统
JP6989203B2 (ja) 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