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641B1 -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641B1
KR101934641B1 KR1020170087792A KR20170087792A KR101934641B1 KR 101934641 B1 KR101934641 B1 KR 101934641B1 KR 1020170087792 A KR1020170087792 A KR 1020170087792A KR 20170087792 A KR20170087792 A KR 20170087792A KR 101934641 B1 KR101934641 B1 KR 101934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unit
defecation
dog
sam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김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현 filed Critical 김성현
Priority to KR1020170087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5Details of handling test elements, e.g. dispensing or storage,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진단 및 관리가 용이한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는 애견의 소변이 수집되는 배변부와, 상기 배변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변부로부터 수집되는 소변을 검사하여 상기 애견의 질병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의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Health check device for pet do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진단 및 관리가 용이한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질병을 조기 진단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발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기검진을 비롯하여 다양한 질병 조기 진단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많은 사람들이 반려 동물을 키우게 되면서 반려 동물에 대한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였으나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반려 동물 중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애견인데, 애견은 보통 애견센터나 동물 병원에 가서 질병 유무 및 건강 관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한 동물의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기술의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610837호는 레이저와, 필터와, 광분배기와, 광검출기와, 스캐너와, 트랜스듀서를 구비하는 동물 안과 질병 진단을 위한 광음향 영상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548436호는 서열번호: 64, 66, 68, 70, 72, 74, 76 또는 78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H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및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개과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애견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애견의 질병의 징후가 미미한 경우에 사람들이 쉽게 알아차리지 못하여 애견 센터나 동물 병원을 가서 질병 유무를 진단했을 때 경우에 따라 이미 특정 질병이 많이 진척되어 회생이 불가한 경우가 종종 있어왔다. 그런데, 애견을 키우는 사람 입장에서는 애견은 단순한 하나의 동물이 아닌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실감 등으로 인한 심리적 충격이 클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사회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거동이 불편하거나 노년의 시기에 애견을 키우는 경우 정기적으로 애견을 동물 병원에 데리고 가 질병을 미리 예방, 진단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애견의 주인이 애견의 질병을 인식할 정도가 되면 이미 애견의 건강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아 진료비의 부담 및 예후 경과가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허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1610387호
(특허문헌2) 한국등록특허 제10-154843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평소에 애견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소변 검사를 통해 자동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애견의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배변부가 자동으로 세척되고, 응집제가 소변 및 세척수를 흡수함으로써 청결하게 유지가 가능한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애견의 소변이 수집되는 배변부와, 상기 배변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변부로부터 수집되는 소변을 검사하여 상기 애견의 질병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의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석부는 상기 배변부의 소변이 모이는 채집기와, 상기 채집기의 소변의 존재를 감지하는 수분센서와, 검사지가 내장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수분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 내의 검사지를 상기 채집기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검사지의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광학기기와, 상기 획득된 이미지정보를 분석하는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석부는 상기 채집기를 회동시켜 상기 채집기 내의 소변을 제거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트리지 내에는 방습제가 더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는 상기 배변부 및 분석부의 채집기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세척부는 물이 담겨지는 수통과 상기 수통 내의 물을 상기 배변부로 이동시키는 워터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는 상기 소변과 물을 흡수하는 응집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변부에 애견의 소변이 수집되는 단계(S10)와, 상기 소변이 채집기로 모이는 단계(S20)와, 상기 채집기에 소변의 존재 유무를 수분센서로 감지하는 단계(S30)와, 상기 수분센서에 상기 소변이 감지되는 경우 카트리지 내의 검사지를 상기 채집기로 이동시켜 침지시키는 단계(S40)와, 상기 침지된 검사지의 이미지정보를 광학기기로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지를 상승시키는 단계(S50)와, 상기 광학기기로 상기 검사지의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0)와, 상기 획득된 이미지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70)와, 상기 분석된 이미지정보와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침지된 검사지의 이미지정보를 광학기기로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지를 상승시키는 단계(S50) 이후에 상기 채집기를 회전시켜 상기 소변을 제거하는 단계(S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학기기로 상기 검사지의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0) 이후에 상기 검사지를 이동시켜 제거하는 단계(S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검사지를 이동시켜 제거하는 단계(S85) 이후에 상기 배변부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배변부 및 상기 분석부의 채집기를 세척하는 단계(S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에 의하면, 평소에 애견의 질병을 수시로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애견의 건강 및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에 의하면, 소변 검사를 통해 자동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애견의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에 의하면, 배변부가 자동으로 세척되고, 응집제가 소변 및 세척수를 흡수함으로써 청결하게 유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의 분석부 및 세척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의 요부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의 검사지의 정면도.
도 5a 내지 도 5i는 도 1에 도시된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의 작동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는 배변부(100), 분석부(200), 표시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세척부(300), 응집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변부(100)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애견의 소변이 수집된다. 이러한 배변부(100)는 소변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둘레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애견의 발에 소변이 묻지 않도록 상부가 망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망은 바닥에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질 수 있다.
배변부(100)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변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소재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변부(100)는 수집된 소변이 후술할 분석부(200)의 채집기(210)로 모일 수 있도록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애견이 배변부(100)의 어느 곳에 소변을 보더라도 경사면을 따라 분석부(200)의 채집기(210)로 소변이 모일 수 있다. 다시말해, 배변부(100)의 일측에는 분석부(200)가 결합되며, 배변부(100)에서 수집되는 소변은 경사면을 따라 분석부(200)로 모이게 된다.
분석부(200)는 배변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배변부(100)에서 수집된 소변을 모아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석부(200)는 채집기(210), 수분센서(220), 카트리지(230), 이송유닛(240), 광학기기(250), 모터(260), 분석기(270)를 포함한다.
채집기(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소변이 담겨진다. 이러한 채집기(210)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에 수분센서(220)가 설치되며, 수분센서(220)는 채집기(210) 내부에 수분의 존재 유무를 감지한다. 따라서, 배변부(100)를 통해 소변이 채집기(210) 내부에 소변이 모이게 되면 수분센서(220)가 이를 감지하여 카트리지(230) 내의 검사지(231)를 침지시키게 된다.
카트리지(230)는 채집기(210)의 상부에 위치하며, 검사지(231)를 보관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카트리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지(231), 스프링(232), 방습제(233)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30)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검사지(231)가 내장되며, 이러한 검사지(231)는 소변 검사시에 이용되는 Urine Strip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검사지(231)에는 다양한 종류의 검사를 할 수 있는 색깔이 구분된 표적검사지가 부착되어 있으며, 소변이 표적검사지에 닿아 색깔의 변화 유무로 소변 속에 포함된 물질을 파악하여 애견의 질병 유무를 감지한다. 다시 말해, 검사지(231)에 소변이 접촉하게 되면 각각의 시약이 함유된 표적지의 색깔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색 변화를 후술할 광학기기(250)를 이용하여 이미지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검사지(231)는 시중에서 의학용으로 사용되는 표적검사지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애견에게 잘 걸리는 질병을 타겟팅한 표적검사지로 이루어진 다른 표적검사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스프링(232)은 카트리지(230) 내부에서 검사지(231)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232)은 일반적인 가압 스프링에 사용될 수 있다.
방습제(233)는 카트리지(230) 내부에 장착되며, 검사지(231)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검사지(231)가 수분에 취약하기 때문이며, 방습제(233)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카겔이 사용될 수 있다.
방습제(2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32)을 사이에 두고 검사지(231)의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검사지(23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송유닛(240)은 카트리지(230)의 개방된 구간에 위치하며, 카트리지(230) 내의 검사지(231)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송유닛(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검사지(231)를 수직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 예를 들면 클램프와 수직이송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송유닛(240)은 채집기(210)의 수분센서(220)가 소변을 감지하는 경우에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카트리지(230)의 검사지(231)를 하강시켜 소변 내로 침지시키며, 침지된 후에는 광학기기(250)가 이를 촬상할 수 있도록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검사지(231)를 상승시킨다. 그 후, 후술하겠지만 채집기(210)가 회동되어 채집기(210) 내의 소변이 제거되는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검사지(231)를 카트리지(230) 내에서 완전히 분리시켜 제거한다.
광학기기(250)는 이송유닛(240)에 의해 소변에 침지되었다가 상승된 검사지(231)를 촬상하여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학기기(250)는 일반적으로 색깔을 구분할 수 있는 카메라, 비젼센서, 컬러센서, 비젼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학적으로 색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분석기(270)는 광학기기(250)로부터 획득된 이미지정보를 분석하여 애견의 질병 유무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석기(270)에는 검사지(231)와 매칭되는 색깔 및 이상 유무 정보가 담겨 있으며, 따라서 획득된 이미지정보의 각각의 색과 기준이 되는 색을 비교함으로써 특정 위치의 색이 특정값을 벗어나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한다.
모터(260)는 채집기(210)에 결합되어 채집기(21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모터(260)는 채집기(210) 내부의 소변이나 수분이 제거될 수 있을 정도로 특정 각도까지만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서보모터, 스탭모터 또는 위치감지 센서 등이 포함된 일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모터(260)는 검사지(231)가 채집기(210) 내의 소변에 침지된 이후 상승한 다음 채집기(210) 내의 소변을 제거하기 위하여 채집기(210)를 회동시킨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진단기의 세척을 위하여 세척부(300)가 동작하는 경우에 채집기(210) 내부를 세척하기 위하여 다시 채집기(210)를 회동시켜 채집기(210) 내부로 물이 들어오도록 한다. 그 후 채집기(210)에 물이 모이게 되면 다시 채집기(210)를 회동시켜 내부의 물을 제거함으로써 소변 검사 및 세척을 실시한다.
표시부는 분석부(200)의 광학기기(250)가 획득한 이미지정보 및 분석기(270)의 결과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표시부는 LED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미지정보와 분석결과 뿐 아니라 해당 질병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조치 방법 등이 함께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세척부(300)는 배변부(100), 분석부(200)를 세척하는 역할을 하며, 수통(310), 워터펌프(320)를 포함하며, 댐퍼(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통(3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필요시 배변부(100)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통(310)은 물을 채워서 쓰는 방식의 물통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통이 사용될 수도 있다.
워터펌프(320)는 수통(310)의 물을 배변부(1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워터펌프(3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형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댐퍼(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펌프(320)의 하측에 설치되며, 워터펌프(320)가 작동하는 경우 그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댐퍼(330)는 스프링, 쇽 업소버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흡수기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응집제(400)는 소변이나 세척을 위한 물이 흐르지 않도록 물을 흡수하여 젤리처럼 응집시키는 역할을 하며, 배변부(100) 및 분석부(200)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응집제(400)는 폴리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물을 흡수하여 응집시키는 소재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5i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의 작동 순서 및 애견 질병 조기 진단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 질병 조기 진단 방법은 배변부(100)에 애견의 소변이 수집되는 단계(S10)와, 소변이 채집기(210)로 모이는 단계(S20)와, 채집기(210)에 소변의 존재 유무를 수분센서(220)로 감지하는 단계(S30)와, 수분센서(220)에 소변이 감지되는 경우 카트리지(230) 내의 검사지(231)를 채집기(210)로 이동시켜 침지시키는 단계(S40)와, 침지된 검사지(231)를 광학기기(250)로 촬상할 수 있도록 상승시키는 단계(S50)와, 광학기기(250)로 검사지(231)를 촬상하여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0)와, 획득된 이미지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70)와, 분석된 이미지정보와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또한, 검사지(231)를 광학기기(250)로 촬상할 수 있도록 상승시키는 단계(S40) 이후에 채집기(210)를 회전시켜 소변을 제거하는 단계(S85)와, 광학기기(250)로 검사지(231)를 촬상하여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0) 이후에 검사지(231)를 이동시켜 제거하는 단계(S90)와, 검사지(231)를 이동시켜 제거하는 단계(S85) 이후에 배변부(100)에 물을 공급하여 배변부(100) 및 분석부(200)의 채집기(210)를 세척하는 단계(S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 애견이 배변부(100)에 소변을 보게 되면 배변부(100)에 소변이 수집된다(S10).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부(100)의 바닥이 분석부(200)의 채집기(210) 쪽으로 기울어져 있기때문에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소변이 분석부(200)의 채집기(210)로 모이게 된다(S20).
이렇게 소변이 채집기(210)로 모이게 되면 채집기(210)에 장착된 수분센서(220)가 소변을 감지하게 된다(S30). 수분센서(220)가 소변을 감지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240)이 작동하여 카트리지(230) 내의 검사지(231)를 하강시켜 채집기(210) 내의 소변이 묻을 수 있도록 소변 내로 침지시킨다(S40).
이렇게 검사지(231)가 침지되면 이송유닛(240)은 다시 반대로 작동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지(231)를 광학기기(250)가 촬상할 수 있는 위치까지 상승시킨다(S50).
그 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기기(250)로 검사지(231)를 촬상하여 이미지정보를 획득한다(S60). 획득된 이미지정보는 분석부(200)를 통해 분석되며(S70), 촬상된 이미지정보와 분석 결과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다(S80).
한편, 검사지(231)가 촬상위치까지 상승된 이후에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60)가 채집기(210)를 회전시켜 채집기(210) 내의 소변을 제거한다(S85). 그 이후에는 검사지(231)가 채집기(210) 내로 들어가지 않고 바닥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기(210)가 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송유닛(240)이 구동하여 검사지(231)를 카트리지(230) 내에서 제거한다(S90).
그 이후,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기(210)가 다시 회동되어 원위치 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는 초기화된다.
한편, 배변부(100) 및 채집기(210)의 청결 등을 위하여 세척부(300)가 포함된 경우 세척 과정(S95)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300)에서 배변부(100)로 물이 공급되고, 공급된 물은 배변부(100)의 바닥을 타고 채집기(210)로 모이게 된다. 이렇게 채집기(210)로 물이 모인 다음,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기(210)를 회동시켜 물을 제거함으로써 세척과정을 마치게 된다.
그 이후,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기(210)가 다시 반대쪽으로 회동되어 원위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는 초기화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평소에 애견의 질병을 수시로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애견의 건강 및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고, 소변 검사를 통해 자동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애견의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배변부가 자동으로 세척되고, 응집제가 소변 및 세척수를 흡수함으로써 청결하게 유지가 가능한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배변부 200 : 분석부
210 : 채집기 220 : 수분센서
230 : 카트리지 231 : 검사지
232 : 스프링 233 : 방습제
240 : 이송유닛 250 : 광학기기
260 : 모터 270 : 분석기
300 : 세척부 310 : 수통
320 : 워터펌프 330 : 댐퍼
400 : 응집제

Claims (11)

  1. 애견의 소변이 수집되는 배변부;
    상기 배변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변부로부터 수집되는 소변을 검사하여 상기 애견의 질병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의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배변부의 소변이 모이는 채집기와, 상기 채집기의 소변의 존재를 감지하는 수분센서와, 검사지가 내장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수분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 내의 검사지를 상기 채집기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검사지의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광학기기와, 상기 획득된 이미지정보를 분석하는 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채집기를 회동시켜 상기 채집기 내의 소변을 제거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내에는 방습제가 더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는 상기 배변부 및 분석부의 채집기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물이 담겨지는 수통과 상기 수통 내의 물을 상기 배변부로 이동시키는 워터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는 상기 소변과 물을 흡수하는 응집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8. 배변부에 애견의 소변이 수집되는 단계(S10);
    상기 소변이 채집기로 모이는 단계(S20);
    상기 채집기에 소변의 존재 유무를 수분센서로 감지하는 단계(S30);
    상기 수분센서에 상기 소변이 감지되는 경우 카트리지 내의 검사지를 상기 채집기로 이동시켜 침지시키는 단계(S40);
    상기 침지된 검사지의 이미지정보를 광학기기로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지를 상승시키는 단계(S50);
    상기 광학기기로 상기 검사지의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0);
    상기 획득된 이미지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70); 및
    상기 분석된 이미지정보와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된 검사지의 이미지정보를 광학기기로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지를 상승시키는 단계(S50) 이후에 상기 채집기를 회전시켜 상기 소변을 제거하는 단계(S8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로 상기 검사지의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0) 이후에 상기 검사지를 이동시켜 제거하는 단계(S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지를 이동시켜 제거하는 단계(S85) 이후에 상기 배변부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배변부 및 분석부의 채집기를 세척하는 단계(S9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 질병 조기 진단 방법.
KR1020170087792A 2017-07-11 2017-07-11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 KR101934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792A KR101934641B1 (ko) 2017-07-11 2017-07-11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792A KR101934641B1 (ko) 2017-07-11 2017-07-11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641B1 true KR101934641B1 (ko) 2019-01-02

Family

ID=6502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792A KR101934641B1 (ko) 2017-07-11 2017-07-11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6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0647A (zh) * 2020-06-28 2020-09-25 涿州市浩森再生资源回收有限公司 一种宠物用高分子疏水尿液采集砂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0647A (zh) * 2020-06-28 2020-09-25 涿州市浩森再生资源回收有限公司 一种宠物用高分子疏水尿液采集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8322B2 (ja) 便器装置、及び便座装置
US78781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estrus
US11284599B2 (en) Animal toilet usage status management system
US201301627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ing, detecting, and monitoring surficial and subdermal inflammation
WO2015022318A1 (en) Test method for determining biomarkers
JP2006043301A (ja) 検出装置
US20040049123A1 (en) Ovulation-monitoring electrical toothbrush
KR101934641B1 (ko) 애견 질병 조기 진단기 및 그 방법
DK177925B9 (da)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kvalitetsbestemmelse af mælk produceret ved maskinel malkning
US11604177B1 (en) Smart toilet for human health monitoring
WO2022024630A1 (ja) プログラム、清掃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269243B1 (ko) 반려견용 자동 배변 처리 장치
US20070243578A1 (e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kit for semen analysis
US20200390398A1 (en) Toilet with User Detection
CN110243823B (zh) 基于支持向量机的小儿佝偻病自动筛查装置及其使用方法
JPWO2018179219A1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動物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25302B1 (ko) 타액채취 장치 및 방법
JP2021191287A (ja) 生体情報処理装置
KR20220086389A (ko) 소변검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ubois et al. Detecting and preventing falls with depth camera, tracking the body center
CN220473356U (zh) 一种用于动物待宰检疫的智能化成套设备
CN115309922B (zh) 建立试纸数据库的方法及基于该数据库的试纸检测方法
KR20230121535A (ko) 시료 촬영 이미지를 이용한 반려 동물 건강 진단 방법
US202304084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anion animal health diagnosis using image of sample
KR20060004150A (ko) 배설물을 이용한 건강체크방법 및 이를 구현시키기 위한배설물측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