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205B1 -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205B1
KR101934205B1 KR1020170096585A KR20170096585A KR101934205B1 KR 101934205 B1 KR101934205 B1 KR 101934205B1 KR 1020170096585 A KR1020170096585 A KR 1020170096585A KR 20170096585 A KR20170096585 A KR 20170096585A KR 101934205 B1 KR101934205 B1 KR 101934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ging torque
bracket
torque plate
seating groove
vib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스
이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스, 이효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to KR102017009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브래킷은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을 가지며,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판상의 몸체; 이 몸체의 안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안착홈에 삽입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코깅토크 플레이트; 몸체의 안착홈 입구 둘레에 내향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코깅토크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를 감싸 고정하는 피팅버(fitting burr);를 포함한다. 이러한 브래킷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판상의 브래킷을 펀칭하여 상면에 코깅토크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깊은 안착홈을 형성하는 단계; 브래킷의 안착홈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코깅토크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단계; 코깅토크 플레이트가 삽입된 브래킷의 안착홈 입구 둘레를 소정깊이로 절단하여 피팅버를 형성함과 동시에 피팅버가 코깅토크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를 감싸주도록 내측으로 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브래킷에 대하여 코깅토크 플레이트를 매우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충격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고 안정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bracket of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인형(coin type) 무브러시 진동모터에서 코깅토크 플레이트(cogging torque plate)를 브래킷(bracket)에 매우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최근 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더불어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중에 널리 보급되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컴팩트한 사이즈로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음성은 물론 데이터 통신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유선통신기기의 영역을 상당부분 대체하면서 새로운 통신장비로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가지는데, 그 중 반드시 필요로 하는 기능 중의 하나가 착신기능이다. 착신기능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유형은 멜로디나 벨과 같은 발성형태와 함께 기기를 떨게 하는 진동형태를 들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양자를 동시에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진동 유형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상 많은 사람들이 운집한 장소 등에서 타인에게 착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대단히 중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예컨대 착신 시 등에 기기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모터가 내장되는데, 경박단소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합되도록 얇은 코인형태의 진동모터가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진동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코인형 진동모터의 다양한 연구개발이 종래부터 이어지고 있으며, 그 일례로 무브러시 DC(BLDC) 진동모터를 들 수 있다.
무브러시 진동모터는 통상 케이스의 베이스 위에 브래킷, 스테이터 및 로터가 고정축을 중심으로 순차 설치되어 케이스의 캡으로 덮여지는 구조는 가지며, 브래킷에 코깅토크를 발생시키는 코깅토크 플레이트가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구성을 갖는다.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는 리드선이 인쇄된 브래킷 상에 고정되고, 소정 극수의 마그네트와 편심용 웨이트를 갖는 로터는 스테이터와의 상호 자기작용에 의해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기기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한편,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특성상 사용 중에 떨어뜨릴 우려가 많기 때문에 충격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고, 이는 진동모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코깅토크 발생기능을 갖는 브래킷 역시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몸체 상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코깅토크 플레이트를 안정되게 부착하여 외부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종래의 기술로 한국 특허등록 제10-1011444호를 예로 들 수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011444호에는 고정축이 관통하는 리브의 둘레에 내면이 요철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개구부를 등각도 간격으로 관통형성하고, 이에 결합되는 코깅토크 절편의 외주면을 개구부와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구성하여 강한 결합력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고정축이 관통하는 리브의 둘레에 복수의 결합홈을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하고, 각 결합홈에 코깅토크 절편을 용접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부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첫째, 브래킷과 코깅토크 절편은 두께가 대단히 얇은 초박형이기 때문에 양자의 결합부위를 요철형태로 구성하여 끼워맞추더라도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각해지거나 반복되는 충격이 가해질 경우 코깅토크 절편이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여전히 상존할 수밖에 없다.
둘째,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초박형의 브래킷 개구부에 코깅토크 절편을 정확히 끼워맞추는 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번잡하다.
셋째, 브래킷의 결합홈에 용접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경우, 작업공정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코깅토크 절편이 브래킷으로부터 떨어질 우려를 배제할 수 없다.
1. 한국 등록특허 10-101144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코인형 무브러시 진동모터의 브래킷에 대하여 코깅토크 플레이트를 매우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충격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고 안정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진동모터의 브래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브래킷은,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을 가지며,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판상의 몸체; 이 몸체의 안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안착홈에 삽입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코깅토크 플레이트; 몸체의 안착홈 입구 둘레에 내향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코깅토크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를 감싸 고정하는 피팅버(fitting bur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피팅버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 진동모터의 브래킷을 제작하기 위한 제조방법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판상의 브래킷을 펀칭하여 상면에 코깅토크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깊은 안착홈을 형성하는 단계; 브래킷의 안착홈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코깅토크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단계; 코깅토크 플레이트가 삽입된 브래킷의 안착홈 입구 둘레를 소정깊이로 절단하여 피팅버를 형성함과 동시에 피팅버가 코깅토크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를 감싸주도록 내측으로 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진동모터 브래킷 제조방법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피팅버를 가공하는 단계가 브래킷의 안착홈에 코깅토크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하나의 공정으로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제작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에 의하면, 브래킷의 안착홈을 코깅토크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약간 깊게 형성하여 이에 코깅토크 플레이트를 삽입한 뒤, 안착홈의 입구 가장자리를 소정깊이로 절개하여 피팅버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측으로 절곡하여 코깅토크 플레이트 상면 가장자리를 감싸 고정하므로 종래에 비해 대단히 견고하고 안정되게 코깅토크 플레이트를 브래킷에 부착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낙하 등에 의한 강한 충격이나 반복되는 외부의 충격에도 코깅토크 플레이트가 브래킷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거의 없고, 항상 진동모터의 안정된 동작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깅토크 플레이트가 그의 타발과 동시에 브래킷의 안착홈에 삽입되고, 이와 동일한 공정에서 피팅버의 가공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브래킷의 제작공정 간소화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브래킷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브래킷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 브래킷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 브래킷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발췌 단면도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 브래킷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 브래킷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원판 스트립의 평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브래킷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브래킷(10)은, 예를 들어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원판상의 몸체(11)와, 자성체로 이루어져 몸체(11)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코깅토크를 발생시키는 코깅토크 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래킷(10)의 몸체(11) 일측에는 전원 입출력을 위한 접속탭(12)이 돌출 형성되고, 몸체(11)의 상면에는 코깅토크 플레이트(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착홈(13)이 소정깊이로 형성된다. 안착홈(13)의 깊이는 후술한 피팅버(14)의 형성을 위해 코깅토크 플레이트(20)의 두께보다 약각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실시 예에서 브래킷(10)의 안착홈(13)과, 이에 삽입되는 코깅토크 플레이트(20)는 3개의 날개부(21)를 등각도 간격으로 갖는 대략 바람개비 형태의 단일몸체로 구성되는데, 이는 단순한 예시로서 예컨대 복수개로 분할 구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마그네트(도시하지 않음)의 극수에 따라 날개부(21)가 2개 또는 4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브래킷(10) 몸체(11)의 안착홈(13) 입구에는 그에 삽입된 코깅토크 플레이트(20)의 상면 가장자리를 견고하게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피팅버(14)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피팅버(14)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브래킷(10)의 몸체(11)에 형성된 안착홈(13)의 둘레를 소정깊이로 절개하여 절개된 부위를 안쪽으로 꺾어줌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피팅버(14)는 코깅토크 플레이트(20)의 상면 가장자리 전 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로 분할 구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는 지장이 없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 브래킷(10)의 제작과정을 도 6 및 도 7을 병행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10)의 몸체(11) 상면에 금형의 다이(D)와 펀치(P)를 이용하여 안착홈(13)을 가공한다. 이때, 안착홈(13)의 깊이는 코깅토크 플레이트(20)의 두께보다 약간 깊게 가공한다.
다음,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의 안착홈(13)에 그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코깅토크 플레이트(20)를 삽입한다. 코깅토크 플레이트(20)는 별도의 공정에서 가공한 후 안착홈(13)에 삽입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깅토크 플레이트 원판스트립(S2)으로부터 타발됨과 동시에 몸체(11)의 안착홈(13)에 삽입된다.
이때, 코깅토크 플레이트(20)가 삽입된 브래킷(10) 몸체(11)의 안착홈(13)은 코깅토크 플레이트(20)의 상측으로 약간의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가장자리에 안쪽으로 경사진 날(C)을 갖는 피팅펀치(P1)로 브래킷(10) 몸체(11)의 안착홈(13) 가장자리 부위를 소정깊이만큼 펀칭한다.
그러면, 피팅펀치(P1)의 날(C)에 의해서 안착홈(13) 둘레의 몸체(11)의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피팅버(14)가 형성됨과 동시에 피팅버(14)가 피팅펀치(P1)의 날(C)에 형성된 안쪽의 경사면에 의해 내측으로 꺾이게 됨으로써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깅토크 플레이트(20)의 상면 가장자리를 견고하게 압착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피팅버(14)의 가공공정은 안착홈(13)에 대한 코깅토크 플레이트(20)의 삽입공정이 이후에 별도의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코깅토크 플레이트(20)의 삽입과 같은 공정에서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모터의 브래킷(10) 제작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 원판스트립(S1)과, 코깅토크 플레이트 원판스트립(S2)를 서로 교차하도록 스텝별로 진행시키는 연속금형을 통해 자동으로 진행된다.
10 : 브래킷 11 : 몸체
12 : 접속탭 13 : 안착홈
14 : 피팅버 20 : 코깅토크 플레이트
D : 다이 P ; 펀치
P1 : 피팅펀치 C : 날
S1 : 브래킷 원판스트립 S2 : 코깅토크 플레이트 원판스트립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판상의 브래킷을 펀칭하여 상면에 코깅토크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깊은 안착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안착홈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코깅토크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코깅토크 플레이트가 삽입된 상기 브래킷의 안착홈 입구 둘레를 소정깊이로 절단하여 피팅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피팅버가 상기 코깅토크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를 감싸주도록 내측으로 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팅버를 가공하는 단계가 상기 브래킷의 안착홈에 상기 코깅토크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하나의 공정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안착홈에 대한 상기 코깅토크 플레이트의 삽입단계는 코깅토크 플레이트의 타발과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
KR1020170096585A 2017-07-29 2017-07-29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 KR101934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585A KR101934205B1 (ko) 2017-07-29 2017-07-29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585A KR101934205B1 (ko) 2017-07-29 2017-07-29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205B1 true KR101934205B1 (ko) 2019-01-02

Family

ID=6502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585A KR101934205B1 (ko) 2017-07-29 2017-07-29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2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963A (ja) * 2003-07-31 2005-02-24 Tokyo Parts Ind Co Ltd モータ
KR101707112B1 (ko) * 2016-07-19 2017-02-27 이상의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963A (ja) * 2003-07-31 2005-02-24 Tokyo Parts Ind Co Ltd モータ
KR101707112B1 (ko) * 2016-07-19 2017-02-27 이상의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1621B2 (ja) ステータの製造方法、ステータ及びモータ
CN106972668B (zh) 定子
JP3579642B2 (ja) モータ構造
KR100563120B1 (ko) 외전형모터 및 그 모터 고정자의 조립방법
CN107112831B (zh) 电机
MX2007004614A (es) Maquina de reluctancia que tiene un espacio de aire no-uniforme entre un polo de un rotor y un polo de estator.
JP2001258187A (ja) 永久磁石モータの永久磁石埋め込み型回転子
JP2008306873A (ja) 多角形状外形の小型モータ
WO2002037643A2 (en) Permanent magnet electric machine having reduced cogging torque
US8513844B2 (en) Motor
EP1744437A3 (en) Self magnetizing motor and stator thereof
EP1330014A1 (en) Electric motor
KR101934205B1 (ko) 진동모터의 브래킷 제조방법
JP2008035649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ステータコア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04128822A (ja) スピーカ装置
JP3574581B2 (ja) 小型モータ
JPH09275599A (ja) 電気音響変換器
JP5277514B2 (ja) 回転電機の磁石付き回転子コアの製造方法
JP2003284306A (ja) 薄型ブラシレスdcモータ
JPH03124245A (ja) 内転型電動機固定子の製造方法
JP2004289936A (ja) 回転電機の回転子
EP2413472A1 (en) Segmented core motor stator
KR200436268Y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KR200356835Y1 (ko) 브래킷과 프레임이 일체형인 천정용 스피커
CN214479890U (zh) 定子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