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102B1 -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102B1
KR101934102B1 KR1020170097115A KR20170097115A KR101934102B1 KR 101934102 B1 KR101934102 B1 KR 101934102B1 KR 1020170097115 A KR1020170097115 A KR 1020170097115A KR 20170097115 A KR20170097115 A KR 20170097115A KR 101934102 B1 KR101934102 B1 KR 101934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currency
information
asset
exchange rate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윤재
이한욱
조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민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민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민은행
Priority to KR102017009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환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제공하고 실시간 환율변동 체크가 가능하며 거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은 외환과 환율에 대한 전문정보를 제공하는 환율정보부,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관한 정보와 원화자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제공하는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 상기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관한 정보와 원화자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환율정보부로부터 외환과 환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외화자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외화자산 분석부,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거쳐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도록 하고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와 사용자 단말을 매개하는 웹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Foreign currency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화자산에 투자하고자 하는 고객의 편의 향상을 위하여 외환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제공하고 환율 등의 변동에 대한 고객의 자산 평가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며 거래 시 실시간 환율변동을 체크할 수 있고 거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일상생활의 일부분이 될 정도로 활성화되면서, 금융거래에서 비대면 플랫폼의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비대면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외화 거래 시장에도 비대면 플랫폼이 도입되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기존에는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도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과 거래가 이루어지는 영역이 분리되어 있고, 투자자를 위한 컨텐츠가 투자자의 욕구에 비해 매우 부족했다.
뿐만 아니라, 거래 시 고객이 입력해야 하는 항목이 많았고, 보안매체를 통해야만 거래가 가능했으며, 거래한도와 환율입력에 대한 안전장치가 없어 실수로 거액의 거래를 할 위험과 환율 급변 시 의도한 바와는 다른 거래가 체결될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1449호(2017. 2. 3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거래 편의성을 도모하고, 거래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환과 환율에 대한 전문정보를 제공하는 환율정보부,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관한 정보와 원화자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제공하는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 상기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관한 정보와 원화자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환율정보부로부터 외환과 환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외화자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외화자산 분석부,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거쳐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도록 하고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매개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는,
사용자의 외화자산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차트로 표시하는 외화자산 구성 모듈,
사용자의 외화자산 및 전일자 종가로 환산한 외화자산의 원화환산 평가금액을 표시하는 외화자산 원화 평가 모듈,
임의의 기간 내의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을 기준으로 현재의 사용자의 외화자산을 원화환산하고 현재의 환율을 기준으로 현재의 사용자의 외화자산을 원화환산한 평가금액과 비교결과를 제공하는 외화자산 평가 변동 분석 모듈,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환율 변동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대한 원화환산 평가금액을 계산하고 현재 환율에 따른 원화환산 평가금액과 비교결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화자산 평가금액 예측 모듈을 포함하는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외화자산 구성 모듈은 통화별 외화자산 구성, 상품별 외화자산 구성, 또는 전체자산 대비 외화자산 구성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는 옵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되는 옵션에 부합하는 정보를 차트 정보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화자산 평가 변동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간 선택 옵션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기간 내에서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방법은 외환과 환율에 대한 전문정보를 제공하는 환율정보부,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관한 정보와 원화자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제공하는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 상기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관한 정보와 원화자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환율정보부로부터 외환과 환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외화자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외화자산 분석부,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거쳐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도록 하고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와 사용자 단말을 매개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나의 외화자산 웹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나의 외화자산 웹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 단말에서 외화자산 통화별 항목, 외화자산 상품별 항목, 또는 전체자산 대비 외화자산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외화자산 항목 선택 단계, 상기 외화자산 항목 선택 단계 이후에,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가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외화자산 항목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에 부합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외화자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 이후에, 상기 수신된 정보를 웹화면상에 차트를 출력하는 차트 표시 단계, 상기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 이후에, 외화자산 전체 금액, 전일자 종가, 및 전일자 종가 기준 원화 환산 평가금액을 웹화면상에 출력하는 외화자산 평가금액 표시 단계, 상기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간 선택을 입력하고, 상기 선택된 기간 내에서의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 상기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 기록 날짜, 상기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을 기준으로 계산한 사용자의 외화자산의 원화환산 평가금액, 및 현재대비 변동량을 웹화면상에 출력하는 외화자산 평가 변동 내역 표시 단계, 그리고 상기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환율변동폭을 입력하고, 상기 환율변동폭에 따라 환율, 원화환산 평가금액, 및 평가금액 차이를 웹화면상에 출력하는 외화자산 평가금액 예측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화자산 투자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외화자산 투자에 대한 정보부터 분석과 관리까지 한번에 접근 가능하여 고객 편의성이 향상되고 고객 만족도가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준환율 등의 기초 정보부터 고도의 기술적 분석에 이르는 다양한 투자정보를 한번에 취득가능하므로 다양한 니즈의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대한 다양한 각도의 분석을 제공하고 환율변동에 따른 평가금액의 예측 기능까지 구비하므로 체계적인 외화자산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웹화면에서도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환율 정보를 체크할 수 있으므로 거래의 정확성과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입력을 위해 입력해야 하는 항목을 대폭 축소하면서도 보안매체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실수에 의한 거액의 거래 발생을 방지하여 거래 편의성, 거래 안정성, 거래 정확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외화자산 분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에 의하여 구현되는 웹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추가적인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외환분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성에 의하여 구현되는 웹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추가적인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구성에 의하여 구현되는 웹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추가적인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구성 중 거래주문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성에 의하여 구현되는 웹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구성 중 거래체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구성에 의하여 구현되는 웹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9의 구성 중 사용자확인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추가적인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환율정보 요청 수신 단계를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추가적인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거래 화면 로딩 단계를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추가적인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은 외화자산 분석부(100), 환율정보부(200),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 그리고 웹서버(400)를 포함한다.
도 2는 외화자산 분석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은 외화자산 분석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구현되는 웹화면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사용자의 자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해당 사용자의 전체 데이터를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기 위하여 필요한 특정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환율정보부(200)로부터 환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외화자산 구성 모듈(110), 외화자산 원화 평가 모듈(130), 외화자산 평가 변동 분석 모듈(150), 그리고 외화자산 평가금액 예측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외화자산 구성 모듈(110)은 도 3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외화자산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준(통화별, 상품별, 전체자산 대비 비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에서 외화자산 구성 기준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정보를 차트로 표현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표시할 수 있다.
외화자산 원화 평가 모듈(130)은 환율정보부(200)와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화자산, 전일자 종가, 전일자 종가 기준의 외화자산의 원화환산 평가금액을 사용자 단말(500)에 표시할 수 있다.
외화자산 평가 변동 분석 모듈(150)은 사용자 단말(500)에 기간 선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기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화자산 평가 변동 분석 모듈(150)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기간 내에서 최저 환율 및 최고 환율을 선택할 수 있다. 외화자산 평가 변동 분석 모듈(150)은 상기 선택된 최저 환율 및 최고 환율을 기준으로 현재의 사용자 외화자산을 평가한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외화자산 평가 변동 분석 모듈(150)은 상기 평가 금액을 현재의 환율로 사용자의 현재 외화자산을 평가한 금액을 비교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현재의 환율은 전일자 종가 환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화자산 평가 변동 분석 모듈(150)은 예를 들어 1개월, 3개월, 6개월 등의 임의의 기간을 미리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임의의 기간 내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을 선정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외화자산 평가 예측 모듈(170)은 사용자 단말(50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환율 변동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대하여 원환환산 평가금액을 계산하고 상기 원화환산된 평가금액을 현재 환율에 따른 원화환산 평가금액과 비교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할 수 있다.
환율정보부(2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외화자산 분석부(100)에 외환과 환율에 관한 정보를 공급한다. 환율정보부(200)가 제공하는 정보는 미가공자료(raw data) 뿐만 아니라 차트나 기술적 분석 자료 등의 가공된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환율정보부(200)는 외환과 환율에 관한 전문기관일 수 있다.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는 본 발명에 따른 외화자산 분석 관리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의 자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외화자산 분석부(100)에 제공한다.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관한 정보와 원화자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정보는 하나의 금융기관에 국한되지 않고 접근가능한 금융기관 전체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웹서버(400)는 사용자 단말(500)을 거쳐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외화자산 분석부(1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외화자산 분석부(100) 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웹서버(400)는 외화자산 분석부(100)가 제시하는 정보와 서비스가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설명에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한 설명으로 대치하여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외화자산 분석 관리 시스템은 외화자산 분석부(100), 환율정보부(200),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 웹서버(400), 그리고 외환분석부(600)를 포함한다.
도 5는 외환분석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6은 외환분석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구현되는 웹화면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외환분석부(600)는 통신망을 통하여 환율에 관한 정보 또는 주요지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환율에 관하여 분석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환분석부(600)는 외환 데이터베이스(610) 및 외환 정보 서버(6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환 데이터베이스(610)는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된 환율에 관한 정보 또는 주요지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된 환율에 관한 정보는 USD, JPY, EUR, GBP, AUD, NZD, CAD, CNY 등 세계 각국의 통화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된 주요지수에 관한 정보는 KOSPI, KOSPI200, KOSDAQ, NIKKEI225, 상해A, 항생, 다우산업, 나스닥, S&P500, 유로스톡스50, WTI, 금 등의 주요지수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외환 데이터베이스(610)가 수신하거나 저장한 정보는 외환 정보 서버(630)로 송신될 수 있다.
외환 정보 서버(630)는 환율정보부(200) 또는 외환 데이터베이스(610)로부터 환율에 관한 정보 또는 주요지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환 정보 서버(630)는 수신한 환율에 관한 정보 또는 주요지수에 관한 정보를 활용하여 기술적 분석을 제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환 정보 서버(630)는 환율 주요지수 선택 모듈(631),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 기간 선택 모듈(635), 이동평균 안내 모듈(637), 차트 선택 모듈(639), 이동평균 선택 모듈(641), 차트 제시 모듈(643), 이동평균선 제시 모듈(645), 그리고 환율 주요지수 테이블 모듈(647)을 포함할 수 있다.
환율 주요지수 선택 모듈(631)은 환율과 주요지수 중 화면에 표시할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환율 주요지수 선택 탭을 제공할 수 있다(도 6 참조, ①). 환율 주요지수 선택 탭은 환율과 주요지수를 상호 배타적으로 선택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환율 주요지수 선택 모듈(631)은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환율 또는 주요지수를 선택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은 환율 주요지수 선택 모듈(631)로부터 사용자의 환율 주요지수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133)은 수신된 사용자의 환율 주요지수 선택 정보가 환율일 경우 USD, JPY, EUR, GBP, AUD, NZD, CAD, CNY 등의 특정 통화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란을 제공할 수 있다(도 6 참조, ②). 사용자 단말(500)에서는 상기 선택란에서 특정 통화를 선택할 수 있고,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은 상기 특정 통화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은, 상기 특정 통화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외환 데이터베이스(610)에 선택된 통화에 대한 환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외환 데이터베이스(610)는,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로부터 환율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시점에서 가장 가까운 시점의 상기 선택된 통화의 원화 환율에 관한 데이터를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로 송신한다.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은 상기 수신된 원화 환율에 관한 데이터를 원화 환율로 화면에 표시한다.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은 수신된 사용자의 환율 주요지수 선택 정보가 주요지수일 경우 KOSPI, KOSPI200, KOSDAQ, NIKKEI225, 상해A, 항생, 다우산업, 나스닥, S&P500, 유로스톡스50, WTI, 금 등의 특정 주요지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란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에서는 상기 선택란에서 특정 주요지수를 선택할 수 있고,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은 상기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은,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외환 데이터베이스(610)에 선택된 주요지수에 대한 지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외환 데이터베이스(610)는,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로부터 주요지수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시점에서 가장 가까운 시점의 상기 선택된 주요지수의 지수에 관한 데이터를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로 송신한다.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은 상기 수신된 지수에 관한 데이터를 지수의 표기 형식에 맞추어 화면에 표시한다.
기간 선택 모듈(635)은 차트와 이동평균선의 기준이 되는 기간을 선택하는 선택란 또는 선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기간 선택 모듈(135)은 몇 가지의 기간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일, 1개월, 3개월, 1년, 및 5년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도 6 참조, ③). 기간 선택 모듈(635)은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상기 기간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기간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기간 선택 정보는 차트 제시 모듈(643) 및 이동평균선 제시 모듈(145)로 송신될 수 있다.
이동평균 안내 모듈(637)은 이동평균선의 정의와 이동평균 매매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평균 안내 모듈(637)은 이동평균선의 정의를 안내하기 위해 이동평균선 버튼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도 6 참조, ④). 사용자 단말(500)에서 이동평균선 버튼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팝업창이 생성되면서 팝업창에 미리 설정된 이동평균선의 정의가 나타나는 방식으로 이동평균선의 정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평균 안내 모듈(637)은 이동평균 매매전략을 안내하기 위해 이동평균 매매전략 버튼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도 6 참조, ④). 사용자 단말(500)에서 이동평균 매매전략 버튼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팝업창이 생성되면서 미리 설정된 이동평균 매매전략이 나타나는 방식으로 이동평균 매매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되는 이동평균선의 정의와 이동평균 매매전략은 환율정보부(200)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환율정보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새로운 이동평균선의 정의 또는 새로운 이동평균 매매전략으로 업데이트되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차트 선택 모듈(639)는 차트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차트 선택 모듈(639)은 캔들차트, 바차트, 라인차트, 또는 P&F차트 등의 차트 종류를 선택하는 선택란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차트 선택 모듈(639)은 차트를 선택하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6의 ⑤와 같이 캔들 버튼과 라인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차트 선택 모듈(639)이 제공하는 차트 종류 선택 옵션은 차트 종류가 배타적으로 선택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트 선택 모듈(639)은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차트 종류를 선택하는 차트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차트 선택 정보는 차트 제시 모듈(643)로 송신될 수 있다.
이동평균 선택 모듈(641)은 이동평균을 산출하는 기간을 선택하도록 화면에 제공할 수 있는 선택란 또는 선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평균 선택 모듈(641)은 이동평균 산출 기간을 선택하는 옵션을 선택란 또는 선택 버튼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가지의 이동평균 산출 기간을 제시하는 경우에는 5일, 10일, 및 20일로 이동평균 산출 기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도 6 참조, ⑥).
이동평균 선택 모듈(641)은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이동평균 산출기간 선택 정보는 이동평균선 제시 모듈(645)로 송신될 수 있다.
차트 제시 모듈(643)은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로부터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를, 기간 선택 모듈(135)로부터 기간 선택 정보를, 그리고 차트 선택 모듈(139)로부터 차트 선택 정보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차트 제시 모듈(143)은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 기간 선택 정보, 차트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차트 제시 모듈(643)은 수신된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 기간 선택 정보, 차트 선택 정보에 부합하는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선택 정보가 USD/3개월/라인차트일 경우, USD 환율의 변동에 대하여 현재를 기준으로 3개월 전까지의 라인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차트 제시 모듈(143)은 차트 생성을 위하여 외환 데이터베이스(110)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차트 제시 모듈(143)은 수신된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 기간 선택 정보, 차트 선택 정보에 부합하는 차트 데이터를 환율정보부(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 제시 모듈(645)는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633)로부터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를, 기간 선택 모듈(635)로부터 기간 선택 정보를, 그리고 이동평균 선택 모듈(641)로부터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이동평균선 제시 모듈(645)은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 기간 선택 정보,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 제시 모듈(645)은 수신된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 기간 선택 정보,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에 부합하는 이동평균선을 생성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 제시 모듈(645)은 이동평균선 생성을 위하여 외환 데이터베이스(610)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이동평균선 제시 모듈(645)는 수신된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 기간 선택 정보,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에 부합하는 이동평균선 데이터를 환율정보부(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주요지수 테이블 모듈(647)은 외환 데이터베이스(610)로부터 USD 등의 특정 통화의 환율에 대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등락치, 등락률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환율 주요지수 테이블 모듈(647)은 환율정보부(200)로부터 USD 등의 특정 통화의 환율에 대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등락치, 등락률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주요지수 테이블 모듈(647)은 외환 데이터베이스(610)로부터 NASDAQ 등의 특정 주요지수에 대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등락치, 등락률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환율 주요지수 테이블 모듈(647)은 환율정보부(200)로부터 NASDAQ 등의 특정 주요지수에 대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등락치, 등락률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주요지수 테이블 모듈(647)은 수신된 환율 관련 데이터나 주요지수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도 6 참조, ⑦).
환율정보부(2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외화자산 분석부(100)와 외환분석부(600)에 외환과 환율에 관한 정보를 공급할 수 있다.
웹서버(400)는 사용자 단말(500)을 거쳐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외화자산 분석부(100) 또는 외환분석부(6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외화자산 분석부(100) 또는 외환분석부(600) 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웹서버(400)는 외화자산 분석부(100) 또는 외환분석부(600)가 제시하는 정보와 서비스가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설명에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한 설명으로 대치하여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외화자산 분석 관리 시스템은 외화자산 분석부(100), 환율정보부(200),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 웹서버(400), 외환분석부(600), 그리고 거래정보부(700)를 포함한다.
거래정보부(700)는 환율 정보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안내와 거래를 위한 주문, 변경, 또는 취소 등의 절차를 제어한다. 거래정보부(700)는 환율 안내 모듈(710) 및 거래 진행 모듈(7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거래정보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구현되는 웹화면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환율 안내 모듈(710)은 차트와 이동평균의 기준이 되는 기간을 선택하는 선택란 또는 선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환율 안내 모듈(710)은 차트와 이동평균의 기준이 되는 기간을 몇 가지로 제시하여 그 중에서 선택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 1개월, 3개월, 1년, 5년 중 하나의 기간 중에서 선택하도록 제시할 수 있다. 환율 안내 모듈(210)은 상기 기간 중 하나를 선택하는 기간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안내 모듈(710)은 이동평균선의 정의와 이동평균 매매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환율 안내 모듈(710)은 이동평균선의 정의를 안내하기 위해 이동평균선 버튼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에서 이동평균선 버튼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팝업창이 생성되면서 팝업창에 미리 설정된 이동평균선의 정의가 나타나는 방식으로 이동평균선의 정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평균 매매전략을 안내하기 위해 이동평균 매매전략 버튼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에서 이동평균 매매전략 버튼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팝업창이 생성되면서 미리 설정된 이동평균 매매전략이 나타나는 방식으로 이동평균 매매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되는 이동평균선의 정의와 이동평균 매매전략은 환율정보부(200)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환율정보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새로운 이동평균선의 정의 또는 새로운 이동평균 매매전략으로 업데이트되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환율 안내 모듈(710)은 차트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캔들차트, 바차트, 라인차트, 또는 P&F차트 등의 차트 종류를 선택하는 선택란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차트를 선택하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캔들 버튼과 라인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환율 안내 모듈(710)은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차트 종류를 선택하는 차트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안내 모듈(710)은 이동평균을 산출하는 기간을 선택하도록 화면에 선택란 또는 선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가지의 이동평균 산출 기간을 제시하는 경우에는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5일, 10일, 및 20일로 이동평균 산출 기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환율 안내 모듈(710)은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안내 모듈(710)은 상기 수신된 기간 선택 정보, 차트 선택 정보,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를 차트 제시 모듈(643)과 이동평균선 제시 모듈(645)로 송신할 수 있다. 환율 안내 모듈(710)은 수신된 기간 선택 정보, 차트 선택 정보,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에 부합하는 차트 데이터와 이동평균선 데이터를 차트 제시 모듈(643)과 이동평균선 제시 모듈(645)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환율 안내 모듈(710)은 수신된 차트 데이터와 이동평균선 데이터를 차트와 이동평균선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거래 진행 모듈(730)은 거래 주문, 거래 변경, 및 거래 취소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선택입력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택입력란은 거래가 신규인지 변경인지 또는 취소인지를 선택하는 거래구분란, 거래 유형이 매입인지 또는 매도인지를 선택하는 매매유형란, 주문 기준을 시장가로 할 것인지 또는 지정가로 할 것인지 선택하는 주문유형란, 주문통화를 선택하는 선택창을 제공하는 주문통화란, 주문금액을 입력하는 주문금액란, 원화지정계좌를 입력하거나 표시하는 원화지정계좌란, 그리고 계좌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계좌비밀번호란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 진행 모듈(730)은 환율조회란을 제공할 수 있다. 환율조회란은 거래 진행 시 해당 사용자의 거래에 적용될 실시간 환율인 고객환율을 표시할 수 있다. 고객환율은 일정시간마다 실시간 환율 변동 여부를 체크하여 변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체크 결과 환율이 변동되었을 경우 상승과 하락을 알리는 신호, 예를 들어 환율을 깜박거리도록 하는 등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환율은 수수료를 포함한 환율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래 진행 모듈(730)은 거래의 실행을 위한 실행 버튼과 입력된 정보의 초기화를 위한 재입력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환율정보부(2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외화자산 분석부(100), 외환분석부(600), 및 거래정보부(700)에 외환과 환율에 관한 정보를 공급할 수 있다.
웹서버(400)는 사용자 단말(500)을 거쳐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외화자산 분석부(100), 외환분석부(600), 또는 거래정보부(7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외화자산 분석부(100), 외환분석부(600), 또는 거래정보부(700) 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웹서버(400)는 외화자산 분석부(100), 외환분석부(600), 또는 거래정보부(700)가 제시하는 정보와 서비스가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설명에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한 설명으로 대치하여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은 외화자산 분석부(100), 환율정보부(200),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 웹서버(400), 외환분석부(600), 거래정보부(700), 거래주문부(800), 거래체결부(900), 그리고 사용자확인부(1000)를 포함한다.
도 10은 거래주문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11은 거래주문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구현되는 웹화면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주문부(800)는 거래정보부(700)로부터 실행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가동된다. 구체적으로 거래주문부(800)는 거래 진행 모듈(730)에서 제공하는 실행 버튼을 사용자 단말(500)에서 클릭하거나 터치하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그 실행이 시작될 수 있다.
거래주문부(8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미니 주문 모듈(810)을 제공할 수 있는데, 도 11은 6개의 미니 주문 모듈(810)을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각각의 미니 주문 모듈은 주문할 통화를 선택하는 통화선택란(812), 외화 거래할 금액을 입력하는 금액입력란(814), 매입 시 기준이 되는 현재의 환율인 조회매입환율(B)과 매입실행 버튼(817)을 제공하는 매입패널(816), 그리고 매도 시 기준이 되는 현재의 환율인 조회매도환율(S)과 매도실행 버튼(819)을 제공하는 매도패널(818)을 제공한다.
매입패널(816)은 매입 시 적용될 수 있는 환율 중 최저 환율을 추가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필요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매도 패널(818)은 매도 시 적용될 수 있는 환율 중 최고 환율을 추가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필요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각각의 미니 주문 모듈(810)은 전일에 대비한 환율의 등락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필요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도 12는 거래체결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13은 거래체결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구현되는 웹화면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체결부(900)는 미니 주문 모듈(810)이 제공하는 매입실행 버튼(817)이나 매도실행 버튼(819)을 사용자 단말(500)에서 클릭하거나 터치하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실행된다. 거래체결부(900)는 주문내역 확인 모듈(910), 주문 자동취소 모듈(930), 그리고 주문 진행 모듈(950)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내역 확인 모듈(910)은 거래주문부(800)에서 입력된 정보, 즉 주문통화/주문금액/매매유형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제시한다. 주문내역 확인 모듈(910)은 시장가나 지정가 등의 주문유형과 주문환율을 사용자 단말(500)에 제시한다. 주문환율은 외부 기관으로부터 직접 실시간 수신될 수 있다. 주문내역 확인 모듈(910)은 거래주문부(800)로부터 조회매입환율(B) 또는 조회매도환율(S)을 수신한다. 주문내역확인모듈(910)은 수신된 조회매입환율(B) 또는 조회매도환율(S)을 주문환율(T)과 비교하여 10% 이상 차이가 날 경우 알림 팝업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다.
주문 자동취소 모듈(930)은 해당 거래의 안전성을 체크한다. 주문 자동취소모듈(330)은 사용자확인부(1000)로부터 거래 가능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확인부(10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거래금액 한도 조건이 부합하는지 및 본인인증이 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확인부(10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거래 불가인 경우, 거래체결부(900)는 거래 진행을 중단하고 거래를 진행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5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거래체결부(900)는 미리 설정된 거래 시간 한도를 카운트다운(count down)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시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거래 체결을 요청하는 정보가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되지 않는 경우 거래진행을 중단하고 거래가 취소되었다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500)로 송신할 수 있다.
주문진행모듈(950)은 확인 버튼(952)과 취소 버튼(954)을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에서 확인 버튼(952)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주문 체결이 완료된다. 사용자 단말(500)에서 취소 버튼(954)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거래체결부(900)의 기능 수행이 취소되고 거래주문부(800)가 새롭게 호출될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확인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확인부(1000)는 거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확인부(100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010), 그리고 거래안전 확인 모듈(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010)는 거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시스템에 가입할 때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수정할 때,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입력되는 보안비밀번호, 거래 한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보안비밀번호는 6자리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래 안전을 위하여 상기 보안비밀번호 이외에 보안카드, OTP 등의 보안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거래안전 확인 모듈(1030)은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보안비밀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거래안전 확인 모듈(1030)이 수신하는 보안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할 때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래안전 확인 모듈(1030)은 수신된 보안비밀번호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010)의 보안비밀번호와 대비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은 보안카드, OTP 등의 보안매체로도 수행될 수 있다.
거래안전 확인 모듈(1030)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010)의 거래 한도와 거래주문부에서 입력된 주문 금액을 비교하여 거래금액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거래안전 확인 모듈(1030)에서 수행된 사용자 인증과 거래금액 인증은 주문자동취소 모듈(930)이 거래진행 가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주문 자동취소 모듈(930)로 송신될 수 있다.
환율정보부(2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외화자산 분석부(100), 외환분석부(600), 거래정보부(700), 거래주문부(800), 및 거래체결부(900)에 외환과 환율에 관한 정보를 공급할 수 있다.
웹서버(400)는 사용자 단말(500)을 거쳐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외화자산 분석부(100), 외환분석부(600), 거래정보부(700), 거래주문부(800), 또는 거래체결부(9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외화자산 분석부(100), 외환분석부(600), 거래정보부(700), 거래주문부(800), 또는 거래체결부(900) 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웹서버(400)는 외화자산 분석부(100), 외환분석부(600), 거래정보부(700), 거래주문부(800), 또는 거래체결부(900)가 제시하는 정보와 서비스가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5는 전술한 외화자산 분석부(100), 환율정보부(200),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 그리고 웹서버(400)를 포함하는 외화자산 분석 관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외화자산 분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화자산 분석 관리 방법은 나의 외화자산 웹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S110), 외화자산 항목 선택 단계(S120),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S130), 차트 표시 단계(S140), 외화자산 평가 금액 표시 단계(S150), 외화자산 평가 변동 내역 표시 단계(S160), 그리고 외화자산 평가 금액 예측 표시 단계(S170)를 포함한다.
나의 외화자산 웹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S11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0)에서 나의 외화자산 웹페이지를 선택하여 외화자산 분석부(100)가 웹서버(400)를 통해 제공하는 웹화면을 로딩한다.
나의 외화자산 웹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S110) 이후 외화자산 항목 선택 단계(S12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0)에서 외화자산 분석 차트를 선택하는 옵션(외화자산 통화별 항목, 외화자산 상품별 항목, 외화자산/전체자산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한다.
외화자산 항목 선택 단계(S120) 이후에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S130)에서,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외화자산 분석 차트 옵션에 부합하는 정보를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이때, 차트 자체가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환율정보부(200)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S130) 이후 차트 표시 단계(S140)에서,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여 외화자산 항목 선택 단계(S120)에 부합하는 차트를 생성하여 웹화면상에 출력한다. 외화자산 항목 선택 단계(S120)에서 차트 자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 단계에서의 차트 생성은 생략될 수 있다.
외화자산 평가 금액 표시 단계(S150)에서,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해당 사용자의 외화자산 전체 금액, 전일자 종가, 그리고 전일자 종가를 기준으로 계산한 원화 환산 평가금액을 웹화면상에 출력한다. 외화자산 평가 금액 표시 단계(S150)는 차트 표시 단계(S140)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외화자산 평가 변동 내역 표시 단계(S160)에서,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기간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상기 기간 선택 정보의 기간 내에서의 최저 환율과 해당 날짜, 최고 환율과 해당 날짜,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을 기준으로 계산한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대한 원화환산 평가금액, 그리고 현재대비 변동량(전일자 종가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외화자산을 원화로 환산한 평가금액과 최저 환율 또는 최고 환율을 기준으로 계산한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대한 원화환산 평가금액을 대비하여 산출한 변동량)을 웹화면상에 출력한다. 외화자산 평가 변동 내역 표시 단계(S160)는 차트 표시 단계(S140) 또는 외화자산 평가 금액 표시 단계(S150)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외화자산 평가금액 예측 표시 단계(S170)에서,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환율변동폭을 수신한다. 외화자산 분석부(100)는 수신된 환율변동폭에 따라 환율,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대한 원화환산 평가금액, 그리고 평가금액 차이(도 3, a-b)를 웹화면상에 출력한다. 외화자산 평가금액 예측 표시 단계(S170)는 차트 표시 단계(S140), 외화자산 평가 변동 내역 표시 단계(S160), 또는 외화자산 평가 변동 내역 표시 단계(S160)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6은 전술한 외화자산 분석부(100), 환율정보부(200),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 웹서버(400), 그리고 외환분석부(600)를 포함하는 외화자산 분석 관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설명에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한 설명으로 대치하여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환율정보 수신 단계(S210), 환율정보 저장 단계(S220), 환율정보 요청 수신 단계(S230), 필요정보 수신 단계(S240), 시각정보 생성 단계(S250), 시각정보 표시 단계(S260)를 포함한다.
환율정보 수신 단계(S210)에서, 외환분석부(600)는 통신망을 통하여 환율에 관한 정보 또는 주요지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환율에 관한 정보 또는 주요지수에 관한 정보는 환율정보부(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환율정보부(200)는 환율과 국내외 주요지수 관련 정보을 취급하는 전문기관일 수 있다.
환율정보 저장 단계(S220)에서, 외환 데이터베이스(610)가 환율정보부(200)로부터 수신된 환율에 관한 정보 또는 주요지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된 환율에 관한 정보는 USD, JPY, EUR, GBP, AUD, NZD, CAD, CNY 등 세계 각국의 통화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된 주요지수에 관한 정보는 KOSPI, KOSPI200, KOSDAQ, NIKKEI225, 상해A, 항생, 다우산업, 나스닥, S&P500, 유로스톡스50, WTI, 금 등의 주요지수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17은 환율정보 요청 수신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환율정보 요청 수신 단계(S230)에서, 외환 정보 서버(630)가 웹서버(400)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선택 옵션을 표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율정보 요청 수신 단계(S230)는 이원 선택 단계(S231), 특정 선택 단계(S232), 기간 선택 단계(S233), 차트 선택 단계(S234), 그리고 평균 기간 선택 단계(S2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원 선택 단계(S231)에서, 환율과 국내외 주요지수 중 화면에 표시할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에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환율 또는 주요지수를 선택하는 환율 주요지수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선택 단계(S232)에서, 수신된 환율 주요지수 선택 정보가 환율일 경우 USD, JPY, EUR, GBP, AUD, NZD, CAD, CNY 등의 특정 통화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란을 제공하고, 수신된 환율 주요지수 선택 정보가 국내외 주요지수일 경우 KOSPI, KOSPI200, KOSDAQ, NIKKEI225, 상해A, 항생, 다우산업, 나스닥, S&P500, 유로스톡스50, WTI, 금 등의 특정 주요지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란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간 선택 단계(S233)에서, 차트와 이동평균선의 기준이 되는 기간을 선택하는 선택란 또는 선택 버튼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기간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트 선택 단계(S234)에서, 차트의 종류를 선택하는 선택란이나 선택버튼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차트 종류를 선택하는 차트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평균 기간 선택 단계(S235)에서, 이동평균을 산출하는 기간을 선택하도록 화면에 제공할 수 있는 선택란 또는 선택 버튼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500)에서 입력되는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필요정보 수신 단계(S240)에서, 외환 정보 서버(630)가 외환 데이터베이스(610) 또는 환율정보부(200)에 수신된 환율 주요지수 선택 정보,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 기간 선택 정보, 차트 선택 정보,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하는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외환 정보 서버(630)는 송신한 환율 주요지수 선택 정보,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 기간 선택 정보, 차트 선택 정보,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외환 데이터베이스(610) 또는 환율정보부(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시각정보 생성 단계(S250)에서, 외환 정보 서버(630)가 수신된 환율 주요지수 선택 정보, 특정 통화 선택 정보 또는 특정 주요지수 선택 정보, 기간 선택 정보, 차트 선택 정보, 이동평균 산출 기간 선택 정보에 부합하는 차트와 이동평균선을 생성할 수 있다.
시각정보 표시 단계(S260)에서, 외환 정보 서버(60)에서 생성하거나 수신된 예를 들어 환율, 주요지수, 차트, 이동평균선 등 정보가 웹서버(400)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500)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전술한 외화자산 분석부(100), 환율정보부(200),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 웹서버(400), 외환분석부(600), 그리고 거래정보부(700)를 포함하는 외화자산 분석 관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설명에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한 설명으로 대치하여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거래 화면 로딩 단계(S310), 차트정보 요청 수신 단계(S320), 차트 표시 단계(S330), 거래정보 요청 수신 단계(S340), 고객환율 표시 단계(S350), 그리고 주문화면 로딩 단계(S360)를 포함한다.
도 19는 거래 화면 로딩 단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거래 화면 로딩 단계(S310)에서, 환율 안내 모듈(710)과 거래 진행 모듈(730)은 미리 설정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거래 화면 로딩 단계(S310)는 사전 설정된 차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312), 사전 설정된 거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314), USD에 대한 환율을 표시하는 단계(S316), 그리고 환율 갱신 단계(S31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차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312)에서, 환율 안내 모듈(710)은 차트와 이동평균의 기준이 되는 기간을 선택하는 선택란 또는 선택 버튼, 이동평균선의 정의와 이동평균 매매전략을 제공할 수 있는 선택 버튼, 차트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옵션을 제공하는 선택란 또는 선택버튼, 이동평균을 산출하는 기간을 선택하도록 화면에 제공할 수 있는 선택란 또는 선택 버튼, 미리 설정된 차트, 그리고 미리 설정된 이동평균선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거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314)에서, 거래 진행 모듈(730)은 거래구분란, 매매유형란, 주문유형란, 주문통화란, 주문금액란, 원화지정계좌란, 계좌비밀번호란, 환율조회란, 실행버튼과 재입력버튼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USD에 대한 환율을 표시하는 단계(S316)에서, 거래 진행 모듈(730)은 거래 화면 로딩 단계(S310) 진행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점에 업데이트된 USD 환율을 환율조회란에 표시할 수 있다.
환율 갱신 단계(S318)에서, 거래 진행 모듈(730)은 고객환율 표시 단계(S350)가 진행되기 전까지 USD 환율 변동을 체크하여, USD 환율 변동 업데이트가 감지될 경우, 변동된 USD 환율을 환율조회란에 표시할 수 있다.
차트정보 요청 수신 단계(S320)에서, 환율 안내 모듈(710)은 차트와 이동평균의 기준이 되는 기간을 선택하는 선택란 또는 선택 버튼, 차트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옵션을 제공하는 선택란 또는 선택버튼, 그리고 이동평균을 산출하는 기간을 선택하도록 화면에 제공할 수 있는 선택란 또는 선택 버튼을 통해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트 표시 단계(S330)에서, 환율 안내 모듈(710)은 차트정보 요청 수신 단계(S320)에서 수신된 정보에 부합하는 차트와 이동평균선을 사용자 단말(50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트와 상기 이동평균선은 환율 안내 모듈(710)에서 생성될 수 있고, 차트 제시 모듈(643)에서 생성되어 수신될 수 있고, 환율정보부(2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차트와 상기 이동평균선이 환율 안내 모듈(710)에서 생성되는 경우, 상기 차트와 상기 이동평균선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외환 데이터베이스(610) 또는 환율정보부(200)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에의 상기 차트와 상기 이동평균선의 표시는 웹서버(400)와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차트정보 요청 수신 단계(S320)와 차트 표시 단계(S330)는 거래정보 요청 수신 단계(S340), 고객환율 표시 단계(S350), 및 주문화면 로딩 단계(S360)와는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차트정보 요청 수신 단계(S320)와 차트 표시 단계(S33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정보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거래정보 요청 수신 단계(S340)에서, 거래 진행 모듈(730)은 상기 거래구분란, 상기 매매유형란, 상기 주문유형란, 상기 주문통화란, 상기 주문금액란, 상기 원화지정계좌란, 상기 계좌비밀번호란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고객환율 표시 단계(S350)에서, 거래 진행 모듈(730)은 사용자 단말(500)에서 주문통화란에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통화의 환율을 환율조회란에 표시할 수 있다. 거래 진행 모듈(730)은 표시된 통화의 환율이 업데이트 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외환분석부(600)에 업데이트 되는 환율의 최신 정보가 있을 경우, 환율조회란의 표시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주문화면 로딩 단계(S360)에서, 거래 진행 모듈(730)은 사용자 단말(500)에서 실행 버튼이 클릭되거나 터치되는 주문진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문진행 정보가 수신되면 거래 진행 모듈(730)은 거래주문부(800)로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면서 거래주문부(800)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0은 전술한 외화자산 분석부(100), 환율정보부(200),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 웹서버(400), 외환분석부(600), 거래정보부(700), 거래주문부(800), 거래체결부(900), 그리고 사용자확인부(1000)를 포함하는 외화자산 분석 관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설명에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한 설명으로 대치하여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시스템 접속 단계(S410), 거래 주문 단계(S420), 거래 확인 단계(S430), 거래 결제 단계(S440), 거래 인증 단계(S450), 그리고 거래 완료 단계(S460)을 포함한다.
시스템 접속 단계(S410)에서, 웹서버(400)는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는 웹화면을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아이디, 보안비밀번호, 기타 로그인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외화자산 거래 시스템에 접속하게 된다. 입력된 아이디, 보안비밀번호, 기타 정보는 사용자확인부(1000)로 전송될 수 있다. 시스템 접속 단계(S410)는 나의 외화자산 웹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S110) 이전, 환율정보 수신 단계(S210) 이전, 또는 거래화면 로딩 단계(S310) 이전에 진행될 수 있고, 상기의 경우 본 예시에서의 시스템 접속 단계(S410)는 생략될 수 있다.
거래 주문 단계(S420)에서, 거래주문부(8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미니 주문 모듈을 제공한다. 각각의 미니 주문 모듈은 거래 대상이 되는 외화/원화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D와 원화간 거래일 경우 사용자 단말(500)에서 "USD/KRW"를 선택한다. 사용자 단말(500)에서는 주문 금액을 각각의 미니 주문 모듈의 금액란에 기재할 수 있고 매입을 실행하거나 매도를 실행할 수 있다. 거래주문부(800)는 거래정보부(700)로부터 호출될 수 있다.
거래 확인 단계(S430)에서, 거래체결부(900)는 거래주문부(800)에서 입력된 정보, 즉 주문통화/주문금액/매매유형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제시하고, 시장가나 지정가 등의 주문유형과 주문환율을 사용자 단말(500)에 제시한다. 거래체결부(900)는 미리 설정된 거래 제한 시간을 카운트다운으로 표시한다. 거래체결부(900)는 거래 주문 단계(S420)에서 웹화면상에 표시된 환율과 거래 확인 단계(S430)에서 웹화면상에 표시된 환율이 10% 이상 차이가 날 경우 알림 팝업을 생성하여 환율 차이가 많이 난다는 사실을 경고할 수 있다.
거래 결제 단계(S440)에서, 거래체결부(900)는 웹서버(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하는 확인 버튼이 거래 제한 시간 내에 클릭되거나 터치되는지 또는 취소 버튼이 클릭되거나 터치되는지를 판단한다. 취소 버튼이 클릭 또는 터치되거나 거래 제한 시간 내에 확인 버튼이 클릭 또는 터치되지 않는 경우 거래체결부(900)는 종료되고 거래주문부(800)가 웹서버(400)를 통해 제공하는 웹화면이 사용자 단말(500)에 표시된다. 거래 제한 시간 내에 확인 버튼이 클릭 또는 터치되면 거래체결부(900)는 사용자확인부(1000)를 호출한다.
거래 인증 단계(S450)에서, 사용자확인부(1000)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거래가 체결 가능한지 체크한다. 거래 체결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은 보안비밀번호 일치여부 확인, 그리고 거래 한도 금액 체크를 포함한다. 사용자확인부(100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01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보안비밀번호와 거래 한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거래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거래 관련 정보는 본 시스템의 최초 가입 시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후에 수정될 수 있다. 로그인 시 입력된 보안비밀번호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010)의 보안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별도의 팝업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보안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아 거래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리고, 보안비밀번호의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입력된 거래 금액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010)에 저장된 거래 한도 금액을 초과하면 별도의 팝업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거래 한도 초과 사실을 알리고, 거래 금액의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거래 금액이 재입력되는 경우 새로운 거래 금액을 거래주문부(800)와 거래체결부(900)로 송신하며, 이에 따라 거래 금액이 갱신된다. 보안비밀번호가 일치하고 동시에 거래 한도를 만족하면 거래 가능 정보를 거래체결부(900)로 송신한다.
거래 완료 단계(S460)에서, 사용자확인부(1000)로부터 거래 가능 정보를 수신한 거래체결부(900)는 사용자 단말(500)에 거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고,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에 해당 거래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300)가 갱신되고, 사용자의 계좌가 거래 정보에 따라 정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외화자산 투자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외화자산 투자에 대한 정보부터 분석과 관리까지 한번에 접근 가능하여 고객 편의성이 향상되고 고객 만족도가 증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준환율 등의 기초 정보부터 고도의 기술적 분석에 이르는 다양한 투자정보를 한번에 취득가능하므로 다양한 니즈의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대한 다양한 각도의 분석을 제공하고 환율변동에 따른 평가금액의 예측 기능까지 구비하므로 체계적인 외화자산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거래 웹화면에서도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환율 정보를 체크할 수 있으므로 거래의 정확성과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보안입력을 위해 입력해야 하는 항목을 대폭 축소하면서도 보안매체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실수에 의한 거액의 거래 발생을 방지하여 거래 편의성, 거래 안정성, 거래 정확성이 증대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외화자산 분석부 110. 외화자산 구성 모듈
130. 외화자산 원화 평가 모듈 150. 외화자산 평가 변동 분석 모듈
170. 외화자산 평가 예측 모듈 200. 환율정보부
300.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 400. 웹서버
500. 사용자 단말 600. 외환분석부
610. 외환 데이터베이스 630. 외환 정보 서버
631. 환율 주요지수 선택 모듈 633. 환율 주요지수 제시 모듈
635. 기간 선택 모듈 637. 이동평균 안내 모듈
639. 차트 선택 모듈 641. 이동평균 선택 모듈
643. 차트 제시 모듈 645. 이동평균선 제시 모듈
647. 환율 주요지수 테이블 모듈 700. 거래정보부
710. 환율 안내 모듈 730. 거래 진행 모듈
800. 거래주문부 810. 미니 주문 모듈
812. 통화선택란 814. 금액입력란
816. 매입패널 817. 매입실행 버튼
818. 매도패널 819. 매도실행 버튼
900. 거래체결부 910. 주문내역 확인 모듈
930. 주문 자동취소 모듈 950. 주문 진행 모듈
952. 확인 버튼 954. 취소 버튼
1000. 사용자확인부 101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1030. 거래안전 확인 모듈

Claims (5)

  1. 외환과 환율에 대한 전문정보를 제공하는 환율정보부,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관한 정보와 원화자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제공하는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
    상기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관한 정보와 원화자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환율정보부로부터 외환과 환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외화자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외화자산 분석부,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거쳐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도록 하고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매개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는,
    사용자의 외화자산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차트로 표시하는 외화자산 구성 모듈,
    사용자의 외화자산 및 전일자 종가로 환산한 외화자산의 원화환산 평가금액을 표시하는 외화자산 원화 평가 모듈,
    임의의 기간 내의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을 기준으로 현재의 사용자의 외화자산을 원화환산하고 현재의 환율을 기준으로 현재의 사용자의 외화자산을 원화환산한 평가금액과 비교결과를 제공하는 외화자산 평가 변동 분석 모듈,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환율 변동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화자산에 대한 원화환산 평가금액을 계산하고 현재 환율에 따른 원화환산 평가금액과 비교결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화자산 평가금액 예측 모듈을 포함하는,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화자산 구성 모듈은
    통화별 외화자산 구성, 상품별 외화자산 구성, 또는 전체자산 대비 외화자산 구성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는 옵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되는 옵션에 부합하는 정보를 차트 정보로 제공하는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화자산 평가 변동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간 선택 옵션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기간 내에서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을 선택하는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외화자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외화자산 분석부가 웹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나의 외화자산 웹페이지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단계,
    상기 나의 외화자산 웹페이지가 선택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 단말에 의해 외화자산 통화별 항목, 외화자산 상품별 항목, 또는 전체자산 대비 외화자산 항목 중 하나가 선택되는 외화자산 항목 선택 단계,
    상기 외화자산 항목 선택 단계 이후에,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가 고객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외화자산 항목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에 부합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외화자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 이후에,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웹화면상에 차트를 출력하는 차트 표시 단계,
    상기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 이후에,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가 외화자산 전체 금액, 전일자 종가, 및 전일자 종가 기준 원화 환산 평가금액을 웹화면상에 출력하는 외화자산 평가금액 표시 단계,
    상기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 이후에,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기간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기간 내에서의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 상기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 기록 날짜, 상기 최저 환율과 최고 환율을 기준으로 계산한 사용자의 외화자산의 원화환산 평가금액, 및 현재대비 변동량을 웹화면상에 출력하는 외화자산 평가 변동 내역 표시 단계, 그리고
    상기 외화자산 정보 수신 단계 이후에, 상기 외화자산 분석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율변동폭을 수신하고, 상기 환율변동폭에 따라 환율, 원화환산 평가금액, 및 평가금액 차이를 웹화면상에 출력하는 외화자산 평가금액 예측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외화자산 관리 방법
KR1020170097115A 2017-07-31 2017-07-31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4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15A KR101934102B1 (ko) 2017-07-31 2017-07-31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15A KR101934102B1 (ko) 2017-07-31 2017-07-31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102B1 true KR101934102B1 (ko) 2018-12-31

Family

ID=6495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115A KR101934102B1 (ko) 2017-07-31 2017-07-31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10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2031B2 (ja) 取引管理装置、取引管理システム、取引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取引管理方法、プログラム
Collin‐Dufresne et al. Market structure and transaction costs of index CDSs
Basak et al. A model of financialization of commodities
US20200294126A1 (en) Cash flow rating system
US107408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high probability trade matches
JP4364164B2 (ja) 自動発注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97738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mpletion of repurchase agreements
JP2011070418A (ja) 金融商品の投資助言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憶媒体
US20030110123A1 (en) System for anonymity electronic commerce having crediting function and method
CN113646795A (zh) 信用分析支援方法、信用分析支援系统以及节点
US20080243668A1 (en) Authoriz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operation of a controlled device to permit an individual to perform an action
Qiu et al. Joint pricing and stocking decisions for a newsvendor problem with loss aversion and reference point effect
KR20150077841A (ko) 비체계적위험 감소를 위한 주식 포트폴리오 자동매매 방법 및 시스템
JP2017120583A (ja) 自動与信システム
KR20190013095A (ko) 외화자산 거래 시스템
KR101934102B1 (ko) 외화자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5874988B1 (ja) J−reitの買付及び売付のタイミングを判定するコンピュータ装置
JP2008243158A (ja) ポートフォリオ自動運用システム
JP2021018796A (ja) 金融商品取引管理装置、金融商品取引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20190013096A (ko) 외화자산 거래 시스템
JP2011128947A (ja) 資産運用支援サーバ、資産運用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1018736A (ja) 金融商品取引管理装置、金融商品取引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
Asuzu et al. INVENTORY TURNOVER AND FIRM PERFORMANCE OF QUOTED CONSUMER GOODS MANUFACTURING FIRMS IN NIGERIA
Kucia Risk Determinants in E-commerce Enterprise Oponeo. pl SA
JP2006011670A (ja) 自己仮装売買防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