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830B1 -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결된 캐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결된 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830B1
KR101933830B1 KR1020180073839A KR20180073839A KR101933830B1 KR 101933830 B1 KR101933830 B1 KR 101933830B1 KR 1020180073839 A KR1020180073839 A KR 1020180073839A KR 20180073839 A KR20180073839 A KR 20180073839A KR 101933830 B1 KR101933830 B1 KR 101933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l
data
information
tas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김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근 filed Critical 김홍근
Priority to KR1020180073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93Caches characterised by their organisation or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7/3038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운용부를 포함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결된 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용부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업데이트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캐싱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다른 제2 업무 설정 정보와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중복 설정 처리부, 및 업무 설정 전달부를 포함하는 캐시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결된 캐시 장치{Cache device connected with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erver}
본 발명은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결된 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이 등록 요청한 업무 설정 정보를 캐싱(caching)하여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의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술의 급속적인 발전에 따라, 이를 기업 경영 전반에 적용함으로써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실무자들에 의한 실수(Human Error)를 최소화하여 기업의 경영혁신을 달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 중 대표적인 정보 기술 솔루션으로는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ERP)) 시스템이 있다.
전술한 ERP 시스템은, 기업의 모든 영역에서 업무와 관련된 활동을 정보 기술과 결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으로서, 기업의 비즈니스와 관련된 모든 업무에 관한 정보를 전사적으로 통합 관리하고, 경영 정보에 기초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인사, 영업, 구매, 판매, 외주, 회계, 물류 및 생산 등의 기업의 전체적인 업무를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수행할 수 있어, 인적 및 물적 자원을 최적의 상태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ERP 시스템은 변화하는 기업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변경되는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 최종 사용자(end user)가 소스 레벨의 수정없이 업무 설정 정보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또는 추가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대한 기술 내용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5561 및 제10-185525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ERP 시스템은 최종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에 대한 검색 및 추출 동작이 수반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에 대한 부하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기존의 ERP 시스템은 최종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이 등록 요청한 업무 설정 정보를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때문에, 중복된 업무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공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ERP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중 일부 데이터를 캐싱하여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요청 시, 캐시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ERP 서버의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등록 요청한 업무 설정 정보와 ERP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업무 설정 정보의 중복된 부분에 대한 처리를 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중복된 부분이 저장되지 않도록 하는 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3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운용부(110)를 포함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100)와 연결된 캐시 장치(310)는,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업데이트부(311),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캐싱하는 데이터 저장부(313),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100)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기 저장된 다른 제2 업무 설정 정보와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중복 설정 처리부(315), 및 업무 설정 전달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제1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텍스트 형태인 제1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정보, 상기 제1 SQL 정보에 대한 제1 조회 조건값,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그리드 폼(grid form)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1 그리드 설정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제1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텍스트 형태인 제2 SQL 정보, 상기 제2 SQL 정보에 대한 제2 조회 조건값,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그리드 폼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리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제1 SQL 정보의 제1 SQL 유형 및 제1 SQL 내용이 각각 상기 제2 SQL 정보의 제2 SQL 유형 및 제2 SQL 내용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이 상기 제2 조회 조건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었다는 판단 하에,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 동일하게 포함된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값)을 상기 제1 SQL 정보의 제1 SQL ID 및 제1 SQL 설명,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 및 상기 제2 SQL 정보의 제2 SQL ID 및 제2 SQL 설명, 상기 제2 그리드 설정값과 매핑시키고, 매핑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싱하고, 상기 매핑 정보를 상기 업무 설정 전달부(317)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지 않았다는 판단 하에,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싱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상기 업무 설정 전달부(317)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무 설정 전달부(317)는, 상기 중복 설정 처리부(315)로부터 상기 매핑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매핑 정보를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여, 상기 운용부(110)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가 간접적으로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중복 설정 처리부(315)로부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여, 상기 운용부(110)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SQL ID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상기 제1 SQL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존재한다는 판단 하에,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제1 SQL ID를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제1 SQL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을 캐싱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는, 상기 운용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매핑 정보에 상기 제1 SQL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값)의 존재 유무가 판단되고, 상기 매핑 정보에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 값)이 존재한다는 판단 하에,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값)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상기 제1 데이터가 추출되면,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SQL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상기 그리드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매핑 정보에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상기 제1 SQL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가 추출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상기 제1 데이터가 추출되면,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100)로의 접속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업무 설정에 대한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제3 업무 설정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3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3 SQL 정보의 제3 SQL ID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3 그리드 설정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관련된 상기 매핑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요청과 함께 상기 변경 부분을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확인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와 관련된 상기 매핑 정보를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상기 제1 데이터를 변경하고,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요청과 함께 상기 변경 부분을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확인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상기 제1 데이터를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ERP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중 일부 데이터를 캐싱하여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요청 시에 캐시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ERP 서버의 처리 부하를 줄이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RP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RP 시스템에서의 캐시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RP 시스템에서의 모니터링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록 요청된 업무 설정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회 요청된 업무 설정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RP 서버로 사용자 단말이 접속될 시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변경 요청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 패턴에 따른 오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 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ERP)) 시스템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RP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RP 시스템에서의 캐시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RP 시스템에서의 모니터링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ERP 시스템은 ERP 서버(1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 캐시 장치(310), 및 모니터링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ERP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ERP 운용부(110) 및 업무 프로세스의 진행 시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ERP 서버(100)는 정보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요청되는 업무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ERP 서버(100)는 그 기능에 따라, 다수의 업무 모듈로 구성되어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ERP 운용부(110)와, 업무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별도의 웹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기능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ERP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210)과 연동하여 각종 작업 요청을 실시간으로 지연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고사양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물리적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RP 운용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과 관련된 인증 여부를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11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요청된 업무를 처리하는 업무 처리부(113), 및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가 설정된 업무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및 업무 처리부(113)에 포함된 모듈들에 반영하는 업무 설정 등록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처리부(111)는 사용자 단말(200)이 ERP 서버(100)에 접속하려고 할 때, 사용자 단말(200)로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는 예를 들어, 패스워드, 핀 코드, 음성 암호, 일회용 암호, 또는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처리부(111)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가 ERP 서버(100)에 접근 가능한 사용자(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 또는 접근 유효 기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인증 처리부(111)는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 또는 유효 기간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 등에 대한 처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업무 처리부(113)는 기업 업무에 따른 프로세스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업무 처리부(113)는 회계 모듈, 물류 모듈, 인사 모듈, 구매 모듈, 주문 처리 모듈, 및 생산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계 모듈은 기업 내에서 발생하는 수익 및 비용과 같은 돈과 관련된 회계 업무에 대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물류 모듈은 제품의 입고, 출고, 수송, 재고 창고 관리 등의 물류와 관련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인사 모듈은 근태 상태, 봉급 및 상여금, 채용, 교육과 관련된 훈련, 평가 및 진로 계획 등의 인사와 관련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구매 모듈은 제품 생산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자재 소요량의 계획 시 요구되는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주문 처리 모듈은 고객에 의한 주문, 구매 결정 및 발송 등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생산 모듈은 자재 소요 계획, 생산 지시, 외주 관리, 물품 관리, LOT 관리 및 현장 통제 등의 프로세스 처리할 수 있다.
업무 처리부(113)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거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처리부(113)는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캐시 장치(3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캐시 장치(310)는 업무 처리부(11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캐싱(caching)함으로써, 이후 사용자 단말(200)이 동일한 데이터를 요청할 시에 캐시된 데이터를 직접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RP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 부하가 줄어들 수 있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속도도 증가될 수 있다.
업무 설정 등록부(115)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가 설정된 업무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설정 등록부(115)는 캐시 장치(310)로부터 상기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업무 설정 등록부(115)는 캐시 장치(310)로부터 상기 업무 설정 정보 대신에 상기 업무 설정 정보와 관련된 매핑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매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시 장치(31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가 설정된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무 설정 정보가 기존의 업무 설정 정보와 중복된다고 판단되어 중복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을 중복된 부분과 매핑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핑 정보를 업무 설정 등록부(115)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는 중복된 부분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저장 공간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기업의 임원들 즉, 최종 사용자들에 할당되어 업무를 진행하기 위한 통상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OS))가 설치되는 컴퓨팅 장치로서, 정보 통신망을 통해 ERP 서버(100)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조회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는 ERP 서버(100)와 연동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210)이 설치되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210)을 통해 ERP 서버(100)로의 접속, ERP 서버(100)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업무 진행에 필요한 신규한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업무 설정 정보의 생성 및 등록 작업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210)은 상기 업무 설정 정보 예컨대, 데이터베이스(130)에 대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정보, 상기 SQL 정보에 대한 조회 조건값, 및 상기 데이터를 그리드 폼(grid form)으로 표시하기 위한 그리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업무에 따른 데이터 조회 방식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10)은 설정된 조회 방식과 관련된 화면을 자동 생성하는 동시에, 이를 모듈화하여 ERP 운용부(110)에 전달함으로써, 기 정의된 업무 프로세스에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를 추가하도록 등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210)은 ERP 접속부(211), SQL 등록부(212), 조회 조건 설정부(213), 그리드 설정부(214), 업무 설정 생성부(215), 데이터 처리부(216), 및 표시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ERP 접속부(211)는 ERP 서버(100)로의 접속과 관련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ERP 접속부(211)는 ERP 운용부(110)의 인증 처리부(111)로부터 인증 정보를 요청받으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 예를 들어, 패스워드, 핀 코드, 음성 암호, 일회용 암호, 또는 생체 정보 등을 획득하고, 획득한 인증 정보를 인증 처리부(111)로 전송할 수 있다.
SQL 등록부(212)는 ERP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SQL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컨대, SQL 등록부(212)는 소정의 업무 프로세스의 진행 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업무 관련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쿼리(query) 명령어를 입력 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통상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는 특정 문법에 따른 SQL을 통해 데이터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함에 따라, SQL 등록부(212)는 SQL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SQL ID, SQL 유형, SQL 설명, 및 SQL 내용을 입력 받아 SQL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미리 작성된 SQL의 초기값을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SQL 구문을 통해, 테이블(table) 생성 및 필드(field) 추가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며, SQL 등록부(212)는 표시부(217)를 통해, SQL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SQL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SQL 정보 입력 화면은 기 작성된 SQL 예문이 텍스트 박스 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SQL 예문을 수정하는 형태로 SQL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SQL 정보 입력 화면에는 SQL 정보 예컨대, SQL ID, SQL 유형, SQL 설명, 및 SQL 내용을 입력 받을 수 있는 UI 객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UI 객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등록한 복수의 SQL 정보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SQL ID)를 텍스트 형태로 입력 받을 수 있는 텍스트 박스, 기 정의된 SQL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 박스,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SQL 정보에 대한 설명을 기재할 수 있는 텍스트 박스, 및 기본 SQL 구문이 예시로서 텍스트 형태로 기재된 텍스트 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회 조건 설정부(213)는 상기 SQL 정보에 대한 조회 조건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조회 조건 설정부(213)는 상기 SQL 정보에 대입하여 실제 데이터를 요청하는 조회 조건값을 입력 받기 위한 컨트롤을 설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회 조건값은 상기 SQL 정보에 대한 입력되는 변수 등의 값이며, 이러한 상기 조회 조건값을 사용자 단말(200)에서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컨트롤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회 조건 설정부(213)는 데이터 조회 시 사용자 단말(200)에서 상기 조회 조건값을 질의하기 위한 컨트롤들의 화면 상의 위치, 너비, 입력 유형을 정의하는 속성을 설정하고, 해당 화면이 초기 호출되었을 때 표시되는 기본값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조회 조건 설정부(213)는 표시부(217)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조회 조건 입력 화면에서 상기 조회 조건값의 입력 부분에 대한 디자인을 설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회 조건 설정부(213)는 텍스트 박스 이외에도, 콤보 박스, 팝업 폼, 날짜 박스, 숫자 박스, 체크 버튼, 및 라디오 버튼 등의 다양한 UI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회 조건 입력 화면에는 모델 ID 및 모델명을 입력 받는 텍스트 박스, 하나 이상의 컨트롤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속성 입력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속성 입력창은 컨트롤 ID, 유형, 위치 속성, 기본값, 및 텍스트 속성 등을 필드로 가질 수 있다.
그리드 설정부(214)는 데이터의 수신 시 화면 상에 그리드 폼으로 표시하기 위한 그리드 설정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컨대, 그리드 설정부(214)는 조회된 데이터가 표시부(217)를 통해, 화면 상에 표시될 모델, 즉 그리드의 레코드(record) 및 필드 속성(attribute)을 입력 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ERP 시스템에서 조회된 각 데이터들은 그리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리드 설정부(214)는 표시부(217)를 통해 출력되는 그리드 설정 화면에서 데이터의 표시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그리드 설정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된 그리드 설정값은 상기 SQL 정보에 포함된 SQL 구문의 SELECT 절의 레코드들에 대한 필드들을 매핑시키며 각 필드에 대한 속성을 반영하게 된다. 이러한 그리드 설정부(214)에서 제공하는 UI 객체로는 텍스트 박스를 비롯하여, 숫자 박스, 날짜 박스, 및 체크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의 조회 결과 화면에서 그리드는 복수 개로 구분되어 각 그리드가 두 개의 윈도우 폼으로 나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는 하나의 윈도우 폼에 포함되는 것이 아닌 별도의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속성을 그리드 설정부(214)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상기 조회 결과 화면 내 윈도우 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리드 설정 화면에는 그리드 모델 ID 및 모델명을 입력 받기 위한 텍스트 박스, 그리드의 그룹 및 컬럼(레코드)의 이동 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라디오 버튼, 그리드 모델 ID 별로 각각의 순서, 유형, 너비 및 정렬 등에 대한 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속성 입력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속성 입력창의 필드값을 변경하여 상기 데이터의 조회 결과 화면에 대한 환경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드 설정 화면에는 상기 조회 결과 화면에서 데이터의 각 행에 대한 색상 및 필드들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는 설정 창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업무 설정 생성부(215)는 상기 SQL 정보, 상기 조회 조건값, 및 상기 그리드 설정값을 포함하는 업무 설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무 설정 정보를 ERP 운용부(110)에 전달하여 ERP 서버(100)에 등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업무 설정 생성부(215)는 ERP 운용부(110)로 새로운 업무 설정 정보의 등록 요청을 할 수 있고, ERP 운용부(110)는 수신한 새로운 업무 설정 정보를 기 등록된 다수의 업무 설정 정보와 같이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새로운 업무 설정 정보는 SQL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실행 시 다른 업무 설정 정보와 동일하게 데이터베이스(130)에 접근하는 데 이용될 수 있고, 동일한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업무 수행 시 생성된 업무 설정 정보를 호출하여 자신이 설정한 업무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ERP 서버(100)에 기 정의된 업무 설정 정보와 연계되어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를 추가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6)는 ERP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216)는 사용자로부터 SQL ID가 입력되면, 상기 SQL ID에 대응하는 업무 설정 정보에 따라, ERP 운용부(110)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처리부(216)는 SQL ID를 ERP 운용부(110)로 전송할 수 있고, ERP 운용부(110)는 수신된 SQL ID에 대응하는 업무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SQL 유형, SQL 내용, 및 조회 조건값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 및 상기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그리드 설정값을 데이터 처리부(216)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216)는 사용자가 입력한 SQL ID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17)를 통해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217)는 상기 그리드 설정값을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그리드 폼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 처리부(216)는 사용자로부터 SQL 문을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부(216)는 입력 받은 SQL 문을 ERP 운용부(110)로 전송하고, ERP 운용부(110)는 수신된 SQL 문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216)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16)는 업무 설정 정보 및 데이터의 변경을 ERP 서버(1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216)는 사용자로부터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입력을 수신하면,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요청을 ERP 운용부(110)로 전송할 수 있고, ERP 운용부(110)는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해당 업무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 처리부(216)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예: 필드 값)의 변경 입력을 수신하면, 데이터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요청을 ERP 운용부(110)로 전송할 수 있고, ERP 운용부(110)는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표시부(217)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217)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고,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캐시 장치(310)는 ERP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캐시 장치(310)는 ERP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에서 주고받는 신호 및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시 장치(310)는 ERP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일부 데이터를 캐싱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 요청 시 캐시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캐시 장치(310)는 사용자 단말(200)이 등록 요청한 업무 설정 정보와 ERP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30)에 기 저장된 업무 설정 정보의 중복된 부분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캐시 장치(310)는 데이터 업데이트부(311), 데이터 저장부(313), 중복 설정 처리부(315), 및 업무 설정 전달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캐시 장치(31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캐시 장치(310)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 외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는 ERP 서버(100)의 ERP 운용부(110)로부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ERP 운용부(110)로 업데이트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는 ERP 운용부(110)로부터 상기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SQL 유형, SQL 내용, 및 조회 조건값에 기반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된 데이터 및 상기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그리드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313)는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캐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이 ERP 서버(100)로 소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 저장부(313)는 ERP 운용부(110)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캐싱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저장부(313)는 사용자 단말(200)이 캐시된 데이터를 ERP 서버(100)로 요청할 시에, 캐시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바로 전송해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31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업무 설정 정보 및 데이터를 캐싱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저장부(31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새로운 업무 설정 정보의 등록 요청이 발생하면, ERP 서버(100)에 상기 업무 설정 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업무 설정 정보를 캐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313)는 사용자 단말(200)이 캐시된 업무 설정 정보에 따른 업무 프로세스를 요청할 시에, 캐시된 업무 설정 정보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RP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 부하가 줄어들고 데이터 응답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무 설정 정보가 ERP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30)에 기 저장된 다른 업무 설정 정보와 중복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새로운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1 SQL 정보의 제1 SQL 유형 및 제1 SQL 내용이 각각 데이터베이스(130)에 기 저장된 제2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2 SQL 정보의 제2 SQL 유형 및 제2 SQL 내용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1 조회 조건값이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2 조회 조건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었다는 판단 하에,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 동일하게 포함된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값)을 상기 제1 SQL 정보의 제1 SQL ID 및 제1 SQL 설명,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1 그리드 설정값, 및 상기 제2 SQL 정보의 제2 SQL ID 및 제2 SQL 설명,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2 그리드 설정값과 매핑시킬 수 있다. 예컨대,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서 중복된 부분과 중복되지 않은 부분들을 매핑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중복된 공통 부분에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서 중복되지 않은 부분과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서 중복되지 않은 부분이 매핑될 수 있다. 이 후,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매핑 정보를 업무 설정 전달부(317)에 전달하고, 업무 설정 전달부(317)가 상기 매핑 정보를 ERP 운용부(110)에 전달함으로써, ERP 운용부(110)가 상기 매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의 중복된 부분이 한번만 저장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의 중복되지 않은 부분과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의 중복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매핑 정보를 통해 저장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30)의 저장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핑 정보는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지 않은 경우,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그대로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싱하고, 업무 설정 전달부(317)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업무 설정 전달부(317)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ERP 운용부(110)에 전달함으로써, ERP 운용부(110)가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업무 설정 전달부(317)는 상기 중복 설정 처리부(315)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매핑 정보 또는 상기 업무 설정 정보를 ERP 운용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무 설정 전달부(317)는 상기 중복 설정 처리부(315)로부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 및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의 매핑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매핑 정보를 ERP 운용부(11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ERP 운용부(110)는 상기 매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30)에 간접적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업무 설정 전달부(317)는 상기 중복 설정 처리부(315)로부터 업무 설정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업무 설정 정보를 ERP 운용부(11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ERP 운용부(110)는 상기 업무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함으로써, 새로운 업무 설정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330)는 ERP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데이터 조회 또는 변경 요청에 대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업무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업무 패턴을 분석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ERP 서버(100)로 데이터 조회 또는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업무 패턴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조회 또는 변경 요청에 대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330)는 업무 패턴 분석부(331), 업무 오류 검출부(333), 및 정보 제공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모니터링 장치(33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장치(330)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 외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무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업무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상기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SQL 정보의 SQL 유형, SQL 내용, 및 조회 조건값으로 결정되는 데이터에 대한 조회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SQL 문을 통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조회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데이터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데이터에 대한 변경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SQL 문을 통해 사용자가 자주 수행하는 데이터의 변경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상기 조회 패턴이 가지는 데이터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테이블 또는 필드 등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가 검색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그 횟수에 따라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조회 패턴의 정보로 축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상기 변경 패턴이 가지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의 값에 관한 범위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변경 요청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의 변경 값이 가지는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테이블의 제1 필드 값을 최소 1의 값부터 최대 100의 값까지 변경한 이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테이블의 제1 필드에 대한 데이터의 변경 범위를 1 내지 1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가 변경한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변경 값의 범위를 변경 패턴의 정보로 축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에 대한 업무 시간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업무 설정 정보의 수신 시간 및 데이터의 변경 요청 시간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업무 시간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업무 설정 정보를 전송한 시간 또는 데이터를 변경한 시간이 하루 24시간 중 13시에서 17시 사이에만 국한된 경우,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가 ERP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의 조회 또는 변경을 처리한 시간 범위를 13시 내지 17시로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시간 범위를 상기 업무 시간 패턴의 정보로 축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정보 제공부(335)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업무 시간 정보를 ERP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정보 제공부(335)를 통해, 사용자의 출근 시간부터 퇴근 시간까지의 업무 시간 정보를 ERP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에 대한 장치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ERP 서버(100)에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종류 및 사용자 단말(200)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장치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ERP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의 조회 또는 변경을 처리한 장치(사용자 단말(200))의 종류를 상기 장치 이용 패턴의 정보로 축적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하면, 사용자가 제1 장치(예: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ERP 시스템에 접근한 시간 및 횟수, 또는 제2 장치(예: PC)를 이용하여 ERP 시스템에 접근한 시간 및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니터링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200)을 감지할 수 있는 하드웨어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감지 장치는 사용자 단말(200)이 ERP 서버(100)에 연결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종류 및 사용자 단말(200)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의 업무 패턴에 대한 분석 정보를 ERP 운용부(110)로 전송하여, ERP 운용부(110)로 하여금 상기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업무 패턴 분석부(331)를 통해 분석된 업무 패턴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의 조회 요청 및 변경 요청에 대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업무 패턴 분석부(331)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의 조회 패턴이 가지는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조회 요청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의 조회 요청에 오류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사용자가 자주 검색한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축적된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조회 요청이 기존의 검색한 데이터의 종류 중 하나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기존의 검색한 데이터의 종류가 아닌 다른 데이터의 종류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조회 요청에 대해서는 오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업무 패턴 분석부(331)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의 변경 패턴이 가지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의 값에 관한 범위를 설정한 정보에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변경 요청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의 변경 값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의 변경 요청에 오류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사용자가 자주 변경한 데이터에 대한 종류 및 데이터 값에 관한 범위를 축적한 정보를 기반으로 변경을 요청한 데이터의 값이 상기 데이터 값에 관한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변경되는 데이터 값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대한 변경 요청에 대해서는 오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테이블의 제1 필드에 대한 데이터의 변경 범위가 1 내지 100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1 테이블의 제1 필드 값을 1 내지 100 이외의 값으로 변경하려고 하는 경우, 오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업무 패턴 분석부(331)를 통해 분석된 업무 시간 패턴이 가지는 시간 범위를 설정한 정보에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조회 요청의 수신 시간 또는 변경 요청의 수신 시간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오류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사용자가 ERP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의 조회 또는 변경을 처리한 시간 범위를 축적한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조회 또는 변경 요청이 기존의 조회 또는 변경 요청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기존의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조회 또는 변경 요청에 대해서는 오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업무 시간 패턴이 하루 24시간 중 13시에서 17시 사이에만 국한된 경우, 사용자가 업무 설정 정보를 전송하려는 시간 또는 데이터를 변경하려는 시간이 13시 내지 17시 이외의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오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ERP 운용부(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업무 시간 정보에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조회 요청의 수신 시간 또는 변경 요청의 수신 시간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오류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사용자의 업무 시간 즉, 출근 시간부터 퇴근 시간까지의 업무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조회 또는 변경 요청이 사용자의 업무 시간 외에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업무 시간 외에 발생된 데이터의 조회 또는 변경 요청에 대해서는 오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업무 패턴 분석부(331)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장치 이용 패턴이 가지는 사용자 단말(200)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종류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오류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사용자가 ERP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의 조회 또는 변경을 처리한 장치(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축적된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조회 또는 변경 요청을 한 장치가 기존의 사용하던 장치와 동일한지를 확인할 수 있고, 기존의 사용하던 장치 이외의 장치를 통해 데이터의 조회 또는 변경 요청을 한 경우에 대해서는, 오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335)는 데이터의 조회 요청 및 변경 요청에 대한 오류에 관한 정보를 ERP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 제공부(335)는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오류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보 제공부(335)는 지정된 기간 동안 발생된 오류의 종류 및 발생 횟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류의 종류에 따른 발생 횟수를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테이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정보 제공부(335)는 지정된 기간 동안 발생된 오류의 종류 및 발생 횟수에 관한 정보를 ERP 운용부(110)로 전송하여, ERP 운용부(110)로 하여금 상기 오류의 종류 및 발생 횟수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부(335)는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오류가 검출된 경우,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을 ERP 운용부(110)에 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류가 있다고 예상되는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어, 불필요한 데이터 조회에 따른 처리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잘못된 데이터로의 변경으로 인한 업무 차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록 요청된 업무 설정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ERP 서버(100)와 연결된 캐시 장치(310)는, 동작 410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사용자 단말(200)의 업무 설정 생성부(215)로부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ERP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텍스트 형태인 제1 SQL 정보, 상기 제1 SQL 정보에 대한 제1 조회 조건값, 및 상기 데이터를 그리드 폼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1 그리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캐시 장치(310)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30)에 기 저장된 제2 업무 설정 정보와 중복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ERP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텍스트 형태인 제2 SQL 정보, 상기 제2 SQL 정보에 대한 제2 조회 조건값, 및 상기 데이터를 그리드 폼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리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SQL 정보의 제1 SQL 유형 및 제1 SQL 내용이 각각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SQL 정보의 제2 SQL 유형 및 제2 SQL 내용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이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조회 조건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지 않은 경우, 캐시 장치(310)는 동작 450에서,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캐시 장치(310)의 업무 설정 전달부(317)에 전달하고, 상기 업무 설정 전달부(317)는 전달받은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ERP 서버(100)의 ERP 운용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ERP 운용부(110)는 수신한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여 등록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싱할 수 있다.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된 경우, 캐시 장치(310)는 동작 470에서,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 및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의 중복된 부분을 매핑하고, 매핑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 동일하게 포함된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값)을 상기 제1 SQL 정보의 제1 SQL ID 및 제1 SQL 설명,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1 그리드 설정값, 및 상기 제2 SQL 정보의 제2 SQL ID 및 제2 SQL 설명,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2 그리드 설정값과 매핑시킬 수 있다. 예컨대,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서 중복된 부분과 중복되지 않은 부분들을 매핑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서 중복되지 않은 부분과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서 중복되지 않은 부분을 중복된 공통 부분에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매핑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싱할 수 있다.
이 후, 동작 490에서, 캐시 장치(31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상기 매핑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매핑 정보를 업무 설정 전달부(317)에 전달하고, 업무 설정 전달부(317)가 상기 매핑 정보를 ERP 운용부(110)에 전달함으로써, ERP 운용부(110)가 상기 매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의 중복된 부분이 한번만 저장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의 중복되지 않은 부분과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의 중복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매핑 정보를 통해 저장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30)의 저장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회 요청된 업무 설정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ERP 서버(100)와 연결된 캐시 장치(310)는, 동작 510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SQL ID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SQL ID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SQL ID는 사용자가 등록한 복수의 SQL 정보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캐시 장치(310)는 상기 SQL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그리드 설정값이 캐시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데이터 중 상기 SQL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그리드 설정값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QL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그리드 설정값이 캐시되어 있는 경우, 캐시 장치(310)는 동작 530에서, 캐시된 데이터 및 그리드 설정값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는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 처리부(216)로 캐시된 데이터 및 그리드 설정값을 바로 전송해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SQL ID를 통한 ERP 서버(100)의 데이터 검색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ERP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 부하가 줄어들고 데이터 응답 속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SQL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그리드 설정값이 캐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캐시 장치(310)는 동작 540에서 상기 SQL ID를 ERP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는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SQL ID를 ERP 서버(100)의 ERP 운용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ERP 운용부(11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매핑 정보에 상기 SQL ID에 대응하는 SQL 유형, SQL 내용, 및 조회 조건값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매핑 정보에 상기 SQL 유형, 상기 SQL 내용, 및 상기 조회 조건값이 존재하는 경우, ERP 운용부(110)는 상기 SQL 유형, 상기 SQL 내용, 및 상기 조회 조건값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매핑 정보에 상기 SQL 유형, 상기 SQL 내용, 및 상기 조회 조건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ERP 운용부(110)는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상기 SQL ID에 대응하는 업무 설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SQL 유형, SQL 내용, 및 조회 조건값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 후, 동작 550에서, 캐시 장치(310)는 ERP 서버(100)로부터 상기 SQL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그리드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는 ERP 운용부(110)로부터 상기 추출된 데이터 및 상기 SQL ID에 대응하는 그리드 설정값(예: 상기 매핑 정보에 포함된 그리드 설정값 또는 상기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그리드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560에서, 캐시 장치(310)는 수신된 데이터 및 그리드 설정값을 캐싱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ERP 운용부(110)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 및 상기 그리드 설정값을 캐싱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및 상기 그리드 설정값을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 처리부(216)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부(216)는 표시부(217)를 통해 수신된 그리드 설정값을 기반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그리드 폼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RP 서버로 사용자 단말이 접속될 시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ERP 서버(100)와 연결된 캐시 장치(310)는, 동작 610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ERP 서버(100)에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의 ERP 접속부(211)는 ERP 서버(100)로의 접속 시, ERP 운용부(110)의 인증 처리부(111)로부터 인증 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다. 이 경우, ERP 접속부(211)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 예를 들어, 패스워드, 핀 코드, 음성 암호, 일회용 암호, 또는 생체 정보 등을 획득하고, 획득한 인증 정보를 인증 처리부(1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인증 처리부(111)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ERP 서버(100)에 접근 가능한 사용자(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 권한 또는 접근 유효 기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이 ERP 서버(100)에 접속되면, 데이터 저장부(31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ERP 서버(100)로의 접속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접속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0)이 ERP 서버(100)에 접속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ERP 서버(100)에 접속되면, 캐시 장치(310)는 동작 630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업무 설정에 대한 이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는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업무 설정에 대한 이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저장부(313)는 사용자 단말(200)이 자주 수행한 업무 프로세스, 최근에 수행한 업무 프로세스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650에서, 캐시 장치(310)는 상기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캐시된 업무 설정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업무 설정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자주 수행한 업무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업무 설정 정보, 또는 최근에 수행한 업무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업무 설정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 670에서, 캐시 장치(310)는 선택된 업무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및 그리드 설정값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는 선택된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SQL 정보의 SQL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선택된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그리드 설정값을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 처리부(216)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부(216)는 표시부(217)를 통해 수신된 그리드 설정값을 기반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그리드 폼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도 6의 동작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은 ERP 서버(100)로의 접속 과정만을 거치더라도, 사용자가 자주 수행한 업무 프로세스 또는 최근에 수행한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변경 요청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ERP 서버(100)와 연결된 캐시 장치(310)는, 동작 710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데이터의 변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 처리부(216)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예: 필드 값)의 변경 입력을 수신하면, 데이터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변경 요청을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캐시 장치(310)는 상기 데이터의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캐시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는 수신된 변경 요청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데이터가 캐시되어 있는 경우, 캐시된 데이터를 상기 변경 요청에 포함된 데이터의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동작 750에서, 캐시 장치(310)는 상기 데이터의 변경 요청을 ERP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는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데이터의 변경 요청과 함께 상기 데이터의 변경 부분을 ERP 서버(100)의 ERP 운용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ERP 운용부(110)는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캐시 장치(310)는 데이터의 변경 요청뿐만 아니라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상기 업무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업무 설정 정보와 관련된 매핑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313)는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요청과 함께 상기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부분을 상기 ERP 운용부(11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ERP 운용부(110)는 상기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업무 설정 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캐시 장치(310)는 ERP 서버(100)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캐시 장치(310)의 데이터 저장부(313)는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을 ERP 서버(100)의 ERP 운용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ERP 운용부(110)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면, ERP 운용부(110)는 변경 여부에 대한 응답을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데이터 저장부(313)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업무 설정 정보가 변경된 경우, ERP 운용부(110)는 데이터 또는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확인 응답을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데이터 저장부(313)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저장부(313)는 데이터 또는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데이터 또는 업무 설정 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 또는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시 장치(310)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ERP 서버(100)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 패턴에 따른 오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ERP 서버(100)와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330)는, 동작 810에서,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장치(330)의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 처리부(216)로부터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업무 설정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ERP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텍스트 형태인 SQL 정보, 상기 SQL 정보에 대한 조회 조건값, 및 상기 데이터를 그리드 폼으로 표시하기 위한 그리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모니터링 장치(330)는 상기 업무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업무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장치(330)의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상기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SQL 정보의 SQL 유형 및 SQL 내용, 및 상기 조회 조건값으로 결정되는 데이터에 대한 조회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SQL 문을 통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조회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업무 패턴 분석부(33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데이터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데이터에 대한 변경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SQL 문을 통해 사용자가 자주 수행하는 데이터의 변경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모니터링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동작 840에서, 모니터링 장치(330)는 상기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장치(330)의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업무 패턴 분석부(331)를 통해 분석된 상기 조회 패턴이 가지는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제1 정보에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회 요청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의 조회 요청에 오류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사용자가 자주 검색한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축적된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조회 요청이 기존의 검색한 데이터의 종류 중 하나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기존의 검색한 데이터의 종류가 아닌 다른 데이터의 종류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조회 요청에 대해서는 오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니터링 장치(330)의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업무 패턴 분석부(331)를 통해 분석된 상기 변경 패턴이 가지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의 값에 관한 범위를 설정한 제2 정보에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변경 요청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의 변경 값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의 변경 요청에 오류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오류 검출부(333)는 사용자가 자주 변경한 데이터에 대한 종류 및 데이터 값에 관한 범위를 축적한 정보를 기반으로 변경을 요청한 데이터의 값이 상기 데이터 값에 관한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변경되는 데이터 값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대한 변경 요청에 대해서는 오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오류가 없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330)는 동작 850에서, 상기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을 ERP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 장치(330)의 정보 제공부(335)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을 ERP 서버(100)의 ERP 운용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RP 운용부(110)는 수신한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ERP 운용부(110)는 상기 조회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오류가 있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330)는 동작 860에서, 오류에 관한 정보를 ERP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장치(330)의 정보 제공부(335)는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오류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보 제공부(335)는 지정된 기간 동안 발생된 오류의 종류 및 발생 횟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류의 종류에 따른 발생 횟수를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테이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정보 제공부(335)는 지정된 기간 동안 발생된 오류의 종류 및 발생 횟수에 관한 정보를 ERP 운용부(110)로 전송하여, ERP 운용부(110)로 하여금 상기 오류의 종류 및 발생 횟수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장치(330)는 동작 860 또는 동작 860의 수행 후,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을 ERP 운용부(110)에 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330)의 정보 제공부(335)는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오류가 검출된 경우,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을 ERP 운용부(110)에 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류가 있다고 예상되는 데이터의 조회 요청 또는 변경 요청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어, 불필요한 데이터 조회에 따른 처리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잘못된 데이터로의 변경으로 인한 업무 차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사적 자원 관리(ERP) 서버 110: ERP 운용부
13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단말
210: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310: 캐시 장치
311: 데이터 업데이트부 313: 데이터 저장부
315: 중복 설정 처리부 317: 업무 설정 전달부
330: 모니터링 장치 331: 업무 패턴 분석부
333: 업무 오류 검출부 335: 정보 제공부

Claims (8)

  1. 데이터베이스(13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운용부(110)를 포함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100)와 연결된 캐시 장치(310)에 있어서,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업데이트부(311);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캐싱하는 데이터 저장부(313);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100)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기 저장된 다른 제2 업무 설정 정보와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중복 설정 처리부(315); 및
    업무 설정 전달부(31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제1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텍스트 형태인 제1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정보, 상기 제1 SQL 정보에 대한 제1 조회 조건값,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그리드 폼(grid form)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1 그리드 설정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제1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텍스트 형태인 제2 SQL 정보, 상기 제2 SQL 정보에 대한 제2 조회 조건값,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그리드 폼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리드 설정값을 포함하고,
    상기 중복 설정 처리부(315)는,
    상기 제1 SQL 정보의 제1 SQL 유형 및 제1 SQL 내용이 각각 상기 제2 SQL 정보의 제2 SQL 유형 및 제2 SQL 내용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이 상기 제2 조회 조건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었다는 판단 하에,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에 동일하게 포함된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값)을 상기 제1 SQL 정보의 제1 SQL ID 및 제1 SQL 설명,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 및 상기 제2 SQL 정보의 제2 SQL ID 및 제2 SQL 설명, 상기 제2 그리드 설정값과 매핑시키고, 매핑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싱하고, 상기 매핑 정보를 상기 업무 설정 전달부(317)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가 중복되지 않았다는 판단 하에,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싱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상기 업무 설정 전달부(317)에 전달하고,
    상기 업무 설정 전달부(317)는,
    상기 중복 설정 처리부(315)로부터 상기 매핑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매핑 정보를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여, 상기 운용부(110)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가 간접적으로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중복 설정 처리부(315)로부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여, 상기 운용부(110)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SQL ID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상기 제1 SQL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존재한다는 판단 하에,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제1 SQL ID를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제1 SQL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을 캐싱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캐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는,
    상기 운용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매핑 정보에 상기 제1 SQL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값)의 존재 유무가 판단되고,
    상기 매핑 정보에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 값)이 존재한다는 판단 하에,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값)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상기 제1 데이터가 추출되면,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SQL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상기 그리드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매핑 정보에 상기 제1 SQL 유형(상기 제2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상기 제2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상기 제2 조회 조건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상기 제1 SQL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가 추출되고,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SQL 유형, 상기 제1 SQL 내용, 및 상기 제1 조회 조건값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상기 제1 데이터가 추출되면,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그리드 설정값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캐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100)로의 접속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업무 설정에 대한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제3 업무 설정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3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3 SQL 정보의 제3 SQL ID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업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제3 그리드 설정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캐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와 관련된 상기 매핑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제1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요청과 함께 상기 변경 부분을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캐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확인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제2 업무 설정 정보와 관련된 상기 매핑 정보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캐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상기 제1 데이터를 변경하고,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요청과 함께 상기 변경 부분을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캐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는,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운용부(110)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311)를 통해, 상기 운용부(110)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변경 부분을 포함하는 변경 확인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 부분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313)에 캐시된 상기 제1 데이터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캐시 장치.
KR1020180073839A 2018-06-27 2018-06-27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결된 캐시 장치 KR101933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839A KR101933830B1 (ko) 2018-06-27 2018-06-27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결된 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839A KR101933830B1 (ko) 2018-06-27 2018-06-27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결된 캐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830B1 true KR101933830B1 (ko) 2018-12-28

Family

ID=6500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839A KR101933830B1 (ko) 2018-06-27 2018-06-27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결된 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8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454B1 (ko) * 2009-03-18 2009-07-08 주식회사 신시웨이 데이터베이스 로그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454B1 (ko) * 2009-03-18 2009-07-08 주식회사 신시웨이 데이터베이스 로그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4960B2 (en)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context related information in knowledge sources
JP5898126B2 (ja) 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による仕訳解析サービスを提供する仕訳解析センターシステム
US8578278B2 (en) Dynamic user interface content adaptation and aggregation
KR102249057B1 (ko) Gps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US20120254801A1 (en) Real-time menu architecture
US20070067338A1 (en) System for supporting introduction/operation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oftware
US201400257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tadata driven dynamic web services
JP5502251B1 (ja) 帳票データ管理サーバ、および帳票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CN105488574A (zh) 一种基于移动设备的可回收废品收集系统
US20140108397A1 (en) Computer-Implemented Document Manager Application Enabler System and Method
AU2016100635A4 (en) Software creation system
US10614130B1 (en) Content recommendation using layered types
US201402368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uggesting rules for data stored in a table
US20170193417A1 (en) Optimization of inventory and asset selection
US20090063318A1 (en) Reconciling Asset Attributes Values Before Saving to Asset Database
KR101933830B1 (ko)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결된 캐시 장치
KR101933831B1 (ko) 전사적 자원 관리 서버와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
JP3987018B2 (ja) 統合業務ソフトウェアの導入運用支援システム
CN115202711B (zh) 数据发布方法及系统
US20230195792A1 (en) Database management methods and associated apparatus
US11514488B1 (en) Automatic synchronization of payment data across distributed systems
JP48877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24140A (ko) 업무 프로세스 및 업무 프로세스 맵을 조회하고 관리하는시스템 및 방법
US20110145300A1 (en) Database system, server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database updating method
JP5558571B2 (ja) 携帯端末管理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