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681B1 - Continuous regeneration plant of solid absorbent - Google Patents

Continuous regeneration plant of solid absorb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681B1
KR101933681B1 KR1020170098025A KR20170098025A KR101933681B1 KR 101933681 B1 KR101933681 B1 KR 101933681B1 KR 1020170098025 A KR1020170098025 A KR 1020170098025A KR 20170098025 A KR20170098025 A KR 20170098025A KR 101933681 B1 KR101933681 B1 KR 10193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air
combustion
desorption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3886A (en
Inventor
박용순
최인성
김원호
김학민
유성재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ublication of KR2018011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83Regenerating or reactivating by thermal treatment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441 - B01J20/3475, e.g. by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 흡착제를 채워넣은 카트리지를 연속 반입하며 저온 가열 재생법으로 재생하기 위한 탈착설비 및 연소설비의 레이아웃을 구성함에 있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배치 및 흡기 공기의 최단거리 배관으로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는 배치에 의해서, 카트리지가 노출되는 실내의 공기를 흡기하여 냉각/탈착한 후 탈착물질을 연소 연료로도 회수하게 할 시에 배기가스와의 적절한 단계적 가열에 의해 최상의 탈착 효과 및 완전 연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배기가스의 폐열을 최대한 회수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함은 물론이고, 직접 대기 방출할 수 있는 온도로도 낮출 수 있는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탈착기 및 냉각기의 배열라인을 고려하여 흡기공기와 배기가스 사이의 열교환기 위치를 최적화하고, 공간을 상대적으로 많이 차지하는 연소설비의 배치를 최적화하도록 입출고설비 배열층, 탈착설비 배열층 및 연소설비 배열층에 배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iccation apparatus for continuously carrying in cartridges filled with a solid adsorbent and regenerating by a low-temperature heating regeneration method and a layout of a 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a space occupied by the apparatus is minimized, When the desorption material is recycled to the combustion fuel after the air in the room where the cartridge is exposed is cooled / desorbed and then the desorbed material is recovered as the combustion fuel, by the stepwise heating with the exhaust gas, the best desorption effect and the complete combustion eff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capable of lowering the fuel cost by lowering the waste heat of the exhaust gas to a maximum extent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to a direct atmospheric release. The position of the heat exchanger between the intake air and the exhaust gas is optimized, To optimize the arrangement of the ever more occupied combustion equipment is placed into the Shipping & Receiving equipment arrangement layer, removable layer and the equipment arrangement combustion equipment arrangement layer.

Description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CONTINUOUS REGENERATION PLANT OF SOLID ABSORBEN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본 발명은 고형 흡착제를 채워넣은 카트리지를 연속 반입하며 저온 가열 재생법으로 재생하기 위한 탈착설비 및 연소설비의 레이아웃을 구성함에 있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배치 및 흡기 공기의 최단거리 배관 설치로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는 배치를 갖춤으로써, 카트리지가 노출되는 실내의 공기를 흡기하여 냉각/탈착한 후 탈착물질을 연소 연료로도 회수하게 할 시에 배기가스와의 적절한 단계적 가열에 의해 최상의 탈착 효과 및 완전 연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배기가스의 폐열을 최대한 회수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함은 물론이고, 직접 대기 방출할 수 있는 온도로도 낮출 수 있는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1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iccation apparatus and a combustion system for laying out a cartridge filled with a solid adsorbent and continuously regenerating by a low-temperature heating regeneration method, When the desiccant material is recovered as the combustion fuel after the air in the room where the cartridge is exposed is cooled / desorbed and then the desorbent material is recovered as the combustion fuel, by the appropriate stepwise heating with the exhaust ga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capable of reducing the fuel cost by lowering the waste heat of the exhaust gas to the maximum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to a direct atmospheric release.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악취 및 인체 유해 물질이면서, 그대로 대기 방출시키면 빛과 반응하여 스모그 또는 환경오염 등을 유발하는 유해한 광화학 산화물을 생성하게 되므로, 이를 배출하는 시설에서는 일반적으로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방식으로 제거한다.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re odorous and harmful to humans. When they are released to the atmosphere as they are, they generate harmful photochemical oxides that react with light to cause smog or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fore, .

그런데, 활성탄처럼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고형 흡착제의 경우, 흡착물질이 쌓임에 따라 흡착능력이 점차 낮아지므로, 흡착능력을 상실한 포화상태에 이르면 교체하여 흡착능력이 갖게 하기도 하지만, 비용 절감을 위해서 흡착물질을 제거하여 재생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However, in the case of a solid adsorbent that adsorbs harmful substances such as activated carbon, the adsorption capacity gradually decreases as the adsorbed material accumulates. Therefore, when the adsorbent is saturated, It is preferable to use a method in which the audio signal is removed and reproduced.

고형 흡착제의 재생법으로는 고온 가열재생법, 저온 가열재생법, 감압법(PSA : Pressure Swing Absorption Process), 약품 재생법, 미생물산화법 등 여러 방법이 있으나, 회수된 흡착물질을 연소 연료로 사용하여 연소하고, 먼지 발생을 최소화하고,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며, 고형 흡착제의 물리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저온 가열재생법이 효율적이다.As the regeneration method of the solid adsorbent, there are various methods such as a high-temperature heating regeneration method, a low-temperature heating regeneration method, a PSA (Pressure Swing Absorption Process), a chemical regeneration method and a microbial oxidation method. However, A low-temperature heating regeneration method that burns, minimizes the generation of dust, utilizes waste heat of the exhaust gas, and minimizes the physical loss of the solid adsorbent is effective.

이러한 재생법 관련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302067호 및 등록특허 제10-1343558호가 있다.As a related art related to this regeneration method, there are the registered patent 10-1302067 and the registered patent 10-1343558.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탈착기의 구조나 아니면 개략적 계통도에 대한 기술만 보여주고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only show a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desorbing machine or the schematic diagram.

즉, 저온 가열재생법을 이용한 플랜트를 실제 구성할 시에는 그 방법이 갖고는 장점을 최대한 얻을 수 있게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더욱이, 고형 흡착제를 이용한 유해물질 흡착설비와 병행하여 시설할 수도 있어야 하므로, 이와 관련 기술이 요구된다.That is, it is important to configure the layout so that the advantages of the method can be maximized when actually constructing the plant using the low-temperature heating regeneration method.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the plant in parallel with the adsorption equipment for the harmful substances using the solid adsorbent Therefore, related technology is required.

KR 10-1302067 B1 2013.08.26.KR 10-1302067 B1 2013.08.26. KR 10-1343558 B1 2013.12.13.KR 10-1343558 B1 2013.12.13. KR 10-1385521 B1 2014.04.09.KR 10-1385521 B1 2014.04.09.

따라서 본 발명은 저온 재생가열법이 갖고 있는 장점을 최대한 얻을 수 있는 레이아웃을 갖춘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having a layout capable of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the low temperature regeneration heating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형 흡착제를 내부에 채운 카트리지(1)의 입출고 및 보관이 이루어지는 입출고설비 배열층(10), 입출고설비 배열층(10)의 위층으로서 탈착설비(A)를 배치하는 탈착설비 배열층(20), 및 탈착설비 배열층(20)의 위층으로서 연소설비(B)를 배치하는 연소설비 배열층(30)에 의해 적어도 3개층 건축물에 지지되게 한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설비 배열층(10)은 탈착할 카트리지를 입고 및 보관한 후 반입용 승강기(13)에 의해 위층으로 반입하기 위한 카트리지 입고실(11)과, 탈착한 카트리지를 위층으로부터 반출용 승강기(14)에 의해 받아 보관한 후 출고하기 위한 카트리지 출고실(12)로 구획되고, 상기 탈착설비(A)는 반입용 승강기(13)에서 반입받은 카트리지를 반출용 승강기(14)까지 일직선으로 이송하는 중에 복수의 탈착기(100)를 순차 통과시키며 반복 탈착한 후 냉각기(300)를 통과시켜 냉각하고, 이후 반출하고, 상기 연소설비(B)는 연소로(500) 및 연소로(500)의 배기가스 열로 온수 공급하는 보일러(510)로 이루어지는 배치라인과, 보일러(51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제2 열교환기(532) 및 제1 열교환기(531)를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한 후 외부 배출되게 할 배기라인(530)을 상호 평행하게 'U'자형으로 배열하되, 배기라인(530)이 탈착설비(A)와 상하로 평행하게 하며, 상기 연소로(500)의 흡기라인(520)은 카트리지 입고실(11)의 공기를 탈착설비(A)의 근처에 배치한 압입송풍기(522)로 흡기하여 상기 냉각기(300)를 경유하게 함으로써 상기 냉각기(300) 내의 카트리지를 냉각하게 한 후 상기 제1 열교환기(531)를 경유하게 하고, 이후 복수 탈착기(100)에 분배되어 각 탈착기(100) 내의 카트리지를 탈착한 후 합해지고, 상기 제2 열교환기(532)를 경유하여 상기 연소로(500)에 공급되게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iccant facility (A), which is an upper layer of an inlet / outlet facility arrangement layer (10) and an entry / exit facility arrangement layer (10) And a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for arranging a combustion facility (B) as an upper layer of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the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In the plant, the I / O facility arrangement layer (10) includes a cartridge loading chamber (11) for loading and storing a cartridge to be detached and then carrying it into an upper layer by an elevator (13) for loading and unloading, And a cartridge discharge chamber 12 for discharging the product after being stored by a lifting device 14 for lifting and discharging the cartridges received by the carrying-in elevator 13 from the take- To The burner 500 and the combustion furnace 5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desorbing devices 100 in sequence while being repeatedly desorbed and then passed through a cooler 300 to be cooled. And a boiler 510 for supplying hot water to the exhaust gas heat exchanger 532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boiler 510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The exhaust line 530 is parallel to the desorption facility A and the intake line 520 of the combustion furnace 500 is arranged to be parallel with the exhaust line 530 The air in the cartridge feed chamber 11 is sucked into the pressurized air blower 522 arranged near the desorption apparatus A to cool the cartridge in the cooler 300 by passing through the cooler 300, 1 heat exchanger 531, and then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desorbers 100, 100 and then supplied to the combustion furnace 500 via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탈착기(100) 및 냉각기(200)는 각각 카트리지를 내부에 소정시간 체류하게 한 상태에서 하부 입구를 통해 불어넣는 공기를 카트리지에 통과되게 한 후 상부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입구 및 출구는 각각 바닥 및 천정을 관통하게 한 후 흡기라인(520) 중에 접관되게 하되, 각 탈착기(100)의 입구는 입출고설비 배열층(10)의 천정 측에서 복수 탈착기(100)의 배열과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한 입구측 분배덕트(200)에 의해 균일한 기류의 공기를 유입받게 하고, 각 탈착기(100)의 출구는 연소설비 배열층(30)에서 복수 탈착기(100)의 배열과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한 출구측 분배덕트(200a)에 이어지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etachers 100 and the coolers 200 respectively allow the air blown through the lower inlet to pass through the cartridge while allowing the cartridge to stay therei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inlet and outlet are made to pass through the floor and the ceiling respectively and then are guided in the intake line 520. The inlet of each of the desorbers 100 is connected to the inlet / Side air distribution duct 200 arranged in parallel to the arrangement of the units 100 and the outlets of the respective desorbers 100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o the outlet-side distribution duct (200a) arranged in parallel to the arrangement of the desorber (100).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열교환기(531)는 상기 냉각기(300) 및 상기 입구측 분배덕트(200) 입구와 최단거리로 흡기라인(520)의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배기라인(530) 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532)는 상기 출구측 분배덕트(200a)의 출구와 최단거리로 흡기라인(520)의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배기라인(530) 중에 설치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may include an exhaust line (not shown) capable of installing the piping of the intake line 520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let of the cooler 300 and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is installed in an exhaust line 530 where the piping of the intake line 520 can be installed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outlet of the out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a.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열교환기(532)와 연소로(500) 사이의 흡기라인(520)의 배관은 2단 꺾인 배관에 의해 최단거리로 설치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ing of the intake line 520 between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and the combustion furnace 500 is installed at the shortest distance by a two-stage bent pipe.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착설비(A)를 상호 평행한 2개조로 탈착설비 배열층(20)에 배치하고, 컨베이어에 의해 상호 병렬로 이어놓아 반입용 승강기(13)로 반입받은 카트리지를 분배받아 병렬 처리하게 하며, 상기 연소설비 배열층(30)은 각 탈착설비(A)에 일대일 대응되는 상부 위치에 맞게 연소설비(B)를 배치하되, 어느 한쪽 연소설비(B)의 흡기라인은 카트리지 입고실(11)의 공기를 흡기하고 다른 한쪽 연소설비(B)의 흡기라인은 카트리지 출고실(12)의 공기 또는 탈착설비 배열층(20) 내의 공기를 흡기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orption facilities A are disposed in a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in two parallel tiers,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by a conveyor to be brought into the taking-in elevator 13 The combustion device arrangement layer 30 is arranged such that the combustion device B is disposed at an uppe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ne-to-one correspondence to the respective desorption devices A, The line sucks air in the cartridge feed chamber 11 and the suction line of the other combustion device B sucks the air in the cartridge discharge chamber 12 or the air in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탈착기(100)는 사이사이의 도어(170)를 개폐하여 카트리지(1)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각각은 하측에서 주입되는 저온 가열공기가 격자 구조의 가이드 베인(160)에 의해 구획된 확산관(140)을 통과되게 하여 카트리지(1)를 균일한 풍량으로 통과한 후 상측으로 배출되게 하고, 입구측 분배덕트(200)는 복수 탈착기(100)의 아래에서 카트리지(1)의 통과 순서상 마지막 탈착기(105)부터 두번째 탈착기(102)까지 분기관(231,232,233,234)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저온 가열공기를 분기하여 주입하고, 첫번째 탈착기(101)에게는 단부에 순차적으로 설치한 노멀밴드(220) 및 분기관(235)을 통해 저온 가열공기를 주입하되, 분기되는 지점의 관경을 상측으로 편심된 이형관으로 된 리듀서(210)의 개재에 의해 단계적으로 축소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출구측 분배덕트(200a)는 복수 탈착기(100)의 위에서 마지막 탈착기(105)부터 첫번째 탈착기(101)까지 상측 출구로 배출되는 저온 가열공기를 받아 배출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esorbers 100 are arranged in a line so as to sequentially open and close the door 170 between the cartridges 1, And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is connected to the diffusion tube 140 partitioned by the grid vanes 160 to allow the cartridge 1 to pass through the uniform air volume and then to be discharged upward, The low temperature heating air is branched and injected sequentially from the last desorber 105 to the second desorber 102 in the order of passage of the cartridge 1 under the apparatus 100 using the branch pipes 231, 232, 233 and 234,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is injected through the normal band 220 and the branch pipe 235, which are sequentially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machine 101, and the diameter of the branching point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ranches of the reducer 210 Staged down by And is in Keene structure, the outlet-side distribution duct (200a) to discharge the received low-temperature heated air that is discharged to the upper outlet to the end removable group 105 from first detachable group (101) on the plurality of the detachable unit 100.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는 각각 상기 확산관(14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50)을 구비하여서, 카트리지(1)를 우회하는 저온 가열공기의 풍량 조절로 카트리지(1)의 통풍구(1a)를 통해 고형 흡착제(1)를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게 하되, 카트리지(1)의 통과 순서가 앞설수록 고형 흡착제(1c)를 통과하는 풍량이 적어지게 각각의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에 구비된 상기 승강수단(150)을 제어하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etachers 100, 101, 102, 103, 104, and 105 each include elevating means 150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diffusion tube 140, The temperature of the solid adsorbent 1c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ir flow rate of the low temperature heating air bypassed through the air inlet 1a of the cartridge 1 so as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1, And controls the elevating means 150 provided in each of the desorbing devices 100: 101, 102, 103, 104 and 105 so that the amount of air passing therethrough is reduced.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베인(160)에 의해 구획된 각 확산 경로의 하측 입구는 상기 입구측 분배덕트(200) 내의 분기 전 기류 방향으로 쏠리게 하면서 축소시키고, 상기 확산관(140)의 내부는 상기 가이드 베인(160)의 상하에 각각 여유 공간을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inlet of each of the diffusion paths partitioned by the guide vane 160 is reduced while being diverted toward the branch flow direction in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and the diffusion tube 140 Have clearances above and below the guide vanes 160,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흡기공기를 통과시킬 냉각기 및 탈착기의 배열라인을 고려하여 흡기공기와 배기가스 사이의 열교환기 위치를 최적화하고, 공간을 상대적으로 많이 차지하는 연소설비의 배치도 최적화하여,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흡기라인의 최단거리 배관에 의해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고, 흡기공기와 배기가스 사이의 열교환이 적절하게 이루어져 최상의 탈착 효과 및 완전 연소 효과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배기가스의 폐열을 최대한 회수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함은 물론이고, 직접 대기 방출할 수 있는 온도로도 낮추어 대기 오염도 최소화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timizes the position of the heat exchanger between the intake air and the exhaust gas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line of the cooler and the desorber through which the intake air is to be passed and optimizes the arrangement of the combustion equipment occupying a relatively large space, The temperature change is minimized by the shortest distance piping of the intake line and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intake air and the exhaust gas is suitably performed to obtain the best desorption effect and the complete combustion effect while reduc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exhaust gas. The waste heat is recovered as much as possible, thereby reducing the fuel cost and also the temperature to be directly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ereby minimizing air pollu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에 의해 재생 공정 처리할 카트리지(1)를 예시하는 카트리지(1)의 사시도(a) 및 단면도(b).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를 지지하게 설치한 3개층 건축물의 내부 투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에 대해 건축물을 제외하고 탈착설비(A) 및 연소설비(B)의 구성요소 배치 및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와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로서, 도 2에서 가려진 흡기라인(520 : 520-1, 520-2, 520-3, 520-4, 520-5, 520-6)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입출고설비 배열층(10)의 평면도.
도 7은 탈착설비 배열층(20)의 평면도.
도 8은 연소설비 배열층(30)의 평면도.
도 9는 도 2에서 탈착기(100)가 설치된 부위만 부분 확대하여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
도 10는 입구측 분배덕트(200)의 분기관(231,232,233,234,235)으로 분기된 공기 유량의 편차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1은 탈착기(100)의 사시도.
도 12는 탈착기(100)를 종단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부분 확대도.
도 14는 탈착기(100)를 횡단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5은 도 14의 부분 확대도.
도 16 및 도 17은 확산관(140)을 상승시킨 상태의 도 12 및 도 13과는 다르게 확산관(140)을 하강시킨 상태의 도면.
도 18은 탈착기(100)에 도어(170)를 장착하기 이전, 상부 케이스(111)를 하부 케이스(112)에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부분 확대도.
도 20는 도 18에서 케이스(110) 실내에 카트리지(1)를 수용한 탈착기(100)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카트리지(1)를 하부 케이스(112) 상에 놓고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탈착기(100)에 대해서, 하부 케이스(112)에서 확산관(140), 승강 수단(150) 및 가이드 베인(160)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22 및 도 23은 가이드 베인(160)을 구성하는 격벽(151, 152)의 연직방향 기준 기울기 및 각 구획된 영역의 입구 크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a) and a sectional view (b) of a cartridge 1 illustrating a cartridge 1 to be regenerated by a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ner perspective front view of a three-story building installed to support a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cycling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 arrangement of the desorption facility A and the combustion facility B and the inter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luding the structur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4,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ake line 520 (520-1, 520-2, 520-3, 520-4, 520-5, drawing.
6 is a plan view of the I / O facility arrangement layer 10. Fig.
7 is a plan view of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Fig.
8 is a plan view of the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desorber 100 is installed in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variation of the air flow rate branched into branch pipes 231, 232, 233, 234, 235 of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sorber 100;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sorber 100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sorber 100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1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Figs. 16 and 1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ffusion tube 140 is lowered, unlike Figs. 12 and 13 in which the diffusion tube 140 is raised.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ase 111 separated from the lower case 112 before the door 170 is mounted on the desorber 100. FIG.
Fig. 19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8;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rtridge 1 placed on the lower case 112 to show the state of the detacher 100 housing the cartridge 1 in the case 110 in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ffusion tube 140, the elevating means 150 and the guide vane 160 are separated from the lower case 112 with respect to the desorber 100;
22 and 23 are sectional views showing vertical slopes of the partition walls 151 and 152 constituting the guide vane 160 and inlet sizes of the respective divided area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에 투입하여 재생 공정 처리할 카트리지(1)는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302067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도 1에 예시한 사시도(a) 및 단면도(b)를 참조하며 간략하게 설명한다.Since the cartridge 1 to be introduced into the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regenerated is described in detail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302067, ) And sectional view (b).

카트리지(1)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하면에 메쉬망(1b)을 친 통풍구(1a)를 구비하여 내부에 채워 넣은 고형 흡착제(1c)를 상하 통풍구(1a)를 통해 통풍시키는 가열공기에 의해 탈착되게 할 수 있고, 저면측에서 하측 통풍구(1a)의 외곽 테두리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로 이송하거나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등록특허 제10-1302067호에 개시한 카트리지를 뉘어놓은 구조로 보면 된다.The cartridge 1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s a ventilation hole 1a in which the mesh net 1b is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so that the solid adsorbent 1c filled in the cartridge 1 can be desorbed And can be conveyed or supported by the conveyor using the outer rim of the lower ventilation hole 1a on the bottom surface side. That is, the cartridg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10-1302067 can be considered 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rtridge is laid out.

여기서, 고형 흡착제(1c)는 예를 들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흡착하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 흡착제(1c)를 채워넣는 카트리지(1)를 흡착탑에 설치하여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데 사용하고, 유해물질의 흡착량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성능이 저하될 경우, 흡착된 유해물질을 탈착하여 흡착성능을 복원하는 재생 처리가 필요하다. Here, the solid adsorbent 1c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ctivated carbon adsorb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he cartridge 1 for filling the solid adsorbent 1c may be installed on the adsorption tower to adsorb toxic substances And when the adsorption performance decreases as the adsorption amount of the harmful substance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regeneration treatment for desorbing the adsorbed harmful substance to restore the adsorp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이러한 카트리지(1)의 재생 처리를 위한 플랜트로서, 고형 흡착제의 물리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탈착과정에서 고형 흡착제로부터 회수된 흡착물질을 연소하여 폐열 생산할 수 있는 예를 들어 150~200°로 저온 가열한 공기의 열풍에 의해 재생하는 저온 재생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for regenerating the cartridge 1, which minimizes the physical loss of the solid adsorbent, and is capable of producing waste heat by burning the adsorbed material recovered from the solid adsorbent during the desorption process, for example, at 150 to 200 ° Temperature regeneration method in which regeneration is performed by hot air of air heated at a low temperature is applied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는 재생 처리를 위한 탈착설비(A) 및 연소설비(B)를 적어도 3개층 건축물에 배열함에 있어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덕트(또는 배관)를 최단거리로 설치하게 한 레이아웃을 갖추어, 공간 활용 및 공정 효율을 극대화한다.For this purpose, in the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sorption facility A and the combustion facility B for regeneration treatment are arranged in at least three stories, ) At the shortest distance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and process efficienc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를 지지하게 설치한 3개층 건축물의 내부 투시 정면도이다.2 is an interior perspective front view of a three-story building installed to support a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cycling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의 개략적 계통도로서, 덕트(또는 배관)를 표시한 라인 중에 실선으로 표시한 라인은 흡기라인(520)이고, 파선으로 표시한 라인은 배기라인(530)이고, 1점 쇄선으로 표시한 라인은 연료나 염소 투인 라인이고, 2점 쇄선으로 표시한 라인은 온수 공급을 위한 라인이다.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ne denoting a duct (or pipe), a line indicated by a solid line is an intake line 520, The line indicated by the one-dot chain line is the fuel or the chlorine line, and the line indicated by the two-dot chain line is the line for supplying the hot wat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에 대해 건축물을 제외하고 탈착설비(A) 및 연소설비(B)의 구성요소 배치 및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배기라인(530 : 530-1, 530-2, 530-3, 530-4)을 자세히 보이게 하였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 arrangement of the desorption facility A and the combustion facility B and the inter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mponents, with the exception of the building, for the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exhaust lines 530 (530-1, 530-2, 530-3, and 530-4) are shown in detail.

도 5는 도 4와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로서, 도 4에서 가려진 흡기라인(520 : 520-1, 520-2, 520-3, 520-4, 520-5, 520-6)을 자세히 보여준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gle different from FIG. 4, and shows intake lines 520 (520-1, 520-2, 520-3, 520-4, 520-5, and 520-6) obscured in FIG.

도 6 내지 도 8은 건축물의 각 층별로 설치한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의 각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건축물 평면도로서, 도 6은 입출고설비 배열층(10)의 평면도이고, 도 7은 탈착설비 배열층(20)의 평면도이고, 도 8은 연소설비 배열층(30)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의 평면도를 살펴보면, 탈착설비(A) 및 연소설비(B)가 2개조 배치 설치된다. 물론, 본 플랜트를 위한 부속 설비도 있지만, 탈착설비(A) 및 연소설비(B)의 배치(layout)를 중심으로 도시하였다.6 to 8 are plan views showing respective components of a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installed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FIG. 6 is a plan view of the inlet / outlet arrangement layer 10, and FIG. 7 is a cross- FIG. 8 is a plan view of the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FIG. Referring to the plan views of FIGS. 6 to 8, the desorption apparatus A and the combustion apparatus B are arranged in two rows. Of course, there are accessory facilities for the plant, but the layout of the desorption facility (A) and the combustion facility (B) is mainly shown.

탈착설비(A) 및 연소설비(B)의 전반 동작을 제어하는 컨크롤러(600)는 탈착설비 배열층(20)의 여유 공간에 마련한 제어실을 설치 운용하게 하였다.The controller 600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sorption facility A and the combustion facility B has a control room provided in a free space of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는 입출고설비 배열층(10), 탈착설비 배열층(20) 및 연소설비 배열층(30)을 갖는 적어도 3개층 건축물에 탈착설비(A) 및 연소설비(B)를 배열한 것으로서, 입출고설비 배열층(10)에 입고 보관 중인 카트리지(1)를 탈착설비 배열층(20)으로 반입하여 탈착설비(A)로 탈착한 후 입출고설비 배열층(10)으로 반출하고, 탈착설비(A)의 저온 재생을 위한 열원을 공급하는 연소설비(B)가 연소설비 배열층(30)에 배치되고, 연소에 의한 배기가스는 옥상의 굴뚝을 통해 대기 배출시키게 되어 있다. 2, a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hree storeys having an inlet / outlet arrangement layer 10, a desorption arrangement layer 20, and a combustion arrangement layer 30 The cartridge 1 in which the cartridge 1 is put in and taken out of the desorption apparatus A and the burning apparatus B is arranged in the desorption apparatus A, (B) for carrying out the low-temperature regeneration of the desorption facility (A) is arranged in the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and the exhaust gas from the combustion is rooftop To the atmosphere.

이하, 도 3에 도시한 계통도를 참조하여서 개략적 배치 및 덕트에 의한 연결을 이해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사시도를 참조하여서 탈착설비(A) 및 연소설비(B)의 공간적 배치 및 흡기라인과 배기라인의 배관 경로를 이해하면서, 도 6 내지 도 8의 층별 평면도를 참조하면서 이해할 수 있게 상세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schematic diagram shown in Fig. 3, the schematic arrangement and the connection by the duct will be understood, and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desorption equipment A and the combustion equipment B, The piping paths of the lines and the exhaust lines will be understood and understoo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or plan views of FIGS. 6 to 8. FIG.

상기 입출고설비 배열층(1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의 입출고가 이루어지는 층으로서, 탈착할 카트리지(1)를 입고 및 보관하기 위한 카트리지 입고실(11) 및 탈착한 카트리지(1)를 보관 및 출고하기 위한 카트리지 출고실(12)로 구획되며, 건축물의 정면에서 보았을 시에 좌우로 구획하여 입고 작업 및 출고 작업을 상호 간섭받지 않고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I / O facility arrangement layer 10 is a layer through which the cartridge 1 is loaded and unloaded, and includes a cartridge loading chamber 11 for loading and storing the cartridge 1 to be loaded and unloaded, 1 and a cartridge outlet room 12 for storing and delivering goods, and can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arts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building, so that the goods receipt operation and the goods issue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mutual interference.

여기서, 카트리지 입고실(11)에는 입고 보관 중인 탈착 대상 카트리지(1)를 하나씩 상층의 탈착설비 배열층(20)으로 반입하기 위해 올리는 반입용 승강기(13)가 설치되어 있고, 카트리지 출고실(12)에는 상층의 탈착설비 배열층(20)에서 탈착 완료된 카트리지(1)를 반출함에 따라 하나씩 내려받아 보관하기 위한 반출용 승강기(14)가 설치되어 있되, 반입용 승강기(13)와 반출용 승강기(14) 사이의 이격 거리가 후술하는 탈착설비(A)의 배열 길이에 맞춰져 있다. Here, the cartridge loading room 11 is provided with a carry-in elevator 13 for loading the removable cartridges 1 to be loaded and stored one by one into the desorption arrangement layer 20 of the upper layer, Is provided with a carry-out elevator (14)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cartridge (1) once removed from the upper layer of the desorption facility array layer (20) 14 are aligned with the arrangement length of the desorption apparatus A described later.

카트리지 입고실(11)은 탈착 대상 카트리지(1)의 흡착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소로(500)의 흡기라인(520) 말단인 흡기덕트(521)로 흡기하여 배출하되, 이때의 흡기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 및 탈착하는 데 사용한 후 연소로에서 연소되게 한다.Since the cartridge loading chamber 11 may be contaminated by the adsorbent material of the cartridge 1 to be detached, it is sucked and discharged by the intake duct 521 at the end of the intake line 520 of the combustion furnace 500 as described later , And is used for cooling and desorbing using the intake air at this time, and then burned in the combustion furn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탈착설비(A) 및 연소설비(B)의 공간 차지를 최소함으로써 탈착설비(A) 및 연소설비(B)를 2개조 배치하며, 이에, 어느 한 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입고실(11)의 공기를 흡기하게 하고, 다른 한 조는 카트리지 출고실(12)의 공기를 흡기덕트(521)로 흡기하게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orption equipment A and the combustion equipment B are arranged in two by minimizing the space occupancy of the desorption equipment A and the combustion equipment B, The air in the cartridge feed chamber 11 is caused to be aspirated and the other group aspirates the air in the cartridge outlet chamber 12 into the intake duct 521. [

물론,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카트리지 입고실(11) 및 카트리지 출고실(12)에는 카트리지(1)의 입고 아니면 출고, 또는 반입 아니면 반출을 위해서 호이스트, 눕히거나 세우기 위한 반전기, 수평 이동을 위한 RGV(Rail Guided Vehicles) 또는 컨베이어, 들어올려 운반하기 위한 스테커 크레인 등이 배치된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cartridge loading chamber 11 and the cartridge discharging chamber 12 are provided with a hoist for reversing or laying out the cartridge 1, Rail guided vehicles (RGV) or conveyors for transport, and stoker crane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상기 탈착설비 배열층(20)은 상기 입출고설비 배열층(10)의 위층으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설비(A)가 배치된다.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is disposed above the I / O facility arrangement layer 10 as shown in FIG.

상기 탈착설비(A)는 카트리지 입고실(11)에 보관된 카트리지(1)를 반입하여 탈착한 후 카트리지 출고실(12)로 반출하는 설비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입고실(11)에서 카트리지를 승강시킨 위치(즉, 반입용 승강기의 상단 구조)로부터 카트리지 출고실(12)로 카트리지를 하강시키는 위치(즉, 반출용 승강기의 상단 구조)까지 카트리지(1)를 일직선으로 이송하는 중에 일렬로 연접시킨 복수의 탈착기(100)를 순차 통과하게 하여 반복 탈착한 후 냉각기(300)를 통과하게 하여 반출하기전 냉각하도록 구성된다.The desorption apparatus A is a facility for carrying in and out of the cartridge 1 stored in the cartridge receiving chamber 11 and carrying it out to the cartridge discharging chamber 12, (That is, the upper end structure of the carry-in elevator) from the position where the cartridge is lifted (i.e., the upper end structure of the carry-in lift) to the cartridge discharge chamber 12 A plurality of desorbers 100 sequentially connected in series and then repeatedly desorbed and then cooled through the cooler 300 before being taken out.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반입용 승강기(13)에서 카트리지(1)를 받는 반입 컨베이어(400)와 탈착 및 냉각 완료한 카트리지(1)를 반출용 승강기(14)에 넘겨주는 반출 컨베이어(440)의 사이에는, 탈착 대기실(410), 복수 탈착기(100), 냉각 대기실(420), 냉각기(300) 및 반출 대기실(430)을 순서에 따라 일렬로 연접 배치하였다.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carry-in conveyor 400 that receives the cartridge 1 from the carry-in elevator 13 and the carry-out conveyor 440 that transfers the removed and cooled cartridge 1 to the take-out elevator 14 The desorption waiting chamber 410, the plurality of desorbers 100, the cooling waiting chamber 420, the cooler 300 and the take-out waiting chamber 430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line.

여기서, 탈착 대기실(410), 개별 탈착기(100), 냉각 대기실(420), 냉각기(300) 및 반출 대기실(430)은 각각 카트리지(1)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한 도어에 의해 밀폐되는 실내 공간을 갖고 있되, 카트리지(1)를 인접 실내로 넘겨주거나 아니면 인접 실내에서 넘겨받기 위한 컨베이어를 개별적으로 실내에 구비하여서, 인접한 것끼리 그 사이에 있는 도어를 열어 카트리지(1)를 인접 실내로 운반하는 방식으로 카트리지(1)를 순차적으로 이송할 수 있고, 카트리지(1)를 각 실내에 소정시간 체류하게 할 시에는 도어를 닫아 밀폐된 실내에 있게 할 수 있다.Here, the detachment waiting room 410, the individual detacher 100, the cooling waiting room 420, the cooler 300, and the waiting-out waiting room 430 are closed by a door provided on the conveyance path of the cartridge 1 A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cartridge 1 to the adjacent room or a conveyor for passing the same through the adjacent room is individually provided in the room so that the adjacent one of the doors opens the door to transfer the cartridge 1 to the adjacent room The cartridge 1 can be sequentially transferr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the cartridge 1 is to be kept in each room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oor can be closed to be in the closed roo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착기(100)는 하나의 카트리지(1)를 수용하는 중간부위에서 카트리지(1)를 저면 양측 테두리를 지지하며 이송하게 한 실내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중간부위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하부구조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부구조를 갖추어서, 하부구조의 저면측 입구를 통해 불어넣는 공기가 카트리지(1)의 고형 흡착제를 통과하면서 탈착한 후 탈착물질이 기류에 의해 휩쓸려 상부구조의 상면측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er 100 has an interior conveyor which supports the cartridges 1 at the intermediate portion for accommodating one cartridge 1 and supports both side edges of the bottom of the cartridges, A lower structure whic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nd an upper structure whic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air blown through the bottom side inlet of the lower structure is desorb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of the cartridge 1,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surface side outlet of the upper structure.

이러한 탈착기(100)는 복수 개로 마련하여 카트리지(1)의 이송 경로를 따라 상호 연접시키되, 사이사이의 도어에 의해 카트리지(1)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A plurality of such detachers 100 may be provid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conveying path of the cartridge 1, but the cartridge 1 can b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door between the detachers 100.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각각의 탈착기(100)는 하부에 배치한 입구측 분배덕트(200)에 의해 분배된 공기를 주입받고, 상부측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부에 배치한 출구측 분배덕트(200a)에 의해 모여 배출된다. 또한, 입구측 분배덕트(200) 및 출구측 분배덕트(200a)는 복수 탈착기(100)의 배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한 후, 각 탈착기(100)의 입구 아니면 출구의 연직방향으로 분기관을 설치하여 각 탈착기(100)에 이어지게 한다.3 and 4, each of the desorbers 100 receives the air distributed by the inlet-side distribution duct 200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Side distribution duct 200a disposed in the outlet-side distribution duct 200a. The inlet-side distribution duct 200 and the outlet-side distribution duct 200a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desorbers 100, and then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let or outlet of each desorber 100,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detachers (100).

상기 냉각기(300)는 개별 탈착기(100)와 동일한 구조를 갖게 하였으며, 1개만 마련되어 있다.The cooler 30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individual despooler 100, and only one cooler 300 is provided.

여기서, 입구측 분배덕트(200)와 출구측 분배덕트(200a) 및 냉각기(300)의 입구와 출구는 후술하는 흡기라인(520) 상에 접관 배치된다.Here, the inlet and outlet of the inlet-side distribution duct 200, the outlet-side distribution duct 200a, and the cooler 300 are disposed on the intake line 5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입구측 분배덕트(200)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고 도 4의 계통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아래층인 입출고설비 배열층(10)의 천정 측에 설치하여서, 각 분기관(230)을 탈착설비 배열층(20)의 바닥을 뚫고 탈착기(100)의 하부측 입구에 이어지게 하고, 출구측 분배덕트(200a)는 위층인 연소설비 배열층(30)에 배치하여 탈착기(100)의 상부측 출구에 이어진 덕트를 탈착설비 배열층(20)의 천정을 뚫고 이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 도 2의 투시도에서 알 수 있듯이, 탈착설비 배열층(20)의 천정고 내에서 탈착기(100)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2, the inlet-side distribution duct 200 can be installed on the ceiling side of the I / O facility arrangement layer 10, which is a lower layer,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4, The out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a is disposed in the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which is the upper layer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desorber 100 A duct leading to the outlet is passed through the ceiling of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Thus, as can be seen from the perspective view of FIG. 2, the height of the desorber 100 in the ceiling of the desorber arrangement layer 2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마찬가지로, 상기 냉각기(300)도 탈착설비 배열층(20)의 바닥 및 천정을 뚫고 배관한 흡기라인(520) 상에 배치한다.Likewise, the cooler 300 is also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and on the intake line 520 piped through the ceiling.

또한, 상기 입구측 분배덕트(200)는 각 분기관(230)에 이어진 탈착기(100)에 균일한 유량으로 공기 공급하기 위해서, 복수 탈착기(100)의 배치라인과 직하에서 평행하게 배치되고, 연직방향의 분기관(230)을 순차적으로 배치되게 설치하되, 각 분리관이 설치된 위치의 관경이 흡기라인 상의 공기가 들어오는 쪽에서 멀어질수록 단계적으로 작게 하고, 관경이 서로 다른 구간 사이를 리듀셔(reducer)로 이어지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입구측 분배덕트(200)의 끝단에 설치하는 분기관, 즉, 공기가 들어오는 쪽에서 가장 먼 쪽에 설치한 분기관은 노멀밴드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여기서 설치한 복수의 분기관을 동일 관경을 갖게 하는 경우 분배덕트(200) 끝단에 설치한 분기관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므로, 다른 분기관 관경의 90% 내지 93%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let-side distribution duct 20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lacement line of the plurality of desorbers 100 in order to supply air at a uniform flow rate to the desorber 100 connected to each of the branch pipes 230 And the vertically oriented branch pipes 230 are disposed in order so that the diameters of the positions at which the respective separation pipes are installed are gradually reduced as the air on the intake line moves away from the inlet side, to a reducer. A branch pipe provided at an end of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that is, a branch pipe located farthest from the side where air is introduced is installed using a normal band. When the plurality of branch pipes provided here have the same diameter, the flow rate of the branch pipe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istribution duct 200 is relatively large, so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rate is within the range of 90% to 93% of the other branch pipe diameters .

그리고, 상기 입구측 분배덕트(200)의 리듀셔는 상측(즉, 탈착기 방향)으로 편심된 이형관(eccentric reducer)로 되어 있다.The desiccator of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is an eccentric reducer which is eccentric in the upper side (i.e., in the desorber direction).

상기 출구측 분배덕트(200a)는 복수 탈착기(100)의 배치라인과 직상에서 평행하게 배치하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배출 방향이 상기 입구측 분배덕트(100)의 공기 유입 방향과 반대가 되게 하는 것이 좋다.The outlet-side distribution duct 200a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arrangement line of the plurality of desorbers 100, 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air discharge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air inflow direction of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100 .

한편, 탈착 대기실(410)은 반입한 카트리지(1)를 복수 탈착기(100) 중에 연접한 탈착기에 넘기기 이전에 보관하는 것으로, 탈착기와의 사이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반입 컨베이어(400)로부터 넘겨받고, 탈착기에게 넘길 시에는 반입 컨베이어(400) 방향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넘김으로써, 탈착기 내 공기의 외부 방출을 최소화한다. Meanwhile, the detachment waiting chamber 410 stores the loaded cartridge 1 before it is transferred to a detacher connected to the detacher 100. The detachment waiting chamber 410 is detached from the detachment conveyor 400 in a closed state, And when it is handed over to the desorbing machine, the door in the direction of the loading conveyor 400 is closed, thereby minimizing the external discharge of air in the desorbing machine.

마찬가지로, 냉각 대기실(420)은 탈착기(100) 실내와 냉각기(300) 실내 사이에 직접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Likewise, the cooling chamber 420 serves to prevent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chamber of the desorber 100 and the chamber of the cooler 300.

반출 대기실(430)은 냉각기(300) 실내와 외부 사이에 직접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냉각기(300)의 도어를 열어 카트리지(1)를 반출 컨베이어(440)에 직접 전달하게 되면 냉각기(300) 실내의 기류가 외부로 흐르게 되므로, 이러한 기류를 차단하기 위해 반출 대기실(430)를 두었다.The take-out waiting room 430 serves to prevent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oler 300. That is, if the door of the cooler 300 is opened and the cartridge 1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carry-out conveyor 440, the airflow inside the cooler 300 flows to the outside. I hav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일렬로 배치하는 탈착설비(A)를 1개조 추가하여 나란하게 병렬 배치하고, 양측 반입 컨베이어(400) 사이에 분배용 컨베이어(400a)를 설치하고, 양측 반출 컨베이어(440) 사이에도 분배용 컨베이어(440a)를 설치한 후, 반입 승강기(13)와 직접 이어진 어느 한쪽 반입 컨베이어(400)에서 반입받는 카트리지(1)을 양측 탈착설비(A)에 분배하게 하고, 반출 승강기(14)와 직접 이어진 어느 한쪽 반출 컨베이어(440)에서 2개조 탈착설비(A)에서 탈착 처리된 카트리지(1)를 교대로 받아 반출하게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orption facilities A arranged in a line are additionally arranged in parallel in parallel, the distributing conveyor 400a is provided between the both side conveying conveyors 400, the both side conveying conveyors 440, The dispensing conveyor 440a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fer conveyor 400 and the transfer receiving conveyor 400 so as to distribute the cartridge 1 to be received from the one conveying conveyor 400 directly to the conveying elevator 13 to the both side separating apparatus A, 14 to be taken out of the two-piece dismounting facility (A) in a take-out conveyor (440).

그리고, 후술하는 흡기라인(520) 상의 압입송풍기(522)는 병렬 배치한 2개조 탈착설비(A) 사이에 각각 대응되는 탈착설비(A) 근처에 배치한다. The pressurized air blower 522 on the intake line 5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near the desorption apparatus A corresponding to the two-apparatus desorption apparatus A arranged in parallel.

상기 연소설비 배열층(30)은 상기 탈착설비 배열층(20)의 위층으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설비(B)가 배치된다.The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is disposed above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as shown in FIG.

상기 연소설비(B)는 연소로(500)에서 연료공급기(501)로부터 공급받는 연료를 공기를 주입받으며 연소시키고, 연소로(500)의 배기 가스를 보일러(510)에 경유하게 하여 보일러(510)로 온수 공급하며, 보일러(510)를 경유한 배기 가스를 제2 열교환기(532), 제1 열교환기(531) 및 유입송풍기(53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한 배기라인(530 : 530-1, 530-2, 530-3, 530-4)을 통과하게 한 후 옥상의 굴뚝(534)을 통해 대기 배출되게 한다.The combustion apparatus B is a system in which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supplier 501 in the combustion furnace 500 is injected with air and burned and the exhaust gas of the combustion furnace 500 is passed through the boiler 510, The exhaust line 530 (530 - 530) for supplying the exhaust gas passed through the boiler 510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and the inflow blower 533 sequentially, 1, 530-2, 530-3, and 530-4, and then discharged to the air through the chimney 534 on the roof.

그리고, 도 3의 계통도를 먼저 참조하며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카트리지 입고실(11)에서 흡기덕트(521)를 통해 흡기한 공기를 연소로(500)에 주입하기 위해서 배관 설치하는 흡기라인(520 : 520-1, 520-2, 520-3, 520-4, 520-5, 520-6)이 냉각기(300), 제1 열교환기(531), 탈착기(100) 및 제2 열교환기(532)를 순차 경유하게 하게 구성된다.3, an intake line 520 (see FIG. 3) for installing piping for injecting air, which is drawn in through the intake duct 521 in the cartridge loading chamber 11, into the combustion furnace 500, 520-1, 520-2, 520-3, 520-4, 520-5 and 520-6 are connected to the cooler 300,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the desorber 100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 Sequentially.

이에 따라, 냉각기(300)를 통과하는 카트리지(1)를 흡기 공기로 냉각한 후 카트리지 출고실(12)로 반출되게 하고, 냉각기(300)를 통과하여 1차 가열된 흡기 공기를 제1 열교환기(531)에 의해 2차 가열한 후 탈착기(100)로 통과되게 함으로써 탈착기(100)를 통과하는 카트리지(1)를 저온 탈착할 수 있다.Thus, the cartridge 1 passing through the cooler 300 is cooled by the intake air and then is taken out to the cartridge discharge chamber 12, and the intake air which is first heated through the cooler 300 is discharg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The cartridge 1 can be desorbed at a low temperature by passing the desorbent 100 through the desorbent 100 after being secondarily heated by the desiccant 531.

또한, 탈착 과정에서 일부 열 손실된 흡기 공기를 제2 열교환기(532)로 2차 고열 가열한 후 연소로(500)에 주입함으로써 탈착 과정에 의해 유입된 탈착물질을 열원용 연료로 하여 완전 연소시킬 수 있다. 결국, 연료 공급기(501)에서 공급받는 연료에 의한 열원에 더하여 탈착물질에 의한 열원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ake air, which has been partially desorbed in the desorption process, is secondarily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by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and then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furnace 500, whereby the desorbed material introduced by the desorption process is completely burned . As a result, in addition to the heat source by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supplier 501, a heat source by the desorbing material can be obtained.

또한, 배기 가스를 제2 열교환기(532) 및 제1 열교환기(531)에 순차 통과시킨 후 대기배출하는 유입송풍기(533)는 현저하게 온도 낮춘 공기를 펌핑하여 대기 배출할 수 있다.Further, the inflow fan 533, which sequentially exhausts the exhaust gas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and then discharges the air to the atmosphere, can pumped air having significantly lowered temperature and discharge it to the air.

여기서, 연소로(500) 및 보일러(510)를 일렬로 배치 연결한 연소/온수공급 구간과, 배기라인(530) 중에 제2 열교환기(532) 및 제1 열교환기(531)를 통과하는 열교환 구간(530-2)을 상호 평행하게 하고, 제2 열교환기(532)와 보일러(510) 사이(530-1)를 2단 꺾임 배관으로 이어서, 연소설비 배열층(30)의 바닥에 'U'자를 그리듯이 배열된다. 그리고, 연소/온수공급 구간과 열교환 구간(530-2) 사이의 간격은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여유 공간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좁게 하는 것이 좋다. Hot water supply section in which the combustion furnace 500 and the boiler 510 are arranged in a row and a heat exchanging section 530 in the exhaust line 530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Section 530-2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and the boiler 5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wo-stage bending pipe, '. The interval between the combustion / hot water supply section and the heat exchange section 530-2 is preferably as narrow as possible except for the space for installation and management.

또한, 배기라인(530)의 열교환구간(530-2)은 아래층(즉 탈착설비 배열층, 20)에 설치한 탈착설비(A)의 배치라인과 상하로 평행하게 한다. 이때의 상하 평행 배치는 흡기라인(52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반드시 연직 방향으로 평행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아니하며, 다만 흡기라인(520)의 설치를 위한 공간만 확보하여 연직 방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것이 좋다.The heat exchange section 530-2 of the exhaust line 530 is vertically parallel to the arrangement line of the desorption apparatus A provided in the lower layer (i.e.,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parallel arrangements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since a space for installation of the intake lines 520 must be ensured. However, only a space for installing the intake lines 520 is secured, It is good not to deviate greatly.

또한, 제1 열교환기(531)는 냉각기(300)의 상부측 출구 및 탈착기(100) 하부의 입구측 분배덕트(200) 입구와 최단거리로 흡기라인(520)을 배관할 수 있는 배기라인(530) 상에 설치하고, 제2 열교환기(532)는 탈착기(100) 상부의 출구측 분배덕트(200a) 출구와 최단거리로 흡기라인(520)을 배관할 수 있는 배기라인(530) 상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The first heat exchanger 531 is connected to an exhaust line that can pipe the intake line 520 with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upper side outlet of the cooler 300 and the inlet of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below the desorber 100,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is installed on the outlet line 530 and the exhaust line 530 that can pipe the intake line 520 with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exit of the out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a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sorber 100, .

이와 같이 연소설비(B)를 배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배치를 갖게 되며,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조 탈착설비(A)에 일대일 대응되는 2개조 연소설비(B)를 사용할 수 있다. 역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연소설비(B)가 폭이 좁은 배치를 갖게 되어서, 통상적인 건축물의 층 면적에 있어 2개조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탈착설비(A)도 2개조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By arranging the combustion device B as described above, the arrangement is relatively narrow. Thu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stage combustion device B having a one-to-one correspondence to the two- . Conversely, since the combustion facility B occupying a large space has a narrow arrangement, it can be installed in two sets in the floor area of a typical building, so that the desorption facility A can be installed in two units.

상기 흡기라인(520 : 520-1, 520-2, 520-3, 520-4, 520-5, 520-6)은 카트리지 입고실(11)에 설치한 흡기덕트(521), 탈착설비 배열층(20)에 설치한 압입송풍기(522), 냉각기(300), 연소설비 배열층(30)에 설치한 제1 열교환기(531), 탈착설비 배열층(20)에 설치한 복수의 탈착기(100), 연소설비 배열층(30)에 설치한 제2 열교환기(532)를 경유한 후 연소기(500)까지 이어지게 배관된다. 이에 따라, 흡기라인(520)은 탈착설비 배열층(20)의 바닥 및 천정을 관통하며 배관되므로, 도 5의 사시도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며 설명한다.The intake lines 520 (520-1, 520-2, 520-3, 520-4, 520-5, and 520-6) are connected to the intake duct 521 installed in the cartridge loading chamber 11, A first heat exchanger 531 disposed in the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and a plurality of desorbers (not shown) provided in the desorption facility array layer 20 100,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installed in the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and then connected to the combustor 500. Accordingly, the suction line 520 is piped through the floor and ceiling of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erspective view of FIG. 5 and FIGS. 6 to 8. FIG.

흡기덕트(521)에서 압입송풍기(522)에 이르는 구간(520-1), 및 압입송풍기(522)에서 냉각기(300)에 이르는 구간(520-2)은 상온의 공기를 흡기한다는 점에서 최단 거리로 배관하는 데 중점을 두지 아니하고 대신에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배관하여도 좋지만, 탈착설비 배열층(20)에 노출되는 부분의 경우는 도 7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설비(A)와 나란하게 하는 것이 좋다. 압입송풍기(522) 위치도 탈착설비(A) 근처 중에 적절하게 정하면 된다.The section 520-1 extending from the intake duct 521 to the pressurized blower 522 and the section 520-2 extending from the pressurized blower 522 to the cooler 300 absorb air at room temperature, However, in the case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desorption facility array layer 20, 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7, the desorption facility A may be used instead of the desorption facility A, It is good to make it parallel with. The position of the pressurized air blower 522 may also be determined appropriately in the vicinity of the desorption apparatus (A).

그렇지만, 흡기라인(520)에 있어서, 냉각기(300)와 제1 열교환기(531) 사이의 구간(520-3), 제1 열교환기(531)과 탈착기(100)의 입구측 분배덕트(200) 사이의 구간(520-4), 및 탈착기(100)의 출구측 분배덕트(200a)와 제2 열교환기(532) 사이의 구간(520-5)은 가능하면 최단거리로 배관하여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각 구간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변화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운영하게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이때의 각 구간도 상기한 바와 같이 배기라인(530) 중에 제1 열교환기(531) 및 제2 열교환기(532)를 설치한 열교환구간을 탈착설비(A) 위에 평행하게 배치하므로, 흡기라인을 통과는 공기의 온도 변화, 즉 탈착기를 통과하는 공기, 냉각기를 통과하는 공기 및 연소로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변화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n the intake line 520, the section 520-3 between the cooler 300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and the inlet-side distribution duct of the desorber 100 And the section 520-5 between the out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a of the desorber 100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are piped to the shortest distance possible,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the loss and thereby minimize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air passing through each section and operate it stably.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 exchange section in which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are installed in the exhaust line 530 is arranged in parallel on the desorption facility A,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ine,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esorbe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oler, and the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furnace can be minimized.

마지막으로 흡기라인(520) 중에 제2 열교환기(532)와 연소기(500)의 사이의 구간(520-6)은 'U'자형으로 배열한 연소설비(B)의 안쪽(즉, 평행 배치한 2개 설치라인 사이)에서 2단 꺾인 배관에 의해 최단거리로 배관하면 된다.Finally, the section 520-6 between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and the combustor 500 in the intake line 520 is located inside the combustion facility B arranged in the U-shape (that is, Between the two installation lines), the piping should be piped at the shortest distance by the two-step bent pipe.

한편, 연소설비 배열층(30)에는 예를 들어 SNCR(Selective Non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무촉매 환원법) 흡수법을 이용한 배연탈질장치(502)를 배치하여 연소로(500)와 보일러(510) 사이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에 암모니아나 요소를 분사함으로써 배기 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제거한다.A flue gas NO x removal apparatus 502 using, for example, a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SNCR) absorption method is disposed in the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combustion furnace 500 and the boiler 510 Nitrogen oxide is removed from the exhaust gas by injecting ammonia or urea into the exhaust gas passing therethrough.

온수 공급 설비를 예를 들면, 저온수 저장탱크(512)의 물을 보일러(510)로 가열한 후 회수하는 순환 경로 상에 열공급 열교환기(511)를 경유하게 하여, 열공급 열교환기(511)를 통해 온수 공급이 필요한 수용가에 온수를 공급하고, 다른 예로서, 저온수 저장탱크(512)에 보충수를 공급하면서 열공급 열교환기(511)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본 플랜트가 설치된 건축물 내의 난방용 온수로 사용한다.The hot water supply heat exchanger 511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heat exchanger 511 on the circulation path where the water in the low temperature water storage tank 512 is heated by the boiler 510 and then recovered, The hot water heated by the heat supply and heat exchanger 511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for heating in the building in which the present plant is installed, use.

이러한, 배연탈질장치(502)의 설치를 위한 배관 및 온수 공급을 위한 배관은 연소설비(B)를 설치하고 남은 공간을 활용하여 통상적인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 8의 평면도에서 생략하였다.The piping for installing the flue gas NO x removal apparatus 502 and the piping for supplying hot water can 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manner by utilizing the remaining space by installing the combustion facility B, and thus are omitted from the plan view of Fig.

또한, 부속 설비로서, 입출고설비 배열층(10), 탈착설비 배열층(20) 및 연소설비 배열층(30)의 실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환기 설비가 필요하다. 여기서, 카트리지 입고실(11)은 흡기덕트(521)에 의해 배출되므로 외기를 불어넣는 설비만 갖추어도 좋다.Further, as an accessory facility, there is a need for a ventilation facility for improving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entry / exit facility arrangement layer 10,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and the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Here, since the cartridge inlet chamber 11 is discharged by the intake duct 521, it may be equipped only with a facility for blowing outside air.

또한, 탈착설비(A) 및 연소설비(B)로 이루어지는 설비를 2개조로 할 시에, 어느 1조는 카트리지 출고실(12)의 공기를 흡기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탈착설비 배열층(20)의 공기를 흡기하여 사용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 상기한 탈착 대기실(410)의 공기도 함께 흡기하게 하는 것이 좋다.It is to be noted that, in the case of two sets of the facilities including the desorption facility A and the combustion facility B, any one of them is described as using the air in the cartridge discharge chamber 12 as the air intake. However, In this case, the air in the desorption / desorption chamber 410 may be sucked together.

또한, 탈착설비 배열층(20) 또는 카트리지 입고실(11)에서는 탈착하기 이전의 카트리지(1)가 노출되어서 카트리지(1)에 흡착된 오염물질이 실내 공기 중에 방출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실내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라인의 중간에 삼방밸브로 전환하여 악취제거탑으로 처리하게 하는 것도 좋다.In the desorption apparatus arrangement layer 20 or the cartridge loading chamber 11, the cartridge 1 before being detached is exposed and the contaminants adsorbed on the cartridge 1 may be released into the room air. Way valve in the middle of the intake line for sucking the odor-eliminating gas into the odor-eliminating tower.

여기서, 탈착 대기실(410) 내 공기를 흡기하여 흡기라인(520)으로 공급되게 할 시에는, 반입 컨베이어(400) 측의 도어에 틈새를 두어 흡기 가능하게 하는 방식, 탈착 대기실(410)의 내부 바닥에 공기 유입구를 조성하는 방식, 아니면 그 도어를 열었을 시에만 흡기하게 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In order to allow the air in the desorption waiting chamber 410 to be drawn into the intake line 520, a gap is provided in the door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conveyor 400 to allow intak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ir inlet for the door, or a method of making the air intake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can be adopted.

이하, 복수 탈착기(100)의 배치 및 개별 탈착기(1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desorbers 100 and the structure of the individual desorber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복수 탈착기(100)의 배치><Arrangement of the Multiple Desorbing Machine 100>

도 9를 참조하면, 탈착기(10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사이사이의 도어(170)를 개폐하여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일렬로 배치된다. 물론, 통과 순서상 첫번째의 반입 입구 및 마지막번째의 반출 출구에도 도어(170)가 있어서, 각 탈착기(100)는 개별적으로 탈착 재생을 할 수 있다. 이에, 카트리지(1)는 각각의 탈착기(1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반복 탈착하게 되어, 재생 완료된다.9, the plurality of detachers 100 are arranged in a line so as to sequentially open and close the door 170 between the doors. Of course, the doors 170 are also provided at the first inlet and the last outlet of the pass-through sequence, so that the respective desorbers 100 can individually perform desorption / regeneration. Thus, the cartridge 1 is repeatedly inserted and removed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desorbers 100, and the regeneration is completed.

아울러, 하기에서 탈착기(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측에서 불어넣은 저온 가열공기는 격자 구조의 가이드 베인(160)에 의해 구획된 확산관(140)을 통과한 후 카트리지(1)의 저면측 통풍구(1a)에 주입되므로, 가이드 베인(160)에 의해 분배되어 카트리지(1)를 균일한 풍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에, 카트리지(1) 내의 고형 흡착제(1c)를 전량 고르게 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desiccant 100,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blown from the lower side passes through the diffusion tube 140 partitioned by the grid vane guide vanes 160, Side vents 1a of the cartridge 1, and are distributed by the guide vanes 160 to pass the cartridge 1 in a uniform direction. Therefore, the entire amount of the solid adsorbent 1c in the cartridge 1 can be desorbed evenly.

입구측 분배덕트(200)는 제1 열교환기(531)에 의해 가열된 저온 가열공기를 복수의 탈착기(100)의 아래에서 균등하게 분배하여 각각의 탈착기(100)에게 동시 주입되게 하는 분배덕트로서, 카트리지(1)의 통과 순서상 마지막 탈착기(105)의 아래 측에 있는 단부에서 저온 가열공기를 공급받아 첫번째 탈착기(101)의 아래 측을 향해 유동하도록 탈착기(100)의 배열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inlet-side distribution duct 200 is a distributor for distributing the low-temperature heated air heated by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evenly below the plurality of desorbers 100 to be simultaneously injected into each of the desorbers 100 As the duct, an arrangement (not shown) of the desiccant 100 is provided so as to be supplied with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at the lower side end of the last desorber 105 in the passage sequence of the cartridge 1 and to flow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esorber 101 Line.

그리고, 상기 입구측 분배덕트(200)는 마지막 탈착기(105)부터 첫번째 탈착기(101)까지 순차적으로 저온 가열공기를 분배하며 주입하도록 상부로 분기시킨 분기관(231, 232, 233, 234, 235)을 구비하되, 단부측에는 노멀밴드(normal bend, 220)를 설치하여 노멀밴드(220)를 통해 분기관(235)에 연결되게 되어 있어서, 첫번째 탈착기(101)에 대해서는 저온 가열공기를 노멀밴드(220) 및 분기관(235)을 경유한 후 주입되게 한다.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distributes the low temperature heating air sequentially from the last desorber 105 to the first desorber 101 and branches the upstream side of the branch pipes 231, 232, 233, 234, And the first bellows 235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235 through the normal band 220 by providing a normal bend 220 on the end side. The band 220 and the branch pipe 235 to be injected thereinto.

또한, 상기 입구측 분배덕트(200)는 분기관(231,232,233,234,235)이 연결되는 지점의 관경을 상측으로 편심된 이형관으로 된 리듀서(210)의 개재에 의해 단계적으로 축소시켜서, 각각의 탈착기(100)로 주입되는 공기 유량을 균등하게 한다.In addition, the inlet-side distribution duct 200 gradually reduces the diameters of the points where the branches 231, 232, 233, 234, 235 are connected by the reducer 210, which is an eccentrically- Thereby equalizing the air flow rate.

여기서, 노멀밴드(220)를 통해 분기한 마지막 순번의 분기관(235) 관경(즉, 내경)은 마지막 탈착기(105)부터 두번째 탈착기(102)까지 각각 연결하기 위해 분기한 분기관(231,232,233,234) 관경의 90% 내지 93% 범위 내로 되게 한다.The diameter of the branch pipe 235 of the last order branched through the normal band 22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ranch pipes 231, 232, 233, 234 branched from the last separator 105 to the second separator 102 ) To be in the range of 90% to 93% of the diameter.

도 10은 입구측 분배덕트(200)에서 저온 가열공기의 분기 순서에 따라 순번을 정한 분기관(231,232,233,234,235)의 유량 편차를 마지막 분기관(235)의 관경을 달리하며 얻은 그래프이다. 여기서, 분기관(231, 232, 233, 234, 235)의 순번은 분기 순서를 따르므로, 카트리지(1)의 통과 순서로 매긴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의 순번과는 역순으로 된다.10 is a graph showing a flow rate deviation of the branch pipes 231, 232, 233, 234, 235, which are sequenced according to the branching order of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in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with different diameters of the last branch pipe 235. Since the order of the branch pipes 231, 232, 233, 234 and 235 follows the branching order, the order of the detachers 100 (101: 101, 102, 103, 104 and 105) In reverse order.

도 10을 참조하면, 마지막 분기관(235)의 관경을 나머지 분기관(231, 232, 233, 234)의 관경과 동일하게 하는 경우, 분기관별 유량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특히, 마지막 분기관(235)의 유량 편차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난다.10, when the diameter of the last branch pipe 235 is made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remaining branch pipes 231, 232, 233, and 234, ) Is relatively large.

마지막 분기관(235)의 관경을 나머지 분기관(231, 232, 233, 234) 관경의 95%로 하면, 즉, 나머지 분기관(231, 232, 233, 234) 관경에 0.95를 곱하여는 관경 크기로 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관경을 갖게 하면, 분기관별 유량 편차가 줄어들지만, 마지막 분기관(235)의 유량 편차가 아직도 크게 나타난다.If the diameter of the last branch pipe 235 is 95% of the diameter of the remaining branch pipes 231, 232, 233 and 234, that is, the pipe diameters of the remaining branch pipes 231, 232, 233 and 234 are multiplied by 0.95, The flow rate deviation of the last branch pipe 235 is still large although the flow rate deviation per branch pipe is reduced.

그렇지만, 마지막 분기관(235)의 관경을 나머지 분기관(231, 232, 233, 234) 관경의 90% 내지 93% 범위 내로 하는 경우, 전체 분기관(231, 232, 233, 234, 235)의 유량 편차가 전반적으로 작게 나타난다. 특히, 마지막 분기관(235)의 관경을 나머지 분기관(231, 232, 233, 234) 관경의 91%로 하는 경우 유량 편차가 가장 적게 나타난다.However, when the diameter of the last branch pipe 235 is set within the range of 90% to 93% of the diameters of the remaining branch pipes 231, 232, 233 and 234, the total length of the branch pipes 231, 232, 233, 234 and 235 Flow variance is generally small. Particularly, when the diameter of the last branch pipe 235 is 91% of the diameter of the remaining branch pipes 231, 232, 233, and 234, the flow rate deviation is the least.

마지막 분기관(235)의 관경을 나머지 분기관(231, 232, 233, 234) 관경의 90%보다 작게 하면 할수록 마지막 분기관(235)의 유량이 적어져서 편차가 커진다.As the diameter of the last branch pipe 235 is made smaller than 90% of the diameters of the remaining branch pipes 231, 232, 233 and 234, the flow rate of the last branch pipe 235 becomes smaller and the deviation becomes larger.

따라서, 마지막 분기관(235)의 관경을 나머지 분기관(231, 232, 233, 234) 관경의 91%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last branch pipe 235 is 91% of the diameter of the remaining branch pipes 231, 232, 233, and 234.

상기 출구측 분배덕트(220a)는 복수의 탈착기(100)의 위에 탈착기(100)의 배열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마지막 탈착기(105)부터 첫번째 탈착기(101)까지 각 탈기의 상측 출구로 배출되는 저온 가열공기를 받아 배출시킨다. 즉, 상기 출구측 분배덕트(220a)는 마지막 탈착기(105)가 이어진 부위의 단부가 막혀있고, 첫번째 탈착기(101)가 이어진 부위의 단부가 상기 제2 열교환기(532)를 경유한 후 연소로(500)에 이어지는 흡기라인(520)의 일부 구간에 이어진다.The outlet-side distribution duct 220a is disposed on a plurality of the desorbers 100 in parallel with the arrangement line of the desorber 100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each deaerator from the last desorber 105 to the first desorber 101. [ And receives and discharges the low temperature heated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That is, the outlet-side distribution duct 220a has an end where the last desorber 105 is connected is blocked, and the end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desorber 101 is connected passes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And extends to a section of the intake line 520 that continues to the combustion furnace 500.

이때의 출구측 분배덕트(220a)는 각 탈착기(100)의 상측에 하나씩 연결할 분기관의 관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관경을 갖게 하였으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입구측 분배덕트(200)와 동일하되 막힌 단부부터 제2 열교환기(532)에 연통되는 타측 단부까지 관경(즉, 분기관에 연결되는 부위)을 점차 확대하도록 역방향으로 놓인 형태를 갖추어도 좋다.At this time, the exit-side distribution duct 220a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ranch pipe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desorbers 100 one by on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inlet-side distribution duct 200 But may be arranged in a reverse direction so as to gradually increase the diameter (that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from the clogged end to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상기 냉각기(30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탈착기(100)의 구성요소 중에 승강 수단(15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를 동일하게 갖춘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승강 수단(150)이 없으므로, 후술하는 상측 가이드 롤러(115), 하측 가이드 롤러(153), 가요성 밀봉재(146) 및 신축이음관(147)도 필요치 아니하고, 확산관(140)의 하단을 케이스(110)의 하측 입구(113)에 끼워 맞춘 후 흡기라인(520)에 접관하면 된다.The cooler 300 differs in that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lifting and lowering means 15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the despooler 100 described below. The upper guide roller 115, the lower guide roller 153, the flexible sealing member 146 and the expansion / contraction annular pipe 147 are also unnecessary because the elevating means 150 is not provided. The inlet 110 of the case 110 may be fitted into the lower inlet 113 of the case 110 and then the inlet line 520 may be pierced.

<탈착기(100)의 구조>&Lt; Structure of Desorber 100 >

이하 도 1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며 탈착기(100)의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desorbe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23. FIG.

먼저, 도 11의 사시도 및 도 12,14의 단면도를 참조하며 전체적인 외관을 살펴보면, 탈착기(100)는 케이스(110), 컨베이어(130), 확산관(140), 승강수단(150), 가이드 베인(160), 도어(170) 및 센서(120, 121)를 포함하며, 전후에 장착한 도어(170)를 개폐하여 카트리지(1)를 실내에 반입 반출할 수 있는 케이스(110)를 기둥 형태의 받침대(112a)로 받쳐 놓게 되어 있고, 입구측 분배덕트(200)의 분기관(230 : 231, 232, 233, 234, 235)와 연통되는 하측 입구(113)와 배출측 분배덕트(200a)의 분기관과 연통되는 상측 출구(114)를 구비한다.12 and 14, the desorber 100 includes a case 110, a conveyor 130, a diffusion tube 140, a lifting means 150, a guide 150, A case 110 including a vane 160, a door 170 and sensors 120 and 121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70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to carry the cartridge 1 into and out of the room, And a lower inlet 113 and a discharge side distribution duct 200a which communicate with the branch pipes 230: 231, 232, 233, 234 and 235 of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are supported by the pedestal 112a of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And an upper outlet 114 communicating with a branch of the branch pipe.

여기서, 전후 도어(170) 중에 후방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전방 도어를 열어 카트리지(1)을 내부에 반입한 후 닫아 실내를 밀폐한 상태에서, 탈착 공정 처리하게 하고, 이후, 후방 도어를 열어 카트리지(1)를 반출하게 한다.Here, the front door is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doors 170 while the rear door is closed, and the cartridge 1 is brought into the interior of the front door 170 and closed to close the room. 1).

상기 케이스(110)는 장방형 구조의 중간부위 전후를 개방하여 도어(170)에 의해 개폐되게 함으로써 카트리지를 반입 반출할 수 있게 하며, 상부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하고 하부는 역사각뿔대 형상으로 한 호퍼 구조를 갖게 하여서, 하측 호퍼 구조의 하단에 조성한 하측 입구(113)를 통해 주입한 저온 가열공기가 확산하여 중간부위에 수용한 카트리지(1)를 통과한 후 상측 호퍼 구조에 의해 상측 호퍼의 상단에 조성한 상측 출구(114)로 모이게 하여 배출한다.The case 110 is opened and clos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a rectangular structure and is opened / closed by a door 170 to allow the cartridge to be carried in and out.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10 has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Temperature heated air injected through the lower inlet 11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hopper structure is diffused and passes through the cartridge 1 accommodat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n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hopper formed by the upper hopper structure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let 114. [

여기서, 입구측 분배덕트(200)의 분기관(230) 및 배출측 분배덕트(200a)의 분기관은 중공관이므로, 상측 및 하측 호퍼 구조는 분기관으로 가면서 점차 원통형 구조로 변형되게 제조하여 분기관에 이어지게 한다.Since the branch pipes 230 of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and the branch pipes of the discharge side distribution duct 200a are hollow pipes, the upper and lower hopper structures are gradually deformed into a cylindrical structure while passing through branch pipes, To the institution.

또한, 도 14에 도시한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케이스(110)의 상측 호퍼 및 하측 호퍼에는 각각 온도 센서(120) 및 압력 센서(121)를 구비하여 하측 입구(113)를 통해 주입하는 저온 가열공기의 온도 및 압력과 상측 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저온 가열공기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안전 운전을 위해서 케이스(11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14,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of the case 110 are provided with the temperature sensor 120 and the pressure sensor 121, respectively, so that the low-temperature heating is performed through the lower inlet 113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air and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outlet 114 can be sensed.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case 110 for safe operation.

도면에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각 탈착기(100)에서 주입 및 배출되는 저온 가열공기 내의 VOCs 농도를 측정하는 VOCs 농도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때의 VOCs 농도센서는 하측 입구(113)에 이어지는 분기관(230) 및 상측 출구(114)에 이어지는 분기관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A VOCs concent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VOCs in the low-temperature heated air injected and discharged from each of the desorbers 100 may be provided. The VOCs concentration sensor at this time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inlet 113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in the branch pipe leading to the engine 230 and the upper outlet 114. [

이와 같이 카트리지(1)를 통과하기 전후 저온 가열공기에 대해 센싱하는 온도 센서(120), 압력센서(121) 및 VOCs 농도센서는 후술하는 승강 수단(150)을 가동하여 카트리지(1) 내부, 즉, 고형 흡착제(1c)를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센서이다.The temperature sensor 120, the pressure sensor 121, and the VOCs concentration sensor that sense the low temperature heated air before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cartridge 1 operate the elevating means 150 described later to detect the inside of the cartridge 1 , And a senso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1c.

또한, 케이스(110)의 상측 호퍼에는 폭발 방산구(122) 및 소화약제 분사헤드(123)를 구비한다. 폭발 방산구(122)는 공지의 구성요소이므로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고형 흡착제(1c)에서 탈착된 물질이 과열에 의해 점화하는 경우 실내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파괴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폭발에 따른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실내 압력을 신속하게 낮추는 역할을 한다. 소화약제 분사헤드(123)는 탈착된 유해물질이 점화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질소가스를 케이스(110) 실내에 분사하여 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예비적으로 케이스(110)의 하측 호퍼에는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124)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의 점검구(124)는 폭발 방산구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좋다.The upper hopper of the case 110 is provided with an explosion-proof vent 122 and an extinguishing agent injection head 123. Briefly, the explosion / discharge aperture 122 is a known component, so that when the substance desorbed from the solid adsorbent 1c is ignited by overheating, the pressure in the room rises rapidly and may be destroyed. And is opened by the pressure due to the explosion to rapidly lower the room pressure. The extinguishing agent spraying head 123 is for spraying nitrogen gas, for example, into the case 110 when the detached toxic substance is ignited. The lower hopper of the case 110 is preliminarily provided with an inspection port 124 for internal inspec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pection port 124 has the function of an explosion-proof opening.

이러한 케이스(110)는 카트리지(1)의 실내 반입 및 실내에서 실외로의 반출을 위한 컨베이어(130), 하측 입구(113)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저온 가열공기를 카트리지(1)의 저면측 통풍구(1a)로 안내하는 확산관(140), 확산관(140)을 승강시켜 카트리지(1)의 저면측 통풍구(1a)를 통해 고형 흡착제(1c)를 통과하는 저온 가열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승강 수단(150), 및 저온 가열공기를 카트리지(1)의 저면측 통풍구(1a) 전면에 고르게 불어넣도록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확산관(140) 내에 장착하는 가이드 베인(160)을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요소의 설치를 위해서 중간 부위의 적절한 높이에서 상하로 나누어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2)로 분리 제작한 후 조립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case 110 includes a conveyor 130 for carrying the interior of the cartridge 1 into and out of the room and a low temperature heated air flowing into the room through the lower inlet 113 to the bottom side ventilation opening The temperature of the low temperature he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1c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a on the bottom side of the cartridge 1 is raised and lowered to raise and lower the diffusion tube 140, Means 150 and a guide vane 160 mounted in the diffusion tube 140 for guiding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to blow evenly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ottom side ventilation hole 1a of the cartridge 1, The upper case 111 and the lower case 112 are divided and assembled after being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t an appropriate height of an intermediate portion for installation of the elements.

또한, 도 14에 도시한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케이스(110)의 상측 호퍼 및 하측 호퍼에는 각각 온도 센서(120) 및 압력 센서(121)를 구비하여 하측 입구(113)를 통해 주입하는 저온 가열공기의 온도 및 압력과 상측 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저온 가열공기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안전 운전을 위해서 케이스(11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주입 및 배출되는 저온 가열공기 내의 VOCs 농도를 측정하는 VOCs 농도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때의 VOCs 농도센서는 하측 입구(113)에 이어지는 배관 및 상측 출구(114)에 이어지는 배관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14,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of the case 110 are provided with the temperature sensor 120 and the pressure sensor 121, respectively, so that the low-temperature heating is performed through the lower inlet 113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air and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outlet 114 can be sensed.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case 110 for safe operation. Although not shown, the VOCs concentration sensor may be provided with a VOCs concent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VOCs in the low temperature heated air to be injected and discharged. The VOCs concentration sensor at this time includes a pipe leading to the lower inlet 113 and a pipe connected to the upper outlet 114 .

이와 같이 카트리지(1)를 통과하기 전후 저온 가열공기에 대해 센싱하는 온도 센서(120), 압력센서(121) 및 VOCs 농도센서는 후술하는 승강 수단(150)을 가동하여 카트리지(1) 내부, 즉, 고형 흡착제(1c)를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센서이다.The temperature sensor 120, the pressure sensor 121, and the VOCs concentration sensor that sense the low temperature heated air before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cartridge 1 operate the elevating means 150 described later to detect the inside of the cartridge 1 , And a senso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1c.

또한, 케이스(110)의 상측 호퍼에는 폭발 방산구(122) 및 소화약제 분사헤드(123)를 구비한다. 폭발 방산구(122)는 공지의 구성요소이므로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고형 흡착제(1c)에서 탈착된 물질이 과열에 의해 점화하는 경우 실내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파괴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폭발에 따른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실내 압력을 신속하게 낮추는 역할을 한다. 소화약제 분사헤드(123)는 탈착된 유해물질이 점화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질소가스를 케이스(110) 실내에 분사하여 소화하기 위한 것이다.The upper hopper of the case 110 is provided with an explosion-proof vent 122 and an extinguishing agent injection head 123. Briefly, the explosion / discharge aperture 122 is a known component, so that when the substance desorbed from the solid adsorbent 1c is ignited by overheating, the pressure in the room rises rapidly and may be destroyed. And is opened by the pressure due to the explosion to rapidly lower the room pressure. The extinguishing agent spraying head 123 is for spraying nitrogen gas, for example, into the case 110 when the detached toxic substance is ignited.

예비적으로 케이스(110)의 하측 호퍼에는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124)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의 점검구(124)는 폭발 방산구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좋다.The lower hopper of the case 110 is preliminarily provided with an inspection port 124 for internal inspec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pection port 124 has the function of an explosion-proof opening.

이러한 케이스(110)는 카트리지(1)의 실내 반입 및 실내에서 실외로의 반출을 위한 컨베이어(130), 하측 입구(113)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저온 가열공기를 카트리지(1)의 저면측 통풍구(1a)로 안내하는 확산관(140), 확산관(140)을 승강시켜 카트리지(1)의 저면측 통풍구(1a)를 통해 고형 흡착제(1c)를 통과하는 저온 가열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승강 수단(150), 및 저온 가열공기를 카트리지(1)의 저면측 통풍구(1a) 전면에 고르게 불어넣도록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확산관(140) 내에 장착하는 가이드 베인(160)을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요소의 설치를 위해서 중간 부위의 적절한 높이에서 상하로 나누어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2)로 분리 제작한 후 조립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case 110 includes a conveyor 130 for carrying the interior of the cartridge 1 into and out of the room and a low temperature heated air flowing into the room through the lower inlet 113 to the bottom side ventilation opening The temperature of the low temperature he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1c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a on the bottom side of the cartridge 1 is raised and lowered to raise and lower the diffusion tube 140, Means 150 and a guide vane 160 mounted in the diffusion tube 140 for guiding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to blow evenly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ottom side ventilation hole 1a of the cartridge 1, The upper case 111 and the lower case 112 are divided and assembled after being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t an appropriate height of an intermediate portion for installation of the elements.

상기 컨베이어(130)는 도 14, 도 15의 c 확대도, 도 18, 및 도 19의 부분 확대도에서 자세히 볼 수 있듯이, 케이스(110)의 양측 외곽에서 종단방향(즉, 카트리지를 반입 반출하기 위해 이송하는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한 평기어(132)를 상호 인접하는 것끼리 치합되게 하되, 평기어(132)의 축이 폭방향(즉, 수평면 상의 종단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 게 한 후, 평기어(132) 중에 하나 걸러 하나씩 선택한 것의 축에 케이스(110)을 관통시킨 롤러(131)를 고정하고, 양측에서 각각 모터(133)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평기어를 회전시키면 전체 평기어(132)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며, 이에, 각 롤러(131)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즉, 롤러(131)를 고정한 롤러부 기어(132a)는 롤러부 기어(132a)의 사이 사이에 배치되되 롤러(131)를 고정하지 아니한 연동용 기어(132b)의 도움을 받아 동일 회전 방향을 갖게 된다.The conveyor 130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ing 110 at both sides of the casing 110 (that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ing 110)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ur gear 132 is oriented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spur gear 132, The roller 131 passing through the case 110 is fixed to the axis of the spur gear 132 one by one and one of the spur gears is rotated by the motor 133 on both sides, The spur gear 132 can be rotated, and the rollers 131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the roller gear 132a having the roller 131 fixed thereto is supported by the interlocking gear 132b,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roller gear 132a and is not fixed to the roller 131, do.

여기서, 폭방향 양측에서 각각 케이스(110)를 관통하는 롤러(131)는 예를 들어 베어링에 의해서 케이스(110)에 지지되며 회동 가능하게 하고, 단부를 케이스(110) 실내로 내밀게 하여 카트리지(1) 저면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를 받쳐주게 한다. 이에, 모터(133)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카트리지(1)를 지지하면서 반입 및 반출할 수 있고, 카트리지(1)의 저면측 통풍구(1a)를 가리지 아니하여서, 카트리지(1)를 통과시킬 저온 가열공기의 기류에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Here, the roller 131 passing through the case 110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case 110, for example, by a bearing and rotatable, and the end of the roller 131 is pushed into the case 110, )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Thus, the cartridge 1 can be carried in and out while being rotated by the motor 133, and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air) to be passed through the cartridge 1 It does not affect the airflow of

정확하게는 도 15의 c 확대도에서 볼 수 있듯이, 후술하는 확산관(140)의 상단 구조의 외곽에서 롤러(131)로 카트리지(1)의 저면 테두리를 받쳐주도록 롤러(131) 길이를 적절하게 정하였다.15 (c), the length of the roller 131 is appropriately set so as to support the bottom edge of the cartridge 1 with the roller 131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structure of the diffusion tube 140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한편, 카트리지(1)를 컨베이어(130)에 의해 실내로 반입할 시에 후술하는 확산관(140)의 상단 개구를 카트리지(1)의 저면 통풍구(1a)에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위치에서 카트리지(1) 반입 동작을 멈추기 위한 위치 센서를 구비한다. 이러한 위치 센서는 카트리지(1)가 특정 위치에 도달할 시에 이를 감지하는 통상적인 센서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였다. 물론, 케이스(110)의 외부에서 카트리지(1)를 넘겨받을 시의 위치에 따라 컨베이어(130)의 가동 시간(즉, 롤러의 회전수)을 정하여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서 카트리지(1)를 놓이게 할 수도 있다.When the cartridge 1 is brought into the room by the conveyor 130,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diffusing pipe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ositioned at exactly the bottom vent opening 1a of the cartridge 1, And a position sensor for stopping the carry-in operation. Since the position sensor is a conventional sensor for sensing the cartridge 1 when it reaches a specific posi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operating time of the conveyor 130 (that i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ller) according to the position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cartridge 1 from outside the case 110, have.

상기 확산관(140)은 먼저 도 21에 도시된 외관을 살펴본 후 도 12,14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하를 개구한 속인 빈 역사각뿔대 형상이되, 하부 케이스(112) 내벽과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한 크기 및 형상을 갖추고, 상측 개구의 크기 및 형상은 카트리지(1)의 사각 형태 저면 통풍구(1a)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춰져 있으며, 하단에는 케이스(110)의 하측 입구(113)를 기밀 유지하며 여유 있게 관통하는 원통형 구조를 갖춘다. 그리고, 상기 확산관(140)의 하측 원통형 구조는 하부로 노출된 부위에 연장관(144)이 접관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S. 12 and 14, the diffusion tube 140 first has a shape of hollow truncated pyramid with an open top and bottom,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bottom case 11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ize and shape of the upper opening are adapted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rectangular ventilation hole 1a of the cartridge 1 and the lower inlet 113 of the case 110 is sealed And has a cylindrical structure that passes through with sufficient space. In addition, the lower cylindrical structure of the diffusion tube 140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tube 144 at the lower exposed portion.

물론, 상기 확산관(140)은 원형 하측 입구를 관통하는 부위를 원통형 구조로 함으로써,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사각형 구조에서 점진적으로 원통형 구조를 갖게 제작하여야 한다.Of course, the diffusion tube 140 should have a cylindrical structure gradually passing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by progressively forming a cylindrical structure through the circular lower inlet.

도 13의 a 부분확대도 및 도 15의 c 부분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확산관(140)의 상측 개구 부위를 상부로 소정 길이 연장시킨 연장부(141), 연장부(14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뻗어나가게 형성한 밀착부(142) 및 밀착부(142)의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홈을 조성한 후 삽입한 실링재(143)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밀착부(142)를 카트리지(1)의 저면 테두리와 밀착시켜 실링하면서 상측 개구를 카트리지(1)의 저면측 통풍구(1a)에 연통되게 하며, 이 상태에서는 하측 입구(113)를 관통하며 연결되는 연장관(144)을 통해 주입되는 저온 가열공기를 안내하여 누설 없이 전량 카트리지(1)의 하측 통풍구(1a)로 불어줄 수 있다.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3 and the enlarged view of portion C of FIG. 15, an extension portion 14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ed upward from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diffusion tube 140, And a sealing member 143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ght fitting portion 14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ight fitting portion 142 after the groove is formed along the rim. The upper side opening is made to communicate with the vent hole 1a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cartridge 1 while sealing the tight contact portion 142 with the bottom edge of the cartridge 1 to seal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1. In this state, Temperature heated air injected through the extension pipe 144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1 and blowing the entire amount of the air to the lower ventilation hole 1a of the cartridge 1 without leakage.

여기서, 밀착부(142)는 폭방향 양측의 롤러(131)와 함께 카트리지(1)의 저면 테두리에 닿는 부위이므로, 롤러(131)와의 사이에 약간의 이격 공간을 갖도록 카트리지(1)의 저면 테두리의 안쪽에 밀착시킬 정도의 크기 및 형상으로 조성된다.Since the contact portion 142 abuts against the bottom edge of the cartridge 1 along with the rollers 131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bottom edge of the cartridge 1 is slightly spaced from the roller 131, As shown in Fig.

한편, 하부 케이스(112)의 내면에는 상기 확산관(140)의 연장부(141)의 4방향 외측면에 각각 밀착시킬 상측 가이드 롤러(115)가 브라켓(115a)에 지지되어 회동하도록 상기 롤러(131)의 아래 위치에 배치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확산관(14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한다. 이때의 상측 가이드 롤러(115)는 연장부(141)의 외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확산관(140)을 승강시킬 시에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아니하도록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12, an upper guide roller 115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our outer surfaces of the extension portion 141 of the diffusion tube 140 is supported by the bracket 115a, 131 so as to guid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diffusion tube 140. The upper guide roller 115 at this time is formed so as to be lo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141, thereby guiding the diffusion tube 140 stably so as not to be tilted to one side when lifting the diffusion tube 140.

상기 확산관(140)의 하측 원통형 구조의 외주면 중에 케이스(110)의 하측 입구(113)를 관통하는 부위의 외주면을 케이스(110)의 하측 입구(113)에 이어지게 하는 짧은 관 형상의 가요성 밀봉재(146)이 구비되어서, 상기 확산관(140)을 상하 운동시키는 중에도 케이스(110) 내의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가요성 밀봉재(146)는 하측 개구로 확산관(140)의 하측 원통형 구조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측 개구로 케이스(110)의 하측 입구(113)의 외주면을 감싸며, 연장관(144)의 상하 이동 시에 신축하여 기밀을 유지한다.A flexible tubular sealing material for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penetrating the lower inlet 113 of the case 110 to the lower inlet 113 of the case 110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structure of the diffusion tube 140, And the airtightness in the case 110 is maintained even when the diffusion tube 140 is moved up and down. The flexible sealing member 146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structure of the diffusion tube 140 at the lower opening and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inlet 113 of the case 110 at the upper opening, And keep it secret.

또한, 상기 연장관(144)의 하단에는 신축이음관(147)이 구비되어서, 신축이음관(147)을 통해 분기관(230)에 연결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장관(144)의 상하 운동을 허용한다.The expansion tube 144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tube 144 and is connected to the branch tube 230 via the tube 147 so that the extension tube 144 can be moved up and down do.

또한, 상기 연장관(144)은 케이스(110) 아래에 노출된 부위 중 어느 한 부위의 외주면에 상기 승강 수단(150)으로 잡고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플랜지(145)를 구비한다.The extension pipe 144 is provided with a flange 145 which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means 15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of the portions exposed under the case 110.

도 16 및 도 17를 도 12 및 도 13과 대조하면, 상기 승강 수단(150)으로 확산관(140)을 승강시킬 시에, 가요성 밀봉재(146)가 접히거나 펴지고, 신축이음관(147)이 신장하거나 수축하여서, 승강 운동을 자유롭게 허용하고, 기밀도 유지함을 알 수 있다.16 and 17 are compared with FIGS. 12 and 13, when the diffusion tube 14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means 150, the flexible sealing member 146 is folded or stretched, It is possible to freely allow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and maintain the airtightness.

상기 승강 수단(150)은 도 13의 b 확대도 및 도 15의 d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연장관(144)의 플랜지(145)를 상하로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케이스(110) 내에 있는 확산관(140)을 상하로 승강시키며, 이에, 상호 마주하는 확산관(140)의 밀착부(142)와 카트리지(1)의 저면 테두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카트리지(1)의 통풍구(1a)를 통과하는 풍량, 즉, 카트리지(1) 내에 채운 고형 흡착제를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한다.The lifting means 150 lifts or lowers the flange 145 of the extension pipe 144 up and down to remove the diffusion pipe 140 in the case 110 And adjusts the interval between the close contact portion 142 of the diffusion tube 140 and the bottom edge of the cartridge 1 facing each other. That is, the air volume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a of the cartridge 1, that is, the air volume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filled in the cartridge 1, is regulated.

상기 승강 수단(150)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정역 모터(151)에 의해 가동하는 리프트(152)로 상기 연장관(144)의 플랜지(145)를 들어올리거나 아니면 내린다. 이때의 리프트(152)는 정역 모터(151)의 회전력을 벨트에 의해 전달받아 정역 회전하는 피니언(152b)과, 플랜지(145)의 저면에 축의 상단을 고정한 랙(152a)으로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elevating means 150, the flange 145 of the extension pipe 144 is lifted or lowered by a lift 152 which is operated by a forward / reverse motor 151. The lift 152 may include a pinion 152b that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receives a rotational force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s 151 by a belt and a rack 152a that fixes an upper end of the shaf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145.

이와 같이 승강 수단(150)에 의해 확산관(1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확산관(140)의 상측 테두리(실링재를 설치한 밀착부, 142)와 카트리지(1)의 하측 테두리(저면에서 통풍구 둘레를 이루는 부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서, 카트리지(1)를 우회하는 인위적인 누설 경로의 풍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카트리지(1)를 통과하는 저온 가열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확산관(140)의 상측 테두리와 카트리지(1)의 하측 테두리를 상호 밀착시키면, 주입하는 저온 가열공기를 누설 없이 카트리지(1)에 통과시킬 수 있다.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iffusion tube 140 by the lifting means 15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dge of the diffusion tube 140 (tight contact portion provided with the sealing material) and the lower edge of the cartridge 1 The temperature of the low temperature he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cartridge 1 can be adjusted in such a manner as to adjust the air flow rate of the artificial leakage path that bypasses the cartridge 1. [ Of course, if the upper edge of the diffusion tube 140 and the lower edge of the cartridge 1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w temperature heated air to be injected can be passed through the cartridge 1 without leakage.

한편, 상기 승강 수단(150)이 설치되는 위치에는 상기 연장관(144)을 둘러싸며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하측 가이드 롤러(153)가 배치되어서, 상기 상측 가이드 롤러(115)와 협동하여 연장관(144)이 접관된 확산관(140)의 승강 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한다.A plurality of lower guide rollers 153 for guid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are disposed at the positions where the elevating means 150 is installed so as to cooperate with the upper guide rollers 115, 144 steadily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of the diffusion tube 140 that is pivoted.

상기 가이드 베인(160)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관(14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저온 가열공기를 균일하게 확산하여 카트리지(1)의 통풍구(1a)를 통해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을 균일하게 한다.As shown in FIG. 22, the guide vane 160 is a component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diffusion tube 140. The guide vane 160 uniformly diffuses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vent hole 1a of the cartridge 1 Thereby making the air volume uniform.

즉, 상기 가이드 베인(160)은 역사각뿔대 형상이되 하부로 갈수록 원형 평단면을 갖는 확산관(140) 내에서 상호 마주하는 사면(斜面) 사이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는 격벽(161, 162)에 의해서 저온 가열공기의 통과 영역을 격자로 구획하게 하되, 저온 가열공기 통과 영역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격벽이 사면을 향해 기울어진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서 구획된 각 소 영역이 개별적으로 확산관 형상으로 되게 한 격자 구조로 구성된다.That is, the guide vane 160 has partition walls 161 and 162 dividing the mutually facing slopes into a plurality of regions in a diffusion tube 140 having a pyramidal shape and a circular flat cross-section going downward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partition wall toward the slope is relatively in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low temperature heating air passage region is relatively increased so that the divided small regions are individually formed into a diffusion tube shape A grid structure is form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격벽(161, 162) 중에 폭방향 격벽(161)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을 종단방향 격벽(162)에 의해 다시 구획되게 하되, 사면(斜面)과 마주하는 격벽은 그 사면보다는 연직선을 기준으로 작은 각도로 기울이고, 사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격벽일수록 기울인 각도를 작게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partition defined by the widthwise barrier ribs 161 in the partition walls 161 and 162 is partitioned by the longitudinal barrier ribs 162, and the partition walls facing the slope surfaces Tilt at a small angle relative to the vertical line, and reduce the tilting angle for the bulkheads far from the slope.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이드 베인(160)은 도 12,14의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확산관(140)의 하측 개구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시작하여 상측 개구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까지 차지하게 상하 높이를 맞추어 제작 설치되며, 이에, 가이드 베인(160)의 상하에 각각 여유 공간을 갖는다. 즉, 하측 개부를 통해 확산관(140) 내로 진입한 저온 가열공기는 하측의 여유 공간을 통과하면서 가이드 베인(160)에 의해 구획된 소 영역으로 분배되어 확산되고, 가이드 베인(160)을 통과한 이후에는 상측의 여유 공간에서 합쳐지되, 가이드 베인(160)을 통과할 시에 각 소 영역에 의해 안내되는 방향의 풍압을 받으며 합쳐지므로, 각 소 영역을 통과하는 기류끼리 상호 영향을 주어 카트리지(1)의 저면 통풍구(1a)를 통과하는 기류를 전체적으로 더욱 균일하게 한다.12 and 14, the guide vane 160 starts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lower opening of the diffusion tube 140 and occupies a relatively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opening, So that the guide vane 160 has a space above and below the guide vane 160, respectively. That is,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that has entered the diffusion tube 140 through the lower opening portion is divided and diffused into the small region partitioned by the guide vane 160 while passing through the lower clearance space, and passes through the guide vane 160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small regions is mutually influenced by the air pressure in the direction guided by the respective small regions when passing through the guide vane 160,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bottom ventilation hole 1a of the main body 1a is made more uniform as a whole.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신축이음관(147)를 개재하여 상기 확산관(140)의 연장관(144)에 접관하는 배관의 상태에 적합하게 상기 가이드 베인(160)을 구성하여서, 더욱 균일한 풍량으로 카트리지(1)에 통과되게 한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vane 160 is configured to be in conformity with the state of the pip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ipe 144 of the diffusion pipe 140 via the expansion / So that the air is passed through the cartridge 1 with a more uniform air volume.

도 22 및 도 23은 가이드 베인(160)을 구성하는 격벽(161, 162)의 연직방향 기준 기울기 및 각 구획된 영역의 입구 크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22 and 23 are sectional views showing vertical slopes of the partition walls 161 and 162 constituting the guide vane 160 and inlet sizes of the respective divided areas.

즉,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놓인 입구측 분배덕트(200)에서 특정 수평방향의 기류가 연직방향 분기관(230)으로 분기되어 탈착기(100) 내로 흐른다.That is, as shown in FIG. 22, a specific horizontal direction airflow is branched to the vertical direction branch pipes 230 in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ly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lows into the desorber 100.

이에 따라, 상기 특정 수평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한 격벽의 하단을 상기 특정 수평방향으로 쏠린 위치로 조정하게 하여서, 비대칭적인 기울기 값을 갖게 함과 아울러, 상기 특정 수평방향의 끝단에 가까울수록 격벽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한다.As a result, the lower end of the barrier rib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pecific horizontal direction is adjusted to a position tilted in the specific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have an asymmetrical slope value, .

즉, 상기 가이드 베인(160)에 의해 구획된 각 확산 경로의 하측 입구는 상기 입구측 분배덕트(200) 내의 분기 전 기류 방향으로 쏠리게 하며 축소시킨다.That is, the lower inlet of each of the diffusion paths partitioned by the guide vane 160 is tilted toward the branch flow direction in the inlet-side distribution duct 200 and is reduced.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상기 특정 수평방향은 카트리지(1)의 반입 반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이므로, 종단방향 격벽(162)의 하단이 그 방향으로 약간씩 위치 조절되어 있고, 종단방향 격벽(162) 사이의 간격은 그 방향의 끝단에 가까운 일부 격벽에 대해 상대적으로 좁게 되어 있어서, 복수의 종단방향 격벽(162)이 비대칭적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갖게 된다. Since the specific horizontal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loading / unloading direction of the cartridge 1,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barrier rib 162 is slightly shifted in that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barrier ribs 162 is relatively narrow with respect to some barrier ribs near the ends of the barrier ribs 162, so that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barrier ribs 162 have an asymmetrically inclined angle.

도면에 도시한 각 종단방향 격벽(162)의 기울기는 예를 들어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ool을 이용한 유동 해석의 결과에 따라 얻은 것이다. The slopes of the longitudinal barrier ribs 162 shown in the figure are obta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low analysis using, for example, a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ool.

반면에,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수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한 복수의 폭방향 격벽(161)은 대칭적으로 대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3, a plurality of width direction partition walls 161 provided at interval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pecific horizontal direction (width direction in the drawing) are symmetrically replaced.

다음으로 컨트롤러(60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troller 600 will be described.

컨트롤러(2)는 연료공급기(501)에 의한 연료 공급, 압입송풍기(521)에 의한 흡기, 및 유입송풍기(533)에 의한 배기가 이루어지게 제어한 상태에서, 탈착설비(3)의 각 도어(411, 170, 310, 431)와 탈착 대기실(410), 각 탈착기(100), 냉각 대기실(420), 냉각기(300) 및 반출 대기실(430)에 각각 구비된 컨베이어를 제어하여서,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반입 컨베이어(400)에서 전달하는 카트리지(1)를 탈착 대기실(410), 각 탈착기(100), 냉각 대기실(420), 냉각기(300) 및 반출 대기실(430)의 순서로 통과시킨 후 반출 컨베이어(440)에 넘기게 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카트리지(1)가 개별 탈착기(100) 내에서 탈착을 위해 머무는 시간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다. The controller 2 controls each door of the desorption apparatus 3 in a state in which fuel supply by the fuel supplier 501, intake by the pressurized air blower 521, and exhaust by the inflow fan 533 are controlled, 411, 170, 310 and 431, the desorption waiting chamber 410, the desorbing machine 100, the cooling waiting chamber 420, the cooler 300 and the take-out waiting chamber 430, The cartridge 1 delivered from the conveying conveyor 400 is passed through the desorption waiting chamber 410, each of the desorbers 100, the cooling waiting chamber 420, the cooler 300 and the take-out waiting chamber 430 in that order, To the conveyor 440. Here, the predetermined time is preset as the time for the cartridge 1 to remain in the individual detacher 100 for detachment.

또한, 상기 컨트롤러(2)는 첫번째 탈착기(101)와 외기 사이의 직접 연통, 마지막 탈착기(105)와 냉각 대기실(420)의 직접 연통, 및 냉각기(300)와 외기 사이의 직접 연통을 차단하면서 카트리지(1)를 각각의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 및 냉각기(300)에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후 반출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2 also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desorbent 101 and the outside ai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nal desorber 105 and the cooling standby chamber 420,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cooler 300 and the outside air The cartridge 1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respective desorbers 100, 101, 102, 103, 104, 105 and the cooler 300,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실내에 카트리지(1)를 들여놓은 상태에서, 반출 대기실(430)은 냉각기(300)와의 사이에 있는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실내의 카트리지를 반출하고, 다음으로, 인접 실내 사이에 카트리지를 이동시킬 시에는 인접 실내 사이만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탈착 대기실(410)은 첫번째 탈착기(101)과 연통되지 아니하게 한 상태에서 카트리지(1)를 실내에 들여놓게 한다.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 in the state in which the cartridge 1 is inserted into each room, the take-out waiting room 430 takes out the cartridges in the closed state with the door between the door and the cooler 300, When the cartridge is moved between the adjacent chambers, only the space between the adjacent chambers is communicated. Next, the detachment waiting chamber 410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etacher 101, ) Into the room.

여기서, 마지막 탈착기(105)의 카트리지를 냉각 대기실(420)로 넘긴 이후에는 모든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의 사이사이에 있는 도어를 모둔 열어두고 일괄하여 한 칸씩 옮기고, 그 이후 반출 대기실(430)의 카트리지를 첫번째 탈착기(101)에 넘기는 것이 좋다.Here, after the cartridge of the last detacher 105 is transferred to the cooling waiting chamber 420, the doors between all of the detachers 100, 101, 102, 103, 104, 105 are opened, And then transfer the cartridge of the take-out waiting room 430 to the first detacher 101.

한편, 컨트롤러(2)는 안전 및 안정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2 performs the following control for safety and stability.

컨트롤러(2)는 카트리지(1)의 통과 순서가 앞설수록 고형 흡착제(1)를 통과하는 풍량이 적어지게 각각의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에 구비된 상기 승강수단(150)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2 controls the amoun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1 to decrease as the passage order of the cartridges 1 is advanced to the elevating means 100 provided at each of the desorbers 100: 101, 102, 103, 104, (150).

즉, 카트리지(1)의 저면측 테두리와 확산관(140)의 상측 밀착부(142)의 간격이 카트리지(1)의 통과 순서가 앞설수록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카트리지(1)의 통풍구(1a)로 주입되는 풍량을 적게 한다.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edge of the cartridge 1 and the upper close contact portion 142 of the diffusion tube 140 becomes relatively larger in advance of the passage sequence of the cartridge 1, Reduce the air volume to be injected.

이에, 카트리지(1)의 통과 순서가 앞설수록 카트리지(1)의 고형 흡착제(1c)에 흡착되어 있는 물질이 많이 잔존하게 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풍량 조절하여서 각각의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에서 탈착되는 물질의 양의 차이를 적게 하고, 또한, 출구측 분배덕트(200a)를 통해 연소로에 공급되는 탈착 물질량의 시각적 변동도 최소화하여서, 연소로의 동작, 즉, 연소로의 배기 가스 열량에 대한 시간적 변동도 최소화하는 안전 및 안정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첫번째 탈착기(101)에서 고밀도의 탈착물질이 발생하여 폭발하는 문제도 해결된다.As a result, a large amount of the substance adsorbed on the solid adsorbent 1c of the cartridge 1 is left in the cartridge 1, , 103, 104, and 105, and minimizes the visual fluctuation of the amount of desorbed material supplied to the furnace through the outlet-side distribution duct 200a,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furnace, that is, , It is possible to perform safe and stable operation that minimizes temporal variation with respect to the heat quantity of the exhaust gas of the combustion furnace. Also, the problem that the first desorbing device 101 generates a high-density desorbing material and explodes is solved.

이와 같은 고형 흡착제(1c)를 통과하는 풍량에 대해서,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 간에 차등을 둘 뿐만 아니라, 개개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 별로 다음과 같이 풍량을 미세하게 조절한다.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1c is not only differentiated between the desorbers 100: 101, 102, 103, 104 and 105 but also reduced by the individual desorbers 100: 101, 102, 103, 104, 105), adjust the air volume as follows.

컨트롤러(2)는 각각의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에 대해서, 주입되는 저온 가열공기와 배출되는 저온 가열공기 사이의 VOCs(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차이, 온도 차이 또는 압력 차이가 균일하게 되도록 각각의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에 구비된 상기 승강수단(150)을 개별 제어한다. 즉, 온도 센서(120), 압력 센서(121) 또는 농도 센서의 검출값으로부터 주입 공기 온도와 배출 온도 사이의 차이가 시간 경과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승강수단(150)을 제어하여 고형 흡착제(1c)를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한다. 각각의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 내에 카트리지(1)를 넣으면, 열풍에 의한 탈착 물질량이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적어지게 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농도, 온도 또는 압력에 따라 풍량을 조절하면, 상기한 소정 시간(개별 탈착기 내에 카트리지가 머무는 시간) 동안 탈착 물질량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 calculates the difference in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between the low temperature heating air to be injected and the low temperature heating air to be injecte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r the like, for each of the detachers 100: 101, 102, 103, The elevating means 150 provided in each of the desorbing devices 100: 101, 102, 103, 104 and 105 is individually controlled so as to make the pressure difference uniform. That is, the elevating means 150 is controlled so as to minimize the vari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jection air temperature and the exhaust temperature from the detection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120, the pressure sensor 121, or the concentration sensor with the lapse of time, 1c. When the cartridge 1 is placed in each of the desorbers 100, 101, 102, 103, 104, 105, the amount of desorbed material by hot air gradually decreases with time. However, By adjusting the airflow rate, the amount of desorbed material can be kept substantially constant for the predetermined time (the time the cartridge remains in the individual desorber).

부연 설명하면, 등록특허 제10-1302067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착한 유해물질을 연소시켜 열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유해물질의 농도 변화에 따라 연소 연료의 양도 조절해야 하는 데, 유해물질 농도가 심하게 변동하면 연소 연료 조절이 어려워, 과열에 의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고 배기가스의 온도변화도 심하게 변동한다. 또한, 탈착기의 실내에서도 재생 탈착공정 초기에 일시적으로 고농도의 유해물질이 발생하여 폭발 위험이 있다. 즉, 재생 탈착공정은 탈착되는 유해물질의 농도가 가능하면 적절한 값으로 균일하거나 아니면 완만하게 변동하게 하고, 충분히 탈착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형 흡착제(1c)에 흡착되어 있는 유해물질의 양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Patent No. 10-1302067, when the toxic substances desorbed are burned to be used as a heat source, the amount of the combustion fuel must b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of the toxic substances,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combustion fuel, a fire due to overheating may occur, and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exhaust gas also fluctuates greatly. 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due to the generation of toxic substances at a high concentration in the early stage of the regeneration desorption process even in the room of the desorber. That is, in the regeneration desorption process, the concentration of the toxic substances desorbed is made uniform or moderately fluctuating to an appropriate value as much as possible, and the time required for sufficient desorption depends on the amount of the toxic substances adsorbed on the solid adsorbent 1c It is preferable to set it variably.

물론, 배관에 댐퍼를 설치하여 풍량 조절하는 방식도 있으나, 이 방식을 채용하면 단적으로 말해서 탈착 유해물질을 연소시키는 연소로에의 공기 공급량도 변동하게 되어 연소로의 운전에 어려움이 있다.Of course,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damper is provided in a pipe to adjust the air volume. However, if this method is employed,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furnace that burns desorbed harmful substances also fluctuates.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탈착기에 대해서 주입하는 저온 가열공기의 풍량은 거의 일정하게 하되, 저온 가열공기의 온도 차, 압력 차 또는 VOCs 농도 차에 따라 고형 흡착제(1c)를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여서, 탈착량의 시간적 변동을 줄인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low-temperature heating air to be injected into each of the desorbers is controlled to be substantially constant, and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1c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pressure difference or VOCs concentration , And the temporal fluctuation of the desorption amount is reduced.

저온 가열공기의 온도 차는 고형 흡착제(1c)를 통과하는 저온 가열공기의 풍량을 반영하므로, 탈착량을 예측하여 풍량 조절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열 방지를 위해서도 필요하다.Sin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reflects the air volume of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1c, it can be used not only for predicting the desorption amount but also for controlling the air volume.

저온 가열공기의 압력 차도 마찬가지로 고형 흡착제(1c)를 통과하는 저온 가열공기의 풍량을 반영하므로, 탈착량을 예측하여 풍량 조절에 이용할 수 있고, 아울러, 폭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Since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also reflects the air volume of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1c, it can be used for predicting the amount of desorption to be used for air volume control and also for preventing explosion.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소로(500)에 유입되는 탈착 물질량의 시간적 변동을 최소화하도록 제어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하기란 어려우므로, 컨트롤러(2)는 개별 탈착기에서 검출되는 VOCs 농도의 합에 따라 연료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연소로(500)에서 발생하는 열량을 안정화도록 연료공급기(501)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controlled to minimize the temporal fluctuation of the amount of the desorbing material flowing into the combustion furnace 500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keep the amount of the desorbing material consta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fuel supplier 501 so as to stabiliz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furnace 500 by adjusting the fuel supply amount.

다른 한편으로서, 상기 출구측 분배덕트(200a)의 출구측에 VOCs 농도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출구측 분배덕트(200a)에서 배출되는 저온 가열공기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온도 또는 압력을 균일하게 되도록 각각의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에 구비된 상기 승강수단(15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각각의 탈착기에 대해 풍량을 동시에 높이거나 아니면 동시 낮추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VOCs concentra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or a pressure sensor is provided at the outlet side of the out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a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in the low temperature heated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a, Or to control the elevating means 150 provided in each of the desorbing devices 100: 101, 102, 103, 104 and 105 so that the pressure becomes uniform.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ir flow rate at the same time or simultaneously lower the air flow rate for each desorber.

1 : 카트리지 1a : 통풍구 1b : 메쉬망 1c : 고형 흡착제
10 : 입출고설비 배열층 11 : 카트리지 입고실 12 : 카트리지 출고실
13 : 반입용 승강기 14 : 반출용 승강기
20 : 탈착설비 배열층
30 : 연소설비 배열층
A : 탈착설비
100,101,102,103,104,105 : 탈착기
110 : 케이스 111 : 상부 케이스 112 : 하부 케이스
112a : 받침대 113 : 하측 입구 114 : 상측 출구
115 : 상측 가이드 롤러 115a : 브라켓
120 : 온도 센서 121 : 압력 센서 122 : 폭발방산구
123 : 소화약제 분사헤드 124 : 점검구
130 : 컨베이어 131 : 롤러 132 : 평기어
132a : 롤러부 기어 132b : 연동용 기어 133 : 모터
140 : 확산관 141 : 연장부 142 : 밀착부
143 : 실링재 144 : 연장관 145 : 플랜지
146 : 가요성 밀봉재 147 : 신축이음관
150 : 승강 수단 151 : 정역 모터 152 : 리프트
152a : 랙 152b : 피니언 153 : 하측 가이드 롤러
160 : 가이드 베인 161 : 폭방향 격벽 162 : 종단방향 격벽
170 : 도어
200 : 입구측 분배덕트 210 : 리듀서 220 : 노멀밴드(normal bend)
230,231,232,233,234,235 : 분기관
200a : 출구측 분배덕트
300 : 냉각기 310 : 도어
400 : 반입 컨베이어 410 : 탈착 대기실 420 : 냉각 대기실
430 : 반출 대기실 440 : 반출 컨베이어
B : 연소설비
500 : 연소로 501 : 연료공급기 502 : SNCR
510 : 보일러 511 : 열공급 열교환기 512 : 저온수 저장탱크
520 : 흡기라인 521 : 흡기덕트 522 : 압입송풍기
530 : 배기라인 531 : 제1 열교환기 532 : 제2 열교환기
533 : 유입송풍기 534 : 굴뚝
600 : 컨트롤러
1: Cartridge 1a: Vents 1b: Mesh net 1c: Solid adsorbent
10: I / O facility arrangement layer 11: Cartridge loading room 12: Cartridge loading room
13: Lift for bringing in 14: Lift for taking out
20: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A: Desorption facility
100, 101, 102, 103, 104, 105: desorber
110: case 111: upper case 112: lower case
112a: pedestal 113: lower inlet 114: upper outlet
115: upper guide roller 115a: bracket
120: temperature sensor 121: pressure sensor 122: explosion-
123: Extinguishing agent dispensing head 124: Check port
130: conveyor 131: roller 132: spur gear
132a: Roller sub gear 132b: Interlocking gear 133: Motor
140: diffusion tube 141: extension part 142:
143: sealing material 144: extension tube 145: flange
146: flexible sealing material 147: stretchable acoustic tube
150: elevating means 151: normal / reverse motor 152: lift
152a: rack 152b: pinion 153: lower guide roller
160: guide vane 161: width direction partition wall 162: longitudinal direction partition wall
170: Door
200: inlet-side distribution duct 210: reducer 220: normal bend
230,231,232,233,234,235:
200a: outlet-side distribution duct
300: cooler 310: door
400: conveying conveyor 410: detachment waiting room 420: cooling waiting room
430: take-out waiting room 440: carry-out conveyor
B: Combustion facility
500: combustion furnace 501: fuel supplier 502: SNCR
510: boiler 511: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512: low temperature water storage tank
520: intake line 521: intake duct 522: pressurized blower
530: exhaust line 531: first heat exchanger 532: second heat exchanger
533: Inflow blower 534: Chimney
600: controller

Claims (8)

고형 흡착제를 내부에 채운 카트리지(1)의 입출고 및 보관이 이루어지는 입출고설비 배열층(10), 입출고설비 배열층(10)의 위층으로서 탈착설비(A)를 배치하는 탈착설비 배열층(20), 및 탈착설비 배열층(20)의 위층으로서 연소설비(B)를 배치하는 연소설비 배열층(30)에 의해서 적어도 3개층 건축물에 지지되되,
상기 입출고설비 배열층(10)은 탈착할 카트리지를 입고 및 보관한 후 반입용 승강기(13)에 의해 위층으로 반입하기 위한 카트리지 입고실(11)과, 탈착한 카트리지를 위층으로부터 반출용 승강기(14)에 의해 받아 보관한 후 출고하기 위한 카트리지 출고실(12)로 구획되고,
상기 탈착설비(A)는 반입용 승강기(13)에서 반입받은 카트리지를 반출용 승강기(14)까지 일직선으로 이송하는 중에 복수의 탈착기(100)를 순차 통과시키며 반복 탈착한 후 냉각기(300)를 통과시켜 냉각하고, 이후 반출하고,
상기 연소설비(B)는 연소로(500) 및 연소로(500)의 배기가스 열로 온수 공급하는 보일러(510)의 배치라인과, 보일러(51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제2 열교환기(532) 및 제1 열교환기(531)를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한 후 외부 배출되게 할 배기라인(530)을 상호 평행하게 'U'자형으로 배열하되, 배기라인(530)이 탈착설비(A)와 상하로 평행하게 하며,
상기 연소로(500)의 흡기라인(520)은 카트리지 입고실(11)의 공기를 탈착설비(A)의 근처에 배치한 압입송풍기(522)로 흡기하여 상기 냉각기(300)를 경유하게 함으로써 상기 냉각기(300) 내의 카트리지를 냉각한 후 상기 제1 열교환기(531)를 경유하게 하고, 이후 복수 탈착기(100)에 분배되어 각 탈착기(100) 내의 카트리지를 탈착한 후 합해져 상기 제2 열교환기(532)를 경유하여 상기 연소로(500)에 공급되게 하고,
상기 탈착설비(A)의 복수 탈착기(100) 및 냉각기(200)는 각각 카트리지를 내부에 소정시간 체류하게 한 상태에서 하부 입구를 통해 불어넣는 공기를 카트리지에 통과되게 한 후 상부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입구 및 출구는 각각 바닥 및 천정을 관통하게 한 후 흡기라인(520) 중에 접관되게 하되, 각 탈착기(100)의 입구는 입출고설비 배열층(10)의 천정 측에서 복수 탈착기(100)의 배열과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한 입구측 분배덕트(200)에 의해 균일한 기류의 공기를 유입받게 하고, 각 탈착기(100)의 출구는 연소설비 배열층(30)에서 복수 탈착기(100)의 배열과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한 출구측 분배덕트(200a)에 이어지게 하고,
복수 탈착기(100)는 사이사이의 도어(170)를 개폐하여 카트리지(1)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각각은 하측에서 주입되는 저온 가열공기가 격자 구조의 가이드 베인(160)에 의해 구획된 확산관(140)을 통과되게 하여 카트리지(1)를 균일한 풍량으로 통과한 후 상측으로 배출되게 하고, 각각 상기 확산관(14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50)을 구비하여서, 카트리지(1)를 우회하는 저온 가열공기의 풍량 조절로 카트리지(1)의 통풍구(1a)를 통해 고형 흡착제(1)를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게 하되, 카트리지(1)의 통과 순서가 앞설수록 고형 흡착제(1c)를 통과하는 풍량이 적어지게 각각의 탈착기(100 : 101, 102, 103, 104, 105)에 구비된 상기 승강수단(150)을 제어하게 하고,
입구측 분배덕트(200)는 복수 탈착기(100)의 아래에서 카트리지(1)의 통과 순서상 마지막 탈착기(105)부터 두번째 탈착기(102)까지 분기관(231,232,233,234)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저온 가열공기를 분기하여 주입하고, 첫번째 탈착기(101)에게는 단부에 순차적으로 설치한 노멀밴드(220) 및 분기관(235)을 통해 저온 가열공기를 주입하되, 분기되는 지점의 관경을 상측으로 편심된 이형관으로 된 리듀서(210)의 개재에 의해 단계적으로 축소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출구측 분배덕트(200a)는 복수 탈착기(100)의 위에서 마지막 탈착기(105)부터 첫번째 탈착기(101)까지 상측 출구로 배출되는 저온 가열공기를 받아 배출시키는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
A desiccant arrangement layer 20 for disposing the desorption facility A as an upper layer of the I / O facility arrangement layer 10, an inlet / outlet arrangement layer 10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cartridge 1 filled with the solid adsorbent therein, And a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for arranging a combustion facility (B) as an upper layer of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The I / O facility arrangement layer 10 includes a cartridge loading chamber 11 for loading and storing a cartridge to be loaded and unloaded and then loading it into the upper layer by the loading elevator 13, And then stored in the cartridge discharge chamber 12 for discharging,
The desorption apparatus A sequentially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desorbers 100 while repeatedly transferring the cartridges received from the carry-in elevator 13 to the take-out elevator 14 in a straight line, Cooled, passed thereafter,
The combustion facility B includes an arrangement line of the boiler 510 for supplying hot water to the combustion furnace 500 and the exhaust gas heat of the combustion furnace 500 and a line for disposing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boiler 510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and then exhaust lines (53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U shape. The exhaust line (530) Parallel,
The intake line 520 of the combustion furnace 5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in the cartridge loading chamber 11 is sucked into the pressurized blower 522 disposed near the desorption facility A to pass through the cooler 300, The cartridge in the cooler 300 is cooled and then passed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and then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desorbers 100 to detach the cartridges in the respective desorbers 100, And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furnace 500 via the unit 532,
The plurality of detachers (100) and (200) of the desorption apparatus (A) respectively allow the air blown through the lower inlet to pass through the cartridge in a state in which the cartridge remains insid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pierced through the floor and the ceiling respectively and are then pivoted in the intake line 520. The inlet of each of the desorbers 100 is connected to the despooler 100, and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disposed in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outlet of each desorber 10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esorbers To the out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a disposed in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rray of the outlet side distribution ducts 100,
The plurality of detachers 100 are arranged in a line so as to sequentially open and close the door 170 between the cartridges 1 and sequentially pass the cartridges 1. The low temperature heated air injected from the lower side is guided by the grid vanes 160, And a lifting means 150 for allowing the cartridge 1 to pass through the diffusion tube 14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member 140 to allow the cartridge 1 to pass through the uniform air volume and then to be discharged upward and to raise and lower the diffusion tube 140, The temperature of air passing through the solid adsorbent 1 is adjust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a of the cartridge 1 by adjusting the air flow rate of the low temperature heating air bypassing the cartridge 1, The elevating means 150 provided in each of the desorbing devices 100: 101, 102, 103, 104 and 105 is controlled so as to reduce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adsorbent 1c,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esorber 102 in the order of passage of the cartridge 1 under the plurality of desorbers 100 sequentially from the last desorber 105 to the second desorber 102 using the branch pipes 231, The hot air is branched and injected. The first desorbent 101 is injected with low-temperature heating air through a normal band 220 and a branch pipe 235 which are sequentially installed at the ends, And is reduced in size stepwise by the interposition of the reducer 210 made of a deformed tube,
The outlet-side distribution duct 200a receives and discharges the low-temperature heating air discharged from the final desorber 105 to the first outlet from the first desorber 101 above the plurality of desorbers 100. The continuou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531)는 상기 냉각기(300) 및 상기 입구측 분배덕트(200) 입구와 최단거리로 흡기라인(520)의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배기라인(53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532)는 상기 출구측 분배덕트(200a)의 출구와 최단거리로 흡기라인(520)의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배기라인(530) 상에 설치되는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eat exchanger 531 is installed on an exhaust line 530 on which a pipe of the intake line 520 can be installed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let of the cooler 300 and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is installed on an exhaust line (530) capable of installing piping of the intake line (520)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outlet of the out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기(532)와 연소로(500) 사이의 흡기라인(520)의 배관은 2단 꺾인 배관에 의해 최단거리로 설치되는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pe of the intake line (520) between the second heat exchanger (532) and the combustion furnace (500) is installed at the shortest distance by a two-step bent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설비(A)를 상호 평행한 2개조로 탈착설비 배열층(20)에 배치하고, 컨베이어에 의해 상호 병렬로 이어놓아 반입용 승강기(13)로 반입받은 카트리지를 분배받아 병렬 처리하게 하며,
상기 연소설비 배열층(30)은 각 탈착설비(A)에 일대일 대응되는 상부 위치에 맞게 연소설비(B)를 배치하되,
어느 한쪽 연소설비(B)의 흡기라인은 카트리지 입고실(11)의 공기를 흡기하고 다른 한쪽 연소설비(B)의 흡기라인은 카트리지 출고실(12)의 공기 또는 탈착설비 배열층(20) 내의 공기를 흡기하는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sorption facilities A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on a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by a conveyor so that the cartridges carried into the take-in elevator 13 are distributed and processed in parallel,
The combus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30) is arranged such that the combustion facility (B) is disposed at an upper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to-one correspondence to each desorption facility (A)
The intake line of either combustion facility B sucks the air in the cartridge inlet chamber 11 and the intake line of the other combustion facility B is in the air in the cartridge outlet chamber 12 or in the desorption facility arrangement layer 20 Continuous solid adsorbent regeneration plant that absorbs 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160)에 의해 구획된 각 확산 경로의 하측 입구는 상기 입구측 분배덕트(200) 내의 분기 전 기류 방향으로 쏠리게 하면서 축소시키고,
상기 확산관(140)의 내부는 상기 가이드 베인(160)의 상하에 각각 여유 공간을 갖는 연속식 고형 흡착제 재생 플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inlet of each of the diffusion paths partitioned by the guide vane 160 is reduced while being directed toward the branch flow direction in the inlet side distribution duct 200,
And the interior of the diffusion tube (140) has a clearance space above and below the guide vane (160), respectively.
KR1020170098025A 2017-04-07 2017-08-02 Continuous regeneration plant of solid absorbent KR1019336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45204 2017-04-07
KR1020170045204 2017-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86A KR20180113886A (en) 2018-10-17
KR101933681B1 true KR101933681B1 (en) 2018-12-31

Family

ID=6409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025A KR101933681B1 (en) 2017-04-07 2017-08-02 Continuous regeneration plant of solid absorb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6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983B1 (en) 2019-11-06 2021-01-12 (주)윈텍글로비스 Equipment for regeneration activated carbon with superheated steam and low temperature 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3520B (en) * 2019-11-19 2020-10-27 连佳彬 Failure activated carbon regeneration equipment
CN116371142B (en) * 2023-06-01 2023-10-03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Flue gas low-temperature adsorption regeneration system and adsorbent heating and convey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067B1 (en) * 2013-05-24 2013-09-05 한국수자원공사 Activated charcoal cartridge, adsorption tower including the same and refilling device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067B1 (en) * 2013-05-24 2013-09-05 한국수자원공사 Activated charcoal cartridge, adsorption tower including the same and refilling device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983B1 (en) 2019-11-06 2021-01-12 (주)윈텍글로비스 Equipment for regeneration activated carbon with superheated steam and low temperature 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86A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678B1 (en) Continuous desorbing system for regeneration of solid absorbent
KR101933681B1 (en) Continuous regeneration plant of solid absorbent
KR101676466B1 (en) Adsorption tower having replaceable activated carbon cartridge and method of replacing activated carbon cartridge
CN111249857B (en) VOC exhaust-gas treatment purifier and have its baking finish room
CN105688622B (en) Use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nd denitration method and device of the double adsorption towers of series connection
US9726373B2 (en) Heat storage type waste gas purification apparatus
CN204502749U (en) Use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nd denitrification device of the two adsorption tower of series connection
US202302415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gas adsorbate capture using adsorption/regeneration cycle
CN110585855A (en) Movable waste gas treatment device
US20220195139A1 (en)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US7018585B2 (en) Annealing apparatus
CN116371142B (en) Flue gas low-temperature adsorption regeneration system and adsorbent heating and conveying device
KR101933663B1 (en) Desorbing apparatus for regeneration of solid absorbent
KR20120117427A (en) Absorptive collecting system of vocs for recycling as a fuel
CN112403178B (e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ystem with atmosphere prot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treating flue gas
JP2000055564A (en) Roller hearth kiln
JP3330169B2 (en) Vertical heat treatment equipment with gas shower nozzle
CN211753672U (e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ystem and flue gas treatment system with atmosphere protection structure
JP4565111B2 (en) Fluidized bed desiccant air conditioning system
US800306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mbient air abatement of electronic manufacturing effluent
JP2005296725A (en) Nitrogen oxides removal apparatus and its adsorbing unit
JP4105922B2 (en) Replacement ventilation type low dew point room and air conditioning method of low dew point room by replacement ventilation
US2009014833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restrictions to air flow in an abatement system
CN213160212U (en) Flue gas desulfurization and denitrification system
CN211936243U (e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filtr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