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493B1 - 캠핑카운용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캠핑카운용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493B1
KR101933493B1 KR1020170092912A KR20170092912A KR101933493B1 KR 101933493 B1 KR101933493 B1 KR 101933493B1 KR 1020170092912 A KR1020170092912 A KR 1020170092912A KR 20170092912 A KR20170092912 A KR 20170092912A KR 101933493 B1 KR101933493 B1 KR 101933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ping
user terminal
detection pattern
channe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92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카 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 블랙박스를 포함한 각종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사물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레저 활동에서의 이동 수단과 주거 수단으로서의 특성을 함께 가지게 되는 캠핑카에 특화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캠핑카를 이용한 레저 활동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는 캠핑카운용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캠핑카운용장치 및 그 동작 방법{OPERATION APPRATUS FOR CAMPING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캠핑카 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 블랙박스를 포함한 각종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사물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캠핑카에 특화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 생활과 가장 밀접한 공간인 가정 내 각종 디바이스(예: 가전기기)를 대상으로도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및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망을 구축하게 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가 이미 상용화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5일 근무 확대와 가계 소득 증가에 맞물려, 가정의 가계 지출에서 레저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각종 생활설비를 갖춘 레저형 차량 즉 캠핑카를 이용한 여행 등의 레저 활동이 붐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캠핑카는 예컨대, 버스나 차내를 가옥과 같이 개조하여 차량을 겸할 수 있는 타입과, 트레일러와 같이 자동차에 의해 견인되는 웨건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공통적으로 그 내부에는 여행 중 숙박 및 취사가 가능하도록 침실을 비롯하여 화장실, 주방 등을 갖추게 된다.
이처럼, 캠핑카는 레저 활동에 있어서 이동 수단으로서의 특성 이외에 일상 생활에서의 집과 마찬가지로 주거 수단으로서의 특성을 함께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 제고 측면에서 기존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캠핑카를 대상으로도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캠핑카 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 블랙박스를 포함한 각종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사물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레저 활동에서의 이동 수단과 주거 수단으로서의 특성을 함께 가지게 되는 캠핑카에 특화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는, 캠핑카에 구비된 게이트웨이장치에 대한 사용자단말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캠핑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캠핑사이트감지패턴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 따라서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객체의 출현이 감지되는 경우, 이상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상기 캠핑카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을 설정하며,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는, 상기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기초로 결정되는 캠핑사이트의 경계로부터 상기 캠핑카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마다 영상 내 이상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거리가 각각 다르게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캠핑카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에 상기 사용자단말이 안착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카메라 기능을 구동시켜 상기 캠핑카 내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캠핑카 내부 영상으로부터 객체 또는 객체의 움직임이 확인되지 않는 공실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실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길이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IOT 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현재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핑카운용장치는,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IOT 장치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상기 다수의 IOT 장치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IOT 장치의 현재상태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주행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운전자지원감지패턴으로 설정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운전자지원감지패턴에 따라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의 동작 방법은, 캠핑카에 구비된 게이트웨이장치에 대한 사용자단말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캠핑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캠핑사이트감지패턴으로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 따라서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객체의 출현이 감지되는 경우, 이상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상기 캠핑카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을 설정하며,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는, 상기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기초로 결정되는 캠핑사이트의 경계로부터 상기 캠핑카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마다 영상 내 이상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거리가 각각 다르게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캠핑카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에 상기 사용자단말이 안착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카메라 기능을 구동시켜 상기 캠핑카 내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캠핑카 내부 영상으로부터 객체 또는 객체의 움직임이 확인되지 않는 공실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실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길이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IOT 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현재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IOT 장치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수집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상기 다수의 IOT 장치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IOT 장치의 현재상태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주행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운전자지원감지패턴으로 설정하며,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운전자지원감지패턴에 따라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캠핑카운용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서는, 캠핑카 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 블랙박스를 포함한 각종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사물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레저 활동에서의 이동 수단과 주거 수단으로서의 특성을 함께 가지게 되는 캠핑카에 특화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캠핑카를 이용한 레저 활동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운용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사이트감지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운용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운용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0), 게이트웨이장치(20), 블랙박스(30),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및 캠핑카운용장치(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단말(10)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화면을 통해서 게이트웨이장치(20)와 연결된 상태인 다수의 IoT장치(40-1, 40-2, 40-3, . . . , 40-N) 각각에 대한 상태정보의 확인 및 변경을 처리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0)은 예컨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플렉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장치(20)는 사용자단말(10), 및 블랙박스(30), 그리고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에 해당하는 각각에 대한 접속을 처리하여, 접속된 디바이스 간에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에 해당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AP(Access Point)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웨이장치(20)는 자신과 접속되는 사용자단말(10), 및 블랙박스(30), 그리고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각각에 대해 고유주소(예: 가상 IP)를 할당하여 할당된 주소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블랙박스(30)는 캠핑카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여, 기록된 영상을 통해서 차량 속도, 주차 상황 녹화 기능 등을 사고 정황 파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블랙박스(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4대의 카메라를 통해 캠핑카의 전후방 그리고 좌우측면을 각각 촬영할 수 있는 4채널 블랙박스 시스템이 채택되며, 그 외 GPS 기능을 더 포함하는데 이는 예컨대, 캠핑카 도난 시 위치 추적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는 캠핑카 내 외부에 장착된 상태로 게이트웨이장치(20)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화재감지센서, 가스누출감지센서, 실내 온/습도 센서, 태양열충전시스템, 실내등제어장치, 히터제어장치, 및 배터리감지장치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게이트웨이장치(20)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캠핑카운용장치(50)는 게이트웨이장치(20)를 통해서 구축되는 캠핑카 내외부의 디바이스 간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캠핑카에 특화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시스템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캠핑카운용장치(5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캠핑카 운용 시스템 내 하나의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게이트웨이장치(20) 및 블랙박스(3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일체화되어 기능 구현을 위해 각 장치의 하드웨어(예: 프로세서, 메모리)를 공유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운용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캠핑카 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 블랙박스를 포함한 각종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에 해당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캠핑카에 특화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캠핑카운용장치(5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50)는 캠핑카의 운용모드를 확인하는 확인부(51), 영상의 감지 패턴을 설정하는 설정부(52),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53), 및 응용 서비스를 처리하는 처리부(5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5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사용자단말(10)과 블랙박스(30)를 비롯한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부(5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55)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55)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제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캠핑카운용장치(5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캠핑카운용장치(5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캠핑카운용장치(5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5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을 기반으로 캠핑카에 특화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캠핑카운용장치(5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캠핑카운용장치(50) 내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블랙박스(30)를 비롯한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는 게이트웨이장치(20)에 이미 접속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50)에서의 응용 서비스 처리 동작은, '캠핑모드'와 '주행모드'로 구분되는 캠핑카의 운용모드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캠핑카의 운용모드 각각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캠핑모드'인 경우에 해당하는 캠핑카운용장치(50) 내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확인부(51)는 캠핑카의 운용모드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51)는 게이트웨이장치(20)에 대한 사용자단말(10)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단말(10)로부터 설정되는 캠핑카의 운용모드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게이트웨이장치(20)에 접속된 사용자단말(10)로부터 설정되는 것임을 상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예컨대, 캠핑카의 주행 여부, 주행 속도, 및 정차 시간 등을 포함하는 주행상태에 따라서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설정부(52)는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부(52)는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캠핑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게이트웨이장치(20)와 연결된 블랙박스(30)의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캠핑사이트감지패턴으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캠핑사이트감지패턴이란, 캠핑카가 오토캠핑장 이용을 위해 오토캠핑장 내 구획된 캠핑사이트에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시점(예: 야간)에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오토캠핑장 내 캠핑 사이트가 아닌 주차장 내 주차사이트에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패턴으로도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설정부(52)는 블랙박스의 채널(4CH)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각각의 객체감지패턴을 설정하게 되며, 이러한 각각의 객체감지패턴은 사용자단말(10)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캠핑카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는 캠핑사이트감지패턴을 설정을 위한 사용자단말(10)의 서비스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0)의 서비스화면(예: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는 캠핑카가 캠핑사이트에 주차된 상태와 관련하여 캠핑카의 이미지(a)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캠핑카의 이미지(a)를 기준으로 캠핑사이트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라인(b)을 설정(드래그 앤 드롭)하여 캠핑사이트의 크기(가로*세로)를 포함하는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이처럼 캠핑카의 이미지(a)를 기준으로 구획라인(b)을 설정(드래그 앤 드롭)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캠핑사이트의 크기를 텍스트 형식으로 서비스화면에 입력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설정부(52)는 위 예시에 따라 결정되는 캠핑사이트의 경계로부터 캠핑카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블랙박스(30)의 채널(전, 후, 좌, 우)마다 영상 내 이상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거리를 각각 다르게 지정하는 방식을 통해서 캠핑사이트감지패턴을 설정하게 된다.
이처럼, 블랙박스(30)의 채널(전, 후, 좌, 우)마다 영상 내 이상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거리를 다르게 지정하는 것은, 이웃한 캠핑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캠퍼의 이동 반경을 고려하여, 객체에 대한 감지 동작이 불필요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되면, 블랙박스(30)의 채널(전, 후, 좌, 우)마다 영상 내 이상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거리를 초과하는 거리에서의 움직임 즉, 이웃한 캠핑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캠퍼의 이동 상태 등은 그 감지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는 것이다.
처리부(54)는 이상 객체의 출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54)는 블랙박스(30)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이 캠핑사이트감지패턴으로 설정되는 경우, 설정된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 따라서 블랙박스(30)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객체의 출현이 감지되며, 만약 이상 객체의 출현이 감지되는 경우, 이상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사용자단말(10)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방식은 공지의 영상인식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영상인식기술을 통해 감지되는 이상 객체의 출현은, 영상 내 객체가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 지정된 객체감지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알림 정보의 경우, 예컨대, 경보음, 메시지 등 그 형태에 제한은 따르지 않으며, 만약 사용자단말(10)과의 무선(예: 블루투스) 접속 상태인 햅틱디바이스(예:스마트 워치)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해당 햅틱디바이스에 진동을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알림 정보의 전달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30)의 경우, 4대의 카메라를 통해 캠핑카의 전후방 그리고 좌우측면을 각각 촬영할 수 있는 4채널 블랙박스 시스템이 채택되고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캠핑카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도시 안됨)에 사용자단말(10)을 거치시킴으로써, 캠핑카의 전후방 그리고 좌우측면뿐만 아니라, 캠핑카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5채널 블랙박스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처리부(54)는 캠핑카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에 사용자단말(10)이 안착되었음이 게이트웨이장치(20)를 통해 확인되는 경우,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단말(10)의 카메라의 기능을 구동시켜 캠핑카 내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처리함으로써, 기존 4대의 카메라를 이용한 4채널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캠핑카 내부 촬영이 가능한 5채널 블랙박스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거치대에 사용자단말(10)이 안착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선 유/무선 통신을 통해서 거치대와 게이트웨이장치(20) 간의 연결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단말(1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처리부(54)에서의 제어 동작에 따라 사용자단말(10) 내부의 카메라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음이 전제되어야 한다.
나아가, 처리부(54)는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단말(10)의 카메라의 기능을 통해서 캠핑카 내부 영상의 촬영이 가능해지면, 캠핑카 내부 영상으로부터 객체 또는 객체의 움직임이 확인되지 않는 공실 상태를 감지하여, 공실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길이에 따라서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중 적어도 일부의 현재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핑카 내부 영상으로부터 20분 동안 공실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이 감지되는 경우, 온(On) 상태인 실내등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마찬가지로 온(On) 상태의 히터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등의 변경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공실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중 하나로 채택될 수 있는 실내 온/습도 센서를 통해서 캠핑카 내부 온/습도를 확인하고, 캠핑카 내부를 적정 온/습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에어컨, 또는 난방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캠핑카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참고로, 이러한 공실 상태에서의 IoT 장치에 대한 상태 변경 동작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태 변경을 위해 공실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시간 길이 및 변경 대상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수집부(53)는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집부(53)는 게이트웨이장치(20)와 접속된 사용자단말(10)로부터 게이트웨이장치(20)와 연결된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각각의 현재 상태에 대한 확인이 요구되는 경우,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각각으로부터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태정보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의 서비스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처리부(54)에서는 사용자단말(10)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적어도 일부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의 현재상태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도록 처리하게 된다.
참고로, 처리부(54)는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중 하나로 채택될 수 있는 태양열충전시스템과 관련하여서는, 사용자단말(10)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와는 별개로 독자적인 실시간 제어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핑카 자체의 배터리 잔량과, 태양열충전시스템의 전력저장량(예: ESS)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캠핑카 자체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 미만으로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태양열충전시스템의 전력저장량을 캠핑카 자체의 배터리의 충전 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에너지 전달 경로를 실시간 제어함으로써, 이를 통해 캠핑카 자체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캠핑모드'인 경우에 해당하는 캠핑카운용장치(50) 내 구성에 대해 설명을 마치고,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주행모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정부(52)는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부(52)는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주행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게이트웨이장치(20)와 연결된 블랙박스의 채널(4CH)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예: 차량, 차선)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운전자지원감지패턴으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운전자지원감지패턴이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을 지원하기 위한 감지패턴을 일컫는 것으로서, 블랙박스의 채널(4CH) 별 영상에 대한 감지를 통해서 전방 위험 차량 경보 시스템(FCW, Forward Collision Warning), 차선 이탈 경보(LDW, Lane Departure Warning)나 앞차 정지 알림(FVSA, Forward Vehicle Stop Alert) 같은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처리부(54)는 이상 객체의 출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54)는 블랙박스(30)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이 운전자지원감지패턴으로 설정되는 경우, 설정된 운전자지원감지패턴에 따라서 블랙박스(30)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사용자단말(10)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알림 정보의 경우, 예컨대, 경보음, 메시지 등 그 형태에 제한은 따르지 않으며, 만약 사용자단말(10)과의 무선(예: 블루투스) 접속 상태인 햅틱디바이스(예:팔찌 형태)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해당 햅틱디바이스에 진동을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알림 정보의 전달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50)에 따르면, 캠핑카 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 블랙박스를 포함한 각종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사물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레저 활동에서의 이동 수단과 주거 수단으로서의 특성을 함께 가지게 되는 캠핑카에 특화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캠핑카를 이용한 레저 활동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5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5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확인부(51)는 단계 S11에 따라 게이트웨이장치(20)에 대한 사용자단말(10)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단계 S12에 따라서 사용자단말(10)로부터 설정되는 캠핑카의 운용모드를 확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게이트웨이장치(20)에 접속된 사용자단말(10)로부터 설정되는 것임을 상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예컨대, 캠핑카의 주행 여부, 주행 속도, 및 정차 시간 등을 포함하는 주행상태에 따라서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해, 설정부(52)는 단계 S13에 따라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캠핑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계 S14에 따라서 게이트웨이장치(20)와 연결된 블랙박스(30)의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캠핑사이트감지패턴으로 설정한다.
참고로, 캠핑사이트감지패턴이란, 캠핑카가 오토캠핑장 이용을 위해 오토캠핑장 내 구획된 캠핑사이트에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시점(예: 야간)에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오토캠핑장 내 캠핑 사이트가 아닌 주차장 내 주차사이트에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패턴으로도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설정부(52)는 블랙박스의 채널(4CH)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각각의 객체감지패턴을 설정하게 되며, 이러한 각각의 객체감지패턴은 사용자단말(10)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캠핑카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설정부(52)는 위 예시에 따라 결정되는 캠핑사이트의 경계로부터 캠핑카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블랙박스(30)의 채널(전, 후, 좌, 우)마다 영상 내 이상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거리를 각각 다르게 지정하는 방식을 통해서 캠핑사이트감지패턴을 설정하게 된다.
이처럼, 블랙박스(30)의 채널(전, 후, 좌, 우)마다 영상 내 이상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거리를 다르게 지정하는 것은, 이웃한 캠핑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캠퍼의 이동 반경을 고려하여, 객체에 대한 감지 동작이 불필요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되면, 블랙박스(30)의 채널(전, 후, 좌, 우)마다 영상 내 이상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거리를 초과하는 거리에서의 움직임 즉, 이웃한 캠핑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캠퍼의 이동 상태 등은 그 감지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처리부(54)는 블랙박스(30)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이 캠핑사이트감지패턴으로 설정되었으며, 단계 S15에 따라 사용자단말(10)로부터 보안(야간)모드가 설정된 것이 확인되는 경우, 단계 S16을 통해 설정된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 따라서 블랙박스(30)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객체의 출현이 감지하게 되며, 만약 단계 S17에 따라 이상 객체의 출현이 감지되는 경우, 단계 S18을 통해서 이상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사용자단말(10)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방식은 공지의 영상인식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영상인식기술을 통해 감지되는 이상 객체의 출현은, 영상 내 객체가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 지정된 객체감지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알림 정보의 경우, 예컨대, 경보음, 메시지 등 그 형태에 제한은 따르지 않으며, 만약 사용자단말(10)과의 무선(예: 블루투스) 접속 상태인 햅틱디바이스(예:팔찌 형태)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해당 햅틱디바이스에 진동을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알림 정보의 전달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처리부(54)는 단계 S19에 따라 캠핑카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에 사용자단말(10)이 안착되었음이 게이트웨이장치(20)를 통해 확인되는 경우, 단계 S20을 통해서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단말(10)의 카메라의 기능을 구동시켜 캠핑카 내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처리함으로써, 기존 4대의 카메라를 이용한 4채널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캠핑카 내부 촬영이 가능한 5채널 블랙박스 시스템을 구현한다.
나아가, 처리부(54)는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단말(10)의 카메라의 기능을 통해서 캠핑카 내부 영상의 촬영이 가능해지면, 단계 S21 내지 S23에 따라서 캠핑카 내부 영상으로부터 객체 또는 객체의 움직임이 확인되지 않는 공실 상태를 감지하여, 공실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길이에 따라서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중 적어도 일부의 현재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캠핑카 내부 영상으로부터 20분 동안 공실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이 감지되는 경우, 온(On) 상태인 실내등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마찬가지로 온(On) 상태의 히터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등의 변경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집부(53)는 단계 S24에 따라 게이트웨이장치(20)와 접속된 사용자단말(10)로부터 게이트웨이장치(20)와 연결된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각각의 현재 상태에 대한 확인이 요구되는 경우, 단계 S25를 통해서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각각으로부터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태정보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의 서비스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처리부(54)에서는 단계 S26 및 S27에 따라서 사용자단말(10)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다수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적어도 일부의 IOT 장치(40-1, 40-2, 40-3, . . . , 40-N)의 현재상태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도록 처리하게 된다.
한편 앞선 단계 S28에 따라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주행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설정부(52)는 단계 S29에 따라 게이트웨이장치(20)와 연결된 블랙박스의 채널(4CH)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예: 차량, 차선)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운전자지원감지패턴으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운전자지원감지패턴이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을 지원하기 위한 감지패턴을 일컫는 것으로서, 블랙박스의 채널(4CH) 별 영상에 대한 감지를 통해서 전방 위험 차량 경보 시스템(FCW, Forward Collision Warning), 차선 이탈 경보(LDW, Lane Departure Warning)나 앞차 정지 알림(FVSA, Forward Vehicle Stop Alert) 같은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처리부(54)는 블랙박스(30)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이 운전자지원감지패턴으로 설정된 이후, 단계 S30 내지 S32을 통해 설정된 운전자지원감지패턴에 따라서 블랙박스(30)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사용자단말(10)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알림 정보의 경우, 예컨대, 경보음, 메시지 등 그 형태에 제한은 따르지 않으며, 만약 사용자단말(10)과의 무선(예: 블루투스) 접속 상태인 햅틱디바이스(예:팔찌 형태)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해당 햅틱디바이스에 진동을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알림 정보의 전달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5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캠핑카 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 블랙박스를 포함한 각종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사물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레저 활동에서의 이동 수단과 주거 수단으로서의 특성을 함께 가지게 되는 캠핑카에 특화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캠핑카를 이용한 레저 활동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운용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캠핑카 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 블랙박스를 포함한 각종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사물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캠핑카에 특화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사용자단말
20: 게이트웨이장치
30: 블랙박스
40: IoT 장치
50: 캠핑카운용장치
51: 확인부 22: 설정부
23: 수집부 24: 처리부
25: 통신부

Claims (12)

  1. 캠핑카에 구비된 게이트웨이장치에 대한 사용자단말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캠핑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캠핑사이트감지패턴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 따라서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객체의 출현이 감지되는 경우, 이상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상기 캠핑카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을 설정하며,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는,
    상기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기초로 결정되는 캠핑사이트의 경계로부터 상기 캠핑카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마다 영상 내 이상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거리가 각각 다르게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캠핑카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에 상기 사용자단말이 안착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카메라 기능을 구동시켜 상기 캠핑카 내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캠핑카 내부 영상으로부터 객체 또는 객체의 움직임이 확인되지 않는 공실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실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길이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IOT 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현재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핑카운용장치는,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IOT 장치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상기 다수의 IOT 장치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IOT 장치의 현재상태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주행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운전자지원감지패턴으로 설정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운전자지원감지패턴에 따라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
  7. 캠핑카에 구비된 게이트웨이장치에 대한 사용자단말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캠핑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캠핑사이트감지패턴으로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 따라서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객체의 출현이 감지되는 경우, 이상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상기 캠핑카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을 설정하며,
    상기 캠핑사이트감지패턴에는,
    상기 캠핑사이트의 배치 상태를 기초로 결정되는 캠핑사이트의 경계로부터 상기 캠핑카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마다 영상 내 이상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거리가 각각 다르게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캠핑카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에 상기 사용자단말이 안착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카메라 기능을 구동시켜 상기 캠핑카 내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캠핑카 내부 영상으로부터 객체 또는 객체의 움직임이 확인되지 않는 공실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실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길이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IOT 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현재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IOT 장치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수집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서비스화면을 통해 상기 다수의 IOT 장치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IOT 장치의 현재상태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캠핑카의 운용모드가 주행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장치와 연결된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감지패턴을 운전자지원감지패턴으로 설정하며,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운전자지원감지패턴에 따라 상기 블랙박스의 채널 별 영상으로부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이상 주행 상태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운용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092912A 2017-07-21 2017-07-21 캠핑카운용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33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12A KR101933493B1 (ko) 2017-07-21 2017-07-21 캠핑카운용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12A KR101933493B1 (ko) 2017-07-21 2017-07-21 캠핑카운용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493B1 true KR101933493B1 (ko) 2018-12-31

Family

ID=6495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912A KR101933493B1 (ko) 2017-07-21 2017-07-21 캠핑카운용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49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4605A1 (en) * 2019-01-25 2020-07-30 Thor Tech, Inc. Mobile device tools for smart vehicle features operation and automatic wireless routing selection and methods of use
WO2020154589A1 (en) * 2019-01-25 2020-07-30 Thor Tech, Inc. Smart vehicle travel prepar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ing features for mobile device tools and methods of use
KR20210081153A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엘랩 캠핑카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US11146955B2 (en) 2019-01-25 2021-10-12 Thor Tech, Inc. Mobile device tools for authenticated smart vehicle pairing and wireless routing configuration and methods of use
EP4011675A1 (de) * 2020-08-27 2022-06-15 Niesmann+Bischoff GmbH Bedieneinheit für wohnmobil
US11403952B2 (en) 2019-04-26 2022-08-02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quipped autonomous vehicle to a destination
US11454972B2 (en) 2019-04-26 2022-09-27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quipped autonomous vehicle to a destin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7874A (ja) 1998-10-20 2000-05-0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後方確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7874A (ja) 1998-10-20 2000-05-0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後方確認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7656B2 (en) 2019-01-25 2023-05-23 Thor Tech, Inc. Smart vehicle travel prepar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ing features for mobile device tools and methods of use
WO2020154589A1 (en) * 2019-01-25 2020-07-30 Thor Tech, Inc. Smart vehicle travel prepar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ing features for mobile device tools and methods of use
US11932185B2 (en) 2019-01-25 2024-03-19 Thor Tech, Inc. Mobile device tools for smart vehicle features operation and automatic wireless routing selection and methods of use
US11146955B2 (en) 2019-01-25 2021-10-12 Thor Tech, Inc. Mobile device tools for authenticated smart vehicle pairing and wireless routing configuration and methods of use
US11770705B2 (en) 2019-01-25 2023-09-26 Thor Tech, Inc. Mobile device tools for authenticated smart vehicle pairing and wireless routing configuration and methods of use
US11718249B2 (en) 2019-01-25 2023-08-08 Thor Tech, Inc. Mobile device tools for smart vehicle features operation and automatic wireless routing selection and methods of use
WO2020154605A1 (en) * 2019-01-25 2020-07-30 Thor Tech, Inc. Mobile device tools for smart vehicle features operation and automatic wireless routing selection and methods of use
US11403952B2 (en) 2019-04-26 2022-08-02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quipped autonomous vehicle to a destination
US11454972B2 (en) 2019-04-26 2022-09-27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quipped autonomous vehicle to a destination
US11698637B2 (en) 2019-04-26 2023-07-11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 companion autonomous vehicle
KR102389118B1 (ko) * 2019-12-23 2022-04-21 주식회사 엘랩 캠핑카 에너지 관리 장치
KR20210081153A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엘랩 캠핑카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EP4011675A1 (de) * 2020-08-27 2022-06-15 Niesmann+Bischoff GmbH Bedieneinheit für wohnmobi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493B1 (ko) 캠핑카운용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177700B2 (en) Wireless electric power sharing between vehicles
US11272342B2 (en) Pedestrian safet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700181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system
US10235122B1 (en) Transitioning displays in autonomous vehicles to increase driver attentiveness
JP6606404B2 (ja) 発光ダイオード環境エンジン
US91977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riv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thereof
US11756416B2 (en) Vehicle to vehicle and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and pedestrian detection system
US2020002629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in autonomous driv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20150130641A1 (en) Low-cost and low-power smart parking system utilizing a wireless mesh network
KR1022332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기기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모바일 기기
JP2018523342A (ja) 無線接続管理
CN105373090A (zh) 用于净化车辆内部空气的远程信息处理终端及其控制方法
US10407027B2 (en) Vehicle ke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 and vehicle
KR101923720B1 (ko) 보행자 보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2073936A (zh) 用于网络节点通信的系统和方法
US202101237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s resource in autonomous driving system
CN110050449A (zh) 发送装置、发送方法和通信系统
CN109839929A (zh) 用于车辆辅助宠物跟踪的方法和设备
US20130265151A1 (en) Method for monitoring an object and use of a sensor to monitor an object
KR20210060205A (ko) 차량용 헤드라이트 시스템
US20210125227A1 (en) Setting driving route of advertising autonomous vehicle
KR20150000280A (ko) D2d 통신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상태 관리 및 제어 시스템
KR10228555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환경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802886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mobile hots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