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312B1 -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312B1
KR101933312B1 KR1020170092269A KR20170092269A KR101933312B1 KR 101933312 B1 KR101933312 B1 KR 101933312B1 KR 1020170092269 A KR1020170092269 A KR 1020170092269A KR 20170092269 A KR20170092269 A KR 20170092269A KR 101933312 B1 KR101933312 B1 KR 101933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upply unit
ink supply
main body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한
Original Assignee
이기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한 filed Critical 이기한
Priority to KR1020170092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7/00Inking apparatus
    • B41J27/02Inking apparatus with ink applied by pads or rotary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02Air-assisted ejection

Abstract

잉크가 그라비아 롤러 내부에서 수용 및 공급되도록 하는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끼움결합이 가능하되,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잉크가 1차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잉크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에 끼움결합되면, 상기 1차 수용된 잉크를 상기 본체부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그라비아 인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잉크 소비가 최소화되어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잉크로 인한 오염이 줄어들어 인쇄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 환경도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Gravure printing system capable of supplying ink}
본 발명은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가 그라비아 롤러 내부에서 수용 및 공급되도록 하는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라비아 인쇄는 원통 형태의 그라비아 롤러 표면에 음각으로 패턴을 형성하고 그 패턴에 잉크를 주입한 후 롤 형태로 감겨 있는 연속된 인쇄 대상물의 표면에 패턴을 전사하는 방법이다.
이때, 그라비아 롤러 표면의 패턴에 잉크를 주입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 잉크 공급부에 의해 그라비아 롤러 표면에 잉크가 공급되고, 롤러 외면에 접촉된 닥터블레이드를 통해 그라비아 롤러 표면의 잉크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잉크를 공급하고 제거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잉크 소비 및 잉크로 인한 오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롤러 표면의 패턴에 잉크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잉크 소비 및 잉크로 인한 오염을 최소화되도록 하는 시스템의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21550 "그라비아롤러와 이것을 이용한 그라비아 인쇄 장치와 그라비아 인쇄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비아 롤러 표면의 패턴에 잉크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잉크 소비뿐 아니라 잉크로 인한 오염까지 최소화되도록 하는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말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끼움결합이 가능하되,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잉크가 1차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잉크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에 끼움결합되면, 상기 1차 수용된 잉크를 상기 본체부에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1차 수용된 잉크가 상기 본체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잉크 공급부의 외주면에 타공 되어 형성되는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출홀로부터 공급되는 잉크가 본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내부공간의 외벽이 타공 되어 형성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이 서로 맞닿아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그라비아 인쇄를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음각되어 형성되는 음각홈; 상기 유입홀로부터 유입된 잉크가 2차 수용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외벽과 적층되어 형성되는 수용층; 및 상기 2차 수용된 잉크가 상기 음각홈에 토출되도록, 상기 수용층으로부터 상기 음각홈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토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를 압축시켜 압축공기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잉크 공급부에 전달하여, 상기 1차 수용된 잉크가 상기 수용층에 공급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압축공기 생성부로부터 상기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는 일 측면에 타공 되어 형성되는 가압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어 그라비아 인쇄를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생성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압축공기 생성부가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하여, 상기 잉크 공급부가 상기 1차 수용된 잉크를 상기 본체부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수용된 잉크는, 상기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 되어 상기 배출홀로 배출되고, 배출된 잉크는 상기 유입홀에 의해 상기 수용층에 유입되어 2차 수용되고, 상기 2차 수용된 잉크는,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수용층에 추가 유입되는 잉크에 의해 가압 되고, 상기 잉크에 의해 가압 되면, 상기 토출관을 통해 상기 음각홈으로 토출되어 상기 음각홈을 따라 넓게 퍼져 상기 그라비아 인쇄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각홈은, 그라비아 인쇄에 요하는 패턴에 맞추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음각홈이 복수로 형성될 경우, 수용층으로부터 각각의 음각홈까지 관통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1차 수용된 잉크의 잔량이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일 측면이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끼움결합된 상기 잉크 공급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공간이 마련된 일 측면이 덮여지도록 마련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가 덮여진 상태에서도 상기 내부공간에 끼움결합된 상기 잉크 공급부의 일 측면이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잉크 공급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잉크 공급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돌출부재에 대응되는 홈이 마련되어, 상기 내부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면, 상기 잉크 공급부가 함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그라비아 인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잉크 소비가 최소화되어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잉크로 인한 오염이 줄어들어 인쇄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 환경도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구성 및 구성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 공급부가 본체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 공급부가 본체부에 결합된 모습의 정면, 측 단면 및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본체부 및 잉크 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가압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 공급부 및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구성 및 구성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 공급부(2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 공급부(2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된 모습의 정면, 측 단면 및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이하, '인쇄 시스템'이라 한다.)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인쇄 시스템은, 그라비아 롤러 표면의 패턴에 잉크(K)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잉크 소비뿐 아니라 잉크로 인한 오염까지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인쇄 시스템은 본체부(100), 잉크 공급부(200), 압축공기 생성부(300), 구동부(400) 및 감지부(5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잉크 공급부(200)로부터 잉크(K)를 공급받아 그라비아 인쇄 대상물의 표면을 그라비아 인쇄(이하, '인쇄'라 한다.)하기 위해,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공간(S)이 마련된다.
잉크 공급부(200)는 본체부(100)에 잉크(K)를 공급하기 위해,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잉크(K)가 1차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이때, 잉크 공급부(200)는 본체부(100)에 잉크(K)를 공급하기 위해, 본체부(100)의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 된다.
여기서 본체부(100) 및 잉크 공급부(20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압축공기 생성부(300)는 공기를 압축시켜 압축공기가 생성되도록 하고, 생성된 압축공기를 잉크 공급부(200)에 전달하여, 잉크 공급부(200)에서 본체부(100)로 잉크(K)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압축공기 생성부(300)는 피스톤 운동을 통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에어 컴프레셔(Air compressor)일 수 있다.
구동부(400)는 본체부(100)가 회전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동력을 본체부(100)에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400)는 전력을 받아서 회전하고, 그 축에 회전력을 발생시켜 본체부(10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일 수 있다.
감지부(500)는 본체부(10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500)는 본체부(100)에 강자성체가 부착되고, 그 부근에 전자 코일이 마련되어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500)가 본체부(100)의 회전을 감지하면, 압축공기 생성부(300)로 신호를 발신하여 압축공기 생성부(3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인쇄 시스템은 구동부(400)에 의해 본체부(100)가 회전되고, 본체부(100)가 회전되면 감지부(500)가 본체부(100)의 회전을 감지하여 압축공기 생성부(300)로 신호를 발신하며, 신호를 수신한 압축공기 생성부(300)가 동작하여 본체부(100)의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된 잉크 공급부(200)에 압축공기가 전달되고, 전달받은 압축공기에 의해 잉크 공급부(200)에 수용된 잉크(K)가 본체부(100)에 공급되어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00)의 동작이 중단되어 본체부(100)의 회전이 중단되면, 감지부(500)에 의해 회전이 감지되지 않아, 압축공기 생성부(300)에 신호를 발신이 중단되고, 신호 수신이 중단된 압축공기 생성부(300)의 작동이 중단되어, 압축공기가 전달되지 않아 잉크 공급부(200)의 잉크(K) 공급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500)는 본체부(100)와 연결되지 않고, 구동부(400)와 연결되어 구동부(400)의 동작을 직접 감지하여 압축공기 생성부(300)에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본체부(100) 및 잉크 공급부(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본체부(100) 및 잉크 공급부(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가압홀(220)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본체부(100) 및 잉크 공급부(2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잉크 공급부(200)로부터 잉크(K)를 공급받아 그라비아 인쇄 대상물의 표면을 인쇄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체부(100)는 유입홀(110), 수용층(120), 음각홀 및 토출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홀(110)은 잉크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잉크(K)가 본체부(10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공간의 외벽(W)이 타공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용층(120)은 유입홀(110)로부터 유입된 잉크(K)가 2차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공간의 외벽(W)과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각홈(140)은 인쇄를 위하여 본체부(100)의 외주면에 음각 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관(130)은 2차 수용된 잉크(K)가 음각홈(140)에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수용층(120)으로부터 음각홈(140)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토출관(130)은 입축공기 생성부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잉크(K)가 토출되지 않도록 0.1mm 내지 0.5mm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관(130)의 직경은 잉크(K)의 점도 및 품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공급부(200)는 본체부(100)에 잉크(K)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잉크 공급부(200)는 수용부재(250), 배출홀(210) 및 가압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재(250)는 잉크 공급부(200)의 내부에 잉크(K)의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잉크(K)가 1차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홀(210)은 수용부재(250)에 1차 수용된 잉크(K)가 본체부(10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잉크 공급부(200)가 본체부(100)의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배출홀(210)과 대응되는 위치의 잉크 공급부(200)의 외주면이 타공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홀(210)은 잉크 공급부(200)가 본체부(1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잉크(K) 리필을 위한 입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출홀(210)은 잉크 공급부(200)가 본체부(100)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유입홀(110)과 맞닿아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출홀(210)과 유입홀(110)이 맞닿아 연결되도록 형성될 경우, 본체부(100)의 끼움결합되는 일 측면에 유입홀(110)의 축 위치가 표시되고, 잉크 공급부(200)의 본체부(100)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는 일 측면에 배출홀(210)의 축 위치가 표시되어, 잉크 공급부(200)가 본체부(100)에 끼움결합될 때 올바른 방향으로 끼워져 배출홀(210)과 유입홀(110)이 맞닿도록 할 수 있다.
가압홀(220)은 압축공기 생성부(300)에서 전달받은 압축공기가 잉크 공급부(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잉크 공급부(200)가 본체부(100)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잉크 공급부(200)의 일 측면에 타공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K)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K)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 단면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K)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도 7a 및 도 7b을 참조하여 인쇄 시스템의 잉크(K)의 경로를 더욱 상세하게 성명하기로 한다.
잉크 공급부(200)가 본체부(100)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의 수용부재(250)에 1차 수용된 잉크(K)는, 압축공기 생성부(300)에서 전달된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 되어 배출홀(210)로 배출되고, 배출홀(210)로 배출된 잉크(K)는 유입홀(110)에 의해 본체부(100)의 수용층(1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층(120)으로 유입된 잉크(K)는 수용층(120)에 2차 수용되고, 2차 수용된 잉크(K)는 1차 수용된 잉크(K)가 압축공기에 의해 계속 가압 됨으로써 수용층(120)에 추가 유입되는 잉크(K)에 의해 가압 되어, 토출관(130)을 통해 음각홈(140)으로 토출 될 수 있으며, 음각홈(140)으로 토출된 잉크(K)는 음각홈(140)을 따라 넓게 퍼져 인쇄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의 유입홀(110)은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1차 수용된 잉크(K)가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 되어, 유입홀(110)로 유입될 때에는 유입홀(110)이 열리게 되고, 압축공기 공급이 중단되어 1차 수용된 잉크(K)가 유입홀(110)로 유입되지 않을 때에는 유입홀(110)이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유입홀(110)은 수용층(120) 방향으로만 열리도록 하는 개폐장치 및 개폐장치가 평상시에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개폐장치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가 마련될 경우, 가압부재는 압축공기에 의해 1차 수용된 잉크(K)가 유입홀(110)을 통해 수용층(120)으로 유입될 때, 유입되는 잉크(K)에 의한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개폐장치를 가압함으로써, 압축공기에 의해 잉크(K)가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개폐장치가 닫혀있고, 압축공기에 의해 잉크(K)가 유입될 때에는 개폐장치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은, 음각홈(140)이 인쇄에 요하는 패턴에 맞추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출관(130)은 복수의 각 음각홈(140)으로부터 수용층(120)까지 타공 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2차 수용된 잉크(K)가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압축공기 생성부(300)에서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양은 복수로 형성된 음각홈(140) 및 토출관(130)의 수와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 공급부(20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잉크 공급부(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잉크 공급부(200)는, 잉크 공급부(200)가 본체부(100)의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도 수용부재(250)에 1차 수용된 잉크(K)의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일 측면에 제1 투명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잉크 공급부(200)는 모든 면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도록 마련되어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도 잉크(K)의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본체부(10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0a 내지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본체부(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본체부(100)는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된 잉크 공급부(200)가 회전 중에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공간(S)이 마련된 일 측면이 덮여지도록 마련되는 덮개(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덮개(150)가 더 포함되는 경우 덮개(150)가 덮여진 상태에서도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된 잉크 공급부(200)의 잉크(K) 잔량을 확인 가능하기 위해, 덮개(150)에 제2 투명부재(151)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의 잉크 공급부(200) 및 본체부(10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잉크 공급부(200) 및 본체부(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잉크 공급부(200) 및 본체부(100)는, 본체부(100)가 회전되면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된 잉크 공급부(200)도 함께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잉크 공급부(200)는 잉크 공급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잉크 공급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는 내부공간(S)에 돌출부재(230)에 대응되는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잉크 공급부(200)에 돌출부재(230)가 포함된 경우 돌출부재(230)에 배출홀(210)이 위치하도록 하여, 잉크 공급부(200)가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됨에 있어서 배출홀(210)과 유입홀(110)이 서로 맞닿아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별도의 표시 없이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도 배출홀(210)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홀(210)의 축 위치가 표시되거나, 돌출부재(230)에 배출홀(210)이 위치하여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도 배출홀(210)의 위치를 확인 가능할 경우, 내부공간(S)에 끼움결합된 잉크 공급부(200)를 분리함에 있어, 배출홀(210)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잉크 공급부(200)를 분리할 수 있어 잉크 공급부(20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K)가 쏟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유입홀
120: 수용층 130: 토출관
140: 음각홈 150: 덮개
151: 제2 투명부재 200: 잉크 공급부
210: 배출홀 220: 가압홀
230: 돌출부재 240: 제1 투명부재
250: 수용부재 300: 압축공기 생성부
400: 구동부 500: 감지부
K: 잉크 S: 내부공간
W: 내부공간의 외벽

Claims (10)

  1.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끼움결합이 가능하되,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잉크가 1차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에 끼움결합되면, 상기 1차 수용된 잉크를 상기 본체부에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1차 수용된 잉크가 상기 본체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잉크 공급부의 외주면에 타공 되어 형성되는 배출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출홀로부터 공급되는 잉크가 본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내부공간의 외벽이 타공 되어 형성되는 유입홀;
    상기 끼움결합된 잉크 공급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공간이 마련된 일 측면이 덮어지도록 마련되는 덮개;
    그라비아 인쇄를 위하여 외주면에 음각되어 형성되는 음각홈;
    상기 유입홀로부터 유입된 잉크가 2차 수용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외벽과 적층되어 형성되는 수용층; 및
    상기 2차 수용된 잉크가 상기 음각홈에 토출되도록, 상기 수용층으로부터 상기 음각홈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이 서로 맞닿아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끼움결합되며,
    공기를 압축시켜 압축공기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잉크 공급부에 전달하여, 상기 1차 수용된 잉크가 상기 수용층에 공급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생성부;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어 그라비아 인쇄를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압축공기 생성부로부터 상기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끼움결합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는 일 측면에 타공 되어 형성되는 가압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 생성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압축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1차 수용된 잉크는,
    상기 압축공기가 전달되면, 상기 전달된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 되어 상기 배출홀로 배출되며, 상기 배출된 잉크는,
    상기 유입홀에 의해 상기 수용층에 유입되어 2차 수용되고,
    상기 2차 수용된 잉크는,
    상기 수용층에 추가 유입되는 잉크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토출관을 통해 상기 음각홈으로 토출되어, 상기 음각홈을 따라 넓게 퍼져 상기 그라비아 인쇄에 이용되며,
    상기 음각홈은,
    그라비아 인쇄에 요하는 패턴에 맞추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음각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수용층으로부터 각각의 음각홈까지 관통되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은,
    상기 유입홀의 개폐상태를 결정하되, 상기 수용층의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개폐장치; 및
    상기 개폐장치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장치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장치의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개폐장치를 가압하되,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1차 수용된 잉크가 상기 수용층으로 유입될 때 발생되는 압력보다 작은 힘으로 가압하여, 평시에는 상기 개폐장치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되,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1차 수용된 잉크가 가압되면, 상기 개폐장치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며,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끼움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1차 수용된 잉크의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일 측면이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가 덮어진 상태에서도 상기 끼움결합된 잉크 공급부의 일 측면이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잉크 공급부는,
    상기 잉크 공급부의 일 측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잉크 공급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돌출부재에 대응되는 홈이 마련되어, 상기 내부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가 회전되면, 상기 잉크 공급부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홀은,
    상기 돌출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돌출부재의 위치를 통해, 상기 배출홀이 향하는 배출방향을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끼움결합된 잉크 공급부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1차 수용된 잉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92269A 2017-07-20 2017-07-20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 KR101933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269A KR101933312B1 (ko) 2017-07-20 2017-07-20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269A KR101933312B1 (ko) 2017-07-20 2017-07-20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312B1 true KR101933312B1 (ko) 2019-03-15

Family

ID=6576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269A KR101933312B1 (ko) 2017-07-20 2017-07-20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3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0797A (ja) * 1995-05-11 1996-1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印刷装置
JPH1052911A (ja) * 1996-06-19 1998-02-24 Windmoeller & Hoelscher 材料ウェブの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KR200324341Y1 (ko) * 2003-05-30 2003-08-21 (주)네오겟 잉크의 누설을 방지하는 액상분필
KR101421550B1 (ko) 2012-12-11 2014-07-23 주식회사 제우스 그라비아롤러와 이것을 이용한 그라비아 인쇄 장치와 그라비아 인쇄 방법
KR101658114B1 (ko) * 2016-02-03 2016-09-21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0797A (ja) * 1995-05-11 1996-1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印刷装置
JPH1052911A (ja) * 1996-06-19 1998-02-24 Windmoeller & Hoelscher 材料ウェブの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KR200324341Y1 (ko) * 2003-05-30 2003-08-21 (주)네오겟 잉크의 누설을 방지하는 액상분필
KR101421550B1 (ko) 2012-12-11 2014-07-23 주식회사 제우스 그라비아롤러와 이것을 이용한 그라비아 인쇄 장치와 그라비아 인쇄 방법
KR101658114B1 (ko) * 2016-02-03 2016-09-21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7236B2 (ja) 画像形成用媒体収容容器、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1524120A2 (en) Ink-jet pen with two-part lid and techniques for filing
KR101014643B1 (ko) 잉크 보충 카트리지 및 그 잉크 보충 카트리지를 이용하는중면식 필기구
EP0803364A3 (en) Ink refilling method for ink jet cartridge,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and ink container
US9511590B2 (en) Liquid supply apparatus,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supply method
US8147046B2 (en) Refillable ink cartridge and protection member therefor
KR101933312B1 (ko) 잉크 공급이 가능한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
JP6476636B2 (ja) 液体供給システム、液体供給装置、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供給方法
JP3332795B2 (ja)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TW200709948A (en) Liquid cartridge,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control method
US5713275A (en) Stencil printing machine
JP2010052378A (ja) 液体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
US20040139868A1 (en) Stencil printing ink container, stencil printing ink cartridg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k cartridge, and inner plug for the ink container
KR100870695B1 (ko) 프린터의 무한 잉크공급장치
JP2017065085A (ja) タンク
JP4394187B2 (ja) インク補給具
KR200268763Y1 (ko) 제트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용 잉크-리필 유닛
EP1369245B1 (en) Ink supply system and ink supply method for stencil printer and ink container
KR200404024Y1 (ko) 재활용 토너용기
WO2022181467A1 (ja) 印刷用液体容器
JP2004167795A (ja) 液体収納容器
JP6434322B2 (ja) 印刷装置及び消耗品容器
KR0133677Y1 (ko)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토너 보충장치
KR20040073735A (ko)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리필장치
JP2006159792A (ja) 液体補給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