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153B1 -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153B1
KR101933153B1 KR1020120124917A KR20120124917A KR101933153B1 KR 101933153 B1 KR101933153 B1 KR 101933153B1 KR 1020120124917 A KR1020120124917 A KR 1020120124917A KR 20120124917 A KR20120124917 A KR 20120124917A KR 101933153 B1 KR101933153 B1 KR 10193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nterest
image
photographing
photograp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192A (ko
Inventor
현동준
김용성
배경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4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1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에 있어서,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이동경로 설정 과정; 상기 예상 이동경로의 촬영가능 카메라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 방향 판별 과정;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지 않을 경우, 해당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과정; 상기 예상 이동경로와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상 이동경로 상의 촬영위치 순으로 정렬 리스트를 생성하는 카메라 정렬 과정; 및 상기 정렬 리스트를 근거로 상기 촬영위치 순으로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영상을 재배치하여 관제 영상 화면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및 장치{Control Image Re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bject of Interes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의 재배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내의 관심객체에 대해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관심객체 예상 이동경로에 따라 촬영할 카메라를 검색하여 카메라 제어 및 카메라 정렬을 통해 관제 영상을 재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사회적 범죄의 증가나 보안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과 더불어 공공장소나 건물, 사무실, 주거 단지 내에 폐쇄회로 TV(Closed-Circuit TV, 이하 CCTV 라 칭함)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와 같은 맥락으로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관제 영상 분야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함으로써 촬영영상을 기록하는 단계에만 머무르고 있어, 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장치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사항이 있어 왔다. 그러나 관제 영상장치의 한계성으로 인해 다수의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관제 시스템의 경우 많은 촬영영상 및 디스플레이장치로 인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일이 모니터링 하기가 불가능할 뿐 만 아니라, 다수의 영상을 미리 지정되거나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영상 내의 움직임을 따라 다음에 보아야 할 촬영영상을 알기 어려운 현실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한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은 CCTV의 촬영영상을 모니터링 할 때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의 영상을 검색하기 위해서 특정 카메라를 지정할 경우, 미리 지정된 주변 카메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거리가 가까운 카메라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되어있고, 디스플레이되는 순서 또한 고정된 순서로 출력을 하도록 설정이 되어 원하는 영상 검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의 정확한 검색이 불가능 하는 등의 단순한 검색 차원에 머무르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상 내의 관심객체에 대해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관심객체 예상 이동경로에 따라 촬영할 카메라를 검색하여 카메라 제어 및 카메라 정렬을 통해 관제 영상을 재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이동경로 설정부; 상기 예상 이동경로의 촬영가능 카메라를 검색하는 카메라 검색부;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 방향 판별부;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지 않을 경우, 해당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예상 이동경로와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상 이동경로 상의 촬영위치 순으로 정렬 리스트를 생성하는 카메라 정렬부; 및 상기 정렬 리스트를 근거로 상기 촬영위치 순으로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영상을 재배치하여 관제 영상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하는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메인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및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추출하는 이동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정보 추출부는, 상기 영상 내의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관심객체 선택부; 및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와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지도상의 루트(route)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방향을 추출하는 방향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경로 설정부는, 촬영가능 카메라 두 대를 이용한 삼각측량방식이나 카메라 외에 다른 물리적 측정장비로부터 객체의 방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촬영가능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촬영방향이 설정된 경우,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를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촬영방향이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는 경우, 줌(zoom)을 이용한 확대 또는 축소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관제 영상 재배치 장치는, 상기 관심객체의 이동속도를 근거로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관심객체에 대한 촬영이 예상되는 촬영가능 카메라를 제외시키는 카메라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정렬부는, 상기 카메라 필터부를 통하여 제외된 촬영가능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렬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에 있어서,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이동경로 설정 과정; 상기 예상 이동경로의 촬영가능 카메라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 방향 판별 과정;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지 않을 경우, 해당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과정; 상기 예상 이동경로와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상 이동경로 상의 촬영위치 순으로 정렬 리스트를 생성하는 카메라 정렬 과정; 및 상기 정렬 리스트를 근거로 상기 촬영위치 순으로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영상을 재배치하여 관제 영상 화면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은, 메인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과정; 및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추출하는 이동정보 추출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정보 추출 과정은, 상기 영상 내의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관심객체 선택 과정; 및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와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지도상의 루트(route)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방향을 추출하는 방향 추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은, 상기 관심객체의 이동속도를 근거로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관심객체에 대한 촬영이 예상되는 촬영가능 카메라를 제외시키는 카메라 필터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관제 영상 분야에서 촬영영상의 방대한 양의 저장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인 관심객체의 이동경로 부분만 검색하여 볼 수 있고, 실시간으로 관심객체 움직임에 따라 관제 영상의 순서를 바꾸어 재배치함으로써 빠른 결과 확인이 가능하여 검색과 재생확인 시간이 단축되는 등 효과적인 영상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심객체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관제 영상의 순서를 재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고, 원하는 장면을 빠르게 검색하고 볼 수 있어 영상검색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사용자 편의성과 접근성을 기반으로 원하는 조건 검색 결과물을 얻는 형태의 과정을 구현함으로써, 검색한 영상을 빠르게 재생할 수 있는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는 향후에 촬영영상 및 영상감시 분야 등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영상 검색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여 영상감시 분야의 새로운 서비스 모델의 구축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어 새로운 컨텐츠의 창출 및 새로운 수요의 창출을 통한 경제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에 포함된 이동정보 추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에서 관심객체의 선택과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에서 관심객체 이동경로에 따른 카메라 검색 및 정렬 리스트 생성과 관제 영상 화면 구성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에서 관심객체 촬영이 먼저 가능한 순서에 따라 촬영 카메라 순서를 결정하고, 카메라 제어를 통해 이동경로에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 예를 보여준 영상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관제 영상 재배치 장치
110 : 영상 수신부
120 : 이동정보 추출부
130 : 이동경로 설정부
150 : 카메라 검색부
170 : 카메라 방향 판별부
190 : 카메라 제어부
210 : 카메라 필터부
230 : 카메라 정렬부
250 : 화면 구성부
270 : 화면부
300 : 영상 촬영장치
131 : 관심객체 선택부
133 : 방향 추출부
이하,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구성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는 영상 촬영 장치(300)와 상호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는 서버 형태 등으로 구현되며 이하 설명되는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서버의 논리적 기능을 구별하기 위한 개념상의 구분일 뿐 물리적 구분이 아님은 자명하며,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과 관심객체 선택을 위한 데이터를 상호 입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는 영상 내에 관심객체가 있을 경우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하고, 관심객체 예상 이동경로 생성을 통해 관심객체 예상 이동경로에 따라 관심객체를 먼저 촬영하게 될 카메라 영상을 먼저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하므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면 지칭되는 명칭에 국한되지 않고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인 도 1,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에 포함된 이동정보 추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인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10), 이동정보 추출부(120), 이동경로 설정부(130), 카메라 검색부(150), 카메라 방향 판별부(170), 카메라 제어부(190), 카메라 필터부(210), 카메라 정렬부(230), 화면 구성부(250), 화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동정보 추출부(120)는 관심객체 선택부(131)와 방향 추출부(13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와 상호 연결이 된 영상 촬영장치(30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며, 일정 경계 내의 객체의 이동, 침입, 이탈 등의 감시를 위한 객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감시 카메라 등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의 영상 수신부(110)는 영상 촬영장치(300)와 연결되어 촬영영상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촬영영상은 영상 촬영장치(3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서 각각의 카메라에 대한 촬영영상을 의미하며, 촬영영상은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동정보 추출부(120)는 관심객체 선택부(131)와 방향 추출부(13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관심객체 선택부(131)는 촬영영상이 재생되었을 때 사용자가 이동경로를 보고자 하는 관심객체가 있다면, 관심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조작명령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조작명령은 예를 들어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Click)이나 터치스크린에서의 화면터치 등을 통해 생성된 명령일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움직이는 객체 중에서 관심객체를 선택하고, 관심객체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방향 추출부(133)는 선택된 관심객체의 위치정보와 관심객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지도상의 루트(route)정보를 비교하여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을 예측하고 방향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한 도로에 진입한 오토바이를 타고 가는 사람일 경우, 오토바이를 타고 가는 사람의 현 위치 정보를 지도에서 찾아 지도의 루트정보와 비교하여 도로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성이 예측될 경우, 예측한 방향성을 근거로 이동방향을 추출한다.
여기서, 객체의 위치나 방향이 이동정보 추출부(120)의 관심객체 선택부(131)와 방향 추출부(133)를 통하여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촬영가능 카메라 두 대를 이용하여 삼각측량방식으로 객체의 위치와 방향을 추출할 수 있는데, 여기서, 삼각측량방식이란 두 대의 카메라의 위치와 거리, 카메라 사이의 각도를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추출하고 방향성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이동경로 설정부(130)는 어느 한 지점을 촬영하여 객체를 추출하도록 설정된 두 대의 카메라(예를 들어, 촬영하는 카메라를 사용할 수도 있음.)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각각 객체를 추출하고, 두 영상에서 카메라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두 영상 각각에 대해서 추출된 거리와 해당하는 두 대의 카메라의 위치를 이용한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와 방향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경로 설정부(130)는 카메라 외에 다른 물리적 측정장비(예를 들어, 도로의 속도 검지용 Loop Detector 등)로부터 객체의 속도를 포함한 객체이동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동경로 설정부(130)는 관심객체의 위치와 이동방향을 수신하여,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메라 검색부(150)는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검색한다. 여기서, 객체를 촬영할 메인카메라가 지정되는데 이는 기능적인 면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지정한 관심객체를 초기 촬영한 카메라를 메인카메라로 설정하고, 다른 다수의 카메라들을 보조카메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이 메인카메라 영상 내 관심객체 움직임에 따라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관심객체를 먼저 비추게 될 보조카메라 영상을 관제 영상 화면에서 먼저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관심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제 영상의 한 화면에서 메인카메라의 영상은 다른 보조카메라의 영상에 비해 큰 크기(size)로 출력이 되어 관제 영상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카메라 방향 판별부(170)는 검색된 카메라가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판단한 결과 카메라가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지 않을 경우, 카메라 제어부(190)는 해당 카메라를 회전시켜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카메라의 회전은 상, 하, 좌, 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90)는 카메라의 촬영방향이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는 경우, 줌(zoom)을 이용한 확대 또는 축소 촬영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 필터부(210)는 관심객체의 이동속도를 근거로 소정 시간 이후에 관심객체에 대한 촬영이 예상되는 촬영가능 카메라를 제외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메라 정렬부(230)는 카메라 필터부(210)를 통하여 제외된 촬영가능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렬 리스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화면 구성부(250)는 정렬 리스트를 근거로 촬영위치 순으로 카메라 영상을 재배치하여 관제 영상 화면을 구성하고, 화면부(270)는 화면 구성부(250)를 통하여 재배치된 관제 영상을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에서 관심객체의 선택과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관심객체 예상 이동경로에 따른 카메라 검색 및 정렬 리스트 생성과 관제 영상 화면 구성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에서 관심객체 촬영이 먼저 가능한 순서에 따라 촬영 카메라 순서를 결정하고, 카메라 제어를 통해 이동경로에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 예를 보여준 영상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인 도 3, 도 4 및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의 영상의 예인 도 5를 통하여 관제 영상 재배치의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카메라 등의 영상 촬영장치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게 되면(S301), 사용자가 촬영영상 내에서 이동경로에 따라 움직임을 보고자 하는 객체를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Click)이나 터치스크린에서의 화면터치 등을 통해 관심객체로 선택한다.(S303)
관심객체 선택 결과를 근거로 생성한 관심객체 위치정보와 지도상의 루트(route)정보를 비교하여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이동방향을 추출하고(S305),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한다.(S307)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검색하고(S401), 카메라 방향 판별부(170)에서 검색된 카메라가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403) 만약, 판단한 결과 카메라가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지 않을 경우, 카메라 제어부(190)는 해당 카메라의 회전 또는 줌을 통해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카메라의 회전은 상, 하, 좌, 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90)는 카메라의 촬영방향이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는 경우, 줌(zoom)을 이용한 확대 또는 축소 촬영이 가능함으로써 관심객체의 이동경로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S407)
카메라 방향 판별부(170)에서 검색된 카메라가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다면, 카메라 필터부(210)를 통하여 관심객체의 이동속도를 기반으로 소정시간 이후에 관심객체 촬영이 예상되는 촬영가능 카메라를 제외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405)
관심객체 예상 이동경로와 촬영가능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비교하여 예상 이동경로 상의 촬영위치 순으로 정렬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친다.(S409)
정렬 리스트를 근거로 촬영위치 순으로 촬영가능 카메라의 영상을 재배치하여 관제 영상 화면을 구성(S411)하여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이하,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에서 관심객체 촬영이 먼저 가능한 순서에 따라 촬영 카메라 순서를 결정하고, 카메라 설정 변경을 통해 이동경로에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관제 영상 화면에서 다수의 카메라 영상이 출력되는 중에 메인카메라의 영상이 다른 보조카메라의 영상에 비해 큰 사이즈(Size)로 출력되고, 다른 다수의 보조카메라의 영상이 화면 가장자리에 메인카메라 영상보다 작은 사이즈로 출력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메인카메라 영상에 움직임이 없거나 하나의 객체가 관심객체로 선택되지 않을 경우, 보조카메라 영상들은 거리 순서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화면에 출력이 된다. 만약, 메인카메라의 객체 중에 관심객체가 선택이 되면,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하여 관심객체가 먼저 촬영될 보조카메라 영상 순서가 변경이 되면서 재배치되어 관제 영상 화면을 재구성하게 된다. 이때, 관심객체가 먼저 이동해서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카메라의 영상이 먼저 화면에 출력된다.
도 5의 메인카메라의 오토바이를 타고 가는 사람이 현 위치의 도로를 따라 영상 화면의 아래에서 나타나 위로 이동하는데, 오토바이의 이동경로를 예측하여, 관심객체로부터 카메라의 거리가 가깝지 않더라도 해당 객체가 먼저 영상에 나오게 될 카메라를 순서적으로 먼저 출력하게 된다. 이때, 오토바이가 이동할 예상 경로의 위치의 카메라가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지 않은 경우, 카메라의 상, 하, 좌, 우를 포함한 회전 또는 줌을 통해 관심객체의 이동경로에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게 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앞서 간략히 언급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수행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 추출을 이용하여 실시간 영상의 재배치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부분의 영상을 신속하게 검색 및 재생을 하고, 사용자 편의성과 접근성을 기반으로 원하는 결과물을 얻는 형태의 과정을 구현함으로써, 타 영상장치나 시스템에 비하여 효과적인 영상 검색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고, 향후 촬영영상 및 영상감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부분이 기대되어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2)

  1.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이동경로 설정부;
    상기 예상 이동경로의 촬영가능 카메라를 검색하는 카메라 검색부;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 방향 판별부;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관심객체의 이동속도를 근거로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관심객체에 대한 촬영이 예상되는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를 제외시키는 카메라 필터부;
    상기 예상 이동경로와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상 이동경로 상의 촬영위치 순으로 정렬 리스트를 생성하는 카메라 정렬부; 및
    상기 정렬 리스트를 근거로 상기 촬영위치 순으로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영상을 재배치하여 관제 영상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및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추출하는 이동정보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추출부는,
    상기 영상 내의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관심객체 선택부; 및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와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지도상의 루트(route)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방향을 추출하는 방향 추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 설정부는,
    촬영가능 카메라 두 대를 이용한 삼각측량방식이나 카메라 외에 다른 물리적 측정장비로부터 객체의 방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촬영 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촬영방향이 설정된 경우,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를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영상 재배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촬영방향이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는 경우, 줌(zoom)을 이용한 확대 또는 축소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정렬부는,
    상기 카메라 필터부를 통하여 제외된 촬영가능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렬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영상 재배치장치.
  9.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관심객체의 예상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이동경로 설정 과정;
    상기 예상 이동경로의 촬영가능 카메라를 검색하는 카메라 검색 과정;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 방향 판별 과정;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고 있지 않을 경우, 해당 촬영가능 카메라가 상기 예상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과정;
    상기 관심객체의 이동속도를 근거로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관심객체에 대한 촬영이 예상되는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를 제외시키는 카메라 필터 과정;
    상기 예상 이동경로와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상 이동경로 상의 촬영위치 순으로 정렬 리스트를 생성하는 카메라 정렬 과정; 및
    상기 정렬 리스트를 근거로 상기 촬영위치 순으로 상기 촬영가능 카메라의 영상을 재배치하여 관제 영상 화면을 구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은,
    메인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과정; 및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추출하는 이동정보 추출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추출 과정은,
    상기 영상 내의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관심객체 선택 과정; 및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와 상기 관심객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지도상의 루트(route)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관심객체의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방향을 추출하는 방향 추출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12. 삭제
KR1020120124917A 2012-11-06 2012-11-06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및 장치 KR10193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917A KR101933153B1 (ko) 2012-11-06 2012-11-06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917A KR101933153B1 (ko) 2012-11-06 2012-11-06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335A Division KR20180128877A (ko) 2018-11-22 2018-11-22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92A KR20140058192A (ko) 2014-05-14
KR101933153B1 true KR101933153B1 (ko) 2018-12-27

Family

ID=5088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917A KR101933153B1 (ko) 2012-11-06 2012-11-06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40A1 (ko) * 2014-05-20 2015-11-2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카메라간 핸드오버를 이용한 목표물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582585B1 (ko) * 2014-06-17 2016-01-05 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장) 유비쿼터스 시티 기반의 다수개의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경로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174839B1 (ko) * 2014-12-26 2020-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및 장치
KR101600314B1 (ko) 2015-08-24 2016-03-07 (주)유리네트웍스 스마트 씨씨티브이 관제 시스템
KR102586962B1 (ko) 2016-04-07 2023-10-10 한화비전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7481B1 (ko) * 2018-06-25 2020-01-17 주식회사 에스원 항만 영상 관제 방법 및 시스템
CN113141498B (zh) * 2021-04-09 2023-01-06 深圳市慧鲤科技有限公司 信息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421705B1 (ko) * 2021-12-20 2022-07-18 렉스젠(주) 객체 재식별을 위한 정보 분석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2415A (ja) * 2003-06-18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映像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監視映像生成方法、および監視映像モニタリングサーバ
JP2009017416A (ja) 2007-07-09 200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21619A (ja) * 2008-07-08 2010-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複数カメラ画像処理装置及び複数カメラ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177B1 (ko) * 2008-10-27 2010-06-10 김철수 이동체 근접 cctv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2415A (ja) * 2003-06-18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映像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監視映像生成方法、および監視映像モニタリングサーバ
JP2009017416A (ja) 2007-07-09 200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21619A (ja) * 2008-07-08 2010-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複数カメラ画像処理装置及び複数カメラ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92A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153B1 (ko)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및 장치
CN109104561B (zh) 用于追踪场景中的移动对象的系统及方法
JP6399356B2 (ja) 追跡支援装置、追跡支援システムおよび追跡支援方法
JP6621063B2 (ja) カメラ選択方法及び映像配信システム
CA2601477C (en) Intelligent camera selection and object tracking
EP295449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90037178A1 (en) Autonomous video management system
KR101530255B1 (ko) 객체 자동 추적 장치가 구비된 cctv 시스템
CN105306899B (zh) 一种监控视频的处理方法和装置
EP32882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6013923B2 (ja) ビデオエピソードの閲覧及び検索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40300B1 (ko) Cctv 영상의 검색 장치 및 방법
JP2019176306A (ja) 監視システム、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90789B1 (ko) 관심객체의 선택에 의한 영상 탐색장치 및 방법
KR20210104979A (ko) 영상 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6396682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20150019230A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210108691A (ko) 영상 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감시 카메라 시스템
Dimitriou et al. An integrated framework for the timely detection of petty crimes
JP71464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30736B1 (ko) 다중 분산 영상 데이터 분석 장치
KR20180128877A (ko) 관심객체 이동방향에 따른 관제 영상 재배치 방법 및 장치
JP2011087214A (ja) 撮影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03779A (ko) 영상 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20082201A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