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947B1 -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Compensation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Compensation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947B1
KR101932947B1 KR1020170061020A KR20170061020A KR101932947B1 KR 101932947 B1 KR101932947 B1 KR 101932947B1 KR 1020170061020 A KR1020170061020 A KR 1020170061020A KR 20170061020 A KR20170061020 A KR 20170061020A KR 101932947 B1 KR101932947 B1 KR 10193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delta
triple mod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6245A (en
Inventor
천동완
윤재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06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947B1/en
Priority to US16/613,586 priority patent/US11108123B2/en
Priority to PCT/KR2018/005574 priority patent/WO2018212570A1/en
Publication of KR2018012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2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9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09Strip line filters with dielectric reson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7Manufacturing frequency-selec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있어서, 캐비티를 내부에 구비한 채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티를 폐쇄시키는 커버와; 중앙에 스크류용 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캐비티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열경화 방식의 본딩공정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캐비티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용 장착홀을 통과한 고정 스크류에 의해 장착 고정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유전체 지지대;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가 삼중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는 유전체 공진기에 보상블럭을 형성하여 유전체 공진기 중앙에 스크류용 장착홀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삼중모드 공진기를 구현할 수 있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a compensation block, wherein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a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including a cavity inside, A housing; A cov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to close the cavity; A dielectric resonator having a screw mounting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being formed in a cavity of the housing a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 dielectric support coupled to the dielectric resonator through a thermoset bonding process and mounted in a cavity of the housing by a fixing screw passing through the screw mounting hole to support the dielectric resonator at a constant height; And a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on the dielectric resonator side to allow the dielectric resonator to operate in a triple mode.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iple mode resonator using a compensation block capable of realizing a triple mode resonator while realizing a screw mounting hole at the center of a dielectric resonator by forming a compensation block in a dielectric resonator built in a housing constituting a filter,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resonator filter.

Description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및 그 제조방법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Compensation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a compensation block,

본 발명은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는 유전체 공진기에 보상블럭을 형성하여 유전체 공진기 중앙에 스크류용 장착홀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삼중모드 공진기를 구현할 수 있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a compensation block.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lectric resonator with a compensation block formed inside a housing constituting a filter to implement a screw mounting hole in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a compensation block capable of implementing a triple mode resonator at the same time.

최근 들어 통신서비스가 진화함에 따라 데이터 전송속도 증가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대역폭을 증가, 수신감도 향상 및 타 통신시스템 반송파(carrier)에 의한 장애(interference) 최소화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저손실(low insertion loss) 고억압(high rejection) 필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In recent years, as communication services evolve, there is a demand for an increase in data transmission speed. In order to meet this dem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ystem bandwidth, improve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minimize the interference caused by other communication system carriers. For this purpose, a low insertion loss high rejection filter Need to provide.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저손실 및 고억압 특성 구현이 가능하여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this situation, th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is able to realize low loss and high suppre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day by day.

그러나, 이와 같은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고성능 구현이 가능하지만, 전체적인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dielectric resonator filter can realize a high performance,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large in overall size and heavy in weight.

또한, BTS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급전케이블에 의한 송신전력 손실 및 수신감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RF유닛은 BTS 안테나와 직접 연결되게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RF유닛의 소형화 및 경량화는 필수적 요건이 되고 있어 무게 및 사이즈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대한 소형화 및 경량화는 필수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BTS base station system, all RF units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BTS antenna in order to prevent loss of transmission power and decrease in reception sensitivity due to the feed cable, and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such RF units are an essential requirement And the size and weight of dielectric resonator filters,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ize, are becoming an important issue.

한편, 이와 같은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단일의 유전체 공진기로 다수의 공진모드를 형성하는 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모드 공진기 필터는, 단일의 캐비티 안에서 공진모드가 복수로 존재하는 다중모드 공진기 필터의 특성상 공진모드 사이에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양산성 측면에서 최대로 구현가능 한 TE01δx, TE01δy, TE01δz의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가 있다.As a solution for achieving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such a dielectric resonator filter,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a multi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which forms a plurality of resonance modes with a single dielectric resonator. In the conventional multimode resonator filter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f TE01δx, TE01δy, and TE01δz, which can be maximally implemented in terms of mass production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resonance mod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multi-mode resonator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resonance modes in a single cavity have.

일반적으로, 이러한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내부에 장착되는 유전체 공진기는 구형(sphere), 정육면체, 및 실린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Generally, a dielectric resonator mounted inside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phere, a cube, and a cylinder.

또한, 대부분의 TE01δ 단일모드를 포함한 유전체 공진기는 동축케이블의 캐비티 내부에서 플로팅(floating) 되어야 특성구현이 가능하므로 상대적으로 유전체 상수가 낮은 알루미나(Alumina)재질의 유전체 지지대(suppoter) 상에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dielectric resonators including TE01δ single mode should be floating in the cavity of the coaxial cable, they can be mounted on a dielectric supporter made of alumina having a relatively low dielectric constant. have.

여기서, 알루미나 재질의 유전체 지지대와 유전체 공진기는 먼저 본딩(에폭시)에 의하여 결합된 다음, 후술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스크류에 의하여 공진기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alumina dielectric support and the dielectric resonator are first bonded by bonding (epoxy), and then mounted on a housing constituting the resonator filter by a fixing screw, as shown in the following figures.

이때, 종래기술에 따른 유전체 지지대와 유전체 공진기는 중앙에는 각각 고정 스크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홀이 형성되는데, 단일모드와 달리 삼중모드에서 동작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경우에 고정 스크류 장착용 홀을 중앙에 형성하면 TE01δx모드, TE01δy모드 및 TE01δz모드의 공진주파수가 분리되어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dielectr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mounting holes for mounting the fixing screws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support and the dielectric resonator. In the cas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operating in the triple mode, unlike the single mod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by separating the resonant frequencies of the TE01 delta x mode, the TE01 delta y mode, and the TE01 delta z mod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알루미나 재질의 유전체 지지대를 먼저 하우징에 장착한 이후에 고정 스크류 장착용 홀이 없이 삼중모드에서 동작하는 유전체 공진기를 상기 유전체 지지대 상에 본딩처리하고 열경화과정을 거쳐 유전체 지지대와 유전체 공진기를 결합하였으나, 이와 같은 열경화과정을 수행할 경우에 공진기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도금부위가 변색되거나 도장면이 파괴되는 문제로 인해 원하는 온도까지 열을 가할 수 없기 때문에 강성이 낮은 저온 경화본드를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외부진동이나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 dielectric resonator, which operates in a triple mode without a fixing screw mounting hole, is mounted on the dielectric support after the dielectric support of alumina is first mounted on the housing, The dielectric support and the dielectric resonator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heat curing process. However, when the heat curing process is performed, the plating site of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resonator filter is discolored or the coated surface is destroyed. It is impossible to apply a low-temperature curing bond having low rigidity.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weak against external vibration or impac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TE01δ만을 갖는 단일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TE01δx, TE01δy, TE01δz의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ing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having only TE01 delta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f TE01 deltax, TE01 delta y and TE01 delta z according to the prior art .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단일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알루미나 재질의 유전체 지지대(4)와 단일 모드에서 동작하는 유전체 공진기(3)의 중앙에 고정 스크류(2)를 장착을 위한 스크류 홀(3-1)이 형성되어 있다.1, the sing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f FIG. 1 comprises a dielectric support 4 made of alumina and a screw hole (not shown) for mounting the fixing screw 2 in the center of a dielectric resonator 3 operating in a single mode 3-1) are formed.

이와 같은, 단일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에폭시 본드를 유전체 공진기와 유전체 지지대의 결합면에 도포를 하고 결합시킨 후 일정온도에서 에폭시 본드의 경화를 위한 열처리를 진행시키고, 이후에 유전체 지지대가 부착된 유전체 공진기를 고정 스크류 장착용 홀을 통해 공진기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에 고정 스크류로 결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장착하였다.In the sing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s described above, the epoxy bond is first applied to the coupling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dielectric support, and then the heat treatment for curing the epoxy bond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dielectric resonator with the dielectric support is stably mounted by fixing screws to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resonator filter through the fixing screw mounting hole.

도 2의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전체 공진기(3) 중앙에 고정 스크류 장착용 홀이 없기 때문에, 먼저, 알루미나 재질의 유전체 지지대(4)를 하우징에 고정 스크류(2)로 장착시킨 후 유전체 공진기와 유전체 지지대의 결합면에 본드를 도포하고 열경화를 위한 열처리과정을 진행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f FIG. 2 has no hole for fixing the fixing screw in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3, first, the alumina dielectric support 4 is fixed to the housing by the fixing screw 2 The bond may be applied to the coupling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dielectric support, and the heat treatment process for thermal curing may be performed.

종래기술에 따른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이러한 열처리 공정에서 은이나 구리가 도금된 하우징의 변색 및 도색된 하우징의 표면 결함방지를 위해 저온에서 경화되는 본드를 사용할 수밖에 없으며, 단일모드에서 사용되는 고온 경화본드에 비해 낮은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외부진동이나 충격시 고중량의 유전체 공진기가 분리될 가능성이 있어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o use a bond that is cured at a low temperature in order to prevent discoloration of a silver or copper plated housing and surface defects of a painted housing in such a heat treatment process, Since the dielectric resonator has a lower rigidity than the hardened bo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ielectric resonator having a high weight is separated during an external vibration or an impac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alize a stable coupling structure.

따라서,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는 유전체 공진기에 중앙에 스크류용 장착홀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삼중모드 공진기를 구현할 수 있는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관한 현실적이며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 절실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realistic and applicable technology for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capable of realizing a triple mode resonator while implementing a mounting hole for a screw at a center in a dielectric resonator built in a housing constituting the filter.

한국공개특허공보 10-1999-0047206호 (1999.07.05)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1999-0047206 (Jul. 199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는 유전체 공진기에 보상블럭을 형성하여 유전체 공진기 중앙에 스크류용 장착홀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삼중모드 공진기를 구현할 수 있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electric resonator having a filter resonator with a compensation block, And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a compensation block capable of implementing a reson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있어서, 캐비티를 내부에 구비한 채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티를 폐쇄시키는 커버와; 중앙에 스크류용 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캐비티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열경화 방식의 본딩공정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캐비티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용 장착홀을 통과한 고정 스크류에 의해 장착 고정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유전체 지지대;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가 삼중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을 구비할 수 있다.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a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cavity inside and one side opened; A cov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to close the cavity; A dielectric resonator having a screw mounting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being formed in a cavity of the housing a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 dielectric support coupled to the dielectric resonator through a thermoset bonding process and mounted in a cavity of the housing by a fixing screw passing through the screw mounting hole to support the dielectric resonator at a constant height; And a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protruding from the dielectric resonator at regular intervals to allow the dielectric resonator to operate in a triple mode.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삼중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 단면이 대칭형상을 가지도록 서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for operating the dielectric resonator in the triplet mod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dielectric resonators are paired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has a symmetrical shape.

상기 복수개의 보상블럭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측면에서 서로 인접하는 보상블럭 사이가 단면이 원호를 가지는 곡면으로 완만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may be gently connected to a curved surface having a circular arc between the adjacent compensation blocks on the sid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 길이를 최적화 상태로 조절하여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the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length of a plurality of confronting blocks facing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The resonance frequency can be s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클 경우에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에서 TE01δx, TE01δy 모드의 공진주파수가 TE01δz 모드의 공진주파수에 비해 높은 주파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the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s relatively larger than a length between a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facing each other based on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Wherein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TE01 delta x and TE01 delta y modes is higher than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TE01 delta z mode at the operating resonant frequenc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에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에서 TE01δx, TE01δy 모드의 공진주파수가 TE01δz 모드의 공진주파수에 비해 낮은 주파수에 위치할 수 있다.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the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s relatively smaller than a length between a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TE01 delta x and TE01 delta y modes at the operating resonant frequency may be located at a frequency lower than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TE01 delta z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 길이와 동일할 경우에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에서 TE01δx, TE01δy 모드의 공진주파수와 TE01δz 모드의 공진주파수가 유사한 주파수에 위치할 수 있다.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the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triple mode when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s equal to the length between a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facing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E01 delta y mode a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E01 delta z mode can be located at similar frequenci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열경화 방식의 본딩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유전체 지지대는 에폭시 재질의 본딩물질로 결합할 수 있다.In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the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support coupled with the dielectric resonator through the thermosetting bonding process may be bonded with an epoxy bonding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제조방법은,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TE01δx, TE01δy, TE01δz 모드의 삼중모드에서 동작하는 유전체 재질의 유전체 공진기의 중앙에 스크류 고정용 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상블럭이 돌출되게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지지하는 알루미나 재질의 유전체 지지대를 에폭시 본딩공정을 통해 본딩결합하고 열처리공정을 통해 열경화과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가 열경화과정으로 결합된 유전체 지지대를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 고정용 장착홀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fabricating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a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fabricating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dielectric resonator of dielectric material operating in a triple mode of TE01 delta x, TE01 delta y, A first step of providing a screw fixing hole at the center and a compensation block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 second step of bonding and bonding an alumina dielectric support supporting the dielectric resonator through an epoxy bonding process and performing a heat curing process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And a third step of securing the dielectric support coupled with the dielectric resonator in the thermosetting process to the housing using a screw inserted through the screw fixing hole in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제조방법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 길이를 최적화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A method of fabricating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a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djusting a length of a plurality of confronting blocks facing each other based on a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a horizontal cross-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는 유전체 공진기에 보상블럭을 형성하여 유전체 공진기 중앙에 스크류용 장착홀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삼중모드 공진기를 구현할 수 있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ensation block is formed in a dielectric resonator built in a housing constituting a filter to implement a screw mounting hole in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a compensation block capable of implementing a triple mode resonator Mod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또한, 본 발명은,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 및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보상블럭 사이 길이를 최적화 상태로 조절하여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를 설정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etting a resonance frequency operating in a triple mode by adjusting the length between a plurality of compensating blocks facing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TE01δ모드만을 갖는 단일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TE01δx, TE01δy, TE01δz 모드의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E01δx, TE01δy, TE01δz 모드의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구성하는 유전체공진기와 유전체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유전체 공진기의 보상블럭의 직경과 보상블럭의 높이에 따른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E01δx, TE01δy, TE01δz 모드의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ing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having only a TE01 delta mo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f TE01 delta x, TE01 delta y, and TE01 delta z mod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f TE01 delta x, TE01 delta y, and TE01 delta z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electric resonator and a dielectric support constituting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shown in FIG. 3. FI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meter of the compensation block of the dielectric resonator shown in FIGS. 3 to 4 and the height of the compensation block.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mparison between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f TE01? X, TE01? Y, and TE01? Z mod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TE01δx, TE01δy, TE01δz 모드의 삼중모드 공진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perating at a triple mode resonance frequency of TE01 delta x, TE01 delta y, and TE01 delta z mod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E01δx, TE01δy, TE01δz 모드의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구성하는 유전체공진기와 유전체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f TE01 delta x, TE01 delta y, and TE01 delta z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resonator constituting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shown in Fig. Figure 2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dielectric suppor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E01δx, TE01δy, TE01δz 모드의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하우징(10), 커버(20), 유전체 공진기(100), 유전체 지지대(200), 및 보상블럭(300)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f the TE01 deltax, TE01 delta y, and TE01 delta z mod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cover 20, a dielectric resonator 100, a dielectric support 200, And a compensation block (3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은, 캐비티(1)를 내부에 구비한 채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2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티(1)를 밀폐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housing 10 is opened while the cavity 1 is inside. The cover 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0, (1).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는, 중앙에 스크류용 장착홀(101)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캐비티(1)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electric resonator 100 may have a mounting hole 101 for a screw in the center thereof and may be formed in the cavity 1 of the housing 10 a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또한, 상기 유전체 지지대(200)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와 열경화 방식의 본딩공정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캐비티(1)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용 장착홀(101)을 통과한 고정 스크류(2)에 의해 장착 고정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The dielectric support 200 is coupled to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through a thermosetting bonding process and passes through the screw mounting hole 101 in the cavity 1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can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being fixed by a fixing screw 2.

여기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와 열경화 방식의 본딩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유전체 지지대(200)는 에폭시 재질의 본딩 물질로 결합할 수 있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Here, the dielectric support 200 coupled with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through a thermosetting bonding process can be bonded with an epoxy-based bonding material to maintain a stable bonding state.

상기 복수 개의 보상블럭(300)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가 삼중모드에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300 may protrude from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at regular intervals to allow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to operate in a triple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보상블럭(3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를 삼중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3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의 수평 단면이 대칭형상을 가지도록 서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300 for operating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in the triple mode are formed such that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has a symmetrical shape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보상블럭(300)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의 측면에서 서로 인접하는 보상블럭(300) 사이가 단면이 원호를 가지는 곡면으로 완만하게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300 may be gently connected between the adjacent compensation blocks 300 on the sid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with a curved surface having a circular arc.

즉,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보상블럭(300)은 제 1 내지 제 4의 보상블럭이 인접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제 1 보상블럭(310)과 제 2 보상블럭(320), 제 2 보상블럭(320)과 제 3 보상블럭(330), 제 3 보상블럭(330)과 제 4 보상블럭(340), 및 제 4 보상블럭(340)과 제 1 보상블럭(310)이 인접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각각 단면이 원호를 갖는 만곡된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3 to 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3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to fourth compensation block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second compensation block 320 and the third compensation block 330, the third compensation block 330 and the fourth compensation block 340, the first compensation block 310 and the second compensation block 320, And the fourth compensating block 340 and the first compensating block 310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curved surface may be connected to a curved surface having an arc.

또한, 제 1 보상블럭(310)과 제 3 보상블럭(330), 및 제 2 보상블럭(320)과 제 4 보상블럭(340)이 서로 마주하게 위치하고 서로 대칭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It is also noted that the first compensation block 310 and the third compensation block 330 and the second compensation block 320 and the fourth compensation block 340 are locat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symmetrically formed in the same shape have.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중모드에서 동작하는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구성하는 유전체 공진기(100)의 단면형태를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중앙에 스크루용 장착홀(101)을 구비한 십자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constituting th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perating in the triple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ross shape having a screw mounting hole 101 at its center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가 삼중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to operate in the triple mode, the height between the dielectric resonators and the length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facing each other based o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can be adjusted .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인 특성 및 그에 따른 기대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xpected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유전체 공진기의 보상블럭의 직경과 보상블럭의 높이에 따른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meter of the compensation block of the dielectric resonator shown in FIGS. 3 to 4 and the height of the compensation block.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상기 도 3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유전체 공진기(100)의 높이(DR_height),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10)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보상블럭 사이의 길이(Compensation block_diameter)를 최적화 상태로 조절하여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5,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a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electric resonator 100 having a height (DR_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described in FIGS. 3 to 4, It is possible to set the resonance frequency to operate in the triple mode by adjusting the length (Compensation block_diameter) between a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facing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using 10.

이때, 도면에 도시된 참조부호 DR_diameter(직경)는 보상블럭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 직경을 나타내는 길이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의 전체 크기를 줄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_diameter (diameter) shown in the figure is a length indicating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a state where no compensation block is formed, and the total siz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Can be adjusted as needed.

한편, 도 5의 (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상세하게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the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c).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보상블럭 사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클 경우에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에서 TE01δx, TE01δy 모드의 공진주파수가 TE01δz 모드의 공진주파수에 비해 높은 주파수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length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ensating blocks facing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resonance in TE01 delta x, TE01 delta y mode at the resonant frequency operating in the triplet mode It can be seen that the frequency is located at a higher frequency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E01 delta z mode.

즉, 다시 말해,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에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에서 TE01δx, TE01δy 모드의 공진주파수가 TE01δz 모드의 공진주파수에 비해 낮은 주파수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length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facing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E01 delta x, TE01 delta y mode at the resonance frequency operating in the triple mode is TE01 delta z It is found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is located at a lower frequency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mod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 길이와 동일할 경우에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에서 TE01δx, TE01δy의 공진주파수와 TE01δz 모드의 공진주파수가 유사한 주파수에 위치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s equal to the length between a plurality of compensating blocks facing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TE01 delta x, TE01 delta y The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TE01 delta z mode can be located at similar frequencies.

이와 같은,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와 보상블럭 사이의 길이 관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최적화 상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By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compensation block,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resonance frequency operating in the optimized stat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은, 앞서 상술한 보상블럭(300)을 돌출되게 하여 유전체 공진기(100)를 형성하는 제 1 단계(S100), 유전체 공진기(100)와 유전체 지지대(200)를 결합하는 제 2 단계(S200), 및 유전체 지지대(200)를 스크류(2)를 이용하여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제 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6, a method of fabricating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forming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by protruding the compensation block 300 described above, A second step S200 of coupling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and the dielectric support 200 and a third step S300 of securing the dielectric support 200 to the housing using the screw 2, have.

이와 같은 유전체 공진기 필터 제조방법으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가 갖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Such a dielectric resonat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can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단계(S100)는, TE01δx, TE01δy, TE01δz의 삼중모드에서 동작하는 유전체 재질의 유전체 공진기(100)의 중앙에 스크류 고정용 장착홀(101)을 구비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상블럭(300)이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tep S100 includes a screw fixing hole 101 at the center of a dielectric resonator 100 of a dielectric material operating in a triple mode of TE01? X, TE01? Y and TE01? Z, The compensation block 30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sonator 100 at regular intervals.

또한, 상기 제 2 단계(S200)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를 지지하는 알루미나 재질의 유전체 지지대(200)를 에폭시 본딩공정을 통해 본딩 결합하고 열처리공정을 통해 열경 화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비해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경화과정에서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the second step S200, the alumina dielectric support 200 supporting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is bonded and bonded through an epoxy bonding process, and a thermoset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As a result, the heat treatment can be perform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effect of the curing process can be enhanced.

또한, 상기 제 3 단계(S300)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100)가 열경화 과정으로 결합된 유전체 지지대(200)를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 고정용 장착홀(101)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류(2)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0)에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third step S300, the dielectric support 200 coupled with the dielectric resonator 100 through the thermal curing process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constituting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nd can be fixed to the housing 10 by using a screw 2 inserted through the hole 101.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 필터 제조방법은,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보상블럭 사이 길이를 최적화 상태로 조절하여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fabricating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length between the plurality of opposing blocks facing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To set the resonance frequency to operate in the triple mode.

도 7 내지 도 8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E01δx, TE01δy, TE01δz 의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7 to 8 are diagrams for comparing and comparing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s of TE01? X, TE01? Y and TE01? Z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먼저, 종래기술에 따른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7,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now be described.

도 7의 (a)는 보상블럭이 없는 기존 종래기술에 따른 실린더 형상의 TE01δx, TE01δy, TE01δz의 삼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중앙에 스크류 장착을 위한 홀이 구현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FIG. 7A shows a shape in which a hole for mounting a screw is implemented in the center of a triple-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of TE01 delta x, TE01 delta y, and TE01 delta z of a cylinder shap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without a compensation block.

또한, 도 7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TE01δx, TE01δy 두 모드의 E-필드가 중앙 스크류 홀을 통과하여 회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s. 7B and 7C, it can be seen that the E-field of the two modes TE01 deltax and TE01 delta y rotates through the central screw hole.

즉, E-필드가 세라믹 재질의 유전체가 아닌 유전상수 1의 에어(공기)로 채워지는 스크류 홀을 통과함에 따라 공진주파수는 상향 이동할 수 있다.That is, as the E-field passes through a screw hole filled with air (air)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1 rather than a ceramic dielectric material, the resonance frequency can move upward.

여기서, 도 7의 (d)에서 TE01δz 모드의 E-필드는 스크류홀 주변에 거의 분포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공진주파수는 스크류 홀 영향을 적게 받아 기존 공진주파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7 (d), the E-field of the TE01 delta z mode is hardly distributed around the screw hole, so that in this case, the resonance frequency is less influenced by the screw hole, and the existing resonance frequency can be maintained as it is.

결과적으로, 도 7의 (e)는 종래기술에 따른 해석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TE01δx, TE01δy인 Mode2, Mode3의 공진주파수가 Mode1인 TE01δz 모드 보다 140MHz 정도 상향이동된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FIG. 7E shows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Mode 2 and Mode 3, which is TE01δx and TE01δy, is shifted by about 140 MHz from the TE01δz mode which is Mode1.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의 은 각각의 축(x,y,z)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공진모드별 E-필드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FIG. 8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E-field for each resonance mode rotating around each axis (x, y, z).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상블럭을 갖는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8 (a) shows the structure of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having a compens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b)에서 Mode 1은 TE01δx로서 도 8의 (b) 측면도를 통해 E-필드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알 수 있고, Mode 2는 TE01δy 모드로서 도 8의 (c) 측면도를 통해 E-필드가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Mode 3은 TE01δz 모드로서 도 8(d) 상면도를 통해 E-필드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알 수 있다. In FIG. 8 (b), it can be seen that Mode 1 is TE01δx and the E-field rotates about the x axis through the side view of FIG. 8 (b). Mode 2 is the TE01.delta.y mode, It can be seen that the E-field rotates about the y-axis. Finally, Mode 3 is a TE01? Z mod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field rotates about the z-axis through the top view of Fig. 8 (d).

결과적으로, 도 8의 (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대한 시물레이션 결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상블럭(300)을 이용함으로써 TE01δx, TE01δy, TE01δz의 삼중모드에서 모두 유사한 공진주파수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FIG. 8 (e) shows that by using the compensation block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simulation result for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TE01 delta x, TE01 delta y,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resonance frequency.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는 유전체 공진기에 보상블럭을 형성하여 유전체 공진기 중앙에 스크류용 장착홀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삼중모드 공진기를 구현할 수 있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ensation block is formed in a dielectric resonator built in a housing constituting a filter to realize a screw mounting hole in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a triple mode resonator,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또한, 본 발명은,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 및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보상블럭 사이 길이를 최적화 상태로 조절하여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를 설정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etting a resonance frequency operating in a triple mode by adjusting the length between a plurality of compensating blocks facing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omponent changes to such an extent that they can be coped evenly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캐비티
2 : 고정 스크류
10 : 하우징
20 : 커버
100 : 유전체 공진기
101 : 스크류 장착용 홀
200 : 유전체 지지대
300 : 보상블럭
1: cavity
2: Fixing screw
10: Housing
20: cover
100: dielectric resonator
101: Screw mounting hole
200: dielectric support
300: compensation block

Claims (9)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에 있어서,
캐비티를 내부에 구비한 채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티를 폐쇄시키는 커버와;
중앙에 스크류용 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캐비티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열경화 방식의 본딩공정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캐비티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용 장착홀을 통과한 고정 스크류에 의해 장착 고정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유전체 지지대;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전체 공진기가 삼중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In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 housing having one side opened with a cavity therein;
A cov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to close the cavity;
A dielectric resonator having a screw mounting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being formed in a cavity of the housing a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 dielectric support coupled to the dielectric resonator through a thermoset bonding process and mounted in a cavity of the housing by a fixing screw passing through the screw mounting hole to support the dielectric resonator at a constant height; And
And a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protruding from the dielectric resonator at regular intervals to allow the dielectric resonator to operate in a triple mode.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삼중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 단면이 대칭형상을 가지도록 서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1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for operating the dielectric resonator in a tri-
Wherein the dielectric resonator is formed such that the horizontal cross-sections of the dielectric resonators have a symmetrical shape.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상블럭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측면에서 서로 인접하는 보상블럭 사이가 단면이 원호를 가지는 곡면으로 완만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blocks comprise:
Wherein the dielectric resonator has a curved surface having a circular arc cross section between neighboring compensating blocks on the sid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resonance frequency operating in a triple mode is set by adjusting a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nd a length between a plurality of facing compensation blocks on the basis of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클 경우에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에서 TE01δx, TE01δy 모드의 공진주파수가 TE01δz 모드의 공진주파수에 비해 높은 주파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E01 delta x and TE01 delta y modes at the resonance frequency operating in the triple mode is larger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E01 delta z mode at the resonance frequency operating in the triple mode when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length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ensating blocks, Wherein the resonant filter is located at a higher frequency than the frequency of the resonant filter.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에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에서 TE01δx, TE01δy 모드의 공진주파수가 TE01δz 모드의 공진주파수에 비해 낮은 주파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E01 delta x and TE01 delta y modes at the resonance frequency operating in the triple mode is smaller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E01 delta z mode at the resonance frequency operating in the triple mode when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length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ensating blocks, Wherein the resonant filter is located at a lower frequency than the frequency of the resonant filter.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높이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보상블럭 사이의 길이와 동일할 경우에 삼중모드로 동작하는 공진주파수에서 TE01δx, TE01δy 모드의 공진주파수가 TE01δz 모드의 공진주파수가 유사한 주파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E01 delta x and TE01 delta y modes at the resonance frequency operating in the triple mode is larger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E01 delta z mode in the case where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s equal to the length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ensating block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s located at a similar frequency. ≪ RTI ID = 0.0 > A < / RTI >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열경화 방식의 본딩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유전체 지지대는 에폭시 재질의 본딩 물질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electric support coupled to the dielectric resonator through a thermoset bonding process is bonded with an epoxy bonding material.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TE01δx, TE01δy, TE01δz의 삼중모드에서 동작하는 유전체 재질의 유전체 공진기의 중앙에 스크류 고정용 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상블럭이 돌출되게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지지하는 알루미나 재질의 유전체 지지대를 에폭시 본딩공정을 통해 본딩 결합하고 열처리공정을 통해 열경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가 열경화 과정으로 결합된 유전체 지지대를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 고정용 장착홀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블럭을 이용한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 first step of providing a screw fixing hole at the center of a dielectric resonator of a dielectric material operating in a triple mode of TE01 delta x, TE01 delta y and TE01 delta z, and forming a compensating bloc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A second step of bonding and bonding an alumina dielectric support supporting the dielectric resonator through an epoxy bonding process and performing a heat curing process through a heat treatment process; And
A third step of fixing the dielectric support coupled with the dielectric resonator through a thermosetting process to the housing using a screw inserted through the screw fixing hole in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Wherein the resonator filter is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KR1020170061020A 2017-05-17 2017-05-17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Compensation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329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020A KR101932947B1 (en) 2017-05-17 2017-05-17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Compensation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6/613,586 US11108123B2 (en) 2017-05-17 2018-05-15 Triple-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nd pass filter using dielectric resonator and NRN stub
PCT/KR2018/005574 WO2018212570A1 (en) 2017-05-17 2018-05-15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bandpass filter using dielectric resonator and nrn stu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020A KR101932947B1 (en) 2017-05-17 2017-05-17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Compensation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245A KR20180126245A (en) 2018-11-27
KR101932947B1 true KR101932947B1 (en) 2018-12-27

Family

ID=6460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020A KR101932947B1 (en) 2017-05-17 2017-05-17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Compensation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9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190B1 (en) * 2019-09-09 2021-07-12 주식회사 알에프텍 Cavity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3782939B (en) * 2020-06-09 2022-10-28 华为技术有限公司 Dielectric resonator and fil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6712A (en) 2001-12-13 2004-07-02 Murata Mfg Co Ltd Dielectric resonance element, dielectric resonator, filter, resonator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04349981A (en) 2003-05-21 2004-12-09 Murata Mfg Co Ltd Resonator device, filter, compound filter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261908B1 (en) 2012-11-16 2013-05-08 (주)아이엔티 Dielectric resonator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electric resonator thereb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6712A (en) 2001-12-13 2004-07-02 Murata Mfg Co Ltd Dielectric resonance element, dielectric resonator, filter, resonator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04349981A (en) 2003-05-21 2004-12-09 Murata Mfg Co Ltd Resonator device, filter, compound filter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261908B1 (en) 2012-11-16 2013-05-08 (주)아이엔티 Dielectric resonator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electric resonator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245A (en)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124B1 (en) Cavity type radio frequency filter with cross-coupling notch structure
JP5236068B2 (en) Suspended derivative comb cavity filter
KR102631870B1 (en) Radio frequency filter
CN107994304B (en) Multimode dielectric filter and debugging method thereof
US11108123B2 (en) Triple-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nd pass filter using dielectric resonator and NRN stub
US9070960B2 (en) TM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including a dielectric resonant column secured within a resonant cavity by elastic deformation
JP2001177313A (en) Resonator, filter, composite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unit
KR101932947B1 (en) Triple mode Dielectric Resonator Filter using Compensation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049902A1 (en) Multi-mode filter
US20050128031A1 (en) Hybrid triple-mode ceramic/metallic coaxial filter assembly
JP5466340B2 (en) Coupling mechanism for microwave reentrant resonant cavity attached to PCB
CN109411853A (en) A kind of high tri- mould dielectric resonance hollow structure of Q of cavity and the filter containing the resonance structure
US10950918B1 (en) Dual-mode monoblock dielectric filter
US6756865B2 (en) Resonator device,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6433652B1 (en) Multimode dielectric resonator apparatus,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003305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iltering in a wireless radio communication network
KR20220098037A (en) High-Q multimode dielectric resonant structures and dielectric filters
KR101101745B1 (en) Assembly of dielectric resonator with high sensitivity using triple mode
CN111448709B (en) Multimode resonator
KR101684439B1 (en) Artificial dielectric resonator and artificial dielectric filter using the same
WO2017185237A1 (en) Dielectric resonator, and dielectric filter, transceiver and base station applying same
US11088430B2 (en) Radio frequency resonators with bridge coupling adjacent resonators
JP405181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electric resonator, method for manufacturing dielectric filter, method for manufacturing duplexer, method for manufacturing communication device
JP2002335110A (en) Dielectric resonator device,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s equipment
JP2002064302A (en) Dielectric filter and method for attaching dielectric reson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