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728B1 - 기능성 연 - Google Patents
기능성 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2728B1 KR101932728B1 KR1020180060241A KR20180060241A KR101932728B1 KR 101932728 B1 KR101932728 B1 KR 101932728B1 KR 1020180060241 A KR1020180060241 A KR 1020180060241A KR 20180060241 A KR20180060241 A KR 20180060241A KR 101932728 B1 KR101932728 B1 KR 1019327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wind
- line
- hole
- r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8—Kit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1—Making or assembling thereof, e.g. by fold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2—Means for manipulating kites or other captive flying toys, e.g. kite-ree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10—Driving mechanisms actuated by flowing medi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1/00—Aircraft intended to be sustained without power plant; Powered hang-glider-type aircraft; Microlight-type aircraft
- B64C31/06—K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에 날리는 연(kite)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중앙에 방구멍을 뚫고, 상기 방구멍 하단부에는 다단의 결속부를 두어 바람의 세기에 따라 꽁수줄이 결속부에 결속되는 위치를 상하로 조정하며, 고무링과 연결고리를 통해 바람의 세기나 방향에 따라 상기 꽁수줄의 윗줄과 아랫줄의 길이 비율을 조정하여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날릴 수 있는 기능성 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중에 날리는 연(kite)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중앙에 방구멍을 뚫고, 상기 방구멍 하단부에는 다단의 결속부를 두어 바람의 세기에 따라 꽁수줄이 결속부에 결속되는 위치를 상하로 조정하며, 고무링과 연결고리를 통해 바람의 세기나 방향에 따라 상기 꽁수줄의 윗줄과 아랫줄의 길이 비율을 조정하여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날릴 수 있는 기능성 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은 그 형태와 문양에 따라 분류되므로, 그 종류가 100 여종에 이르고 있다. 크게 형태에 따라 사각 장방형의 중앙에 방구멍이 뚫려 있는 방패연이 대부분을 이룬다. 그리고, 어린이들이 날리는 꼬리가 달린 가오리연과,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자에 창의성에 따라 제작되는 창작연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가오리연은 형태가 마름모꼴을 취하는 연으로서, 부채꼴인 문어연을 포함하여 마름모꼴의 변형으로 만들어진 연을 통틀어서 가오리연이라 한다. 이러한 가오리연의 특징은 방구멍이 없이 꼬리를 길게 붙여 바람이 꼬리를 타고 흐르게 하여 쉽게 띄울 수 있고, 특히 제작방법이 간편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날릴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가오리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오리연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가오리연(10)은 마름모꼴 모양의 본체(11)에 세로 방향으로 중심축이 되도록 붙여진 중심살(12)과, 중심살(12)을 교차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반달 모양으로 휘어지도록 구부려 붙여진 허리살(13)과, 바람의 세기에 따라 균형을 잡기 위해 본체(11)의 양측부 모서리 지점에 붙여진 옆날개(15a)와, 본체(1)의 하단부 모서리 지점에 붙여진 꼬리(1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오리연(10)은 얼레에 연결된 연줄(16)과 연결되기 위해 꽁수줄(14)을 포함하고, 본체(11)에는 꽁수줄(14)이 연결되기 위해 연의 상·하단부에 각각 2개씩 마련된 상·하부 꽁수구멍(11a, 11b)이 형성되어 있다. 꽁수줄(14)의 윗줄(14a)은 상부 꽁수구멍(11a)에 연결되고, 아랫줄(14b)은 하부 꽁수구멍(11b)에 연결된다.
이러한 가오리연(10)을 공중에 날리기 위해서는 바람이 필요하다. 가오리연(10)은 바람에 의해 양력을 얻게 되고 공기의 저항을 원동력으로 위로 상승하게 된다. 즉, 바람을 막고 있는 가오리연(10)의 전면은 느린 바람이 지나가고 가오리연(10)의 후면은 빠른 바람이 지나가 가오리연(10)에는 양력이 발생되어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가오리연(10)은 바람이 약한 상황에서는 공중에 잘 뜨지 못하는 특성이 있어 바람의 세기에 제약을 많이 받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연을 날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가오리연(10)은 방패연과 다르게 방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있고, 또한 상·하부 꽁수구멍(11a, 11b)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바람의 세기에 따라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가오리연(10)은 꽁수줄(14)과 연줄(16)이 매듭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고, 그 매듭 위치 또한 특정 부위에 고정됨에 따라 한번 매듭지어진 꽁수줄(14)은 바람의 세기에 맞게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없어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연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워 연을 날리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항상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시켜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고 자유롭게 연을 날릴 수 있는 기능성 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세로 방향으로 중심축이 되도록 붙여진 중심살; 상기 중심살을 교차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반달 모양으로 휘어지도록 구부려 상기 본체에 부착된 허리살; 및 얼레에 연결된 연줄과 상기 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꽁수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중앙에 원형 형상의 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꽁수줄의 윗줄을 상기 본체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중심살과 상기 허리살이 교차하는 상단 중앙에 상기 중심살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상부 꽁수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구멍의 하측으로 하단 중앙에 상기 중심살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하부 꽁수구멍이 다단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결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연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방구멍으로부터 한 쌍의 하부 꽁수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람의 세기가 강한 경우에는 바람의 저항을 낮추기 위해 상기 하부 꽁수구멍 중 상기 방구멍에 근접하게 형성된 하부 꽁수구멍에 상기 꽁수줄의 아랫줄을 결속하고, 상대적으로 바람이 약한 경우에는 바람의 저항을 높여 연이 잘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 꽁수구멍 중 상기 방구멍에 가장 멀리 이격된 하부 꽁수구멍에 상기 꽁수줄의 아랫줄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꽁수줄과 상기 연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고리; 및 상기 꽁수줄의 윗줄과 아랫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연결고리가 결속되는 위치를 고정하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리는 양측에 각각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꽁수줄과 상기 연줄에 결합되고, 상기 고무링은 상기 꽁수줄에 탄성 결합되어 바람의 세기에 따라 상기 연줄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고리를 통해 상기 꽁수줄의 윗줄과 아랫줄의 길이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하단부 모서리 지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스티커 타입으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의 하단부 모서리 지점에 부착된 꼬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구멍의 지름을 조정하기 위해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구멍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스티커 타입으로 제작되어 상기 방구멍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부착된 방구멍 조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중앙에 방구멍을 뚫고, 상기 방구멍 하단부에는 다단의 결속부를 두어 바람의 세기에 따라 결속되는 하부 꽁수구멍의 위치를 자유롭게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바람이 아주 약하게 불거나 아주 세게 부는 상황에서도 연을 날릴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연줄과 연결되는 꽁수줄의 윗줄과 아랫줄의 길이 비율을 조정하는 고무링 및 연결고리를 두어 바람의 세기나 방향에 따라 고무링 및 연결고리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바람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연을 날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오리연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능성 연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능성 연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에 꽁수줄을 결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능성 연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능성 연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에 꽁수줄을 결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20)은 본체(21)와, 본체(21)에 세로 방향으로 중심축이 되도록 붙여진 중심살(22)과, 중심살(22)을 교차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반달 모양으로 휘어지도록 구부려 본체(21)에 부착된 허리살(23)과, 얼레에 연결된 연줄(28)과 본체(21)를 상호 연결하는 꽁수줄(24)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능성 연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능성 연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여기서, '정면'은 바람에 대향하는 면이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21)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한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21)의 중앙에는 원형 형상의 방구멍(211)이 형성된다. 방구멍(211)의 크기(지름)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구멍(211)은 본체(21)의 정면을 향해 강하게 부는 바람의 일부를 통과시켜 강한 바람에도 기능성 연(20)이 안정적으로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는 한다.
방구멍(211)의 지름은 3단계로 조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바람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방구멍(211)의 크기 또한 커지도록 하면서 그 크기를 3단계로 나누어 형성한다.
예를 들어, 바람이 세게 부는 해안가나 강가에서 기능성 연(20)을 날리고자 하는 경우 방구멍(211)의 지름을 가장 크게 형성하고, 바람이 덜 부는 산이나 평지에서 기능성 연(211)을 날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구멍(211)의 지름을 작게 형성한다.
본체(21)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꽁수줄(24)의 윗줄(24a)을 본체(21)에 연결하기 위해 중심살(22)과 허리살(23)이 교차하는 상단 중앙에 중심살(22)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상부 꽁수구멍(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방구멍(211)의 하측으로 하단 중앙에 중심살(22)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하부 꽁수구멍(a, b, c, d)이 다단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결속부(213)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에 꽁수줄을 결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속부(213)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꽁수줄(24)의 아랫줄(24b)이 결속되는 위치를 조정하여 본체(21)에 가해지는 바람의 저항을 조정한다.
도 5의 (a)와 같이, 비교적 바람의 세기가 강한 경우에는 바람의 저항을 낮추기 위해 결속부(213)의 상단, 즉 복수 개의 하부 꽁수구멍(a, b, c, d) 중 방구멍(211)에 근접하게 형성된 하부 꽁수구멍(a)에 꽁수줄(24)의 아랫줄(24b)을 결속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바람이 약한 경우에는 바람의 저항을 높여 연이 잘날 수 있도록 결속부(213)의 하단, 즉 복수 개의 하부 꽁수구멍(a, b, c, d) 중 방구멍(211)에 가장 멀리 이격된 하부 꽁수구멍(d)에 꽁수줄(24)의 아랫줄(24b)을 결속한다.
즉, 바람이 강할수록 꽁수줄(24)의 아랫줄(24b)을 상측에 형성된 하부 꽁수구멍에 결속하고, 반대로 바람이 약할수록 꽁수줄(24)의 아랫줄(24b)을 하측에 형성된 하부 꽁수구멍에 결속함으로써 바람의 세기와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연을 날릴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20)은 꽁수줄(24)과 연줄(28)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고리(27)와, 윗줄(24a)과 아랫줄(24b)에 각각 탄성 결합되어 연결고리(27)가 연결되는 위치를 고정하는 고무링(26a, 26b)을 더 포함한다.
연결고리(27)는 양측에 각각 고리가 구비되어 꽁수줄(24)과 연줄(28)에 결합된다. 즉, 연결고리(27)의 일측은 꽁수줄(24)의 윗줄(24a)과 아랫줄(24b) 사이에 결합되고, 타측은 연줄(28)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꽁수줄(24)과 연줄(28)을 상호 연결한다.
고무링(26a, 26b)은 연결고리(27)가 결합되는 꽁수줄(24)의 위치를 결정한다. 즉, 고무링(26a, 26b)을 이용하여 바람의 세기나 방향에 따라 연줄(28)을 기준으로 연결고리(27)를 통해 꽁수줄(24)의 윗줄(24a)과 아랫줄(24b)의 길이 비율을 조정한다.
연결고리(27)의 결속 위치는 고무링(26a, 26b)에 의해 고정되어 꽁수줄(24)의 윗줄(24a)과 아랫줄(24b)의 길이 비율이 조정된다. 바람의 세기나 방향에 따라 윗줄(24a)과 아랫줄(24b)의 길이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연을 날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윗줄(24a)의 길이를 줄이고, 아랫줄(24b)의 길이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무링(26a, 26b)을 통해 연결고리(27)를 상부 꽁수구멍(212) 쪽으로 이동시킨다. 반면, 윗줄(24a)의 길이를 늘리고, 아랫줄(24b)의 길이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무링(26a, 26b)을 통해 연결고리(27)를 결속부(213) 쪽으로 이동시킨다.
즉, 바람의 세기가 강해지는 경우에는 연결고리(27)를 상부 꽁수구멍(212) 쪽으로 이동시켜 바람의 저항을 덜 받도록 연을 조정하고, 상대적으로 바람의 세기가 약해지는 경우에는 연결고리(27)를 결속부(213) 쪽으로 이동시켜 바람의 저항이 많이 받도록 조정하여 바람의 세기에 무관하게 항상 안정적으로 연을 날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20)은 결속부(213)에는 다수의 하부 꽁수구멍(a, b, c, d)으로 인해 강도가 약해진 본체(21)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편(25)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보강편(25)은 본체(21)와 마찬가지로 한지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능성 연(2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바람의 세기에 따라 균형을 잡기 위해 본체(21)의 하단부 모서리 지점에 부착된 꼬리(31)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체(21)의 양측부 모서리 지점에 부착된 옆날개(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꼬리(31)와 옆날개(32)는 각각 본체(21)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스티커 타입으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필요시 본체(21)에 꼬리(31) 및/또는 옆날개(32)를 부착하여 연의 균형을 맞추어 안정적으로 연을 날릴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연(40)은 도 2에 도시된 기능성 연(2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방구멍(211)의 지름을 조정하기 위해 본체(21)에 부착되는 스티커 타입으로 방구멍 조정편(41)을 더 포함한다.
방구멍 조정편(41)은 방구멍(211)과 마찬가지로 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방구멍(21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바람의 세기에 따라 방구멍(211)의 지름을 조정한다. 즉, 바람의 세기가 약한 경우에는 방구멍 조정편(41)을 방구멍(211)에 부착하여 방구멍(211)의 지름을 줄여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도록 조정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가오리연 11, 21 : 본체
11a, 212 : 상부 꽁수구멍 11b, a~d : 하부 꽁수구멍
12, 22 : 중심살 13, 23 : 허리살
14, 24 : 꽁수줄 14a, 24a : 윗줄
14b, 24b : 아랫줄 15a, 32 : 옆날개
15b, 31 : 꼬리 16, 28 : 연줄
20 : 기능성 연 25 : 보강편
26a, 26b : 고무링 27 : 연결고리
41 : 방구멍 조정편 211 : 방구멍
213 : 결속부
11a, 212 : 상부 꽁수구멍 11b, a~d : 하부 꽁수구멍
12, 22 : 중심살 13, 23 : 허리살
14, 24 : 꽁수줄 14a, 24a : 윗줄
14b, 24b : 아랫줄 15a, 32 : 옆날개
15b, 31 : 꼬리 16, 28 : 연줄
20 : 기능성 연 25 : 보강편
26a, 26b : 고무링 27 : 연결고리
41 : 방구멍 조정편 211 : 방구멍
213 : 결속부
Claims (5)
- 본체;
상기 본체에 세로 방향으로 중심축이 되도록 붙여진 중심살;
상기 중심살을 교차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반달 모양으로 휘어지도록 구부려 상기 본체에 부착된 허리살; 및
얼레에 연결된 연줄과 상기 본체를 상호 연결하는 꽁수줄;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중앙에 원형 형상의 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꽁수줄의 윗줄을 상기 본체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중심살과 상기 허리살이 교차하는 상단 중앙에 상기 중심살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상부 꽁수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구멍의 하측으로 하단 중앙에 상기 중심살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하부 꽁수구멍이 다단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결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꽁수줄과 상기 연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고리; 및
상기 꽁수줄의 윗줄과 아랫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연결고리가 결속되는 위치를 고정하는 고무링;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고리는 양측에 각각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꽁수줄과 상기 연줄에 결합되고,
상기 고무링은 상기 꽁수줄에 탄성 결합되어 바람의 세기에 따라 상기 연줄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고리를 통해 상기 꽁수줄의 윗줄과 아랫줄의 길이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방구멍으로부터 한 쌍의 하부 꽁수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람의 세기가 강한 경우에는 바람의 저항을 낮추기 위해 상기 하부 꽁수구멍 중 상기 방구멍에 근접하게 형성된 하부 꽁수구멍에 상기 꽁수줄의 아랫줄을 결속하고, 상대적으로 바람이 약한 경우에는 바람의 저항을 높여 연이 잘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 꽁수구멍 중 상기 방구멍에 가장 멀리 이격된 하부 꽁수구멍에 상기 꽁수줄의 아랫줄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부 모서리 지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스티커 타입으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의 하단부 모서리 지점에 부착된 꼬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구멍의 지름을 조정하기 위해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구멍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스티커 타입으로 제작되어 상기 방구멍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부착된 방구멍 조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0241A KR101932728B1 (ko) | 2018-05-28 | 2018-05-28 | 기능성 연 |
PCT/KR2019/006360 WO2019231204A1 (ko) | 2018-05-28 | 2019-05-28 | 기능성 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0241A KR101932728B1 (ko) | 2018-05-28 | 2018-05-28 | 기능성 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2728B1 true KR101932728B1 (ko) | 2018-12-26 |
Family
ID=6500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0241A KR101932728B1 (ko) | 2018-05-28 | 2018-05-28 | 기능성 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2728B1 (ko) |
WO (1) | WO201923120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15054B (zh) * | 2021-10-28 | 2023-02-24 | 重庆交通大学绿色航空技术研究院 | 往复式伞梯发电装置和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0987913Y (zh) * | 2006-11-28 | 2007-12-12 | 马佃业 | 拴线风筝 |
KR200449565Y1 (ko) | 2008-10-21 | 2010-07-20 | 김사현 | 풍량에 따라 머릿줄 조절이 가능한 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98988A (en) * | 1995-04-13 | 1997-02-04 | Bukur; Thomas J. | Rotary flyer |
KR970004353U (ko) * | 1995-07-26 | 1997-02-19 | 유효상 | 회전날개가 장착된 연 |
JP3094419U (ja) * | 2002-12-02 | 2003-06-20 | 株式会社小学館 | 骨なしカイト |
-
2018
- 2018-05-28 KR KR1020180060241A patent/KR10193272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5-28 WO PCT/KR2019/006360 patent/WO201923120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0987913Y (zh) * | 2006-11-28 | 2007-12-12 | 马佃业 | 拴线风筝 |
KR200449565Y1 (ko) | 2008-10-21 | 2010-07-20 | 김사현 | 풍량에 따라 머릿줄 조절이 가능한 연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094419 U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231204A1 (ko) | 2019-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28134A (en) | Dual-line or quad-line controlled kite | |
EP3376858B1 (en) | Trawl door with adjustment means | |
KR101932728B1 (ko) | 기능성 연 | |
US3806071A (en) | Air foil kite | |
US2751172A (en) | Flexible kite | |
US4116406A (en) | Hang glider having inflatable airfoil | |
CN106564594B (zh) | 加装上扑翼的三角翼人力飞行器 | |
JPH01175874A (ja) | ブーメラン | |
US3309045A (en) | Flying wing | |
US2520704A (en) | Kite | |
RU80673U1 (ru) | Кайт с изменяемой кривизной крыла | |
US1914822A (en) | Kite | |
CN204275498U (zh) | 一种软体风筝 | |
ATE303856T1 (de) | Flugscheibe | |
US2365230A (en) | Vented parachute with cone | |
DK179434B1 (en) | Trawl bucket with adjusting means | |
US3996694A (en) | Parachute toy | |
DK201570741A1 (en) | Trawl door with adjustment means | |
US4103850A (en) | Maneuverable glider kite | |
US2432297A (en) | Flying wing | |
US1892985A (en) | Kite | |
RU150267U1 (ru) | Планирующий парашют | |
CN2425003Y (zh) | 前缘封闭式翼型滑翔伞 | |
US2097538A (en) | Kite | |
KR200295513Y1 (ko) | 패러글라이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