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910B1 -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Display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910B1
KR101931910B1 KR1020180059633A KR20180059633A KR101931910B1 KR 101931910 B1 KR101931910 B1 KR 101931910B1 KR 1020180059633 A KR1020180059633 A KR 1020180059633A KR 20180059633 A KR20180059633 A KR 20180059633A KR 101931910 B1 KR101931910 B1 KR 101931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ssing
module
support
bind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석태
Original Assignee
서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태 filed Critical 서석태
Priority to KR1020180059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9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9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28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movement of the objects being rota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47Installation or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conveyed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7/125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 B05B7/126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pneumatically actuated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anel assembly which comprises: at least a pair of body units; and a panel unit (130) provided to be drawn out of the body units. The panel unit (130) is provided to be variously mov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o be accommodated in the body units with a folded type. Therefore, based on variable movement, through a storage means having the shape of a cabinet, the display panel assembly can be provided to be used with a drawn-out method of a display panel to be displayed, and further,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managed.

Description

전시용 패널 조립체{DISPLAY PANEL}Display panel assembly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전시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동작에 기반하여 캐비넷 형태의 보관수단을 통해 전시패널의 출납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전시는 물론 유지 보수 관리 역시 용이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anel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panel assembly that can be used in a manner of receiving and displaying display panels through cabinet-type storage means based on variable operation, will be.

문화분야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다양한 종류, 형태 및 크기의 전시 구조를 만족하는 전시실에 대한 요구가 생겨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전시실은 전시의 목적에 따라 일정기간 특정 구조로서 전시물을 전시한 후 그 구조를 해체하고 다른 목적에 따라 새로운 전시구조를 갖도록 전시실의 구조를 필요에 따라 가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시실을 구획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시 공간 또는 전시 대상에 따라 개별적으로 가설 칸막이를 설치하고, 이와 별도로 전시장을 주문제작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새로운 전시를 위하여 구획변경이 요구되는 경우에 재설치가 곤란하고 해체시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로 인하여 현재와 같이 단시간 전시하고 해체하는 전시실을 구획하는 데 적절하지 않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가설 칸막이와 별도로 전시장을 주문 제작함으로써,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더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Due to the growing interest in the cultural field, there is a demand for exhibition rooms that satisfy various types, forms and sizes of exhibition structures. Especially, it is necessary for the exhibition room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exhibition roo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so that the exhibition structure is disassembled after having exhibited the specific structure for a certain perio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has a new exhibi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purpose. In order to divide these exhibition rooms, conventionally, a temporary partition was install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exhibition space or the object of the exhibition, and a separate exhibition hall was customized and used.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reinstallation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disassemble it.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uitable for partitioning exhibition rooms which are to be exhibited and disassembled for a short time as in the present, and the economy is inferio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manufacture are increased by customizing the exhibition hall separately from the above-mentioned hypothetical partition.

따라서, 전시 장소에서 전시수단을 통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전시 수행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perform the exhibition efficiently and efficiently through the display means at the exhibition site.

한국등록특허 제10-1132593호Korean Patent No. 10-1132593

본 발명은, 가변동작에 기반하여 캐비넷 형태의 보관수단을 통해 전시패널의 출납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전시는 물론 유지 보수 관리 역시 용이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panel assembly which can be used as a cash-in / pay-out method of a display panel through a cabinet-type storage means based on a variable operation, thereby facilitating display and maintenance managemen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출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패널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부(130)는 일정범위로 가변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상에 접철식으로 수용 가능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l device comprising: at least a pair of body portions; And a panel unit (130) provided in the body part, the panel unit (130) having a variable range of operation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a display panel assembly do.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에 의하면 가변동작에 기반하여 캐비넷 형태의 보관수단을 통해 전시패널의 출납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전시는 물론 유지 보수 관리 역시 용이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pan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panel assembly that can be used as a cash-in / pay-out method through a cabinet-type storage means based on variable operation,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가 가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가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작동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state of the display panel assembly according to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anel assembly according to FIG. 1 is stored.
4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structures of the display panel assembly according to FIG.
5 is a front view of a surface treatment processing means for surface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ing means for surface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utomatically constructed by a combination of a motor and a screw.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ray gun of Fig. 5;
8 is an operational view of Fig.
9 to 13 are views showing a bump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5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mp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8 are views showing the bin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가 가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가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state of the display panel assembly according to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anel assembly according to FIG. 1 is stored. 4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structures of the display panel assembly according to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시용 패널 조립체는 몸체부; 패널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제1 몸체부(110'), 제2 몸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적어도 한 쌍의 몸체부로 이루어진다.1 to 4, the display panel assembly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panel unit 130 '.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110 'and a second body portion 120'. The body portion comprises at least a pair of body portions.

상기 몸체부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예컨대, 사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포함한다.The body portion is provid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with a rectangular longitudinal section. The body part includes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when the body part is a pair.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상기 패널부(130')를 출납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예컨대,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다.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are provided to receive the panel part 130 '.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0' has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상기 패널부(130')는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 사이에서 위치되며, 이러한 상기 패널부(130')는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가 상호 이웃하여 마주접할 경우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 수용된다.The panel part 13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 and the panel part 13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10 '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패널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몸체부에 대응되는 형상이거나 그 외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패널부(130')는 그 재질 역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anel unit 130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it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or other shape. The material of the panel unit 130 'may also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상기 패널부(130')는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 사이 길이방향 상에서 일범범위로 가변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예컨대, 접철 방식의 가변 동작에 기반하는 가변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The panel part 13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perform variable operation over a vertical line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variable operation based on the variable operation of the folding typ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널부(130')는 적어도 일부영역이 가변동작 가능한 일체형 패널로 구비되거나, 상호 연동에 따른 가변동작이 가능한 복수 패널의 조합로 이루어지는 독립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panel unit 130 'may be provided as an integral panel capable of variable operation in at least a part of the panel, or may be provided in a stand-alone configuration including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anels capable of variable operation according to mutual interlocking.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상호 마주하는 제1 상태로 구비되는데, 여기서, 상기 패널부(130')는 상기 가변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패널부(130')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이다.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are provided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y face each other, wherein the panel part 130 ' 130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패널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 사이에서 출납이 가능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패널부(130')의 일측은 상기 제1 몸체부(110') 상에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몸체부(120') 상에 결속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nel unit 13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between the first body unit 110' and the second body unit 120 '. For this purpose, one side of the panel unit 130'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상기 패널부(130')의 일측 또는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즉,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된 수용공간')에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anel part 130 'can be bound to the accommodation space (i.e., the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상기 제1 몸체부(110')는 제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일정거리 이격된 제2 위치에 구비되며 이를 토대로 상기 패널부(130')가 일정한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상태의 배치가 가능하다.The first body portion 110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0' is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10 '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portions 130 'are arranged in a uniform form.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패널부(130')가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제1-1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tate is such that the panel unit 130 'is disposed in the first-first state such that it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 It is possible.

또한, 상기 패널부(130')가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 사이에서 폐쇄형 또는 반폐쇄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2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anel unit 130 'is disposed in the first-second state so as to form a closed or semi-closed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 It is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몸체부(110'), 제2 몸체부(120'), 패널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100")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제1 몸체부(110'), 제2 몸체부(120'), 패널부(130')에 해당하는 것인 피코팅물(110")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1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15")에 배치되는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125")와,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수평보(130")와,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140")와, 상기 상방수평보(1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1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42")을 구비한 이동블럭(145")과,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147")을 구비하며, 피코팅물(110")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노즐(152")에 의해 피코팅물(110")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50") 및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피코팅물(110")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160")를 포함한다.
5 is a front view of a surface treatment processing means for surface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ing means for surface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utomatically constructed by a combination of a motor and a screw.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ray gun of Fig. 5; 8 is an operational view of Fig. As shown,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nd the panel portion 130 'is surface-treated through the surface processing means.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ing means for the surface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nd the panel portion 130 ', which are conveyed on the conveyor 100 " Which is axially coupled to a fixed portion 115 "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a corresponding coating material 110 ", and which is rotated by a rotating means 120 " disposed at the fixed portion 115 & An upper horizontal beam 130 "horizontal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shaft 125" and a side vertical bar 130 "perpendicular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horizontal beam 130"Quot; 140 "), and a side vertical bar 140 "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bar 130 "Quot;) and a first fixing means 142 " for fixing the side vertical bar 140 " to the side vertical bar 140 "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147 "for fastening to the side vertical bar 140" and being supplied with a coating liquid applied to the coating 110 " A pneumatic pump 160 " for spraying the coating liquid onto the coating 110 " by providing pressurized air to the spray gun 150 " do.

여기서, 센터 사프트(125")가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1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150")도 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1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피코팅물(110")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노즐(1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1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1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1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Here, the upper horizontal beam 130 " fixed to the center shaft 125 "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enter shaft 125 " by the rotating means 120 " The spray gun 150 "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140 " is also rotated so that the coating material 110 ", which is continuously moved below the spray gun 150 " The coating material is finely spray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upper vertical bar 130 " and the side vertical bar 140 " by fine nozzles 152 " A scale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pray gun 150 " is formed. The operator divides the spread distance of the coating liquid obtained according to each coating material into tabular form, Position in the upper horizontal beam 130 " and the vertical position in the side vertical bar 140 " By section, it is possible to finely sprayed a coating liquid for the coating and water.

그리고, 제1 고정수단(142")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1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1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140")를 이동블럭(1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다. 또한, 제2 고정수단(147")은 스프레이건(150")을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1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140")에 스프레이건(1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1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1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means 142 "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vertical screw and moving block 145 " which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45 " to secure the moving block 145 " Is a horizontal screw that secures the vertical bar 140 " to the travel block 145 ". The second fastening means 147 " also fixes the spray gun 150 " to the bottom of the side vertical bar 140 ", which is capable of rotating the spray gun 150 " The spray gun 150 '' is formed through a connecting plate having a shaft bar formed by axially coupling the spray gun 150 '' to the side vertical bar 140 '', a circumferential hol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hereof, , Thereby fixing the spray angle of the spray gun 150 ".

그리고, 상기 고정부(1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165") 및 상기 공압탱크(1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165")와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1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1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1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160")와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1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177")가 구비된다.A coating liquid supply unit 165 " and the pneumatic tank 160 " for supplying a coating liquid are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unit 115 ",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shaft 125 & Closing valve 167 " which is connected to the spray gun 150 " by a pipe 167 " by a spray gun 150 " And a coating liquid connection portion 175 "having a coating liquid connection portion 175"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ating liquid connection portion 175 ", and a pipe 167" is formed in the pneumatic tank 160 "and the spray gun 150" And a pneumatic connection 177 " provided with a pressurized air shutoff valve 176 " connected to the spray gun and shutting off the supply of pressurized air to the spray gun.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125")에는 모터(1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1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이동수단(180")이 구비되는데, 모터(186")에 의해 이동블럭(145")을 이동시키는 경우, 모터(186")는 센터 사프트(125")에 상방 수평보(1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1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186")에는 스크류 환봉(1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187")은 이동블럭(1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188")에 연결되고, 모터(1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145")은 상방 수평보(130")에서 미끄럼 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모터(1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186")의 축 회전수와 모터(1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1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1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1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 로 회전되고, 모터(1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1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1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1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The center shaft 125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moving means 180" for horizontally moving the moving block 145 "by using a motor 186" or a cylinder. The motor 186 " The motor 186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enter block 126 " which fixes the upper horizontal beam 130 " to the center shaft 125 " The screw 188 " is connected to a female screw 188 "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ravel block 145 ", and the motor 186 " The movable block 145 " is slid at the upper horizontal beam 130 ". At this time,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block 145 " is shifted by a single turn of the motor 186 " and the shaft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86 " by the encoder coupled to the motor 186 " Can be calculated by the moving distance of the female screw 188 " On the other hand, the motor 186 " is rotated at a certain angle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uses a step motor 186 " having a brake function of the shaft of the motor 186 " And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lock 145 " can be fixed by holding the motor 186 " axis in the brake function.

그리고, 이동블럭(145")은 모터(1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1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1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45")에는 사이드 수직바(1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190")도 수평이동수단(180")과 마찬가지로 모터(1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oving block 145 " sets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block 145 " to the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motor 186 ", and the motor 186 " Is moved in the upper horizontal beam 130 ",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block 145 " must be set in advance in the control unit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spray gun 150 " The height adjustment means 190 '' is also provided to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180 '' in order to vertically move the side vertical bars 140 ''. Can be im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a motor 186 " and a screw, or the use of a pneumatic cylinder.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190")은 모터(196")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이동블럭(145")에 축 결합되며, 모터(186")와 스크류 환봉(197")이 피니언 기어(1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스프레이건(150")에 고정된 암스크류(1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1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140")가 모터(1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1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140")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height adjusting means 190 " is arranged such that the motor 196 "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moving block 145 ", the screw round bar 197 " is axial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45 " And the screw round bar 197 "are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199" and the screw round bar 197 "is connected to the arm screw 198" fixed to the spray gun 150 ", and the moving block 145" Quot ;, the movement distance is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145 ", and the control section is operated to move the side vertical bar 140 "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196 " is controlled so that the side vertical bar 140 " can be set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spray gun 150 "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노즐(152")은 스프레이건(150")의 단부에서 피코팅물(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피코팅물(110")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The nozzle 152 '' of the spray gun 150 '' is dispos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coating 110 '' at the end of the spray gun 150 '' so that the rotation of the center gun 125 ' When the coating material 150 " is rotated, the coating material is uniformly sprayed downward toward the coating material 110 ".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전술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 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9 to 13 are views showing a bump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5 are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surface treatment and proces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described above; And a multi-bumper module tied to the support portion to attenuat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ing means and minimize vibration. The multi-bumper module includes a first bumper module 100 for mounting the support portion. The first bumper module 100 includes a first seat portion 1111 on which one end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seated, A first pressing portion 1112 for pushing the first seating portion in a forward-pulling manner; a second pressing portion 1112 for pressing the first seating portion 1111 and a first rotation portion 1113 for rotating the first pressing portion 11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seat portion 2111 on which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seated, and a second seat portion 2111 on which the second seat portion 2111 is pushed forward, A first 1-2 bumper module 2110 having a pressing portion 2112 and a second rotating portion 2113 for rotating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1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The first pressing portion 1112 moves the first seating portion 1111 forward and backward via the bridge B1 and the first pressing portion 1112 is provided with a first pressing portion 1112, -1 spacing distance sensor S11 and a second spacing distance sensor S2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112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ating portion 2111 via a bridge B1, And a second-1 separation distance detecting sensor S21 and a second -2 separation distance detecting sensor S22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111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112 1-1 information value of the 1-1 separation distance sensor S11 and the 1-2 information value of the 1-2 separation distance sensor S2 via the external monitoring means, And monitors the 2-1 information value of the 2-1 separation distance detection sensor S21 and the 2-2 information value of the 2-2 separation distance detection sensor S22. And monitors the 1-1 information value of the 1-1 separation distance sensor S11 and the 1-2 information value of the 1-2 separation distance detection sensor S2 through external monitoring means, The second-1 information value of the second-1 separation distance sensor S21 and the second -2 information value of the second-2 separation distance sensor S22 are monitored through external monitoring means.

상기 지지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 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 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The support portion is a bar-shaped body,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tapered structure T1 and a second tapered structure T2 which are respectively tapered from upper to lower portions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motion in a sliding manner. Wherein the first taper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aper structure T2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elastic means CM so as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taper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apered structure T2 is in registration with the second seating portion 2111 and the first tapered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apered structure 2111 are aligned with the first seating portion 1111, The first seating part 1111 and the second seating part 2111 are press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eating part 1111 and the second seating part 2111, The first tapered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apered structure T2, The protrusions O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inclined surface facing toward the center.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The first tapered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apered structure T2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at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tapered structure T2, Is fixed on the first seating part (1111) and the second taper structure (T2) by the projection (O) while being seated on the first taper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aper structure T2 is formed such that at least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seating portion 1111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2111 is made of an elastomer material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O is formed, do.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 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 록 한다.The first rotating part 1113 of the first bumper module 1110 and the first rotating part 1113 of the first bumper module 111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part, (HM) capable of reciprocatingly moving in a sliding manner toward the support portion are provided on the first horizont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rotary portion 2113 of the first rotary member 2113, T1 and the second tapered structure T2 are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1111 and 2111, the first tapered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apered structure 2111, (HM), which is located at least partially on the second horizontal region, is pressed downwardly, at least partially in a second horizontal region which is the upper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region (T2) The first taper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aper structure T2, The lock doedo pressed downward.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부 반대편을 향하도 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 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HM is an equilateral triangle which is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hypotenuse is direct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on the second horizontal region,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means UP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means HM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lower end portion where the chamfer is formed, And pressurized. The multi-bumpe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mper module 200 positioned below the first bumper module 110. The second bumper module 200 may include the first bumper module 1110, A second-1 bumper module 3110 having a third seat 3111 provided below the first seat 3111 and a third rotation 3113 for rotating the third seat 31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fourth seat portion 4111 provided below the first bumper module 2110 and a fourth rotation portion 4113 for rotating the fourth seat portion 4111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provided And a 2-2 bumper module 4110.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 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 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The third seating part 311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part 1111 and the fourth seating part 4111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ating part 2111, The third seating part 3111 and the fourth seating part 4111 are made of at least a part of an inclined surface made of an elastomeric material and the third seating part 3111, the fourth seating part 4111, A pumping module PM for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below the first rotating portion 3113 and the fourth rotating portion 4113. The pumping module PM includes a lower plate BL, The fourth seat portion 4111, the third rotation portion 3113 and the fourth rotation portion 4113 are mounted on the seat portion 3111 and the lower plate portion BL via the elastic means and the pumping means, And a top plate portion (UL) capable of flowing between the low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 pumping means includes a main body I in which a fluid is built in and a main body for discharging the fluid, and a plurality of pumping means for constantly flowing on the main body I based on an external pressing force or vibration, And a pressing body P for spraying the fluid is provided. The upper plate portion UL and the lower plate portion BL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magnetic means for generating attractive force or repulsive force, and the inner body I is formed with the injection nozzle N on the horizontal end portion The fluid is sprayed into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portion (UL) and the lower plate portion (BL), wherein the fluid is a thermoplastic resin which is one of polyethylene, polyvinyl chloride and polystyrene, or a colored gas.

상기 지지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The support part is first mounted on the first bumper module 110 via the first taper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aper structure T2 based on an external load and the first rotation part 1113 The first tapered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apered structure T2 of the support portion are formed on the second bumper module 200 on the basis of the rotation control of the second rotary portion 2113 When the vehicle is seated or a load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applied, the first seat portion 1111 and the second seat portion 2111 are forcibly passed through and are secondarily seated on the second bumper module 200 .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14 to 15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mp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mainly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ove-mentioned points. 14 to 15, the multi-bumper module further includes a sub bumper module 300 provided between the first bumper module 110 and the second bumper module, and the sub bumper module 300 Includes a first sub seating portion 1111S provided below the first bumper module 1110 and a first sub pressing portion 1112S for pressing the first sub seating portion 1111S in a forward pulling manner A first sub bumper module 3110 having a first sub-seating portion 1111S and a first sub-rotation portion 1113S for horizontally rotating the first sub-seating portion 1111S and the first sub-pressing portion 1112S; A second sub-seating portion 2111S provided below the first bumper module 2110 and a second sub-pressing portion 2112S for pressing the second sub-seating portion 2111S forward and rearward, A second sub rotation portion 2113S for rotating the second sub seating portion 2111S and the second sub pressing portion 2112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The second sub bumper module 4110 is started.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The first sub-pressing portion 1112S moves the first sub-seating portion 1111S forward and backward via the bridge B1 and the first sub-seating portion 1111S of the first sub- The first sub-separation distance detection sensor S11S and the first sub-separation distance detection sensor S12S are provided on the first sub-separation portion 2112S and the second sub- The second sub-seating portion 2111S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second-first sub-seating distance sensor S21S and the second-first sub-seating portion 2121S ar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sub-seating portion 2111S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112, 2 sub-separation distance detection sensor S22S, and the first-first sub-separation distance sensor S11S of the first sub-separation distance sensor S11S and the second sub- Sub information value of the second-first sub-separation distance sensor S21S and the second-first sub-information value of the second-first sub-separation distance sensor S21S, 2- 1 sub information value of the first sub-range separation sensor S11S and the second sub-information value of the first sub-range separation sensor (S11S) through external monitoring means, S12S) of the second-first sub-separation distance sensor (S21S) and monitors the second-first sub-information value of the second-first sub-separation distance sensor (S21S) And monitors the second to second sub information values of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S22S in contrast.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L)(즉, (L’)과 동일)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The first sub-seating portion 1111S includes a chamfered por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tapered structure T1 on a diagonal upper side portion toward the second sub seating portion 2111S, The seating portion 2111S has a chamfered por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tapered structure T2 on the diagonal line upper side portion toward the first sub seating portion 1111S, (The same as the first bumper module L ') is connected to the first bumper module 110 via the first bumper module 110 via the first taper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aper structure T2, The first tapered structure T1 of the support portion L and the second tapered structure T13 of the support portion L are mounted on the bumper module 3110, The second taper structure T2 is mounted on the first sub bumper module 3110 Complex, or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 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가능하도 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 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 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 록 구비되도 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Bumper module 3110 by forcibly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1111 and 2111 when a load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is applied. A plurality of shock absorbers EC are provided on the third seat portion 3111 and the fourth seat portion 4111 so that the first taper structure of the support portion L via the first bumper module 100, The buffering structure EC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tilting structure T1 and the second tilting structure T2 and covers the surfaces of the third and fourth seating portions 3111 and 4111, The buffer EC is provided with a pocket for storing fluids therein and is provided on the third seat 3111 and the fourth seat 4111 so as to be able to protrude and retrac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buffer EC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fluid therein and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and retrea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n the third seating part 3111 and the fourth seating part 4111. The outside The diaphragm lower surface forms a chamfer and press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rotating portion 3113, A first driving unit 5200 for applying a pressing force in an upward diagonal direction to the first outer pushing unit 5100, A first upper panel part 5300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first upper panel part 5300, a first lower panel part 5400 facing the lower diagonal direction of the first upper panel part 5300, A first capsule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ttom panel part 5300 and the first bottom panel part 5400 and having a built-in gas for visual identification and olfactory identification therein. When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is applied, A first outer pressurizing module 500 having a first capsule panel CP1 provided to allow the first outer pressurizing module 500 to flow out to the outside and a second outer pressurizing module 50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outer pressurizing module 500, (BM1) for accelerating and discharging the gas of the first capsule layer to the outside And a second outer pressurizing portion 6100 for limiting the flow of the fourth rotary portion 4113 by press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ourth rotary portion 4113 and forming a chamfer on the lower diagonal lower surface thereof. A second driving unit 6200 for applying a pressing force in an upward diagonal direction to the second outer pressing part 6100 and a second upper panel part 6300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driving part 6200, A second lower panel part 6400 facing the lower diagonal direction of the second upper panel part 6300 and a second lower panel part 6400 facing the second upper panel part 6300 and the second lower panel part 6400 A second capsule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capsule layers having a built-in gas for visual identification and olfactory identification therein, and a second capsule panel A second outer pressurizing module 600 having a first outer pressurizing module 600 and a second outer pressurizing module 600 having a second outer pressurizing module 600, And a second discharging unit (BM2) for discharging the gas of the second capsule layer to the outside by accelerating and discharging the gas of the second capsule layer at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room and the lower part.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 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 록 유동된다.The first capsule panel CP1 includes a 1-1 capsule panel CP11 and a 1-2 capsule panel CP12 disposed under the 1-1 capsule panel CP11, 2 capsule panel CP2 includes a 2-1 capsule panel CP21 and a 2-2 capsule panel CP22 provided below the 2-1 capsule panel CP21, The first discharging means BM1 of the module 550 includes a first discharging means BM11 and a 1-2 discharging means BM12 provided below the first discharging means BM11, The second discharging means BM2 of the second discharging module 650 includes a second discharging module BM21 and a second discharging module BM2 provided below the second discharging module BM21 Wherein the first discharge module BM11 and the first 1-2 discharge module BM12 are arranged in the first 1-1 capsule panel CP11) and the first 1-2 capsule panel (CP12), and the second discharge module 650 In order to discharge the gas, the second-1 discharge module BM21 and the second-2 discharge module BM22 are connected to the second-1 capsule panel CP21 and the second -2 capsule panel CP22, .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결속모듈은, 상기 컨베이어에서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71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L1)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711)와, 상기 각 외장부(711)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712)와, 상기 외장부(711)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712)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L1)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71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가압유닛(71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713)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유닛(713)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713a)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713c)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713b)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L1)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712)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L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OM)이 충진된다.16 to 18 are views showing the bin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8, the binding module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directed from the conveyor to the bottom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inding modules along at least a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inding module includes a first binding module 710, wherein the first binding module 710 includes a pair of external parts 711 bound to the first supporting part L1 of the supporting parts, A pressing unit 712 interlocked with the outer casing 711 and pressing the first supporting unit L1 in a forward / backward flow manner on the inner casing 712, (713). The first support portion L1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unit 7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unit 713 can be inserted and fixed. The pressurizing unit 713 is provided with a first pressurizing unit 713a provided at the uppermost stage, a second pressurizing unit 713c provided at the lowermost stage, and at least one third pressurizing unit 713b provided at the interruption, Are selectively or who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L1 and the interior portion 712 is filled with an adhesive material OM to fix the adjacent first support portions L1.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HT1)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712)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BL1)이 구비된다. 내부에 접착물질(OM)은 상기 외장부(711)와 상기 내장부(712)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SP)을 통해 상기 내장부(712)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713a)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713b)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711), 상기 내장부(712), 상기 가압유닛(713) 및 상기 제1 지지부(L1)를 상호 결속시킨다. 상기 제1 지지부(L1)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MM1)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SM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713)은 상기 인식수단(SM1)이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 사이에는 단열수단(CM1)이 구비된다.A heating part HT1 for heating the interior part 712 and activating the adhesive material OM is provided above the internal part 712. The interior part 712 is provided with a built- 712 to cool the adhesive material OM to deactivate the adhesive material OM. The adhesive material OM is supplied to the interior part 712 through a supply pipe SP provided between the exterior 711 and the interior part 712, The third pressing unit 713b is inser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enclosure 711, the inside part 712, the pressing unit 713 and the first supporting part L1 are bonded to each other . An identification means MM1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L1 and recognition means SM1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means MM1 is provided on the interior portion 712, The recognition means SM1 is moved toward and away from the insertion groove based on recognition of the identification means MM1 by the recognition means SM1 and the recognition means SM1 and the heating portion HT1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 heat insulating means (CM1) is provided between the recognizing means (SM1) and the heating portion (HT1).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7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81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810)은 핸들부(811)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812)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7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8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812) 및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811)에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삽입체(813)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8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조임부(814)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핸들부(811)을 상기 제1 지지부(L1)측으로 가압한다.The bind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inding module 7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binding module 710 and the second binding module 720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binding module 710, The first fastening means 810 includes a handle portion 811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810 protruding from the handle portion 811 in the form of a bar, And a second insert 813 protruding in a bar shape from the handle portion 811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module 720. The first insert 81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module 720, The first support portion L1 is provided with a second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body 812 and the second insertion body 813, The body 81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the handle 811 is provided with a first throttle 813 interlocked with the first insert 812 and the second insert 813, And a second throttle 814 interlocked with the first throttle 814 and the second throttle 814. The first throttle 813 and the second throttle 814 are coupled to the first throttle 812 and the second throttle 814, 813 press the handle portion 811 toward the first support portion L1.

상기 결속모듈은 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730) 및 제4 결속모듈(740)을 포함하며, 기 제3 결속모듈(730)은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82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830)을 통해 결속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제2 지지부(L2)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2 결속모듈(72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3 결속모듈(73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4 결속모듈(74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은 제4 체결수단(84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7 결속모듈(770)은 제5 체결수단(85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86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820)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860)은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응하는 것이다.The binding module includes a first binding module 710 and a third binding module 730 and a fourth binding module 740 corresponding to the first binding module 710. The third binding module 730 includes the second binding module 720 And the fourth binding module 740 is located below the third binding module 730 and is provided with a third fastening means 830 at the lower side of the third binding module 730, Lt; / RTI > The binding module corresponds to the first binding module 710 and includes a fifth binding module 750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ing part L2 adjacent to the second supporting part L2 of the supporting parts, A sixth binding module 76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inding module 720 and a sixth binding module 760 corresponding to the third binding module 730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ing part L2, And an eighth bind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binding module 740 and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ing part L2. The fifth binding module 750 and the sixth binding module 760 are coupled through a fourth binding means 840 and the sixth binding module 760 and the seventh binding module 7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fth The seventh binding module 770 and the eighth binding module are bundled through a sixth fastening means 860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820 to the sixth fastening means 860 are fastened together through fastening means 850, The means 860 corresponds to the first fastening means 810.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900)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900)은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기 제4 체결수단(840)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912) 및 제1-2 피스톤부(913)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910)와, 제2 실린더부(92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820)과 상기 제5 체결수단(850)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922)와 제2-2 피스톤부(923)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920)와, 제3 실린더부(931)와,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830)과 상기 제6 체결수단(860)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932)와 제3-2 피스톤부(933)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930)가 구비된다.The interlocking module 900 includes a first cylinder 911 and a second interlocking module 910. The first interlocking module 900 interlocks the first interlocking module 710 to the sixth interlocking module 760, A first piston section 912 and a first piston section 912 which are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eating from both sides of the cylinder section 911 and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ing means 810 and the fourth fastening means 840, A second cylinder portion 921 and a second cylinder portion 921 which are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eating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cylinder portion 921, A second interlocking portion 920 including a second-first piston portion 922 and a second-second piston portion 923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means 820 and the fifth fastening means 850, The third and fourth fastening means 830 and 860 which are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eating from both sides of the third cylinder 931 and the third cylinder 931, And a third interlocking portion 930 including a third-first piston portion 932 and a third-second piston portion 933 coupled thereto.

상기 제1 실린더부(911) 및 상기 제3 실린더부(931)는 둘레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S1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S1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S3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S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S1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S3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S3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 상기 제3-1 감지센서(S31)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위치 이탈 정도를 제1 스케일로 감지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감지센서(S12)와 상기 제3-2 감지센서(S32)가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2 감지센서(S12), 상기 제3-2 감지센서(S32)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초기 위치 이탈 정도를 제2 스케일로 감지한다.The first cylinder part 911 and the third cylinder part 931 are rotatably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econd sensing sensor S2 is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second cylinder part 921, The first sensing unit S11 is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periphery of the first cylinder unit 911 and the second sensing sensor S12 is provided in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sensing unit S11. The 3-1 detection sensor S31 is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sensor 931, the 3-2 detection sensor S32 is provided in the second region, The second sensing sensor S12 has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sensing sensor S2 and the third sensing sensor S2 has a smaller area than the second sensing sensor S2, The sensor S31 is provided in the sam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nsing sensor S2 and the third sensing sensor S32 is provided in a smaller area than the second sensing sensor S2, 1-1 Detection Sensor ( S11), the third-first detection sensor (S31)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S2) detect the degree of displacement between the first cylinder (911) and the second cylinder If the first 1-2 sensing sensor S12 and the 3-2 sensing sensor S32 are provided so as to face the second sensing sensor S2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first sensing sensor 921, The sensor S12, the third-second detection sensor S32,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S2 sense the initial position deviation degree as a second scale.

상기 제1-1 피스톤부(912)와 상기 제2-1 피스톤부(92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9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922)와 상기 제3-1 피스톤부(93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9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913)와 상기 제2-2 피스톤부(92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9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923)와 상기 제3-2 피스톤부(93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970)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94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940)이 구비된다. 상기 제5 연동부(95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950)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96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960)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97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970)이 구비된다.And a fourth interlocking portion 940 for fastening the first-first piston portion 912 and the second-first piston portion 922 in the height direction. The second-first piston portion 922 and the second- And a fifth interlocking portion 950 for fastening the third-first piston portion 932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first-second piston portion 913 and the second-second piston portion 923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seventh interlocking portion 970 for connecting the second-second piston portion 923 and the third-second piston portion 933 in the height direction is provided And a first flow unit 940 capable of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fourth interlocking unit 940. [ A second flow unit 950 capable of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fifth interlocked part 950 and a third flow unit 960 is provided on the sixth interlocked part 960, And a fourth flow unit 970 capable of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seventh linked unit 970.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S4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S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S5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S5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S6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S62)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S7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S71)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S72)가 구비된다.The first flow unit 940 is provided with a fourth sensor S41 on one side facing the third flow unit 960 and a second sensor unit S41 on the other side of which the area is larger than the fourth sensor S41 A fourth sensor S42 is provided and the second flow sensor 950 is provided with a fifth sensor S51 at one side thereof facing the fourth flow sensor 970, And a fifth-ninth sensing sensor S52 that is larger than the fifth sensing sensor S51 is provided, and the third flow device 960 is provided with a sixth- 1 sensing sensor S61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sixth sensing sensor S62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sixth sensing sensor S61 and the fourth sensing means S62, The 7-2 detection sensor S71 is provided on one side facing the second flow means 950 and the 7-2 detection sensor S72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7-1 detection sensor S71 do.

상기 제1 유동수단(940)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는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는 상기 제7-2 감지센서(S7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는 상기 제6-1 감지센서(S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는 상기 제7-1 유동수단(S71)과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Based on the circumferential rotation of the first flow unit 940 to the fourth flow unit 970, the 4-1 detection sensor S41 is arranged to face the 6-2 detection sensor S62 The 5-1 detection sensor S51 is arranged to face the 7-2 detection sensor S72 and the 4-2 detection sensor S42 is arranged to face the 6-1 detection sensor S61, And the 5-1 detection sensor S52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7-1 flow means S71. The first flow unit 940 may be operated by using the 4-1 detection sensor S41 or by using the 4-2 detection sensor S42 in the circumferential rotation state of the first flow unit 940 (S61) of the sixth flow sensor (S62) in the circumferential rotation state of the sixth flow sensor (S61) or the third flow sensor (960) of the third flow sensor (960) And the second flow means 950 detects the value of the fifth flow sensor 950 using the fifth sensor S51 or the second flow sensor 950 in the circumferential rotation state of the second flow means 950, (S61) of the fourth flow device (970) or the fourth flow sensor (970) in the circumferential rotation state of the fourth flow sensor S62).

1.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6-1 감지센서(S6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7-1 감지센서(S7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S72)를 이용하여, 상기 제5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또는 상기 제5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1. The third flow means 960 uses the sixth-first detection sensor S61 or the sixth-second detection sensor S62 when the third flow means 960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41) of the first flow means (940) or of the fourth-second detection sensor (S42) in the circumferential rotation state of the first flow means (940) The fourth flow sensor 970 detects the set position value and the fourth flow sensor 970 senses the set position value using the seventh sensor S71 or the seventh sensor 227 when the fourth flow sensor 970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etting of the fifth detection sensor S52 in the circumferential rotation state of the fifth flow sensor S51 or the fifth flow sensor of the fifth flow sensor, using the detection sensor S72, Detect position valu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 제1 몸체부
120' : 제2 몸체부
130' : 패널부
130-1' : 제1 패널
130-n' : 제n 패널
B' : 공간 (폐쇄형 공간 또는 반폐쇄형 공간)
110 ': a first body part
120 ': a second body part
130 ': panel part
130-1 ': first panel
130-n ': Control panel
B ': Space (closed space or semi-closed space)

Claims (14)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 가공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시용 패널 조립체는,
적어도 한 쌍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출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부는 일정범위로 가변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상에 접철식으로 수용 가능한 것이며,
상기 몸체부는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제1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일정거리 이격된 제2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패널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제1-1 상태를 포함하거나, 상기 패널부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서 폐쇄형 또는 반폐쇄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1-2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 제2 몸체부, 패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되며,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제1 몸체부, 제2 몸체부, 패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샤프트; 상기 센터 샤프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방 수평보;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사이드 수직바; 상기 상방 수평보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을 구비한 이동블럭;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와, 상기 각 외장부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와, 상기 외장부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압유닛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상기 지지부 하방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가압부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가 구비되는 제1-1 범퍼모듈과, 상기 지지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와, 상기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가압부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 가공시스템.
1. A display panel assembly processing system using surface processing means,
The display panel assembly includes:
At least a pair of body portions; And a panel part provided in the body part so as to be housed in the body part, wherein the panel part is capable of variable operation in a predetermined range, is foldably accommodated on the body part,
The first body portion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positioned at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being located at a first posi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state includes a first state that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wherei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re disposed such that the panel portions face each other, And a second 1-2 state arranged to form a closed or semi-closed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portion,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panel portion is surface-treated through the surface processing means,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ing means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a second body portion, and a panel portion, which are conveyed on a conveyor, and which are axially coupled to a fixed portion fix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object to be coated, Center shaft; An upper horizontal beam fixed horizontally above the center shaft; A side vertical bar disposed perpendicularly to both sides of the upper horizontal beam; A moving block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beam, the lower vertical bar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bar, and a first fixing means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beam and fixing the side vertical bar; And a second securing means slidably coupled to the side vertical bars at both sides of the upper horizontal beam and fixed to the side vertical bars, the conveyor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acing the bottom portion, A plurality of binding modules are provided along a part thereof,
Wherein the binding module comprises a first binding module,
The first binding module includes:
A pair of external part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of the support parts, a built-in part interlocked with the inside of each external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interlocked with the external part, A pressurizing unit for pressurizing is provided,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unit can be inserted and fixed,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ing means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multi-bumper module coupled under the support for minimizing vibrations and attenuating impact transmitted from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ing means, wherein the multi-bumper module includes a first bumper module for mounting the support ,
The first bumper module includes:
A first seating portion on which one end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seated, a first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first seating portion in a forward-pulling manner,
A first seat portion having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a first rotation portion for rotating the first pressing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seating portion on which anoth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seated, And a second rot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second pressing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press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eating portion in a forward-pulling manner, and a second rot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second pressing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Display panel assembly processing system using processing mean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적어도 일부영역이 가변동작 가능한 일체형 패널로 구비되거나,
상호 연동에 따른 가변동작이 가능한 복수 패널로 이루어지는 독립형으로 구비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 가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nel unit includes:
At least some of the areas may be provided as integral panels capable of variable operation,
A system for processing a display panel assembly using a surface processing means provided independently of a plurality of panels capable of variable operation according to mutual interlock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방과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방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상호 마주하는 제1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패널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 가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Wherei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re provided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face each other to receive the panel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이 충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이 구비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 가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izing unit includes a first pressurizing unit provided at the uppermost stage, a second pressurizing unit provided at the lowermost stage, and at least one third pressurizing unit provided at the stop, The interior portion is filled with an adhesive material to fix the adjacent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interior portion is provided with a heating portion for heating the interior portion to activate the adhesive material, And a cooling part for cooling the internal part and for inactivating the adhesive material is provided at a lower part of the panel assembly.
청구항 7에 있어서,
내부에 접착물질은,
상기 외장부와 상기 내장부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을 통해 상기 내장부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 상기 내장부, 상기 가압유닛 및 상기 제1 지지부를 상호 결속시키며,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인식수단이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 사이에는 단열수단이 구비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 가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Inside the adhesive materi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unit,
The first pressurizing unit to the third pressurizing unit are suppli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bind the exterior unit, the internal unit, the pressurizing unit, and the first support unit,
An identification means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means is provided above the internal unit,
The pressing unit is moved toward and away from the insertion groove based on recognition of the identification means by the recognition means,
Wherein the recognizing means and the heating uni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heat-treat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recognizing unit and the heating uni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은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 및 상기 제2 삽입체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삽입체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조임부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은 상기 핸들부을 상기 제1 지지부측으로 가압하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이용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 가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binding modul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ind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inding module,
The second binding module is located below the first binding module and is boun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binding means,
The first fastening means includes a handle portion,
A first insert protruding in a bar shape from the handl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module;
And a second insert protruding in a bar shape from the handl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module,
The first support portion includes a second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 and the second insert,
The first insert and the second insert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respectively,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throttle interlocking with the first insert and a second throttle portion interlocking with the second insert,
Wherein the first insert and the second insert press the handle portion toward the first support portion based on operation of the first throttle and the second thrott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59633A 2018-05-25 2018-05-25 Display panel KR1019319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33A KR101931910B1 (en) 2018-05-25 2018-05-25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33A KR101931910B1 (en) 2018-05-25 2018-05-25 Display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910B1 true KR101931910B1 (en) 2018-12-21

Family

ID=6495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33A KR101931910B1 (en) 2018-05-25 2018-05-25 Display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9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5649A (en) * 2020-12-14 2021-03-16 万载鹏威实业有限公司 Spraying equipment with recyclable material liqu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5649A (en) * 2020-12-14 2021-03-16 万载鹏威实业有限公司 Spraying equipment with recyclable material liqu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702B1 (en) Asesmbly jig for modular housing
US10342934B2 (en) Sprayer and spray control apparatus
KR101931910B1 (en) Display panel
CN110735516A (en) Spraying robot
KR101912564B1 (en) Standard runner take-out type 3-step injection mold
US20210140694A1 (en) Modular adiabatic pre-cooling cassette with method of retrofit for horizontal air-cooled commercial refrigeration condensers
ES2751734T3 (en) Pressure and ratio control for a spray system
DK1990111T3 (en) Sand feeding device using ai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mold
EP1975091A3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issioning objects in packaging boxes
CA2911258A1 (en) Improved stereolithography system
CN107106917B (en) Injection apparatus for injecting water and discharging residual w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13816B2 (en) Zero waste color change system
KR101964640B1 (en) Apparatus for spraying
CN109629393A (en) A kind of construction mobile type roadmarking device and working method
KR101396654B1 (en) A multipurpose device for prevention of epidemics
KR101915934B1 (en) PC-SF Method for Construction Duration Reduction of Typical Floor
KR101915935B1 (en) Fast-up Method for Construction Duration Reduction of High-rise Buildings with Transfer Floor
KR20160127965A (en) Automatic firefighting monitor
KR101896876B1 (en) Rigid packaging paper box
WO2006086424A3 (en) Water blast gu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s
KR101975749B1 (en) Remote automatic control system having earthquake proof function
KR101915936B1 (en) RC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lining in parallel
KR20190026330A (en) Apparatus for spraying
US20090321475A1 (en) Dispensing and metering system
KR101549354B1 (en) The Lane pain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