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710B1 -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710B1
KR101931710B1 KR1020180069592A KR20180069592A KR101931710B1 KR 101931710 B1 KR101931710 B1 KR 101931710B1 KR 1020180069592 A KR1020180069592 A KR 1020180069592A KR 20180069592 A KR20180069592 A KR 20180069592A KR 101931710 B1 KR101931710 B1 KR 10193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mage
case
we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준
유금도
민관식
이근상
이창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원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원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원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18006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A Digital Mapping System Using Base Point Marking Data}
본 발명은 수치지도 기술 분야 중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같은 GIS는 데이터화된 수치지도와, GPS수신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GIS에 이용되는 수치지도는 항공사진을 촬영한 후 임의로 설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주변의 도로시설물의 좌표를 수치정보화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때 기준점의 좌표를 잘못 설정할 경우, 해당 기준점을 기준으로 수치정보화 된 도로시설물 전체의 좌표 역시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치지도를 제작한 후 각 기준점의 좌표가 정확히 설정되어있는지를 측량을 통해 확인해야 하므로 수치지도 제작이 번거롭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2445호(2009.04.01.) '지피에스 측정기와 기준점 표식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작성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촬영대상 지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준점표적유닛(10)과, 항공촬영에 사용되는 촬영유닛(20)과, 촬영유닛(20)이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완성해서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수치지도제작유닛(30)을 포함하는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표적유닛(10)은 지중에 매립고정되는 베이스판(12)과, 상기 베이스판(12)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표적기둥(14)과, 상기 표적기둥(14)의 상단에 설치되어 기준점표적유닛(10)의 좌표정보를 송출하는 송신기(16)와, 상기 표적기둥(14)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18)과, 상기 표적기둥(14)에 고정되는 상기 태양전지판(18)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MOT)와, 상기 표적기둥(14)의 일측면에 매립설치되며 상기 태양전지판(18)을 통해 수득된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BAT)와, 상기 축전지(BAT)의 상측에 설치되며 축전지(BA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신기(16) 및 회전모터(MOT)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보드(CTB)를 포함하며;
상기 수치지도제작유닛(30)은 항공기(A)에 탑재된 사각 박스 형상의 케이스(600)와, 상기 케이스(600)에 서버랙 형태로 실장되는 처리모듈(800) 및 이미지DB(900)와, 상기 케이스(6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모듈(800) 및 이미지DB(900)의 처리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인 모듈제어기(32)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DB(900)는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유닛(20)이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910)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9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처리모듈(800)은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810)과,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820)과,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830)과,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가 출력되고 수치지도제작유닛(30)의 동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 및 입력시키는 입출력모듈(84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600)는 상면에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빼내 공냉시킬 수 있도록 흡입팬을 구비한 송풍기(610)가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필터유닛(700)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유닛(700)은 사각박스 형상을 갖고 상기 케이스(600) 내부와 연통되는 필터베이스(710)와, 상기 필터베이스(710)에 일체로 고정되고 필터베이스(7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원통형상의 필터통(720)과, 상기 필터통(720)의 상단부 일측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필터고정원판(730)과, 상기 필터고정원판(730)에 형성된 다수의 필터(74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통(720)은 원통형상이며, 하단이 막혀 있고, 상단은 개방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필터베이스(710)와 연통되는 연통공간(72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필터통(720)의 상단부 외주면 일부에는 일정폭의 슬릿(SL)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SL)에는 필터고정원판(730)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슬릿(SL)을 통해 필터통(720) 내부로 삽입된 필터고정원판(730)의 하측 위치인 필터통(720)의 내경에는 둘레턱(TR)이 돌출되어 있어 필터(740)와의 사이즈 불일치에 따른 필터링 불량을 방지하고, 상기 슬릿(SL)을 사이에 두고 필터통(72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BR)이 돌출되며, 상기 필터고정원판(730)의 원중심은 상기 힌지브라켓(BR) 상에서 힌지핀(HIN)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상기 필터(740)는 상기 필터고정원판(730) 상에 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통(72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필터통(720)과 필터고정원판(730)은 내구성은 물론 슬라이딩 원활화를 위한 슬립성 및 내부식성을 갖추도록 아비에틴산 3.5중량%와, 디메틸폴리실록산 2.5중량%와, 오르토인산수소나트륨 3.5중량%와, 디크롤에탄과 메틸렌클롤라이드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2.5중량%와,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1.5중량%와, 벤질 디메틸 도데실 암모늄 클로라이드 2.5중량%와, 이소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3.5중량%와, 0.1㎛ 미만의 입도를 갖는 산화지르코늄 분말 5.5중량%와, 티오시안구리 4.5중량%와, MEHEC 4.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준점표적유닛의 제어보드와 촬영유닛과 수치지도제작유닛의 각 구성부를 보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점표적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은 특정 촬영위치에 설치되는 기준점표적유닛(10)과, 항공촬영에 사용되는 촬영유닛(20)과, 촬영유닛(20)이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완성해서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수치지도제작유닛(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준점표적유닛(10)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베이스판(12)과, 상기 베이스판(12)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표적기둥(14)과, 상기 표적기둥(14)의 상단에 설치되는 송신기(16)와, 상기 표적기둥(14)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18)과, 상기 표적기둥(14)에 고정되는 상기 태양전지판(18)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MOT)와, 상기 표적기둥(14)의 일측면에 매립설치되며 상기 태양전지판(18)을 통해 수득된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BAT)와, 상기 축전지(BAT)의 상측에 설치되며 축전지(BA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신기(16) 및 회전모터(MOT)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보드(CT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판(12)은 지중에 매립설치되며, 상기 표적기둥(14)의 하단은 고정볼트(BOL)를 통해 상기 베이스판(12)과 조립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송신기(16)는 기준점표적유닛(10)이 설치된 지점에 대한 좌표정보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제어보드(CTB)의 제어신호하에 기준점 좌표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판(18)은 다수의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며,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여 축전지(BAT)에 축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태양전지판(18)의 일단에는 연결축(CON)이 돌출되고, 상기 연결축(CON)은 회전모터(MOT)의 모터축(SHF)에 고정되어 모터축(SHF)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회전모터(MOT)는 스텝모터로서 일정각도, 바람직하게는 90°의 범위 내에서만 왕복 회전되는 모터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축(SHF)의 단부에는 평기어(GEA)가 일체로 고정되는데 이는 감속기능을 구현하여 회전모터(MOT)의 회전 구동시 태양전지판(18)이 빠른 속도로 회전되면서 표적기둥(14)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평기어(GEA)는 감속기어(GAT)와 기어결합하는데, 상기 감속기어(GAT)는 링 형태로서 내경에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평기어(GEA)의 외경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려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어(GAT)는 기어브라켓(BKT)에 내장된다.
상기 기어브라켓(BKT)은 상기 감속기어(GAT)를 회전가능하게 내장하기 위해 폭 중앙이 분할된 제1,2브라켓(BK1,BK2)으로 분리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 감속기어(GAT)가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감속기어(GAT)가 상기 기어브라켓(BKT)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은 채 평기어(GEA)와 맞물려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 제1,2브라켓(BKT)의 외주면 일부에는 고정편(PEN)이 일체로 구비되어 이들이 조립된 상태인 기어브라켓(BKT)을 상기 표적기둥(14)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고정방식은 볼트 혹은 나사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MOT)의 구동에 의해 모터축(SHF)이 회전되면 이에 일체로 고정된 연결축(CON)도 함께 회전되면서 태양전지판(18)이 수평상태로 펼쳐졌다가 다시 회전모터(MOT)가 반대로 회전되면 태양전지판(18)이 수직상태로 접어져 표적기둥(14) 표면에 접지되게 되므로 태양이 떠 있는 낮동안은 펼쳐져 있다가 태양이 지는 밤 동안은 접어져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 파손방지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태양전지판(18)이 펼쳐지고 접어질 때 평기어(GEA)는 감속기어(GAT)의 내경에 맞물려 있으므로 감속기어(GAT)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감속기어(GAT)는 상기 기어브라켓(BKT)의 내부에서 마찰 접촉하면서 회전하므로 자연스럽게 감속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보드(CTB)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인 제어부(10a)와, 상기 제어부(10a)에 연결되고 제어부(10a)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MOT)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10b)와, 상기 제어부(10a)에 연결되고 제어부(10a)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지(BAT)의 전원 인출입을 제어하는 축전지드라이버(10c)와, 상기 제어부(10a)에 연결되고 제어부(10a)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드라이버(10b)로 신호를 송출하여 낮과 밤에 따라 태양전지판(18)을 펼치거나 접도록 안내하는 타이머(10d)와, 상기 제어부(10a)에 연결되고 제어부(10a)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기(10e)를 제어하는 송신기드라이버(10e)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송신기(10e)가 송출하는 좌표정보에는 기준점표적유닛(10)이 위치한 GPS좌표값과, 기준점표적유닛(10)의 식별을 위한 식별코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GPS좌표값 및 식별코드를 포함한 좌표정보는 통상적인 A/D변환 등을 통해 무선 송출되어 인접 지역을 통행 중인 항공기(A)에 설치된 촬영유닛(20)이 이를 수신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촬영유닛(2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표적유닛(10)으로부터 좌표정보를 수신하는데, 기준점표적유닛(10)은 모두 동일한 세기로 좌표정보를 송신하므로 촬영유닛(20)은 수신한 좌표정보의 세기차를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를 추적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유닛(20)은 항공촬영을 위해 항공기(A)에 설치되는 GPS(22)와; 항공기(A)에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4)와; 기준점표적유닛(10)의 송신기(16)로부터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26)와; 상기 GPS(22), 카메라(24), 수신기(26)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GPS(22), 카메라(24), 수신기(26) 및 항공기(A)는 항공촬영시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컨트롤러(28)는 GPS(22)로부터의 GPS위치신호와 수신기(26)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3개의 기준점표적유닛(10)의 좌표정보를 저장하여 추후 수치지도 제작시 항공기(A)와의 거리를 연산함으로써 영상배율, 좌표 표시 등 수치지도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이를 테면, 3개의 기준점표적유닛(10)는 각각 동일한 세기의 좌표정보를 송출하지만 항공기(A)와의 거리차로 인해 촬영유닛(20)이 최종적으로 수신하는 좌표정보의 세기는 기준점표적유닛(10)별로 모두 다르게 된다.
결국, 컨트롤러(28)는 서로 다른 세기로 수신한 좌표정보를 통해 3개의 기준점표적유닛(10)의 위치대비 항공기(A)의 상대위치를 추적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준점표적유닛(10)의 좌표정보에 포함된 GP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A)가 위치한 절대위치에 대한 GPS좌표값을 연산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확인된 상기 GPS좌표값과 GPS(22)에서 확인한 위치를 비교해서 항공촬영시 좌표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하고 보정할 수 있으며, 또한 기준점표적유닛(10)이 송출하는 좌표정보의 송출 세기를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신한 상기 좌표정보의 세기를 확인해서 해당 기준점표적유닛(10)까지의 거리를 공지,공용의 삼각측량 방법을 통해 추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상기 수치지도제작유닛(30)은 원격지에 서버 형태로 구비되고 촬영유닛(20)과 무선통신하여 정보를 수신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치지도제작유닛(30)이 항공기(A) 내부에 탑재되어 촬영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치지도제작유닛(30)은 도 1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항공기(A)에 탑재된 사각 박스 형상의 케이스(600)와; 상기 케이스(600)에 서버랙 형태로 실장되는 처리모듈(800) 및 이미지DB(900)와; 상기 케이스(6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모듈(800) 및 이미지DB(900)의 처리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인 모듈제어기(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DB(900)는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유닛(20)이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910)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9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처리모듈(800)은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810)과;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820)과;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830)과;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가 출력되고 수치지도제작유닛(30)의 동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 및 입력시키는 입출력모듈(84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처리모듈(800)에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지리 및 지형정보를 도화이미지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수치지도의 해당 정보 클릭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수치지도가 되도록 제작하는 정보링크모듈(8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미지편집모듈(810)은 촬영유닛(20)에서 수집한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연결 및 편집해서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영상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해 크기 및 해상도 등의 조정처리가 진행된다.
때문에, 상기 이미지편집모듈(810)은 일반적인 그래픽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이미지의 출력 및 편집을 위해 공지, 공용의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좌표합성모듈(820)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표시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합성하여 이미지상에 좌표데이터를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기준점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며, 표시방법은 촬영을 통한 자연표시방법 또는 도화를 통한 인위적인 표시방법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영상도화모듈(830)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것으로서, 서면에 직접 도화하는 도화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온라인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기록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한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영상도화모듈은 수치지도 제작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상기 정보링크모듈(850)은 GIS시스템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상기 도화이미지의 해당 지점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상기 해당 지점을 클릭할 경우 링크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작업자는 도화이미지 작성과정에서 GIS시스템의 특정 정보에 링크될 대상물을 대상물이미지로 상기 도화이미지에 표시한다.
이렇게 완성된 수치지도는 입출력모듈(840)을 통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600)는 도 4 및 도 5의 예시와 같이, 케이스(600)의 상면에는 내장된 보드 형태의 모듈제어기(32)와 처리모듈(800)과 이미지DB(900)가 동작하면서 발생시키는 열을 빼내 공냉시킬 수 있도록 흡입팬을 구비한 송풍기(610)가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필터유닛(700)이 구비된다.
따라서, 송풍기(610)가 구동되면 상기 필터유닛(700)을 거쳐 필터링된 외기가 케이스(600) 내부로 유입된 후 송풍기(610)를 통해 케이스(600) 상부로 배출됨으로써 케이스(600) 내부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내부에서 생성된 분진 등을 함께 배출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610)의 구동은 상기 처리유닛(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0)와 연결하고, 케이스(600)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해 검출된 온도값에 따라 자동 구동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유닛(700)은 기존과 달리 별도 교체없이 위치만 바꾸어 교환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교환된 것은 그 자리에서 털어 내거나 세척하여 곧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수명화는 물론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터유닛(700)은 사각박스 형상을 갖고 상기 케이스(600) 내부와 연통되는 필터베이스(710)와, 상기 필터베이스(710)에 일체로 고정되고 필터베이스(7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원통형상의 필터통(720)과, 상기 필터통(720)의 상단부 일측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필터고정원판(730)과, 상기 필터고정원판(730)에 형성된 다수의 필터(74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통(720)은 원통형상이며, 하단이 막혀 있고, 상단은 개방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필터베이스(710)와 연통되는 연통공간(7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필터통(720)의 상단부 외주면 일부에는 일정폭의 슬릿(SL)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SL)에는 필터고정원판(730)의 일부가 삽입된다.
특히, 상기 슬릿(SL)을 통해 필터통(720) 내부로 삽입된 필터고정원판(730)의 하측 위치인 필터통(720)의 내경에는 둘레턱(TR)이 돌출되어 있어 필터(740)와의 사이즈 불일치에 따른 필터링 불량을 방지하도록 일종의 밀폐벽이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슬릿(SL)을 사이에 두고 필터통(72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BR)이 돌출되고, 상기 필터고정원판(730)의 원중심은 상기 힌지브라켓(BR) 상에서 힌지핀(HIN)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필터(740)는 상기 필터고정원판(730) 상에 원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필터통(72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필터(740)중 하나를 필터통(720)의 내경속에 위치시키면 그쪽을 통해서만 필터링된 외기가 연통공간(722)을 통해 필터베이스(710)를 거쳐 케이스(6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다가, 눈막힘이 발생되면 필터고정원판(730)을 회전시켜 다른 필터를 필터통(720) 내부로 위치시킨다.
그러면, 눈막힘된 필터는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청소하기 좋은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부에서 하부로 혹은 하부에서 상부로 바람을 불거나 물을 뿌려 세척함으로써 눈막힘을 해소시킨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유닛은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필터통(720)과 필터고정원판(730)은 내구성은 물론 슬라이딩 원활화를 위한 슬립성 및 내부식성을 가져야 하는 바, 이를 위해 이들은 아비에틴산 3.5중량%와, 디메틸폴리실록산 2.5중량%와, 오르토인산수소나트륨 3.5중량%와, 디크롤에탄과 메틸렌클롤라이드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2.5중량%와,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1.5중량%와, 벤질 디메틸 도데실 암모늄 클로라이드 2.5중량%와, 이소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3.5중량%와, 0.1㎛ 미만의 입도를 갖는 산화지르코늄 분말 5.5중량%와, 티오시안구리 4.5중량%와, MEHEC 4.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로 성형된다.
여기에서, 상기 아비에틴산은 물과 반응하여 불용성의 칼슘 비누화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강고한 지막을 형성함으로써 수밀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은 열에 강한 실록산 결합(Si-O-Si)과 유기질의 메틸기로 구성되어 있어 소포성, 내열성, 열산화 안정성, 내화학성과 발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오르토인산수소나트륨은 표면을 개질하여 내크랙성, 내침식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디크롤에탄과 메틸렌클롤라이드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은 성형시 치수안정화를 꾀해 체적변화에 따른 불량을 억제하고, 흡음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은 내산성을 강화시켜 신축 변화에 따른 탄성저하를 막아 열화저항성을 강화시키면서 내약품성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벤질 디메틸 도데실 암모늄 클로라이드는 표면 균일화를 유도하여 슬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소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Isodecyl Isononanoate)는 유연성을 증대시켜 성형 자유도를 높이고, 신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산화지르코늄 분말은 무정형 백색 분말로서 융점이 2.677℃, 밀도가 5.6g/cm3, 모스경도 7에 이르는 일종의 세라믹스로서 경도를 높여 내마모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티오시안구리는 구리계 방오제로서 이물부착성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고,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는 무수 글루코오즈 단량체 사슬로 이루어진 셀룰로오즈 유도체로서 표면활성 및 화학저항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고경도, 강도 유지 및 내크랙성, 내침식성 향상에 따른 내구성 강화를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성형조성물로 성형된 성형품의 표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내수성을 테스트하였다. 내수성 테스트는 성형품 시료를 항온수조(60℃)에 침적하고, 500시간 단위로 표면 상태를 검사하였으며, 그 결과 미세백화나 크랙, 백청 등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내침식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료 파이프를 KS-D-9502(기준 240hr) 염수분무실험법에 따라 테스트하였고, 그 결과는 백청 발생없이 양호하였다.
아울러, 내마모성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ASTM D3389에 따른 내마모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3등급으로 판정되어 우수한 내마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내마모도 시험 등급은 5등급까지 구분되며, 1등급 이하는 불합격으로 판정하였다.
10 : 기준점표적유닛 20 : 촬영유닛
30 : 수치지도제작유닛 200 : 처리유닛
600 : 케이스 610 : 송풍기
700 : 필터유닛 710 : 필터베이스
720 : 필터통 730 : 필터고정원판
740 : 필터 TR : 둘레턱
SL : 슬릿

Claims (1)

  1. 촬영대상 지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준점표적유닛(10)과, 항공촬영에 사용되는 촬영유닛(20)과, 촬영유닛(20)이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완성해서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수치지도제작유닛(30)을 포함하는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표적유닛(10)은 지중에 매립고정되는 베이스판(12)과, 상기 베이스판(12)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표적기둥(14)과, 상기 표적기둥(14)의 상단에 설치되어 기준점표적유닛(10)의 좌표정보를 송출하는 송신기(16)와, 상기 표적기둥(14)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18)과, 상기 표적기둥(14)에 고정되는 상기 태양전지판(18)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MOT)와, 상기 표적기둥(14)의 일측면에 매립설치되며 상기 태양전지판(18)을 통해 수득된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BAT)와, 상기 축전지(BAT)의 상측에 설치되며 축전지(BA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신기(16) 및 회전모터(MOT)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보드(CTB)를 포함하며;
    상기 수치지도제작유닛(30)은 항공기(A)에 탑재된 사각 박스 형상의 케이스(600)와, 상기 케이스(600)에 서버랙 형태로 실장되는 처리모듈(800) 및 이미지DB(900)와, 상기 케이스(6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모듈(800) 및 이미지DB(900)의 처리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인 모듈제어기(32)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DB(900)는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유닛(20)이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910)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9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처리모듈(800)은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810)과,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820)과,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830)과, 상기 모듈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가 출력되고 수치지도제작유닛(30)의 동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 및 입력시키는 입출력모듈(84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600)는 상면에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빼내 공냉시킬 수 있도록 흡입팬을 구비한 송풍기(610)가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필터유닛(700)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유닛(700)은 사각박스 형상을 갖고 상기 케이스(600) 내부와 연통되는 필터베이스(710)와, 상기 필터베이스(710)에 일체로 고정되고 필터베이스(7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원통형상의 필터통(720)과, 상기 필터통(720)의 상단부 일측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필터고정원판(730)과, 상기 필터고정원판(730)에 형성된 다수의 필터(74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통(720)은 원통형상이며, 하단이 막혀 있고, 상단은 개방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필터베이스(710)와 연통되는 연통공간(72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필터통(720)의 상단부 외주면 일부에는 일정폭의 슬릿(SL)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SL)에는 필터고정원판(730)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슬릿(SL)을 통해 필터통(720) 내부로 삽입된 필터고정원판(730)의 하측 위치인 필터통(720)의 내경에는 둘레턱(TR)이 돌출되어 있어 필터(740)와의 사이즈 불일치에 따른 필터링 불량을 방지하고, 상기 슬릿(SL)을 사이에 두고 필터통(72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BR)이 돌출되며, 상기 필터고정원판(730)의 원중심은 상기 힌지브라켓(BR) 상에서 힌지핀(HIN)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상기 필터(740)는 상기 필터고정원판(730) 상에 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통(72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필터통(720)과 필터고정원판(730)은 내구성은 물론 슬라이딩 원활화를 위한 슬립성 및 내부식성을 갖추도록 아비에틴산 3.5중량%와, 디메틸폴리실록산 2.5중량%와, 오르토인산수소나트륨 3.5중량%와, 디크롤에탄과 메틸렌클롤라이드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2.5중량%와,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1.5중량%와, 벤질 디메틸 도데실 암모늄 클로라이드 2.5중량%와, 이소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3.5중량%와, 0.1㎛ 미만의 입도를 갖는 산화지르코늄 분말 5.5중량%와, 티오시안구리 4.5중량%와, MEHEC 4.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0180069592A 2018-06-18 2018-06-18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93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92A KR101931710B1 (ko) 2018-06-18 2018-06-18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92A KR101931710B1 (ko) 2018-06-18 2018-06-18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710B1 true KR101931710B1 (ko) 2018-12-24

Family

ID=6501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592A KR101931710B1 (ko) 2018-06-18 2018-06-18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7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8345A (ja) * 2005-09-26 2007-04-05 Hoei Denken Kk ソーラーパネルの回動装置
KR101116292B1 (ko) * 2011-11-17 2012-03-14 주식회사 공간정보 항공촬영영상이미지의 기준점별 지피에스좌표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의 수정전용 지리공간정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8345A (ja) * 2005-09-26 2007-04-05 Hoei Denken Kk ソーラーパネルの回動装置
KR101116292B1 (ko) * 2011-11-17 2012-03-14 주식회사 공간정보 항공촬영영상이미지의 기준점별 지피에스좌표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의 수정전용 지리공간정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9210B (zh) 一种轨道状态智能检测平台
CN109901624A (zh) 一种桥梁巡检方法
KR101939743B1 (ko) 영상이미지와 지형기준점을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장치
US20140336928A1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ed Civil Infrastructure Metrology for Inspection, Analysis, and Information Modeling
CN108303103A (zh) 目标车道的确定方法和装置
CN108974044A (zh) 铁路轨道资产勘测系统
CN108898879A (zh) 停车数据检测系统及方法
EP3049825B1 (de) Positionsbestimmung eines fahrzeugs auf oder über einer planetenoberfläche
CN105723431B (zh) 驾驶辅助图像生成装置、显示装置、显示系统及生成方法
CN110487253A (zh) 一种基于多旋翼无人机高精度不动产测量方法
CN109614931B (zh) 车载路产巡检管控方法和系统
KR100892445B1 (ko) 지피에스 측정기와 기준점 표식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작성시스템
CN214408728U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产品外观缺陷检测装置
KR101931710B1 (ko) 기준점 표식데이터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16012336B (zh) 隧道智慧化地质素描及围岩等级判识装置及方法
CN109901623A (zh) 桥梁墩身巡检航线规划方法
CN107514022A (zh) 一种推土机引导系统
CN105180906B (zh) 井下摄影测量仪及其测绘方法
CN104196542B (zh) 一种隧道预切槽机及其导向系统
CN205785171U (zh) 一种主动式经纬仪系统
CN105321186A (zh) 一种基于正射投影的封闭空间地图采集方法及装置
CN208398856U (zh) 全站型三维高速激光扫描多点自动测量装置
CN205506047U (zh) 一种测量无人机探测摄像头结构
US20090129633A1 (en) Method for repositioning a numerically conrolled device
JP2023112536A (ja) 路面損傷位置の算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