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355B1 -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및 이를 활용한 펜스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및 이를 활용한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355B1
KR101931355B1 KR1020180075432A KR20180075432A KR101931355B1 KR 101931355 B1 KR101931355 B1 KR 101931355B1 KR 1020180075432 A KR1020180075432 A KR 1020180075432A KR 20180075432 A KR20180075432 A KR 20180075432A KR 101931355 B1 KR101931355 B1 KR 101931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fence
column
resi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선
서현진
정승빈
백다훈
Original Assignee
(주)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웹스 filed Critical (주)웹스
Priority to KR102018007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2017/14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와 이를 활용한 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의 구성은 복합수지(22); 상기 복합수지(22)에 내장된 금속재의 프로파일(24); 상기 프로파일(24)에 구비된 복수개의 서포트팁(26);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24)의 내부로 상기 서포트팁(26)이 돌출되고, 상기 서포트팁(26)에는 가로재(40)에 결합되는 커넥터(30)의 삽입 결합돌부(32)가 끼워지며, 상기 서포트팁(26)과 삽입 결합돌부(32)는 죠오(26JW)와 걸림죠오(32JW)의 맞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및 이를 활용한 펜스{Resin-metal composite post for fence with excellent construction structure and fence thereby}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및 이를 활용한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수지로만 만들어진 파이프 속에 스틸 파이프를 추가로 넣어서 시공할 필요가 없어서 간단하게 펜스의 시공이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펜스용 기둥재 및 이를 이용한 펜스에 관한 것이다.
합성목재는 자연 친화적인 재료가 각광을 받으면서 등산로, 산책로, 선착장, 호수 주변, 건물 외벽 등에 난간, 펜스, 루버, 교각으로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조경재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합성목재 조경재로 형성된 난간, 펜스, 루버, 교각 등은 자연 친화적이며, 시각적으로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공원이나 유원지 등에는 보행자를 위한 데크 로드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공원, 유원지 등의 장소 이외에 산에 오르내리도록 등산로를 데크 로드로 시공하는 경우도 많은데, 데그 로드를 보행하는 사람의 안전을 위한 펜스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금속재와 목재를 적절히 배치하거나, 목재만을 이용하여 여러 형태의 난간을 시공하는데, 목재 사용에 따른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자연훼손, 내구성이 약한 등의 단점이 있어서, 합성목재를 이용한 펜스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합성목재는 일반 목재품에 비하여 열, 습기, 뒤틀림, 충격, 마찰 등에 대한 저항력과 우수한 내구성을 바탕으로 인체에 해로운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는 친환경 제품으로서, 실내보다는 실외에 주로 시공되는 제품이며, 이러한 합성목재를 이용한 펜스가 많이 시공되고 있다.
한편, 펜스는 시공 장소의 지면에 직립 설치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둥재와, 두 개의 서로 나란한 기둥재 사이에 양단부가 지지되어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로재를 구비한다. 이때, 기존에는 펜스의 기둥재로 WPC(Wood plastic composites : 고기능성 복합수지)로 만들어진 기둥재를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기존의 WPC 펜스는 WPC로만 만들어진 파이프 속에 스틸 파이프를 추가로 넣어야만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 시간이 많이 걸리고 시공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WPC 펜스를 만들기 위하여 브라켓 등의 피스 시공이 필요하여 시공이 더욱 번거롭고 시공 기간도 더 길어지게 된다.
한편, 일반 합성목재는 내부에 스틸로 된 각관을 추가 삽입해야 펜스로써 사용이 가능하다는데에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41138호(2010.02.01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289047호(2013.07.17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168359호(2012.07.18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WPC(고기능성 복합수지)로만 만들어진 파이프 속에 스틸 파이프를 추가로 넣어서 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편리하면서도 펜스의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 기간도 단축할 수 있는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시공성이 우수한 펜스용 기둥재 및 이를 활용한 펜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수지; 상기 복합수지에 내장된 금속재의 프로파일; 상기 프로파일에 구비된 복수개의 서포트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펜스용 기둥재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파일의 내부로 서포트팁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팁은 내주면에 복수개의 죠오를 구비한다.
상기 프로파일에는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인서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팁의 내부는 상기 인서트홀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파일의 내부에 상기 서포트팁이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프로파일은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단면 사각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팁은 상기 프로파일의 네 군대 벽체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파일의 외표면을 감싸는 상기 복합수지에는 상기 프로파일의 인서트홀과 연통된 삽입 결합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팁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죠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수지의 상기 삽입 결합홀과 상기 프로파일의 상기 인서트홀에 결합되는 삽입 결합돌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 결합돌부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죠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 결합돌부의 외주면에 결합된 보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기둥재; 상기 기둥재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양단부가 연결된 가로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둥재는 복합수지에 금속재의 프로파일이 내장되고, 상기 프로파일에는 복수개의 서포트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기둥재를 활용한 펜스가 제공된다.
상기 기둥재의 상기 복합수지에 형성된 삽입 결합홀과 상기 프로파일(24)에 형성된 인서트홀에 결합되는 삽입 결합돌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팁은 상기 프로파일의 상기 인서트홀과 연통되고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죠오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삽입 결합돌부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죠오가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는 상기 기둥재에 결합시키기 위한 가로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삽입 결합돌부가 상기 복합수지의 상기 삽입 결합홀과 상기 프로파일의 상기 인서트홀을 통과하여 상기 서포트팁에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팁 내주면의 상기 죠오와 상기 삽입 결합돌부 외주면의 상기 걸림죠오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재가 결합된 커넥터의 삽입 결합돌부를 프로파일 내부의 서포트팁에 결합하면, 죠오와 걸림죠오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가로재를 펜스용 기둥재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간단하게 펜스의 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간단하게 가로재에 결합된 커넥터를 삽입하는 방식만으로 펜스(듀라펜스)를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 시간이 많이 단축되고 시공 비용도 많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밞명은 스틸파이프를 추가로 넣는 것 뿐만 아니라 가로 바아를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의 새로운 제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시공을 하지 않으므로 시공시간이 빠르며, 피스 부식, 놓치는 피스 시공 등으로 인한 내구성 약화가 적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천편일률적인 합성목재 펜스 시스템과 다른 접근법의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기존과는 차별화되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성이 우수한 펜스용 기둥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성이 우수한 펜스용 기둥재를 활용하여 시공되는 펜스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펜스용 기둥재를 펜스를 시공하기 위한 앵커 베이스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에 의해 시공된 펜스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펜스용 기둥재에 의해 펜스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는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복합수지(22)와, 상기 복합수지(22)에 내장된 금속 재질의 프로파일(24)을 구비한다. 상기 프로파일(24)은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파일(24)의 내부에는 서포트팁(26)이 구비된다.
상기 복합수지(22)는 목분과 친환경 올레핀계 수지(Polypropylene/Polyethylene)가 혼합된 재활용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소재로 연속적인 압출 가공 및 특수 표면처리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 프로파일(24)의 재질은 금속이다. 본 발명에서 프로파일(24)의 재질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프로파일(24)은 단면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파일(24)은 복합수지(22)에 내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로파일(24)을 금속수지 복합 프로파일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24)에는 인서트홀이 구비된다. 상기 인서트홀은 프로파일(24)의 외표면에서 내표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인서트홀은 프로파일(24)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프로파일(24)의 내부에는 서포트팁(26)이 구비된다. 서포트팁(26)은 상기 인서트홀에 이어지는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인서트홀이 서포트팁(26) 내부에 이어진 구조이다.
상기 서포트팁(26)은 프로파일(24)의 중심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서포트팁(26)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파일(24)이 단면 사각형이라서 서포트팁(26)은 프로파일(24)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네 군데에 구비된다.
상기 프로파일(24)이 내장된 복합수지(22)도 프로파일(24)의 인서트홀과 만나는 삽입 결합홀이 구비된다.
상기 프로파일(24)의 인서트홀과 복합수지(22)의 삽입 결합홀은 커넥터(30) 결합홀(CH)을 구성한다. 커넥터 결합홀(CH)에는 후술하는 커넥터(30)의 삽입 결합돌부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서포트팁(26)에는 죠오(26JW)가 구비된다. 서포트팁(26)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죠오(26JW)가 구비된다. 상기 죠오(26JW)는 끝단이 뾰족한 톱니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복합수지(22)와 프로파일(24)에 가로재(40)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30)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30)는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에 가로재(4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이다. 상기 커넥터(30)는 내부에 가로재 삽입홀을 구비한다. 가로재 삽입홀은 커넥터(30)의 내측단으로 개방된다. 상기 커넥터(30)는 가로재(4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다. 듀라펜스를 구성하는 가로재(40)가 단면 사각 바아라서 커넥터(30)가 단면 사각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재 삽입홀이 단면 사각형 홀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30)의 외측단에는 삽입 결합돌부(32)가 구비된다. 삽입 결합돌부(32)는 커넥터(30)의 외측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 결합돌부(32)가 테이퍼 돌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 결합돌부(32)는 기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줄어들게 되는 테이퍼 돌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 결합돌부(32)의 외주면에는 걸림죠오(32JW)가 구비된다. 걸림죠오(32JW)는 삽입 결합돌부(32)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걸림죠오(32JW)는 끝단이 뾰족한 톱니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30)의 삽입 결합돌부(32) 외주면에 보조링(36)이 개재된다. 보조링(36)은 기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링 구조이다. 보조링(36)은 탄성이 있는 탄성고무 등의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를 이용하여 펜스(듀라펜스)를 구성하는 가로재(40)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듀라펜스 설치 지역의 지면에 설치된 베이스(12)에 상기 프로파일(24)을 삽입한다. 베이스(12)는 프로파일(24)이 삽입되도록 프로파일(24)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파일(24)이 단면 사각형이어서 베이스(12)도 단면 사각형 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2)에 프로파일(24)을 삽입하면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를 세워서 설치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커넥터(30)가 가로재(4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30)의 외측단에 형성된 삽입 결합돌부(32)를 복합수지(22)의 삽입 결합홀과 프로파일(24)의 인서트홀을 통과시켜서 상기 서포트팁(26)에 밀어넣는다.
그러면, 상기 서포트팁(26)의 죠오(26JW)와 커넥터(30)의 삽입 결합돌부(32)에 형성된 걸림죠오(32JW)가 서로 이빨 물리듯이 맞물리게 되므로, 상기 프로파일(24)의 서포트팁(26)에 커넥터(30)의 삽입 결합돌부(32)를 끼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에 커넥터(30)를 매개로 가로재(40)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합수지(22)의 삽입 결합홀과 프로파일(24)의 인서트홀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로재(40)를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가 복수개로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두 개의 펜스용 기둥재 사이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가로재(40)의 양단부를 결합함으로써 듀라펜스를 시공 지역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과 달리 복합수지(22)로만 만들어진 파이프 속에 스틸 파이프를 추가로 넣어서 시공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에 가로재(40)가 결합된 커넥터(30)의 삽입 결합돌부(32)를 프로파일(24) 내부의 서포트팁(26)에 결합하면, 죠오(26JW)와 걸림죠오(32JW)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가로재(40)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간단하게 펜스의 시공이 가능하다. 기존의 WPC 펜스는 WPC로만 만들어진 파이프 속에 스틸 파이프를 추가로 넣어야만 시공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가로재(40)에 커넥터(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30)의 삽입 결합돌부(32)를 금속수지 복합 프로파일(24) 내부의 서포트팁(26)에 삽입하여 밀어넣는 과정만으로 펜스(듀라펜스)를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 시간이 많이 단축되고 시공 비용도 많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펜스를 만들기 위하여 브라켓 등의 피스 시공이 필요하지 않아서 시공이 더욱 편리하고 시공 기간도 더 단축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24)이 베이스(12)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복수개의 서포트팁(26)이 베이스(12)의 외표면에 닿아서 지지되므로, 프로파일(24)과 복합수지(22)가 베이스(12)를 기준으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팁(26)에 의해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를 더욱 안정적으로 펜스 시공 지역의 지면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이처럼 시공성이 우수한 펜스용 기둥재를 활용하여 펜스를 시공하기 때문에, 펜스의 시공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포트팁(26)은 프로파일(24)의 중심부에서 프로파일(24)의 외표면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더 커지는 테이퍼 구조이고, 상기 커넥터(30)에 구비된 삽입 결합돌부(32)도 선단부에서 기단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서포트팁(26)에 커넥터(30)의 삽입 결합돌부(32)를 테이퍼 구조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끼워넣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펜스용 기둥재에 상기 커넥터(30)를 매개로 가로재(40)를 결합하는 과정이 보다 손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넥터(30)의 삽입 결합돌부(32)에 보조링(36)을 삽입한 상태에서 커넥터(30)의 삽입 결합돌부(32)를 복합수지(22)의 삽입 결합홀과 금속수지 복합 프로파일(24)의 인서트홀을 통과시켜서 상기 서포트팁(26)에 삽입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링(36)의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므로, 상기 금속수지 복합 프로파일(24)의 서포트팁(26)과 커넥터(30)의 삽입 결합돌부(32)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높이고 서포트팁(26)에서 삽입 결합돌부(32)가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보조링(36)이 테이퍼 링형상으로 구성되어서 보조링(36)을 서포트팁(26)에 밀어넣는 과정이 보다 쉬워진다.
또한, 상기 금속수지 복합 프로파일(24)의 외표면에는 복수개의 오목홈(24CG)이 구비되어, 상기 복합수지(22)의 내표면에는 상기 오목홈(24CG)에 맞아들어가는 복수개의 결합 널링돌기(22CP)가 형성되어, 상기 프로파일(24)의 외표면과 복합수지(22)의 내표면 사이에 결합 면적이 보다 커지게 되므로, 상기 프로파일(24)과 복합수지(22)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 베이스 22. 복합수지
24. 프로파일 26. 서포트팁
26JW. 죠오 30. 커넥터
32. 삽입 결합돌부 32JW. 걸림죠오
36. 보조링 40. 가로재

Claims (12)

  1. 복합수지(22);
    상기 복합수지(22)에 내장된 금속재의 프로파일(24);
    상기 프로파일(24)에 구비된 복수개의 서포트팁(2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24)의 내부에 서포트팁(26)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24)에는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인서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팁(26)의 내부는 상기 인서트홀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24)은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단면 사각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팁(26)은 상기 프로파일(24)의 네 군대 벽체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24)의 외표면을 감싸는 상기 복합수지(22)에는 상기 프로파일(24)에 형성된 인서트홀과 연통된 삽입 결합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팁(26)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죠오(26JW)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22)에 형성된 삽입 결합홀과 상기 프로파일(24)에 형성된 인서트홀에 결합되는 삽입 결합돌부(32)를 구비한 커넥터(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결합돌부(32)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죠오(32JW)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결합돌부(32)의 외주면에 결합된 보조링(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10. 복수개의 기둥재;
    상기 기둥재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양단부가 연결된 가로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둥재는 복합수지(22)에 금속재의 프로파일(24)이 내장되고, 상기 프로파일(24)에는 복수개의 서포트팁(2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를 활용한 펜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재의 상기 복합수지(22)와 상기 프로파일(24)은 단면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팁(26)은 상기 프로파일(24)의 내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를 활용한 펜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재의 상기 복합수지(22)에 형성된 삽입 결합홀과 상기 프로파일(24)에 형성된 인서트홀에 결합되는 삽입 결합돌부(32)를 구비한 커넥터(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팁(26)은 상기 프로파일(24)의 상기 인서트홀과 연통되고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죠오(26JW)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30)의 상기 삽입 결합돌부(32)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죠오(32JW)가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기둥재에 결합시키기 위한 가로재(4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30)의 상기 삽입 결합돌부(32)가 상기 복합수지(22)의 상기 삽입 결합홀과 상기 프로파일(24)의 상기 인서트홀을 통과하여 상기 서포트팁(26)에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팁(26) 내주면의 상기 죠오(26JW)와 상기 삽입 결합돌부(32) 외주면의 상기 걸림죠오(32JW)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를 활용한 펜스.
KR1020180075432A 2018-06-29 2018-06-29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및 이를 활용한 펜스 KR101931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32A KR101931355B1 (ko) 2018-06-29 2018-06-29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및 이를 활용한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32A KR101931355B1 (ko) 2018-06-29 2018-06-29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및 이를 활용한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355B1 true KR101931355B1 (ko) 2018-12-20

Family

ID=6495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432A KR101931355B1 (ko) 2018-06-29 2018-06-29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및 이를 활용한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374A (ko)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이도산업 탄성 기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374A (ko)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이도산업 탄성 기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5929A (en) Ladder-type cable tray system
US20110073824A1 (en) Railing system and coupling element and methods of assembly
US6299142B1 (en) Post and railing system
US9328521B2 (en) Modular molded mat with exposable ramp surfaces
US20150204103A1 (en) Railing system
KR102055652B1 (ko) 목재와 연결철물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
CA2752934A1 (en) Connector for boardwalk system
KR101861048B1 (ko) 데크로드 조립식 난간
KR101931355B1 (ko) 시공성이 우수한 수지금속 복합체로 제조된 펜스용 기둥재 및 이를 활용한 펜스
GB2477636A (en) Pivotal connection between handrail and post
US5957437A (en) Balustrade and connector combination
KR20120125919A (ko) 목재데크의 결합구조
US9816286B2 (en) Integrated snap together fence system
US11396755B2 (en) Handrail system for ramp assembly and handrail adaptor having angled interface
US20200399924A1 (en) Fencing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Fence Panel
EP1600577A1 (en) Demountable articulated tubular railing structure
US3420505A (en) Handrail and post assembly
KR101576553B1 (ko) 이종 데크재 결합용 디바이더를 이용하여 곡선 시공이 가능한 조경용 패턴 데크로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92185B1 (ko) 수평 드레인 보드용 연결재
KR101114986B1 (ko) 목재데크의 결합구조체
JPH10205507A (ja) 繊維強化合成樹脂製管体のジョイント構造
KR20190046258A (ko) 데크 조립용 클립을 이용한 데크 결합구조물
JPH0542182Y2 (ko)
KR101418213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