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120B1 -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 - Google Patents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120B1
KR101931120B1 KR1020160176113A KR20160176113A KR101931120B1 KR 101931120 B1 KR101931120 B1 KR 101931120B1 KR 1020160176113 A KR1020160176113 A KR 1020160176113A KR 20160176113 A KR20160176113 A KR 20160176113A KR 101931120 B1 KR101931120 B1 KR 10193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ight source
delete delete
mod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491A (ko
Inventor
박진
Original Assignee
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 filed Critical 박진
Priority to KR102016017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1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2Tellurions; Orre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6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surveying; for geography, e.g. relief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는, 회전축 중심이 되고 고정된 중앙 톱니바퀴(100);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와 접하여 기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톱니바퀴(200); 상기 연결 톱니바퀴(200)와 접하여 기어구동하며,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와 같은 수의 톱니를 가진 하나 이상의 공전 톱니바퀴(300);를 포함하는 기어 모듈과, 하단이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의 회전 중심에 삽입 고정되는 모형 축(310); 상기 모형 축(3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구 형상의 지구 모형(400);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의 회전 중심에 삽입고정 되어 상기 지구모형(400)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 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A TEACHING AID FOR STUDY OF SEASON}
본 발명은 학생들에게 지구 계절변화를 교육하기 위한 교육 기구에 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지구 자전축의 기울어짐과 자전으로 인한 지역의 계절변화를 광원과 지구 형상의 구형 또는 다면체의 지구 모형으로 나타냄으로써 직관적으로 계절변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지구과학에서 다루어지는 개념은 시간적, 공간적 이해를 요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관찰보다는 모형 등을 이용한 실험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계절의 변화는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내용으로, 지구의 공전과 자전 등의 개념을 바탕으로, 계절에 따른 낮과 밤의 길이, 그림자의 길이, 남중고도 등의 변화를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계절 변화의 현상은 1년 동안 측정해야 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구의 등을 이용한 간접 실험으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기존의 지구의와 실험 도구로는 학생들에게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라 조사되는 태양에너지의 차등과 같은 부분을 직관적으로 표현하지 못하여 교육의 이해도를 떨어뜨리고 학습에 흥미를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78031(2005.03.24)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769호(2013.10.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구 모형을 지구 형상의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으로 표현하고, 이러한 지구 모형에 광원을 조사하여 태양광을 표현함으로써 지구 자전축의 기울어짐과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라 조사되는 태양에너지의 차등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는, 회전축 중심이 되고 고정된 중앙 톱니바퀴(100);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와 접하여 기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톱니바퀴(200); 상기 연결 톱니바퀴(200)와 접하여 기어구동하며,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와 같은 수의 톱니를 가진 하나 이상의 공전 톱니바퀴(300);를 포함하는 기어 모듈과, 하단이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의 회전 중심에 삽입 고정되는 모형 축(310); 상기 모형 축(3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구 형상의 지구 모형(400);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의 회전 중심에 삽입고정 되어 상기 지구모형(400)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 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지구 모형(400)이 사용자가 조작한 자전축을 유지하면서 광원 모듈(500)을 공전하고,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지구 모형의 표면에 도달하였을 때의 형태(밝기, 형태, 개수, 각도, 그림자, 범위 등)을 확인 함으로써 지구 자전축의 기울어짐과 태양의 남중 고도에 따라 조사되는 태양에너지의 차등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적인 형태의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의 별자리 커버의 적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의 반구형 별자리 커버의 적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의 지구 자전축 구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벨기어 형태의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의 부가요소를 포함한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구모형 자전축 변화에 따른 광원 조사면 변화 및 각도기 부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기재부가 형성된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구모형 형상 및 자전축 변화에 따른 광원 조사면 변화 및 각도기 부착을 나타낸 상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를 이용하여 물체의 그림자 길이 차이로 태양의 남중고도를 표현한 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의 지구모형이 궤도 회전 시에도 동일한 면을 보며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는, 회전축 중심이 되고 고정된 중앙 톱니바퀴(100);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와 접하여 기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톱니바퀴(200); 상기 연결 톱니바퀴(200)와 접하여 기어구동하며,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와 같은 수의 톱니를 가진 하나 이상의 공전 톱니바퀴(300);를 포함하는 기어 모듈과, 하단이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의 회전 중심에 삽입 고정되는 모형 축(310); 상기 모형 축(3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구 형상의 지구 모형(400);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의 회전 중심에 삽입고정 되어 상기 지구모형(400)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 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중앙 톱니바퀴(100)의 경우,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것으로써, 이러한 고정된 중앙 톱니바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려 상기 연결 톱니바퀴(200)가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 외주면을 따라 공전한다.
이러한 연결 톱니바퀴(2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다수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와 맞물리며, 맞물린 형태는 도 1에서와 같이, 두 톱니바퀴의 축이 평행인 스퍼기어(spur gear)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이 외에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톱니바퀴의 축이 교차하는 원추마찰차(圓錐摩擦車)의 접촉면을 피치원으로 하는 베벨기어(bevel gear)를 사용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연결 톱니바퀴(200)가 스퍼기어(spur gear)의 형태일 경우, 동일하게 스퍼기어(spur gear)의 형태로 맞물리게 되고, 베벨기어(bevel gear)의 형태일 경우, 동일하게 베벨기어(bevel gear)의 형태로 맞물리도록 하거나, 베벨기어와 스퍼기어의 혼용이 가능하며, 동일한 기능을 부여하는 타 형태의 기어나, 체인의 사용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중앙 톱니바퀴(100)와 공전 톱니바퀴(300)가 같은 수의 톱니 개수를 가지고 있어,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의 외주면을 공전하는 공전 톱니바퀴(300)의 축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항상 일방향을 지향하는 지향성이 부여된다.
이러한, 공전 톱니바퀴(300)의 축에 결합되는 상기 모형 축(310)은, 한 부분 또는 하나이상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형태로, 상기 지구 모형(400)의 고정각도를 조절가능 하도록 하는데,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에 고정된 상기 모형 축(310)이 중단 한부분 또는 두부분의 접철 가능한 관절을 구비하여 상기 지구 모형(400)고정각도를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데, 이는, 지구의 자전 및 자전축 기울어짐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관절의 경우, 하나 보다는 두 개를 구비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 모형(400)이 기울어진 채로도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고정각도를 조절은 일정각도 마다 걸림구조를 취하여 별다른 조작 없이도 각도조절 및 고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지구 모형(400)의 하부에 각도 별로 형성된 홈을 형성하고, 축을 상기 홈에 끼우는 형태로 각도 조절을 할 수도 있으며, 하기의 그림과 같이, 상기 지구 모형(400)의 자전축과 연결되고, 외면을 둘러싼 외링을 더 포함하고, 이러한 외링에 상기 모형 축(310)이 결합된 형태로써, 지구 모형(400)의 위치이동 없이, 자전축을 자유롭게 변경 가능한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Figure 112016125938874-pat00001
<그림 1> 지구 모형 자전축 조절 실시예
또한, 상기 지구 모형(400)의 형상은, 외면에 지구의 외형이 프린팅된 정사각형태의 18면, 정삼각 형태의 8면으로 이루어진 26면체 형상을 기본으로 하나, 이 외의 다면체나, 구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어, 26면체 형상으로 고정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는, 하부축 또는 상부축에 시간의 진행을 인지할 수 있도록 시계열적 진행 표식이 기재되는 시간기재부(32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시간기재부(320)의 경우, 도 5 및 도 8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측면 또는 상면에 시간을 기재하여 지구 자전에 따른 시간의 흐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시간의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시간을 6시간 단위로 표시하거나, 시계와 같이, 12시간을 전부기재하는 등, 시계열적인 형태라면 모두 가능하다.
이러한 시간기재부(320)는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와는 별개로 도 5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의 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연결 톱니바퀴(200)와 공전 톱니바퀴(300)가 중앙 톱니바퀴(100)의 외주면을 공전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이 형성되고, 이러한 프레임에 상기 시간기재부(320)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와는 별도로 구동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광원 모듈(500)의 경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의 광원 조사기(510)가 일정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지구 모형(400)의 마주보는 면 전체를 광원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다수의 광원 조사기(51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출력조절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교육 장소의 명암에 따라, 조사하는 광원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시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구 모형(400)의 자전 축이 기울어 졌을 경우, 각 면의 상기 광원 모듈(500)에서 조사되는 광원의 포인팅 갯수가 직선으로 조사 되었을 경우와,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조사되었을 경우가 각각 차이가 나므로, 이러한 광원 포인팅 개수의 증감에 따른 에너지 조사량의 차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구 모형(400)의 외면에 말뚝을 부착하여 이러한 말뚝에 가려지는 광원으로 인한 그림자의 길이차이로 태양의 남중고도 차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조사된 조사광의 형상이나 밝기의 차이를 학생들이 육안으로 직접 확인 할 수 있으므로, 남중고도에 따른 태양광 에너지의 차등을 직접 체험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광원 모듈(500)은, 다수의 광원 조사기(510)에 의한 다중 조사점을 갖도록 하거나, 상기 지구 모형(400)의 일면 전체를 단일 조사기에 의해 조사 가능한 면광원 조사기를 적용할 수 있는데, 즉,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구 모형(400)의 표면에 다중 조사점을 갖는 형태로 조사하거나, 단일 광원으로 상기 지구 모형(400)의 일면 전체를 조사하는 단일 광원의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지구 모형(400)의 표면에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기를 탈부착 가능하여, 상기 광원 모듈(500)로부터 조사되는 조사광의 입사각 측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광원 모듈(500)의 광원 조사기(510)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지향성을 갖는 광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레이저와 같은 지향성이 뚜렷한 광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된 톱니바퀴 모듈(100, 200, 300)의 하면에 고정되는 원판형상으로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의 이동궤적을 내입하는 직경을 가진 하판(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판(10)의 하면 일측에 상면과 통하는 관통구(11)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11)가 형성된 하판(10)의 하면에, 연무를 생성하여 상기 하판의 상면으로 주입하는 연무기(12)를 더 포함하며,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광투과성 재질의 상자형 투명 커버(7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지구 모형(400)과 광원 모듈(500)을 내입한 채로 상기 하판(10)의 상면과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하판(10)은, 상면 또는 측면의 외주면에 월(1월~12월) 또는 계절을 기입하여 표시 가능하며 일측에 상부와 연통되는 관통구(1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11)가 형성된 하판(10)의 하면에, 연무를 생성하여 상기 하판(10)의 상면으로 주입하는 연무기(12)를 더 포함 함으로써, 상기 투명 커버(700)의 내부에 연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광원 모듈(500)의 광원 조사 시, 조사광의 진행선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의 조사를 보다 현실감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연무기(12)의 경우, 물을 공급하여 수증기를 형성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형태를 취하거나, 훈증액 또는 훈증 물질을 연소 또는 가열하여 연무를 생성하는 훈증기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커버(700) 내부의 연무가 너무 짙어 관찰이 어려울 경우,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송풍기(도시하지 않음)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송풍기의 구동의 경우, 자동화를 구현 할 수 있는데, 상기 하판(10)의 상면 일측에 광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고, 상기 광센서와 송풍기를 연결하여 상기 광센서에서 일정 량의 광량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송풍기를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짙은 연무에 따라 자동으로 송풍기 구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광센서의 경우, 감지 광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광량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판(10)의 하면 일측에, 상기 광원 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 모듈(5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13)를 두게 되는데, 상기 전력 공급부(13)는 상기 연무기(1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외부의 전력을 인입하는 외부 전원 형태거나,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의 상부로부터 씌워지는 것으로, 반구형 또는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내면 또는 외면에 계절별 별자리 이미지를 나타낸, 별자리 커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별자리 커버(600)에 프린팅 되는 별자리의 경우, 계절별로 관찰되는 대표적인 별자리들을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황도 12궁 별자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별자리 커버(600)의 역할은, 상기 투명 커버(700)가 수행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이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구형을 선택할 수 있고, 반구형일 경우, 내면 또는 외면 전체에 별자리를 프린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 : 종래의 스팀탱크 11 : 외벽
12 : 내벽 13 : 상판
14 : 하판
S :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 S1 : 절단단계
S2 : 내벽 형성단계 S2' : 내벽 연장부 절곡단계
S3 : 외벽 형성단계 S3' : 외벽 연장부 절곡단계
S4 : 탱크 결합단계 S4' : 검사단계
100 : 스팀탱크 110 : 내벽
112 : 내벽 연장부 120 : 외벽
122 : 외벽 연장부

Claims (13)

  1.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에 있어서,
    회전축 중심이 되고 고정된 중앙 톱니바퀴(100);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와 접하여 기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톱니바퀴(200);
    상기 연결 톱니바퀴(200)와 접하여 기어구동하며,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와 같은 수의 톱니를 가진 하나 이상의 공전 톱니바퀴(300);를 포함하는 기어 모듈과,
    하단이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의 회전 중심에 삽입 고정되는 모형 축(310);
    상기 모형 축(3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구 형상의 지구 모형(400);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의 회전 중심에 삽입고정 되어 상기 지구모형(400)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 모듈(500);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톱니바퀴(200)는, 다수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와 맞물리며, 맞물린 형태는 두 톱니바퀴의 축이 평행인 스퍼기어(spur gear)의 형태 또는 두 톱니바퀴의 축이 교차하는 원추마찰차(圓錐摩擦車)의 접촉면을 피치원으로 하는 베벨기어(bevel gear)를 사용하는 형태일 수 있는데, 상기 연결 톱니바퀴(200)가 스퍼기어(spur gear)의 형태일 경우, 동일하게 스퍼기어(spur gear)의 형태로 맞물리게 되고, 베벨기어(bevel gear)의 형태일 경우, 동일하게 베벨기어(bevel gear)의 형태로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모형 축(310)은,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의 축에 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 형태로, 중단 한 부분 또는 두 부분의 접철 가능한 관절을 구비하여 상기 지구 모형(400) 고정각도를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데, 이는, 지구의 자전 및 자전축 기울어짐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관절의 경우, 하나 보다는 두 개를 구비하여 상기 지구 모형(400)이 기울어진 채로도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러한 고정각도 조절은 일정각도 마다 걸림구조를 취하여 별다른 조작 없이도 각도조절 및 고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지구 모형(400)의 하부에 각도 별로 형성된 홈을 형성하고, 축을 상기 홈에 끼우는 형태로 각도 조절을 할 수 있고,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광투과성 재질의 상자형 투명 커버(7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지구 모형(400)과 광원 모듈(500)을 내입한 채로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기어 모듈의 하면에 고정되는 원판형상으로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의 이동궤적을 내입하는 직경을 가진 하판(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판(10)의 하면 일측에 상면과 통하는 관통구(11)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11)가 형성된 하판(10)의 하면에, 연무를 생성하여 상기 하판의 상면으로 주입하는 연무기(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판(10)의 하면 일측에, 상기 광원 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 모듈(5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13)를 더 포함 하고,
    상기 지구 모형(400)은, 외면에 지구의 외형이 프린팅된 구형의 형상이거나, 다면체 형상이고, 표면에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기를 탈부착 가능하여, 상기 광원 모듈(500)로부터 조사되는 조사광의 입사각 측정이 가능하고,
    상기 모형 축(310)에는, 시간의 진행을 인지할 수 있도록 시계열적 진행 표식이 기재되는 시간기재부(320)가 형성되되,
    상기 시간기재부(320)는,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와는 별개로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의 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연결 톱니바퀴(200)와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가 상기 중앙 톱니바퀴(100)의 외주면을 공전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이 형성되고, 이러한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공전 톱니바퀴(300)와는 별도로 구동되고,
    상기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의 상부로부터 씌워지는 것으로, 반구형 또는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내면 또는 외면에 계절별 별자리 이미지를 나타낸 별자리 커버(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판(10)은, 상면 또는 측면의 외주면에 월(1월~12월) 또는 계절을 기입하여 표시 가능하고,
    상기 광원 모듈(500)은, 다수의 광원 조사기(510)에 의한 다중 조사점을 갖도록 하거나, 상기 지구 모형(400)의 일면 전체를 단일 조사기에 의해 조사 가능한 면광원 조사기 적용이 가능하고,
    상기 광원 모듈(500)의 다수의 광원 조사기(510)는, 지향성을 갖는 광원 조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176113A 2016-12-21 2016-12-21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 KR101931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113A KR101931120B1 (ko) 2016-12-21 2016-12-21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113A KR101931120B1 (ko) 2016-12-21 2016-12-21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491A KR20180072491A (ko) 2018-06-29
KR101931120B1 true KR101931120B1 (ko) 2018-12-20

Family

ID=6278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113A KR101931120B1 (ko) 2016-12-21 2016-12-21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1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2865A (ja) * 2000-08-28 2002-03-12 Tetsuzo Shibuya 地球運行儀
JP2005078031A (ja) * 2003-09-03 2005-03-24 Kunio Tanabe 天球儀
KR100996849B1 (ko) * 2008-12-01 2010-11-26 김명등 천체 운동 모사 장치
KR101027871B1 (ko) * 2008-12-17 2011-04-07 정상윤 레이저 삼구의
KR101551221B1 (ko) * 2014-04-18 2015-09-10 주식회사 티앤에스 계절변화 학습용 지구의 및 계절변화 학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69Y1 (ko) 2011-11-21 2013-11-12 김강현 지구본을 이용한 태양의 고도변화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2865A (ja) * 2000-08-28 2002-03-12 Tetsuzo Shibuya 地球運行儀
JP2005078031A (ja) * 2003-09-03 2005-03-24 Kunio Tanabe 天球儀
KR100996849B1 (ko) * 2008-12-01 2010-11-26 김명등 천체 운동 모사 장치
KR101027871B1 (ko) * 2008-12-17 2011-04-07 정상윤 레이저 삼구의
KR101551221B1 (ko) * 2014-04-18 2015-09-10 주식회사 티앤에스 계절변화 학습용 지구의 및 계절변화 학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491A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3480B (zh) 地球仪和天球仪的自动公转仪器
JP3771559B2 (ja) 自転と公転が可能な地球儀装置
KR101931120B1 (ko) 지구 계절변화 교육 기구
KR100996849B1 (ko) 천체 운동 모사 장치
US3520073A (en) Multifunction astronomical display planetarium
CN202258102U (zh) 一种日月食现象演示装置
KR100743270B1 (ko)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CN206179246U (zh) 一种工程制图万向投影演示装置的机械传动单元
KR200462825Y1 (ko)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 및 자전하는 지구를 나타내는 학습교구
CN106157796A (zh) 一种太阳系行星运转演示教具
KR101027871B1 (ko) 레이저 삼구의
JP2011180125A (ja) 多軸式太陽軌跡追跡経緯儀
KR101810333B1 (ko) 달 위상변화 교육기구
CN106251716A (zh) 一种工程制图万向投影演示装置的机械传动单元
KR20170027968A (ko) 지구과학용 시뮬레이션 장치
CN100590680C (zh) 日照地球现象仪
CN102034393A (zh) 三球仪
JP2017009978A (ja) 月の満ち欠け提示具
CN209765900U (zh) 月相变化模拟器
KR101168873B1 (ko) 교습용 모형 천체구
CN213904719U (zh) 一种三球仪玩具教具
CN204257124U (zh) 用于演示地球公转的教学演示仪
WO2023029145A1 (zh) 一种具有动态星空效果的灯具
CN204010518U (zh) 一种无轨天体教学演示仪
CN218547794U (zh) 一种月相仪知识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