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800B1 -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 Google Patents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800B1
KR101930800B1 KR1020180024336A KR20180024336A KR101930800B1 KR 101930800 B1 KR101930800 B1 KR 101930800B1 KR 1020180024336 A KR1020180024336 A KR 1020180024336A KR 20180024336 A KR20180024336 A KR 20180024336A KR 101930800 B1 KR101930800 B1 KR 101930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urved
layer
surface layer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수
Original Assignee
황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수 filed Critical 황종수
Priority to KR102018002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Abstract

본 발명은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의 구조는, 이축연신 방법으로 제조된 박막 PET 필름이 표면층을 이루고 그 아래층에 적어도 1 이상의 PET, PMMA, PC 필름 또는 글라스-에폭시 시트가 합지되어 소정의 두께로 구현되는 패널 원단을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장자리에 곡면부를 열-포밍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최적의 표면 경도 및 강도를 구현하면서 가공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Structure of curved-panel for IT device and vehicle}
본 발명은 곡면형 커버 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IT 기기 및 자동차의 디스플레이 보호용 전면 커버 또는 백-커버 등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곡면형 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태블릿 PC 등 소형 또는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 및 자동차 등의 표시장치로 구비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손상되거나 파손되기가 쉽다. 따라서 보통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방에는 기기의 외부 케이스에 그 가장자리가 고정된 투명 재질의 커버 패널이 제공 및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기에 터치스크린 기능이 적용된 경우 상기 패널은 그 기능의 구현을 위한 터치 패널을 제공하게 된다.
초기 휴대폰에 사용되는 커버 패널은 주로 아크릴 수지 등을 사용한 합성수지 플라스틱 패널이었으며, 이는 가격이 저렴하고 제작이 간편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질의 패널은 성질상 터치-스크래치가 발생하기 쉽고, 강도·열·휘도 등 특성이 취약한 문제들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고 나아가 외관상 고급스럽게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글래스(glass) 패널이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한편, 최근의 기술 추세에 따르면 휴대폰 기기의 전방 이외에 측면을 통하여도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소위 엣지형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글래스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은 곡면으로 가공처리되어 제공된다. 당연하게 이 글래스 패널의 곡면은 평면 단위 플레이트의 양측을 열-포밍하여 형성되는데, 이 경우:
소정의 두께 예컨대 0.65-0.85mm의 두께가 요구되는 유리 패널을 항상 일정한 곡면으로 가공하기가 쉽지는 않으며;
그 유리 가공시 내·외측의 곡률이 상이하여, 상대적으로 표면 인장이 큰 측 외측 부분에서 미세균열 등 불량이 생길 수 있으며;
가열-냉각에 의하여 특성이 급변하는 유리 특성상, 부분 열-포밍에 의하여 글래스 패널 전체의 물성이 불균일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당연하겠지만, 원재료 및 가공비 등이 비싸므로 경제적으로 불리한 것은 물론이며, 이에 최근에는 다시 처음의 플라스틱 패널 원단으로 돌아가 거기에 필요한 또는 요구되는 가공을 실행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커버 패널은 터치에 의한 스크래치에 강한 정도의 경도가 요구되는데, 이에 상응하는 플라스틱 패널의 최적 재료로서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시트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재료는 내충격성이 약하여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고, 반면 PC 수지시트는 내충격성은 좋으나 경도가 떨어져 스크래치에 취약하다. 이에 PC나 PMMA 단독으로는 사용을 하지 않고 대부분 대체재로 PMMA-PC를 합지하여 구성된 복합시트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복합시트에 관하여는, 예컨대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38844호의 다층시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재료 역시, 실제로 다른 또는 범용 플라스틱 재료에 비하면 경도 및 강도 등이 우수한 특성이 있는 만큼 반대로 그 가격이 월등한 정도로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PC, PMMA, PMMA-PC 복합시트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패널(1) 등은 그 표면 경도를 올리기 위하여 바깥쪽 PC 또는 PMMA 표면에 고경도 하드코팅을 하여 사용하는데, 이 경우 글래스 패널과 마찬가지로 가장자리 곡면부(1) 열-포밍시 내·외측의 곡률반경 차이에 의하여 바깥쪽 표면 또는 상기 하드코팅(2) 부분에 크랙(3)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상기한 PMMA-PC 복합시트 패널은 유리에 비해 저가로 제조할 수는 있지만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상 열-포밍 후에도 다시 포밍 이전의 상태로 펴지려는 성질이 있으며, 방열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PMMA, PC 또는 그 복합시트, 글래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같은 또는 유사한 두께의 커버 패널을 구현할 경우 종래의 글래스나 PMMA-PC 복합시트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이면서 동시에, 곡면 포밍 기타 열-가공 등에 있어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곡면형 패널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플라스틱 원단보다는 제조원가가 비싸지만 유리보다는 매우 저렴한 글라스 에폭시 시트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원단보다 열-포밍 후의 형상을 더 확실히 유지하면서 방열특성을 개선한 곡면형 패널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IT 기기 및 자동차의 디스플레이용 보호커버 또는 백-커버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곡면형 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축연신 방법으로 제조된 박막 PET 필름으로 된 표면층;
적어도 1 이상의 합지용 시트 층으로서, 상기 표면층의 저면 측에 합지되는 아래층;
을 포함하여, 소정 두께의 패널 원단을 구성하며,
상기 원단의 적어도 일부분 특히, 가장자리 부분이 열-포밍 방법으로 곡면으로 처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래층은 PET, PMMA, PC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 층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면층 PET 필름의 두께는 50㎛ ~ 250㎛이며, 상기 패널 원단의 전체 두께는 0.3mm ~ 2.0mm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아래층은 글래스 섬유를 에폭시에 침전시켜 얻은 열경화성 글래스-에폭시 시트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의 구조는, 요컨대, 이축연신 방법으로 제조된 박막 PET 필름이 표면층을 이루고 그 아래층에 적어도 1 이상의 PET, PMMA, PC 필름 또는 글라스-에폭시 시트가 합지되어 소정의 두께로 구현되는 패널 원단을 구성하여 이를 기반으로 가장자리에 곡면부를 열-포밍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2개 층 이상이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재료비 면에서 종래의 유리, PC-PMMA 복합시트 재료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이며, 표면층의 PET 필름은 가열에 의한 열-이축연신 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물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 열-가공에 대한 적응력이 이미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곡면부 열-포밍시 표면 하드코팅층의 크랙을 물성적으로 방지하여 주고 전체적으로 상기한 곡면 포밍 가공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아래층으로서 글래스-에폭시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열-포밍 후 완전 경화된 열경화성 수지가 되어, PET, PMMA, PC 등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경우 대비 제조원가는 조금 올라가지만, 포밍 후 곡면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방열성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PET 표면층 포함 전체 2개 층 이상 합지되어 소정의 두께로 구현되는 것이므로,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각 기기의 커버 패널 두께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플라스틱 패널의 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패널 원단구조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커버 패널 원단구조의 외형도.
이상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이하 '곡면형 패널 구조')의 특징과 작용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부호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패널 구조를 나타내며, 상기 곡면형 패널 구조(10)는 IT 기기 및 자동차의 디스플레이용 보호커버 또는 백-커버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곡면형 패널의 구조임을 전제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의 구조(10)는, 이축연신 방법으로 제조된 박막 PET 필름으로 된 표면층(11a)과, 적어도 1 이상의 합지용 평면 시트 층으로서 상기 표면층(11a)과 동일 면적으로 표면층(11a)의 저면 측에 합지되는 아래층(11b)을 포함하여 소정 두께(D)의 패널 원단(12)을 구성하며, 상기 원단(12)의 일부분 특히 가장자리 부분이 열-포밍 방법으로 곡면으로 처리되어 그 곡면부(14)가 상기 곡면형 패널 구조(10)의 측면이 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래층(11b)은 PET, PMMA, PC 필름 중에서 선택된 1 또는 그 이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 층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면층 PET 필름의 두께는 50㎛ ~ 250㎛, 상기 패널 원단(12)의 전체 두께는 0.3mm~2.0mm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아래층(11b)은 상기 아래층은 글래스 섬유를 에폭시에 침전시켜 얻은 열경화성 글래스-에폭시 수지층이거나 그 수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섬유, 테이프, 필름 등의 재료에 쓰이는 긴 사슬 모양의 고분자는 압출 직후는 무작위의 코일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의 재료는 2차 전이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쉽게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미배향상태의 고분자를 융점 이하, 일반적으로는 2차 전이점 이상의 온도에서 일축 또는 이축 방향으로 잡아당겨(stretch) 분자를 연신시키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처리를 하는데, 후자의 경우를 소위 이축연신이라 한다.
이러한 연신처리에 의해 재료는 배향 방향으로 장력, 강성, 내충격성이 증가하며 신전도가 감소하며, 또한 이축연신의 경우는 내굴곡피로성도 향상된다. 한편, 어떤 연신처리의 경우에도 재료인 고분자의 결정화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투습도, 가스투과도는 낮아지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표면층(11a)으로 사용되는 상기 PET 필름(11)은 상기 처리 중 특히 이축연신 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한다. 한편, IT 기기에 적용되는 광학용 플라스틱 커버 패널로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로 PMMA-PC 합지 복합필름이 사용되어왔으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비교예로서 그 필름을 함께 기재하기로 한다.
상기 패널 원단(12)의 전체 두께(D)는 실제로 IT 기기 등의 제조원으로부터 다양하게 요구될 수 있는 것으로, 현재는 대체로 0.65mm 정도이지만, 상기한 범위 외에 더 작거나 클 수도 있다. 한편, 통상 PET 수지 필름은 대략 최소 25㎛, 최대 250㎛ 두께로, PC, PMMA, 글래스-에폭시 시트는 보통 100㎛ 이상의 두께로 시장에 출시되며 따라서 요구되는 패널 원단(12)의 전체 두께(D)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름 및 시트들이 복수로 적층되고 합지되는데, 작은 두께로 많은 수가 합지되면 요구되는 정확한 두께(D)를 맞추기가 용이한 반면, 제조 및 생산이 번거롭고 경제적으로도 불리해지는 문제가 있다.



PMMA-PC 복합필름

PET-PET(11a-11b)

전체두께(㎛)

500

500

제법

용융압출

이축연신(250필름×2)

재료가격(원/㎡)

약 20,000

약 5,000
반면, 적은 수가 합지되면 요구되는 두께(D)를 맞추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2개 내지 5개 층으로 한정되는 것이 좋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ET 필름 2개 층이 표면층(11a)과 아래층(11b)으로 합지되어 패널 원단(12)의 소정 두께(D) 500㎛로 구현되며, 이때 각 필름 층(11a,11b)의 두께(d)는 250㎛이고 층간 접합재료(13)가 개입된 것으로 본다.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PET 필름 기반의 표면층(11a)과 아래층(11b)으로 2개 층을 합지하여 패널 원단(12)을 구비함에도, 종래의 PMMA-PC 복합 재료에 비하여도, 가격의 측면에서 대략적으로 4배 이상의 경쟁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IT 기기용 커버 패널로서의 물성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크게 부족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 구조(10)가 IT 기기용 커버 패널에 대하여 획기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PMMA 필름

PC 필름

PET-PET(11a-11b)

전광선투과율(%)

92

90

90

굴절률

1.49

1.55

1.50

연필경도(H)

4

1

3

충격강도(kg ㎝/㎝)

1.4

7.2

6.0

Tg(℃)

105

150

78

열변형온도(℃)

95

120

65
표 2를 통하여 보면,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 구조(10)는 예컨대 IT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정도의 광선 투과율, 굴절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표면 경도 특성 즉 내스크래치성은 오히려 PC 수지 필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본 발명의 PET 기반의 곡면형 패널 구조(10)가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 전면 커버(front cover)용 디스플레이 패널로 적용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물론 백-커버(back cover) 또는 기타의 용도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충격강도는 PC 수지 필름과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 구조(10)는 표면층(11a)으로 PET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표면 경도 및 강도의 양 측면에서 종래의 PMMA 수지 필름 및 PC 수지 필름의 장점을 복합적으로 만족시키면서 PMMA-PC 복합필름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상당한 경쟁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PET 표면층(11a) 필름은 고분자를 이축연신 방법으로 일정 이상의 온도에서 이축 연신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고, 따라서 장력, 강성, 내충격성이 더욱 증가할 것이며, 또한 내굴곡피로성도 향상될 수 있다.
'가공'의 예로는 앞에 설명한 소위 엣지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도 3에서와 같이 곡면부(14)로 가공 처리하는 것이며, 그 외 다른 가공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이 곡면부(14)는 평면 단위 패널 원단(12)의 양측을 열-포밍하여 형성될 것인데, 이 경우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 구조(10)는 종래의 PMMA 수지 필름, PC 수지 필름 또는 그 복합필름에 비하여 Tg, 열변형 온도가 낮고 열 적응성 및 그에 따른 열-가공성이 우수하며, 같은 두께에서 열-포밍시 다른 수지필름에 비해서 내·외측 곡률반경의 차이가 같은 조건에서도 바깥쪽 또는 바깥쪽의 하드코팅(미도시)의 크랙을 현저히 줄일 수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원단(12)의 곡면부(14) 형성방법으로서는, 바람직하게 표면층(11a)과 아래층(11b)이 먼저 합지된 후에 두 층(11a,11b)을 동시에 열-포밍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다만, 두 층 간의 열팽창율 차이로 열-포밍 후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열-포밍한 후 합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곡면형 패널 구조(10)는 PET 필름이 2개 층 합지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축연신 방법으로 제조된 박막 PET 필름이 표면층(11a)을 이루고 그 아래층으로 PET, PMMA, PC, 글라스 에폭시 시트 등이 단수 또는 복수 층으로 합지되어 소정의 패널 원단 두께(D)로 구현한 다른 합지 구조에서 유의할 차이는 발견되지 않으며, 이는 표면층(11a)을 이루는 박막 PET 필름 층의 두께(d)가 50㎛ ~ 250㎛인 범위 내에서 그리고 상기 패널 원단(12)의 전체 두께(D)가 0.3mm ~ 2.0mm인 범위 내에서 역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상기 범위 내에서 다른 구간별 물성은 따로 적지 않기로 한다.
한편, 아래층(11b)으로서 글래스-에폭시 시트를 사용하거나 포함하는 경우 열-포밍 후 완전 경화된 열경화성 수지가 되어, PET, PMMA, PC 등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경우 대비 제조원가는 조금 올라가지만, 포밍 후 곡면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방열 특성도 우수한 측면에서 적어도 원가 상승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10. 곡면형 패널 구조
11a. 표면층
11b. 아래층
12. 패널 원단
13. 접합재료
14. 곡면부
D, d. 두께

Claims (10)

  1. IT 기기 및 자동차의 디스플레이용 보호커버 또는 백-커버로 사용될 수 있는 곡면형 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축연신 방법으로 제조된 박막 PET 필름으로 된 표면층(11a);
    적어도 1 이상의 합지용 평면 시트 층으로서, 상기 표면층(11a)과 동일 면적으로 표면층(11a)의 저면 측에 합지되는 아래층(11b);
    을 포함하여, 소정 두께(D)의 평면 단위 패널 원단(12)을 구성하며,
    상기 패널 원단(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열-포밍 방법으로 곡면 처리되어 곡면부(14)를 형성하며;
    상기 패널 원단(12)의 곡면 처리는, 표면층(11a)과 아래층(11b)이 먼저 합지된 후에, 상기 표면층(11a)과 아래층(11b)을 동시에 열-포밍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14)는, 상기 패널 원단(12)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곡면형 패널의 구조의 측면이 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11a) PET 필름의 두께는 50㎛ ~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원단(12)은, 표면층(11a) 및 아래층(11b)을 포함하여 2 ~ 5개 층으로 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래층(11b)은 PET, PMMA, PC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래층(11b)은 글래스 섬유를 에폭시에 침전시켜 얻은 열경화성 글래스-에폭시 시트 층이거나 상기 시트 층을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원단(12)의 전체 두께는 0.3mm ~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10. 삭제
KR1020180024336A 2018-02-28 2018-02-28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KR10193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36A KR101930800B1 (ko) 2018-02-28 2018-02-28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36A KR101930800B1 (ko) 2018-02-28 2018-02-28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800B1 true KR101930800B1 (ko) 2019-03-11

Family

ID=6575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36A KR101930800B1 (ko) 2018-02-28 2018-02-28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8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253B1 (ko) * 2019-12-31 2020-03-05 황종수 3d 커버의 제조방법
KR102339050B1 (ko) * 2020-08-27 2021-12-13 황종수 방습 기능을 갖는 섬유시트를 사용한 기기 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123A (ko) * 2013-10-10 2015-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표시 장치의 윈도우 부재, 곡면형 표시 장치의 윈도우 부재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곡면형 표시 장치
KR20150062237A (ko) * 2013-11-28 2015-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70033555A (ko) * 2015-09-17 2017-03-27 솔브레인 주식회사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123A (ko) * 2013-10-10 2015-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표시 장치의 윈도우 부재, 곡면형 표시 장치의 윈도우 부재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곡면형 표시 장치
KR20150062237A (ko) * 2013-11-28 2015-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70033555A (ko) * 2015-09-17 2017-03-27 솔브레인 주식회사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253B1 (ko) * 2019-12-31 2020-03-05 황종수 3d 커버의 제조방법
KR102339050B1 (ko) * 2020-08-27 2021-12-13 황종수 방습 기능을 갖는 섬유시트를 사용한 기기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7266B2 (en) Multi-layer laminated film
TWI583548B (zh) 玻璃樹脂積層體
US20100277668A1 (en) Optical film laminates
KR102373662B1 (ko) 유리 수지 적층체
KR10236395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폴리에스테르 보호 필름
KR102313775B1 (ko)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0800B1 (ko) It 기기 및 자동차용 곡면형 패널의 구조
JP2023115054A (ja) 車両用ドアガラス
US11644600B2 (en) Flexible cover window
WO2019203141A1 (ja) 車両用フロントガラス
JPH11348191A (ja) 繊維織物強化熱可塑性樹脂積層シート
US20140356599A1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panel
US7936517B2 (en) Method of extrusion molding prism film and prism film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2152165B1 (ko)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08216A (ko) 디스플레이용 광학 다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2389773B1 (ko)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26430B1 (ko) 공압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
KR102620384B1 (ko) 강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화 커버 윈도우
KR102467377B1 (ko) 공압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3406391B2 (ja) 光エレクトロニクス素子基板用光学プラスチック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08467B1 (ko)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2770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폴리에스테르 보호 필름
KR102241807B1 (ko) 향상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0679A (ko)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83628A (ko) 액정디스플레이용 광학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