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792B1 - 둥근톱기계장치 - Google Patents

둥근톱기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792B1
KR101930792B1 KR1020170039352A KR20170039352A KR101930792B1 KR 101930792 B1 KR101930792 B1 KR 101930792B1 KR 1020170039352 A KR1020170039352 A KR 1020170039352A KR 20170039352 A KR20170039352 A KR 20170039352A KR 101930792 B1 KR101930792 B1 KR 101930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ge
plate
locking
block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518A (ko
Inventor
유광복
Original Assignee
유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복 filed Critical 유광복
Priority to KR102017003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79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29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18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7/00Wood-turning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27C7/06Arrangements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ol, e.g. tool rests

Abstract

본 발명은 둥근톱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탑재판지지부와, 직선상의 톱노출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재판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된 탑재판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저면 일 영역에 톱도피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도피슬롯이 상기 톱노출슬롯에 정렬되고 상기 톱노출슬롯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탑재판에 상면에 설치된 기준작업대와, 상기 톱노출슬롯을 통해 상기 탑재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탑재판의 하측에 설치된 둥근톱과, 받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작업대의 양쪽 중 상기 둥근톱이 설치되어 있는 쪽을 작업대전방쪽이라고 하고 나머지 한 쪽을 작업대후방쪽이라고 할 때 상기 기준작업대와 상기 둥근톱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기준작업대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직선상의 가공재료가 설치되었다고 가정할 때 상기 받침면이 상기 가공재료를 향하도록 상기 작업대전방쪽에 설치된 마이터블럭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마이터블럭을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와, 상기 둥근톱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를 갖는 둥근톱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는 판면이 상기 기준작업대의 상측에서 상기 탑재판의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마이터블럭에 결합된 지지판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판을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지지판이동조작부를 포함하고; 게이지판과 상기 게이지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게이지암을 가지고 상기 게이지판이 상기 가공재료와 상기 받침면 사이에서 상기 받침면에 적층되는 적층위치와 상기 게이지판이 상기 가공재료와 상기 받침면 사이에서 이탈하는 적층해제위치 사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지블럭을 가지고, 상기 가공재료와 상기 받침면 사이에 상기 게이지블럭을 선택적으로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받침면에 대한 상기 가공재료의 이격거리를 선택조작하기 위한 게이지블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1차절단홈을 형성한 후 가공재료를 2차절단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가공재료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간단해진다.

Description

둥근톱기계장치{Circular Saw Machine}
본 발명은 둥근톱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재판에 톱노출슬롯을 형성하고 톱노출슬롯을 통해 일부가 탑재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둥근톱을 탑재판의 하측에 설치하는 구성을 갖는 둥근톱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무재질의 가공재료를 절단(일부 절단 포함)할 때 둥글게 형성된 톱(둥근톱)에 의해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둥근톱기계장치가 있다.
둥근톱기계장치의 하나로 탑재판에 톱노출슬롯을 형성하고 톱노출슬롯을 통해 일부가 탑재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둥근톱을 탑재판의 하측에 설치하는 구성을 갖는 둥근톱기계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24는 종래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5는 종래 둥근톱기계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26 및 도27은 각각 종래 둥근톱기계장치의 기준작업대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28은 종래 둥근톱기계장치의 지지판이동조작부 영역의 상세도이다.
종래의 둥근톱기계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판지지부(111)와, 탑재판지지부(111)의 상단에 설치된 탑재판(112)과, 탑재판(112)의 상면에 고정설치된 직선상의 기준작업대(190)와, 기준작업대(190)에 설치된 눈금자(117)와, 탑재판(112)의 하측에 설치된 둥근톱(115)과, 탑재판(112)의 상면에 배치된 마이터블럭(114)과, 마이터블럭(114)을 이동 조작하기 위한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120)와, 둥근톱(115)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115)를 갖고 있다.
탑재판지지부(111)는 테이블측벽부(111a)와, 테이블측벽부(111a)의 내부에 설치된 직사각형 형태의 테이블상판부(111b)와, 테이블상판부(111b)의 중앙에 설치된 인서트(111c)와, 테이블상판부(111b)의 양 측면에 레일브라켓트(111e)를 통해 하나씩 고정된 테이블안내레일(111d)을 갖고 있다.
탑재판(112)에는 직선상의 톱노출슬롯(112a)이 형성되어 있다.
탑재판(112)은 저면에 결합된 탑재판슬라이딩레일(112b)을 통해 테이블안내레일(111d)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탑재판(112)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기준작업대(190)는 저면 일 영역에 톱도피슬롯(191a)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자안착홈(191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준작업대(190)의 양쪽 중 둥근톱(115)이 설치되어 있는 쪽을 작업대전방쪽(F)이라고 하고 나머지 한 쪽을 작업대후방쪽(B)이라고 한다.
그리고 기준작업대(190)는 작업대후방쪽(1B) 측면에 작업대안내레일(19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기준작업대(190)는 톱도피슬롯(191a)이 톱노출슬롯(112a)에 정렬되고 톱노출슬롯(112a)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탑재판(112)에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눈금자(117)는 기준작업대(19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자안착홈(191b)에 설치된다.
둥근톱(115)은 인서트(111c)에 형성된 슬롯과 톱노출슬롯(112a)을 통해 탑재판(112)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탑재판(112)의 하측에 설치된다.
마이터블럭(114)은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받침면부(114a)와, 받침면부(114a)의 일측 연부로부터 받침면부(114a)의 상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지지벽부(114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이터블럭(114)은 받침면부(114a)의 일측면이 작업대전방쪽(F)에서 가공재료(201, 기준작업대와 둥근톱의 사이 영역에서 기준작업대와 나란하게 배치된 가공재료)의 일측 종단에 대향하고 기준작업대(19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받침면부(114a)의 가공재료에 대향하는 측면이 받침면(114c)을 구성하게 된다.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120)는 마이터블럭(114)에 결합된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판(121)과, 지지판(121)을 이동조작하기 위한 지지판이동조작부(130)를 갖고 있다.
지지판(121)은 판면이 기준작업대(190)의 상측에서 탑재판(112)의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지벽부(114b)에 결합된다.
지지판이동조작부(130)는 나사봉(132)과, 나사봉(132)에 나사결합된 너트관부(131)와, 너트관부(13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더(133)와, 나사봉(132)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작노브(134)를 갖고 있다.
나사봉(132)은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협경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봉(132)은 탑재판(112)에 고정되는 한 쌍의 써포트(139)를 통해 탑재판(1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나사봉(132)의 설치는 협경부(132a)가 각 써포트(139)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지지공(139a)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사봉(132)의 설치는 작업대후방쪽(B)에서 기준작업대(190)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너트관부(131)는 일단에 너트관체결판(138)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관부(131)는 내표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통해 나사봉(132)에 나사결합된다.
슬라이더(133)는 종단에 슬라이더체결판(135)이 절곡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레일(136)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33)에는 눈금창(137)이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더(133)는 슬라이더체결판(135)을 너트관체결판(138)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너트관부(131)에 결합된다. 슬라이더(133)의 결합은 작업대후방쪽(B)에서 기준작업대(190)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라이더(133)의 결합은 슬라이딩레일(136)이 작업대안내레일(193)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조작노브(134)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12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노브(134)를 회전조작하면 나사봉(132)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너트관부(131)는 기준작업대(1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너트관부(131)가 기준작업대(1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슬라이더(133), 지지판(121) 및 마이터블럭(114)도 기준작업대(1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톱구동부(115)는 종래 널이 알려진 바와 같이 모터 등의 회전기계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둥근톱기계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29 내지 도3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 사항을 가정한다.
① 가공재료(201)에 형성하고자 하는 재료홈의 폭 : 12㎜
② 둥근톱(115)의 두께 : 3㎜
먼저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120)를 조작하여 마이터블럭(114)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도29 참조).
다음에 재료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가 톱노출슬롯(112a)에 정렬되도록 가공재료(201)를 탑재판(112)의 상면에 올려놓는다(도30 참조). 재료홈 위치와 톱노출슬롯(112a)의 정렬은 눈금자(117)의 눈금을 이용하거나(가공재료의 왼쪽 종단과 재료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사이의 이격거리를 눈금자의 눈금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공재료(201)에 마킹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음에 받침면(114c)이 가공재료(201)의 오른쪽 종단에 접촉하도록 마이터블럭(114)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도30 참조).
다음에 가공재료(201)를 잡은 상태에서 탑재판(112)을 이동시키면서 둥근톱(115)으로 1차 절단작업을 실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1차절단작업에 의해 가공재료(201)에 생긴 홈을 1차절단홈(201a)이라고 한다.
다음에 탑재판(1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눈금자(117)의 눈금을 보면서 가공재료(201)를 왼쪽으로 9㎜ 이동시킨다(도31 참조, 받침면이 왼쪽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노브를 회전시키는 조작을 거쳐).
다음에 탑재판(112)을 이동시키면서 둥근톱(115)으로 2차 절단작업을 실시한다(도32 참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2차절단작업에 의해 가공재료(201)에 생긴 홈을 2차절단홈(201b)이라고 한다.
다음에 탑재판(1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조작노브(134)를 회전시키는 조작을 거쳐 오른쪽으로 마이터블럭(114)을 이동시킨다(도33 참조).
마지막으로 가공재료(201)를 이동시켜가면서 1차절단홈(201a)과 2차절단홈(201b) 사이에 있는 구간(6㎜)에 대해 2회에 걸쳐 3차절단작업을 실시한다(도33 참조).
그런데 종래의 둥근톱기계장치에 따르면, 1차절단홈(201a)을 형성한 후 눈금자(117)의 눈금에 의존하여 가공재료(201)를 2차절단위치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가공재료(201)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어렵고 가공재료(201)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래 선행기술문헌에는, 탑재판에 톱노출슬롯을 형성하고 톱노출슬롯을 통해 둥근톱의 일부가 탑재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둥근톱을 탑재판의 하측에 설치하는 구성을 갖는 둥근톱기계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서 적절하지 않아 발명자가 제공해 준 기술(발명자에 의해 비밀로 유지되고 있는 기술)을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로 설명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9467호(2012년07월12일)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8035호(2001년12월06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절단홈을 형성한 후 가공재료를 2차절단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가공재료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간단한 둥근톱기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탑재판지지부와, 직선상의 톱노출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재판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된 탑재판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저면 일 영역에 톱도피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도피슬롯이 상기 톱노출슬롯에 정렬되고 상기 톱노출슬롯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탑재판에 상면에 설치된 기준작업대와, 상기 톱노출슬롯을 통해 상기 탑재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탑재판의 하측에 설치된 둥근톱과, 받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작업대의 양쪽 중 상기 둥근톱이 설치되어 있는 쪽을 작업대전방쪽이라고 하고 나머지 한 쪽을 작업대후방쪽이라고 할 때 상기 기준작업대와 상기 둥근톱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기준작업대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직선상의 가공재료가 설치되었다고 가정할 때 상기 받침면이 상기 가공재료를 향하도록 상기 작업대전방쪽에 설치된 마이터블럭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마이터블럭을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와, 상기 둥근톱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를 갖는 둥근톱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는 판면이 상기 기준작업대의 상측에서 상기 탑재판의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마이터블럭에 결합된 지지판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판을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지지판이동조작부를 포함하고; 게이지판과 상기 게이지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게이지암을 가지고 상기 게이지판이 상기 가공재료와 상기 받침면 사이에서 상기 받침면에 적층되는 적층위치와 상기 게이지판이 상기 가공재료와 상기 받침면 사이에서 이탈하는 적층해제위치 사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지블럭을 가지고, 상기 가공재료와 상기 받침면 사이에 상기 게이지블럭을 선택적으로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받침면에 대한 상기 가공재료의 이격거리를 선택조작하기 위한 게이지블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게이지판의 적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면에 적층된 게이지블럭을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게이지블럭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게이지블럭부를 통해 가공재료를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의 선택범위가 넓힐 수 있도록, 상기 게이지블럭은 복수개이고, 상기 게이지판의 두께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게이지블럭의 받침면에 대한 적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은 한 쌍의 지지면이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지지면이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면 중 상기 마이터블럭에 인접한 지지면을 기준지지면이라고 할 때 상기 기준지지면이 상기 받침면에 정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게이지블럭부는 상기 지지면을 연결하고 상기 기준작업대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회동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지암은 종단에 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홈의 양측 둘레영역에는 상호 정합하는 게이지암 요부(凹部)와 게이지암 철부(凸部)가 나누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지블럭은 상기 핀홈을 통해 상기 회동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게이지블럭의 받침면에 대한 적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게이지블럭가압부는 일단에 상기 게이지암요부에 대응하는 가압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돌부가 상기 게이지암요부에 진입하도록 상기 회동핀에 설치된 푸시관과, 상기 푸시관을 상기 기준지지면을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회동핀에 설치된 가압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마이터블럭을 작업대후방쪽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이동조작부는 상기 작업대후방쪽에서 상기 기준작업대에 나란하게 배치된 직선상의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마이터블럭이 상기 작업대전방쪽에서 상기 작업대후방쪽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이터블럭의 이동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이동조작부는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과 내표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통해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된 너트관부와 상기 나사봉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의 회전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노브락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봉이 상기 작업대후방쪽에서 상기 기준작업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나사봉이 상기 탑재판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너트관부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작업대와 조작노브를 이용하여 노브락킹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노브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다수의 락킹홈이 일정간격으로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브락킹부는 상기 락킹홈에 진입하는 락킹위치와 상기 락킹홈으로부터 이탈하는 락킹해제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작업대에 설치되는 락킹핀과, 상기 락킹위치와 상기 락킹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락킹핀을 조작하기 위한 락킹핀이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락킹핀을 용이하게 락킹위치와 락킹해제위치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기준작업대는 상기 조작노브에 대응하는 영역에 폭방향을 따라 디귿자단면의 핀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안내홈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스프링지지홈이 상기 핀안내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킹핀이동조작부는 상기 스프링지지홈에 하나씩 설치되는 한 쌍의 락킹코일스프링과, 상기 락킹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락킹핀을 향해 탄성가압되도록 상기 스프링지지홈에 하나씩 설치되는 한 쌍의 락킹볼과, 상단이 상기 기준작업대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하단을 통해 상기 조작노브에 접근하고 이반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작업대에 설치된 락킹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핀은 상기 핀안내홈에 대응하는 판형태로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락킹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한 쌍의 락킹볼 중 일방이 진입하는 락킹위치볼안착홈과 락킹해제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한 쌍의 락킹볼 중 나머지 일방이 진입하는 락킹해제위치볼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킹위치볼안착홈과 상기 락킹해제위치볼안착홈이 상기 한 쌍의 스프링지지홈에 대향하도록 상기 핀안내홈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눈금자를 이용하여 이동시킨 마이터블럭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기준작업대에 설치된 눈금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터블럭의 받침면에 적층되는 적층위치와 가공재료와 받침면 사이에서 이탈하는 적층해제위치 사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게이지블럭을 지지판에 설치하는 한편, 적층위치로 게이지블럭을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적층위치에 도달한 게이지블럭에 속하는 게이지판의 두께합 만큼 가공재료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1차절단홈을 형성한 후 가공재료를 2차절단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가공재료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간단해진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작업대 영역의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락킹부 영역의 상세도,
도7은 도4의 A-A'선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킹핀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이동조작부 및 게이지블럭부 영역의 상세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및 게이지블럭부 영역의 상세도,
도11은 도10의 B-B'선 단면도,
도12 및 도1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블럭의 상세도,
도14, 도15, 도16 및 도1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락킹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8, 도19, 도20, 도21, 도22 및 도2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24는 종래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시도,
도25는 종래 둥근톱기계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26 및 도27은 각각 종래 둥근톱기계장치의 기준작업대 영역의 상세도,
도28은 종래 둥근톱기계장치의 지지판이동조작부 영역의 상세도,
도29, 도30, 도31, 도32 및 도33은 각각 종래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작업대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락킹부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7은 도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킹핀의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이동조작부 및 게이지블럭부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및 게이지블럭부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11은 도10의 B-B'선 단면도이고, 도12 및 도1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블럭의 상세도이고, 도14, 도15, 도16 및 도1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락킹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판지지부(11)와, 탑재판지지부(11)의 상단에 설치된 탑재판(12)과, 탑재판(12)의 상면에 고정설치된 직선상의 기준작업대(90)와, 기준작업대(90)에 설치된 눈금자(17)와, 탑재판(12)의 하측에 설치된 둥근톱(15)과, 탑재판(12)의 상면에 배치된 마이터블럭(14)과, 마이터블럭(14)을 이동 조작하기 위한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20)와, 마이터블럭(14) 대한 가공재료(201)의 이격거리를 선택조작하기 위한 게이지블럭부(60)와, 둥근톱(15)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15)를 갖고 있다.
탑재판지지부(11)는 테이블측벽부(11a)와, 테이블측벽부(11a)의 내부에 설치된 직사각형 형태의 테이블상판부(11b)와, 테이블상판부(11b)의 중앙에 설치된 인서트(11c)와, 테이블상판부(11b)의 양 측면에 레일브라켓트(11e)를 통해 하나씩 고정된 테이블안내레일(11d)을 갖고 있다.
탑재판(12)에는 직선상의 톱노출슬롯(12a)이 형성되어 있다.
탑재판(12)은 저면에 결합된 탑재판슬라이딩레일(12b)을 통해 테이블안내레일(11d)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탑재판(12)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기준작업대(90)는 대략 정사각기둥 형태의 작업대바디부(91)와, 작업대바디부(91)의 마이터블럭 측 종단에 결합된 작업대캡(92)을 갖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준작업대(90)의 양쪽 중 둥근톱(15)이 설치되어 있는 쪽을 작업대전방쪽(F)이라고 하고 나머지 한 쪽을 작업대후방쪽(B)이라고 한다.
작업대바디부(91)는 저면 일 영역에 톱도피슬롯(91a)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자안착홈(91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작업대바디부(91)는 작업대후방쪽(B) 측면에 작업대안내레일(93)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대바디부(91)와 작업대캡(92)에는 레버안내홈(90b)과 핀안내홈(90a)이 나누어 형성되어 있다.
레버안내홈(90b)은 조작노브(34)에 대응하는 영역에 기준작업대(90)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핀안내홈(90a)은 기준작업대(90)의 폭방향을 따라 레버안내홈(90b)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디귿자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핀안내홈(90a)의 작업대바디부 측 바닥면에는 한 쌍의 스프링지지홈(91c)이 핀안내홈(9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기준작업대(90)는 톱도피슬롯(91a)이 톱노출슬롯(12a)에 정렬되고 톱노출슬롯(12a)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탑재판(12)에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눈금자(17)는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자안착홈(91b)에 설치된다.
둥근톱(15)은 인서트(11c)에 형성된 슬롯과 톱노출슬롯(12a)을 통해 탑재판(12)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탑재판(12)의 하측에 설치된다.
마이터블럭(14)은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받침면부(14a)와, 받침면부(14a)의 일측 연부로부터 받침면부(14a)의 상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지지벽부(14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이터블럭(14)은 받침면부(14a)의 일측면이 작업대전방쪽(F)에서 가공재료(201, 기준작업대와 둥근톱의 사이 영역에서 기준작업대와 나란하게 배치된 가공재료)의 일측 종단에 대향하고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받침면부(14a)의 가공재료에 대향하는 측면이 받침면(14c)을 구성하게 된다.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20)는 마이터블럭(14)에 결합된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판(21)과, 지지판(21)을 이동조작하기 위한 지지판이동조작부(30)를 갖고 있다.
지지판(21)에는 지지면홈(21a)과 도피홈(21b)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홈(21a)은 지지판(21)의 전면에 직선상으로 절취형성되어 있다.
도피홈(21b)은 지지면홈(21a)과 협조하여 대략 "ㄴ"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홈(21a)의 대향하는 내주면은 한 쌍의 지지면(21c)을 구성하게 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한 쌍의 지지면(21c) 중 마이터블럭(14)에 인접한 지지면을 기준지지면(21'c)이라고 한다.
기준지지면(21'c)에는 후술하는 게이지암철부(72c)에 대응하는 지지면요홈(21d)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21)은 한 쌍의 지지면(21c)이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기준지지면(21'c)이 받침면(14c)에 정렬되고, 판면이 기준작업대(90)의 상측에서 탑재판(12)의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지벽부(14b)에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판(21)은 한 쌍의 힌지(22)를 통해 작업대전방쪽(F)에서 작업대후방쪽(B)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슬라이더(3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마이터블럭(14)은 작업대전방쪽(F)에서 작업대후방쪽(B)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지지판이동조작부(30)는 나사봉(32)과, 나사봉(32)에 나사결합된 너트관부(31)와, 너트관부(3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더(33)와, 나사봉(32)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작노브(34)와, 조작노브(34)의 회전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노브락킹부(40)를 갖고 있다.
나사봉(32)은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협경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봉(32)은 탑재판(12)에 고정되는 한 쌍의 써포트(39)를 통해 탑재판(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나사봉(32)의 설치는 협경부(32a)가 각 써포트(39)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지지공(39a)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사봉(32)의 설치는 작업대후방쪽(B)에서 기준작업대(90)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사봉(32)의 설치높이는 조작노브(34)의 중간높이정도에 핀안내홈(90a)이 정렬되도록 선택된다.
너트관부(31)는 일단에 너트관체결판(38)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관부(31)는 내표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통해 나사봉(32)에 나사결합된다.
슬라이더(33)는 종단에 슬라이더체결판(35)이 절곡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레일(36)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33)에는 눈금창(37)이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더(33)는 슬라이더체결판(35)을 너트관체결판(38)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너트관부(31)에 결합된다. 슬라이더(33)의 결합은 작업대후방쪽(B)에서 기준작업대(90)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라이더(33)의 결합은 슬라이딩레일(36)이 작업대안내레일(93)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조작노브(34)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다수의 락킹홈(34a)이 일정간격으로 절취 형성되어 있다. 목공분야에서 요구되는 가공정밀도는 기계부품분야보다 높지 않기기 때문에 나사봉(32)의 나선간 거리와 락킹홈(34a)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가공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노브락킹부(40)는 핀안내홈(90a)에 설치되는 락킹핀(41)과, 락킹핀(41)을 이동 조작하기 위한 락킹핀이동조작부(50)를 갖고 있다.
락킹핀(41)은 핀안내홈(90a)에 대응하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나사봉(32)의 설치높이를 조작노브(34)의 중간높이정도에 핀안내홈(90a)이 정렬되도록 선택함으로써, 락킹핀(41)은 락킹홈(34a)에 진입하는 락킹위치와 락킹홈(34a)으로부터 이탈하는 락킹해제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락킹핀(41)은 일 측면에 락킹위치볼안착홈(41a)과 락킹해제위치볼안착홈(41b)이 형성되어 있다.
락킹위치볼안착홈(41a)은 락킹핀(41)이 락킹위치에 도달할 때 후술하는 한 쌍의 락킹볼(52) 중 일방이 진입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락킹해제위치볼안착홈(41b)은 락킹핀(41)이 락킹해제위치에 도달할 때 한 쌍의 락킹볼(52) 중 나머지 일방이 진입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락킹핀(41)은 중앙에 레버노출공(41c)이 형성되어 있다.
락킹핀(41)은 락킹위치볼안착홈(41a)과 락킹해제위치볼안착홈(41b)이 한 쌍의 스프링지지홈(91c)에 대향하도록 핀안내홈(90a)에 설치된다.
락킹핀이동조작부(50)는 스프링지지홈(91c)에 하나씩 설치되는 한 쌍의 락킹코일스프링(51) 및 한 쌍의 락킹볼(52)과, 레버안내홈(90b)에 설치되는 락킹레버(53)를 갖고 있다.
락킹볼(52)은 락킹코일스프링(51)에 의해 락킹핀(41)을 향해 탄성가압되도록 스프링지지홈(91c)에 하나씩 설치된다.
락킹레버(53)는 레버안내홈(90b)에서 하단을 관통하는 레버지지핀(54)을 통해 기준작업대(90)에 설치됨으로써, 조작노브(34)에 접근하고 이반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락킹레버(53)의 설치는 상단이 레버노출공(41c)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락킹레버(53)를 조작노브(3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락킹핀(41)은 락킹홈(34a) 중 일방에 진입할 수 있다(락킹핀은 락킹위치에 배치됨). 락킹핀(41)이 락킹홈(34a)에 진입한 상태는 한 쌍의 락킹볼(52) 중 일방이 락킹위치볼안착홈(41a)에 진입하는 동작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락킹레버(53)를 조작노브(34)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락킹핀(41)은 락킹홈(34a)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된다(락킹핀은 락킹해제위치에 배치됨). 락킹핀(41)이 락킹홈(34a)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는 한 쌍의 락킹볼(52) 중 나머지 일방이 락킹해제위치볼안착홈(41b)에 진입하는 동작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20)의 동작을 도14, 도15, 도16 및 도1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락킹핀(41)은 락킹해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도14 및 도15 참조).
먼저 조작노브(34)를 회전조작하면 나사봉(32)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너트관부(31)는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너트관부(31)가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슬라이더(33), 지지판(21) 및 마이터블럭(14)도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다음에 락킹핀(41)이 락킹위치에 도달하도록 락킹레버(53)를 조작노브(3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조작한다(도16 및 도17 참조).
락킹핀(41)이 락킹위치에 도달하면 조작노브(34)는 회전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마이터블럭(14)의 위치, 즉 받침면(14c)의 위치는 고정된다.
다음에 락킹레버(53)를 조작노브(34)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동조작한 후, 조작노브(34)를 회전 조작하면 마이터블럭(14)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게이지블럭부(60)는 지지판(21)에 설치된 회동핀(61)과, 회동핀(61)에 결합되는 3개의 게이지블럭(70)과, 회동핀(61)에 결합된 게이지블럭(70)을 가압하는 게이지블럭가압부(80)를 갖고 있다.
회동핀(61)은 한 쌍의 지지면(21c)을 연결하고 기준작업대(90)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판(21)의 지지면홈(21a)에 설치된다.
각 게이지블럭(70)은 게이지판(71)과, 게이지판(7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기역자 형태의 게이지암(72)을 갖고 있다.
각 게이지블럭(70)은 게이지판(71)의 두께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게이지암(72)은 종단에 핀홈(72a)이 형성되어 있고, 핀홈(72a)의 양측 둘레영역에는 상호 정합하는 게이지암 요부(凹部)(72b)와 게이지암철부(凸部)(72c)가 나누어형성되어 있다.
각 게이지블럭(70)은 게이지판(71)이 받침면(14c)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핀홈(72a)을 통해 회동핀(61)에 결합된다.
게이지블럭(70)의 결합은 게이지암(72)이 기준지지면(21'c)에 적층되도록 즉, 게이지암(72)과 기준지지면(21'c) 사이 및 게이지암(72) 상호간이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회동핀(61)에 결합된 상태에서 게이지블럭(70)은 게이지판(71)이 가공재료(201)와 받침면(14c) 사이에서 받침면(14c)에 적층되는 적층위치와 게이지판(71)이 가공재료(201)와 받침면(14c) 사이에서 이탈하는 적층해제위치 사이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받침면에 적층된다'라는 용어는 게이지판(71)과 받침면(14c)사이 및 게이지판(71) 상호간이 접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준지지면(21'c)이 받침면(14c)에 정렬되도록 지지판(21)이 설치되기 때문에 게이지블럭(70)은 게이지판(71)이 가공재료(201)와 받침면(14c) 사이에서 받침면(14c)에 적층되는 적층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게이지블럭가압부(80)는 회동핀(61)에 설치된 푸시관(81) 및 가압부스프링(82)을 갖고 있다.
푸시관(81)은 일단에 게이지암요부(72b)에 대응하는 가압돌부(81a)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스프링지지턱(81b)이 형성되어 있다.
푸시관(81)은 가압돌부(81a)가 회동핀(61)에 설치된 게이지블럭(70)의 게이지암요부(72b)에 진입하도록 회동핀(61)에 설치된다.
가압부스프링(82)은 양단이 스프링지지턱(81b)과 지지면(21c)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부스프링(82)은 푸시관(81)을 기준지지면(21'c)을 향해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받침면(14c)에 대한 게이지판(71)의 적층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게이지블럭부(60)에 따르면 가공재료(201)와 받침면(14c) 사이에 게이지블럭(70)을 선택적으로 적층시키는 방법으로(3개의 게이지블럭을 각각 '게이지블럭A', '게이지블럭B' 및 '게이지블럭C'라고 하면 가공재료와 받침면 사이에 '게이지블럭A' 또는 '게이지블럭B' 또는 '게이지블럭C'를 적층시키거나 또는 가공재료와 받침면 사이에 '게이지블럭A'와 '게이지블럭B'를 함께 적층시키거나, 가공재료와 받침면 사이에 '게이지블럭A', '게이지블럭B' 및 '게이지블럭C'를 함께 적층시키는 방법 등으로) 받침면(14c)에 대한 가공재료(201)의 이격거리를 선택조작할 수 있게 된다.
톱구동부(15)는 종래 널이 알려진 바와 같이 모터 등의 회전기계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둥근톱기계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8 내지 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 사항을 가정한다.
① 가공재료(201)에 형성하고자 하는 재료홈의 폭 : 12㎜
② 둥근톱(15)의 두께 : 3㎜
③ 락킹핀(41)은 락킹해제위치에 있음
④ 3개의 게이지블럭(70)을 각각 '게이지블럭A', '게이지블럭B' 및 '게이지블럭C'라고 하고(도12 및 도13 참조), '게이지블럭A'의 게이지판 두께는 3㎜, '게이지블럭B'의 게이지판 두께는 4㎜, '게이지블럭C'의 게이지판 두께는 6㎜임
게이지블럭(70)을 이용하여 가공재료(201)에 재료홈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동핀(61)에 '게이지블럭A'와 '게이지블럭C'를 결합하고 적층해제위치에 배치한다(도18 참조).
다음에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20)를 조작하여 마이터블럭(14)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도18 참조). 본 명세서에 오른쪽은 도18을 기준으로 한다.
다음에 재료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가 톱노출슬롯(12a)에 정렬되도록 가공재료(201)를 탑재판(12)의 상면에 올려놓는다(도19 참조). 재료홈 위치와 톱노출슬롯(12a)의 정렬은 눈금자(17)의 눈금을 이용하거나(가공재료의 왼쪽 종단과 재료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사이의 이격거리를 눈금자(17)의 눈금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방법 등으로) 가공재료(201)에 마킹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음에 받침면(14c)이 가공재료(201)의 오른쪽 종단에 접촉하도록 마이터블럭(14)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도19 참조).
다음에 락킹레버(53)를 조작하여 락킹핀(41)을 락킹위치로 회동시킨다(도19 참조).
다음에 탑재판(12)을 이동시키면서 둥근톱(15)으로 1차 절단작업을 실시한다(도20 참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1차절단작업에 의해 가공재료(201)에 생긴 홈을 1차절단홈(201a)이라고 한다.
다음에 탑재판(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게이지블럭A'와 '게이지블럭C'를 회동시켜 적층위치에 배치시킨다(도21 참조). '게이지블럭A'와 '게이지블럭C'가 회동하여 적층위치에 배치되는 동안 가공재료(201)는 왼쪽으로 9㎜ 이동하게 된다(가공재료가 왼쪽으로 9㎜ 이동한 상태에서 1차 절단홈과 톱노출슬롯 사이의 이격거리는 6㎜가 됨).
다음에 탑재판(12)을 이동시키면서 둥근톱(15)으로 2차 절단작업을 실시한다(도22 참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2차절단작업에 의해 가공재료(201)에 생긴 홈을 2차절단홈(201b)이라고 한다.
다음에 탑재판(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게이지블럭A'와 '게이지블럭C'를 회동시켜 적층해제위치에 배치시킨다(도23 참조). 이 단계에서 마이터블럭(14)을 작업대전방쪽(F)에서 작업대후방쪽(B)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도23 참조).
마지막으로 전술한 방법으로 가공재료(201)를 이동시켜가면서 1차절단홈(201a)과 2차절단홈(201b) 사이에 있는 구간(6㎜)에 대해 2회에 걸쳐 3차절단작업을 실시한다(도23 참조).
한편 눈금자(17)를 이용하여 가공재료(201)에 재료홈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20)를 조작하여 마이터블럭(14)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재료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가 톱노출슬롯(12a)에 정렬되도록 가공재료(201)를 탑재판(12)의 상면에 올려놓는다. 재료홈 위치와 톱노출슬롯(12a)의 정렬은 눈금자(17)의 눈금을 이용하거나(가공재료의 왼쪽 종단과 재료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사이의 이격거리를 눈금자의 눈금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공재료(201)에 마킹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음에 받침면(14c)이 가공재료(201)의 오른쪽 종단에 접촉하도록 마이터블럭(14)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락킹레버(53)를 조작하여 락킹핀(41)을 락킹위치로 회동시킨다.
다음에 탑재판(12)을 이동시키면서 둥근톱(15)으로 1차 절단작업을 실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1차절단작업에 의해 가공재료(201)에 생긴 홈을 1차절단홈(201a)이라고 한다.
다음에 탑재판(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눈금자(17)의 눈금을 보면서 가공재료(201)를 왼쪽으로 9㎜ 이동시킨다(락킹핀을 락킹해제위치로 회동시키는 조작, 받침면이 왼쪽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노브를 회전시키는 조작 및 락킹핀을 락킹위치로 회동시키는 조작을 거쳐).
다음에 탑재판(12)을 이동시키면서 둥근톱(15)으로 2차 절단작업을 실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2차절단작업에 의해 가공재료(201)에 생긴 홈을 2차절단홈(201b)이라고 한다.
다음에 탑재판(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마이터블럭(14)을 작업대전방쪽(F)에서 작업대후방쪽(B)으로 회동시킨다.
마지막으로 가공재료(201)를 이동시켜가면서 1차절단홈(201a)과 2차절단홈(201b) 사이에 있는 구간(6㎜)에 대해 2회에 걸쳐 3차절단작업을 실시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가공재료(201)에 형성되는 홈의 왼쪽(도18 기준)을 먼저 1차절단하고 게이지블럭(70)을 적층위치로 회동시킨 후 홈의 오른쪽을 2차절단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먼저 게이지블럭(70)을 적층위치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가공재료(201)에 형성되는 홈의 오른쪽을 먼저 1차절단하고 게이지블럭(70)을 적층해제위치로 회동시킨 후 홈의 왼쪽을 2차절단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눈금자(17)를 이용하여 가공재료(201)에 홈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가공재료(201)에 형성되는 홈의 오른쪽(도18 기준)을 먼저 1차절단하고 홈의 왼쪽을 2차절단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터블럭(14)의 받침면(14c)에 적층되는 적층위치와 가공재료(201)와 받침면(14c) 사이에서 이탈하는 적층해제위치 사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게이지블럭(70)을 지지판(21)에 설치하는 한편, 적층위치로 게이지블럭(70)을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적층위치에 도달한 게이지블럭(70)에 속하는 게이지판의 두께합 만큼 가공재료(201)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1차절단홈(201a)을 형성한 후 가공재료를 2차절단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가공재료(201)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간단해진다.
그리고 게이지판(71)의 적층상태가 유지되도록 받침면(14c)에 적층된 게이지블럭(70)을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게이지블럭가압부(80)를 더 포함하도록 게이지블럭부(60)를 구성함으로써, 게이지판(71)의 적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게이지블럭(70)을 복수개로 구성하고 게이지판(71)의 두께를 각각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게이지블럭부(60)를 통해 가공재료(201)를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의 선택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게이지암(72)의 종단에 핀홈(72a)을 형성하고 핀홈(72a)의 양측 둘레영역에 상호 정합하는 게이지암 요부(凹部)(72b)와 게이지암 철부(凸部)(72c)를 나누어 형성함으로써, 게이지블럭(70)의 받침면(14c)에 대한 적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단에 게이지암요부(72b)에 대응하는 가압돌부(81a)가 형성되어 있는 푸시관(81)과 푸시관(81)을 기준지지면(21'c)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스프링(82)을 포함하도록 게이지블럭가압부(80)를 구성함으로써, 게이지블럭(70)의 받침면(14c)에 대한 적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터블럭(14)이 작업대전방쪽(F)에서 작업대후방쪽(B)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판(21)을 슬라이더(33)에 결합함으로써, 눈금자(17)를 이용하여 가공재료(201)에 재료홈을 형성하거나 탑재판(12)의 상면을 청소할 때 등 필요한 경우 마이터블럭(14)을 작업대후방쪽(B)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노브(34)의 회전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노브락킹부(40)를 포함하도록 지지판이동조작부(30)를 구성함으로써, 마이터블럭(14)의 이동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노브(34)의 둘레면에 다수의 락킹홈(34a)을 일정간격으로 절취 형성하는 한편, 락킹홈(34a)에 진입하는 락킹위치와 락킹홈(34a)으로부터 이탈하는 락킹해제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기준작업대(90)에 설치되는 락킹핀(41)을 포함하도록 노브락킹부(40)를 구성함으로써, 기준작업대(90)와 조작노브(34)를 이용하여 노브락킹부(4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준작업대(90)에 설치된 락킹레버(53)의 회동동작을 통해 락킹핀(41)이 락킹홈(34a)에 진입하는 락킹위치와 락킹홈(34a)으로부터 이탈하는 락킹해제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락킹핀(41)을 용이하게 락킹위치와 락킹해제위치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브락킹부(40)의 구성에 더하여 기준작업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기준작업대(90)에 눈금자(17)를 설치함으로써, 눈금자(17)를 이용하여 이동시킨 마이터블럭(14)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1, 111 : 탑재판지지부 12, 112 : 탑재판
13, 113 : 둥근톱 14, 114 : 마이터블럭
17, 117 : 눈금자
20 :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 21 : 지지판
30 : 지지판이동조작부 31, 131 : 너트관부
32, 132 : 나사봉 33, 133 : 슬라이더
34, 134 : 조작노브 40 : 노브락킹부
41 : 락킹핀 50 : 락킹핀이동조작부
51 : 락킹코일스프링 52 : 락킹볼
53 : 락킹레버 60 : 게이지블럭부
61 : 회동핀 70 : 게이지블럭
71 : 게이지판 72 : 게이지암
80 : 게이지블럭가압부 81 : 푸시관
82 : 가압부스프링 90, 190 : 기준작업대
91 : 작업대바디부 92 : 작업대캡

Claims (10)

  1. 탑재판지지부와, 직선상의 톱노출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재판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된 탑재판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저면 일 영역에 톱도피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도피슬롯이 상기 톱노출슬롯에 정렬되고 상기 톱노출슬롯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탑재판에 상면에 설치된 기준작업대와, 상기 톱노출슬롯을 통해 상기 탑재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탑재판의 하측에 설치된 둥근톱과, 받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작업대의 양쪽 중 상기 둥근톱이 설치되어 있는 쪽을 작업대전방쪽이라고 하고 나머지 한 쪽을 작업대후방쪽이라고 할 때 상기 기준작업대와 상기 둥근톱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기준작업대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직선상의 가공재료가 설치되었다고 가정할 때 상기 받침면이 상기 가공재료를 향하도록 상기 작업대전방쪽에 설치된 마이터블럭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마이터블럭을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와, 상기 둥근톱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톱구동부를 갖는 둥근톱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터블럭이동조작부는 판면이 상기 기준작업대의 상측에서 상기 탑재판의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마이터블럭에 결합된 지지판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판을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지지판이동조작부를 포함하고;
    게이지판과 상기 게이지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게이지암을 가지고 상기 게이지판이 상기 가공재료와 상기 받침면 사이에서 상기 받침면에 적층되는 적층위치와 상기 게이지판이 상기 가공재료와 상기 받침면 사이에서 이탈하는 적층해제위치 사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지블럭을 가지고 상기 가공재료와 상기 받침면 사이에 상기 게이지블럭을 선택적으로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받침면에 대한 상기 가공재료의 이격거리를 선택조작하기 위한 게이지블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블럭부는 상기 게이지판의 적층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받침면에 적층된 게이지블럭을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게이지블럭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블럭은 복수개이고, 상기 게이지판의 두께는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한 쌍의 지지면이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지지면이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면 중 상기 마이터블럭에 인접한 지지면을 기준지지면이라고 할 때 상기 기준지지면이 상기 받침면에 정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게이지블럭부는 상기 지지면을 연결하고 상기 기준작업대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회동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지암은 종단에 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홈의 양측 둘레영역에는 상호 정합하는 게이지암 요부(凹部)와 게이지암 철부(凸部)가 나누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지블럭은 상기 핀홈을 통해 상기 회동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블럭가압부는 일단에 상기 게이지암요부에 대응하는 가압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돌부가 상기 게이지암요부에 진입하도록 상기 회동핀에 설치된 푸시관과, 상기 푸시관을 상기 기준지지면을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회동핀에 설치된 가압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동조작부는 상기 작업대후방쪽에서 상기 기준작업대에 나란하게 배치된 직선상의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마이터블럭이 상기 작업대전방쪽에서 상기 작업대후방쪽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동조작부는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과 내표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통해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된 너트관부와 상기 나사봉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의 회전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노브락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봉이 상기 작업대후방쪽에서 상기 기준작업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나사봉이 상기 탑재판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너트관부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다수의 락킹홈이 일정간격으로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브락킹부는 상기 락킹홈에 진입하는 락킹위치와 상기 락킹홈으로부터 이탈하는 락킹해제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작업대에 설치되는 락킹핀과, 상기 락킹위치와 상기 락킹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락킹핀을 조작하기 위한 락킹핀이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작업대는 상기 조작노브에 대응하는 영역에 폭방향을 따라 디귿자단면의 핀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안내홈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스프링지지홈이 상기 핀안내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킹핀이동조작부는 상기 스프링지지홈에 하나씩 설치되는 한 쌍의 락킹코일스프링과, 상기 락킹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락킹핀을 향해 탄성가압되도록 상기 스프링지지홈에 하나씩 설치되는 한 쌍의 락킹볼과, 상단이 상기 기준작업대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하단을 통해 상기 조작노브에 접근하고 이반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작업대에 설치된 락킹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핀은 상기 핀안내홈에 대응하는 판형태로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락킹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한 쌍의 락킹볼 중 일방이 진입하는 락킹위치볼안착홈과 락킹해제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한 쌍의 락킹볼 중 나머지 일방이 진입하는 락킹해제위치볼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킹위치볼안착홈과 상기 락킹해제위치볼안착홈이 상기 한 쌍의 스프링지지홈에 대향하도록 상기 핀안내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작업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기준작업대에 설치된 눈금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기계장치
KR1020170039352A 2017-03-28 2017-03-28 둥근톱기계장치 KR101930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352A KR101930792B1 (ko) 2017-03-28 2017-03-28 둥근톱기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352A KR101930792B1 (ko) 2017-03-28 2017-03-28 둥근톱기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518A KR20180109518A (ko) 2018-10-08
KR101930792B1 true KR101930792B1 (ko) 2018-12-19

Family

ID=6386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352A KR101930792B1 (ko) 2017-03-28 2017-03-28 둥근톱기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688B1 (ko) * 2019-09-09 2020-03-30 (주)태양아이엔티 목재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026B1 (ko) * 2020-11-27 2022-04-12 이현두 건축용 바닥재 절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1200A1 (en) * 1989-07-19 1991-02-07 Lucien Bernier Stop apparatus for attaching to guide members of workshop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1200A1 (en) * 1989-07-19 1991-02-07 Lucien Bernier Stop apparatus for attaching to guide members of workshop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688B1 (ko) * 2019-09-09 2020-03-30 (주)태양아이엔티 목재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518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0524A (en) Router table sled
US10864624B2 (en) Device for angularly precise machining of a workpiece by a tool guided on a guide rail
US8746668B2 (en) Table saw
KR101930792B1 (ko) 둥근톱기계장치
WO2014177830A1 (en) Apparatus for use with power tools
US7909072B2 (en) Micro-adjustment device for the angle stop plank of a planar
EP3380289B1 (en) Portable hand router for making cavities on a surface of a board
US20050061128A1 (en) Saw guide apparatus
KR101944995B1 (ko) 둥근톱기계장치
WO1991008074A1 (en) A device for releasable connection of two members
KR102651667B1 (ko) 플랫형 베드 다이 커팅, 스트리핑 또는 블랭킹 기계에서 툴링 보드를 센터링하기 위한 센터링 블록 및 센터링 조립체
US20170266835A1 (en) Slidable workbench
JP5490936B1 (ja) サインブロック
US6293177B1 (en) Workpiece positioning device
US11958181B2 (en) Joinery jig
US3901127A (en) Mechanism for positioning a work piece
CN110340443A (zh) 用于台锯的止动机构以及使用该止动机构的方法
US20080105815A1 (en) Connecting assembly
CN219426950U (zh) 能够快速精准定位的打孔器
US11780111B1 (en) Tool and system for forming multiple woodworking joints
TWM642415U (zh) 木工刨銑機之推台夾持裝置
JP2006062095A (ja) スケール及び切断機
WO2009061637A2 (en) Adapter-based forming tool system for press brakes
KR20060019186A (ko) 클램프 장치
GB2395150A (en) Modular work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