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724B1 -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724B1
KR101930724B1 KR1020170167375A KR20170167375A KR101930724B1 KR 101930724 B1 KR101930724 B1 KR 101930724B1 KR 1020170167375 A KR1020170167375 A KR 1020170167375A KR 20170167375 A KR20170167375 A KR 20170167375A KR 101930724 B1 KR101930724 B1 KR 10193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rame
electric wire
wir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은경
서인대
Original Assignee
(주)거광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광기업 filed Critical (주)거광기업
Priority to KR102017016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은 한쌍의 유리벽체 사이의 실내 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한쌍의 유리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한쌍의 유리벽체 사이의 실외 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유리벽체를 지지하는 캡;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열교차단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배관 모듈;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전선배관 모듈의 외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Curtain wall system having cable pipe module}
본 발명은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공급이 필요한 곳에 전선배관의 설치가 용이한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Curtain Wall)이란, 건물에 있어서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면서 거주자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건물의 비내력 벽체를 말한다.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은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골조가 지지하는데, 커튼월은 하중은 지지하지 않으면서 건물 내 거주자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튼역할을 하게 된다.
최근에는 건축구조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기 위해 커튼 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커튼월은 대부분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커튼월을 형성하는 패널은 규격화하여 통일할 수 있다. 또한, 커튼월은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건물의 자체중량을 줄일 수 있어 기둥이나 보의 굵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커튼월에는 가벼운 재료가 사용된다.
이러한 커튼월에 태양광 발전을 하기 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BIPV)이 설치되기도 한다. 또한, 커튼월은 대부분 유리를 포함하기 때문에 유리를 이용하여 실내로 투입되는 태양광의 양을 조절하는 전기변색유리, 실외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를 줄이고 결로발생을 방기하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유리 등도 개발되고 있다. 또한, 커튼월에 사용되는 유리를 이용하여 화상표시장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한 시도도 되고 있다.
이러한 커튼월에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BIPV), 발열유리, 전기변색유리, 콘센트 등 전기배선이 필요한 장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커튼월에 전기배선을 하기가 쉽지가 않으며,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BIPV), 콘센트 등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맞게 전기배선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9893호(2009. 07. 3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공급이 필요한 곳에 용이하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에서 배선작업이 용이한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은 한쌍의 유리벽체 사이의 실내 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한쌍의 유리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한쌍의 유리벽체 사이의 실외 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유리벽체를 지지하는 캡;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열교차단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배관 모듈;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전선배관 모듈의 외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배관 모듈은 전기가 공급되는 전선과, 상기 전선을 피복하는 전선배관과, 상기 전선배관을 감싸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전선배관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배관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중 일측에는 끼움돌기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상기 전선배관 모듈이 상기 프레임에 끼움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벽체를 형성하는 유리는 전기변색유리 또는 발열유리이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유리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전선배관 모듈과 상기 유리를 연결하는 연결전선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유리로 공급되는 전기의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배관 모듈과 연결되어 실내측에서 전기를 공급하는 콘센트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리벽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유리벽체의 상하를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이 교차하는 교차부에는 상기 전선배관 모듈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에 의하면, 전선배관이 모듈형으로 형성되어 전기공급이 필요한 곳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커튼월에서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BIPV), 발열유리, 전기변색유리, 콘센트 등 전기공급이 필요한 곳에 용이하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선배관이 모듈형으로 형성되어 커튼월 프레임 내부에서 끼우기만 하면 설치되므로 프레임 내부에서 배선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유리와 전선배관 모듈을 전선으로 연결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유리로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실내에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콘센트 모듈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110)과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120)을 구비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구획하는 유리벽체(10)를 구비한다.
유리벽체(10)는 유리(11)를 소정간격으로 이격시키고 유리(11)의 단부를 실링하여 유리(11) 사이를 진공으로 형성하거나 불활성기체를 주입하여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벽체(10)가 2중 유리로 형성되는 예를 보였다. 유리벽체(10)가 2중 유리로 형성되도록 2장의 유리(11) 사이에 스페이서(12)를 설치하고, 스페이서(12)의 외측은 실링재(13)를 삽입하여 2장의 유리(11) 내부를 밀폐시킨다.
프레임(100)은 유리벽체(10)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주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프레임(100)의 외측면을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의 커버(400)로 감싼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프레임(100)이 유리벽체(1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횡단면도로서 수직 프레임(110)이 유리벽체(10)의 양측을 지지하는 것을 보였으나, 수평 프레임(120)이 유리벽체(10)의 상하를 지지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수평 프레임(120)이 유리벽체(10)의 상하를 지지하는 것에 대한 것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은 한쌍의 유리벽체(10) 사이의 실내 측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110); 한쌍의 유리벽체(10)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10); 한쌍의 유리벽체(10) 사이의 실외 측에 설치되어 한쌍의 유리벽체(10)를 지지하는 캡(220); 수직 프레임(110)과 지지부재(210) 사이에 설치되는 열교차단재(230)를 구비한다.
유리벽체(10)의 하중은 수평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고 유리벽체(10)의 양측은 수직 프레임(110)에 지지된다. 한쌍의 유리벽체(10)의 단부는 각각 지지부재(210)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부재(210)에는 캡(220)이 결합됨으로써 유리벽체(10)가 실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지지하게 된다.
캡(220)은 열교를 줄이기 위해 내부에 중공부(22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10)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결합부(221)를 구비한다. 캡(220)의 결합부(221)를 지지부재(210)에 형성된 수용부(211)에 끼움으로써 캡(220)을 지지부재(210)와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캡(220)이 지지부재(210)와 결합된 후, 캡(220)과 유리벽체(10) 사이에 실링재(240)로 마감하여 기밀성 또는 수밀성을 높이게 된다.
수직 프레임(110)과 지지부재(210) 사이에 설치되는 열교차단재(230)는 열교(heat bridge, 熱橋)를 끊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열교차단재(230)는 실외측의 열이 전도에 의해 금속재의 지지부재(210) 및 수직 프레임(110)을 거쳐 실내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열교차단재(230)는 방음, 결로차단, 단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단열재로서, 열교차단재(350)로 액체상태의 고강도 폴리우레탄을 알루미늄 바에서 충진하여 경화시킨 후 절단하여 생산하는 아존(Azon)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은 커튼월에서 전기가 필요한 곳에 전기를 쉽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전선배관 모듈(300)을 구비한다.
전선배관 모듈(300)은 커튼월에서 전기가 필요한 부분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모듈화된 것으로, 규격화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설치된다.
전선배관 모듈(300)은 전기가 공급되는 전선(310)과, 전선(310)을 피복하는 전선배관(320)과, 전선배관(320)을 감싸며 수직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전선배관 케이스(330)를 구비한다.
전선(310)은 단선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여러 개의 전선이 꼬인 형태로 되어 있는 나선이 사용될 수 있다. 전선배관(320)은 수직 프레임(11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였을 때 전선(310)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310)을 피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선배관(320)으로는 폴리에틸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전선배관(320)의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보였다. 이는 전선배관(320)을 후술할 전선배관 케이스(330)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선배관 케이스(330)는 내부에 전선배관(3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330a)을 구비한다. 전선배관 케이스(330)는 커버(4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면(331)과, 밀착면(331)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전선배관(320)을 고정하는 단차면(332)을 구비한다. 전선배관(320)은 전선배관 케이스(330)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전선배관 케이스(330)에 고정된다.
한편, 전선배관 모듈(300)을 수직 프레임(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전선배관 케이스(330)와 수직 프레임(110) 중 일측에는 끼움돌기(333)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끼움홈(113)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선배관 케이스(330)에 끼움돌기(333)가 구비되고, 수직 프레임(110)에 끼움홈(113)이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이와 반대로 전선배관 케이스에 끼움홈이 구비되고, 수직 프레임에 끼움돌기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끼움돌기(333)는 전선배관 케이스(330)의 단차면(332)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끼움홈(113)은 수직 프레임(110)의 양단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쌍의 돌기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선배관 모듈(300)은 끼움돌기(333)를 구비하고, 수직 프레임(110)은 끼움홈(113)을 구비함으로써 전선배관 모듈(300)을 수직 프레임(110) 측으로 전선배관 모듈(300)은 수직 프레임(110)에 쉽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전선배관 모듈(300)을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에 맞게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전선배관 모듈(300)을 이용하여 전기변색유리 또는 발열유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전선배관 모듈(300)이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된 후 커버(400)가 수직 프레임(110)과 전선배관 모듈(300)의 외부를 덮게 됨으로써 실내측에서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400)는 합성수지 계열의 재료로 이루어져 수직 프레임(110) 및 전선배관 모듈(300)을 통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열을 차단시킬 수 있다. 커버(400)의 재질로는 PVC와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400)가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된 후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커버에는 걸림돌기(410)가 형성되고, 수직 프레임(110)에는 걸림돌기(410)가 걸리는 걸림턱(1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400)는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으나, 좌우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서, 유리와 전선배관 모듈을 전선으로 연결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리벽체(10)를 형성하는 유리(11)는 전기변색유리 또는 발열유리이고, 수직 프레임(110)에는 유리(11)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전선배관 모듈(300)과 유리(11)를 연결하는 연결전선(350)이 삽입되는 삽입홀(115)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홀(115)을 통해 삽입관(116)을 관통시키고, 삽입관(116)을 통해 연결전선(350)을 전선배관 모듈(300)과 유리(11)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삽입홀(115)은 수직 프레임(110)에서 연속적으로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곳에만 형성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유리(11)가 전기변색유리인 경우, 태양광의 세기에 따라 유리의 색깔을 어둡게 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유리(11)가 발열유리인 경우, 유리(11)에 열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유리에 맺힌 결로수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은 전선배관 모듈(300)에서 유리(11)로 흐르는 전기의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유리로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선배관 모듈(300)이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된 후 커버(400)를 이용하여 덮게 된다. 이때, 커버(400)에는 유리(11)로 공급되는 전기의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500)를 설치하기 위해 커버(400)에는 전선배관 모듈(300)과 스위치(500)를 연결하는 연결전선(510)이 설치되기 위한 연결홀(42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의 재실자가 전기변색유리 또는 발열유리의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유리의 태양광 투과 기능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설정을 하면,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의 양이 많더라도 전기변색유리의 색깔은 어두워지지 않고 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실내의 벽 등에는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콘센트가 곳곳에 설치된다.
도 5는 도 2에서, 실내에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콘센트 모듈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내에서 전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곳에는 커튼월에도 콘센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센트가 커튼월에 구비되도록 전선배관 모듈(300)과 연결되어 실내측에서 전기를 공급하는 콘센트 모듈(600)을 구비할 수 있다.
콘센트 모듈(600)도 전선배관 모듈(300)과 마찬가지로 모듈화되어 있어, 필요한 곳에서 끼움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선배관 모듈(300)과 단부가 접촉 되기만하면 전선배관 모듈(3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게 된다.
이를 위해, 콘센트 모듈(600)은 전기가 공급되는 전선(610)과, 전선(610)을 피복하는 전선배관(620)과, 전선배관(620)을 감싸며 수직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콘센트 케이스(630)과, 전기 기구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640)를 구비한다.
콘센트 모듈(600)을 수직 프레임(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콘센트 케이스(630)의 일측에는 끼움돌기(633)이 구비되고, 수직 프레임(110)에는 끼움홈(113)이 구비되어 콘센트 모듈(600)을 수직 프레임(110)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수직 프레임(110)에 전선배관 모듈(300), 스위치(500), 콘센트 모듈(600) 등이 설치되는 것을 보였으나, 수평 프레임(120)에도 전선배관 모듈(300), 스위치(500), 콘센트 모듈(600)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방법은 수직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부에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10)의 양측에는 수평 프레임(120)이 결합되어,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20)이 서로 교차하게 된다.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20)이 교차하는 교차부(130)에는 전선배관 모듈(300)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커넥터가 구비된다.
커넥터는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전선배관 모듈(300)이 접속하는 수직 접속구와, 수평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전선배관 모듈(300)이 접속하는 수평 접속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직 접속구와 수평 접속구에는 전선배관 모듈(300)의 단부를 삽입하기만 하면 전선배관 모듈(300) 끼리 서로 접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를 이용하면, 배선을 직렬 또는 병렬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선할 수 있다.
한편, 수직 프레임(110)이 먼저 설치된 후, 수평 프레임(120)이 수직 프레임(110)의 양측에서 결합되므로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된 전선배관 모듈(300)이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프레임(120)에 결합된 전선배관 모듈(300)이 끼움 방식으로 접속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배관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커튼월에서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BIPV), 발열유리, 전기변색유리, 스위치, 콘센트 등 전기가 필요한 곳으로 용이하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기배관 모듈이 프레임 내부에 숨어있기 때문에, 커튼월 프레임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유리벽체 11: 유리
100: 프레임 210: 지지부재
220: 캡 230: 열교차단재
300: 전선배관 모듈 400: 커버
500: 스위치 600: 콘센트 모듈
700: 커넥터

Claims (7)

  1. 한쌍의 유리벽체 사이의 실내 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한쌍의 유리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한쌍의 유리벽체 사이의 실외 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유리벽체를 지지하는 캡;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열교차단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배관 모듈;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전선배관 모듈의 외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배관 모듈은 전기가 공급되는 전선과, 상기 전선을 피복하는 전선배관과, 상기 전선배관을 감싸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전선배관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배관 케이스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전선배관을 고정하는 단차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배관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중 일측에는 끼움돌기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상기 전선배관 모듈이 상기 프레임에 끼움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벽체를 형성하는 유리는 전기변색유리 또는 발열유리이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유리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전선배관 모듈과 상기 유리를 연결하는 연결전선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유리로 공급되는 전기의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배관 모듈과 연결되어 실내측에서 전기를 공급하는 콘센트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리벽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유리벽체의 상하를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이 교차하는 교차부에는 상기 전선배관 모듈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시스템.
KR1020170167375A 2017-12-07 2017-12-07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 KR10193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75A KR101930724B1 (ko) 2017-12-07 2017-12-07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75A KR101930724B1 (ko) 2017-12-07 2017-12-07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724B1 true KR101930724B1 (ko) 2018-12-19

Family

ID=6500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375A KR101930724B1 (ko) 2017-12-07 2017-12-07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7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8608A3 (en) * 2019-01-15 2020-08-27 CLAEYS, Stephanie Catharina R. Curtain wall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thereof
KR102157069B1 (ko) * 2019-09-17 2020-09-17 (주)에이.티.아이 복합 커튼월 시스템
WO2024091649A1 (en) * 2022-10-27 2024-05-02 View, Inc. Electrochromic window framing systems with accessible wiring and compon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1393A (ja) * 2008-11-21 2010-06-03 Sekisui House Ltd 遮音用建具ユニット
KR101326192B1 (ko) * 2012-12-28 2013-11-07 정민상 발열체가 구비된 복층유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1393A (ja) * 2008-11-21 2010-06-03 Sekisui House Ltd 遮音用建具ユニット
KR101326192B1 (ko) * 2012-12-28 2013-11-07 정민상 발열체가 구비된 복층유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8608A3 (en) * 2019-01-15 2020-08-27 CLAEYS, Stephanie Catharina R. Curtain wall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thereof
US11479969B2 (en) 2019-01-15 2022-10-25 Stephanie Catharina R. CLAEYS Curtain wall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thereof
KR102157069B1 (ko) * 2019-09-17 2020-09-17 (주)에이.티.아이 복합 커튼월 시스템
WO2024091649A1 (en) * 2022-10-27 2024-05-02 View, Inc. Electrochromic window framing systems with accessible wiring and compon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724B1 (ko) 전선배관 모듈을 구비하는 커튼월 시스템
US20100071282A1 (en) Unitized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Conversion Module Adapted With Electrical Conduits
KR100894575B1 (ko)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커튼월 시스템
KR101496889B1 (ko) 태양광 패널
KR101876564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보호 케이스 장치
CN105684563A (zh) 部件构建系统的功能部件上部
WO2015194972A1 (es) Sistema constructivo de arquitectura modular con piezas universales interconectables entre sí
CA2423422A1 (en) Structure utilizing geothermal energy
KR101251709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 모듈을 위한 평지붕형 커튼 월 마운트 조립체
JPH11336232A (ja) 太陽光発電装置付パネル状構造体
EP2065531A1 (en) Brick in transparent material
KR101078796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구조
CN218292386U (zh) 一种幕墙单元、光伏幕墙及建筑物
KR102303714B1 (ko) 태양광 패널용 창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20050121650A (ko)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GB2426984A (en) Solar heating system comprising a heat transfer fluid flowing through bricks including apertures
WO2019085537A1 (zh) 移动房屋用墙板及移动房屋
KR101553402B1 (ko) 패널이 장착된 프레임, 이를 이용한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WO2011152311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備えたカーテンウォール
CN209855009U (zh) 光伏幕墙
ES2643633T3 (es) Módulo fotovoltaico para muros cortina y muro cortina que comprende tales módulos fotovoltaicos
CN211172690U (zh) 一种隔热性能好的围护结构
KR102483939B1 (ko) 화염 차단 장치를 구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장치
EP3367018B1 (en) Modular panel for making covering structures
US11732474B1 (en) Modular wall and façade systems for distributing energy or signals in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