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352B1 -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352B1
KR101930352B1 KR1020150163019A KR20150163019A KR101930352B1 KR 101930352 B1 KR101930352 B1 KR 101930352B1 KR 1020150163019 A KR1020150163019 A KR 1020150163019A KR 20150163019 A KR20150163019 A KR 20150163019A KR 101930352 B1 KR101930352 B1 KR 101930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ignage
digital signage
multivis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9126A (ko
Inventor
이성희
노현석
신일홍
이은준
이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3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에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를 호출하는 단계; 및 컨텐츠 분배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상기 호출된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분배 서버는, 상기 제어 단말에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고,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에 대해 분할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제어 단말이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비용을 감소시키고, 확장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METHOD FOR MULTIVISION SERVICE USING SMART SIGNAGE}
본 발명은,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옥외에 초고해상도 대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 다수의 스크린을 연동하여 하나의 커다란 스크린으로 활용하는 멀티비전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멀티비전 기술들은 제작 비용이 높고 설치가 복잡하여 확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텐츠를 배포하는 방식에 있어서 컨텐츠를 로컬 저장 장치에 보관하는 방식은 컨텐츠 보관을 위해 많은 저장공간이 필요하고 컨텐츠를 변경 및 확장시에 관리자가 직접 방문해야 하며,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트리밍 방식은 실시간으로 콘텐츠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적은 저장공간을 차지하는 반면에 전송지연에 따른 스크린간 동기 불일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멀티비전의 설치 복잡도를 낮추고 확장성 및 운영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새로운 멀티비전 서비스를 위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멀티비전 제어를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없이 스마트 사이니지의 조합으로 멀티비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설치 복잡도를 낮추고 확장성 및 운영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웹 기반으로 멀티비전의 각 스크린에 분할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고 각 스크린간 동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이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어 단말이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에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를 호출하는 단계; 및 컨텐츠 분배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상기 호출된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분배 서버는, 상기 제어 단말에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고,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에 대해 분할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이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어 단말이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에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은,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전달된 재생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이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어 단말이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상기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를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는,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단말의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의 컨텐츠 간에 동기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이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은, 상기 제어 단말의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의 컨텐츠 간의 동기화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분배 서버에 변경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분할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이 수행하는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이 수행하는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컨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제어 단말이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제어 요청과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어 요청과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분배 서버에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에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분배 서버에 요청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상기 호출된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분배 서버는, 상기 제어 단말에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에 대해 분할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이 수행하는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과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시작을 제어하는 시작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이 수행하는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이 수행하는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동기화를 제어하는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동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이 수행하는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동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분배 서버로 상기 변경된 시간 정보에 매칭되는 분할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서버가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관리 서버가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제어 단말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의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출 요청에 따라 로드된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제어 단말이 컨텐츠를 재생하면, 상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제어 요청과 주소 정보를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으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의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말은, 컨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재생하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은, 컨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분할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서버가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관리 서버가 수행하는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어 단말과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에서 재생되는 분할된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멀티비전 제어를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없이 디지털 사이니지의 조합으로 멀티비전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설치 복잡도를 낮추고 확장성 및 운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웹 기반으로 멀티비전의 각 스크린에 분할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고 각 스크린간 동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이 연결된 장소면 어느 곳에서나 새로운 컨텐츠를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멀티비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웹 기반으로 컨텐츠를 전송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시스템 구축과 확장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제어 장치 없이 디지털 사이니지의 배열과 웹 기반의 스트리밍으로 멀티비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설치 비용을 감소시키고, 확장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컨텐츠를 추가 및 변경할 경우, 수동으로 컨텐츠를 분배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자의 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으로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으로서, 컨텐츠 재생 시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으로서, 컨텐츠의 동기화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으로서, 컨텐츠 재생 제어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으로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하여 멀티 비전 컨텐츠를 전송 및 동기화하기 위한 구조 및 구성을 알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설치된 디지털 디스플레이로서, 정보, 엔터테인먼트, 광고 등을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일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은, 제어 단말(110), 컨텐츠 관리 서버(120), 컨텐츠 분배 서버(130), 디지털 사이니지들(140), 웹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어 단말(110), 컨텐츠 관리 서버(120), 컨텐츠 분배 서버(130), 디지털 사이니지들(140), 웹 서버는, 메모리, 프로세서, 데이터 송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110)은, 경우에 따라서, 스마트 폰,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단말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들(140)은, 2개 이상의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141, 14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는, 제어 단말(110), 컨텐츠 관리 서버(120), 컨텐츠 분배 서버(130), 디지털 사이니지들(140)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장치가 연결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는, 경우에 따라서, 제어 단말(110), 컨텐츠 관리 서버(120), 컨텐츠 분배 서버(130), 디지털 사이니지들(14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서비스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웹 서버는, 디지털 사이니지들(140) 중 다른 디지털 사이니지(141, 142) 간의 연결을 서비스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웹 서버는, 컨텐츠 관리 서버(120), 컨텐츠 분배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에 구축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들(140)은 상당한 크기의 컨텐츠를 표현하기 위해, 모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당의 크기의 컨텐츠는 각 부분들이 분할되어 디지털 사이니지들(14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110)은, 관리자로부터 디지털 사이니지에 재생되는 멀티비전(multivision)의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하여, 시작, 정지, 건너뛰기 등의 제어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120)는, 멀티비전의 컨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141, 142)에 분배하고 각 사이니지 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분배 서버(130)는, 실제 컨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들(140)과 제어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들(140)은, 컨텐츠 분배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141, 142)는,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141, 142)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141, 142)는, 사이니지의 관리자들이 사이니지를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을 통해서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스마트 사이니지일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141, 142)는, 온라인을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분배 서버(130)는, 스트리밍 방식으로서, UDP, RTP/RTSP, HTTP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컨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141, 142)에 스트리밍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141, 142)는, 스트리밍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분배 서버(130)는, 분할된 영상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컨텐츠의 분배가 용이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컨텐츠가 전송되면서 발생하는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지털 사이니지 디지털 사이니지들(140)의 컨텐츠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고품질의 멀티비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디지털 사이니지들(140)을 활용하여 멀티비전의 컨텐츠를 전송하고,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기술적 제약이나 비용의 한계를 넘는 크기의 컨텐츠를 표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140)을 모아서 배치하고 컨텐츠의 전체 영상의 각 부분들을 분할한 뒤 각각의 디지털 사이니지(14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하는 멀티비전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멀티비전 서비스의 설치 복잡도를 낮추고 확장성 및 운영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들(141, 142)에 멀티비전의 컨텐츠를 전송하고, 각 디지털 사이니지들(140)의 화면에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컨텐츠를 동기화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110)은, 컨텐츠 선택부, 플레이어 호출부, 컨텐츠 재생부, 컨텐츠 제어 정보 전송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선택부, 플레이어 호출부, 컨텐츠 재생부, 컨텐츠 제어 정보 전송부는, 메모리, 프로세서, 데이터 송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제어 단말(110)의 컨텐츠 선택부는,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단말(110)의 플레이어 호출부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120)에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호출된 플레이어는 비디오 플레이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어 단말(110)의 컨텐츠 재생부는, 컨텐츠 분배 서버(130)에 저장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호출된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분배 서버(130)는, 제어 단말(110)에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고,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에 대해 분할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단말(110)의 컨텐츠 제어 정보 전송부는, 컨텐츠 관리 서버(120)에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은, 컨텐츠 관리 서버(120)를 통하여 전달된 재생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단말(110)의 컨텐츠 제어 정보 전송부는,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를 컨텐츠 관리 서버(12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관리 서버(120)는, 제어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와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단말(110)의 컨텐츠와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140)의 컨텐츠 간에 동기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은, 제어 단말(110)의 컨텐츠와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140)의 컨텐츠 간의 동기화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컨텐츠 분배 서버(130)에 변경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분할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은, 컨텐츠 제어 정보 수신부, 컨텐츠 정보 관리부, 플레이어 호출부, 컨텐츠 재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어 정보 수신부, 컨텐츠 정보 관리부, 플레이어 호출부, 컨텐츠 재생부는, 메모리, 프로세서, 데이터 송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의 컨텐츠 제어 정보 수신부는, 컨텐츠 관리 서버(120)로부터 제어 단말(110)이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제어 요청과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어 정보 수신부는, 컨텐츠의 시작을 제어하는 시작 제어 신호를 컨텐츠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의 컨텐츠 정보 관리부는, 수신한 제어 요청과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분배 서버(130)에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의 플레이어 호출부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120)에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를 호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의 컨텐츠 재생부는, 컨텐츠 분배 서버(130)에 요청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호출된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분배 서버(130)는, 제어 단말(110)에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고,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에 대해 분할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의 컨텐츠 제어 정보 수신부는, 컨텐츠 관리 서버(120)로부터 동기화를 제어하는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다음으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의 컨텐츠 정보 관리부는, 수신된 동기 제어 신호에 따라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 관리부는, 수신된 동기 제어 신호에 따라 컨텐츠 분배 서버(130)로 변경된 시간 정보에 매칭되는 분할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관리 서버(120)는, 플레이어 호출 수신부, 컨텐츠 제어 관리부, 컨텐츠 동기화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어 호출 수신부, 컨텐츠 제어 관리부, 컨텐츠 동기화부는, 메모리, 프로세서, 데이터 송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컨텐츠 관리 서버(120)의 플레이어 호출 수신부는, 제어 단말(110)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의 호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관리 서버(120)의 컨텐츠 제어 관리부는, 호출 요청에 따라 로드된 플레이어를 통해 제어 단말(110)이 컨텐츠를 재생하면,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제어 요청과 주소 정보를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관리 서버(120)의 플레이어 호출 수신부는,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으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의 호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단말(110)은, 컨텐츠 분배 서버(130)로부터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재생하고,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은, 컨텐츠 분배 서버(130)로부터 분할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관리 서버(120)의 컨텐츠 동기화부는, 제어 단말(110)과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141, 142)에서 재생되는 분할된 컨텐츠를 동기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관리 서버(120) 또는 컨텐츠 분배 서버(130)는, 경우에 따라서, 분할된 컨텐츠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HTTP 기반의 스트림 동기화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관리 서버(120) 또는 컨텐츠 분배 서버(130)는, 비디오 스트림 내의 타임스탬프(time-stamp)를 스트림 동기화 기준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타임스탬프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 PTS(presentationtime-stamp), CTS(composition time-stamp)등 스트림의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하여 멀티비전의 컨텐츠를 전송하고, 동기화하는 방식을 알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210)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제어 단말(210)은 Wifi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 단말(210)은,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수 있으며,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컨텐츠 관리 서버(220)의 플레이어를 로드할 수 있다. 물론, 로드된 플레이어는 비디오 플레이어일 수도 있다. 한편, 제어 단말(210)은,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여, 컨텐츠를 시작하거나, 정지하거나, 또는 건너뛰기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210)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어디서나 멀티비전의 컨텐츠를 변경, 시작, 정지, 또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시간대를 변경하도록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210)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와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단말(210)은, 카메라가 센싱한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영상을 컨텐츠로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 서버 및 컨텐츠 분배 서버를 통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들 중 터치가 입력된 디지털 사이니지들을 제어 단말(210)이 제어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제어 단말(210)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들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멀티 터치될 경우, 터치된 디지털 사이니지들의 이미지에 매칭되는 디지털 사이니지들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210)은, 디지털 사이니지들이 배치된 구조물과 연동되어 디지털 사이니지들의 간극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단말(210)은, 경우에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들의 간극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210)은, 제어 단말(210)은, 디지털 사이니지들의 센서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디지털 사이니지들에 근접할 경우, 제어 단말(210)에 디지털 사이니지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디지털 사이니지들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사이니지의 ID, 디지털 사이니지의 크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저장 공간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관리 서버(220)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컨텐츠 관리 서버(220)는, 웹 서버로서 운영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220)는, 웹 서버를 통해서 컨텐츠 제어 및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220)는, 멀티비전 서비스를 위해서 분할된 컨텐츠를 각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에 할당하고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 간의 동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관리 서버(220)는, 플레이어 제공부(221), 동기화부(222), 컨텐츠 제어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컨텐츠 관리 서버(220)는, 웹 서버(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어 제공부(221)는, 비디오 플레이어와 같은 플레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어는 웹 서버를 통해서 제어 단말(210)과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의 웹 브라우저에 호출될 수 있다. 물론, 플레이어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 분배 서버(230)로부터 획득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 제공부(221)는, 호출된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제어 단말(210)과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 각각이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를 동기화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는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재생 시간 또는 재생 시간대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플레이어 제공부(221)는, 제어 단말(210)에 입력된 제어 명령으로서 시작, 정지, 건너뛰기와 같은 제어를 나타내는 재생 제어 신호를 컨텐츠 제어부(223)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부(222)는 비디오 플레이어로부터 제어 단말(210)과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시간대에 관한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동기화부(222)는,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에 재생되는 컨텐츠 간의 동기를 체크하고, 동기가 어긋난 디지털 사이니지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동기가 어긋난 디지털 사이니지에 동기를 요청하도록 동기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동기화부(222)는,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의 재생 시간과 제어 단말(210)의 재생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부(222)는,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의 재생 시간과 제어 단말(210)의 재생 시간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동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어부(223)가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들의 재생 시간 또는 재생하는 시간대를 수정할 것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어부(223)는, 멀티비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 각각에 대응하는 분할된 컨텐츠의 주소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어부(223)는, 분할된 컨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에 맵핑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어부(223)는, 플레이어 제공부(221)와 동기화부(222)로부터 컨텐츠 제어에 관한 요청으로서 시작 제어 신호 또는 재생 제어 신호, 또는 동기 제어 신호와 분할된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인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어부(223)는, 웹 소켓을 이용하여, 시작 제어 신호, 재생 제어 신호, 동기 제어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들은, 컨텐츠 제어부(223)에서 수신한 주소 정보와 제어 신호에 따라 웹 서버를 통해 컨텐츠 분배 서버(230)에 분할된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들은, 컨텐츠 분배 서버(230)로부터 수신한 분할된 콘텐츠를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분배 서버(230)는, 멀티비전 서비스를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에 매칭되도록 분할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분배 서버(230)는,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의 요청에 따라 웹 서버를 이용해서 분할된 컨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220)는, 컨텐츠의 시작, 정지, 시간대 변경을 제어하도록 시작 제어 신호, 재생 제어 신호, 동기 제어 신호를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관리 서버(220)는,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을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의 공간적 배치를 기술할 수 있는 XML 기반의 텍스트 포맷을 이용하여,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 등의 컨텐츠들 간의 재생을 위한 스케줄링을 관리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관리 서버(220)는, SMIL을 이용하여, 컨텐츠 객체의 식별 정보, 재생 형식, 스케줄링, 화면 배치, 애니메이션, 화면 전환, 상호작용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재생 조건 등을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분배 서버(230)는, 멀티비전 서비스를 위해서 컨텐츠를 둘 이상의 분할된 영상 컨텐츠로서 분할하여 분할된 컨텐츠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분배 서버(230)는, HLS(HTTP Live streaming), HDS(HTTP Dynamic Streaming), Smooth Streaming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Progressive Download, RTP/RTSP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멀티비전의 컨텐츠를 스트리밍화하여 분할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는, 컨텐츠 관리 서버(22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분배 서버(23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는, HTML5의 비디오 태그, 플러그인 플레이어 등 웹 기반의 비디오 플레이어를 이용해서 멀티비전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는, 재생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로서 재생 시간을 컨텐츠 관리 서버(22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210)은, 디지털 사이니지의 관리자가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관리를 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에 재생되는 멀티비전의 컨텐츠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210)은, 디지털 사이니지의 관리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할 경우, 입력된 제어에 대한 요청으로서, 컨텐츠의 시작, 정지, 시간대 변경을 하도록 시작 제어 신호, 재생 제어 신호,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를 포함하여 멀티비전의 가상화를 서비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단말(210)과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들은, 모니터링 및 멀티비전의 컨텐츠 재생을 위해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플레이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210)과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들은, 요청된 플레이어를 로딩하여, 화면에 플레이어 및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단말(210)은,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에 디스플레이할 멀티비전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단말(210)은, 시작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재생의 시작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관리 서버(220)의 컨텐츠 제어부(223)가 제어 단말(210)의 시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각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에 맵핑되는 분할된 컨텐츠의 주소를 생성 및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220)의 컨텐츠 제어부(223)는, 시작 제어 신호와 분할된 컨텐츠의 주소로서 주소 정보를 동시에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들은, 수신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분배 서버(230)에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단말(210)과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들은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로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재생 시간 및 재생 시간대를 컨텐츠 관리 서버(220)의 동기화부(222)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기화부(222)는, 동기가 어긋난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기화부(222)는, 동기가 어긋난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가 있을 경우, 동기 요청을 위해 동기 제어 신호를 컨텐츠 제어부(223)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어부(223)은, 동기 요청으로서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경우, 동기 필요성이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에 동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동기 제어 신호를 참조하여, 컨텐츠 분배 서버(230)에 재생 시간에 맞는 분할된 컨텐츠를 다시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제어 단말(210)의 재생 시간대를 기준으로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에서 재생 중인 분할 컨텐츠들의 동기를 맞출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멀티비전의 컨텐츠 제어 단말(210)과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재생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대와 다른 재생 시간을 비교하여 동기가 어긋난 디지털 사이니지(241, 242)를 찾아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으로서, 컨텐츠 재생 시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의 컨텐츠 전송 방식의 단계를 알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310)과 디지털 사이니지(340)들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컨텐츠 관리 서버(320)의 플레이어 제공부로 플레이어를 호출하여 플레이어를 요청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340)들은 제어 단말(310)보다 먼저 컨텐츠 관리 서버(320)의 플레이어 제공부로 플레이어를 호출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340)들은 제어 단말(310)이 플레이어를 호출한 이후 컨텐츠 관리 서버(320)의 플레이어 제공부로 플레이어를 호출할 수도 있으며, 동시에 플레이어를 컨텐츠 관리 서버(320)의 플레이어 제공부로 호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단말(310)과 디지털 사이니지(340)들은 요청된 플레이어를 로딩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단말(310)과 디지털 사이니지(340)들은 경우에 따라서, 로딩 및 수신된 플레이어를 제어 단말(310)과 디지털 사이니지(340)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물론, 플레이어는 비디오 플레이어일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다른 영상 플레이어일 수도 있다. 제어 단말(310)은,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컨텐츠 재생의 시작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320)의 컨텐츠 제어부는 제어 단말(310)로부터 컨텐츠 재생의 시작을 요청 받을 경우, 분할된 컨텐츠의 주소인 주소 정보와 함께 컨텐츠의 시작을 제어하는 시작 제어 신호를 디지털 사이니지(340)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시작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340)들은 자신에 할당된 분할된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33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분배 서버(330)는 분할된 컨텐츠를 요청한 디지털 사이니지(340)들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340)들 각각은 분할된 컨텐츠를 수신할 경우, 재생하기 위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320)에 플레이어를 호출할 수도 있다. 이때, 디지털 사이니지(340)들 각각은, 호출된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분할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단말(310)은 멀티비전 모니터링 및 컨텐츠 제어를 위해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로서 제어용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33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분배 서버(330)는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제어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310)은, 경우에 따라서, 플레이어를 재호출할 수도 있다. 물론, 제어 단말(310)은, 호출된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으로서, 컨텐츠의 동기화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의 컨텐츠 동기화 방식의 단계를 알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410)과 디지털 사이니지(440)들은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시간대 정보인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를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동기화부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사이니지(440)들은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시간대 정보를 제어 단말(410)보다 먼저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동기화부에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440)들은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시간대 정보인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제어 단말(410)이 전송한 이후 또는 제어 단말(410)이 전송할 경우 동시에 시간 정보를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동기화부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시간 정보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일 수도 있다.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동기화부는 제어 단말(410)로부터 수신한 시간 정보와 디지털 사이니지(440)로부터 수신한 시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동기화부는 수신된 시간 정보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으로 차이가 있을 경우,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컨텐츠 제어부에 컨텐츠 재생 시간대를 조절할 디지털 사이니지(440)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동기 제어 신호와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로서 동기 시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동기화부는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컨텐츠 제어부에 컨텐츠 재생 시간대를 조절할 디지털 사이니지(440)에 관한 정보와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로서 동기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컨텐츠 제어부는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동기화부로부터 동기 요청을 획득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컨텐츠 제어부는 획득된 디지털 사이니지(440)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하기 위하여 동기 시간의 수정이 필요한 디지털 사이니지(440)에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의 재생 시간대 정보 및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에 대한 시간 정보로서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동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440)는 컨텐츠 분배 서버(430)에 수정된 동기 시간으로서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매칭되는 분할된 컨텐츠를 다시 요청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관리 서버(420)의 동기화부는 주기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440)들과 제어 단말(410) 간의 동기를 체크하여, 주기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440)들 또는 제어 단말(41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동기화를 위한 동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 동기 제어 신호는 제어 단말(410)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44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440)들 또는 제어 단말(41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동기화를 위한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동기화를 위하여, 수정해야 될 재생 시간에 해당되는 분할된 컨텐츠 또는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430)에 요청할 수 있다. 물론,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수정해야 될 재생 시간에 해당되는 분할된 컨텐츠 또는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430)로부터 수신하여, 수정된 재생 시간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으로서, 컨텐츠 재생 제어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단말(510)로부터 획득된 재생 제어 신호로서 일시 정지, 다시 시작, 빠르게 감기와 같은 재생 기능을 부가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520)를 통하여 디지털 사이니지(540)를 제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510)은, 일시 정지를 나타내는 재생 제어 신호를 컨텐츠 관리 서버(52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제어 단말(510)은, 수신한 재생 제어 신호를 디지털 사이니지(5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시 정지를 나타내는 재생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540), 수신한 재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를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510)은, 다시 시작을 나타내는 재생 제어 신호를 컨텐츠 관리 서버(52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제어 단말(510)은, 수신한 재생 제어 신호를 디지털 사이니지(5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다시 시작을 나타내는 재생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540), 수신한 재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일시 정지하고 있는 컨텐츠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540)는, 다시 시작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서, 분할된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540)는, 다시 시작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이 "00:58"일 경우, 재생 시간 "00:58"에 매칭되는 분할된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재생 시간 "00:58"에 매칭되는 분할된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540)는, 재생 시간 "00:58"에 매칭되는 분할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540)는,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정된 재생 시간에 해당되는 분할된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로 다시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단말(510)은, 다시 시작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서,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에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510)은, 빨리 감기를 나타내는 재생 제어 신호를 컨텐츠 관리 서버(52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제어 단말(510)은, 수신한 재생 제어 신호를 디지털 사이니지(5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빨리 감기를 나타내는 재생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540), 수신한 재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일시 정지 또는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를 빨리 감기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540)는, 빨리 감기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서, 분할된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540)는, 분할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540)는,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정된 재생 시간에 해당되는 분할된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로 다시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단말(510)은, 빨리 감기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서,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에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510)은, 배속 재생을 나타내는 재생 제어 신호를 컨텐츠 관리 서버(52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제어 단말(510)은, 수신한 재생 제어 신호를 디지털 사이니지(5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배속 재생을 나타내는 재생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540), 수신한 재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를 배속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한 재생 제어 신호가 0.5배속을 나타내는 신호일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540)는, 1배속 재생되는 컨텐츠를 0.5배속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540)는, 배속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서, 분할된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540)는, 분할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540)는, 동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정된 재생 시간에 해당되는 분할된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로 다시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단말(510)은, 배속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서, 분할되지 않은 컨텐츠를 컨텐츠 분배 서버(53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멀티비전 제어를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없이 디지털 사이니지의 조합으로 멀티비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설치 복잡도를 낮추고 확장성 및 운영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웹 기반으로 멀티비전의 각 스크린에 분할된 컨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에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고, 디지털 사이니지 각 스크린간 동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웹 기반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분배 및 제어하고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종류와 상관 없이 멀티비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인터넷이 연결된 장소이면, 어느 곳에서나 새로운 컨텐츠의 추가 및 삭제를 할 수 있으며, 디지털 사이니지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멀티비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컨텐츠 및 디지털 사이니지 추가 및 변경에 따른 컨텐츠의 분배가 용이하도록 웹 기반으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고, 다수의 디지털 사이니지에 컨텐츠를 분할하여 출력하기 위한 동기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웹 기반으로 컨텐츠를 전송하고 동기화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과 확장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별도의 제어 장치 없이 디지털 사이니지의 배열과 웹 기반의 스트리밍으로 멀티비전 서비스 구성이 용이하므로,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확장이 용이하다. 또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컨텐츠가 추가 및 변경될 때 수동으로 컨텐츠를 분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디지털 사이니지의 관리자의 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재생하므로, 별도의 제어 장치 없이 스마트 사이니 단말을 추가함으로써 멀티비전의 크기를 확장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독립적으로 사용하던 스마트 사이니지 단말을 멀티비전 서비스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콘텐츠 추가 및 분할 비율 변경을 위해서 직접 사이니지를 방문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 및 운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은, 스마트 사이니지마다 중복된 콘텐츠를 저장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을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단말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제1 재생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각각에서 재생되는 분할된 컨텐츠의 제2 재생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재생 시간 및 상기 제2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단말과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을 동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된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가 분할되어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즈들로 전송된 컨텐츠인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분할된 컨텐츠는 스트리밍 형태로 재생되는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재생 시간 및 상기 제2 재생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재생 시간과 상기 제2 재생 시간의 시간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재생 시간을 동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 시간을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 중에서 동기가 어긋난 적어도 하나를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신호는 상기 동기가 어긋난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 및 동기화하기 위한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KR1020150163019A 2015-11-20 2015-11-20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KR101930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019A KR101930352B1 (ko) 2015-11-20 2015-11-20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019A KR101930352B1 (ko) 2015-11-20 2015-11-20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126A KR20170059126A (ko) 2017-05-30
KR101930352B1 true KR101930352B1 (ko) 2018-12-19

Family

ID=5905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019A KR101930352B1 (ko) 2015-11-20 2015-11-20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149B1 (ko) 2017-10-19 2019-04-26 (주)엠그라스프 채팅 방식에 기반한 네트워크 상에서의 디지털기기 제어 시스템
US20220292545A1 (en) * 2019-06-25 2022-09-15 Panline Inc. Shared signboard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6017A (ja) * 2011-04-15 2012-11-15 Panasonic Corp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及びサイネージ端末管理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3721B (zh) * 2006-01-31 2016-05-11 內數位科技公司 無線通信系統中提供及利用非競爭基礎頻道方法及裝置
KR101045321B1 (ko) * 2009-09-17 2011-06-29 주식회사 디지털존 동기화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30056737A (ko) * 2011-11-22 2013-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77034B1 (ko) * 2012-10-19 2018-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비전 가상화 시스템 및 가상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97790B1 (ko) * 2013-01-25 2015-03-06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7466A (ko) * 2013-11-25 2014-02-11 조인수 Did 기반의 콘텐츠 인스턴트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6017A (ja) * 2011-04-15 2012-11-15 Panasonic Corp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及びサイネージ端末管理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126A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723B2 (en) Multi-streaming multimedia data
JP5580302B2 (ja) ピアツーピア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放送シーディング
JP5979483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20100169906A1 (en) User-Annotated Video Markup
US20130290848A1 (en) Connected multi-screen video
WO2021129277A1 (zh) 直播视频的回看方法及设备
US8739041B2 (en) Extensible video insertion control
KR20170074866A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80160195A1 (en) Techniques for seamless media content switching during fixed-duration breaks
CN106060606A (zh) 数字视听场所的大屏分区显示方法、播放终端、系统及数字点播系统
WO2017154406A1 (ja) 広告配信サーバ、番組配信サーバ及び再生端末、並びに映像配信システム
US201403448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peech to Text Converted Audio with Streaming Video Content Data
KR101593780B1 (ko) 상이한 디바이스들에 걸친 콘텐츠의 끊김 없는 네비게이션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4581366A (zh) 一种互联网电视播放方法和服务器
WO2016197865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和智能电视系统
US9294803B2 (en) Kiosk set-top-box
KR101930352B1 (ko)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CN111669605B (zh) 多媒体数据与其关联互动数据的同步方法和装置
US20180324480A1 (en) Client and Method for Playing a Sequence of Video Streams, and Corresponding Serv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306276B2 (en) Information device
US10219024B2 (en) Transmission apparatus, metafil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processing method
US107718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emptive advertisement caching to optimize network traffic
US20120151538A1 (en) Method for interactive delivery of multimedia content, content production entity and server entity for realizing such a method
JP2012528501A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配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50032900A1 (en) System for seamlessly switching between a cloud-rendered application and a full-screen video sourced from a content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