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338B1 -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338B1
KR101930338B1 KR1020180070911A KR20180070911A KR101930338B1 KR 101930338 B1 KR101930338 B1 KR 101930338B1 KR 1020180070911 A KR1020180070911 A KR 1020180070911A KR 20180070911 A KR20180070911 A KR 20180070911A KR 101930338 B1 KR101930338 B1 KR 10193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area
normal
built
integ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근호
Original Assignee
임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근호 filed Critical 임근호
Priority to KR1020180070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다수개의 공사유형들에 따라 각각 일반면적 또는 천장면적 중 적어도 하나의 공사면적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적산계산부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공사유형과 공사면적값에 기초하여 공사면적값의 특정 구간에서 서로 다른 계산식에 따라 적산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사유형들은 도배공사, 석고보드공사, 도장공사, 몰딩공사, 마루공사, 데코타일공사, 장판공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Automatic calculation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type}
본 발명은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사유형 및 공사면적에 따라 인건비에 대한 표준견적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적산은 건축물 공사에 필요한 모든 경비를 계산하여 누적하는 것을 말하며, 사용자재의 종별, 수량 및 품질, 소요시간등을 조사하고 각각의 단가에 자재량 및 노동량을 곱하여 건축물 등 전체의 이른바 추정공사 가격을 계산한다.
건축물 하자에 의해 발생한 손해가 보험의 목적에 해당되는지 여부와 손해액을 평가 및 결정하고 보상금을 지급하는 손해사정업은 손해사정시 이러한 적산방식을 활용하고 있으나, 손해사정법인 담당자들에 의해 산출하는 견적은 담당자별로 상이하고 적정성 판단의 기준이 불명확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분쟁이 발생하거나 행정력이 낭비되고 있으며, 자재비에 비해 특히 인건비에 대한 의견차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선행문헌으로는 국내공개특허2001-0007721호(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적산 및 견적 제공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부표준 노임단가에 기초하여 공사유형 및 공사 면적만 입력하면 인건비를 표준화시켜 견적이 자동으로 산출되는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공사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적산을 계산하는 방법은,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다수개의 공사유형들에 따라 각각 일반면적 또는 천장면적 중 적어도 하나의 공사면적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적산계산부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공사유형과 공사면적값에 기초하여 공사면적값의 특정 구간에서 서로 다른 계산식에 따라 적산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사유형들은 도배공사, 석고보드공사, 도장공사, 몰딩공사, 마루공사, 데코타일공사, 장판공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공사유형 및 공사면적만 입력하면 공사면적 구간별 합리적인 기준에 의해 자동으로 인건비 견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분쟁을 없애고 손해보험사, 손해사정법인 및 공사업체 3자의 이견을 없애고 상호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공사유형별 적산산출기준과 본발명에 따른 적산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시스템의 GUI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공사유형별 인건비 자동적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건비 자동적산 시스템(10)은 인건비 자동적산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로 구성된다.
인건비 자동적산 서버(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출력부(130), 제어부(140), 적산계산부(150), DB부(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공사유형과 공사면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공사유형은 도배공사, 석고보드공사, 도장공사, 몰딩공사, 마루공사, 데코타일공사, 장판공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사유형별 공사면적을 입력받고, 공사면적은 일반면적 또는 천장면적을 입력받을 수 있고, 적산계산부(150)는 일반면적과 천장면적에 기초하여 환산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천장면적은 작업난이도를 고려하여 정부노임단가에서 명시하고 있는 할증을 적용하여 환산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천장면적은 30%의 할증을 적용하여 환산면적을 계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반면적을 20m2, 천장면적을 10m2 입력한 경우 환산면적은 천장면적에 30% 할증을 적용하여 33m2로 적용하여 인건비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서식 작성에 필요한 웹페이지를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공사유형, 공사면적을 입력받아 입력부(110)로 출력하며, 산출된 적산값을 전송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계산된 적산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인건비 자동적산 서버(100)에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관련한 프로세스의 처리를 제어하며, 인건비 자동적산 서버(100)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적산계산부(150)는 공사유형별로 도배공사 계산모듈(151), 장판공사 계산모듈(152), 마루공사 계산모듈(153), 데코타일공사 계산모듈(154), 도장공사 계산모듈(155), 석고보드공사 계산모듈(156), 몰딩공사 계산모듈(157)에서 인건비를 계산할 수 있다.
적산계산부(150)는 공사면적에 기초하여 특정 구간은 기설정한 임의값에 의해 적산을 계산하는 구간과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적산산출기준에 의해 적산을 계산하는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적산 산출방식의 특성상 비교적 소규모 공사면적의 경우 인건비에 대해 보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며, 필수인력은 1인 기준의 공사면적보다 소규모 공사면적이더라도 1인으로 산정하여 계산하고, 보조인력은 1인 이하라도 소수점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상기 필수인력은 내장인부, 도배인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내장인부가 0.861이면 1인으로 산정하여 계산하고 보통인부가 0.415인이면 0.5인으로 산정하여 계산한다.
철거인부는 소량의 철거인 경우 시공보통인부가 공동작업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산정하지 않고 계산한다. 예컨대, 석고보드 철거면적 22m2까지는 철거인부를 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적산계산부(150)는 공사유형들 중 도배공사의 적산을 계산하는 도배공사모듈을 포함하고, 적산값(S1)= 철거보통인부(X1)+시공도배인부(X2)+시공보통인부(X3) 계산식에 의해 계산된다.
도배공사모듈(151)은 제1면적 이상 내지 제2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도배인부(X2)= 시공도배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7로 계산된다.
도배공사모듈(151)은 제2면적 초과 내지 제3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도배인부(X2)= 시공도배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1.0로 계산된다.
도배공사모듈(151)은 제3면적 초과 내지 제4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도배인부(X2)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도배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1.0로 계산된다.
도배공사모듈(151)은 제4면적 초과 내지 제5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도배인부(X2)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도배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된다.상기 시공도배인부단가와 시공보통인부단가는 임의단가DB로부터 추출된 상수이다.
적산계산부(150)는 공사유형들 중 장판공사의 적산을 계산하는 장판공사모듈(152)을 포함하고, 장판공사모듈(152)은 적산값(S2)= 철거보통인부(X1)+시공내장인부(X4)+시공보통인부(X3)의 계산식에 따라 적산값이 계산된다.
장판공사모듈(152)은 상기 공사면적값이 제1면적 이상 내지 제2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내장인부(X4)=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7로 계산된다.
장판공사모듈(152)은 제2면적 초과 내지 제3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내장인부(X4)= 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1.0로 계산된다.
장판공사모듈(152)은 제3면적 초과 내지 제4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 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된다.
장판공사모듈(152)은 제4면적 초과 내지 제5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내장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된다.
적산계산부(150)는 공사유형들 중 마루공사의 적산을 계산하는 마루공사모듈(153)을 포함하고, 마루공사모듈(153)은 적산값(S3)= 철거보통인부(X1)+시공내장인부(X4)+시공보통인부(X3)의 계산식에 따라 적산값이 계산된다.
마루공사모듈(153)은 제1면적 이상 내지 제2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내장인부(X4)= 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1.0로 계산된다.
마루공사모듈(153)은 제2면적 초과 내지 제3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 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된다.
마루공사모듈(153)은 제3면적 초과 내지 제4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내장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된다.
적산계산부(150)는 공사유형들 중 데코타일공사의 적산을 계산하는 데코타일공사모듈(154)을 포함하고, 데코타일공사모듈(154)은, 적산값(S4)= 철거보통인부(X1)+시공내장인부(X4)+시공보통인부(X3)+시공접착제(X5)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된다.
데코타일공사모듈(154)은 제1면적 이상 내지 제2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내장인부(X4)= 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1.0, 시공접착제(X5)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접착제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된다.
데코타일공사모듈(154)은 제2면적 초과 내지 제3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 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접착제(X5)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접착제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된다.
데코타일공사모듈(154)은 제3면적 초과 내지 제4면적 이하 범위에서, 적산값(S3)= 철거보통인부(X1)+시공내장인부(X4)+시공보통인부(X3)이고, 이때,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내장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접착제(X5)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접착제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된다.
적산계산부(150)는 공사유형들 중 도장공사의 적산을 계산하는 도장공사계산모듈(155)을 포함하고, 상기 도장공사계산모듈(155)은, 적산값(S5)= 철거특별인부(X6)+시공도장인부(X7)+시공보통인부(X3)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된다.
도장공사계산모듈(155)은 제1면적 이상 내지 제2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특별인부(X6)=철거특별인부단가×0.5, 시공도장인부(X7)= 시공도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5로 계산된다.
도장공사계산모듈(155)은 제2면적 초과 내지 제3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특별인부(X6)=철거특별인부단가×1.0, 시공도장인부(X7)= 시공도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5로 계산된다.
도장공사계산모듈(155)은 제3면적 초과 내지 제4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특별인부(X6)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특별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도장인부(X7)= 시공도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5로 계산된다.
도장공사계산모듈(155)은 제4면적 초과 내지 제5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특별인부(X6)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특별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도장인부(X7)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도장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5로 계산된다.
적산계산부(150)는 공사유형들 중 석고보드의 적산을 계산하는 석고보드공사계산모듈(156)을 포함하고, 석고보드계산모듈(156)은 적산값(S6)= 철거건축목공인부(X8)+철거보통인부(X9)+시공내장인부(X4)+시공보통인부(X3)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된다.
석고보드계산모듈(156)은 제1면적 이상 내지 제2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건축목공인부(X8)=철거건축목공인부단가×0.5, 철거보통인부(X9)=0, 시공내장인부(X4)= 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1.0로 계산된다.
석고보드계산모듈(156)은 제2면적 초과 내지 제3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건축목공인부(X8)=철거건축목공인부단가×0.5, 철거보통인부(X9)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석고보드계산모듈(156)은 제3면적 초과 내지 제4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건축목공인부(X8)=철거건축목공인부단가×0.5, 철거보통인부(X9)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내장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석고보드계산모듈(156)은 제4면적 초과 내지 제5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건축목공인부(X8)=철거건축목공인부단가×1, 철거보통인부(X9)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내장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적산계산부(150)는 공사유형들 중 몰딩의 적산을 계산하는 몰딩공사계산모듈(157)을 포함하고, 몰딩공사계산모듈(157)은, 적산값(S7)= 시공내장인부(X4)+시공보통인부(X3)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된다.
몰딩공사계산모듈(157)은 제1면적 이상 내지 제2면적 이하 범위에서, 시공내장인부(X4)=시공내장인부단가×0.5,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2로 계산된다.
몰딩공사계산모듈(157)은 제2면적 초과 내지 제3면적 이하 범위에서, 시공내장인부(X4)=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3로 계산된다.
몰딩공사계산모듈(157)은 제3면적 초과 내지 제4면적 이하 범위에서, 시공내장인부(X4)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내장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3로 계산된다.
몰딩공사계산모듈(157)은 제4면적 초과 내지 제5면적 이하 범위에서, 시공내장인부(X4)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내장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4로 계산된다.
DB부(160)는 적산DB(161)와 임의단가DB(162)를 포함한다.
적산DB(161)는 대한건설협회가 매년 발표하는 정부노임단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부노임단가에는 공사유형별로 단위면적에 따라 시공내장인부, 시공보통인부, 철거보통인부, 시공도배인부, 시공접착제, 철거특별인부, 건축목공인부의 적산산출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임의단가DB(163)은 관리자에 의해 이미 설정된 시공보통인부단가, 시공내장인부단가, 철거특별인부단가, 시공도배인부단가, 철거건축목공인부단가, 시공도장인부단가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다수개의 공사유형들에 입력된 각각의 공사면적값을 입력받는다(S210). 이때, 공사면적값은 공사유형별 공사면적을 입력받고, 공사면적값은 일반면적 또는 천장면적을 입력받을 수 있고, 적산계산부(150)는 일반면적과 천장면적에 기초하여 환산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천장면적은 작업난이도를 고려하여 정부노임단가에서 명시하고 있는 할증을 적용하여 환산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적산계산부는 공사유형과 공사면적값에 기초하여 각각의 모듈이 공사면적값의 특정 구간에서 서로 다른 계산식에 따라 인건비 적산을 계산한다(S220). 적산계산부는 입력된 공사유형에 따라 해당하는 모듈에서 적산을 계산할 수 있다.
출력부는 계산된 적산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30).
도 3 내지 도 9는 공사유형별 적산산출기준과 본발명에 따른 적산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 3은 합판 도배공사에 대한 비교그래프이고, 도 4는 장판공사에 대한 비교 그래프이고, 도 5는 마루공사에 대한 비교그래프이고, 도 6은 데코타일공사에 대한 비교그래프이고, 도 7은 도장공사에 대한 비교그래프이고, 도 8은 석고보드에 대한 비교그래프이고, 도 9는 몰딩공사에 대한 비교그래프이다.
본발명에 따른 적산그래프는 소정의 구간까지는 기본투입인력을 인정함으로써 적산기준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나지만 특정 구간에서부터는 적산견적과 거의 동일하게 계산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시스템의 GUI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배공사의 경우 합판, 석고면의 일반면적과 천장면적 및 콘크리트면의 일반면적과 천장면적을 입력하고, 석고보드공사는 바탕용 1겹 붙임의 일반면적과 천장면적 및 바탕용 2겹 붙임의 일반면적과 천장면적을 입력하고, 도장공사는 수성페인트_롤러칠의 일반면적과 천장면적을 입력하고, 몰딩공사는 철거 시공 포함의 일반면적을 입력하고, 마루공사는 플로어링 마루 기준 일반면적을 입력하고, 데코타일 공사는 플로어링 마루 기준 일반면적을 입력하고, 장판공사는 부분접한 방식의 일반면적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인건비 자동적산시스템 100; 인건비 자동적산 서버
110; 입력부 120; 통신부
130; 출력부 140; 제어부
150; 적산계산부 160; DB부

Claims (5)

  1. 건축물의 공사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적산을 계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다수개의 공사유형들에 따라 각각 일반면적 또는 천장면적 중 적어도 하나의 공사면적값을 입력받는 단계;
    (b) 적산계산부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공사유형과 공사면적값에 기초하여 공사면적값의 특정 구간에서 서로 다른 계산식에 따라 적산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사유형들은 도배공사, 석고보드공사, 도장공사, 몰딩공사, 마루공사, 데코타일공사, 장판공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천장면적은 일반면적의 1.3배로 환산하여 적산을 계산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공사면적값의 특정 구간은 2개의 구간으로 나뉘고,
    제1구간은 임의단가DB에 저장된 시공보통인부단가, 시공내장인부단가, 철거특별인부단가, 시공도배인부단가, 철거건축목공인부단가, 시공도장인부단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적산을 계산하는 구간이고, 필수인력은 1인 기준의 공사면적보다 소규모 공사면적이더라도 1인으로 산정하여 계산하고, 보조인력은 1인 이하라도 소수점을 적용하여 계산하고,
    제2구간은 적산DB부터 추출된 적산산출기준에 의해 적산을 계산하는 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적산산출기준은 정부노임단가에 의하며, 상기 정부노임단가에는 공사유형별로 단위면적에 따라 시공내장인부, 시공보통인부, 철거보통인부, 시공도배인부, 시공접착제, 철거특별인부, 건축목공인부의 적산산출기준이 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산계산부는 공사유형들 중 도배공사의 적산을 계산하는 도배공사모듈을 포함하고,
    도배공사모듈은 적산값(S1)= 철거보통인부(X1)+시공도배인부(X2)+시공보통인부(X3)의 계산식에 따라 적산값이 계산되고,
    제1면적 이상 내지 제2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도배인부(X2)= 시공도배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7로 계산되고,
    제2면적 초과 내지 제3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도배인부(X2)= 시공도배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1.0로 계산되고,
    제3면적 초과 내지 제4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도배인부(X2)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도배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1.0로 계산되고,
    제4면적 초과 내지 제5면적 이하 범위에서,
    적산값(S4)= 철거보통인부(X1)+시공도배인부(X2)+시공보통인부(X3)이고, 이때,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도배인부(X2)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도배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되고,
    상기 시공도배인부단가와 시공보통인부단가는 임의단가DB로부터 추출된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산계산부는 공사유형들 중 장판공사의 적산을 계산하는 장판공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판공사모듈은,
    적산값(S2)= 철거보통인부(X1)철거보통인부(X1)(X4)+시공보통인부(X3)의 계산식에 따라 적산값이 계산되고,
    상기 공사면적값이 제1면적 이상 내지 제2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내장인부(X4)=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0.7로 계산되고,
    제2면적 초과 내지 제3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내장인부(X4)= 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1.0로 계산되고,
    제3면적 초과 내지 제4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 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되고,
    제4면적 초과 내지 제5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내장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되고,
    상기 시공내장인부단가와 시공보통인부단가는 임의단가DB로부터 추출된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산계산부는 공사유형들 중 마루공사의 적산을 계산하는 마루공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마루공사모듈은,
    적산값(S3)= 철거보통인부(X1)+시공내장인부(X4)+시공보통인부(X3)의 계산식에 따라 적산값이 계산되고,
    제1면적 이상 내지 제2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0, 시공내장인부(X4)= 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시공보통인부단가×1.0로 계산되고,
    제2면적 초과 내지 제3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 시공내장인부단가×1.0,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되고,
    제3면적 초과 내지 제4면적 이하 범위에서, 철거보통인부(X1)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철거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내장인부(X4)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내장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시공보통인부(X3)는 적산DB로부터 추출된 시공보통인부 적산산출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적산값이 계산되고,
    상기 시공내장인부단가와 시공보통인부단가는 임의단가DB로부터 추출된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KR1020180070911A 2018-06-20 2018-06-20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 KR10193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11A KR101930338B1 (ko) 2018-06-20 2018-06-20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11A KR101930338B1 (ko) 2018-06-20 2018-06-20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338B1 true KR101930338B1 (ko) 2018-12-18

Family

ID=6495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911A KR101930338B1 (ko) 2018-06-20 2018-06-20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90A (ko) * 2019-05-08 2020-11-18 임근호 사고복구 현장조사 입력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55311B1 (ko) 2022-06-15 2022-10-18 권오훈 Ai 기반의 설비 도면 자동 적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657A (ja) * 2000-08-03 2002-02-15 Fuji Computer System Kk 建築積算装置及び建築積算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109279A (ja) * 2000-07-04 2002-04-12 Toshimi Yoshihara インターネットによる不動産リフォームのダイレクトシステム
JP2003064873A (ja) * 2001-08-30 2003-03-05 Sumitomo Forestry Co Ltd 工事自動解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9279A (ja) * 2000-07-04 2002-04-12 Toshimi Yoshihara インターネットによる不動産リフォームのダイレクトシステム
JP2002049657A (ja) * 2000-08-03 2002-02-15 Fuji Computer System Kk 建築積算装置及び建築積算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3064873A (ja) * 2001-08-30 2003-03-05 Sumitomo Forestry Co Ltd 工事自動解析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90A (ko) * 2019-05-08 2020-11-18 임근호 사고복구 현장조사 입력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03961B1 (ko) * 2019-05-08 2021-01-15 임근호 사고복구 현장조사 입력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55311B1 (ko) 2022-06-15 2022-10-18 권오훈 Ai 기반의 설비 도면 자동 적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mas Schedule acceleration, work flow, and labor productivity
Eccles Bureaucratic versus craft administration: the relationship of market structure to the construction firm
Poon et al. Reducing building waste at construction sites in Hong Kong
KR101930338B1 (ko) 건축물 공사유형별 자동 적산 계산 방법 및 시스템
Forcada et al. Posthandover housing defects: Sources and origins
Hung et al. Professionals views on material wastage level and causes of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in Malaysia
Rani The impact of construction waste to the environmental on project development in Aceh
Riemer “Mistakes at Work” the Social Organization of Error in Building Construction Work
Mandelstamm The Effects of unions on efficiency in the residential construction industry: A case study
Ugochukwu et al. An on-site quantification of building material wastage on construction projects in Anambra State, Nigeria: A comparison with the literature
Langford et al. Does quality assurance deliver higher productivity?
Charles et al. Construction project change: Investigating cost and benefits
Ward et al.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batch size reduction in construction
Al-Hussein et al. North Ridge CO2 analysis report: comparison between modular and on-site construction
Andi et al. Owner and contractor perceptions toward factors causing delays in structural and finishing works
KR102203961B1 (ko) 사고복구 현장조사 입력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AVID Construction Craftsmen’s Availability and Project Performance in Selected Southwestern States, Nigeria
Matsuura et al. Setting planned lead times for multi-operation jobs
Chan et al. Modelling labour demand at project level—an empirical study in Hong Kong
CN114638437A (zh) 人工消耗量确定方法、装置及电子设备
Jovanovic Buildings’ Site Management and Supervision: Cost Analysis of Labor Positions
Hurtado-Figueroa et al. Application of LEAN tool" line balancing" to determine the productivity of workforce in activities of plastering and internal detailing in two-story houses made of masonry
Johnstone Periodic refurbishment and reductions in national costs to sustain dwelling services
Odedira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f the activities of informal construction workers/artisans in Nigeria
Piva Building Reuse as a Sustainable Practice in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