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020B1 - 매체카세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매체카세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020B1
KR101930020B1 KR1020160084693A KR20160084693A KR101930020B1 KR 101930020 B1 KR101930020 B1 KR 101930020B1 KR 1020160084693 A KR1020160084693 A KR 1020160084693A KR 20160084693 A KR20160084693 A KR 20160084693A KR 101930020 B1 KR101930020 B1 KR 10193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unit
media
door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942A (ko
Inventor
방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16008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0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7Surveillance aspects at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G07D11/0009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25Secure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65H2402/6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카세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매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카세트본체; 상기 카세트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본체를 개폐하는 카세트도어; 상기 카세트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체카세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Medium cassette,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체카세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예를 들면, 지폐, 수표, 유가증권, 상품권 등)를 입금 또는 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는, 일반적으로 매체를 입출금하기 위한 매체출입부, 및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보관함을 포함한다. 상기 매체보관함은 매체가 보관되는 장치의 특성상 내부에 보관된 지폐, 수표, 유가증권 등의 귀중품 분실을 예방하기 위하여, 탈취자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4634호에는 카세트의 도어 장금 장치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카세트의 도어 잠금 장치에는, 상기 도어에 설치된 키뭉치의 키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서 회전되는 피니언;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시 수직방향으로 탄동하여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에 구속되는 제1후크와,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1래크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후크를 상기 걸림홈에서 구속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동부재가 구비된 제1잠금수단;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시 수직방향으로 탄동하여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에 구속되는 제2후크와,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2래크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후크를 상기 걸림홈에서 구속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동부재가 구비된 제2잠금수단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는 상기 걸림홈에 구속되는 방향이 상호 반대이다.
선행문헌은, 오토락(auto-lock) 기능이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도어가 충격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세트의 도어잠금장치를 제안한다.
다만, 선행문헌의 경우 카세트의 보안이 키조작에 의해서 잠금 및 잠금 해제되기 때문에, 탈취자가 키를 이용하여 카세트를 열고, 상기 카세트 내부에 있는 매체의 일부 혹은 전부를 탈취하더라도, 관리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일 예로, 매체보관함을 보안 업체에서 수거하는 경우에, 상기 보안업체가, 현금 탈취의 목적으로 카세트도어를 개방하여 매체의 일부 혹은 전부를 탈취하거나, 상기 카세트도어를 개방하는 시도를 하더라도, 관리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463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카세트 도어의 개방 횟수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는 매체카세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카세트 도어가 개방된 경우, 매체카세트 도어가 정상적으로 또는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었지 여부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는 매체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카세트는, 매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카세트본체; 상기 카세트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본체를 개폐하는 카세트도어; 상기 카세트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카세트는, 매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카세트 본체; 상기 카세트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본체를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 카세트도어; 및 상기 카세트도어의 개방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카세트는, 매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카세트본체; 상기 카세트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본체를 개폐할 수 있는 카세트도어; 상기 카세트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잠금부;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를 카운트하는 제 1 카운트부; 및 상기 카세트도어의 개방 횟수를 카운트하는 제 2 카운트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의 입출금을 위한 매체입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카세트 서포터; 상기 카세트 서포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매체카세트; 상기 매체카세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전원부; 및 상기 매체카세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메인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카세트는, 카세트도어의 잠금을 위한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 및 카세트 도어의 개방 횟수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기 위한 카운트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매체카세트로 공급되면, 상기 카운트확인부에서 확인한 정보는 상기 메인메모리로 전송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 제어방법은, 매체카세트가 금융기기에 장착되는 단계; 상기 매체카세트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와 카세트 도어의 개방 횟수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카세트 도어 개방 횟수 및 잠금 해제 횟수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 제어방법은, 매체카세트가 금융기기에 장착되는 단계; 상기 매체카세트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와 카세트 도어의 개방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카세트 도어 개방 횟수 및 잠금 해제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카세트 도어 개방 횟수 및 잠금 해제 횟수의 비교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카세트가 금융기기에서 분리된 후에 재차 금융기기에 장착되는 경우, 관리자가 카세트도어의 개방여부 및 개방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매체카세트가 금융기기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매체카세트 도어의 정상 개방 또는 비정상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금융기기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블록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체카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에 연결된 제 1 카운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어 및 카운트보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도어가 닫혔을 때의 제 2 카운트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도어가 개방될 때의 제 2 카운트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체카세트의 메인보드에 대한 블록도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체카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매체카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예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6)는, 매체의 입출금을 위한 매체입출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부(11)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터(Shutter) 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 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6)는, 상기 금융기기(1)의 내부에는 투입 또는 방출되는 지폐, 수표 등의 매체를 입금 및 출금 처리하기 위한 집적, 분리, 이송 및 인식들을 처리하는 매체처리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는,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입출부(2)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입출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 및 정보를 표시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금융기기(1)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정보를 표시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user interfa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고객이거나, 금융기기의 관리자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4)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표시하거나 계수 완료된 매체의 정보를 표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는 금융기기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은 상기 금융기기(1)의 상태 및 내부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모듈에 의해 금융기기의 상태 및 내부정보가 신규로 입력되거나, 변경 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모듈은 상기 금융기기(1)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매체의 입출금을 위한 상기 매체입출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부(11)는 다수 종류의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통입출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부(11)는 낱장을 포함하는 번들 단위로 매체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입출부(11)는 번들 단위의 매체가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매체의 종류 및 상태를 식별하는 감별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부(12)는 상기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매체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별부(12)는 매체의 상태에 따라 정상매체와 불량매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불량매체는 상기 감별부(12)에 의해서 미인식된 매체이거나, 매체의 일부를 잃어 외형적으로 변형된 상태이거나, 상기 매체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글씨, 그림 등 도안 이외의 형태가 매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매체가 임시로 집적되는 임시집적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집적부(13)는 고객이 매체를 상기 금융기기(1)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입출부(11)를 통하여 수납된 매체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임시집적부(13)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되면 후술되는 매체보관함(14)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보관함(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14)는 지폐가 보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폐카세트(141, 142, 143)와, 수표가 보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표카세트(14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카세트(141, 142, 143) 및 수표카세트(144)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상기 매체보관함(14)은 지폐카세트 또는 수표카세트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매체보관함(14)은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카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수표카세트(144)는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카세트로 대체 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입금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 또는 보충 과정에서 리젝트(reject)되는 매체가 보관되는 제 1 회수함(15)과, 출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보관되는 제 2 회수함(16)과, 매체를 보충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운용카세트(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14), 제 1 회수함(15), 제 2 회수함(16), 및 운용카세트(17)는 매체를 보관하는 카세트라는 의미에서 매체카세트(20)라 이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금융기기를 구성하는 각 모듈(매체 입출부, 감별부, 매체보관함, 임시 집적부, 회수함 등)은 다수의 이송로(181,182,18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상기 매체카세트(20) 중 하나 이상이 장착되기 위한 카세트 서포터(190)(cassette suppo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상기 매체카세트(20)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카세트 서포터(190)에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장착감지부(1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상기 카세트 서포터(190)에 장착되는 것이 상기 장착감지부(191)에 의 감지되면, 후술되는 메인전원부(192)는 상기 카세트 서포터(190)에 장착된 매체카세트(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상기 카세트 서포터(190)에 장착된 매체카세트(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전원부(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전원부(192)는 상기 금융기기(1)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전원부(192)는 상기 금융기기(1)에 장착된 매체카세트(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상기 카세트 서포터(190)에 장착된 매체카세트(20)의 매체카세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메인메모리(193)(main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상기 금융기기(1)에 장착되면, 상기 금융기기(1)는 매체카세트(2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매체카세트(20)의 정보가 상기 메인메모리(193)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체카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에 연결된 제 1 카운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수납공간(210)을 갖는 카세트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10)에는 매체가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상기 카세트본체(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카세트본체(21)에 결합되는 카세트도어(22)(cassette do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도어(22)에 의해서, 상기 카세트본체(21)에 보관된 매체는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상기 카세트도어(22)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잠금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3)는 잠금 해제 수단을 통해서 상기 카세트도어(22)를 잠금 및 잠금 해제 할 수 있다. 상기 잠금 해제 수단은 일 예로 열쇠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쇠가 상기 잠금부(23)에 삽입되고, 회전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잠금 해제 수단은 마그네틱 카드(Magnetic card)를 포함하거나,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안면 인식 및 휴대 단말기의 RF인식(Radio Frequency)등을 위한 인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수단을 통해 인식 결과가 상기 매체카세트(20)에 기 저장된 인식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잠금부(23)의 잠금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상기 잠금부(23)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카운트 할 수 있는 제 1 카운트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카운트부(24)는 상기 잠금부(23)와 연결된 제 1 기어(241)(gea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해제 수단에 의해 상기 잠금부(23)의 잠금 해제 과정 또는 잠금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어(241)는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241)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아이들러 기어(idler gear)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잠금 해제 수단이 열쇠인 경우, 상기 열쇠가 잠금부(23)에 삽입되어 일 예로 시계 방향(제1방향 이라고 할 수 있음)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기어(241)는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열쇠가 잠금부(23)에서 삽입되어 시계 반대 방향(제2방향이라고 할 수 있음)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기어(241)는 상기 열쇠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은 열쇠가 잠금부에서 잠금 해제되기 위해 원상복귀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열쇠가 시계 방향(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1 기어(241)는 상기 열쇠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어(241)는, 상기 열쇠가 시계 반대 방향(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잠금 해제를 위하여 상기 열쇠에 의해서 잠금부(23)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1기어(241)가 상기 잠금부(23)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카운트부(24)는 상기 잠금부(23)와 상기 제 1 기어(241)를 연결할 수 있는 제 1 샤프트(241a)(shaf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241a)에 의해 상기 잠금부(23)와 상기 제 1 기어(241)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 해제 수단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잠금부(23)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제 1 샤프트(241a)에 의해서 상기 제 1 기어(241)가 회전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241a)는 제 1 샤프트홀(shaft hole)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운트부(24)는 상기 제 1 기어(241)와 연결되는 제 2 기어(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242)는 상기 제 1 기어(241)와 맞물려서 회전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어(242)는 상기 제 1 기어(24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기어(241)를 전달 기어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제 2 기어(242)를 제 1 기준 회전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242)는 제 1 기준부(24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24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1 기준부(242b)는 상기 제 2 기어(24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준부(242b)는 후술되는 제 1 카운트보드(243)(count board)의 제 1 감지부(243a)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운트부(24)는 상기 제 2 기어(242)와 접촉되는 제 1 카운트보드(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카운트보드(243)는 상기 카세트도어(22)의 개폐 여부 및 개폐 횟수에 따라서 상기 제 1 기준부(242b)와의 접촉 위치가 가변되는 제 1 감지부(24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부(243a)는 다수의 감지센서(243b, 243c, 243d, 243e, 243f, 243g, 243h, 243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카운트부(24)는 상기 제 2 기어(242)와 상기 제 1 카운트보드(243)를 연결할 수 있는 제 2 샤프트(24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샤프트(242a)는 상기 제 2 기어(2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어(242)가 상기 제 1 기어(241)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될 때마다, 상기 제 1 기준부(242b)는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243b, 243c, 243d, 243e, 243f, 243g, 243h, 243i) 중 상기 제 2 기어(242)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센서에 접촉될 수 있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어 및 카운트보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기어(242)의 어느 한 면에는 상기 제 1 기준부(242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부(242b)는 점, 선,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준부(242b)는 도체 또는 반도체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어서, 상기 매체카세트로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감지부(243a)의 일 센서와 상기 제 1 기준부(242b)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운트보드(243)의 어느 한 면에 상기 제 1 감지부(243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부(24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감지센서(243b, 243c, 243d, 243e, 243f, 243g, 243h, 243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부(242b)는 다수의 감지센서(243b, 243c, 243d, 243e, 243f, 243g, 243h, 243i)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기준부(242b)가 도체인 경우, 상기 제 1 감지부(243a)의 각 감지센서(243b, 243c, 243d, 243e, 243f, 243g, 243h, 243i)도 상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243b, 243c, 243d, 243e, 243f, 243g, 243h, 243i)는 상기 제 2 샤프트(242a)가 삽입되는 제 2 샤프트홀(242c)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243b, 243c, 243d, 243e, 243f, 243g, 243h, 243i)는 상기 제 2 샤프트홀(242c)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243b, 243c, 243d, 243e, 243f, 243g, 243h, 243i)는 상기 제 1 기준부(242b)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감지부(243a)는, 제 1 감지센서(243b), 제 2 감지센서(243c), 제 3 감지센서(243d), 제 4 감지센서(243e), 제 5 감지센서(243f), 제 6 감지센서(243g), 제 7 감지센서(243h), 및 제 8 감지센서(243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8 감지센서(243b, 243c, 243d, 243e, 243f, 243g, 243h, 243i)는 상기 제 2 샤프트홀(242c)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센서 사이의 간격은 동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8 감지센서(243b, 243c, 243d, 243e, 243f, 243g, 243h, 243i)는 제 2 샤프트홀(242c)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8 감지센서(243b, 243c, 243d, 243e, 243f, 243g, 243h, 243i)는 상기 제 1 기준부(242b)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등되도록 각각 배치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 해제 수단에 의해 상기 잠금부(23)가 1회 잠금 해제되면, 상기 제 1 기준부(242b)는 제 1 감지센서(243b)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3)가 2회 잠금 해제되면, 상기 제 1 기준부(242b)는 제 2 감지센서(243c)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융기기(1)에서, 상기 제 1 카운트보드(243)에 배치되는 감지센서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기준부(242b)는 특정 색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기준부(242)는 부도체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기준부(242b)가 상기 제 1 감지부(243a)와 접촉되거나, 제 1 감지부(243a)와 이격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감지부(243a)는 상기 제 1 기준부(242b)의 색상을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포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준부(242b)가 상기 제 1 감지부(243a)의 다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한 센서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면, 추후 상기 매체카세트에 전원이 공급될 때, 일 센서가 제 1 기준부(242b)를 감지할 수 있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도어가 닫혔을 때의 제 2 카운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되는 것을 카운트 할 수 있는 제 2 카운트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카운트부(25)는 상기 카세트도어(22)의 개폐에 따라서, 위치가 가변되는 레버(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카운트부(25)는 상기 레버(25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도어(22)가 닫히게 되면, 상기 레버(251)는 외력에 의해 상기 카세트본체(2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52)는 탄성 복원력을 가진 상태로 상기 레버(25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되면, 상기 레버(251)는 상기 탄성부재(2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카세트본체(2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카운트부(25)는 상기 레버(251)의 일 측면에 연결된 제 3 기어(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기어(253)는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움직이는 상기 레버(251)에 의해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기어(253)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아이들러 기어일 수 있다.
상기 제 3 기어(253)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아이들러 기어이면, 상기 제 3 기어(253)는 상기 레버(251)가 일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만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251)가 제3방향(도면 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3 기어(253)는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도어(22)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251)가 제4방향(도면 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3 기어(253)는 상기 레버(251)와 같은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251)가 상기 제3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3 기어(253)는 상기 레버(251)의 이동력을 전달받아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도어(22)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251)가 상기 제4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상기 제 3 기어(253)는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251)가 상기 제3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3기어(253)는 상기 레버(251)의 이동력을 전달받아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카운트부(25)는 상기 제 3 기어(253)가 카세트본체(21)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 3 샤프트(25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샤프트(253a)는 상기 카세트본체(21)와 상기 제 3 기어(253)의 중심축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기어(253)는 상기 제 3 샤프트(253a)를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카운트부(25)는 상기 제 3 기어(253)와 연결되는 제 4 기어(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기어(254)는 상기 제 3 기어(253)와 맞물려서 회전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기어(254)는 상기 제 3 기어(253)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3 기어(253)를 전달 기어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제 4 기어(254)를 제 2 기준 회전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4 기어(254)는 제 2 기준부(25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기어(254)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부(254b)는 상기 제 4 기어(254)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기준부(254a)는 후술되는 제 2 카운트보드(255)의 제 2 감지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카운트부(25)는 상기 제 4 기어(254)와 결합되는 제 2 카운트보드(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카운트보드(255)는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폐 여부 및 횟수에 따라서 상기 제 2 기준부(254b)와의 접촉 위치가 가변되는 제 2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부는 다수의 감지센서(255b, 255c, 255d, 255e, 255f, 255g, 255h, 255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카운트부(25)는 상기 제 4 기어(254)와 상기 제 4 카운트보드(255)를 연결할 수 있는 제 4 샤프트(25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샤프트(254a)는 상기 제 4 기어(25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기어(254)가 상기 제 3 기어(253)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제 2 기준부(254b)는 상기 제 2 감지부의 다수의 감지센서(255b, 255c, 255d, 255e, 255f, 255g, 255h, 255i) 중, 상기 제 2 기준부(254b)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에 접촉될 수 있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도어가 개방될 때의 제 2 카운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4 기어(254)의 어느 한 면에는 상기 제 2 기준부(254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부(254b)는 점, 선,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준부(254b)는 도체 또는 반도체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어서, 상기 매체카세트로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감지부의 일 센서와 상기 제 2 기준부(254b)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카운트보드(255)의 어느 한 면에 상기 제 2 감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부는 다수의 감지센서(255b, 255c, 255d, 255e, 255f, 255g, 255h, 255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감지센서(255b, 255c, 255d, 255e, 255f, 255g, 255h, 255i)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기준부(254b)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기준부(254b)가 도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2 감지부의 각 감지센서(255b, 255c, 255d, 255e, 255f, 255g, 255h, 255i)도 상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255b, 255c, 255d, 255e, 255f, 255g, 255h, 255i)는 상기 제 4 샤프트(254a)가 삽입되는 제 4 샤프트홀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255b, 255c, 255d, 255e, 255f, 255g, 255h, 255i)는 상기 제 4 샤프트홀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255b, 255c, 255d, 255e, 255f, 255g, 255h, 255i)는 상기 제 2 기준부(254b)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감지부는, 제 10 감지센서(255b), 제 11 감지센서(255c), 제 12 감지센서(255d), 제 13 감지센서(255e), 제 14 감지센서(255f), 제 15 감지센서(255g), 제 16 감지센서(255h), 및 제 17 감지센서(255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0 내지 제 17 감지센서는 상기 제 4 샤프트홀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0 내지 제 17 감지센서는 제 2 기준부(254b)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도어(22)가 1회 개방되면, 상기 제 2 기준부(254b)는 제 11 감지센서(255c)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도어(22)가 2회 개방되면, 상기 제 2 기준부(254b)는 제 12 감지센서(255d)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융기기(1)에서, 상기 제 2 카운트보드(255)에 배치되는 감지센서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다른 예로, 상기 제 2 기준부(254b)는 특정 색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2 기준부(254b)는 부도체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감지부와 접촉하거나, 제 2 감지부와 이격 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부는 상기 제 2 기준부(254b)의 색상을 감지할 수 있는 포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준부(254b)가 상기 제 2 감지부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면, 추후 상기 매체카세트에 전원이 공급될 때, 일 센서가 제 2 기준부(254b)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상기 매체카세트(20)가 금융기기에 장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잠금부(23)의 잠금이 해제된 횟수와,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된 횟수가 확인될 수 있는 메인보드(26)(main boar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상기 메인보드(26)와 상기 제 1 카운트보드(243)를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연결수단(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상기 메인보드(26)와 상기 제 2 카운트보드(255)를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연결수단(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상기 금융기기(1)에 연결되면, 상기 메인보드(26)는 상기 제 1, 2 연결수단(27, 28)에 의해서, 상기 잠금부(23)의 잠금이 해제된 횟수와,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된 횟수를 상기 금융기기(1)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연결수단(27, 28)은 상기 제 1, 2 카운트보드(24,25)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유선 통신 수단일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26) 및 상기 제 1, 2 카운트보드(24, 25)는 상기 매체카세트(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보드(26) 및 제 1, 2 상기 카운트보드(24, 25)가 의도치 않게 조작되는 것이 방지 될 수 있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체카세트의 메인보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보드(26)는 상기 금융기기(1)의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부(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원연결부(261)는 상기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상기 금융기기(1)에 장착되면, 상기 금융기기(1)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융기기(1)의 전원은 상기 메체카세트(2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26)는 상기 매체카세트(20)의 잠금부(23)가 잠금 해제된 횟수를 확인하는 제 1 카운트확인부(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카운트확인부(262)는, 상기 전원연결부(261)부터 전원을 전달받으면, 상기 제 1 카운트보드(243)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카운트확인부(262)는 상기 제 1 카운트보드(243)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잠금부(23)가 잠금 해제된 횟수를 확인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카운트확인부(262)가 상기 제 1 카운트보드(243)로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 1 카운트확인부(262)는 상기 제 1 기준부(242b)에 접촉되어 있는 다수의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카운트확인부(262)에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잠금부(23)의 잠금 해제 횟수가 확인될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26)는 상기 매체카세트(20)의 제 2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된 횟수를 확인하는 제 2 카운트확인부(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카운트확인부(263)는, 상기 전원연결부(261)부터 전원을 전달받으면, 상기 제 2 카운트보드(255)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카운트확인부(263)는 상기 제 2 카운트보드(255)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된 횟수를 확인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카운트확인부(263)가 상기 제 2 카운트보드(255)로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 2 카운트확인부(263)는 상기 제 2 기준부(254b)에 접촉되어 있는 다수의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카운트확인부(263)에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상기 카세트도어(22)의 개방 횟수가 확인될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26)는 상기 전원연결부(261), 및 상기 제 1, 2 카운트확인부(262, 263)를 제어하는 제어부(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융기기(1)는 상기 카세트도어(22)의 비정상 접근이 감지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알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정상 접근은 상기 잠금부(23)를 외력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잠금 해제하거나, 비정상적인 해제 장치를 이용하여 잠금 해제하여, 상기 카세트도어(22)를 개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4)는 상기 잠금부(23)의 잠금 해제 횟수와 상기 카세트도어(22)의 개방 횟수를 비교하여 비정상 접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매체카세트(20)가 금융기기(1)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관리자에게 비정상 접근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금융기기(1)는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고 신호는 상기 금융기기에 있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되는 것에 따라 제어되는 금융기기(1)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매체카세트(20)는 금융기기(1)에 장착될 수 있다(S1). 일 예로, 매체카세트(20)에 보관될 수 있는 매체의 보관 매수를 초과하는 경우나 매체카세트(20)에 매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매체카세트가 상기 금융기기(1)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새로운 매체카세트(20)가 상기 금융기기(1)에 장착되거나 매체가 보충된 매체카세트(20)가 상기 금융기기(1)에 장착되거나 상기 매체카세트(20)에서 매체가 제거된 후에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상기 금융기기(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상기 금융기기(1)에 장착되면,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상기 금융기기(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S3).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상기 금융기기(1) 내에 구비되는 카세트 서포터(190)에 장착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전원연결부(261)를 통해 상기 금융기기(1)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4)는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잠금 해제된 횟수를 확인 할 수 있다(S5).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상기 금융기기(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 제어부(264)는 제 1 카운트확인부(262)를 제어하여 제 1 카운트보드(243)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4)는 상기 제 2 기어(242)의 제 1 기준부(242b)가 위치한 감지센서부터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4)는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매체카세트(20)의 잠금 해제된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4)는 상기 매체카세트(20)가 개방된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S7). 상기 제어부(264)는 제 2 카운트확인부(263)를 제어하여 제 2 카운트보드(255)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4)는 상기 제 4 기어(254)의 제 2 기준부(254b)가 위치한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4)는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된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4)는 상기 매체카세트(20)의 잠금 해제 횟수와 상기 카세트도어(22)의 개방 횟수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9).
상기 제어부(264)는 상기 매체카세트(20)의 잠금 해제 횟수가 상기 카세트도어(22)의 개방 횟수와 일치하면 상기 카세트도어(22)가 정상적으로 개방된 것(정상 접근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64)는 상기 정상 접근 정보를 상기 금융기기(1)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상접근 정보는 상기 금융기기의 메인메모리(19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메모리(193)에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 표시되어 관리자에게 전달 될 수 있다(S11). 즉, 정상 접근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메모리(193)에 저장된 정보는 관리자 모듈에 표시되어 관리자에게 전달 될 수 있다. 즉, 정상 접근 정보가 관리자 모듈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4)는 상기 매체카세트(20)의 잠금 해제 횟수와 상기 카세트도어(22)의 개방 횟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카세트도어(22)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비정상 접근임). 따라서, 상기 제어부(264)는 비정상 접근 정보를 상기 금융기기(1)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비정상 접근 정보는 상기 금융기기(1)의 메인메모리(19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의 경고알림부는, 상기 메인메모리(193)에 저장된 비정상 접근 정보를 확인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3). 상기 경고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 및 관리자 모듈 중 하나 이상에 표시되어 관리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신호는 상기 금융기기에 있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경고 신호를 통하여 비정상 접근 유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하면, 매체카세트의 잠금 해제된 횟수와, 카세트도어의 개방된 횟수를 비교함으로써, 관리자는 매체카세트 운반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매체의 탈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매체 탈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매체카세트에 대한 보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매체카세트의 잠금 해제된 횟수와, 카세트도어의 개방된 횟수를 카운트 하는 데에 있어서,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매체카세트에 포함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체카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매체카세트(20)는, 잠금부(23)의 잠금 해제되는 것을 카운트할 수 있는 제 1 카운트부(24) 및 제 1 연결수단(27)에 의해 상기 제 1 카운트부(24)와 연결되고, 카운트된 횟수를 금융기기에 송신할 수 있는 메인보드(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3)가 잠금 해제 수단에 의해 잠금 해제될 때마다, 제 1 감지부(243a)의 다수의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에는 제 1 기준부(242b)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상기 금융기기(1)에 장착되면,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상기 금융기기(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26)는 제 1 카운트부(24)의 제 1 감지부(243a)에 의해서 감지된 제 1 기준부(242b)를 통하여, 상기 잠금부(23)가 잠금 해제된 횟수를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3)가 잠금 해제된 횟수는 정상적으로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3)의 잠금 해제 여부 및 잠금 해제 횟수는 상기 금융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 및 관리자 모듈 중 하나 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잠금부(23)의 잠금 해제 여부 및 잠금 해제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매체카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매체카세트(20)는, 카세트도어(22)가 개방 되는 것을 카운트할 수 있는 제 2 카운트부(25) 및 제 2 연결수단(28)에 의해 상기 제 2 카운트부(25)와 연결되고, 카운트된 횟수를 금융기기(1)로 송신할 수 있는 메인보드(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 될 때마다, 제 2 감지부의 다수의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에는 제 2 기준부(254b)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상기 금융기기(1)에 장착되면, 상기 매체카세트(20)는 상기 금융기기(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26)는 제 2 카운트부(25)의 제 2 감지부에 감지된 상기 제 2 기준부(254b)를 통하여, 상기 카세트도어(22)가 개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도어(22)의 개방 여부 및 개방 횟수는 상기 금융기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 및 관리자 모듈 중 하나 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카세트도어(22)의 개방 여부 및 개방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구성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금융기기 8: 매체카세트
21: 카세트본체 22: 카세트도어
23: 잠금부 24: 제 1 카운트부
241: 제 1 기어 242: 제 2 기어
243: 제 1 카운트보드 25: 제 2 카운트부
251: 레버 252: 탄성부재
253: 제 3 기어 254: 제 4 기어
255: 제 2 카운트보드 26: 메인보드

Claims (15)

  1. 매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카세트본체;
    상기 카세트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본체를 개폐하는 카세트도어;
    상기 카세트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잠금부의 잠금 과정 또는 잠금 해제되는 과정에서 설정각도로 회전하는 기준 회전체와,
    상기 기준 회전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카운트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회전체는 상기 카운트 보드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기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트 보드는 상기 기준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회전체가 상기 설정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기준부는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 중 상기 설정각도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에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매체카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는,
    상기 기준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카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회전체가 상기 설정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기준부는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 중 회전한 상기 설정각도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에 접촉되는 매체카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회전력을 상기 기준 회전체로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달 기어는 일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아이들러 기어인 매체카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는 특정 색상을 가지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특정 색상을 감지할 수 있는 매체카세트.
  6. 매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카세트 본체;
    상기 카세트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본체를 개폐하는 카세트 도어; 및
    상기 카세트도어의 개방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카세트 도어가 개방되면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카세트 본체에서 돌출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이동력을 전달받아 설정각도로 회전하는 기준 회전체와,
    상기 기준 회전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카운트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회전체는 상기 카운트 보드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기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트 보드는 상기 기준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회전체가 상기 설정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기준부는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 중 상기 설정각도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에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매체카세트.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매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카세트 본체;
    상기 카세트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본체를 개폐하는 카세트 도어;
    상기 카세트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잠금부;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를 카운트하는 제 1 카운트부;
    상기 카세트 도어의 개방 횟수를 카운트하는 제 2 카운트부;
    금융기기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연결부; 및
    상기 금융기기의 전원이 상기 전원연결부에 공급되면, 상기 제 1 카운트부의 카운트 횟수와 상기 제 2 카운트부의 카운트 횟수를 비교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 및 카세트 도어의 개방 횟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납공간에 비정상접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매체 카세트.
  11. 삭제
  12. 매체의 입출금을 위한 매체입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카세트 서포터;
    상기 카세트 서포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매체카세트;
    상기 매체카세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전원부;
    상기 매체카세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메인메모리; 및
    상기 메인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카세트는,
    매체가 보관되는 카세트본체와,
    상기 카세트본체를 개폐하는 카세트도어와,
    상기 카세트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잠금부와,
    상기 카세트 서포터에 상기 매체 카세트가 장착되면,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 및 상기 카세트 도어의 개방횟수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 및 상기 카세트 도어의 개방 횟수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인메모리에 정상 접근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 및 상기 카세트 도어의 개방 횟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인메모리에 비정상 접근 정보를 송신하는 금융기기.
  13. 삭제
  14. 삭제
  15. 매체카세트가 금융기기에 장착되는 단계;
    상기 매체카세트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 및 카세트 도어의 개방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 및 상기 카세트 도어 개방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카세트 도어 개방 횟수 및 잠금 해제 횟수의 비교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 및 상기 카세트 도어의 개방 횟수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매체 카세트에 대한 정상 접근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횟수 및 상기 카세트 도어의 개방 횟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매체 카세트에 대한 비정상 접근 정보를 표시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60084693A 2016-07-05 2016-07-05 매체카세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93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93A KR101930020B1 (ko) 2016-07-05 2016-07-05 매체카세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93A KR101930020B1 (ko) 2016-07-05 2016-07-05 매체카세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942A KR20180004942A (ko) 2018-01-15
KR101930020B1 true KR101930020B1 (ko) 2018-12-17

Family

ID=6100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693A KR101930020B1 (ko) 2016-07-05 2016-07-05 매체카세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0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334A (ja) * 2003-10-31 2005-06-16 Kyocera Mita Corp 用紙処理装置、用紙処理システム及び施錠開錠制御プログラム
KR101114634B1 (ko) * 2010-06-03 2012-03-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세트의 도어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334A (ja) * 2003-10-31 2005-06-16 Kyocera Mita Corp 用紙処理装置、用紙処理システム及び施錠開錠制御プログラム
KR101114634B1 (ko) * 2010-06-03 2012-03-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세트의 도어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942A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1265B2 (en) Financial device
BR112015023055B1 (pt) Cassete para uso com um caixa eletrônico que pode receber potência e se comunicar por meio de indução magnética
CN106297069B (zh) 现金钞箱管理系统、现金钞箱管理方法
WO2011155276A1 (ja) 紙幣処理装置
JP2014052896A (ja) カセット、紙幣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CN111133482B (zh) 自动柜员机的现金捕获操作击败组件及其方法
JP6087547B2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紙幣処理方法
KR101770074B1 (ko) 매체집적함 및 금융기기
EP3518192B1 (en) Currency processing device and currency processing method
JP2012203666A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紙幣処理方法
KR101930020B1 (ko) 매체카세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JP5579522B2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JP2020154588A (ja) 紙葉類処理装置
EP3258451A1 (en) Medium storage box
JP2018206247A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KR101971271B1 (ko)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JP5844417B2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KR20190131727A (ko)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JP6621675B2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JP2016053749A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EP3651134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secure verification of the opening of a safe door
KR101902235B1 (ko) 금융기기
JP5519119B2 (ja) 鍵管理システム
CN108510642B (zh) 现金自动交易装置
KR101940734B1 (ko) 플레이트 낙하 방지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