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968B1 -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968B1
KR101929968B1 KR1020180055397A KR20180055397A KR101929968B1 KR 101929968 B1 KR101929968 B1 KR 101929968B1 KR 1020180055397 A KR1020180055397 A KR 1020180055397A KR 20180055397 A KR20180055397 A KR 20180055397A KR 101929968 B1 KR101929968 B1 KR 101929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light
reflector
laser
inclined surfa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선우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에스티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8005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05Optical component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homogenisation or merging of the beams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 H01S5/0071Optical component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homogenisation or merging of the beams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for beam steering, e.g. using a mirror outside the cavity to change the b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ndicate the vessel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B64F1/20Arrangement of optical bea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를 원하는 방향으로 투광시켜 항공등화, 선박 조난 등의 유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레이저광의 투광 면적을 넓혀 레이저광의 출력을 극대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이저광을 원하는 방향으로 투광하기 위한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로서, 내측에 상향 개방된 공간으로 수용부(120)가 마련되는 본체(100)와; 상기 수용부(120)의 내측에 하부로 좁혀지는 제1경사면(210)이 원통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1경사면(210)을 이용해 레이저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체(200)와; 상기 수용부(120) 및 제1경사면(210)의 측방으로 레이저광을 통과되게 하는 입사부(300)와; 상기 수용부(12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데, 상기 입사부(300)를 통과하는 레이저광을 상기 제1경사면(210)에 돌아가면서 반사되게 하여 제1경사면(210)의 반사위치에 대응하여 레이저광이 원통 형태로 제1반사체(200)의 상부로 방출되게 하는 제2반사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 {Induction apparatus using laser}
본 발명은 레이저를 원하는 방향으로 투광시켜 항공등화, 선박 조난 등의 유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레이저광의 투광 면적을 넓혀 레이저광의 출력을 극대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는 유도방출에 의한 마이크로파의 증폭과 같은 원리로 광의 증폭, 발진현상에 의해 구현되며, 보통 광은 파장이 최대 수 cm인데 비하여 레이저광은 파장이 수 km에 이른 것을 얻을 수 있어 직진성이 우수함으로 각종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는 목표지점으로 레이저광을 정확히 투광하면서 레이저광의 투광 방향을 간편하게 변경 가능하게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70315호를 살펴보면,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투광기로,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광모듈 각각은, 기 설정된 제1파장범위의 빛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복수의 빛을 하나로 접속시키는 접속렌즈; 상기 접속렌즈에서 접속된 빛이 입사되어 발광하고, 상기 발광에 따른 빛을 방출하는 형광체; 상기 형광체에서 방출되는 빛이 반사되는 미러; 상기 미러에 의하여 반사되는 빛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전면이 상기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미러에서 반사되는 빛이 상기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유도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는 레이저광을 목표지점으로 굴절시키면서 레이저광의 방출 방향을 전환할 수 있지만, 방출되는 레이저광의 방출은 통상 얇은 선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레이저광을 식별하기가 매우 어렵고, 레이저광의 방출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는 높은 출력의 레이저 발진기를 사용함으로 출력 증가에 따라 생산원가, 유지 등의 전반적인 비용이 상승하고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70315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거리에서 레이저광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레이저광의 방출 면적을 넓히기 위해 높은 출력의 레이저 발진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출력 증가에 따른 전반적인 비용을 낮추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이저광을 원하는 방향으로 투광하기 위한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로서,
내측에 상향 개방된 공간으로 수용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하부로 좁혀지는 제1경사면이 원통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1경사면을 이용해 레이저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체와;
상기 수용부 및 제1경사면의 측방으로 레이저광을 통과되게 하는 입사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데, 상기 입사부를 통과하는 레이저광을 상기 제1경사면에 돌아가면서 반사되게 하여 제1경사면의 반사위치에 대응하여 레이저광이 원통 형태로 제1반사체의 상부로 방출되게 하는 제2반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광을 원통형 반사체에 반사시키며, 원통형 반사체에 반사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레이저광이 원통 형태로 방출되도록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레이저광의 방출 면적이 넓어져 원거리에서 레이저광을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높은 출력의 레이저 발진기가 필요 없어 생산원가, 유지 등의 전반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유도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수용부(120)가 마련된 본체(100); 레이저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체(200); 레이저광을 통과시키는 입사부(300); 레이저광을 원통 형태로 제1반사체(200)의 상부로 방출시키는 제2반사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장치(1)는 레이저광을 제공하기 위한 레이저 발진기가 적용되며, 그 레이저 발진기는 본체(100)의 하부에 별도 설치되면서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입사부(300)로 통과되게 한다.
이때, 상기 레이저 발진기는 유도장치(1)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4개의 레이저 발진기가 각각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의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유도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 상향 개방된 공간으로 수용부(120)가 마련되며, 레이저광의 반사를 외부 간섭 없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본체(100)는; 케이스(110), 수용부(120), 제1커버(130), 제2커버(140), 제3반사체(15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00)는; 상하로 개방되어 유도장치(1)의 외장이 되는 케이스(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원통체로 상하 개방되게 제작되어 유도장치(1)의 외장 측벽이 되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110)의 상단 내측으로 수용부(120)가 안착 고정되게 하는 제1단턱(111)이 케이스(110)의 내주 둘레로 판 형태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단 내측으로 안착 고정되어 상향 개방되고 하향은 차폐된 형태의 수용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20)는, 케이스(110)의 상단 내측 둘레에 돌출형성된 제1단턱(111)에 안착 고정 가능한 크기를 갖으며, 상기 제1단턱(111)에 안착된 부분에서 하향 연장되는 측벽(121)과 상기 측벽(121) 하단부에 연장되면서 측벽(121) 하단부를 막아 측벽(121)이 상향 개방되는 공간을 갖게 하는 하판(1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측벽(121)은 하향으로 점차 좁혀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반사체(200)의 제1경사면(210)이 면 접촉 형태로 결합되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수용부(120)의 상단부를 차폐하며, 레이저광은 투과시키는 제1커버(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커버(130)는, 케이스(110)의 상단으로 제1단턱(111)에 안착 가능한 크기의 판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1단턱(111)에 안착된 수용부(120)를 지지하여 본체(100)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커버(13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본체(100) 안쪽에서부터 상향 방출되는 레이저광을 투과시킨다.
예컨대, 상기 제1커버(130)를 더 부가함에 따라 제1커버(130)를 이용해 본체(100)의 상부 개방 측을 차폐함으로, 레이저광은 본체(100) 상향으로 방출하면서 본체(100)의 내부로 기타 이물질, 수분과 같은 것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레이저광의 조사 과정이 방해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수용부(120)의 하단부를 차폐하는 제2커버(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커버(140)는, 케이스(110)의 하단으로 제2단턱(112)에 안착 가능한 크기의 판으로 제작되며, 제2커버(140)가 제2단턱(112)에 안착되면 나사체결에 의해 제2커버(140)가 케이스(110)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커버(140)의 내측에는 본체(100)의 하단부에 별도 설치되는 레이저 발진기의 레이저광이 제2커버(140)를 통과하여 본체(100) 내부로 조사되게 하는 판홀(141)이 관통구멍으로 레이저광의 조사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판홀(141)은 후술하는 입사부(300)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입사부(300)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수용부(120)의 외측에 마련되는데, 하부로 넓어지는 제2경사면(151)이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151)을 이용해 본체(100)의 하부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되게 하면서, 그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입사부(300) 측으로 반사되게 하는 제3반사체(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반사체(150)는, 상하 개방된 원통체로 제작되는데, 본체(100)의 하부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후술하는 입사부(300) 측으로 직각 반사될 수 있도록 하부로 점차 넓어지는 형태의 제2경사면(151)이 제3반사체(150)의 측방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반사체(150)를 통해 본체(100)의 하부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수용부(120)의 측방으로 반사할 수 있음으로 본체(100)의 하부로 레이저 발진기를 설치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제3반사체(150)를 더 부가함에 따라 본체(100)의 하부로 레이저 발진기를 설치가능함으로, 유도장치(1)의 측방에 레이저 발진기의 설치를 위한 가용면적의 확보가 필요 없고, 유도장치(1)의 부피가 작아지면서 유도장치(1)의 설치공간에 구애가 없도록 한다.
상기 제3반사체(150)는 제2경사면(151)에 반사 재질의 필름이 부착되거나, 반사 재질의 도료를 도색하거나, 또는 거울을 부착하여 레이저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반사체(200)는;
상기 수용부(120)의 내측에 하부로 좁혀지는 제1경사면(210)이 원통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1경사면(210)을 이용해 레이저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의 내부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본체(100)의 상부 외측으로 방출시켜 레이저광을 원거리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반사체(200)는; 상,하 개방된 원통체로 제작되는데,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120)가 갖는 경사에 대응하여 하향으로 점차 좁혀지는 형태의 제1경사면(210)이 제1반사체(200) 측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210)의 경사각이 수용부(120)의 경사각과 동일함으로 상기 제1경사면(210)을 이용해 제1반사체(200)가 수용부(120) 내측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경사면(210)의 안쪽 면은 반사 재질의 필름이 부착되거나, 반사 재질의 도료를 도색하거나, 또는 거울을 부착하여 제1경사면(210)을 이용해 레이저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반사체(200)는 본체(100)의 제3반사체(150)를 통해 반사되는 레이저광이 입사부(300)를 통과하면서 제2반사체(400)에 반사되면, 그 제2반사체(400)에 반사된 레이저광을 제1경사면(210)의 각도에 의해 상부 직각 방향으로 반사시켜 본체(100) 외부로 방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입사부(300)는;
상기 수용부(120) 및 제1경사면(210)의 측방으로 레이저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며, 레이저광의 원통형 방출을 위한 반사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입사부(300)는; 수용부(120) 및 제1경사면(210)에 각각 관통구멍으로 형성되며, 본체(100)의 내부에서 제3반사체(150)를 통해 수용부(120)의 외측방으로 반사되는 레이저광을 수용부(120) 및 제1경사면(210)에 각각 통과되게 하면서 상기 수용부(120)의 안쪽으로 조사 가능한 통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입사부(300)를 통해 수용부(120) 및 제1경사면(210) 안쪽으로 통과한 레이저광은 상기 수용부(12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 제2반사체(400)에 반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입사부(300)는 수용부(120) 및 제1경사면(210)의 측방으로 하나 이상 관통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수용부(120) 및 제1경사면(210)의 사방으로 4개의 입사부(300)가 각각 관통형성됨으로, 후술하는 제2반사체(400)의 회전 반사 범위에 빈 부분이 없도록 하여 제2반사체(400)에 의해 반사되는 레이저광을 제1경사면(210)의 내주에 전체적으로 돌아가면서 고르게 반사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반사체(400)는;
상기 수용부(12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데, 상기 입사부(300)를 통과하는 레이저광을 상기 제1경사면(210)에 돌아가면서 반사되게 하여 제1경사면(210)의 반사위치에 대응하여 레이저광이 원통 형태로 제1반사체(200)의 상부로 방출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제2반사체(400)는; 축부(410), 미러부(420), 동력부(43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반사체(400)는; 본체(100)의 하단 제2커버(140)에 축 결합되면서 상기 제1반사체(200)의 안쪽 중앙으로 돌출되는 축부(4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축부(410)는, 원형 축으로 상기 입사부(300)를 통과한 레이저광이 미러부(420)에 반사될 수 있도록 미러부(420)가 그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축부(410)의 하단부가 본체(100)의 제2커버(140) 중앙에 축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120)의 하판(122) 중앙부를 관통하면서 수용부(120) 안쪽에 위치되어 제자리 회전한다.
이때, 상기 축부(410)가 축 결합된 부분에는 제자리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과 같은 선택적으로 부속이 부가될 수 있으며, 상기 축부(410)가 제2커버(140)에 축 결합된 부분의 일부가 제2커버(140) 외측으로 노출되어 후술하는 동력부(430)과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2반사체(400)는; 축부(41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레이저광을 제1반사체(200)에 반사시키는 미러부(4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미러부(420)는, 판 형태로 상기 축부(41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데, 상기 미러부(420)를 축부(410)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 제작된 미러부(420)를 축부(410)의 상단부에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축부(410)의 회전에 의해 동일한 제자리 회전작동을 수행한다.
상기 미러부(420)는 축부(410)에 의해 입사부(300)를 통과한 레이저광의 반사 범위로 위치될 수 있어 상기 입사부(300)를 통과한 레이저광이 미러부(420)를 통해 제1반사체(200)의 제1경사면(210)으로 반사할 수 있다.
상기 미러부(420)는 반사 면에 반사 재질의 필름이 부착되거나, 반사 재질의 도료를 도색하거나, 또는 거울을 부착하여 레이저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러부(420)가 축부(410)의 회전에 동일한 회전을 수행함으로 미러부(420)가 제1경사면(210)의 내주를 돌아가면서 고르게 반사를 수행하여 제1경사면(210)에 반사되는 범위에 대응한 원통 형태의 레이저광이 제1반사체(200)의 상부로 방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반사체(400)는; 본체(100)의 하단에 축 결합되는 축부(410)에 연결되며, 그 축부(410)에 회전동력을 전달시켜 제2반사체(400)를 제자리 회전되게 하는 동력부(4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력부(430)는, 회전동력이 발생하는 모토이며, 상기 제2커버(140)의 하부 중앙으로 축부(410)의 하단부에 동력부(430)의 구동부분이 연결되면서 회전동력을 상기 축부(41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동력부(430)의 회전동력이 축부(410)에 전달됨으로 미러부(420)가 제자리 회전하여 입사부(300)를 통과한 레이저광을 제1반사체(200)의 제1경사면(210) 내주를 돌아가면서 연속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고, 제1경사면(210)의 반사위치에 대응하여 제1반사체(200) 상부로 원통 형태의 레이저광이 방출된다.
예컨대, 상기 동력부(430)를 더 부가함에 따라 미러부(420)의 회전동작이 일정하여 미러부(420)에 의해 제1반사체(200)로 반사되는 원통 형태의 레이저광을 안정적으로 방출가능하고, 고속으로 미러부(420)를 회전시킴으로 반사되는 레이저광의 선명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유도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유도장치(1) 중 상기 본체(100)는; 케이스(110)의 측방으로 제1힌지(161a)를 통해 연결되는 제1브래킷(161) 및, 상기 제1브래킷(161)의 하단부로 제2힌지(162b)를 통해 연결되는 제2브래킷(16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힌지(161a)를 중심으로 케이스(110)가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레이저광의 방출 각도를 조절되게 하고, 상기 제2힌지(162b)를 중심으로 케이스(110)가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레이저광의 방출 방향을 조절되게 하는 방향조절부(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향조절부(160)는, 케이스(110)의 둘레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안쪽에 케이스(110)가 간섭되지 않는 공간을 갖도록 라운드 형으로 형성된 제1브래킷(161)의 양단부가 각각 제1힌지(161a)를 이용해 상기 케이스(110)의 측방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브래킷(161)의 하부로 판 형태의 제2브래킷(162)이 제2힌지(162b)를 이용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힌지(161a)를 중심으로 케이스(110)가 상,하 회전작동이 가능함으로 본체(100) 상향으로 방출되는 레이저광의 각도를 임의 조절가능하고, 그렇게 조절된 레이저광의 방출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힌지(162b)를 중심으로 케이스(110)가 회전하는 작동에 의해 방출방향이 조절되게 된다.
예컨대, 상기 방향조절부(160)를 더 부가함에 따라 유도장치(1)에서 방출되는 레이저광이 원하는 각도 및 방향으로 임의 조절 가능하여 목적 방향으로 간편하게 레이저광을 방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2반사체(400)는; 미러부(420)의 반사 면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레이저광의 반사범위를 넓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미러부(420)의 반사 면을 볼록하게 성형하여 미러부(420)에 반사되는 레이저광이 볼록한 형태의 미러부(420)에 의해 반사되는 범위가 넓어지게 한다.
예컨대, 상기 미러부(420)의 반사 면을 볼록하게 형성하여 더 부가함에 따라 미러부(420)의 반사범위가 넓어져 기본적으로 4개의 입사부(300)를 형성한 것을 3개 정도로 줄여 레이저 발진기의 설치대수를 줄여 생산단가를 더 낮출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 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의하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1)는 최초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이 본체(100)의 하부로 제2커버(140)의 판홀(141)을 통과하면서 제3반사체(150)의 제2경사면(151)을 통해 입사부(300) 측으로 방향이 직각으로 바뀌면서 반사되고, 그 입사부(300)를 통과한 레이저광은 제2반사체(400)에 반사된다.
이때, 상기 제2반사체(400)는 동력부(430)에 의해 고속으로 제자리 회전작동 상태이며, 상기 제2반사체(400)를 통해 레이저광이 제1반사체(200)의 제1경사면(210)을 돌아가면서 연속적으로 반사되게 하고, 상기 제1반사체(200)의 제1경사면(210)을 돌아가면서 반사되는 위치에 따라 레이저광이 상향 직각방향으로 원통 형태로 방출되어 레이저광의 투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레이저광이 투광되면, 항공등화, 선박 조난 등에서 유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은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광이 제1반사체(200)에 반사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원통 형태로 방출됨에 따라 레이저광의 방출 면적이 발진기에서 최초 방출되는 것에 비례하여 매우 넓어지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레이저광을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높은 출력의 레이저 발진기가 필요 없어 생산원가, 유지 등의 전반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유도장치 100; 본체
110; 케이스 120; 수용부
130; 제1커버 140; 제2커버
150; 제3반사체 200; 제1반사체
300; 입사부 400; 제2반사체
410; 축부 420; 미러부
430; 동력부

Claims (4)

  1. 레이저광을 원하는 방향으로 투광하기 위한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로서,
    내측에 상향 개방된 공간으로 수용부(120)가 마련되는 본체(100)와;
    상기 수용부(120)의 내측에 하부로 좁혀지는 제1경사면(210)이 원통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1경사면(210)을 이용해 레이저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체(200)와;
    상기 수용부(120) 및 제1경사면(210)의 측방으로 레이저광을 통과되게 하는 입사부(300)와;
    상기 수용부(12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데, 상기 입사부(300)를 통과하는 레이저광을 상기 제1경사면(210)에 돌아가면서 반사되게 하여 제1경사면(210)의 반사위치에 대응하여 레이저광이 원통 형태로 제1반사체(200)의 상부로 방출되게 하는 제2반사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120) 외측에 마련되는데, 하부로 넓어지는 제2경사면(151)이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151)을 이용해 본체(100)의 하부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되게 하면서 그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입사부(300) 측으로 반사되게 하는 제3반사체(150)를 더 포함한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체(400)는 본체(100)의 하단에 축 결합되는 축부(410)에 연결되며, 그 축부(410)에 회전동력을 전달시켜 제2반사체(400)를 제자리 회전되게 하는 동력부(430)를 더 포함한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수용부(120)의 상단부를 차폐하며, 레이저광은 투과시키는 제1커버(130)를 더 포함한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
KR1020180055397A 2018-05-15 2018-05-15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 KR101929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97A KR101929968B1 (ko) 2018-05-15 2018-05-15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97A KR101929968B1 (ko) 2018-05-15 2018-05-15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968B1 true KR101929968B1 (ko) 2018-12-18

Family

ID=6495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397A KR101929968B1 (ko) 2018-05-15 2018-05-15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9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000A (ja) * 1998-09-14 2000-03-31 Nikon Corp X線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000A (ja) * 1998-09-14 2000-03-31 Nikon Corp X線発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1174B2 (en) Laser radar device
KR101470387B1 (ko) 원뿔형 반사거울을 이용한 조명 장치
CN105716023B (zh) 一种汽车前照灯组件及汽车前照灯
US5725296A (en) Light head assembly with remote light source
US5230560A (en) Anti-collision light assembly
KR20050025538A (ko) 조명장치
CN113503520B (zh) 一种环形匀光透镜、透镜组件及光电编码器
KR10192996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유도장치
US10480754B2 (en) Illumination device
US11473750B2 (en) Optical unit with light source for light distribution and electromagnetic wave generator for detecting surrounding objects and vehicular lamp having the same
IL278347B1 (en) Lighting unit with multiple light sources to create a uniform lighting point
WO2020248457A1 (zh) 远近光一体的车灯模组
KR102249842B1 (ko) 3차원 스캐너 장치
CN110454744B (zh) 一种光源模组以及车用前照灯
CN220751955U (zh) 一种用于激光检测可燃气体的光路组件
US20230175672A1 (en) Wide-aperture light unit
JP2007101404A (ja) 投受波装置及び測距装置
US11774643B2 (en) Optical unit
CN212132306U (zh) 激光照明模组
CN220321132U (zh) 一种par光源
KR102656293B1 (ko) 라이다 광학 장치
KR102609619B1 (ko) 라이다 광학 장치
JPH10300460A (ja) 距離測定装置
KR20170127879A (ko) 삼색 레이저다이오드를 이용한 써치라이트
JP2021103127A (ja) 距離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