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734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734B1
KR101929734B1 KR1020180060847A KR20180060847A KR101929734B1 KR 101929734 B1 KR101929734 B1 KR 101929734B1 KR 1020180060847 A KR1020180060847 A KR 1020180060847A KR 20180060847 A KR20180060847 A KR 20180060847A KR 101929734 B1 KR101929734 B1 KR 10192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unit
housing par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호
Original Assignee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filed Critical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6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는, 제1유입홀부가 연결되는 제1유입공간부와 제1배출홀부가 연결되는 제1배출공간부를 구비하는 제1하우징부와, 제1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유입홀부가 연결되는 제2유입공간부와 제2배출홀부가 연결되는 제2배출공간부를 구비하는 제2하우징부와, 제1하우징부와 제2하우징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1유입공간부와 제2배출공간부를 연통시키고 제2유입공간부와 제1배출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하우징부와, 연통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고 공기 중 이물질 등을 걸러낼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실내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거나, 공기 중의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장치에 해당한다. 일반적인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 등의 온도조절부,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부와, 이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부 등을 포함한다.
다만,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 제습기 등이 추가되어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단가가 높으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가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필터부 등의 내부 부품을 교체, 관리하기 어렵고,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의 열 또는 습기가, 공기조화 과정에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0655403호(2006.12. 13. 공고, 발명의 명칭: 전기 온풍 난방기의 온풍열기 집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치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고,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제1유입홀부가 연결되는 제1유입공간부와, 제1배출홀부가 연결되는 제1배출공간부를 구비하는 제1하우징부; 상기 제1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유입홀부가 연결되는 제2유입공간부와 제2배출홀부가 연결되는 제2배출공간부를 구비하는 제2하우징부;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유입공간부와 상기 제2배출공간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유입공간부와 상기 제1배출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하우징부; 및 상기 연통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하우징부는, 상기 제1유입공간부와 상기 제1배출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하우징부가 결합되는 제1하우징바디부; 상기 제1하우징바디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입홀부 및 상기 제1배출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체이동관과 연결시키는 제1배관연결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유입홀부 및 상기 제2배출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유체이동관과 연결시키는 제2배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하우징부는, 상기 제1배관연결부와 상기 제2배관연결부를 상기 제1하우징바디부에 연결하는 배관연결바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하우징부는, 상기 제2유입공간부와 상기 제2배출공간부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바디부; 및 상기 제2하우징바디부를 상기 제1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2하우징바디부를 상기 제1하우징부에 고정시켜, 상기 제2하우징바디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통하우징부는,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필터부가 수용되는 연통하우징바디부; 및 상기 연통하우징바디부를 상기 제1하우징부 또는 상기 제2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통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필터부는, 상기 연통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동필터하우징부; 상기 이동필터하우징부에 수용되는 이동필터; 및 상기 이동필터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필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필터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이동제한부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필터의 양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필터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이동제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필터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부 또는 상기 제2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필터부로 유입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고정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제2하우징부가 제1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하우징부와 제2하우징부 사이에 구비되는 이동필터부, 고정필터부 등의 교체, 장착 등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연결부가 구비되어, 제2하우징부의 이동 시에도, 유체이동관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공기조화장치의 수리, 관리, 설치 등이 용이하며, 유체이동관의 변형, 충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필터부가 연통하우징부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어, 이동필터부로부터 유체 또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필터하우징부와 필터이동제한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필터의 장착, 교체, 관리 등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연결부가 구비되어 제2하우징부의 이동에도 제1하우징부와 제2하우징부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서 제2하우징부가 제1하우징부에 대하여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절개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절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하우징부와 이동필터부가 제1하우징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필터부가 연통하우징부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하우징부 및 이동필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서 제2하우징부가 제1하우징부에 대하여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제1하우징부(100), 제2하우징부(200), 연통하우징부(300) 및 이동필터부(400)를 포함하여 실외 등으로 예시되는 제1공간에서 입력되는 공기 등의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동시에, 실내(제2공간)와 실외(제1공간) 유체의 교환에 따른 열 손실 등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절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하우징부(100)는 제1유입홀부(112)가 연결되는 제1유입공간부(111)와, 제1배출홀부(116)가 연결되는 제1배출공간부(115)를 구비하여, 제1공간의 유체가 제1유입홀부(112)를 통하여 제1하우징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이동필터부(400)를 거쳐 제2하우징부(200)에 유입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2공간의 유체가 제2하우징부(200) 및 이동필터부(400)를 거친 후 제1배출공간부(115)를 거쳐 제1배출홀부(116)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부(100)는 제1하우징바디부(110) 및 배관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바디부(110)에는 제1유입공간부(111)와 제1배출공간부(115)가 형성되며, 연통하우징부(30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유입공간부(111)와 제1배출공간부(115)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의 격벽으로 구획되어, 제1유입공간부(111)와 제1배출공간부(115)에 수용된 유체가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제1하우징바디부(110)의 내측에는 발포수지 등의 단열재가 장착되어 외부와의 열전달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바디부(110)의 외측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유입공간부(111)는 제1유입홀부(112)와 연통되며, 제1유입홀부(112)는 직접, 또는 배관연결부(130)나 유체이동관(10) 등을 통하여 간접으로 제1공간과 연결됨으로써 제1공간의 유체가 제1유입홀부(112)를 통하여 제1유입공간부(111)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유입공간부(111)에 유입된 유체는 제1하우징바디부(110)에 관통 형성되는 홀부를 통하여 연통하우징부(300)에 수용된 이동필터부(400)에 전달된다. 제1유입공간부(111)의 유체가 연통하우징부(300)의 내측, 즉 이동필터부(400)에 전달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홀부에는 후술할 고정필터부(600) 등이 구비되어 해당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제1배출공간부(115)는 제1배출홀부(116)와 연통되며, 제1배출홀부(116)는 직접, 또는 배관연결부(130)나 유체이동관(10) 등을 통하여 제1공간과 간접 연결됨으로써 제1배출공간부(115)의 유체가 제1배출홀부(116)를 거쳐 제1공간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하우징부(200) 및 이동필터부(400)를 거친 유체는 제1하우징바디부(110)에 관통 형성되는 제1배출연통홀부(117)를 통하여 제1배출공간부(115)에 유입된다.
이동필터부(400)를 거친 유체가 제1배출공간부(115) 측으로 유입되기 위하여 제1하우징바디부(110)에 형성되는 제1배출연통홀부(117)는 복수 개가 대략 육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배출공간부(115) 측으로 이동되는 유체의 이동 저항을 저감함과 동시에, 유체 이동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유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배관연결부(130)는 제1공간 또는 제2공간에 연통되는 유체이동관(10)과 제1하우징바디부(110) 또는 제2하우징바디부(210) 내부를 연결하여, 제1하우징바디부(110) 또는 제2하우징바디부(210)로 유체가 출입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연결부(130)는 제1배관연결부(131) 및 제2배관연결부(133)를 포함한다.
제1배관연결부(131)는 제1하우징바디부(110)에 구비되는 제1유입홀부(112) 또는 제1배출홀부(1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체이동관(10)과 연결시켜 제1하우징바디부(110) 내부로 유체가 출입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배관연결부(131)는 중공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제1유입홀부(112) 또는 제1배출홀부(116)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유체이동관(10)에 연통된다.
제2배관연결부(133)는, 제2하우징부(200)의 제2유입홀부(212) 및 제2배출홀부(2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체이동관(10)과 연통시켜, 제2하우징바디부(210) 내부로 유체가 출입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배관연결부(133)는 중공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제2유입홀부(212) 또는 제2배출홀부(216)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유체이동관(10)에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연결부(130)는 배관연결바디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관연결바디부(135)는 제1하우징바디부(110)에 연결되며, 제1배관연결부(131)와 제2배관연결부(133)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연결바디부(135)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하우징바디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배관연결부(131) 및 제2배관연결부(133)를 지지한다. 또한, 배관연결바디부(135)는, 제2하우징부(200)가 이동필터부(400)를 덮어 제1하우징부(100)에 결합될 때, 제2하우징부(2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유입홀부(212)와 제2배출홀부(216)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링부재 등이 제1하우징부(10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2유입홀부(212)와 제2배출홀부(216)을 통하여 출입되는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배관연결바디부(135)는 제2하우징부(200)가 제1하우징부(100)에 대하여 이동되어도 제1배관연결부(131)와 제2배관연결부(133)의 위치를 고정하여 제1배관연결부(131) 및 제2배관연결부(133)에 연결된 유체이동관(10)이 이동, 변형,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배관연결부(130)는, 이동필터부(400) 등의 관리 등을 위하여 제2하우징부(200)를 이동시키는 경우, 유체이동관(10)을 분리하거나 이동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공기조화장치(1)의 관리, 설치,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한다.
도 5는 도 1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절개도이다. 도 1 내지 3 및 5를 참조하면, 제2하우징부(200)는 제1하우징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유입홀부(212)가 연결되는 제2유입공간부(211)와, 제2배출홀부(216)가 연결되는 제2배출공간부(21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하우징부(200)가 제1하우징부(100)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는 것은, 병진 이동, 회전 이동 또는 병진 및 회전이 혼합된 이동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공기조화장치(1)의 설치, 수리, 관리, 이동 등을 위하여 제2하우징부(200)를 제1하우징부(100)에 대하여 이동, 회전 등을 하는 것을 뜻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하우징부(200)는 제2하우징바디부(210) 및 회전결합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하우징바디부(210)는 내부에 제2유입공간부(211)와 제2배출공간부(215)가 형성되며, 제1하우징부(100)에 회전, 또는 병진 이동 등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하우징바디부(210)의 내부에는 제2유입공간부(211)와 제2배출공간부(215)를 구획하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의 격벽이 구비되어, 제2유입공간부(211)와 제2배출공간부(215)에 수용된 유체가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제2하우징바디부(210)의 내측에는 발포수지 등의 단열재가 장착되어 외부와의 열전달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바디부(210)의 외측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유입공간부(211)는 제2유입홀부(212)와 연통되며, 제2유입홀부(212)는 직접, 또는 배관연결부(130)나 유체이동관(10) 등을 통하여 제2공간과 간접 연결됨으로써 제2공간의 유체가 제2유입홀부(212)를 통하여 제2유입공간부(211)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유입공간부(211)에 유입된 유체는 제2하우징바디부(210)에 관통 형성되는 홀부를 통하여 연통하우징부(300)에 수용된 이동필터부(400)에 전달된다. 제2유입공간부(211)의 유체가 연통하우징부(300)의 내부에 전달되는 경로상에는 후술할 고정필터부(600) 등이 구비되어 해당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제2배출공간부(215)는 제2배출홀부(216)와 연통되며, 제2배출홀부(216)는 직접, 또는 배관연결부(130)나 유체이동관(10) 등을 통하여 제2공간과 연결됨으로써 제2배출공간부(215)의 유체가 제2배출홀부(216)를 거쳐 제2공간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하우징부(100) 및 이동필터부(400)를 거친 유체는 제2하우징바디부(210)에 관통 형성되는 제2배출연통홀부(217)를 통하여 제2유입공간부(211)에 유입된다.
이동필터부(400)를 거친 유체가 제2배출공간부(215) 측으로 유입되기 위하여 제2하우징바디부(210)에 형성되는 제2배출연통홀부(217)는 복수 개가 대략 육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배출공간부(215) 측으로 이동되는 유체의 이동 저항을 저감함과 동시에, 유체 이동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유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회전결합부(230)는 제2하우징바디부(210)를 제1하우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결합부(230)는 제1하우징바디부(110)와 제2하우징바디부(210)에 결합되는 힌지 등으로 예시되어, 제2하우징바디부(210)가 제1하우징바디부(110)에 대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회전결합부(230)에 의하여 제2하우징바디부(210)가 제1하우징바디부(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하우징바디부(210)와 제1하우징바디부(110)의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제2하우징바디부(210)를 회전시켜, 제2하우징바디부(210)와 제1하우징바디부(110) 사이에 위치하는 연통하우징부(300) 및 이동필터부(400)의 교체, 수리,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장치(1)는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재(500)는 제2하우징바디부(210)를 제1하우징부(100)에 고정시켜, 제2하우징바디부(210)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500)는 클램프, 볼트, 후크 등으로 예시되어, 제2하우징바디부(210)가 제1하우징부(100)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즉, 작업자, 사용자 등이 공기조화장치(1)의 수리, 관리 등을 위하여 제2하우징바디부(2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고정부재(500)가 제2하우징바디부(21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간단한 조작으로 해제하여 제2하우징바디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장치(1)의 작동, 보관 등을 위하여 제2하우징바디부(210)의 이동을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부재(500)를 조작하여 제2하우징바디부(210)가 제1하우징부(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500)는, 제2하우징바디부(210)를 제1하우징부(100)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하우징부와 이동필터부가 제1하우징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필터부가 연통하우징부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하우징부 및 이동필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 6 내지 9를 참조하면, 연통하우징부(300)는 제1하우징부(100)와 제2하우징부(200) 사이에 위치하며, 제1유입공간부(111)와 제2배출공간부(215)를 연통시키고, 제2유입공간부(211)와 제1배출공간부(115)를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연통하우징부(300)는 연통하우징바디부(310) 및 연통하우징결합부(330)를 포함한다.
연통하우징바디부(310)는 제1하우징부(100)와 제2하우징부(200)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이동필터부(400)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통하우징바디부(31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이동필터부(40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연통하우징바디부(310)와 제1하우징부(100) 또는, 연통하우징바디부(310)와 제2하우징부(200)의 사이는 테프론, 합성수지 등으로 실링 처리되어 열,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통하우징결합부(330)는 연통하우징바디부(310)를 제1하우징부(100) 또는 제2하우징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통하우징결합부(330)는 연통하우징바디부(310)를 제1하우징부(100)에 접하게 한 후 회전시키거나, 제1하우징부(100) 방향으로 가압할 때, 제1하우징부(100)에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고,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하우징부(100)에 대하여 탈거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통하우징결합부(330)는 연통하우징바디부(310)의 회전에 따라 변형되면서 제1하우징부(100)에 장착되는 후크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통하우징결합부(33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연통하우징바디부(31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연통하우징바디부(310)를 제1하우징부(10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동필터부(400)는 연통하우징부(300)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필터부(400)는 이동필터하우징부(410), 이동필터(430) 및 필터이동제한부(450)를 포함한다.
이동필터하우징부(410)는 연통하우징부(300)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모터 등으로 예시되는 구동부(700)의 회전축 등에 결합되어, 구동부(700)의 작동 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필터하우징부(410)는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공간에 이동필터(430)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필터하우징부(410)는 부채꼴 형상의 복수 개 공간으로 구획되어, 부채꼴 형상에 대응되는 이동필터(430) 복수 개가 수용될 수 있다.
이동필터(430)는 이동필터하우징부(410)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필터(430)는 이동필터하우징부(410)의 구획된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필터하우징부(41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며, 구동부(700)의 작동 시 이동필터하우징부(410)와 함께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필터(430)는 메쉬 타입 등으로 예시되며, 이동필터(430)로 유입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며, 물 세탁 등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이동제한부(450)는 이동필터하우징부(4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필터(430)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이동제한부(45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이동필터(430)의 양측면에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이동제한부(45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이동제한부(450)는 이동필터(430)를 사이에 두고 이동필터하우징부(41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이동필터(430)의 교체, 장착 등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이동필터하우징부(410)에는 결합돌기(411)가 돌출 형성되고, 필터이동제한부(450)에는 결합돌기(4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부(451)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필터이동제한부(450)를 이동필터하우징부(410) 측으로 가압하면 결합돌기(411)가 결합홈부(45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이동필터하우징부(410)와 필터이동제한부(45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필터부(400)는 필터고정부(47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고정부(470)는 구동부(700)의 회전축의 단부에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터이동제한부(450) 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로써, 필터고정부(470)는 필터이동제한부(450)와 함께 이동필터(430)의 이탈을 안정적으로 제한하고, 이동필터하우징부(410) 등이 구동부(700)의 구동축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필터고정부(470)는 구동부(700)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작업자가 공구의 사용 없이, 필터고정부(470)를 회전시키는 작동 만으로 필터고정부(470)가 구동부(700)에서 탈거되거나, 구동부(700)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장치(1)는 전기연결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연결부(800)는 제1하우징부(100)와 제2하우징부(200) 사이의 전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신축 또는 굽힘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하우징부(100)에 대하여 제2하우징부(200)가 이동되더라도 제1하우징부(100)와 제2하우징부(200) 사이의 전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전기연결부(800)는 외부면에 방수, 방진 등이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고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기조화 과정 등에서 발생되는 습기, 먼지 등에 의하여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장치는 고정필터부(600)를 더 포함한다. 고정필터부(600)는 제1하우징부(100) 또는 제2하우징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필터부(400)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낸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필터부(600)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제1하우징부(100) 및 제2하우징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후크 결합,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1하우징부(100)에 장착되는 고정필터부(600)는 제1유입공간부(111)가 제2하우징부(200)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홀부에 위치하여, 제1유입공간부(111)의 유체가 연통하우징부(300)에 수용된 이동필터부(400)를 거쳐 제2하우징부(200) 측으로 전달될 때, 해당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하우징부(200)에 장착되는 고정필터부(600)는 제2유입공간부(211)가 제1하우징부(100)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홀부에 위치하여, 제2유입공간부(211)의 유체가 연통하우징부(300)에 수용된 이동필터부(400)를 거쳐 제1하우징부(100) 측으로 전달될 때, 해당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필터부(600)에는 헤파(HEPA)필터 등의 필터가 적용가능하며, 단일의 필터 이외에도 복수 개의 필터를 다층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장치(1)는 송풍부(90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부(900)는 제1하우징부(100) 또는 제2하우징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제1하우징부(100) 또는 제2하우징부(200)의 유체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부(900)는 제1송풍부(910) 및 제2송풍부(930)를 포함한다.
제1송풍부(910)는 제1배출공간부(115)에 구비되어, 제2유입공간부(211) 또는 제1배출공간부(115)에 수용된 유체가 제1배출홀부(116)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제2송풍부(930)는 제2배출공간부(215)에 구비되어, 제1유입공간부(111) 또는 제2배출공간부(215)에 수용된 유체가 제2배출홀부(216)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부(900)는 송풍결합부(901) 및 송풍구동부(903)를 포함한다. 송풍결합부(901)는 제1하우징부(100) 또는 제2하우징부(200)에 슬라이딩 방식 또는 볼팅 결합 방식 등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개구부(902)가 형성되어 송풍구동부(903)에서 전달되는 유체가 개구부(90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송풍구동부(903)는 송풍결합부(901)에 결합되며, 임펠러 등을 포함하고, 양측부에 개방홀부(904)가 형성되어 개방홀부(904)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개구부(90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간으로부터 제2공간으로의 유체의 이동은 제2송풍부(930)에 의하여 구현된다. 제2배출공간부(215)에 수용된 제2송풍부(930)가 작동하여, 제2배출공간부(215) 내부의 유체를 제2배출홀부(216) 등을 통하여 제2공간으로 배출하면, 제2배출공간부(215)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다.
제2배출공간부(215)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제2배출공간부(215)와 연결된 제1유입공간부(111)의 유체가 고정필터부(600) 및 이동필터부(400)를 거쳐 제2배출공간부(215)로 유입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제1공간에 위치한 유체가, 제1유입홀부(112), 제1유입공간부(111), 제2배출공간부(215) 및 제2배출홀부(216) 등을 통하여 제2공간에 전달된다.
제1유입공간부(111)에서 제2배출공간부(215)로 유체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은 고정필터부(600)와 이동필터부(400)에 의하여 다중으로 걸러진다.
또한, 제2공간으로부터 제1공간으로의 유체의 이동은 제1송풍부(910)에 의하여 구현된다. 제1배출공간부(115)에 수용된 제1송풍부(910)가 작동하여, 제1배출공간부(115) 내부의 유체를 제1배출홀부(116) 등을 통하여 제1공간으로 배출하면, 제1배출공간부(115) 내부 압력이 낮아진다.
제1배출공간부(115)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제1배출공간부(115)와 연결된 제2유입공간부(211)의 유체가 고정필터부(600) 및 이동필터부(400)를 거쳐 제1배출공간부(115)로 유입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제2공간에 위치한 유체가, 제2유입홀부(212), 제2유입공간부(211), 제1배출공간부(115) 및 제1배출홀부(116) 등을 통하여 제1공간에 전달된다.
제2유입공간부(211)에서 제1배출공간부(115)로 유체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유체는 고정필터부(600) 및 이동필터부(400)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다중으로 포집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장치(1)의 이동필터부(400)는 이동필터하우징부(410)의 회전에 따라, 제1유입공간부(111), 제1배출공간부(115), 제2유입공간부(211) 및 제2배출공간부(215)에 노출되는 부위가 전환되므로, 제1유입공간부(111)를 거쳐 제1공간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열기(또는 냉기)가 이동필터부(400)의 일측면의 온도를 변화시키되, 해당 열기(또는 냉기)가 제2공간에서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제1배출공간부(115)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열적 차단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장치(1)의 이동필터부(400)의 회전에 따라, 제2유입공간부(211)를 거쳐 제2공간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열기(또는 냉기)가 이동필터부(400)의 타측면의 온도를 변화시키되, 해당 열기(또는 냉기)가 제1공간에서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제2배출공간부(215) 등을 통하여 제2공간으로 배출되므로,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열적 차단 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제2하우징부(200)가 제1하우징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하우징부(100)와 제2하우징부(200) 사이에 구비되는 이동필터부(400), 고정필터부(600) 등의 교체, 장착 등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배관연결부(130)가 구비되어, 제2하우징부(200)의 이동 시에도, 유체이동관(1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공기조화장치(1)의 수리, 관리, 설치 등이 용이하며, 유체이동관(10)의 변형, 충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이동필터부(400)가 연통하우징부(300)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어, 이동필터부(400)로부터 유체 또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이동필터하우징부(410)와 필터이동제한부(45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필터(430)의 장착, 교체,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전기연결부(800)가 구비되어 제2하우징부(200)의 이동에도 제1하우징부(100)와 제2하우징부(200)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공기조화장치 10: 유체이동관
100: 제1하우징부 110: 제1하우징바디부
111: 제1유입공간부 112: 제1유입홀부
115: 제1배출공간부 116: 제1배출홀부
117: 제1배출연통홀부 130: 배관연결부
131: 제1배관연결부 133: 제2배관연결부
135: 배관연결바디부 200: 제2하우징부
210: 제2하우징바디부 211: 제2유입공간부
212: 제2유입홀부 215: 제2배출공간부
216: 제2배출홀부 217: 제2배출연통홀부
230: 회전결합부 300: 연통하우징부
310: 연통하우징바디부 330: 연통하우징결합부
400: 이동필터부 410: 이동필터하우징부
411: 결합돌기 430: 이동필터
450: 필터이동제한부 451: 결합홈부
470: 필터고정부 500: 고정부재
600: 고정필터부 700: 구동부
800: 전기연결부 900: 송풍부
901: 송풍결합부 902: 개구부
903: 송풍구동부 904: 개방홀부
910: 제1송풍부 930: 제2송풍부

Claims (10)

  1. 제1유입홀부(112)가 연결되는 제1유입공간부(111)와, 제1배출홀부(116)가 연결되는 제1배출공간부(115)를 구비하는 제1하우징부(100);
    상기 제1하우징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유입홀부(212)가 연결되는 제2유입공간부(211)와 제2배출홀부(216)가 연결되는 제2배출공간부(215)를 구비하는 제2하우징부(200);
    상기 제1하우징부(100)와 상기 제2하우징부(2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유입공간부(111)와 상기 제2배출공간부(215)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유입공간부(211)와 상기 제1배출공간부(115)를 연통시키는 연통하우징부(300); 및
    상기 연통하우징부(300)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필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부(100)는,
    상기 제1유입공간부(111)와 상기 제1배출공간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하우징부(300)가 결합되는 제1하우징바디부(110);
    상기 제1유입홀부(112) 및 상기 제1배출홀부(1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체이동관(10)과 연결시키는 제1배관연결부(131);
    상기 제2유입홀부(212) 및 상기 제2배출홀부(2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유체이동관(10)과 연결시키는 제2배관연결부(133); 및
    상기 제1배관연결부(131)와 상기 제2배관연결부(133)를 상기 제1하우징바디부(110)와 연결하여, 상기 제2하우징부(200)가 상기 제1하우징부(100)에 대하여 이동될 때, 상기 유체이동관(10)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배관연결바디부(13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부(200)는,
    상기 제2유입공간부(211)와 상기 제2배출공간부(215)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바디부(210); 및
    상기 제2하우징바디부(210)를 상기 제1하우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결합부(2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바디부(210)를 상기 제1하우징부(100)에 고정시켜, 상기 제2하우징바디부(21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하우징부(300)는,
    상기 제1하우징부(100)와 상기 제2하우징부(2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필터부(400)가 수용되는 연통하우징바디부(310); 및
    상기 연통하우징바디부(310)를 상기 제1하우징부(100) 또는 상기 제2하우징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통하우징결합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필터부(400)는,
    상기 연통하우징부(300)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구동부(700)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동필터하우징부(410);
    상기 이동필터하우징부(410)에 수용되는 이동필터(430); 및
    상기 이동필터하우징부(4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필터(430)의 이동을 제한하는 필터이동제한부(4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이동제한부(45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필터(430)의 양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필터부(400)는,
    상기 구동부(700)의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이동제한부(450)의 이동을 제한하는 필터고정부(4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부(100) 또는 상기 제2하우징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필터부(400)로 유입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고정필터부(6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80060847A 2018-05-29 2018-05-29 공기조화장치 KR10192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47A KR101929734B1 (ko) 2018-05-29 2018-05-29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47A KR101929734B1 (ko) 2018-05-29 2018-05-29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734B1 true KR101929734B1 (ko) 2018-12-17

Family

ID=6500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847A KR101929734B1 (ko) 2018-05-29 2018-05-29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7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8127A (zh) * 2019-05-29 2019-07-3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空调后壳及移动空调
KR20210028848A (ko) * 2019-09-05 2021-03-15 (주)대양이엔아이 미세먼지제거기능을 포함한 공기조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970A (ja) * 1998-09-30 2000-04-11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換気装置
KR101451830B1 (ko) * 2013-12-12 2014-10-16 김황호 공기조화장치
KR101826314B1 (ko) * 2017-06-09 2018-02-06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공기조화장치
KR101855482B1 (ko) * 2017-02-17 2018-05-04 은성화학(주)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970A (ja) * 1998-09-30 2000-04-11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換気装置
KR101451830B1 (ko) * 2013-12-12 2014-10-16 김황호 공기조화장치
KR101855482B1 (ko) * 2017-02-17 2018-05-04 은성화학(주)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1826314B1 (ko) * 2017-06-09 2018-02-06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공기조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8127A (zh) * 2019-05-29 2019-07-3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空调后壳及移动空调
KR20210028848A (ko) * 2019-09-05 2021-03-15 (주)대양이엔아이 미세먼지제거기능을 포함한 공기조화장치
KR102276412B1 (ko) * 2019-09-05 2021-07-13 (주)대양이엔아이 미세먼지제거기능을 포함한 공기조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813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환기장치
AU2016340533B2 (en) Air conditioner
KR101929734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758644B1 (ko) 공청형 전열교환기
KR200490295Y1 (ko) 벽면설치가 가능한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1826314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651443B1 (ko) 투패스댐퍼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 열회수 환기장치
KR20170095519A (ko) 환기장치
KR101956646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1207947B1 (ko) 제습 냉방 장치
KR101539655B1 (ko)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KR20160145029A (ko) 통풍 장치
KR2018008225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190133374A (ko) 전열교환기
KR101540034B1 (ko) 바이패스 덕트를 구성하는 전열교환기
KR20190079032A (ko) 전열교환기
KR100965814B1 (ko)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KR102484327B1 (ko)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전열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냉난방 복합기
KR101678665B1 (ko) 멤브레인을 갖는 에너지 절약형 공기조화기
KR101836875B1 (ko) 댐퍼 및 이를 구비한 바이패스 전열교환기
JP2020516839A (ja) 床置き式エアコン
KR102635410B1 (ko) 습도조절모듈을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1982137B1 (ko) 열교환식 창문프레임 환기장치
CN214791499U (zh) 用于空调器的新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KR100725746B1 (ko)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