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579B1 - Virtual Reality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9579B1 KR101929579B1 KR1020160110636A KR20160110636A KR101929579B1 KR 101929579 B1 KR101929579 B1 KR 101929579B1 KR 1020160110636 A KR1020160110636 A KR 1020160110636A KR 20160110636 A KR20160110636 A KR 20160110636A KR 101929579 B1 KR101929579 B1 KR 1019295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reality
- unit
- saddle
- user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K—RACING; RIDING SPORTS;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A63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 H04M1/72566—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바닥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용자가 기승하는 안장; 상기 안장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장이 상하 및 전후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가동축; 상기 가동축이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하도록 상기 가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마동작구동부; 상기 안장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의 구동을 조작하는 구동조작부; 및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가상현실 영상화면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는 영상화면 송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장에 기승한 이용자가 착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을 통해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이 느끼도록 하는 가상현실 헤드셋;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를 제공하여 승마 운동의 현실감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A body mounted on the floor; A saddl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allow the user to ride the saddle; A movable shaft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the movable shaft being installed in the body so that the saddle can be tilted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A riding operation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movable shaft such that the movable shaft moves up and down and front and rear tilting motions; A driving operation portion connected to a front side of the saddle so as to operate driving of the riding operation driving portion; 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front, a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and a video scree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wherein the user wearing the saddle wears the virtual reality video screen through the virtual reality video screen And a virtual reality headset for allowing the user to feel the same as the virtual reality equipments, thereby maximizing the reality of the equestrian exercise and securing the safety of the us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영상화면을 송출하여 이를 착용한 이용자가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이 느끼도록 하는 가상현실 헤드셋을 구비하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having a virtual reality headset for sending a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and allowing a user wearing the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to feel like actually riding will be.
일반적으로, 승마라 함은 살아 움직이는 말과 함께하는 운동으로서, 말의 움직임에 적응하여 신체적 적응 능력 및 균형 감각을 발달시키고, 신체의 유연성을 길러서 올바른 신체 발달을 돕도록 하는 전신운동이다. 또한, 승마는 신체를 바르게 교정해주고, 허리를 유연하게 하며, 신체의 리듬감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 집중력을 기르고, 폐활량을 늘리며, 담력을 길러주고, 전신운동으로 인한 소화기 계통의 건강에도 도움을 주며, 여성들의 경우, 몸매 관리와 함께 골반이 튼튼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Generally speaking, horse riding is a whole body exercise that is accompanied by a living horse, which adapts to the horse's movements, develops physical adaptation ability and balance sense, and helps the body to develop the flexibility of the body. In addition, horse riding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body, flexing the waist, raising the rhythm of the body, raising the mental concentration, increasing the lung capacity, strengthening the biceps and improving the digestive system health , And in women, it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pelvis along with body management.
이와 같은 승마는 상술한 것과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승마를 위한 장소까지 이동하는데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낙마시 부상의 위험이 상존하여 운동으로 즐기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Despite the advantages described above, such a horse riding is not only time-consuming and costly, but also inconveniences in moving to a place for horseback riding, I had.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승마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단점을 보완하여, 실제 말을 타지 않은 상태에서도 그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승마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horse riding exercise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so as to make up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horse riding and to obtain the substitute effect even when the horse is not actually ridden.
종래의 승마 운동 기구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7869호의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연결축과,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유동부와, 유동부에 씌워진 모형말을 포함하는 승마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2개의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구비된 2개의 출력단에 연결된 캠과, 상기 캠과 연결된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간격을 두고 구비된 종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를 연결하는 쇽업저버와, 상기 종동링크를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틀체를 이루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As a conventional horse training exercise devic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127869 entitled " Equestrian exercise device with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win-win effect "has been proposed, which includes a base, a connection shaft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 riding exercise machine comprising a moving part fixed to an upper end and a model horse covered on a moving part, wherein the moving part includes a fixed plate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ymmetrically arranged A cam connected to two output ends of the speed reducer, a driving link connected to the cam, and a driving link connected to the cam, A shock absorber connecting the driving link and the driven link, and a driven member connected to the driven link, The forming comprises a connecting fram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승마 운동 기구는 제자리에서 움직이는 것에 불과하여 이용자에게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달리 현실감을 제공하지 못하여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equine exercise machine is merely moving in place, and unlike the actual horse riding to the user, the conventional exercise equipments can not provide a sense of realism, which can degrade intere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상현실 헤드셋을 구비하여, 가상현실 영상화면을 송출함으로써 이를 착용한 이용자가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headset, in which a virtual reality video screen is transmitted to allow a user wearing the virtual reality video to feel realistic feeling of actually riding, And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apparatus which can perform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용자가 기승하는 안장; 상기 안장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장이 상하 및 전후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가동축; 상기 가동축이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하도록 상기 가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마동작구동부; 상기 안장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의 구동을 조작하는 구동조작부; 및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가상현실 영상화면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는 영상화면 송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장에 기승한 이용자가 착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을 통해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이 느끼도록 하는 가상현실 헤드셋;을 포함할 수 있다.A virtual reality equestria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rovided on a floor; A saddl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allow the user to ride the saddle; A movable shaft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the movable shaft being installed in the body so that the saddle can be tilted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A riding operation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movable shaft such that the movable shaft moves up and down and front and rear tilting motions; A driving operation portion connected to a front side of the saddle so as to operate driving of the riding operation driving portion; 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front, a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and a video scree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wherein the user wearing the saddle wears the virtual reality video screen through the virtual reality video screen And a virtual reality headset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the same.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에서,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이 수평면과 이루는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가 전방 하측을 향하여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 In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reality headset may further include a gyro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tilt of the virtual reality headset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wherein the tilt measured by the gyro sensor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can be transmit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display unit.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에서,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가 전방 하측을 향하여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를 상하로 분할하여, 상측에는 가상현실 영상화면을 송출하고, 하측에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In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reality headset may divide the video image sending unit up and down when the inclination measured by the gyro sensor is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toward the front lower side, And transmits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to the lower side.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에서,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방 하측을 향한 기울기가 클수록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는 영역을 넓히도록 할 수 있다. In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reality headset can widen an area for transmitt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s the slope toward the front lower side measured by the gyro sensor is larger.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에서,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휴대폰 기능을 구비하고, 음성통화 또는 문자메세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의 적어도 일부에 음성통화 또는 문자메세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송출할 수 있다. In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reality headset includes a mobile phone function, and when a voice call or a text message is received, a voice call or a text message is notified to at least a part of the video screen transmitting unit The screen can be transmitted.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에서, 상기 안장은, 이용자가 기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승여부판단센서를 구비하여, 이용자가 낙마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상기 기승여부판단센서에 의해 이용자가 낙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In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ddle may be provided with an abdominality determination sensor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abiding, and the virtual reality headset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bdomen When the judgment sensor judges that the user has failed, the user can transmit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rough the image screen sending unit.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에서,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휴대단말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는, 상기 휴대단말부에 구비될 수 있다. In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reality headset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portable terminal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camera and the image screen transmitting portion ar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portion .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는, 상기 구동조작부의 전방에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안장에 기승한 이용자가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disposed rearwardly in front of the driving operation unit and allowing a user who has abided by the saddle to view the screen.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은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과 연동될 수 있다.In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interlocked with the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현실 헤드셋을 구비하여 가상현실 영상화면을 송출함으로써 이를 착용한 이용자가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apparatus that includes a virtual reality headset and transmits a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so that a user who wears the virtual reality image realizes a sense of reality as if the user is actually rid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가동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가동축을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가동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가동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타원궤도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홀더와 걸림홈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박동동작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박동동작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박동동작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화상조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화상조작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디스플레이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등자길이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등자길이조절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등자길이조절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박차가속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박차가속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속도유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가상현실 헤드셋을 도시한 사시도.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에서, 이용자의 시선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에 따른 영상화면 송출부에 송출되는 화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2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지지프레임 및 회전동작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axis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axis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vable axis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movable axis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liptical orbital motion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holder and an engagement groove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eating operation part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ting operation part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eating operation part of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age manipulation part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manipulation portion of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3 and 14 show a display scree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rrer length adjusting unit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of a stirrer length adjuster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irrer length adjusting unit of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ur accelerator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ur accelerator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peed maintaining unit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irtual reality headset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to 2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hange of a screen transmitted to a video screen transmitting unit according to an angle formed by a user's line of sight to a horizontal plane in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side view showing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plan view showing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ing frame and a rotational movement driving part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체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be easily suggested, but are also intended to be encompass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의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는 본체(110), 가동축(120), 박동구동부(130), 안장(140), 승마동작구동부(150), 구동조작부(143), 등자높이조절부(180), 박차가속부(190), 및 가상현실 헤드셋(400)을 포함할 수 있다. 1,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110)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상부가 볼록한 형상을 가지거나, 이 밖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승마 동작에도 불구하고 전복되지 아니하는 안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가동축(120)은 본체(110) 내부에 상하 및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다시 말해서, 상기 가동축(120)은 후술하는 안장(140)의 하부에 연결되어, 안장(140)이 상하 및 전후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축(120)은 승마동작구동부(150)에 연결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축(120)은, 하단이 밀봉되며 내측에 코일 스프링(122)이 설치되는 실린더(121), 상기 실린더(121)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스프링(122)를 상측에서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123), 및 상기 피스톤(12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121)와 본체(1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124)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이때에, 상기 실린더(121)에는 피스톤(123)의 상하 이동으로 인해 흡기 및 배기가 발생할 수 있도록 흡배기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take and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122)은 일례로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또한, 흡배기홀(125)은 실린더(121)의 피스톤(123) 상하 이동 경로상에 다수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씩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intake and
가동축(120)은, 실린더(121)의 내측 저면에 코일스프링(122)이 끼워지는 가이드축(126)에 수직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이때에, 피스톤(123)이 최고 위치에 도달시, 코일스프링(122)과 피스톤(123)은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피스톤(123)의 저면에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 등의 패킹부재(127)가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또한, 가동축(120)은 피스톤(123)과 샤프트(124)의 연결을 매개하기 위하여, 피스톤(123)의 내측에 샤프트(124)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결합부재(128)가 마련될 수 있다.The
여기에서 나사결합부재(128)의 단면이 축소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부싱(129)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24)의 주위에 위치하는 오일레스부싱(129a)이 실린더(121)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샤프트(124)가 본체(110)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재(111)에 의해 상하 및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11)는 예컨대 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본체(110) 상단의 개방측에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샤프트(124)의 상하 운동에 의해 슬라이딩이 원활하도록 베어링이나 롤러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Here, th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과정에서, 피스톤(123)의 상하 운동에 의한 실린더(121) 내의 압축력 및 팽창력과 코일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의해, 크랭크핀(154)의 원형 회전 운동이 안장(140)의 상하로 연장된 타원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5 and 6, in the process of tilting the
안장(140)은 가동축(140)의 상부를 이루는 샤프트(124)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너트 등으로 고정되거나, 억지 끼움 후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용접으로 고정되거나, 별도의 브라켓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되거나, 그 밖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용자가 기승 후 안착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또한, 안장(140)은 전단에 이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4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용자가 발을 걸어서 지지되도록 하부로 연장되는 발걸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구동조작부(143)는 상기 안장(140)의 전방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모터(151) 등을 비롯한 기구의 동작을 각각 제어 조작할 수 있다. The driving
다시 말해서, 상기 구동조작부(143)는 승마동작 구동부(150)의 구동모터(151)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으며, 구동 속도 및 동작 등을 조절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riving
승마동작구동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동축(120)이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하도록 가동축(12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The horseback driving
즉,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축(120)이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실린더(121)에 크랭크 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승마동작구동부(150)는, 이와 같은 크랭크 운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본체(110) 내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51), 구동모터(151)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부(152), 감속부(152)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153), 감속기어(153)에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크랭크핀(154), 및 크랭크핀(15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가동축(120)의 실린더(121) 하단에 고정되는 회전결합부재(15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riding
여기에서, 구동모터(151)는 모터 브라켓 등에 의해 본체(110)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Here, the
또한, 감속부(152)는 일례로 구동모터(15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1 풀리(152a)와, 제 1 풀리(152a)에 제 1 벨트(152b)로 연결되는 제 2 풀리(152c)와, 제 2 풀리(152c)에 2단으로 적층됨과 아울러 제 2 풀리(152c)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3 풀리(152d)와, 제 3 풀리(152d)를 감속기어(153)에 연결시키는 제 2 벨트(152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한편, 제 2 풀리(152c)와 감속기어(153)는 회전 지지를 위하여 회전축(미도시)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회전축이 본체(110) 내에 고정되는 축고정부재와 이에 설치되는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며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현실 승마운동기구(100)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안전하게 안착하기 위하여, 감지부(171), 홀더(173) 및 걸림홈(174)이 마련될 수 있다.7,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trai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감지부(171)는 이용자를 감지하거나, 이용자에 의해 감지되도록 설치되는데, 예컨대 지지프레임(160)에 마련된 손잡이(미도시)에 설치되거나, 나아가서 안장(140)의 손잡이(141)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용자가 누르거나, 이용자의 손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며,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감지부(171)는 이용자가 손으로 잡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이용자를 감지시, 홀더(173)가 걸림홈(174)과의 걸림에 의해 샤프트(124)에 대한 브레이크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홀더(173)는 감지부(17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수신받아 걸림편(172)을 실린더(121)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서 실린더(121)의 내측으로 삽입하거나, 실린더(121)의 외측으로 복귀하도록 하며, 실린더(121)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일례로 전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철재를 포함하는 걸림편(172)을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 홀더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예로서 걸림편(172)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지거나, 또 다른 예로서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걸림편(174)을 이동시키는 모터 구동방식의 홀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홀더(173)는 걸림편(172)의 출입을 위해 형성된 실린더(121)의 개구를 밀폐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The
걸림홈(174)은 걸림편(172)이 실린더(121)의 내측에 삽입시 걸리도록 샤프트(12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데, 걸림편(172)이 여유롭게 걸릴 수 있도록 걸림편(172)의 크기보다 큰 규격으로 형성되고, 일례로 원형의 샤프트(124)에 밀링으로 일부 구간을 D컷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한편, 도 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승마의 현실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체(110)에는 박동구동부(130)가 마련되고,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박동구동부(130)가 빠르게 진동하여 실제 승마에서 말이 빠르게 달릴때와 같이 발의 심장박동이 빠르게 뛰는 것 같은 작용을 할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박동구동부(130)는 이용자에게 현실감있는 승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1, 8 and 9,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e of reality of equestrian riding, the
박동구동부(130)는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측면을 향하여 좌우로 운동하며 진동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박동구동부(130)는 가동축(120)에 수직하게 본체(110)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진동할 수 있다. The
상세하게는 박동구동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측면으로 연장된 안장(140)의 측면부(140a) 안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박동구동부(130)의 박동동작이 안장(140)의 측면부(140a)까지 전달되어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는 이용자의 대퇴근이나 무릎 안쪽으로 박동구동부(130)의 박동을 느낄 수 있다. 1, the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이 증가되어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박동구동부(130)의 박동주기(진동주기)도 상승할 수 있으며,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박동구동부(130)의 박동주기(진동주기)도 감소할 수 있다. A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일 예로서 박동구동부(130)는 박동구동모터(131), 편심구동부(132), 박동부(133), 및 가이드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박동구동모터(131)는 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박동구동부(13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박동구동모터(131)에는 편심구동부(132)의 제1회전부(1321)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력에 의해 제1회전부(1321)가 회전할 수 있다. The beating
편심구동부(132)는 박동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편심구동부(132)는 일측에서 박동구동모터(130)과 연결되고 타측에서 박동부(133)과 연결되며, 박동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박동부(133)가 좌우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The
편심구동부(132)는 일 예로서 제1 회전부(1321), 제2 회전부(1322), 제1 링크부재(1323), 및 제2 링크부재(13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전부(1321)는 박동구동모터(130)와 직접 결합하며 박동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제2 회전부(1322)는 제1 회전부(1321) 상에서 제1 회전부(1321)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부(1322)는 제1 편심핀(1325)에 의해 제1 회전부(1321)와 연결되며 제1 회전부(132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회전부(1321)는 제1 회전부(1321)의 회전축에서 편심되어 형성된 편심홀(1321a)을 가지고 있으며, 제2 회전부(1322)는 제2 회전부(1322)의 회전축에서 편심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 제1 편심공(1322a)과 제2 편심공(1322b)을 가질 수 있다. The
회전부(1322)의 회전축은 제1 회전부(1321)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에 있을 수 있으며, 편심홀(1321a)과 제1 편심공(1322a) 각각은 상기 회전축에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편심핀(1325)이 편심홀(1321a)과 제1 편심공(1322a)에 삽입되므로 제1 회전부(1321)과 제2 회전부(1322)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박동구동모터(130)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된다. The rotation axis of the
제1 링크부재(1323)는 그 일단이 제1 회전부(1321)와 제2 회전부(1322) 사이에서 제1 회전부(1321)의 회전축에서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제1 회전부(1321)와 제2 회전부(1322)와 연결되며, 그 타단이 제1 박동부(133a)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링크부재(1323)의 일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회전부(1322)의 제1 편심공(1322a), 제1 링크부재(1323)의 관통공, 및 제1 회전부(1321)의 편심홀(1321a)에 제1 편심핀(1325)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제1 회전부(1321), 제2 회전부(1322), 및 제1 링크부재(1323)을 연결할 수 있다. The
제1 링크부재(1323)는 일 예로서 제1 링크부(1323a)와 제1 링크핀(132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링크부(1323a)는 그 일단에 제1 관통공(1323a1)을 가지며 그 타단에 제2 관통공(1323a2)을 가질 수 있다. 제1 링크부(1323a)는 제1 회전부(1321)와 제2 회전부(132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편심핀(1325)가 제1 회전부(1322)의 제1 편심공(1322a), 제1 링크부(1323a)의 제1 관통공(1323a1), 및 제1 회전부(1321)의 편심홀(1321a)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제2 회전부(1322), 제1 링크부재(1323)의 일단, 및 제1 회전부(1321)가 회전 연결될 수 있다. 제1 관통공(1323a1)과 제2 관통공(1323a2) 내에는 베어링(B)이 배치되고 베어링(B)에 제1 편심핀(1325)가 삽입될 수 있다. The
제1 링크부(1323a)의 타단에는 제2 관통공(1323a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링크핀(1323b)이 제2 관통공(1323a2)를 관통하여 제1 박동부(133a)와 연결될 수 있다.A second through hole 1323a2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제1 관통공(1323a1)과 제2 관통공(1323a2) 내에는 베어링(B)이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베어링(B)에 제1 편심핀(1325) 및 제1 링크핀(1323b)가 삽입될 수 있다. A bearing B is disposed in the first through hole 1323a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323a2 and the first
제2 링크부재(1324)는 그 일단이 제2 회전부(1322)의 회전축에서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그 타단이 제2 박동부(133b)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링크부재(1324)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관통공(1324a1, 1324a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회전부(1322)의 제2 편심공(1322b)와 제1 링크부재(1323)의 관통공(1324a1)에 제2 편심핀(1326)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제2 회전부(1322)와 제2 링크부재(1324)를 연결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제2 링크부재(1324)는 일 예로서 제2 링크부(1324a)와 제2 링크핀(132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링크부(1324a)는 그 일단에 제3 관통공(1324a1)을 가지며 그 타단에는 제4 관통공(1324a2)를 가질 수 있다. 제2 링크부(1324a)는 제2 회전부(1322)의 제2 편심공(1322b)과 제2 링크부(1324a)의 제3 관통공(1324a1)에 제2 링크핀(1324b)가 삽입되어 제2 회전부(1322)와 회전 연결될 수 있다.The
제2 링크부(1324a)의 타단에는 제4 관통공(1324a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링크핀(1324b)이 제4 관통공(1324a2)를 관통하여 제2 박동부(133b)와 연결될 수 있다.A fourth through hole 1324a2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제3 관통공(1324a1)과 제4 관통공(1324a2) 내에는 베어링(B)이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베어링(B)에 제2 편심핀(1326) 및 제2 링크핀(1324b)가 삽입될 수 있다. A bearing B is disposed in each of the third through hole 1324a1 and the fourth through hole 1324a2 and a second
박동부(1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편심구동부(132)와 연결될 수 있으며, 편심구동부(132)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박동부(133)는 좌우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buckling
박동부(133)는 일 예로서 본체(110)를 중심으로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박동부(133a)가 본체(110)의 왼쪽 측부에 배치되고 제2 박동부(133b)가 본체(110)의 오른쪽 측부에 배치되는 경우, 제1 박동부(133a)는 제1 링크부재(1323)와 연결되고 제2 박동부(133b)는 제2 링크부재(1324)와 연결되며, 구동부(132)가 박동구동모터(131)에 의해 회전을 함에 따라 제1 박동부(133a)는 본체(110)의 왼쪽 측부에서, 그리고 제2 박동부(133b)는 본체(110)의 오른쪽 측부에서 좌우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The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 각각은 가이드부(13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34)는 박동부(133)의 좌우 왕복운동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34)는 가동축(124)에 수직하게 본체(110)의 양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 각각의 슬라이딩부(133a1, 133b1)가 가이드부(134)의 가이드로드(1341)에 배치되어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 각각은 가이드로드(1341)를 따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Each of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321)의 회전 운동 과정에서 제1 회전부(1321)과 제2 회전부(1322)에 편심 연결된 제1 링크부재(1323)와 제2 링크부재(1324)와 가이드부(134)에 의해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는 본체(110)의 측면을 향해 좌우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는 가동축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좌우 왕복 운동 속도도 증가하게 된다. 실제 승마시 말의 속도가 증가하면 상하 운동 속도가 증가되고 말의 심장 박동이 증가하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 기구는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박동구동부(130)가 빠르게 진동하여 실제 승마에서 말이 빠르게 달리는 경우 말의 심장 박동이 빠르게 뛰는 것 같은 작용을 하는바 현실감 있는 승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승마의 현실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지지프레임(160) 내에서 고삐(162)의 양단 각각에 화상조작부(161)가 연결되고 고삐(162)를 잡아당김으로써 디스플레이부(165) 상에 방향 전환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1 and 11, an
상세하게는 화상조작부(161)는 지지프레임(160)의 상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고삐(16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삐(162)의 왼쪽 단부에서 하나의 화상조작부(161)와 연결되며 고삐(162)의 오른쪽 단부에서 다른 화상조작부(161)와 연결될 수 있다. In detail, the
화상조작부(161)는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인장력이 검출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65)에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안장(140)에 기승한 이용자는 실제 승마와 마찬가지로 고삐(162)를 잡을 수 있을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65)에 화상이 도시된 경우에 이용자가 고삐(162)를 오른쪽으로 작아 당기는 경우 고삐(162)의 오른쪽 단부에 연결된 화상조작부(161)는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65)에서 말머리가 화살표(Α)를 따라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오른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되는 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 승마동작구동부(150)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 속도 또는 진동을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pulls the
반면에 이용자가 고삐(162)를 왼쪽으로 작아 당기는 경우 고삐(162)의 왼쪽 단부에 연결된 화상조작부(161)는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5)에 왼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되는 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 승마동작구동부(150)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 속도 또는 진동을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lls the
또한, 이용자가 고삐(162)를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고삐(162)의 양단(오른쪽 단부와 왼쪽 단부)에 연결된 화상조작부(161)에서 모두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상조작부(161)는 말이 멈추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하고, 나아가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승마동작구동부(150)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 속도 또는 진동이 멈춘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마 운동 기구(100)가 멈춘 이후에 계속해서 이용자가 고삐(162)를 양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화상조작부(161)는 말이 후진하는 것처럼 화상을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하고, 나아가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 승마동작구동부(150)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 속도 또는 진동이 후진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user pulls the
일 예로서 화상조작부(161)는 제1 감지부(1611), 제2 감지부(1612), 및 제어부(1613)를 포함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제1 감지부(1611)는 안장(140)에 앉은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용자의 왼쪽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60)의 좌측 내부에 배치되며 고삐(162)의 왼쪽 단부와 연결되어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감지부(1611)는 가변저항(1611a)와 롤러(1611b, 161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저항(1611a)은 그 일단에서 고삐(162)의 왼쪽 단부와 연결되며 고삐(162)를 당김에 따라 당기는 방향(Α방향)으로 변위되며, 그 변위량에 따라 상이한 저항값을 출력할 수 있다. 변화되는 저항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되는 화상도 달라질 수 있다. 즉 가변저항(1611a)에서 변화되는 저항값의 크기가 클수록 왼쪽으로의 방향 전환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될 수 있다. 12, the
롤러(1611a, 1611b)는 가변저항(1611a)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고삐(162)의 변위 경로를 제공하며 고삐(162)가 용이하게 당겨지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제2 감지부(1612)는 안장(140)에 앉은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용자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60)의 우측 내부에 배치되며 고삐(162)의 오른쪽 단부와 연결되어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감지부(1612)는 가변저항(1612a)와 롤러(1612b, 1612c)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저항(1612a)은 그 일단에서 고삐(162)의 오른쪽 단부와 연결되며 고삐(162)를 당김에 따라 당기는 방향(Α방향)으로 변위되며, 그 변위량에 따라 상이한 저항값을 출력할 수 있다. 변화되는 저항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되는 화상도 달라질 수 있다. 즉 가변저항(1612a)에서 변화되는 저항값의 크기가 클수록 오른쪽으로의 방향 전환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될 수 있다. 12, the
롤러(1612b, 1612c)는 가변저항(1612a)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고삐(162)의 변위 경로를 제공하며 고삐(162)가 용이하게 당겨지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나아가, 상기 제1 감지부(1611)가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또는 상기 제2 감지부(1612)가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1613)는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여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 승마동작구동부(150)에 의해 구동되는 체감되는 속도 또는 진동을 줄일 수 있다.Further, when the
제어부(1613)는 제1 감지부(1611)가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65)에 왼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고, 제2 감지부(1612)가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65)에 오른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The
또한 제어부(1613)는 제1 감지부(1611) 및 제2 감지부(1612)가 모두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말이 멈추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13)는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승마 운동 기구(100)가 멈춘 경우에 계속해서 이용자가 고삐(162)를 양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제어부(1613)는 말이 후진하는 것처럼 화상을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하고, 나아가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 승마동작구동부(150)에 체감되는 속도 또는 진동이 후진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치 실제 승마에서 기수가 말의 고삐를 잡아당김으로써 말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좌우 고삐를 동시에 잡아당겨 말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65) 상에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고 말의 속도가 감속되는 화상을 표시하고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승마의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tual horseback riding, when the nose of the horse pulls the reins of the hors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horse, or both the right and left reins are simultaneously pulled to decelerate the hors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eal feeling of horseback riding by displaying an image representing the deceleration of the horse speed and decreasing the up-down and front-rear tilting motion speed of the
한편, 도 1,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승마 운동 기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체(110)에는 등자높이조절부(180)가 마련되고, 승마 운동 기구 이용자가 등자높이조절부(180)를 회전시키거나 누름으로써 등자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용자가 용이하게 승마 운동 기구에 탑승하거나 내릴 수 있다. 1, 15, and 16,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equine exercise machine, the
등자높이조절부(180)는 등자부(186)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1 방향(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등자부(186)를 권출하여 등자부(186)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등자높이조절부(180)의 상부를 누름으로써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하여 등자부(186)를 권취하여 등자부(186)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The
상세하게는 일 예로서 등자부(186)는 등자연결부재(1861)과 등자(18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등자(1862)는 등자연결부재(1861)의 일단과 연결되어 본체(110) 아래 방향으로 늘어지며, 승마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발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등자연결부재(1861)는 그 타단이 등자높이조절부(180)와 연결되며 등자높이조절부(180)에 의해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등자높이조절부(180)를 제1 방향(CW, clockwise)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등자연결부재(1861)는 등자높이조절부(180)에서 권출되어 지면에서 등자(1862)까지의 높이가 줄어게 되는바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지며, 이용자 등자높이조절부(180)를 누르는 경우 등자높이조절부(180)가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CCW, counter clockwise)으로 회전하여 등자연결부재(1861)가 등자높이조절부(180)에서 권취되는바 지면에서 등자(1862)까지의 높이가 늘어나 등자(1862)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More specifically, as an example, the
등자높이조절부(180)은 일 예로서 조작부(181), 연결부(182), 및 권선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irrup
조작부(181)는 제1 방향(CW)으로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제2 방향(CCW)으로는 회전은 제한되며, 그 상부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부(181)는 그 일측에서 연결부(182)와 치합되도록 배치되며, 연결부(182)는 또한 권선부(184)와 치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182)의 일측에서는 조작부(181)가 치합되어 배치되며 연결부(182)의 타측에서는 권선부(184)가 치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용자는 조작부(181)를 제1 방향(CW)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조작부(181)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조작부(181)와 치합되는 연결부(182)는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CCW)으로 회전하며, 또한 연결부(182)와 치합되는 권선부(184)는 제2 방향(CCW)과 반대방향인 제1 방향(CW)으로 회전할 수 있다. 권선부(184)가 제1 방향(CW)으로 회전함에 따라 등자연결부재(1861)는 권선부(184)에서 권출되어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The
조작부(181)는 이용자가 제1 방향(CW)으로의 회전시킬 수 있지만 그 반대방향인 제2 방향(CCW)으로는 회전은 제한된다. 즉 스토퍼(185)에 의해 조작부(181)는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그러나 조작부(181)를 위에서 아래로 누른 경우에는 스토퍼(185)에 의한 회전 제한이 해제되며, 연결부(182)가 탄성력에 의해 제1 방향(CW)으로 하며, 이에 따라 조작부(181)는 제2 방향(CCW)으로 회전하며, 권선부(184)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등자연결부재(1861)가 권선부(184)에 권취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등자(1862)까지의 높이가 증가하게 된다. 등자(1862)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힘을 가하여 조작부(181)를 회전시켜야 하지만 등자(1862)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에는 조작부(181)를 누름으로써 연결부(182)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연결부(182)와 권선부(184)가 회전하여 등자(1862)의 높이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The
조작부(181)는 일 예로서 노브(1811), 기둥부(1812), 일방향 회전부재(1813), 조작기어(1814), 및 스토퍼(18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ng
노브(1811)는 이용자가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그 상부를 누를 수 있는 손잡이 수단을 제공한다. 기둥부(1812)는 노브(1811) 하부로 연장된다. 기둥부(1812) 하부에는 일방향 회전부재(1813)과 조작기어(1814)가 배치될 수 있다. 이용자가 노브(1811)를 제1 방향(CW)으로 회전시키면 기둥부(1812)와 함께 방향 회전부재(1813) 및 조작기어(1814)도 제1 방향(CW)으로 회전하게 된다. 조작기어(1814)는 연결부(182)의 연결기어(1821)와 치합되며, 조작기어(1814)의 회전력이 연결기어(1821)에 전달되어 연결부(182)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일방향 회전부재(1813)는 제1 방향(CW)으로 기어 돌기들이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방향 회전부재(1813)는 노브(1811)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방향(CCW)으로는 스토퍼(18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일방향 회전부재(1813)는 제1 방향(CW)으로 기어 돌기들이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185)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일방향 회전부재(1813) 및 조작기어(1814)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있다. The one-
그러나 노브(1811)가 기둥부(1812)의 길이 방향으로 눌린 경우 기둥부(1812)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있던 스토퍼(185)가 상기 걸림턱에서 풀리게 되며, 연결부(182)의 탄성부재(1822)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기어(182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권선부(184)와 조작기어(1814)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812)는 그 길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경사부(1812a)를 가지며 경사부(1812a)의 하부(1812b)는 경사부(1812a)의 상부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노브(181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스토퍼(185)의 지지부(1851)는 기둥부(1812)의 경사부(1812a) 하부(1812b)에 위치하고 스토퍼(185)의 걸림부(1852)는 일방향 회전부재(1813)의 걸림턱에 걸려 일방향 회전부재(1813) 및 조작기어(1814)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연결부(182)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상세하세는 연결부(182)는 일 측에서 권선부(184)의 릴 기어(1342)와 치합되고 타측에서 조작부(181)의 조작기어(1814)와 치합되는 연결기어(1821), 및 연결기어(182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기어(1821)는 탄성부재(1822)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지만 연결기어(1821)와 치합된 조작기어(1814)가 스토퍼(18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므로 스토퍼(185)의 걸림부(1852)가 일방향 회전부재(1813)의 걸림부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822)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결기어(1821)도 제1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된다. In detail, the connecting
그러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811)가 그 길이 방향으로 눌러진 경우 기둥부(1812)는 길이 방향으로 하강하고 이에 따라 경사부(1812a)의 상부가 지지부(1851)를 A위치에서 B위치로 밀어냄으로써 걸림턱에서 걸림부(1852)가 이탈된다. 이 경우 일방향 회전부재(1813) 및 조작기어(1814)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므로 연결기어(1821)는 탄성부재(1822)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연결기어(1821)의 일측에서 치합되는 조작기어(1814) 뿐만 아니라 타측에서 치합된 권선부(184)도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등자연결부재(1861)가 권선부(184)에 권선되고 이에 따라 등자(1862)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17, when the
권선부(184)는 일 예로서 릴(1841)과 릴기어(18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ing
릴(1841)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등자연결부재(1861)를 권출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등자연결부재(1861)를 권취할 수 있다. The
릴기어(1842)는 릴(1841) 하부에 배치되며, 연결부(182)의 연결기어(1821)와 치합되어 연결기어(1821)의 회전에 의해 릴(184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노브(1811)를 제1 방향(CW)으로 회전시키면 조작기어(1814)도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작기어(1814)에 치합된 연결부(182)의 연결기어(1821)은 제2 방향(CCW)으로 회전하며, 연결기어(1821)에 치합된 릴기어(1842)는 제1 방향(CW)으로 회전하고 릴기어(1842)와 함께 릴(1841)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등자연결부재(1861)가 권출되어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용자가 용이하게 승마 운동 기구에 탑승을 할 수 있다. The
이용자가 노브(1811)를 아래로 누른 경우 기둥부(1812)가 그 길이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스토퍼(185)의 지지부(1851)를 밀어 내고 지지부(1851)의 일단에 결합된 걸림부(1852)가 회동축(1853)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회전부재(1813)의 걸림부에서 밀려 나오게 된다. 이때 연결기어(1821)는 탄성부재(1822)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연결기어(1821)의 일측에서 치합되는 조작기어(1814) 뿐만 아니라 타측에서 치합된 릴기어(1842)도 제2 방향으로 하며 릴기어(1842) 상에 배치된 릴(1841)도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등자연결부재(1861)이 릴(1841)에 권선되고, 이에 따라 등자(1862)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When the user depresses the
한편, 도 1,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승마의 현실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체(110)에는 박차가속부(190)가 마련되고, 박차가속부(190)를 가압함으로써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을 가속시킬 수 있다.1, 18, and 19,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e of realism of horse riding, a
박차가속부(190)는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압력 등과 같은 외부 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증가시켜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을 가속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박차가속부(190)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의 종아리나 발 뒤꿈치 부위에 배치되도록 본체(110)의 양측면으로 안장(140)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서 종아리나 발뒤꿈치로 박차가속부(190)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박차가속부(190)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이 증가되며 이에 따라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이 가속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일 예로서 박차가속부(190)는 지지부(191), 연결부(192), 스위치부(193), 회동축(194), 연결로드(196), 및 박차부(197)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지지부(191)는 지지부(191)의 상부면 상에는 안장(1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안장(140)과 가동축(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19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191)의 하부면에는 본체(110)를 향해 연장된 연결부(19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92)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으로 가동축(120)이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191)와 연결부(192)는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지지부(191)의 하부면에는 스위치부(193)가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부(193)에 인접하여 지지부(191)의 하부면에는 회동축(194)이 배치될 수 있다. 회동축(194)의 일단에는 스위치부(193)를 누를 수 있는 가압부(195)가 연결될 수 있다. 가압부(195)는 그 일면에 회동축(194)이 결합하며 회동축(195)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스위치부(193)를 누를 수 있다. A
가압부(195)는 연결로드(196)에 의해 박차부(197)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가압부(195)의 일면에는 회동축(194)이 결합되며 타면에는 연결로드(196)의 일단과 결할 수 있으며, 연결로드(196)의 타단에는 박차부(197)가 연결될 수 있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박차부(197)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을 경우 이용자의 종아리나 발 뒤꿈치 부위에 배치되도록 본체(110)의 양측면으로 안장(140) 아래쪽에 배치되는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서 종아리나 발뒤꿈치로 박차부(197)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박차부(197)가 본체(110)의 중심을 향하여 움직이도록 압력이 가해진 경우, 박차부(197)에 연결된 연결로드(196)가 가압부(195)와 함께 회동축(19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부(195)가 스위치부(193)를 누룰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스위치부(193)가 눌러진 경우,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모터(151)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증가되어 실제 승마에서 기수가 말에 박차를 가하여 말이 빠르게 달리는 것과 같은 승마의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박차부(197)를 누르기 위해 종아리를 사용하게 되므로 실제 승마와 동일하게 자연스러운 하체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는 속도유지부(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속도유지부(300)는 안장(14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속도유지부(300)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의 대퇴근(허벅지) 안쪽을 향하도록 안장(14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속도유지부(300)는 외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 대퇴근으로 안장(140)을 누르게 되면 속도유지부(300)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속도유지부(30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유지하며 이에 따라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유지된다. 그러나 속도유지부(300)에 외부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 동안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유지한 후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감소시켜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100 may further include a
일 예로서 속도유지부(300)는 상기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3초) 동안 상기 외부 압력이 가해지기 전의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의 속도를 유지한 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not applied, the
이용자는 박차가속부(190)를 통해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속도유지부(3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고, 속도유지부(300)에 압력을 해제함으로써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이용자는 속도유지부(300)에 압력을 가하면서 박차가속부(19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박차가속부(190)에 의해 증가된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며, 증가된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속도유지부(300)에 압력을 해제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치 실제 승마에서 기수가 말에게 박차를 가하거나 안장에 일어나서 말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 같은 승마의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user can increase the vertical and forward and backward tilting speeds of the
속도유지부(300)는 일 예로서 안장(140)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부(301)와, 센서부(301)에 의해 상기 외부 압력이 검출된 경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유지시켜 가동축(120)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센서부(301)에 의해 상기 외부 압력이 미검출된 경우에는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감소시켜 가동축(120)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이 감속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상세하게는 센서부(301)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 대퇴근으로 안장(140)을 누르게 되면 외부 압력을 감지하게 되고, 센서부(301)는 외부 압력 감지 신호를 제어부(302)에 전송하며, 제어부(302)는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모터(151)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부(301)는 이용자가 안장(140)에서 일어서서 대퇴근으로 안장(140)을 누르지 않게 되면 외부 압력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센서부(301)는 외부 압력 미감지 신호를 제어부(302)에 전송하며, 제어부(302)는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모터(151)의 회전속도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게 한 후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모터(151)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여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도 21은 가상현실 헤드셋(400)의 사시도이다.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21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헤드셋(400)은 본체부(410) 및 휴대단말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the
이때에, 상기 본체부(410)는 이용자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머리띠(411)를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 휴대단말부(420)는 스마트폰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410)의 전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portable
상기 휴대단말부(420)는 전방을 촬영하도록 하는 카메라(421), 화면을 송출하는 영상화면 송출부(422) 및 가상현실 헤드셋(400)이 수평면과 이루는 기울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ortable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부(420)는 상기 본체부(4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휴대단말부(420)와 상기 본체부(4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portable
이때에,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400)은, 전방을 촬영하도록 하는 카메라(421), 화면을 송출하는 영상화면 송출부(422) 및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400)이 수평면과 이루는 기울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422)는 가상현실 영상화면(V1)과 상기 카메라(421)를 통해 촬영된 영상(V2)를 송출할 수 있다.The video
여기에서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V1)은,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400)을 착용한 사용자(P)에게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V1 may provide a virtual reality such as actually horse-riding the user P wearing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V1)은, 상기 자이로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이용자(P)의 두부(頭部)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이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용자(P)의 머리가 상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릴 때에는 이를 반영하여,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V1)도 흔들리도록 할 수 있으며, 이용자(P)가 고개를 돌려 좌우를 보는 경우에는 좌우의 풍경 및 함께 달리는 말이 영상에 구현되도록 하여, 이용자(P)에게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가상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V1 can move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ead of the user P measured by the gyro sensor (not shown). That is, when the head of the user P vibrates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equinoxing
또한,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V1)은, 3D 영상일 수 있다. Also, the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V1 may be a 3D image.
다시 말해서,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V1)은 이용자(P)의 좌측눈이 바라보게 되는 영상과, 우측눈이 바라보게 되는 영상을 분할하여 송출함으로써, 이용자(P)가 3D 영상을 보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이용자(P)는 보다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V1 divides and transmits the image viewed by the left eye of the user P and the image viewed by the right eye, thereby recognizing that the user P views the 3D image . Through this, the user P can realize a more realistic virtual reality.
다른 한편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65)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V1)과 연동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creen displayed on the
이때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65)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V1)의 2D 버전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다시 말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65)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면을 3D로 구현하여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422)에 가상현실 영상화면(V1)을 송출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V1 can be transmitted to the
도 22 내지 도 24는 사용자의 시선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에 따른 영상화면 송출부(422)에 송출되는 화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S. 22 to 2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hange in the screen transmitted to the image
여기에서, 도 22 내지 도 24의 (b)는 영상화면 송출부(422)에 송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22 to Fig. 24 (b) show screens to be sent to the video
도 22 내지 도 2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422)는 가상현실 영상화면(V1)과 상기 카메라(421)를 통해 촬영된 영상(V2)를 송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2 to 24B, the video
한편, 자이로센서(미도시)는 상기 휴대단말부(420)에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가상현실 헤드셋(400)이 수평면과 이루는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Meanwhile, a gyro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portable
즉, 상기 자이로센서(미도시)는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400)이 전방하측을 향하여 얼마나 기울어졌는지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P)의 시선이 하방을 향하여 얼마나 기울어졌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gyro sensor (not shown) measures the inclination of the
이때에,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422)는 상기 자이로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에 따라, 가상현실 영상화면(V1)과 상기 카메라(4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송출 비율을 달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ideo
즉,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422)는, 상기 자이로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기울기가 수평 또는 상측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측정될 때에는, 가상현실 영상화면(V1)만을 송출하고, 상기 자이로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기울기가 하측으로 향하는 것으로 측정되는 경우에는, 상부에는 가상현실 영상화면(V1)을 송출하고, 하부에는 상기 카메라(421)에 의해 촬영된 영상(V2)을 송출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ilt measured by the gyro sensor (not shown) is measured to be directed horizontally or upward, the image
또한,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422)는, 상기 자이로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기울기가 하측으로 향하는 각이 커질 수록, 상기 카메라(4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송출되는 영역을 점차 넓힐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이후, 상기 자이로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기울기가 소정 이상 하측을 향하는 것으로 측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421)에 의해 촬영된 영상(V2)만을 송출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tilt measured by the gyro sensor (not shown) is measured to be directed to a predetermined lower side, only the image V2 photographed by the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2의 (a)와 같이 자이로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가 수평일 경우, 즉 이용자(P)의 시선이 아래를 향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2의 (b)와 같이,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422)는 가상현실 영상화면(V1) 만을 송출할 수 있다. 22 to 24, when the slope measured by the gyro sensor (not shown) is horizontal as shown in FIG. 22 (a), that is, when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P does not face downward, 22 (b), the video
또한, 도 23의 (a)와 같이 자이로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가 아래를 향하여 30도 정도 기울어진 경우, 즉 이용자(P)의 시선이 30도 하방을 향하는 경우에는, 도 23의 (b)와 같이,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422)는 상부에는 가상현실 영상화면(V1)을 송출하고, 하부에는 상기 카메라(421)에 의해 촬영된 영상(V2)을 송출할 수 있다. 23 (a), when the inclination measured by the gyro sensor (not shown) is inclined downward by about 30 degrees, that is, when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P faces downward by 30 degrees, The video
아울러, 도 24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이로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가 아래를 향하여 45도 정도 기울어진 경우, 즉 이용자(P)의 시선이 45도 하방을 향하는 경우에는, 도 24의 (b)와 같이,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422)는 상기 카메라(421)에 의해 촬영된 영상(V2)만을 송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4A, when the inclination measured by the gyro sensor (not shown) is inclined downward by 45 degrees, that is, when the user's gaze is directed downward by 45 degrees , The image
이를 통하여, 이용자(P)가 고개를 숙여 시선을 아래로 향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421)에 의해 촬영된 영상(V2)을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the image V2 photographed by the
따라서, 이용자(P)는 상기 카메라(421)에 의해 촬영된 영상(V2)을 통해, 안장(140)의 전방에 위치하는 구동조작부(143)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P)가 상기 구동조작부(143)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P can identify the driving
이에 따라, 비상상황 발생시에 상기 이용자(P)는 고개를 숙여 상기 구동조작부(143)를 바라보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상기 구동조작부(143)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과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어, 상기 구동조작부(143)를 조작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거나, 비상정지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user P can recognize the same as the user visually recognizing the
한편, 상기 안장(140)은 이용자(P)가 기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승여부판단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여기에서 상기 기승여부판단센서(미도시)는 이용자(140)의 중량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등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abdominality determination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weight of the
이를 통하여, 상기 기승여부판단센서(미도시)는 이용자(P)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의 이용 중에 낙마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occupancy determination sensor (not show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P has made a mistake while using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한편으로,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422)는 상기 기승여부판단센서(미도시)에 의해 이용자(P)가 낙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상현실 영상화면(V1) 송출을 중단하고, 상기 카메라(421)에 의해 촬영된 영상(V1)을 송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P has failed due to the sensor (not shown), the video
이를 통하여, 이용자(P)가 낙마했을때, 상기 카메라(421)에 의해 촬영된 영상(V1)을 보도록 함으로써, 가상현실 헤드셋(400)을 벗지 않고도 주변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과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다. Thus, by viewing the image V1 photographed by the
상기 휴대단말부(420)는 휴대폰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음성통화 또는 문자메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he portable
한편, 이용자(P)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를 사용하는 중에 음성통화 또는 문자메세지 등이 수신될 수 있는데, 이때에,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422)의 적어도 일부에 음성통화 또는 문자메세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이 송출될 수 있다. Meanwhile, a voice call or a text message may be received while the user P uses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A message indicating that a voice call or a text message has been received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mobile terminal.
이를 통하여, 이용자(P)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의 사용을 중지하고, 음성통화를 하거나 문자메세지를 확인하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다. Thus, the user P can stop using the virtual reality equinoxing exercise machine 100, perform a voice call, check a text message, and the like.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20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25 to 28 are a perspective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와 마찬가지로, 본체(210), 가동축(220), 안장(미도시, 박동동작구동부(230), 화상조작부(261), 등자높이조절부(280), 박차가속부(290), 및 가상현실 헤드셋(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와의 차이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25 to 28,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 in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hown), an
본체(21)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3) 상에 가동축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프레임(214)이 수직되게 마련되고, 베이스플레이트(213)의 전단과 후단에 베이스프레임(213a)이 폭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부프레임(214)의 상단에는 가동축(220)이 상하 및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기 위한 가이드부재(211)가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부재(211)는 일례로 가동축(220)의 상하 슬라이딩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부재와 이러한 베어링 부재의 틸팅을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 구조나 플렉시블한 재질을 가지는 틸팅허용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214)은 후술하게 될 승마동작구동부(250) 및 회전동작구동부(280) 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215)가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21 is provided with an
가동축(2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의 가동축(110)과 동일하고, 실린더(221)가 승마동작구동부(250)에 연결되고, 샤프트(224)가 가이드부재(211)에 의해 상하 및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에 미도시된 안장이 고정된다. 또한 가동축(2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 설명한 홀더(173) 및 걸림홈(174)를 vhg마하는 신축제한부(27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제한부(270)에 의해 샤프트(224)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가동축(220)에 대한 선택적인 신축 허용과 신축 제한에 의해서 이용자가 안전하게 안장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승마동작구동부(25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의 승마동작구동부(150)와 마찬가지로, 본체(210)의 베이스플레이트(213)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51)와, 구동모터(251)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부(252)와, 감속부(252)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253)와, 감속기어(253)에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크랭크핀(미도시)과, 크랭크핀(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실린더(221)의 하단에 고정되는 회전결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속부(252)는 일례로 구동모터(25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 1 풀리(252a)와, 제 1 풀리(252a)에 제 1 벨트(미도시)로 연결되는 제 2 풀리(252c)와, 제 2 풀리(252c)에 축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제 2 풀리(252c)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3 풀리(252d)와, 제 3 풀리(252d)를 감속기어(253)에 연결시키는 제 2 벨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풀리(252c)와 제 3 풀리(252d)는 베어링이 개재된 풀리고정부재(252f)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213)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Like the riding driving driving
본체(210)는 베이스플레이트(213)의 전단 양측에 다수, 예컨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260)이 수직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60)은 일례로 사각형의 각재 또는 원형 바 등과 같이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단이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회전축(26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회전축(261)이 본체(210)의 베이스플레이트(213) 상에 마련된 축결합부(212)에 의해 전후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지지프레임(260)은 회전축(261)이 직접 고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하단에 고정되는 축고정부재(262)를 매개로 회전축(261)이 고정될 수 있다. The
지지프레임(260)은 회전축(261)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시, 본체(210)의 베이스플레이트(213) 또는 설치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휠(264)이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하단, 예컨대 축고정부재(2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축(263)이 회전동작구동부(280)에 연결됨으로써 회전동작구동부(28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261)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When the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동작구동부(280)는 지지프레임(260)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축, 즉 회전축(261)에 연결되는 기어어셈블리(281)와, 기어어셈블리(281)에 연결되어 기어어셈블리(281)를 통해서 지지프레임(260)의 회전축(26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2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어셈블리(281)는 회전모터(282)와 회전축(261)의 교차방향과 감속률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어의 조합, 예컨대 웜휠 및 웜기어, 베벨기어, 또는 다수의 평기어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다양한 종류의 기어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내부에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들이 설치된 기어박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모터(282)는 모터브라켓(283)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21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28,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10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용자가 구동조작부(143)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151)를 구동시키면, 구동모터(151)의 회전력이 감속부(152)에 의해 감속되어, 감속기어(153) 및 크랭크핀(154)을 통해서 가동축(120)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가동축(120)이 본체(110)의 가이드부재(111)를 중심으로 상하 운동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하여, 안장(140)에 기승한 이용자가 승마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user drives the
이러한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과정에서, 안장(140)과 샤프트(124)를 통해서 피스톤(123)에 인가되는 이용자의 하중이 실린더(121) 내부를 압축시키고, 나아가서 코일스프링(122)을 압축시키며, 이후 코일스프링(122)의 탄성 복원력과 피스톤(123)의 상승에 의한 실린더(121) 내부 팽창력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핀(154)의 원형 회전 운동을 안장(140)의 상하로 연장된 타원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The load applied by the user to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71)가 이용자에 의해 또는 이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시, 전기 신호를 홀더(173)에 전달하고, 홀더(173)는 감지부(171)의 전기신호에 따라 걸림편(172)이 실린더(121)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홈(174)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걸림편(172)에 의해 샤프트(124)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하여 이용자가 안전하게 안장(140)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은 이용자가 안장(140)으로부터 내릴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홀더(173)는 이용자가 감지부(171)에 감지되지 않을 경우, 걸림편(172)이 걸림홈(174)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샤프트(124)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가동축(120)이 승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7, the
도 1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동동작구동부(130)는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측면을 향하여 좌우로 운동하며 진동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박동동작구동부(130)는 가동축(120)에 수직하게 본체(110)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진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박동동작구동부(130)는 본체(110)의 측면으로 연장된 안장(140)의 측면부(140a) 안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동작이 안장(140)의 측면부(140a)까지 전달되어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는 이용자의 대퇴근이나 무릎 안쪽으로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을 느낄 수 있다.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이 증가되어 가동축(120)의 상향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 주기(진동 주기)도 상승할 수 있으며, 가동축(120)의 상향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 주기(진동 주기)도 감소할 수 있다. 가동축(120)의 상향 및 전후 틸팅 운동의 속도가 빨라지고 박동부(133)의 박동 운동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제 승마에서 말의 심장박동이 말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과 같은 현실감 있는 승마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8 to 10, the beating
상가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승마 운동 모션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박동 기능의 구현에 의해 승마 현실삼을 극대화시키며, 자중에 의한 불규칙 타원궤도 운동을 하도록 하여 승마 운도으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liability of equestrian motions is excellent, the maximization of equestrian reality is maximiz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beating function, and the irregular elliptical orbital motion due to the self weight is performed, .
도 1,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조작부(161)는 지지프레임(160)의 상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고삐(16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삐(162)의 왼쪽 단부에서 하나의 화상조작부(161)와 연결되며 고삐(162)의 오른쪽 단부에서 다른 화상조작부(161)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11, and 12, the
화상조작부(161)는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인장력이 검출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65) 및 가상현실 영상화면(V1)에 방향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안장(140)에 기승한 이용자는 실제 승마와 마찬가지로 고삐(162)를 잡을 수 있다. 이용자가 고삐(162)를 왼쪽으로 잡아 당기는 경우 고삐(162)의 왼족 단부에 연결된 화상조작부(161)는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5) 및 가상현실 영상화면(V1)에 왼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 및 영상화면 송출부(422)를 제어할 수 있다.The
또한 이용자가 고삐(162)를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고삐(162)의 양단(오른쪽 단부와 왼쪽 단부)에 연결된 화상조작부(161)에서 모두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상조작부(161)는 말이 멈추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디스플레이부(164) 및 가상현실 영상화면(V1)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 및 영상화면 송출부(422)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ulls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치 실제 승마에서 기수가 말의 고삐를 잡아당김으로써 말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좌우 고삐를 동시에 잡아당겨 말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65) 및 가상현실 영상화면(V1) 상에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고 말의 속도가 감속되는 화상을 표시하고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승마의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tual horseback riding, the
또한, 도 1 및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노브(1811)를 제1 방향(CW)으로 회전시키면 조작기어(1814)도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작기어(1814)에 치합된 연결부(182)의 연결기어(1821)은 제2 방향(CC)으로 회전하며, 연결기어(1821)에 치합된 릴기어(1842)는 제1 방향(CW)으로 회전하고 릴기어(1842)와 함께 릴(1841)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등자연결부재(1861)가 권출되어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용자가 용이하게 승마 운동 기구에 탑승을 할 수 있다. 1 and 13 to 15, when the user rotates the
이용자가 노브(1811)를 아래로 누른 경우 기둥부(1812)가 그 길이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스토퍼(185)의 지지부(1851)를 밀어 내고 지지부(1851)의 일단에 결합된 걸림부(1852)가 회동축(1853)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회전부재(1813)의 걸림부에서 밀려 나오게 된다. 이때 연결기어(1821)는 탄성부재(1822)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연결기어(1821)의 일측에서 치합되는 조작기어(1814) 뿐만 아니라 타측에서 치합된 릴기어(1842)도 제2 방향으로 하며 릴기어(1842) 상에 배치된 릴(1841)도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등자연결부재(1861)이 릴(1841)에 권선되고, 이에 따라 등자(1862)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When the user depresse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는 조작부(181)의 노브(1811)를 회전시킴으로써 등자(1862)의 높이를 낮게 하여 용이하게 승마 운동 기구에 탑승할 수 있으며, 탑승 후에는 노브(1811)를 누름으로써 등자(1862)를 승마하기 맞는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승마 운동 기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lower the height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승마 운동 모션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등자의 길이를 조절하여 승마 운동 기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자중에 의한 불규칙한 타원궤도 운동을 하도록 하여 승마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the horse-riding motion is excellent, the convenience of the horse-riding exercise machine is improv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irrer, and the irregular elliptical orbital motion due to its own weight is performed, .
한편 도 1,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차가속부(190)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의 종아리나 발 뒤꿈치 부위에 배치되도록 본체(110)의 양측면으로 안장(140)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고,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서 종아리나 발뒤꿈치로 박차가속부(190)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박차가속부(190)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이 증가되며 이에 따라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이 가속될 수 있다.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의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실제 승마에서 말에 박차를 가하여 말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과 같은 현실감 있는 승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9, the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유지부(300)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의 대퇴근(허벅지) 안쪽을 향하도록 안장(140)의 측면에 배치되어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 대퇴근으로 안장(140)을 누르게 되면 속도유지부(300)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속도유지부(30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유지하며 이에 따라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유지된다. 그러나 속도유지부(300)에 외부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 동안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유지한 후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감소시켜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안장(140)의 측면에 배치된 속도유지부(300)에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가하지 않음으로써 실제 승마에서 안장에 앉은 기수가 대퇴근으로 압력을 가해 말의 속도를 유지시키거나 압력을 가하지 않고 말을 진정시켜서 말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현실감 있는 승마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10, the
아울러, 가상현실 헤드셋(400)은 승마동작구동부(150)의 작동에 대응되어 영상화면 송출부(422) 상에 가상현실 영상화면(V1)이 송출되도록 하여, 이용자(P)가 현실감있는 승마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도 22 내지 도 2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현실 헤드셋(400)은 자이로센서(미도시)에 수평면과 이루는 기울기 즉, 이용자(P)가 고개를 하측으로 기울이는 기울기를 측정하여, 이용자(P)가 고개를 숙이는 경우, 영상화면 송출부(422)의 하부에 카메라(4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여, 육안으로 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하여, 안장(140)의 전방에 위치한 구동조작부(143)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2 to 24, the
이를 통하여, 이용자(P)가 고개를 숙이는 동작만으로 구동조작부(143)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유사시에 승마동작구동부(150)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is enables the user P to check the drivin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승마 운동 모션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박차 기능의 구현 및 가상현실 영상화면에 의해 승마 현실감을 극대화시키며, 자중에 의한 불규칙 타원궤도 운동을 하도록 하여 승마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유사시에는 고개를 숙여 구동조작부(143)를 용이하게 조작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liability of the horse-riding exercise motion is excellent, the spur function is implemented, the virtual reality image is maximized by the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and the irregular elliptical orbital motion is performed by its own weight, It is possible to raise the safety by making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10 : 본체 111 : 가이드부재
112 : 힌지축 120 : 가동축
121 : 실린더 122 : 코일스프링
123 : 피스톤 124 : 샤프트
125 : 흡배기홀 126 : 가이드축
127 : 팩킹부재 128 : 나사결합부재
129 : 부싱 129a : 오일레스부싱
130: 박동동작구동부 131 : 박동구동모터
132 : 편심구동부 133 : 박동부
140 : 안장 141 : 손잡이
143 : 조작부 150 : 승마동작구동부
151 : 구동모터 152 : 감속부
152a : 제 1 풀리 152b : 제 1 벨트
152c : 제 2 풀리 152d : 제 3 풀리
152e : 제 2 벨트 153 : 감속기어
154 : 크랭크핀 155 : 회전결합부재
160 : 지지프레임 161 : 화상조작부
162 : 고삐 165 : 디스플레이부
169 : 연결부재 171 : 감지부
172 : 걸림편 173 : 홀더
174 : 걸림홈 180: 등자높이조절부
190 : 박차가속부 210 : 본체
211 : 가이드부재 212 : 축결합부
213 : 베이스플레이트 213a : 베이스프레임
214 : 상부프레임 220 : 가동축
221 : 실린더 224 : 샤프트
250 : 승마동작구동부 251 : 구동모터
252 : 감속부 252a : 제 1 풀리
252c : 제 2 풀리 252d : 제 3 풀리
252f : 풀리고정부재 253 : 감속기어
253a : 기어고정부재 260 : 지지프레임
261 : 회전축 262 : 축고정부재
263 : 휠 270 : 신축제한부
280 : 회전동작구동부 281 : 기어어셈블리
282 : 회전모터 283 : 모터브라켓
400 : 가상현실 헤드셋 410 : 본체부
420 : 휴대단말부 421 : 카메라
422 : 영상화면 송출부110: main body 111: guide member
112: hinge shaft 120: movable shaft
121: cylinder 122: coil spring
123: piston 124: shaft
125: intake / exhaust hole 126: guide shaft
127: packing member 128:
129: Bushing 129a: Oilless bushing
130: beating operation opening portion 131: beating driving motor
132: eccentric driving part 133:
140: Saddle 141: Handle
143: Operation part 150: Equestrian driving eastern part
151: Driving motor 152: Decelerator
152a:
152c:
152e: second belt 153: reduction gear
154: crank pin 155:
160: support frame 161:
162: Reins 165:
169: connecting member 171:
172: latching piece 173: holder
174: engaging groove 180: stirrup height adjusting section
190: spur accelerating part 210: main body
211: guide member 212: shaft coupling portion
213:
214: upper frame 220: movable shaft
221: cylinder 224: shaft
250: Equestrian driving section driving section 251: Driving motor
252:
252c:
252f: loosened gear 253: reduction gear
253a: gear fixing member 260: support frame
261: rotation shaft 262: shaft fixing member
263: Wheel 270: Extension restricting portion
280: Rotating movement port portion 281: Gear assembly
282: rotation motor 283: motor bracket
400: virtual reality headset 410:
420: portable terminal unit 421: camera
422:
Claims (9)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용자가 기승하는 안장;
상기 안장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장이 상하 및 전후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가동축;
상기 가동축이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하도록 상기 가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마동작구동부;
상기 안장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의 구동을 조작하는 구동조작부; 및
이용자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가상현실 영상화면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영상화면 송출부를 구비한 가상현실 헤드셋;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이 수평면과 이루는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가 전방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에 가상현실 영상화면을 송출하고,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가 전방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에 가상현실 영상화면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A body mounted on the floor;
A saddl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allow the user to ride the saddle;
A movable shaft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the movable shaft being installed in the body so that the saddle can be tilted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A riding operation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movable shaft such that the movable shaft moves up and down and front and rear tilting motions;
A driving operation portion connected to a front side of the saddle so as to operate driving of the riding operation driving portion; And
A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 realistic headset,
Wherein the virtual reality headset further comprises a gyro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tilt of the virtual reality headset with a horizontal plane, and when the tilt measured by the gyro senso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lower side, A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is transmitted and a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and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image screen transmitting unit when the tilt measured by the gyro sensor is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oward the front lower side A virtual reality equestrian exercise equipment.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가 전방 하측을 향하여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를 상하로 분할하여, 상측에는 가상현실 영상화면을 송출하고, 하측에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rtual reality headset includes:
A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is transmitted on the upper side and a virtual image screen is transmitted on the lower side by dividing the image screen sending unit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when the inclination measured by the gyro senso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front lower side, Reality riding exercise equipment.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방 하측을 향한 기울기가 클수록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는 영역을 넓히도록 하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virtual reality headset includes:
Wherein the gyro sensor is configured to widen an area for transmitt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s the slope toward the front lower side is larger.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휴대폰 기능을 구비하고, 음성통화 또는 문자메세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의 적어도 일부에 음성통화 또는 문자메세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송출하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rtual reality headset includes:
And transmits a screen informing that at least a part of the video screen transmitting unit has received a voice call or a text message when a voice call or a text message is received.
상기 안장은, 이용자가 기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승여부판단센서를 구비하여, 이용자가 낙마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상기 기승여부판단센서에 의해 이용자가 낙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ddle is provided with a ride-on determination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standing by,
Wherein the virtual reality headset transmit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rough the video screen transmitt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occupant sensor that the user has failed.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휴대단말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영상화면 송출부는, 상기 휴대단말부에 구비되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rtual reality headset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portable terminal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camera and the video screen transmitting unit ar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unit.
상기 구동조작부의 전방에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안장에 기승한 이용자가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unit disposed rearwardly in front of the driving operation unit to allow a user who is standing on the saddle to view the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은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과 연동되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interlocked with the virtual reality image scre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0636A KR101929579B1 (en) | 2016-08-30 | 2016-08-30 | Virtual Reality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0636A KR101929579B1 (en) | 2016-08-30 | 2016-08-30 | Virtual Reality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4436A KR20180024436A (en) | 2018-03-08 |
KR101929579B1 true KR101929579B1 (en) | 2018-12-14 |
Family
ID=6172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0636A KR101929579B1 (en) | 2016-08-30 | 2016-08-30 | Virtual Reality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957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5783A (en) | 2019-04-25 | 2020-11-05 | 최봉식 | Exercise equipment using virtual reality system |
KR102309441B1 (en) | 2021-02-19 | 2021-10-06 | (주)웰와이즈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54084B (en) * | 2018-04-27 | 2020-08-18 | 深圳市科迈爱康科技有限公司 | Auxiliary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virtual long jump match |
KR102020731B1 (en) | 2018-07-02 | 2019-09-10 | 안승중 | House riding simulator |
KR102171253B1 (en) * | 2019-02-19 | 2020-10-28 | 주식회사 굿프렌드 | Horse riding exercise system combined with virtual realit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462B1 (en) * | 2012-12-28 | 2014-07-04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Horse-riding simulation system |
KR101610761B1 (en) | 2015-09-23 | 2016-04-20 | 피제이비 주식회사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for providing reality |
-
2016
- 2016-08-30 KR KR1020160110636A patent/KR1019295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462B1 (en) * | 2012-12-28 | 2014-07-04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Horse-riding simulation system |
KR101610761B1 (en) | 2015-09-23 | 2016-04-20 | 피제이비 주식회사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for providing reality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5783A (en) | 2019-04-25 | 2020-11-05 | 최봉식 | Exercise equipment using virtual reality system |
KR102309441B1 (en) | 2021-02-19 | 2021-10-06 | (주)웰와이즈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4436A (en) | 2018-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9579B1 (en) | Virtual Reality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 |
KR101152706B1 (en) | Passive exercise machine | |
KR20100109512A (en) | Exercising apparatus | |
EP2269553A1 (en) | Exercise apparatus | |
JP5033198B2 (en) | Exercise assistance device | |
KR101188136B1 (en) | Horse-riding simulator | |
KR20070018205A (en) | Athletic apparatus for horseback riding | |
CN113332673B (en) | Self-pretightening leaning device and pelvis auxiliary walking training mechanism | |
KR101610761B1 (en)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for providing reality | |
KR20170035760A (en)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for providing reality | |
KR100853809B1 (en) | horse-riding health machine having safety footplates, such as stirrups | |
JP6511100B2 (en) | Riding fitness equipment | |
KR200485167Y1 (en) | Screen horse riding health machine | |
KR101589052B1 (en)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with a beat function | |
KR101310646B1 (en)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of crank way | |
KR101589051B1 (en)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with a spur function | |
KR20150105047A (en) | Driving apparatus for horse riding, health care exerci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 |
US11529547B1 (en) | Climbing exercise apparatus | |
KR101457577B1 (en) | Horse riding device | |
KR102020731B1 (en) | House riding simulator | |
CN113367939A (en) | Pelvis auxiliary walking training mechanism | |
KR20170028813A (en)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with a beat function | |
JP2006296703A (en) | Muscle training device | |
KR101589053B1 (en)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with stirrup length adjustment function | |
KR20170028812A (en)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with a spur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