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094B1 - Ink discharge apparatus and ink discharge method - Google Patents

Ink discharge apparatus and ink discharg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094B1
KR101929094B1 KR1020160073403A KR20160073403A KR101929094B1 KR 101929094 B1 KR101929094 B1 KR 101929094B1 KR 1020160073403 A KR1020160073403 A KR 1020160073403A KR 20160073403 A KR20160073403 A KR 20160073403A KR 101929094 B1 KR101929094 B1 KR 10192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ath
pump
temperature
inkje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6255A (en
Inventor
준 니시마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6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2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088Structure of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153Structures including a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Ink Jet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잉크젯헤드에 공급되는 잉크의 유량이 변동해도, 잉크의 온도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잉크토출장치를 제공한다.
잉크가 제1 경로를 순환한다. 제2 경로가, 제1 경로의 분기부위로부터 분기된 후, 제1 경로의 합류부위로 되돌아간다. 제1 경로에 삽입된 제1 펌프가 잉크를 이송한다. 히터가, 제1 경로를 순환하는 잉크를 가온한다. 제2 경로에 삽입된 잉크젯헤드가, 제2 경로를 흐르는 잉크를 액적화하여 토출한다. 제2 경로에 삽입된 제2 펌프가 잉크를 이송한다.
Provided is an ink ejection apparatus capable of suppressing the fluctuation of the temperature of ink even if the flow rate of the ink supplied to the inkjet head fluctuates.
Ink circulates through the first path. After the second path branches from the branching portion of the first path, the second path returns to the joining portion of the first path. The first pump inserted in the first path transports the ink. The heater heats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The ink jet head inserted in the second path droplets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and discharges it. And the second pump inserted in the second path transports the ink.

Figure 112016056643285-pat00001
Figure 112016056643285-pat00001

Description

잉크토출장치 및 잉크토출방법{INK DISCHARGE APPARATUS AND INK DISCHARGE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본 출원은 2015년 7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5-135857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5-135857 filed on July 7, 2015.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은, 가온(加溫)된 잉크를 잉크젯헤드로부터 토출하는 잉크토출장치, 및 잉크토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ejecting apparatus for ejecting warmed ink from an ink jet head, and an ink ejecting method.

하기의 특허문헌 1에, 잉크젯헤드(노즐헤드)로부터 잉크(액상의 박막재료)를 액적화하여 토출하는 잉크토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잉크토출장치에 있어서는, 잉크를 저장하는 탱크로부터 잉크젯헤드에 잉크가 공급되고, 여분의 잉크가 잉크젯헤드로부터 탱크로 회수된다. 잉크의 점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탱크 내 및 잉크의 수송경로에 있어서, 잉크가 가온된다.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n ink ejection apparatus which ejects droplets of ink (liquid thin film material) from an inkjet head (nozzle head). In this ink ejection apparatus, ink is supplied to the inkjet head from a tank storing ink, and extra ink is recovered from the inkjet head to the tank. In order to lower the viscosity of the ink, the ink is heated in the tank and in the transport path of the ink.

국제 공개공보 제2013/015093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3/015093

잉크젯헤드로부터의 토출량이 변동하면, 수송경로를 순환하는 잉크의 유량도 변동한다. 히터를 통과하는 잉크의 유량이 변동함으로써, 잉크의 온도도 변동하게 된다. 잉크젯헤드에 공급되는 잉크의 온도가 변동하면, 잉크젯헤드로부터의 잉크의 토출이 불안정하게 된다.When the ejection amount from the inkjet head fluctuates, the flow rate of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transport path also fluctuates. As the flow rate of the ink passing through the heater changes, the temperature of the ink also fluctuate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k supplied to the inkjet head fluctuates, the discharge of the ink from the inkjet head becomes unstable.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젯헤드에 공급되는 잉크의 유량이 변동해도, 잉크의 온도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잉크토출장치, 및 잉크토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k ejection apparatus and an ink ejection method capable of suppressing the fluctu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ink even if the flow rate of the ink supplied to the inkjet head fluctuates.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잉크가 순환하는 제1 경로와, A first path through which the ink circulates,

상기 제1 경로의 분기부위로부터 분기된 후, 상기 제1 경로의 합류부위로 되돌아가는 제2 경로와, A second path returning to the merging portion of the first path after branching from the branching portion of the first path,

상기 제1 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잉크를 이송하는 제1 펌프와, A first pump inserted into the first path to transfer the ink,

상기 제1 경로를 순환하는 상기 잉크를 가온하는 히터와, A heater for heating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상기 제2 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경로를 흐르는 상기 잉크를 액적화하여 토출하는 잉크젯헤드와, An inkjet head inserted in the second path for discharging droplets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상기 제2 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잉크를 이송하는 제2 펌프And a second pump inserted in the second path to transfer the ink,

를 가지는 잉크토출장치가 제공된다.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잉크가 순환하는 제1 경로와, A first path through which the ink circulates,

상기 제1 경로의 분기부위로부터 분기된 후, 상기 제1 경로의 합류부위로 되돌아가는 제2 경로와, A second path returning to the merging portion of the first path after branching from the branching portion of the first path,

상기 제1 경로를 순환하는 상기 잉크를 가온하는 히터와, A heater for heating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상기 제2 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잉크를 액적화하여 토출하는 잉크젯헤드를 가지는 잉크토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를 토출하는 방법으로서, The ink is ejected by using an ink ejecting apparatus having an ink jet head inserted in the second path to eject droplets of the ink,

상기 제1 경로에 상기 잉크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히터로 상기 잉크를 가온하고, 상기 제1 경로 내의 일부의 상기 잉크를 상기 제2 경로에 흘려보냄으로써 상기 잉크젯헤드에 상기 잉크를 공급하며, Supplying the ink to the inkjet head by circulating the ink in the first path, heating the ink with the heater, and flowing a part of the ink in the first path into the second path,

상기 잉크젯헤드에 공급된 상기 잉크를 액적화하여, 상기 잉크젯헤드로부터 토출하는 잉크토출방법이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n ink discharging method of discharging the ink supplied to the ink jet head from the ink jet head.

제2 경로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이 변화하면, 제1 경로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도 변화한다. 이때, 제1 경로를 흐르는 잉크의 전체 유량에 대한 변화량의 비율은, 제2 경로를 흐르는 잉크의 전체 유량에 대한 변화량의 비율보다 작다. 히터는, 제1 경로를 흐르는 잉크를 가온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의 온도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changes,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first path also changes. 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change amount to the total flow amount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first path is smaller than the ratio of the change amount to the total flow amount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Since the heater heats the ink flowing through the first path, temperature fluctuation of the ink can be suppressed.

도 1은,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의 제1 경로의 일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잉크토출장치를 이용한 잉크토출방법의 플로차트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n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schematic view of an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the first path of the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4 is a schematic view of an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5 is a flowchart of an ink ejecting method using the ink ej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는, 잉크가 순환하는 제1 경로(10)를 가진다. 제1 경로(10)의 분기부위(31)에 있어서, 제2 경로(20)가 제1 경로(10)로부터 분기된다. 제2 경로(20)는, 합류부위(32)에 있어서 제1 경로(10)에 합류한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first path 10 in which ink circulates. In the branching region 31 of the first path 10, the second path 20 branches off from the first path 10. [ The second path (20) joins the first path (10) at the confluent portion (32).

히터(11) 및 제1 펌프(12)가, 제1 경로(10)에 삽입되어 있다. 히터(11)로서, 예를 들면 전열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펌프(12)로서, 예를 들면 다이어프램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히터(11) 및 제1 펌프(12)는, 합류부위(32)로부터 분기부위(31)에 이르는 경로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펌프(12)는, 제1 경로(10) 내의 잉크를 이송한다. 제1 펌프(12)에 의하여 잉크가 이송됨으로써, 잉크가 제1 경로(10)를 순환한다. 히터(11)는, 제1 경로(10)를 순환하는 잉크를 가온한다.The heater 11 and the first pump 12 are inserted into the first path 10. As the heater 11, for example, an electrothermal heater can be used. As the first pump 12, for example, a diaphragm pump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er 11 and the first pump 12 are inserted into the path from the confluence portion 32 to the branch portion 31. [ The first pump 12 conveys the ink in the first path 10. The ink is conveyed by the first pump 12, so that the ink circulates through the first path 10. The heater 11 warms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10.

제1 온도센서(13)가, 제1 경로(10)를 순환하는 잉크의 온도를 계측한다. 계측 결과가 제어장치(50)에 입력된다.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3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10. The measurement result is input to the control device 50.

제2 경로(20)에, 잉크젯헤드(21) 및 제2 펌프(22)가 삽입되어 있다. 제2 펌프(22)로서, 제1 펌프(1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다이어프램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펌프(22)는, 제2 경로(20) 내의 잉크를 이송한다. 제2 펌프(22)를 동작시키면, 제1 경로(10)를 순환하는 잉크 중 일부가 분기부위(31)에 있어서 제2 경로(20)로 유입된다. 제2 경로(20)로 유입된 잉크는, 제2 경로(20)를 흐른 후, 합류부위(32)에 있어서 제1 경로(10)를 흐르는 잉크에 합류한다.In the second path 20, an inkjet head 21 and a second pump 22 are inserted. As the second pump 22, for example, a diaphragm pump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ump 12. The second pump 22 conveys the ink in the second path 20. When the second pump 22 is operated, a part of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10 flows into the second path 20 at the branching portion 31. The ink that has flowed into the second path 20 flows in the second path 20 and then joins the ink flowing in the first path 10 in the merging portion 32. [

잉크젯헤드(21)는, 제2 경로(20)로부터 유입된 잉크를 액적화하여 토출한다. 토출되지 않은 잉크가, 잉크젯헤드(21)로부터 유출되어, 제2 경로(20)를 경유하여 제1 경로(10)로 되돌아간다. 스테이지(40)가, 잉크젯헤드(21)에 대향하는 위치에 기판(41)을 지지한다. 잉크젯헤드(21)로부터 토출된 잉크의 액적이 기판(41)에 착탄됨으로써, 기판(41)에 잉크가 도포된다.The inkjet head 21 droplets the ink introduced from the second path 20 and discharges the ink. Ink that has not been ejected flows out of the inkjet head 21 and returns to the first path 10 via the second path 20. [ The stage 40 supports the substrate 41 at a position facing the inkjet head 21. [ Ink droplets ejected from the inkjet head 21 land on the substrate 41 to apply ink to the substrate 41. [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우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기부위(31)로부터 합류부위(32)까지의 제1 경로(10)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을 Q1으로 나타내고, 제2 경로(20)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을 Q2로 나타낸다. 합류부위(32)로부터 분기부위(31)까지의 제1 경로(10)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은, Q1+Q2에 일치한다. 잉크젯헤드(21)로부터 잉크가 토출되고 있는 경우는, 잉크젯헤드(21)의 상류측의 제2 경로(20)와, 하류측의 제2 경로(20)에서, 잉크의 유량이 상이하다. 여기에서는, 잉크젯헤드(21)로부터 잉크의 토출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excellent effect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first path 10 from the branch portion 31 to the confluence portion 32 is denoted by Q1 and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20 is denoted by Q2.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first path 10 from the confluence portion 32 to the branch portion 31 coincides with Q1 + Q2. When the ink is ejected from the inkjet head 21, the flow rate of the ink is different between the second path 20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kjet head 21 and the second path 20 on the downstream side. Her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tate in which ink is not ejected from the ink-jet head 21.

히터(11)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은 Q1+Q2이다. 잉크젯헤드(21)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 Q2가 변동하여, Q2+ΔQ2가 되면, 히터(11)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도 ΔQ2만큼 변동한다. 히터(11)를 흐르는 전체 유량에 대한 변화량의 비율(변화율)은, ΔQ2/(Q1+Q2)로 나타난다.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heater 11 is Q1 + Q2. When the flow rate Q2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inkjet head 21 fluctuates and becomes Q2 +? Q2,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heater 11 also fluctuates by? Q2. The ratio (change rate) of the change amount to the total flow amount flowing through the heater 11 is represented by? Q2 / (Q1 + Q2).

비교예로서, 하나의 순환경로에 잉크젯헤드가 삽입되어 있는 구성에 대하여 고찰한다. 하나의 순환경로에, 잉크젯헤드 및 히터가 삽입된다. 잉크젯헤드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을 Q2로 나타내면, 히터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도 Q2와 동일하게 된다. 잉크젯헤드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이 ΔQ2만큼 변동하면, 히터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도 ΔQ2만큼 변동한다. 이때, 히터(11)를 흐르는 잉크의 전체 유량에 대한 변화량의 비율(변화율)은 ΔQ2/Q2로 나타난다.As a comparative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an ink jet head is inserted into one circulation path will be considered. In one circulation path, an ink jet head and a heater are inserted. When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inkjet head is represented by Q2,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heater becomes equal to Q2. If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inkjet head fluctuates by? Q2,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heater also fluctuates by? Q2. At this time, the ratio (rate of change) of the amount of change to the total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heater 11 is expressed by? Q2 / Q2.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화율 ΔQ2/(Q1+Q2)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변화율 ΔQ2/Q2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구성을 채용하면, 비교예의 구성에 비하여, 히터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의 변화율이 작아진다. 이로 인하여, 잉크젯헤드(21)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이 변화했을 때의 잉크의 온도의 변동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온도의 변동폭이 작아지기 때문에, 잉크의 토출 안정도를 높일 수 있다.The change rate Q2 / (Q1 + Q2) in the embodiment is smaller than the change rate Q2 / Q2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us,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is employed, the rate of change of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heater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temperature of the ink when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inkjet head 21 changes.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temperature becomes small, and hence the discharge stability of the ink can be enhanced.

히터(11)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 변화율을 작게 하기 위하여, 유량 Q1을 유량 Q2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량은, 제1 펌프(12) 및 제2 펌프(22)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o make the flow rate Q1 greater than the flow rate Q2 in order to reduce the rate of change of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heater 11. [ This flow rate can be realiz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12 and the second pump 22.

다음으로, 다른 비교예로서, 하나의 순환경로에 대용량의 잉크탱크를 삽입하고, 잉크탱크 내에 히터를 배치하는 구성에 대하여 고찰한다. 이 비교예에 있어서도, 대용량의 잉크탱크 내의 잉크의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잉크의 유량이 변화했을 때의 온도 변화폭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잉크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잉크의 열화의 진행이 빨라진다. 잉크의 열화가 진행되면, 잉크를 교환해야 한다. 대용량의 잉크를 가온한 상태로 저장해 두면, 잉크를 교환할 때에, 많은 잉크를 폐기해야 한다.Next, as another comparative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a large-capacity ink tank is inserted into one circulation path and a heater is arranged in the ink tank will be considered. Also in this comparative example,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ink in the large-capacity ink tank to be consta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emperature variation width when the flow rate of the ink changes. However, as the temperature of the ink becomes higher, the progress of deterioration of the ink becomes faster. When deterioration of the ink proceeds, the ink needs to be replaced. If a large-capacity ink is stored in a warmed state, a large amount of ink must be disposed of when the ink is exchanged.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용량의 잉크를 가온된 상태로 저장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잉크를 교환할 때에, 폐기해야 하는 잉크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store a large-capacity ink in a warmed st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ink to be discarded when the ink is exchanged.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의 동작 개시시에 있어서의 잉크의 승온 개시로부터, 잉크토출 동작까지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procedure from the start of the temperature rise of the ink to the ink ejection operation at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 펌프(12) 및 히터(11)를 동작시켜, 제1 경로(10)에 잉크를 순환시키면서 잉크를 가온한다. 이때, 제2 펌프(22)는 정지시켜 둔다. 이로 인하여, 제2 경로(20)에는 잉크가 유입되지 않는다. 제1 경로(10)를 흐르는 잉크의 온도가 제1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제2 펌프(22)를 동작시킴으로써, 제2 경로(20)에 잉크를 유입시킨다. 그 후, 잉크젯헤드(21)를 동작시켜, 잉크의 토출을 행한다.First, the first pump 12 and the heater 11 are operated to heat the ink while circulating the ink in the first path 10. [ At this time, the second pump 22 is stopped. Thereby, the ink does not flow into the second path 20.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first path 10 reaches the first target temperature, the second pump 22 is operated to draw ink into the second path 20. [ Thereafter, the inkjet head 21 is operated to discharge the ink.

상기 순서에서는, 가온 전의 저온의 잉크가 제2 경로(20)로 유입되지 않는다. 저온의 잉크는 점도가 높기 때문에, 저온의 잉크가 제2 경로(20)로 유입되면, 압력 손실이 커지고, 잉크의 유량이 저하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2 경로(20)를 흐르는 기간에 있어서의 잉크로부터의 방열량이 많아진다. 그 결과,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온도가 목표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장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온된 후의 잉크가 제2 경로(20)로 유입되기 때문에, 당초부터 잉크의 유량을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가 목표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this procedure, the low-temperature ink before warming does not flow into the second path 20. Since the low-temperature ink has a high viscosity, when the low-temperature ink flows into the second path 20, the pressure loss becomes large and the flow rate of the ink becomes low. As a result, the amount of heat radiation from the ink in the period of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20 increases. As a result, a long time is required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In the embodiment, since the ink after warming flows into the second path 2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ink from the beginning. Thus, the time until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can be shortened.

다음으로, 도 2∼도 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Next, an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Fig.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and a description of the common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2에, 본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제2 온도센서(24)가,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온도를 계측한다. 제2 온도센서(24)의 계측 결과가 제어장치(50)에 입력된다.2 is a schematic view of an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4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4 is input to the control device 50. [

압력센서(26)가, 잉크젯헤드(21)의 입구측에 접속된 제2 경로(20) 내의 잉크의 압력을 계측한다. 압력센서(27)가, 잉크젯헤드(21)의 출구측에 접속된 제2 경로(20) 내의 잉크의 압력을 계측한다. 압력센서(26, 27)의 계측 결과가 제어장치(50)에 입력된다. 제어장치(50)는, 압력센서(26, 27)의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을 산출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26 measures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second path 20 connected to the inlet side of the inkjet head 21. [ The pressure sensor 27 measures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second path 20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inkjet head 21. [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ressure sensors 26 and 27 are input to the control device 50. [ The control device 50 can calculate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ressure sensors 26 and 27. [

보급탱크(15)가, 제1 경로(10)에 보급되는 잉크를 저장하고 있다. 제1 경로(10)에 보급밸브(14)가 삽입되어 있다. 보급탱크(15)로부터 보급밸브(14)를 통하여, 제1 경로(10)에 잉크가 보급된다. 보급밸브(14)는, 보급탱크(15)로부터 제1 경로(10)에 잉크가 보급되는 보급 상태와, 잉크가 보급되지 않는 비보급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제어장치(50)가, 히터(11), 제1 펌프(12), 및 보급밸브(14)를 제어한다.The supply tank 15 stores ink to be supplied to the first path 10. A refill valve (14) is inserted into the first path (10). Ink is supplied to the first path 10 from the supply tank 15 via the refueling valve 14. [ The refueling valve 14 can switch between a refilling state in which ink is supplied to the first path 10 from the replenishing tank 15 and a non-replenishing state in which ink is not replenished. The control device 50 controls the heater 11, the first pump 12, and the refueling valve 14.

도 3에, 본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의 제1 경로(10)의 일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를 나타낸다. 제1 경로(10)에 공급탱크(60)가 삽입되어 있다. 공급탱크(60) 내에, 제1 실(61), 제2 실(62), 및 제3 실(63)이 구비되어 있다. 제1 경로(10)를 흘러 온 잉크가 공급탱크(60) 내로 유입된 후, 제1 실(61)의 하단으로부터 제1 실(61) 내로 유입된다. 제1 실(61) 내에 히터(11)가 배치되어 있다. 잉크가 제1 실(61) 내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흐를 때에, 히터(11)에 의하여 가온된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the first path 10 of the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more detail. A supply tank (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path (10). A first chamber 61, a second chamber 62, and a third chamber 63 are provided in the supply tank 60. The ink flowing in the first path 10 flows into the supply chamber 60 and then flows into the first chamber 61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hamber 61. [ A heater (11) is disposed in the first chamber (61). When the ink flows in the first chamber 61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ink is heated by the heater 11.

제1 실(61)에 유입된 잉크의 액면이 상승하여, 일정 높이를 넘으면, 잉크가 제1 실(61)로부터 넘쳐 흘러, 제2 실(62)로 유입된다. 제2 실(62)의 하단에 제2 경로(20)의 상류측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실(62)과 제2 경로(20)의 접속부위가, 분기부위(31)(도 2)에 상당한다. 제2 실(62) 내의 잉크가 제2 경로(20)를 흘러 잉크젯헤드(21)에 공급된다. 상류측의 단부로부터 잉크젯헤드(21)까지의 제2 경로(20)가, 단열커버(23)로 덮여 있다. 잉크젯헤드(21)의 하방을 향하는 면에, 복수의 노즐구멍(25)이 구비되어 있다. 각 노즐구멍(25)으로부터, 액적화된 잉크가 토출된다.When the ink level of the ink flowing into the first chamber 61 rises and exceeds a predetermined height, the ink overflows from the first chamber 61 and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62. And the upstream end of the second path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hamber 62.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chamber 62 and the second path 20 corresponds to the branching portion 31 (Fig. 2). The ink in the second chamber 62 flows through the second path 20 and is supplied to the inkjet head 21. The second path 20 from the upstream end to the ink jet head 21 is covered with the heat insulating cover 23. [ A plurality of nozzle holes 25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1 facing downward. From each nozzle hole 25, dropletized ink is ejected.

제2 실(62) 내의 잉크의 액면이 일정 높이를 넘으면, 잉크가 제2 실(62)로부터 넘쳐 흘러 제3 실(63)로 유입된다. 제3 실(63)의 하단으로부터 유출된 잉크가 제1 경로(10)를 통하여, 공급탱크(60)로 되돌아간다. 제1 실(61), 제2 실(62), 및 제3 실(63)이, 제1 경로(10)의 일부를 구성한다.When the liquid level of the ink in the second chamber 62 exceeds a certain height, the ink overflows from the second chamber 62 and flows into the third chamber 63. The ink flowing out from the lower end of the third chamber 63 is returned to the supply tank 60 through the first path 10. The first chamber 61, the second chamber 62, and the third chamber 63 constitute a part of the first path 10.

제2 경로(20)의 하류측의 단부가 제3 실(63)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경로(20)를 흘러 온 잉크가, 제3 실(63)로 유입된다. 제2 경로(20)와 제3 실(63)의 접속부위가, 합류부위(32)(도 2)에 상당한다.And the en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path 20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chamber 63. The ink flowing in the second path 20 flows into the third chamber 63.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path 20 and the third chamber 63 corresponds to the joining portion 32 (Fig. 2).

잉크젯헤드(21)와 제2 펌프(22)의 사이의 제2 경로(20)에, 버퍼탱크(34)가 삽입되어 있다. 버퍼탱크(34)는, 제2 펌프(22)에 의하여 발생하는 잉크 유량의 맥동이 잉크젯헤드(21)에까지 전해지는 것을 억제한다.A buffer tank 3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ath 20 between the inkjet head 21 and the second pump 22. The buffer tank 34 suppresses the pulsation of the ink flow rate generated by the second pump 22 from reaching the ink jet head 21. [

공급탱크(60)의 상면에 에어밸브(65)가 장착되어 있다. 에어밸브(65)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1 실(61), 제2 실(62), 및 제3 실(63) 내의 잉크의 액면에 대기압이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잉크토출장치의 동작 중, 에어밸브(65)가 개방되어 있다.An air valve (65)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ly tank (60). Atmospher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liquid surface of the ink in the first chamber 61, the second chamber 62, and the third chamber 63 with the air valve 65 open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valve 65 is open during operation of the ink ejection apparatus.

제2 실(62)로부터 잉크젯헤드(21)에 공급되는 잉크의 유량보다도, 제1 경로(10)를 통하여 공급탱크(60)로 유입되는 잉크의 유량이 많아지도록, 제1 펌프(12) 및 제2 펌프(22)가 제어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실(62)로부터 제3 실(63)에, 잉크가 항상 넘쳐 흐르고 있다. 이로써, 제2 실(62) 내의 잉크의 액면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3 실(63)의 액면의 높이는, 제2 실(62)의 액면의 높이보다 낮은 범위에서, 잉크의 양에 따라 상하로 변동한다.The first pump 12 and the second pump 12 are conne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into the supply tank 60 through the first path 10 becomes larger than the flow rate of the ink supplied from the second chamber 62 to the inkjet head 21. [ The second pump 22 is being controlled. As a result, the ink always flows over from the second chamber 62 to the third chamber 63. Thereby,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of the ink in the second chamber 62 is kept constant. The height of the liquid surface of the third chamber 63 fluctuates ver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he ink in a rang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iquid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62.

공급탱크(60)에 레벨센서(66)가 설치되어 있다. 레벨센서(66)는, 제3 실(63) 내의 잉크의 액면의 높이를 계측한다. 레벨센서(66)로서, 예를 들면, 초음파식 레벨센서, 플로트식 레벨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레벨센서(66)의 계측 결과가 제어장치(50)(도 2)에 입력된다.A level sensor 66 is provided in the supply tank 60. The level sensor 66 measures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of the ink in the third chamber 63. As the level sensor 66, for example, an ultrasonic level sensor, a float-type level sensor, or the like can be use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level sensor 66 is input to the control device 50 (Fig. 2).

공급탱크(60)에, 또한 제1 온도센서(1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온도센서(13)는, 예를 들면 제2 실(62) 내의 잉크의 온도를 계측한다.A first temperature sensor 13 is also provided in the supply tank 60.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3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ink in the second chamber 62, for example.

잉크젯헤드(21)의 노즐구멍(25)의 위치에, 노즐구멍(25)으로부터, 제2 실(62)의 액면까지의 고저차에 의존하는 수두압이 가해진다. 이 고저차를 조절함으로써, 노즐구멍(25)의 위치에 가해지는 수두압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경로(10) 및 제2 경로(20)를 흐르는 잉크의 총량이 변화하면, 제3 실(63) 내의 잉크의 액면의 높이가 변화하지만, 제2 실(62) 내의 잉크의 액면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로 인하여, 제1 경로(10) 및 제2 경로(20)를 흐르고 있는 잉크의 총량이 증감해도, 잉크젯헤드(21)의 노즐구멍(25)의 위치에 있어서의 수두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Head head pressure is applied to the position of the nozzle hole 25 of the inkjet head 21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level from the nozzle hole 25 to the liquid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62. [ By adjusting the height difference, the head pressure applied to the position of the nozzle hole 25 can be adjusted. When the total amount of ink flowing through the first path 10 and the second path 20 changes, the height of the liquid surface of the ink in the third chamber 63 changes, but the height of the liquid surface of the ink in the second chamber 62 It remains constant. Therefore, even when the total amount of ink flowing through the first path 10 and the second path 20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water head pressure at the position of the nozzle hole 25 of the inkjet head 21 can be kept constant .

다음으로, 도 4∼도 5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2∼도 3에 나타낸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Fig.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2 to 3 will be described, and a description of the common constitution will be omitted.

도 4에, 본 실시예에 의한 잉크토출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잉크젯헤드(21)보다 하류측의 제2 경로(20)에 제2 펌프(22)가 삽입되어 있었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2 펌프(22) 이외에, 잉크젯헤드(21)보다 상류측의 제2 경로(20)에도, 제3 펌프(28)가 삽입되어 있다. 제3 펌프(28)와 잉크젯헤드(21)의 사이의 제2 경로(20)에, 버퍼탱크(29)가 삽입되어 있다.Fig. 4 shows a schematic view of the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and 3, the second pump 22 is inserted in the second path 20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kjet head 21. 4, the third pump 2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ath 20 upstream of the inkjet head 21 in addition to the second pump 22. [ A buffer tank 29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ath 20 between the third pump 28 and the inkjet head 21.

제2 펌프(22)와 제3 펌프(28)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잉크젯헤드(21)의 노즐구멍(25)의 위치에 있어서의 메니스커스압을 조절할 수 있다.The meniscus pressure at the position of the nozzle hole 25 of the ink jet head 21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outputs of the second pump 22 and the third pump 28. [

도 5에, 도 4의 잉크토출장치를 이용한 잉크토출방법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스텝 S1에 있어서, 제어장치(50)가 제1 펌프(12)를 동작시킴으로써, 제1 경로(10)에 잉크를 순환시킨다. 스텝 S2에 있어서, 제어장치(50)가, 잉크의 보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잉크보충의 필요여부는, 공급탱크(60)에 장착된 레벨센서(66)로 계측된 제3 실(63)의 잉크 액면의 높이에 근거하여 판정할 수 있다. 액면의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 미만인 경우, 잉크의 보충이 필요하다고 판정된다. 액면의 높이가 기준값 이상이면, 잉크의 보충은 불필요하다고 판정된다.Fig. 5 shows a flowchart of an ink discharging method using the ink discharging apparatus of Fig. In step S1, the control device 50 causes the first pump 12 to operate to circulate the ink in the first path 10. In step S2, the control device 50 determines whether ink replenishment is necessary. The necessity of ink replenishment can be judged based on the height of the ink liquid level of the third chamber 63 measured by the level sensor 66 mounted on the supply tank 60. [ When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ink replenishment is necessary. If the height of the liquid surfac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replenishment of the ink is unnecessary.

잉크의 보충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는, 스텝 S3에 있어서, 제1 경로(10)에 잉크를 보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50)가, 보급밸브(14)를 보급 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보급탱크(15)로부터 제1 경로(10)에 잉크가 보급된다. 제3 실(63) 내의 잉크의 액면이 기준값 이상이 되면, 잉크의 보충을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50)가, 보급밸브(14)를 보급 상태로부터 비보급 상태로 전환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ink need to be replenished, ink is replenished to the first path 10 in step S3.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50 switches the supply valve 14 to the supply state. As a result, ink is supplied to the first path 10 from the replenishing tank 15.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ink in the third chamber 63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ink replenishment is stopped.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50 switches the supply valve 14 from the supply state to the non-supply state.

스텝 S2에서 잉크의 보충이 불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2에서 잉크의 보충이 완료된 경우, 스텝 S4에 있어서, 제1 경로(10) 내의 잉크 승온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50)가 히터(11)를 동작시킨다.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 that the replenishment of the ink is unnecessary, or when the replenishment of the ink is completed in step S2, the ink temperature rise in the first path 10 is started in step S4.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50 operates the heater 11.

스텝 S5에 있어서, 제1 경로(10) 내의 잉크의 온도가 제1 목표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제어장치(50)가 제1 온도센서(13)의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행할 수 있다. 잉크의 온도가 제1 목표온도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제1 경로(10)에 잉크를 순환시킨다.In step S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ink in the first path 10 has reached the first target temperature. This determination can be made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3 by the control device 50. [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k does not reach the first target temperature, the ink is circulated to the first path 10 continuously until the first target temperature is reached.

제1 경로(10)를 순환하는 잉크의 온도가 제1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스텝 S6에 있어서, 제2 경로(20)에 잉크를 흘려보내기 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50)가 제2 펌프(22) 및 제3 펌프(28)를 동작시킨다. 이로써, 잉크젯헤드(21)에의 잉크의 공급이 개시된다. 이때, 제2 펌프(22) 및 제3 펌프(28)는, 미리 설정된 출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k circulating in the first path 10 reaches the first target temperature, ink is started to flow in the second path 20 in step S6.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50 operates the second pump 22 and the third pump 28. [ As a result, supply of ink to the inkjet head 21 is started. At this time, the second pump 22 and the third pump 28 are controlled to operate with a preset output.

제2 경로(20)에의 잉크의 공급 개시시에는, 제2 경로(20)를 구성하는 관로, 잉크젯헤드(21) 등의 온도가 제1 목표온도보다 낮다. 이로 인하여, 제2 경로(20)로 유입된 잉크의 온도는, 잉크가 제2 경로(20)를 흐름에 따라 저하된다. 이때, 제2 경로(20)의 관로, 잉크젯헤드(21) 등이, 잉크에 의하여 가온된다.At the time when the supply of ink to the second path 20 is started, the temperature of the line constituting the second path 20, the ink jet head 21, etc. is lower than the first target temperature.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ink flowing into the second path 20 is lowered as the ink flows through the second path 20. At this time, the channel of the second path 20, the ink jet head 21, and the like are heated by the ink.

스텝 S7에 있어서,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온도가 제2 목표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제어장치(50)가, 제2 온도센서(24)의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행한다. 제2 목표온도는, 제1 목표온도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된다.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온도가 제2 목표온도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잉크의 온도가 제2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제2 경로(20)에 잉크를 유통시킨다.In step S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has reached the second target temperature. This determination is made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4 by the control device 50. [ The second target temperature is set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first target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does not reach the second target temperature, the ink continues to flow to the second path 20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ink reaches the second target temperature.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온도가 제2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스텝 S8에 있어서,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제어를 개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50)가 제2 펌프(22)(도 2, 도 3)의 출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경로(20)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은 저하된다. 제2 펌프(22)는, 미리 설정된 출력까지 저하되도록 제어된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reaches the second target temperature, control is started to raise the pressure of ink in the inkjet head 21 in step S8.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50 can raise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by lowering the output of the second pump 22 (Figs. 2 and 3). At this time,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20 is lowered. The second pump 22 is controlled to be lowered to a preset output.

그 외에, 제2 펌프(22) 및 제3 펌프(28) 양방의 출력을 저하시켜도 된다. 제3 펌프(28)의 출력 저하량보다, 제2 펌프(22)의 출력 저하량을 크게 하면,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 경우도, 제2 경로(20)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이 저하된다.In addition, the output of both the second pump 22 and the third pump 28 may be lowered. When the amount of decrease in the output of the second pump 22 is made larger than the amount of decrease in the output of the third pump 28,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rises. In this case also,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20 is lowered.

스텝 S9에 있어서,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이 목표압력까지 상승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제어장치(50)가, 압력센서(26, 27)(도 2)의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행한다.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이 목표압력까지 상승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목표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제2 펌프(22) 및 제3 펌프(28)의 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50)는, 미리 설정된 단위폭으로 출력을 증감시킨다.In step S9,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has risen to the target pressure. This determination is made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ressure sensors 26 and 27 (Fig. 2). When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does not rise to the target pressure, the outputs of the second pump 22 and the third pump 28 are controlled until the target pressure is reached.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50 increases or decreases the output with a preset unit width.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이 목표압력에 도달하면, 스텝 S10에 있어서,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이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압력센서(26, 27)의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제2 펌프(22) 및 제3 펌프(28)의 출력 피드백 제어를 행한다. 제2 펌프(22) 및 제3 펌프(28)의 출력 피드백 제어를 행하면서, 잉크젯헤드(21)를 동작시킨다. 이로써, 잉크젯헤드(21)로부터 잉크의 액적이 토출된다.When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reaches the target pressure,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ressure sensors 26 and 27,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falls within the permissible range, And performs the output feedback control of the second pump 22 and the third pump 28. The ink jet head 21 is operated while the output feedback control of the second pump 22 and the third pump 28 is performed. Thereby, a droplet of the ink is ejected from the inkjet head 21.

다음으로, 도 4∼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우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경로(20)로 유입되는 잉크가 제1 목표온도까지 가온되어 있다(스텝 S5). 가온됨으로써 잉크의 점도가 낮아져 있기 때문에, 제2 경로(20)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을, 당초부터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온도가 제2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Next, an excellent effec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to 5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ink flowing into the second path 20 is warmed up to the first target temperature (step S5).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20 from the beginning since the viscosity of the ink is lowered by heating. 1, the time required for the temperat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to reach the second target temperature can be shortened.

또한, 도 4∼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2 경로(20)에 잉크를 흘려보내기 시작한 시점(스텝 S6)부터,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을 상승시키기(스텝 S8)까지의 기간에,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이, 최종적인 목표압력보다 낮아진다. 이로 인하여, 잉크젯헤드(21)로부터 잉크의 토출을 개시하기까지의 기간에, 잉크젯헤드(21)로부터의 잉크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to 5, the time from when the ink is started to flow in the second path 20 (step S6) to when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is raised (step S8)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becomes lower than the final target pressure.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ink from leaking from the inkjet head 21 during the period from the inkjet head 21 to the start of ink ejection.

스텝 S6부터 스텝 S8까지의 기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펌프(22)의 출력, 또는 제2 펌프(22) 및 제3 펌프(28) 양방의 출력이, 잉크토출 동작시(스텝 S11)의 출력보다 높게 설정된다. 이로 인하여, 제2 경로(20)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은, 잉크 토출동작시의 유량보다 많다. 제2 경로(20)를 흐르는 잉크의 유량을 많게 함으로써,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온도가 제2 목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During the period from the step S6 to the step S8, the output of the second pump 22 or the output of both the second pump 22 and the third pump 28 is changed during the ink ejection operation (step S11)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20 is larger than the flow rate at the ink discharge operation. 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20, the period of time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1 reaches the second target temperature can be shortened.

또한, 도 4∼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이 목표압력에 도달한 후에, 잉크젯헤드(21) 내의 압력을 허용범위에 들어가도록 하기 위한 피드백 제어가 행해진다. 잉크젯헤드(21) 내의 잉크의 압력과, 목표압력의 차가 큰 상태에서, 이 피드백 제어를 개시하면, 피드백 제어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드백 제어의 불안정성을 회피할 수 있다.4 to 5, the feedback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pressure in the ink-jet head 21 reaches the target pressure, and then the pressure in the ink-jet head 21 falls within the allowable range . When this feedback control is started in a state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k pressure in the inkjet head 21 and the target pressure is large, the feedback control may become unstab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stability of the feedback control can be avoided.

이상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양한 변경, 개량, 조합 등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improvements, combinations, and the like are possible.

본 발명은, 가온된 잉크를 잉크젯헤드로부터 토출하는 잉크토출장치, 및 잉크토출방법의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nk ejection apparatus for ejecting warmed ink from an ink jet head, and an ink ejection method industry.

10 제1 경로
11 히터
12 제1 펌프
13 제1 온도센서
14 보급밸브
15 보급탱크
20 제2 경로
21 잉크젯헤드
22 제2 펌프
23 단열커버
24 제2 온도센서
25 노즐구멍
26, 27 압력센서
28 제3 펌프
29 버퍼탱크
31 분기부위
32 합류부위
34 버퍼탱크
40 스테이지
41 기판
50 제어장치
60 공급탱크
61 제1 실
62 제2 실
63 제3 실
65 에어밸브
66 레벨센서
10 First path
11 Heater
12 First pump
13 1st temperature sensor
14 Supply valve
15 Supply Tanks
20 Second path
21 inkjet head
22 Second pump
23 Insulation cover
24 2nd temperature sensor
25 nozzle hole
26, 27 Pressure sensor
28 Third pump
29 buffer tank
31st Branch
32 junction region
34 buffer tank
40 stages
41 substrate
50 control device
60 Supply Tank
61 Room 1
62 2nd room
63 The third room
65 air valve
66 level sensor

Claims (9)

잉크가 순환하는 제1 경로와,
상기 제1 경로의 분기부위로부터 분기된 후, 상기 제1 경로의 합류부위로 되돌아가는 제2 경로와,
상기 제1 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잉크를 이송하는 제1 펌프와,
상기 제1 경로를 순환하는 상기 잉크를 가온하는 히터와,
상기 제2 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경로를 흐르는 상기 잉크를 액적화하여 토출하는 잉크젯헤드와,
상기 제2 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잉크를 이송하는 제2 펌프
를 가지고,
상기 잉크젯헤드는 상기 제1 경로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제1 경로를 순환하고 있는 상기 잉크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제2 경로로 상기 잉크를 공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잉크토출장치.
A first path through which the ink circulates,
A second path returning to the merging portion of the first path after branching from the branching portion of the first path,
A first pump inserted into the first path to transfer the ink,
A heater for heating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An inkjet head inserted in the second path for discharging droplets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And a second pump inserted in the second path to transfer the ink,
Lt; / RTI &
Wherein the ink jet head is not inserted into the first path,
And determines whether to supply the ink to the second path by operating the second pump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에 보급되는 상기 잉크를 저장하는 보급탱크와,
상기 보급탱크로부터 상기 제1 경로에 상기 잉크가 보급되는 보급 상태와, 상기 잉크가 보급되지 않는 비보급 상태를 전환하는 보급밸브와,
상기 제1 경로를 순환하고 있는 상기 잉크의 온도를 계측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보급밸브, 상기 히터,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더 가지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보급밸브를 상기 보급 상태로 하고, 상기 제1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잉크를 상기 제1 경로에 순환시키면서, 상기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잉크를 가온하고,
상기 보급밸브를 상기 비보급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제1 온도센서의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경로를 순환하는 상기 잉크의 온도가 제1 목표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잉크의 온도가 상기 제1 목표온도에 도달했다고 판정되면, 상기 제2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제2 경로로의 상기 잉크의 공급을 개시하는 잉크토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plenishing tank for storing the ink replenished in the first path,
A supply valve for switching the supply state in which the ink is supplied to the first path from the supply tank and the non-supply state in which the ink is not supplied,
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said refueling valve, said heater, said first pump, and said second pump,
Lt; / RTI >
The control device includes:
The ink is heated by controlling the heater while circulating the ink in the first path by operating the first pump and bringing the supply valve into the supply stat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of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has reached the first target temperature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fter switching the refill valve to the non-replenishment stat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k has reached the first target temperature, operates the second pump to start the supply of the ink to the second path.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위로부터 상기 합류부위까지의 상기 제1 경로를 흐르는 상기 잉크의 유량이, 상기 제2 경로를 흐르는 상기 잉크의 유량보다 커지도록,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가지는 잉크토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and the second pump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first path from the branching site to the merging site becomes larger than the flow rat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Further comprising an ink ejection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펌프는, 상기 잉크젯헤드보다 하류측의 상기 제2 경로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잉크젯헤드보다 상류측의 상기 제2 경로에 삽입된 제3 펌프와,
상기 제2 경로를 흐르는 상기 잉크의 온도를 계측하는 제2 온도센서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온도센서의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경로를 흐르는 상기 잉크의 온도가 제2 목표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2 경로를 흐르는 상기 잉크의 온도가 상기 제2 목표온도에 도달했다고 판정되면, 상기 잉크젯헤드 내의 상기 잉크의 압력이 상승하도록, 상기 제2 펌프 및 상기 제3 펌프를 제어하는 잉크토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pump is inserted in the second path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kjet head,
A third pump inserted in the second path upstream of the inkjet head,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The control device includes: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has reached the second target temperature,
And controls the second pump and the third pump so that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ris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has reached the second target temperatur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헤드 내의 상기 잉크의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센서를 더 가지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잉크젯헤드 내의 상기 잉크의 압력이 상승하도록, 상기 제2 펌프를 제어한 후, 상기 압력센서의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잉크젯헤드 내의 상기 잉크의 압력이 목표압력까지 상승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잉크젯헤드 내의 상기 잉크의 압력이 상기 목표압력까지 상승했다고 판정되면, 상기 압력센서의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잉크젯헤드 내의 상기 잉크의 압력이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제2 펌프 및 상기 제3 펌프의 피드백 제어를 행하는 잉크토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The control devic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has risen to a target pressure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ressure sensor after controlling the second pump so that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is raised,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econd pump and the second controller such that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ressure sens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has risen to the target pressure, 3 pump.
잉크가 순환하는 제1 경로와,
상기 제1 경로의 분기부위로부터 분기된 후, 상기 제1 경로의 합류부위로 되돌아가는 제2 경로와,
상기 제1 경로를 순환하는 상기 잉크를 가온하는 히터와,
상기 제2 경로에 삽입되어, 상기 잉크를 액적화하여 토출하는 잉크젯헤드
를 가지는 잉크토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를 토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경로에 상기 잉크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히터에서 상기 잉크를 가온하고, 상기 제1 경로 내의 일부의 상기 잉크를 상기 제2 경로에 흘려보냄으로써 상기 잉크젯헤드에 상기 잉크를 공급하고,
상기 잉크젯헤드에 공급된 상기 잉크를 액적화하여, 상기 잉크젯헤드로부터 토출하고,
상기 잉크젯헤드는 상기 제1 경로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제1 경로를 순환하고 있는 상기 잉크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경로에 삽입되어 있는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제2 경로로 상기 잉크를 공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잉크토출방법.
A first path through which the ink circulates,
A second path returning to the merging portion of the first path after branching from the branching portion of the first path,
A heater for heating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An ink-jet head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ath and discharges the ink by drople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upplying the ink to the inkjet head by circulating the ink in the first path, heating the ink in the heater, and flowing a part of the ink in the first path into the second path,
Jetting the ink supplied to the ink-jet head from the ink-jet head,
Wherein the ink jet head is not inserted into the first path,
Wherein the ink is supplied to the second path by operating a pump inserted in the second path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헤드에 상기 잉크를 공급하기 전에,
상기 제2 경로에는 상기 잉크를 흘려보내지 않고, 상기 제1 경로에 상기 잉크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히터에서 상기 잉크를 가온하며,
상기 제1 경로를 순환하는 상기 잉크의 온도가 제1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경로를 순환하는 상기 잉크 중 일부를, 상기 제2 경로에 흘려보내는 잉크토출방법.
The method of claim 6,
Before supplying the ink to the inkjet head,
The ink is circulated in the first path without flowing the ink in the second path, the ink is heated in the heater,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reaches a first target temperature, a part of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flows in the second path.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를 순환하는 상기 잉크 중 일부를 상기 제2 경로에 흘려보내기 시작한 후, 상기 제2 경로를 흐르는 상기 잉크의 온도가 제2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잉크젯헤드 내의 상기 잉크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잉크토출방법.
The method of claim 7,
After the start of flowing a part of the ink circulating through the first path into the second path,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k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th reaches the second target temperature,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Wherein the ink ejecting method comprise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헤드 내의 상기 잉크의 압력을 상승시킨 후, 상기 잉크젯헤드 내의 상기 잉크의 압력이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제2 경로의 유량을 제어하면서, 상기 잉크젯헤드로부터 상기 잉크를 액적화하여 토출하는 잉크토출방법.
The method of claim 8,
Jetting the ink from the inkjet head while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second path such that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after raising the press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Ink ejecting method.
KR1020160073403A 2015-07-07 2016-06-13 Ink discharge apparatus and ink discharge method KR10192909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5857 2015-07-07
JP2015135857A JP6479596B2 (en) 2015-07-07 2015-07-07 Ink ejection apparatus and ink eje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55A KR20170006255A (en) 2017-01-17
KR101929094B1 true KR101929094B1 (en) 2018-12-13

Family

ID=5782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403A KR101929094B1 (en) 2015-07-07 2016-06-13 Ink discharge apparatus and ink discharge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79596B2 (en)
KR (1) KR101929094B1 (en)
CN (1) CN106335278B (en)
TW (1) TWI62343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563B1 (en) * 2017-04-21 2019-10-10 (주)대명티에스 Sealer application apparatus for vehicle body
CN110225827B (en) * 2017-04-21 2021-07-3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Printer, printer controller and method for realizing fluid recirculation in printer
JP6980339B2 (en) * 2017-09-05 2021-12-1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and liquid material discharge method
JP6941365B2 (en) 2017-12-19 2021-09-29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Droplet ejection device and droplet ejection method
JP7013340B2 (en) * 2018-07-02 2022-01-31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Paint supply system
EP4023345A4 (en) 2019-08-30 2023-08-16 Kyocera Corporation Circulation device
US11697289B2 (en) * 2020-12-01 2023-07-1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Liquid circulation device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3575B2 (en) * 2008-05-09 2012-11-14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KR101416171B1 (en) 2013-10-30 2014-07-09 주식회사 딜리 Head assembly with circulating ink
JP2014144611A (en) 2013-01-30 2014-08-14 Fujifilm Corp Inkjet recorder and ink charg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984A (en) * 1998-01-22 1999-08-03 Toshiba Tec Corp Ink jet printer
JP2002019148A (en) * 2000-07-12 2002-01-23 Fuji Photo Film Co Ltd Ink jet printing method and printer
JP4247704B2 (en) * 2001-09-11 2009-04-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Droplet discharge apparatus and liquid filling method thereof, and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4022721B2 (en) * 2001-12-21 2007-12-19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Record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recording apparatus
JP2006264133A (en) * 2005-03-24 2006-10-05 Canon Finetech Inc Inkjet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285845A (en) * 2008-05-27 2009-12-10 Dainippon Screen Mfg Co Ltd Printer and printing method
KR20100092223A (en) * 2009-02-12 201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Inkjet printer having array type head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231212B2 (en) * 2009-04-09 2012-07-31 Plastipak Packaging, Inc. Ink delivery system
JP2011110851A (en) * 2009-11-27 2011-06-09 Mimaki Engineering Co Ltd Liquid circulating system
JP2012254553A (en) * 2011-06-08 2012-12-27 Seiko Epson Corp Liquid ejection apparatus
WO2013015093A1 (en) 2011-07-27 2013-01-3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Substrate production device
CN102673164B (en) * 2012-06-08 2015-02-04 潍坊东航印刷科技股份有限公司 Circulating ink supplying system
CN202641001U (en) * 2012-06-08 2013-01-02 潍坊东航印刷科技股份有限公司 A cycled ink supply system
CN203157378U (en) * 2013-03-06 2013-08-28 佛山市三水盈捷精密机械有限公司 Ink supply system of ink jet printer
JP2015047811A (en) * 2013-09-03 2015-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Inkjet recording device
CN204054954U (en) * 2014-08-04 2014-12-31 北京元恒大通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k feeding system being applicable to the spray drawing machine of air brushing camouflage patter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3575B2 (en) * 2008-05-09 2012-11-14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JP2014144611A (en) 2013-01-30 2014-08-14 Fujifilm Corp Inkjet recorder and ink charging method
KR101416171B1 (en) 2013-10-30 2014-07-09 주식회사 딜리 Head assembly with circulating 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55A (en) 2017-01-17
TW201702084A (en) 2017-01-16
JP2017018845A (en) 2017-01-26
TWI623438B (en) 2018-05-11
CN106335278A (en) 2017-01-18
JP6479596B2 (en) 2019-03-06
CN106335278B (en)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094B1 (en) Ink discharge apparatus and ink discharge method
JP5085249B2 (en) Ink supply mechanism
JP5478267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KR101929093B1 (en) Ink discharge apparatus and ink discharge method
JP5586539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method
JP6393553B2 (en) Inkjet printing device
JP2010155449A (en) Recording apparatus
JP6397294B2 (en) Inkjet printing device
JP2010012637A (en) Image formation system
JP2016060180A (en) Ink jet printer
JP2016068431A (en) Ink jet printer
JP6622041B2 (en) Inkjet printing device
JP2017140806A (en) Liquid discharge head and liquid discharge device
EP3159169A1 (en) Passive meniscus pressure stabilization during shutdown of an ink jet printing system
KR20150106323A (en) Discharging device of liquid film material
JP2013056478A (en) Inkjet printer and ink circul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11749B1 (en) Device for discharging liquid material and method for discharging liquid material
JP2016120613A (en) Liquid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supply system
JP2014079885A (en) Ink jet printer and ink circulation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6298378B2 (en) Inkjet printing device
CN111483229A (en) Ink ejection device and ink ejection method
JP6360398B2 (en) Inkjet printing device
JP6445289B2 (en) Inkjet pr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