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556B1 - 소음기 - Google Patents
소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8556B1 KR101928556B1 KR1020180069859A KR20180069859A KR101928556B1 KR 101928556 B1 KR101928556 B1 KR 101928556B1 KR 1020180069859 A KR1020180069859 A KR 1020180069859A KR 20180069859 A KR20180069859 A KR 20180069859A KR 101928556 B1 KR101928556 B1 KR 1019285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 exhaust gas
- flow
- housing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in combination with sound-absorbing materi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the gases passing through porous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2—Tubes being corrug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18—Plastics material, e.g. polyester resin
- F01N2530/20—Plastics material, e.g. polyester resin reinforced with mineral or metallic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여 배기가스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의 흡음효과를 증대시킨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배기가스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 배기관과 연통되는 메인유입공이 형성된 유입부와, 상기 메인유입공과 연통되게 후방에 메인배출공이 형성된 배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유입공 및 상기 메인배출공과 연통되는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메인타공이 형성된 메인타공부재와; 상기 메인타공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충진되어 배기가스의 유동에 따라 소음을 흡수하는 메인흡음재와;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타공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배기가스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 배기관과 연통되는 메인유입공이 형성된 유입부와, 상기 메인유입공과 연통되게 후방에 메인배출공이 형성된 배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유입공 및 상기 메인배출공과 연통되는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메인타공이 형성된 메인타공부재와; 상기 메인타공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충진되어 배기가스의 유동에 따라 소음을 흡수하는 메인흡음재와;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타공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여 배기가스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의 흡음효과를 증대시킨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기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 도중에 설치되는 것으로, 타공관을 흡음재로 감싼 스트레이트 타입과 다수의 격벽을 설치하여 배기가스의 이동경로를 넓히는 미로 타입이 있다. 스트레이트 타입의 머플러는 배기가스 배출시 배압이 적게 걸려 엔진 성능에 끼치는 영향이 적으나 소음의 저감이 크지 않다. 미로 타입의 경우 배기가스 저항이 증대되어 배압이 커져 엔진성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16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7120호에 자동차용 소음기와 복합형 배기가스 소음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소음기들은 복합구조로 격벽과 흠읍재를 함께 구비하여 소음효과를 증대시키되 배압이 낮도록 하였으나 설계 제조상의 난이성을 가지며, 복잡한 구조에 비해 소음저감 효과가 크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배기가스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의 흡음효과를 증대시킨 소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음기는 배기가스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 배기관과 연통되는 메인유입공이 형성된 유입부분과, 상기 메인유입공과 연통되게 후방에 메인배출공이 형성된 배출부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유입공 및 상기 메인배출공과 연통되는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메인타공이 형성된 메인타공부재와; 상기 메인타공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충진되어 배기가스의 유동에 따라 소음을 흡수하는 메인흡음재와;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타공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타공부재는 소음의 흡음효과가 증대되도록 상기 메인흡음재와 배기가스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게 내측면과 외주면이 파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주름관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메인배출공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부분에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의 메인유입공으로부터 소정길이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후방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서브배출공이 형성된 원통관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관은 배기가스의 흐름에 따라 배기가스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곡선형의 곡면부분과, 상기 곡면부분에서 외경이 일정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며 배기가스가 상기 중공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게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장공이 형성된 수평부분과, 상기 서브배출공을 갖도록 수평부분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부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플랜지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원통관의 장공은 상기 원통관의 곡면부분과 인접한 수평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장공과, 상기 제1장공과 대향되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장공과, 상기 제1,2장공보다 후방에 형성되되 각각의 중심을 상호 연결한 제1중심선이 제1,2장공의 중심을 상호 연결하는 제2중심선과 직교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3,4장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상기 유동로의 내부에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보조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타공부재의 내부에 상기 메인타공부재와 소정길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보조타공이 상기 유동로 및 보조유동로와 연통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보조타공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흐름유도부는 유입된 배기가스중 중앙으로 진행되는 배기가스는 통과되게 제1연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제1연통공의 중심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게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통공 주변으로 인입되는 배기가스를 충돌시켜 주변으로 확산시킬수 있는 확산부분과; 상기 제1연통공과 연통되는 내부이동로를 갖되 외주면에 상기 내부이동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을 갖으며 상기 확산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내부흐름유도관과; 상기 내부이동로와 연통되는 제2연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제2연통공의 중심에서 외경이 확장되게 연장되게 형성된 후방부분과; 상기 내부흐름유도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확산부분과 상기 후방부분의 사이를 충진하는 보조흡음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흐름유도관은 유리섬유, 금속섬유, 탄소섬유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직조된 망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소음이 저감될 수 있게 배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만으로 배기가스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의 흡음효과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음기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음기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도시한 일부절개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음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음기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음기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도시한 일부절개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음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엔진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전 압력과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엔진과 연결되는 배기매니폴더의 후방으로 길게 연결되는 배기관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설치된다. 소음기는 타단이 배출관과 결합되어 소음기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음기(1)는 하우징(10), 메인타공부재(30), 메인흡음재(35), 흐름유도부(5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배기가스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 배기관과 연통되는 메인유입공(12)이 형성된 유입부분(11)과, 메인유입공(12)과 연통되게 후방에 메인배출공(16)이 형성된 배출부분(15)과, 유입부분(11)과 배출부분(15)의 사이를 연장하는 관형상의 몸통부분(17)과, 유입부분(11)을 배기관에 결합시키기 위한 선단플랜지부분(13)을 구비한다.
유입부분(11)과 배출부분(17)은 원형판 형상으로 메인유입공(12), 메인배출공(16)이 중앙에 각각 형성된다.
몸통부분(17)은 양단부가 유입부분(11)과 배출부분(17)에 의해 차폐되어 메인유입공(12) 및 메인배출공(16)과 연통되는 중공부를 갖는다. 몸통부분(17)은 후술할 메인타공부재(30), 메인흡음재(35)가 내부에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선단플랜지부분(13)은 메인유입공(12)과 연통되는 선단유입공(14)이 내부에 형성되며 배기관과 접촉되는 일단이 선단유입공(14)을 중심으로 외경이 확장되게 연장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선단플랜지부분(13)은 생략되고 유입부분(11)과 배기관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메인타공부재(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메인유입공(12) 및 메인배출공(16)과 연통되는 유동로(32)를 형성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된다. 메인타공부재(30)는 하우징(1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몸통부분(17)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후술할 메인흡음재(35)가 충진될 수 있는 충진공간을 형성한다.
메인타공부재(30)의 외주면에는 유동로(32)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메인타공(34)이 형성된다. 이에, 배기가스가 유동로(32)를 따라 유동될 시 메인타공(34)을 통해 메인흡음재(35)측으로 유동하며 이에 따라 배기가스의 유동에 따라 발생된 소음이 메인흡음재(35)에 의해 흡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타공부재(30)는 내측면과 외주면이 파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주름관으로 적용되어 메인흡음재(35)와 배기가스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된다. 메인타공부재(30)가 주름관으로 적용됨에 따라 단위길이당 메인흡음재(35)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형성할 수 있는 메인타공(34) 갯수 역시 증가된다. 이에, 메인흡음재(35)의 흡음영역이 증대되어 소음의 흡음효과 역시 증대된다.
메인흡음재(35)는 상기한 충진공간에 충진되어 배기가스가 유동됨에 따라 발생된 소음을 흡수한다. 메인흡음재(35)는 스틸울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흐름유도부(50)는 소음이 더욱더 저감될 수 있게 배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타공부재(30)의 내부에 설치된다. 흐름유도부(50)는 원통관(55)을 구비한다.
원통관(55)은 배출부분(15)의 메인배출공(16)을 폐쇄하도록 메인배출공(16)에 삽입되어 배출부분(15)에 지지된다. 원통관(55)은 하우징(10)의 메인유입공(12)으로부터 소정길이 이격되는 위치에서 하우징(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원통관(55)은 내부에 중공부(55a)를 형성하며 후방에 중공부(55a)와 연통되는 서브배출공(57a)이 형성된다.
원통관(55)은 곡면부분(51), 수평부분(53), 플랜지부분(57)을 구비한다.
곡면부분(51)은 원통관(55)의 전방에 형성된 것으로, 배기가스의 흐름에 따라 배기가스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배기가스 중 곡면부분(51)에서 충돌한 배기가스는 확산되어 메인흡음재(35)측으로 유동되거나 원통관(55)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된다.
수평부분(53)은 곡면부분(51)에서 외경이 일정하게 후방으로 연장된 원통관(55)의 중간측 부분으로, 원통관(55)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되는 배기가스가 원통관(55)의 중공부(55a)로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55a)와 연통되게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4장공(54a)(54b)(56a)(56b)이 형성된다.
제1장공(54a)은 원통관(55)의 곡면부분(51)과 인접한 수평부분(53)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2장공(54b)은 제1장공과 대향되는 원통관(55)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곡면부분(51)에서 확산된 배기가스중 수평부분(53)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되는 배기가스는 일부가 제1,2장공(54a)(54b)을 통해 원통관(55)의 중공부(55a)로 인입된다. 제1,2장공(54a)(54b) 각각을 통해 인입된 배기가스는 서로 충돌되며 원통관(55)의 후방에 형성된 서브배출공(57a)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배기가스가 서로 충돌됨에 따라 소음이 소멸간섭을 일으킨다.
제3, 4장공(56a)(56b)은 제1,2장공(54a)(54b)보다 후방에 형성되되 각각의 중심을 상호 연결한 제1중심선(C)이 제1,2장(54a)(54b)공의 중심을 상호 연결하는 제2중심선(D)과 직교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제1,2장공(54a)(54b)을 통해 원통관(55)의 중공부(55a)로 인입되지 못한 배기가스 중 일부는 제3,4장공(56a)(56b)을 통해 원통관(55)의 중공부(55a)로 인입되며, 서로 충돌되어 서브배출공(57a) 측으로 유동된다. 제3,4장(56a)(56b)을 통해 인입된 배기가스 역시 서로 충돌됨에 따라 소음이 소멸간섭을 일으킨다.
즉, 곡면부분(51)에서 확산된 배기가스는 수평부분(53)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되고 수평부분(53)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장공(54a)(54b)(56a)(56b)에 의해 원통관(55)의 내부에 인입되며 서로 충돌되어 소음이 저감된다. 제1 내지 제4장공(54a)(54b)(56a)(56b)은 상기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공은 다수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분(57)은 서브배출공(57a)을 갖도록 수평부분(53)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중공부(55a)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플랜지부분(57)은 배기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관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음기(1)는 메인타공부재(30)와 메인흡음재(35)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배기관으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가 메인타공부재(30)의 유동로(32)를 따라 유동될 시 메인흡음재(35)의 소음의 저감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흐름유도부(50)에 의해 메인흡음재(35)측으로 유동되는 배기가스가 증가되고, 메인흡음재(35)측으로 유동되지 못한 배기가스는 흐름유도부(50)의 내부에서 충돌되어 소음의 저감효과가 극대화된다.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음기(2)는 하우징(20), 메인타공부재(40), 메인흡음재(45), 보조타공부재(47), 흐름유도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상기한 도 1 내지 도 2의 하우징(10)과 동일하나 배출부분(15)에 후단플랜지부분(27)이 더 형성된다. 후단플랜지부분(27)은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메인배출공(16)과 연통되는 후단배출공(28)을 형성하며 단부의 외경이 후단배출공(28)을 중심으로 확장되게 연장된다.
메인타공부재(40)는 상기한 도 1 내지 도 2의 메인타공부재(30)와 동일기능을 하나 원형관으로 형성된다. 메인타공부재(40)의 내부에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유동로(42)가 형성되며, 유동로(42)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메인타공(44)이 외주면에 형성된다. 메인흡음재(45)는 상기한 도 1 내지 도 2의 메인흡음재(35)와 동일하다. 다만,
보조타공부재(47)는 유동로(42)의 내부에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보조유동로(48)를 형성하도록 메인타공부재(40)의 내부에 메인타공부재(40)와 소정길이 이격되게 설치된다. 보조타공부재(47)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보조타공(49)이 형성된다. 보조타공(49)은 메인타공부재(40)의 유동로(42)와 보조유동로(48)와 연통시키도록 보조타공부재(47)의 외주면을 관통한다.
유동로(42)에 유동되는 배기가스는 보조타공(49)을 통해 보조유동로(48)로 유동될 수 있으며, 보조유동로(48)를 통해 유동되는 배기가스는 메인타공(44)을 통해 메인흡음재(45)측으로 유동되거나, 보조유동로(48)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보조유동로(48)를 따라 유동되는 배기가스는 보조타공(49)을 통해 다시 유동로(42)로 유입되어 메인배출공(1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배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60)는 보조타공부재(47)의 내부 중심에서 보조타공부재(47)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흐름유도부(60)는 확산부분(61), 내부흐름유도관(63), 후방부분(67), 보조흡음재(65)를 구비한다.
확산부분(61)은 보조타공부재(47)의 전방과 소정길이 이격되게 보조타공부재(47)의 내부에 삽입된다. 확산부분(61)은 유동로(42)의 유입된 배기가스중 중앙으로 진행되는 배기가스는 통과되게 제1연통공(62)이 중앙에 형성되고 제1연통공(62)의 중심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게 호형으로 형성된다.
확산부분(61)은 제1연통공(62) 주변으로 인입되는 배기가스를 충돌시켜 주변으로 확산시킨다. 확산부분(61)으로 인해 확산된 배기가스는 보조타공부재(47)의 보조타공(49)을 통해 보조유동로(48)측으로 유동된다.
내부흐름유도관(63)은 제1연통공(62)과 연통되는 내부이동로(66)를 갖되 외주면에 내부이동로(66)와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64)을 갖으며 확산부분(6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1연통공(62)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내부이동로(66)를 따라 유동된다.
내부흐름유도관(63)은 유리섬유, 금속섬유, 탄소섬유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직조된 망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유리섬유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흐름유도관(63)은 직조됨에 따라 경사와 위사 사이에 통공(64)이 형성되어 별도의 타공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이와 달리 타공작업에 의해 다수의 통공(64)이 형성된 원통관이 적용될 수 있다.
후방부분(67)은 내부흐름유도관(63)의 내부이동로(66)와 연통되는 제2연통공(68)이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 제2연통공(68)에서 외경이 확장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후방부분(67)은 보조타공부재(47)의 후방에서 소정길이 이격된다. 후방부분(67)과 확산부분(61)은 내부흐름유도관(63)의 양단에 나란하게 위치한다.
보조흡음재(65)는 내부흐름유도관(63)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확산부분(61)과 후방부분(67)의 사이를 충진한다. 보조흡음재(65)는 통공(64)을 따라 보조흡음재(65) 측으로 유동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보조타공(49)을 통해 보조흡음재(65)측으로 유동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보조타공부재(47)의 내부에서 흐름유도부(60)의 위치와, 흐름유도부(60)의 길이를 특정 주파수와 대응되게 조절하여 특정주파수에 대한 소음 감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연통공(62) 및 내부이동로(66) 그리고 제2연통공(68)의 직경 역시 특정 주파수에 따라 대응되게 조절하여 특정 주파수에 대한 소음 감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배기가스의 흐름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연통공(62)을 통과하지 못한 배기가스는 확산부분(61)에서 충돌되어 보조타공(49)을 통해 보조유동로(48)측으로 유동된다. 보조유동로(48)로 유동된 배기가스는 보조유동로(48)를 따라 유동되거나 메인타공(44) 또는 보조타공(49)을 통해 메인흡음재(45) 또는 보조흡음재(65)측으로 유동되어 소음이 흡수된다. 이처럼, 제1연통공(62)을 통과하지 못한 배기가스는 유동길이가 길어지며 메인흡음재(45) 또는 보조흡음재(65)측으로 유동되어 소음이 흡수된다. 이에, 소음의 저감효과가 증대된다.
보조유동로(48)를 따라 유동된 배기가스는 후방부분(67)을 지나 보조타공(49)을 통해 유동로(42)로 다시 유입된다. 유동로(42)로 다시 유입된 배기가스는 메인배출공(16)을 통해 배출된다.
유동로(42)로 유입된 배기가스중 유동로(42)의 중앙으로 유동되는 배기가스는 확산부분(61)의 제1연통공(62)을 통해 내부흐름유도관(63)의 내부이동로(66)로 유입되어 내부이동로(66)를 따라 제2연통공(68)측으로 유동된다. 제2연통공(68)측으로 유동된 배기가스는 메인배출부(15)를 통해 배출된다. 즉, 유동로(42)의 중앙으로 유동되는 배기가스는 방해를 받지않고 일직선상으로 흐름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배기가스는 흐름의 방해를 받지 않고 좁은 곳을 통과하기 때문에 흐름의 속도가 보조유동로(48)를 경유하여 유동되는 배기가스 흐름의 속도보다 빠르다. 이에, 보조유동로(48)를 경유하는 배기가스의 흐름 역시 촉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음기는 보조유동로(48)가 형성되고 흐름유도부(60)가 보조유동로(48)측으로 배기가스를 확산시켜 배기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길이가 길어져 소음의 흡음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유동로의 중앙측에 흐름의 방해를 받지 않고 빠르게 유동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전체적으로 흐름이 촉진되어 소음의 저감효과가 증대된다.
뿐만 아니라, 흐름유도부(60)의 길이, 위치, 제1,2연통공과 내부이동로(66)의 직경을 특정주파수에 따라 대응되게 조절하여 특정주파수에서의 소음 감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소음기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소음이 저감될 수 있게 배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만으로 소음의 흡음효과가 증대된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소음기 10 : 하우징
30 : 타공부재 50 : 흐름유도부
30 : 타공부재 50 : 흐름유도부
Claims (7)
- 배기가스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 배기관과 연통되는 메인유입공이 형성된 유입부분과, 상기 메인유입공과 연통되게 후방에 메인배출공이 형성된 배출부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유입공 및 상기 메인배출공과 연통되는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메인타공이 형성된 메인타공부재와;
상기 메인타공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충진되어 배기가스의 유동에 따라 소음을 흡수하는 메인흡음재와;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타공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메인배출공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부분에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의 메인유입공으로부터 소정길이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후방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서브배출공이 형성된 원통관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관은 배기가스의 흐름에 따라 배기가스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곡선형의 곡면부분과, 상기 곡면부분에서 외경이 일정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며 배기가스가 상기 중공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게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4장공이 형성된 수평부분과, 상기 서브배출공을 갖도록 수평부분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부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플랜지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관의 제1장공은 상기 원통관의 곡면부분과 인접한 수평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장공은 상기 제1장공과 대향되는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4장공은 상기 제1,2장공보다 후방에 형성되되 각각의 중심을 상호 연결한 제1중심선이 제1,2장공의 중심을 상호 연결하는 제2중심선과 직교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타공부재는 소음의 흡음효과가 증대되도록 상기 메인흡음재와 배기가스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게 내측면과 외주면이 파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주름관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 삭제
- 삭제
- 삭제
- 배기가스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 배기관과 연통되는 메인유입공이 형성된 유입부와, 상기 메인유입공과 연통되게 후방에 메인배출공이 형성된 배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유입공 및 상기 메인배출공과 연통되는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메인타공이 형성된 메인타공부재와;
상기 메인타공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충진되어 배기가스의 유동에 따라 소음을 흡수하는 메인흡음재와;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타공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동로의 내부에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보조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타공부재의 내부에 상기 메인타공부재와 소정길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보조타공이 상기 유동로 및 보조유동로와 연통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보조타공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흐름유도부는 유입된 배기가스중 중앙으로 진행되는 배기가스는 통과되게 제1연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제1연통공의 중심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게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통공 주변으로 인입되는 배기가스를 충돌시켜 주변으로 확산시킬수 있는 확산부분과;
상기 제1연통공과 연통되는 내부이동로를 갖되 외주면에 상기 내부이동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을 갖으며 상기 확산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내부흐름유도관과;
상기 내부이동로와 연통되는 제2연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제2연통공의 중심에서 외경이 확장되게 연장되게 형성된 후방부분과;
상기 내부흐름유도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확산부분과 상기 후방부분의 사이를 충진하는 보조흡음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흐름유도관은 유리섬유, 금속섬유, 탄소섬유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직조된 망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9859A KR101928556B1 (ko) | 2018-06-18 | 2018-06-18 | 소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9859A KR101928556B1 (ko) | 2018-06-18 | 2018-06-18 | 소음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8556B1 true KR101928556B1 (ko) | 2018-12-12 |
Family
ID=6466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9859A KR101928556B1 (ko) | 2018-06-18 | 2018-06-18 | 소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855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16160A1 (en) * | 2019-07-23 | 2021-01-28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Vehicle exhaust system |
KR20210061193A (ko) * | 2019-11-19 | 2021-05-27 | 조우성 | 오토바이용 소음기 |
KR102408897B1 (ko) * | 2021-12-27 | 2022-06-14 | 주식회사 도원안전연구원 | 자가생산 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상수도관 세척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4835Y1 (ko) * | 2000-07-05 | 2000-12-01 | 신현구 | 자동차용 소음기 |
-
2018
- 2018-06-18 KR KR1020180069859A patent/KR1019285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4835Y1 (ko) * | 2000-07-05 | 2000-12-01 | 신현구 | 자동차용 소음기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16160A1 (en) * | 2019-07-23 | 2021-01-28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Vehicle exhaust system |
US11225897B2 (en) | 2019-07-23 | 2022-01-18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Vehicle exhaust system |
US11614009B2 (en) | 2019-07-23 | 2023-03-28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Vehicle exhaust system |
KR20210061193A (ko) * | 2019-11-19 | 2021-05-27 | 조우성 | 오토바이용 소음기 |
KR102283538B1 (ko) * | 2019-11-19 | 2021-07-28 | 조우성 | 오토바이용 소음기 |
KR102408897B1 (ko) * | 2021-12-27 | 2022-06-14 | 주식회사 도원안전연구원 | 자가생산 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상수도관 세척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8556B1 (ko) | 소음기 | |
US8439159B1 (en) | Exhaust muff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US5783782A (en) | Multi-chamber muffler with selective sound absorbent material placement | |
US5198625A (en) | Exhaust muff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US5227593A (en) | Muffler assembly for engine | |
JP4024127B2 (ja) | 内燃機関の排気装置 | |
US20090014238A1 (en) | Muffler | |
CN107762590A (zh) | 消声器的结构 | |
KR100767139B1 (ko) | 배기 머플러 | |
CN216741673U (zh) | 一种声浪排气管组件及其汽车 | |
US2937707A (en) | Muffler for silencing gases | |
US3498406A (en) | Triflow muffler for exhaust gases | |
KR20210023432A (ko) | 소음기 | |
KR200371655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100925942B1 (ko) | 차량의 소음기 | |
JP2729188B2 (ja) | 自動車用消音器 | |
KR200171218Y1 (ko) | 특정 주파수 감쇄용 분기관을 구비한 소음기 | |
JP4358045B2 (ja) | 消音器 | |
JP2913804B2 (ja) | エンジン用マフラ | |
JP3061817U (ja) | 消音装置 | |
KR20240156727A (ko) | 다층 구조 증기 배출 소음기 | |
JP3623040B2 (ja) | 消音器 | |
JP3008463B2 (ja) | エンジン用マフラ | |
JP3075992U (ja) | 自動車用消音器 | |
KR19990016967U (ko) | 차량용 소음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