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503B1 - 듀얼 신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신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감지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8503B1 KR101928503B1 KR1020170035236A KR20170035236A KR101928503B1 KR 101928503 B1 KR101928503 B1 KR 101928503B1 KR 1020170035236 A KR1020170035236 A KR 1020170035236A KR 20170035236 A KR20170035236 A KR 20170035236A KR 101928503 B1 KR101928503 B1 KR 1019285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face wave
- defect
- unit
- signal
- gener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1—Analysing solids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e.g. using Lamb, Rayleigh or shear wav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01N29/2437—Piezoelectric prob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3—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turbine blad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2—Wave modes
- G01N2291/0423—Surface waves, e.g. Rayleigh waves, Love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표면파발생부 및 표면파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도 1의 표면파발생부 및 표면파수신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파발생부 및 표면파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 의하여 블레이드에 생긴 크랙의 진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도 1의 결함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1의 화면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1a: 저주파발생부 1b: 고주파발생부
3: 표면파수신부 31: 압전기판 33: 전극
3a: 저주파수신부 3b: 고주파수신부
5: 결함분석부 51: 수신신호분석부
511: 수신부별진폭분석모듈 512: 수신부별위상분석모듈
53: 수신부별기본신호저장부 531: 정상진폭정보저장모듈
532: 정상위상정보저장모듈 533: 결함별진폭정보저장모듈
534: 결함별위상정보저장모듈
55: 결함특정부 551: 수신부별진폭비교모듈 552: 수신부별위상비교모듈
553: 결함종류특정모듈 554: 결함정도특정모듈 555: 결함위치특정모듈
7: 화면표시부 71: 수신부별신호표시부 711: 정상신호표시모듈
712: 수신신호표시모듈 713: 결함별신호표시모듈 714: 신호동기화모듈
715: 진폭차표시모듈 716: 위상차표시모듈
73: 결함정보표시부 731: 결함위치표시모듈 732: 결함종류표시모듈
733: 결함정도표시모듈
Claims (10)
-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블레이드 표면을 따라 이송되는 표면파를 발생시키는 표면파발생부와, 상기 표면파발생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표면파발생부에서 생성되어 블레이드 표면을 따라 이송된 표면파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표면파수신부와, 상기 표면파수신부에서 생성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블레이드의 결함을 검출하는 결함분석부와, 상기 표면파수신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파발생부는 저주파의 표면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와, 고주파의 표면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파수신부는 상기 저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저주파와 동일한 고유 진동수를 갖는 저주파수신부와,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와 동일한 고유 진동수를 갖는 고주파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파발생부는 상기 저주파발생부에 의해서만 표면파를 발생시키며,
상기 저주파수신부 및 고주파수신부는 상기 저주파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표면파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고주파수신부는 상기 저주파수신부에서 생성된 전기신호를 분석한 결과 결함이 의심되는 경우에만 생성된 전기신호를 상기 결함분석부로 전달하여 결함의 정밀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결함분석부는,
복수의 표면파수신부별로 생성되는 전기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분석하는 수신신호분석부와; 블레이드의 결함이 없는 정상상태에서 각 표면파수신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와, 블레이드 결함의 종류에 따라 각 표면파수신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수신부별기본신호저장부와; 상기 수신신호분석부 및 수신부별기본신호저장부에서 분석되는 전기신호의 진폭, 위상을 비교하여 블레이드의 결함 위치 및 종류, 정도를 특정하는 결함특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표시부는 복수의 각 표면파수신부별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표시하는 수신부별신호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별신호표시부는,
블레이드의 정상 상태에서 각 표면파수신부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정상신호표시모듈과; 실제 측정시 각 표면파수신부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수신신호표시모듈과; 결함의 종류, 크기, 정도에 따라 각 표면파수신부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결함신호표시모듈과; 상기 정상신호표시모듈, 수신신호표시모듈, 결함신호표시모듈에 의해 화면에 함께 표시되는 신호의 시점 정보를 일치시켜 동기화하는 신호동기화모듈과; 상기 정상신호표시모듈, 결함별신호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와 상기 수신신호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와의 진폭차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진폭차표시모듈과; 위상차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위상차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감지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5236A KR101928503B1 (ko) | 2017-03-21 | 2017-03-21 | 듀얼 신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감지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5236A KR101928503B1 (ko) | 2017-03-21 | 2017-03-21 | 듀얼 신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감지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6621A KR20180106621A (ko) | 2018-10-01 |
KR101928503B1 true KR101928503B1 (ko) | 2018-12-12 |
Family
ID=6387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5236A Active KR101928503B1 (ko) | 2017-03-21 | 2017-03-21 | 듀얼 신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감지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850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55088A (ja) * | 2000-08-10 | 2002-02-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トンネル診断装置及び方法 |
JP2005251485A (ja) * | 2004-03-03 | 2005-09-15 | Ngk Spark Plug Co Ltd | スパークプラグ用絶縁碍子の検査方法 |
WO2014145511A1 (en) | 2013-03-15 | 2014-09-18 | Digital Wind System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wind turbine blades during operation |
KR101708848B1 (ko) * | 2016-03-29 | 2017-02-21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진단시스템 |
-
2017
- 2017-03-21 KR KR1020170035236A patent/KR10192850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55088A (ja) * | 2000-08-10 | 2002-02-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トンネル診断装置及び方法 |
JP2005251485A (ja) * | 2004-03-03 | 2005-09-15 | Ngk Spark Plug Co Ltd | スパークプラグ用絶縁碍子の検査方法 |
WO2014145511A1 (en) | 2013-03-15 | 2014-09-18 | Digital Wind System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wind turbine blades during operation |
KR101708848B1 (ko) * | 2016-03-29 | 2017-02-21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진단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6621A (ko) | 2018-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2475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with frequency synchronization | |
RU2529671C2 (ru) | Сенс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сенсо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EP3070467B1 (en) | Ultrasonic test system, ultrasonic test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ircraft part | |
US1102250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batteries and internal battery components | |
JP2008536756A (ja) | 飛行機の構造体の監視方法および監視装置 | |
JP2010276593A (ja) | 液位計測装置 | |
KR101708848B1 (ko) |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진단시스템 | |
Ganeriwala et al. | Using modal analysis for detecting cracks in wind turbine blades | |
JP2011185921A (ja) | 損傷長測定システム及び損傷長測定方法 | |
KR20110014767A (ko) | 다채널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검사장치와 그 검사방법 | |
KR20150097092A (ko) | 진동 구동 방식으로 파각란을 판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1928503B1 (ko) | 듀얼 신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감지시스템 | |
KR20250008702A (ko) | 진동에 의한 자기 애자 상태의 진단장치 | |
CN119270005A (zh) | 声光电融合的gis耐压试验击穿点定位方法及系统 | |
CN101303381B (zh) | 用于测量定子部件中电容的系统、方法和设备 | |
CN106932089B (zh) | 一种用于在线检测振动监测装置故障的装置和方法 | |
CN109283246B (zh) | 一种风力发电机叶片受损位置定位检测系统 | |
CN103850274A (zh) | 风力发电机组的基础的质量检测方法及装置 | |
JP2005083752A (ja) | 破断音センサ | |
KR101248232B1 (ko) | 병렬 부대설비의 이상 진단 방법 및 시스템 | |
KR101191364B1 (ko) | 비선형 평가 시스템 및 장치 | |
KR101847415B1 (ko) | 표면파센서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 |
KR101738301B1 (ko) | 표면파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진단시스템 | |
KR101159233B1 (ko) | 진동을 이용한 기계 안정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 |
JP5132741B2 (ja) | 状態判定装置及び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