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953B1 -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953B1
KR101927953B1 KR1020170090975A KR20170090975A KR101927953B1 KR 101927953 B1 KR101927953 B1 KR 101927953B1 KR 1020170090975 A KR1020170090975 A KR 1020170090975A KR 20170090975 A KR20170090975 A KR 20170090975A KR 101927953 B1 KR101927953 B1 KR 101927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coil
winding
protrusion
win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원모
김영태
이가현
김남일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70090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모듈은 바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의 상기 제1 돌출부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코어 부재,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상부 제1 돌출부에 권선되는 코일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 2면의 양 끝단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코일부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패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ANTENNA MODULE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자기장을 집중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파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말하며, 안테나는 크게 유전 특성을 이용한 유전체 안테나와 자성 특성을 이용한 자성체 안테나로 분류할 수 있다.
안테나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무선 전력 전송(WP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ity Transmission) 기능을 갖는 안테나가 각종 휴대용 단말기기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테나들은 평면에 형성되는 루프 형상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며, 최근에는 단면에 자성체 시트를 적용하여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 안테나 모듈을 형성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내부나 커버에 실장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루프 형태의 안테나들은 방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루프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안테나의 면적도 커지게 된다. 안테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사이즈가 커지는 것은 불가피한 실정이나, 모바일 기기에 안테나가 배치되는 공간은 제한적이어서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7025 호(2015.12.07)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자기장을 집중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자기장을 집중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바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의 상기 제1 돌출부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코어 부재,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 권선되는 코일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 2면의 양 끝단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코일부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패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두 영역 중 일측에 권선되는 제1 권선부, 상기 제1 권선부가 권선되는 반대 영역에 권선되는 제2 권선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 권선되는 제3 권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은 상기 제2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은 상기 제1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 및 상기 제2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평면도 상에서 상기 몸체부의 장변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권선부 및 상기 제2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평면도 상에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가 상기 제2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보다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제1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 및 상기 제2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수보다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제1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 및 상기 제2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수와 동일하거나 많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술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모듈 및 급전부 및 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모듈이 SMT(Surface Mount Technology) 방식으로 실장되어 상기 안테나 모듈에 급전 또는 접지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의 코어 부재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몸체부와 돌출부를 중심으로 코일을 권선하므로 몸체부와 돌출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교차한다. 따라서, 돌출부를 중심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여 자기장이 집중되는 영역이나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모듈이 표면 실장 방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판에 실장되므로 안테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자기장 방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자기장 방향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코어 부재(100), 패드부(200) 및 코일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 부재(100)는 몸체부(110), 제1 돌출부(120) 및 제2 돌출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상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제1 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돌출부(125)는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의 상기 제1 돌출부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1 돌출부(120) 및 상기 제2 돌출부(125)는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125)는 상기 제1 돌출부(12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20) 및 상기 제2 돌출부(125)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는 두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돌출부(120) 및 상기 제2 돌출부(125)는 상기 몸체부(110)의 장변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20) 및 상기 제2 돌출부(125)의 각각의 장변들의 길이는 상기 몸체부(110)의 단변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1 돌출부(120) 및 상기 제2 돌출부(125)의 각각의 장변들의 길이는 상기 몸체부(110)의 단변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코어 부재(100)는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유전율과 투자율을 갖는 페라이트 물질 또는 높은 유전율과 투자율을 갖는 세라믹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100)는 일정 수준의 유전율 및 투자율을 갖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10), 상기 제1 돌출부(120) 및 상기 제2 돌출부(125)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300)는 상기 몸체부(100) 및 상기 제1 돌출부(120)에 권선되어, 코어 부재(100)에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300)는 구리(Cu) 또는 은(Ag) 등을 포함하는 금속 배선의 외부에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절연 피복이 형성된 피복 배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300)는 단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일부(300)는 연선이나 2개 이상의 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코일부(300)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두 영역 중 일측에 권선되는 제1 권선부, 상기 제1 권선부가 권선되는 반대 영역에 권선되는 제2 권선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 권선되는 제3 권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은 상기 제2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과 동일하다, 즉, 상기 제1 권선부 및 상기 제2 권선부는 상기 몸체부(110)에 감기는 코일이므로,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은 상기 몸체부(110)로서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3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은 상기 제1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 및 상기 제2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권선부 및 상기 제2 권선부는 상기 몸체부(110)에 감기는 코일이며, 상기 제3 권선부는 상기 제1 돌출부(120)에 감기는 코일이므로,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은 각각 상기 몸체부(110) 및 상기 제1 돌출부(120)로서 서로 교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은 상기 제1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 및 상기 제2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과 90도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권선부에 감기는 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제2 권선부에 감기는 코일의 권선수와 동일하고, 상기 제3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제1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 및 상기 제2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수보다 적게 형성된다.
상기 코일부(300)의 양 끝단은 상기 패드부(200)에 연결된다. 상기 패드부(200)는 상기 몸체부(110)의 제2 면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패드부(210) 및 타단에 배치되는 제2 패드부(220)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돌출부(125)의 하단에도 패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200)는 기판 상에 접촉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부(210) 및 상기 제2 패드부(220)는 기판에 표면 실장(Surface Mount Device, SMT)이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및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ity Transmission) 기능을 갖는 안테나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자기장 방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자기장 방향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자기장 방향은 제1 돌출부(120)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코일은 상기 몸체부(110) 및 상기 제1 돌출부(120)에 감긴다. 코일은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즉 제1 권선부로부터 감기기 시작하여, 상기 제1 돌출부(120) 즉, 제3 권선부에 감기고 이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타측인 제2 권선부에 감긴다. 상기 제1 권선부, 상기 제2 권선부 및 상기 제3 권선부에 감겨지는 코일은 하나의 코일로서 모두 연결된다.
상기 제3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은 상기 제1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 및 상기 제2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과 교차한다. 따라서, 상기 코어 부재(100)에는 상기 제1 돌출부(120)를 중심으로 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 부재(100)에 형성되는 자기장은 도 2 및 도 3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돌출부(120)를 중심으로 형성된 자기장이 상기 코어 부재(100)의 외부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돌출부(110)는 제1 높이(H1)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10)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몸체부(110)의 제1 권선부 또는 상기 제2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출부(1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코어 부재(100)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자기장 방향은 제1 돌출부(1120)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코일은 몸체부(1110) 및 상기 제1 돌출부(1120)에 감긴다. 코일은 상기 몸체부(1100)의 일측, 즉 제1 권선부로부터 감기기 시작하여, 상기 제1 돌출부(1120) 즉, 제3 권선부에 감기고 이어서 상기 몸체부(1110)의 타측인 제2 권선부에 감긴다. 상기 제1 권선부, 상기 제2 권선부 및 상기 제3 권선부에 감겨지는 코일은 하나의 코일로서 모두 연결된다.
상기 제3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은 상기 제1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 및 상기 제2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과 교차한다. 따라서, 상기 코어 부재(1100)에는 상기 제1 돌출부(120)를 중심으로 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 부재(1100)에 형성되는 자기장은 상기 제1 돌출부(1120)를 중심으로 형성된 자기장이 상기 코어 부재(1100)의 외부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돌출부(1110)는 도 3에 도시된 제1 높이(H1)보다 높은 제2 높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2110)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몸체부(2110)의 제1 권선부 또는 상기 제2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출부(1120)의 높이가 높아지므로 상기 코어 부재(1100)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강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자기장 방향은 제1 돌출부(2120) 및 제2 돌출부(2125)는 몸체부(2110)의 중앙에서 몸체부(2110)의 일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2110)의 중앙보다 좌측에 상기 제1 돌출부(2120) 및 상기 제2 돌출부(2125)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돌출부(2120) 및 상기 제2 돌출부(2125)를 기준으로 좌측을 제1 권선부라고 하면, 상기 제1 권선부에 감겨지는 코일의 권선수가 상기 제1 돌출부(2120) 및 상기 제2 돌출부(2125)를 기준으로 우측의 제2 권선부에 감겨지는 코일의 권선수보다 적게 형성된다. 즉, 도면상에서 제1 권선부는 제1 폭(W1)을 갖고, 제2 권선부는 상기 제1 폭(W1)보다 넓은 제2 폭(W2)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권선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이 상기 제1 권선부에 형성되는 자기장보다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돌출부(2120) 및 상기 제2 돌출부(2125)가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좌우의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자기장 방향은 제1 돌출부(3120) 및 제2 돌출부(3125)는 몸체부(3110)의 중앙에서 몸체부(3110)의 일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3110)의 중앙보다 우측에 상기 제1 돌출부(3120) 및 상기 제2 돌출부(3125)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돌출부(3120) 및 상기 제2 돌출부(3125)를 기준으로 좌측을 제1 권선부라고 하면, 상기 제1 권선부에 감겨지는 코일의 권선수가 상기 제1 돌출부(3120) 및 상기 제2 돌출부(3125)를 기준으로 우측의 제2 권선부에 감겨지는 코일의 권선수보다 많게 형성된다. 즉, 도면상에서 제1 권선부는 제1 폭(W1)을 갖고, 제2 권선부는 상기 제1 폭(W1)보다 좁은 제2 폭(W2)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권선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이 상기 제2 권선부에 형성되는 자기장보다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돌출부(3120) 및 상기 제2 돌출부(3125)가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좌우의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몸체부(110)의 일면의 양 끝단에 배치되며 각각 코일부(300)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패드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부(200)는 상기 몸체부(110)의 제1 돌출부(120)가 배치되는 제 1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패드부(210) 및 타단에 배치되는 제2 패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부(200)는 기판 상에 접촉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부(210) 및 상기 제2 패드부(220)는 기판에 표면 실장(Surface Mount Device, SMT)이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의 코어 부재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몸체부와 돌출부를 중심으로 코일을 권선하므로 몸체부와 돌출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교차한다. 따라서, 돌출부를 중심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여 자기장이 집중되는 영역이나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모듈이 표면 실장 방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판에 실장되므로 안테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코어 부재 110: 몸체부
120: 제1 돌출부 125: 제2 돌출부
200: 패드부 210: 제1 패드
220: 제2 패드 300: 코일부

Claims (8)

  1. 바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의 상기 제1 돌출부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코어 부재;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 권선되는 코일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2 면의 양 끝단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코일부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두 영역 중 일측에 권선되는 제1 권선부;
    상기 제1 권선부가 권선되는 반대 영역에 권선되는 제2 권선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 권선되는 제3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좌우의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는 안테나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은 상기 제2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과 동일하며,
    상기 제3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은 상기 제1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 및 상기 제2 권선부의 코일이 감기는 중심축의 방향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평면도 상에서 상기 몸체부의 장변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권선부 및 상기 제2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평면도 상에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가 상기 제2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제1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 및 상기 제2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제1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 및 상기 제2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수와 동일하거나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테나 모듈; 및
    급전부 및 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모듈이 SMT(Surface Mount Technology) 방식으로 실장되어 상기 안테나 모듈에 급전 또는 접지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70090975A 2017-07-18 2017-07-18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927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975A KR101927953B1 (ko) 2017-07-18 2017-07-18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975A KR101927953B1 (ko) 2017-07-18 2017-07-18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953B1 true KR101927953B1 (ko) 2019-02-26

Family

ID=6556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975A KR101927953B1 (ko) 2017-07-18 2017-07-18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9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820A (ko) * 2011-08-26 2013-03-07 주식회사 바켄 페라이트 안테나 장치
KR20150120834A (ko) * 2014-04-18 2015-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이를 갖는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KR20170067025A (ko) 2015-12-07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820A (ko) * 2011-08-26 2013-03-07 주식회사 바켄 페라이트 안테나 장치
KR20150120834A (ko) * 2014-04-18 2015-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이를 갖는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KR20170067025A (ko) 2015-12-07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3871B1 (en) Antenna apparatus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JP6090412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US20120038443A1 (en) Communication terminal
JP5804171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端末機器
KR101599522B1 (ko) Nfc 칩 안테나 모듈 패키지
US10164336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90386389A1 (en) Antenna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60372818A1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580401B1 (ko) 안테나 장치, 이를 갖는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EP2933878B1 (en) Antenna device
WO2021049516A1 (ja) 電子機器
KR101927953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5260382A (ja) ダイポールアンテナ
US9905924B2 (en) Antenna device
CN113764875A (zh) 电子设备
JP5958473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端末
JP5077477B2 (ja) アンテナおよび携帯電話端末
JP2005167829A (ja) アンテナ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外付けアンテナ装置
JP3104150U (ja) マルチバンドモノポールアンテナ
JP2021118528A (ja) 電子機器及びアンテナ装置
CN208674354U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JP2000138514A (ja) 内蔵アンテナ装置
KR20180002414A (ko) 안테나 장치
SK500042013A3 (sk) Žiarič nestacionárneho magnetického poľa a jeho umiestnenie
SK288649B6 (sk) Žiarič nestacionárneho magnetického poľ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