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504B1 - System for providing purchase decision of footwear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purchase decision of footw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504B1
KR101927504B1 KR1020170108878A KR20170108878A KR101927504B1 KR 101927504 B1 KR101927504 B1 KR 101927504B1 KR 1020170108878 A KR1020170108878 A KR 1020170108878A KR 20170108878 A KR20170108878 A KR 20170108878A KR 101927504 B1 KR101927504 B1 KR 101927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aring
goods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8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3877A (en
Inventor
김용세
문주시
윤순천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2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7/3024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은 신발 매장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착용 상태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품 착용 이미지 및 상품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 서버; 및 상품 착용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고, 상품 착용 이미지에 매칭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되,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품 착용 이미지와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cameras arranged in a shoe store and photographing a wearing state of a user selected item; A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goods-wear images photographed by a camera,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goods-wear im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oods and storing them in a database; And at least one store client terminal displaying the goods wearing image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matching the goods wearing image and transmitting the goods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s the product wearing image and the product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PURCHASE DECISION OF FOOTWEAR}[0001] SYSTEM FOR PROVIDING PURCHASE DECISION OF FOOTWEAR [0002]

본 발명은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일반적인 신발 판매 매장에서 신발을 구매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신발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거울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거울 만으로는 신발의 착용상태를 다각도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If you look at the process of purchasing shoes at a general shoe store, you will use a mirror to check the wearing condition of the shoe.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wearing state of the shoe from various angles with only the mirror.

또한, 신발 쇼핑 시에 소비자는 상당한 시간에 걸쳐 다양한 종류의 상품과 상이한 상점에 방문하여 다수의 상품을 착용한다. 이후, 상품 구매 시 착용했던 상품들의 장점 및 단점에 대하여 기억에 의존하여 결정하기 때문에 생각과는 달리 만족스럽지 못하고 비효율적인 쇼핑을 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t the time of shoe shopping, consumers spe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visiting a different store and wearing a large number of merchandise. Sinc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products worn when purchasing the product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memor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atisfactory and inefficient shopping can be achieved unlike the idea.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 한국공개특허 제 10-2016-0064379호(발명의 명칭: 의류 매장에서의 의류 구매 방법)는 의류 매장에서의 의류 구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여러 의류 매장에서 착용했던 옷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의류 매장에서의 의류 구매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64379 (entitled " Apparel Purchasing Method in Apparel Stores ") relates to a method of purchasing clothes in a clothing store, And a method for purchasing clothes in a clothing store where the user can conveniently purchase the cloth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발의 구매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발 구매 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support a user's shoe purchase decision during a shoe purchase process.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은 신발 매장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착용 상태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품 착용 이미지 및 상품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 서버; 및 상품 착용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고, 상품 착용 이미지에 매칭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되,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품 착용 이미지와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cameras arranged in a shoe store for photographing a user's selected wearing condition; A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goods-wear images photographed by a camera,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goods-wear im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oods and storing them in a database; And at least one store client terminal displaying the goods wearing image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matching the goods wearing image and transmitting the goods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s the product wearing image and the product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방법은 신발 매장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착용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를 관리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품 착용 이미지 및 상품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된 상품 착용 이미지에 매칭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품 착용 이미지와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upporting shoe purchase decision, comprising: receiving, from a plurality of cameras arranged in a shoe store, an image of a wear state of a product selected by a user; Receiving a plurality of merchandise wear images photographed by a camera,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merchandise wear image and the merchandi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And storing the merchandise wear evalu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the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by matching with the merchandise wear image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the store client terminal and storing the merchandise wear evalu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s the wear image and the wear appraisal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사용자들이 각자 구매 대상 물품을 착용한 경험을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활용하여 상품 구매 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llow users to manage the experience of wearing the article to be purchased through the on-line system in the offline store through the online purchas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ort the decision.

또한, 관리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려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사용자의 수요에 따른 매장관리 등으로 상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can obtain the marketing effect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who intends to purchase the product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perform the product more effectively Can be mana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각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품 착용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매장에 설치된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사진 촬영 결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상품 착용 평가 정보가 입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신발 구매 결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를 통한 신발 구매 결정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of a product worn by a camera disposed at each position in FIG. 2.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installed in a shoe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result and a user interface screen in the system according to FIG. 4;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screen to which goods appraisal information is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shoe purchase decision method using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method through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as other elemen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닛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part " mean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or software,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and one unit may be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hardware, The abov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각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품 착용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of a product worn by a camera disposed at each position.

본 발명은 신발 구매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신발의 착용 상태를 다양한 각도에서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각도에서의 신발 착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신발의 구매 결정을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매를 선택하고자 하는 복수의 신발들의 착용 이미지를 각각 비교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신발의 구매 결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upporting shoe purchase decision, in which a wear state of a user's shoe is photographed in real time from various angles, and the image is displayed so that a user can check the shoe wearing state at various angles, Of purchase decision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face by which a wearer can compare wear images of a plurality of shoes to be selected for purchas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purchase decisions of the user's shoe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10), 관리 서버(30), 및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 및 사용자 단말(20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10, a management server 30, and a store client terminal 20 and a user terminal 20a.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은 신발 매장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착용 상태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10),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품 착용 이미지 및 상품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 서버(30) 및 상품 착용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고, 상품 착용 이미지에 매칭되어 입력된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관리 서버(30)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품 착용 이미지와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a)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s (10) arranged in a shoe store and photographing a wear condition of a selected product by a user, a plurality of goods wear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 A management server 30 that stores matching image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goods and stores them in a database and a goods wearing image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displays goods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goods wearing image to a management server 30, The client terminal 2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30 can transmit the goods wearing image and the goods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a at the request of the user.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카메라(10a-10d)는 신발 매장의 신발 착용 장소의 정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되, 각 카메라(10a-10d)는 서로 상이한 고유 식별 정보를 보유하며, 관리 서버(30)가 각 카메라(10a-10d)에서 전송된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리 서버(30)는 촬영된 각 상품 착용 이미지 데이터에 각 카메라(10a-10d)의 식별 정보 및 촬영 시각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30)는 각 카메라(10a-10d)의 식별 정보 및 이미지 촬영 시각에 대한 정보를 통해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신발 착용 장소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발 착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거울의 전방 공간으로 복수의 카메라(10a-10d)로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한다. 2, the plurality of cameras 10a-10d are arranged at least at one or more of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shoe-wearing place of the shoe store, and each of the cameras 10a-10d has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llows the management server 30 to distinguish images transmitted from the respective cameras 10a-10d.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amera 10a-10d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ing time on the product image data of each product. 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30 can manage a plurality of commodity wearing images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ameras 10a-10d and information on the image taking time. Here, the shoe wearing place refers to a space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0a to 10d as a front space of a mirror through which a user can check his or her shoe wearing state.

일 예로, 신발 착용 장소의 정면, 좌우 측면 및 후면에 각 카메라(10a-10c)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신발을 클로즈업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매장의 바닥면에 가깝게 카메라(10d)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카메라(10a-10d)는 줌인과 줌아웃이 가능한 광각 렌즈를 포함하는 전신촬영 카메라일 수 있으며, 신발과 착용 의류의 어울림 정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한다.For example, each camera 10a-10c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left, right, and rear sides of the shoe wearing area. As another example, the camera 10d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floor of the store so that the user's shoe can be photographed close-up. At this time, each of the cameras 10a-10d may be a telegraphic camera including a wide-angle lens capable of zooming in and zooming out,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egree of matching of shoes and wearing clothing at a glance.

또한, 후술하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에 의해 촬영 명령을 수신할 경우, 신발 착용 장소를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된 각 카메라(10a-10d)는 상품 착용 이미지를 동시에 촬영하거나 개별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a photographing command by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described later, the cameras 10a-10d disposed at the positions surrounding the shoe wearing place can simultaneously photograph the commodity-wearing images or individually photograph them.

예시적으로, 상품 착용 이미지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면에서 촬영한 장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촬영한 장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후면에서 촬영한 장면 및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다리를 클로즈업하여 촬영한 장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발 착용시 단 한번의 촬영으로 인해, 다각도에서 촬영한 상품 착용 이미지를 보유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commodity wearing image is a scene taken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as shown in Fig. 3 (a), a scene photographed on the side as shown in Fig. 3 (b) A scene taken by the user on the back side as shown in FIG. 3 (d), and scenes shot by close-ups of a user wearing the shoe as shown in FIG. 3 (d). Therefore, the user can hold the image of the wearer taken at multiple angles due to the single shot at the time of wearing the shoes.

한편,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은 신발 매장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단말이나 PC 형태의 컴퓨터 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a)은 개별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may be a display terminal or a PC type computer disposed in a shoe stor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a may be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carried by an individual user.

예시적으로,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은 각 카메라(10a-10d)의 줌(Zoom) 상태를 조절하는 리모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신발 착용 이미지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을 통하여 사용자의 전면, 측면,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신발 착용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10a-10d)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카메라의 줌인 및 줌아웃을 조절한 후 촬영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상품 착용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may perform a remote control function to adjust the zoom state of each camera 10a-10d. For example, when a user wants to shoot a shoe wearing image, the user can select a camera 10a-10d for shooting at least one of the front, side, and back of the user through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have. Then, by adjusting the zooming-in and zooming-out of the selected camera and then transmitting a photographing command,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article-wearing image.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을 통해 사용자는 각각의 상품 착용 경험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에는 사용자의 경험 평가 정보 수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품의 착용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 평가 요소를 제시하거나, 사용자가 상품의 착용 경험을 텍스트에 기반하여 리뷰 형태로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직접 경험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것외에, 매장의 관리자에 의하여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을 통해 대리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매장에 방문하여 착용하였던 제품과 그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 평가 정보를 관리자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the user can input evaluation information on each product wearing experience.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collecting experience evaluation information of a user is executed in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which presents one or more detailed evaluation elements for evaluating the wearing experience of a product worn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reen for freely inputting a wear experience of a product in a review form based on a text.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inputting the experience evaluation information directly by the user,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surplus through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by the manager of the store. For example, the administrator can input the user's experience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hat the user visited at the store and wore.

관리 서버(30)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로부터 사용자의 식별 정보, 각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된 상품의 식별 정보, 각 상품의 식별 정보에 매칭된 상품 착용 이미지 및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a)에서 전송된 정보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품 착용 이미지 및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a)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착용 평가 정보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 또는 사용자 단말(20a)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상품 착용 경험에 대한 평가 정보를 의미하며,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oods matched with the respect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goods wearing image match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product, and the product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a,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product wearing image and the product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the user terminal 20a. Herein, the commodity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refers to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user's wearing experience of the commodity inputted through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or the user terminal 20a,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여기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상품의 식별 정보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 또는 사용자 단말(20a)에 실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oods can be input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executed in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or the user terminal 20a.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신발 구매 결정을 위하여 신발 매장에서 상품 착용 상태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 관리 서버(3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각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의 로그인 절차 이후 각 카메라(10a-10d)에 대하여 리모콘 및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을 통해 촬영 명령을 전송하고, 관리 서버(30)는 촬영된 상품 착용 이미지를 각 사용자의 식별 정보인 사용자 ID에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품 착용 이미지는 각 카메라(10a-10d)의 식별 정보와 촬영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관리 서버(30)는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서 상품 착용 이미지를 분류하여 보유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30)는 사용자의 정면에 배치된 카메라(10a)에서 전송된 이미지와 측면에 배치된 카메라(10c)에서 전송된 이미지와 후면에 배치된 카메라(10b)에서 전송된 이미지를 서로 구별할 수 있다.Illustratively, when the user wishes to shoot a product wearing state at a shoe store for a shoe purchase decision, the management server 30 induces each user to perform a login procedure through the user interfa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 After the login procedure of the user, a shooting command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cameras 10a-10d via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The management server 30 stores the captured image of the article to be consumed as a user ID And stored in the databa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oods wearing image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ameras 10a-10d and the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ing time, the management server 30 can classify and store the goods wearing image based on this information . 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30 transmit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10a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10c disposed on the side and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10b disposed on the rear side to each other Can be distinguished.

또한, 관리 서버(30)는 신발 매장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상품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 서버(30)는 사용자가 상품을 착용중인 매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촬영된 각 상품 착용 이미지와 매장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매장 식별 정보가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상품의 식별 정보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 상품의 바코드에 의해 인식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품 코드가 입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30 can match and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produc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hoe store.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merchandise, and match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 with the image of each product.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odity may be recognized by the barcode of each commodity through the user interface provided to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or the commodity code may be inputted by the user.

즉, 관리 서버(30)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상품의 식별 정보를 촬영된 각 상품 착용 이미지와 매칭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품 착용 이미지는 상품의 식별 정보와 신발 매장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므로, 관리 서버(30)는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서 상품 착용 이미지를 분류하여 보유할 수 있다.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30 matches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with each product image to be photograph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rchandise wearing image is stored by matching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erchandis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hoe store, the management server 30 can classify and store the merchandise wearing image based on such information.

또한, 관리 서버(30)는 상술한 정보 기반으로 분류된 상품 착용 이미지를 사용자의 식별 정보인 사용자 식별 ID를 기준으로 서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30 separately manages the image of the article wearing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base on the basis of the user identification ID, which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관리 서버(30)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상품 착용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된 카메라의 식별 정보 및 촬영 시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가 하나의 화면에 구성되도록 매칭할 수 있다.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mera and the information on the photographing time, the management server 30 displays a plurality of article-worn images on one screen on the basis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mera and the information on the photographing time through the user interface executed in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As shown in FIG.

즉, 관리 서버(30)는 디스플레이 단말이나 사용자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에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면, 측면 또는 후면에서 촬영한 상품 착용 이미지를 하나의 화면에 함께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절한 위치에 이미지를 매핑하는 과정에서 각 상품 착용 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의 식별정보와 촬영 시각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30 arranges and displays goods-worn images photographed in front, side, or rear side through a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on a single screen to a store client terminal 20 including a display terminal or a user computer can do.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mapping an image to a proper position of the user interfa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mera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ing time can be utiliz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매장에 설치된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사진 촬영 결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상품 착용 평가 정보가 입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installed in a shoe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result and a user interface screen in the system according to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screen to which goods appraisal information is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은 신발 착용 장소 주변인 거울의 중간, 하단 및 전방에 복수의 카메라(10a, 10c, 10d)가 배치되고, 신발 착용 장소에 인접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신발에 대한 다양한 코디 정보를 출력하는 패드(21)를 더 배치할 수도 있다. 4,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s 10a, 10c, and 10d disposed at the middle, lower, and front of a mirror around a shoe wearing area And the client terminal 20 can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hoe wearing place. Further, a pad 21 for outputting various coordination information for shoes may be further disposed.

일 예로, 신발 매장에 배치된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매장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앞모습 전신 촬영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나타낼 수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의 하단부 전면을 클로즈업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뒷모습 전신 촬영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상품(신발)을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한 상품 착용 이미지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 상품 착용 이미지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선호하는 신발을 선택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arranged in the shoe store can display the front view whole-body shot image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the plurality of cameras 10 arranged in the store as shown in Fig. 5 (a) As shown in FIG. 5 (b), the image of the lower end of the leg can be shown close-up, and the image of the user's back view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5 (c).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5D, a product wearing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different products (shoes) at the same position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whereby the user can view each product wearing image at a glance You can compare and choose your favorite shoes effectively.

즉, 사용자는 신발 매장에 배치된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을 통하여, 자신의 사용자 ID로 접속한 후 자신이 착용하였던 상품 착용 이미지를 재생하여 신발 구매 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상술한 촬영된 상품 착용 이미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마이 앨범 등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마이 앨범은 서로 다른 매장 또는 서로 다른 시점에 촬영한 다양한 상품 착용 이미지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도구로서,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착용하였던 신발에 대한 각종 이미지를 관리하고, 다시 재생하여 신발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access the shop client terminal 20 disposed in the shoe store by using his / her user ID, and reproduce the article-wearing image he / she wore to help the shoe purchase decision. As a further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captured image of the article to be worn can be managed through a user interface such as a My Album. The My Album is a software tool that stores images of various merchandise taken at different stores or at different points of view. This allows users to manage various images of the shoes they wore, You can give.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a) 또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을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상품 착용 이미지에 대하여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착용 평가 정보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품의 착용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 평가 요소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거나, 사용자가 착용한 상품의 착용 경험을 텍스트에 기반한 리뷰 형태의 정성적 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user can input the commodity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his / her commodity wearing im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a or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At this time, the product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one or more detailed item evaluation elements for evaluating the wearing experience of the product worn by the user, or a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wearing experience of the product worn by the user Evaluation may be included.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a) 또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을 통하여 자신의 사용자 ID로 접속한 후 자신이 신어봤던 상품 착용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상품 착용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평가 의견 또는 선호도 정보를 정성적인 리뷰 형태나 정량적인 점수 형태로 남길 수 있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신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별점의 형태로 입력하거나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Illustratively, the user can select one or more of the article-wearing images he / she has worn after accessing his / her user I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a or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and reproduce the selected article. Here, the user can leave his / her evaluation opinion or preference information in a qualitative review form or a quantitative score form with respect to the commodity wearing image. That is, as shown in FIG. 6 (a), the user preference for each shoe may be input in the form of a star or may be entered in text form as shown in FIG. 6 (b).

이와 같은 사용자의 경험 평가 의견인 상품 착용 평가 정보는 관리 서버(30)를 통해 상품 착용 이미지와 매칭되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품 착용 이미지와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a)로 전송할 수 있다. The wear appraisal information, which is the experience evaluation opinion of the user, can be managed integrally by matching with the wear image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30.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transmit the goods wear image and the goods wear assessm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a at the request of the user.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의 상품 착용 평가 정보는 마이슈즈 플랜 기능을 통해 제품 추천, 신상품 알림과 같은 마케팅 형태로 연계될 수 있다.In a further embodiment, the user's apparel appraisal information may be associated with a marketing form such as a product recommendation or a new product announcement through a MyShush Plan functionality.

특히, 각각의 상품 착용 이미지는 상품의 식별 정보와 함께 매칭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각 상품의 식별 정보 별로 사용자들의 상품 착용 이미지와 사용자들의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다.Particularly, each product image to be worn can be managed by being match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the product wear image of the users and the product wear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can be collectively manag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product.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착용하였던 각 상품들의 평가 의견이 기재된 상품 착용 이미지를 비교하여 볼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구매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의 착용 소감이나 선호도를 참고하여 자신의 신발 구매 결정시에 참고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user can compare the image of the product wearing the evaluation opinion of each product worn by the user, the user can determine the product to be purchased efficiently. In addition, the user can refer to the wearer's feelings and preferences of the wearer when making their shoes purchase decisions.

또한, 각 신발에 대한 사용자들의 착용 소감이나 선호도, 사용자들의 구매 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개별 마케팅 관리자들이 마케팅 정보로서 활용하여, 개별 사용자 별로 제품 추천 알림을 송부하거나, 신상품 알림 메시지를 송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들의 각종 경험 평가 정보로부터 개별 사용자들의 각 제품에 대한 선호도나 신발의 취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상품에 대한 맞춤형 마케팅을 추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tegrally managing users' wearing impressions or preferences of users on each shoe, purchase information of users, etc., individual marketing managers utilize the information as marketing information to send product recommendation notifications for individual users or send new product notification messages . From the various experience evaluation information of user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eference of each user for each product or the information about the taste of the shoe, and to promote customized marketing for a new produc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사용자들이 각자 구매 대상 물품을 착용한 경험을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활용하여 상품 구매 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s to manage the experience of wearing the article to be purchased through the online system in the offline store, and can support the purchase decision using the online system.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8을 참조하여 신발 구매 결정 시스템을 통한 신발 구매 결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도 1 내지 도6에 도시된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hoe purchasing decision method using the shoe purchase decision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through FIG. 6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신발 구매 결정 방법의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 shoe purchase decision method using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신발 구매 결정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하면 사용자의 사진 촬영 단계(S110), 경험 평가 정보 입력 단계(S120), 관리 서버를 통해 정보 검색 단계(S130) 및 최종 상품 결정 단계(S14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shoe purchasing decision method of a user using the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in steps. The shoe purchase step S110 of the user, the experience evaluation information input step S120, A retrieval step S130 and a final product determination step S140.

예시적으로, S110단계에서 사용자는 매장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10)를 통하여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어서, S120단계에서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 또는 사용자 단말(20a)을 통하여 신발 착용 사진에 대한 경험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이한 상점에 방문하거나 다양한 신발을 착용할 경우, S110 및 S120 단계는 반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 또는 사용자 단말(20a)을 통하여 자신이 착용하였던 상품의 평가 의견 및 착용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관리 서버(30)를 통해 검색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각 상품들의 평가 의견 및 상품 착용 이미지를 비교한 후 최종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Illustratively, in step S110, the user can take a picture of the user wearing the shoe through the plurality of cameras 10 disposed in the store. Then, in step S120, experience evaluation information on a shoe wearing photograph can be inputted through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or the user terminal 20a. At this time, if the user visits a different shop or wears various shoes, steps S110 and S120 may be repeated. Next, the user can reproduce the evaluation comment and the wear image of the product worn by the user through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or the user terminal 20a, and such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30. Then, the user can determine the final product after comparing the evaluation opinion and the product wearing image of each produc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를 통한 신발 구매 결정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method through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신발 구매 결정 지원 방법은 신발 매장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10a-10d)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착용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를 관리 서버(30)가 수신하는 단계(S210),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품 착용 이미지 및 상품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220) 및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된 상품 착용 이미지에 매칭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3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되, 관리 서버(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품 착용 이미지와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a)로 전송한다.The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method includes a step S210 in which the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an image of a wear state of a product selected by a user from a plurality of cameras 10a-10d disposed in a shoe store, (S220) of storing a plurality of merchandise wearing images photographed by the shop client terminal (20) and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merchandise wearing image and the merchandi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30) (S230) of receiving the commodity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matching the commodity wearing image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storing the received commodity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30). The management server (30) And transmits the goods wearing image and the goods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a according to the request.

복수의 카메라(10)는 신발 매장의 신발 착용 장소의 정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되, 각 카메라(10a-10d)는 서로 상이한 고유 식별 정보를 보유한다.The plurality of cameras 10 are disposed at least at one or more of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shoe wearing area of the shoe store, and each of the cameras 10a to 10d holds different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관리 서버(30)는 촬영된 각 상품 착용 이미지 데이터에 카메라(10)의 식별 정보 및 촬영 시각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또한 매장 클라이언트단말(2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상품 착용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된 카메라(10)의 식별 정보 및 촬영 시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가 하나의 화면에 구성되도록 매핑한다.The management server 3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mera 10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ing time in the image data of each article taken. Further, on the basis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mera 10 matched to each commodity-wearing image data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ing time,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in the store client terminal 20, a plurality of commodity- Mapping.

상품 착용 평가 정보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품의 착용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 평가 요소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거나, 사용자가 착용한 상품의 착용 경험을 텍스트에 기반한 리뷰 형태의 정성적 평가를 포함한다.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wear includes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one or more detailed item evaluation factors for evaluating the wearing experience of the product worn by the user or a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wearable experience of the product wearing the text based on the review form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also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system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 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10a, 10b, 10c, 10d: 카메라
20: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
20a: 사용자 단말
21: 패드
30: 관리 서버
10, 10a, 10b, 10c, and 10d:
20: store client terminal
20a: user terminal
21: Pad
30: Management server

Claims (11)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신발 매장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착용 상태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상품 착용 이미지 및 상기 상품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상품 착용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상품 착용 이미지에 매칭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상기 신발 매장의 신발 착용 장소의 정면, 후면 및 측면의 위치에 배치되되, 각 카메라는 서로 상이한 고유 식별 정보를 보유하는 것이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촬영된 각 상품 착용 이미지 데이터에 상기 각 카메라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촬영 시각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이며,
상기 각 상품 착용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된 각 카메라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촬영 시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가 하나의 화면에 구성되도록 매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착용 이미지와 상기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system,
A plurality of cameras arranged in a shoe store for photographing a wear condition of a selected item by a user;
A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goods-wear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for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goods-wear im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oods and storing them in a database; And
And one or more store client terminals displaying the goods wearing image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transmitting the goods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goods wearing image inputted by the user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plurality of cameras
Rear direction, and side position of a shoe wearing place of the shoe store, each camera hav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anagement server
And stor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amera and information on the photographing time in the captured image data of each product,
Wherein the plurality of goods-worn images are mapped on one screen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amera matched with the product-worn image data and information on the photographing time, and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transmits the product wearing image and the product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상품의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입력되는 것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oods
Wherein the store client terminal is input from the store client terminal through the user inte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각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각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된 상품의 식별 정보, 각 상품의 식별 정보에 매칭된 상품 착용 이미지 및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상품 착용 이미지 및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Receiving merchandise wearing images and merchandise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goods matched to eac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merchandise from each store client terminal,
And transmits the product wearing image and the product wearing eval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신발 매장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상품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goods is matched and sto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hoe st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착용 평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상품의 착용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 평가 요소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상품의 착용 경험을 텍스트에 기반한 리뷰 형태의 정성적 평가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odity wear evaluation information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one or more sub-item evaluation elements for evaluating the wear experience of the article worn by the user,
And a qualitative evaluation of a review type based on a text based on a wearing experience of the product worn by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각 카메라의 줌(Zoom) 상태를 조절하는 것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e client terminal
Wherein the zoom state of each camera is adjusted.
신발 구매 결정 지원 방법에 있어서,
관리 서버에 의해, 신발 매장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착용 상태를 촬영한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상품 착용 이미지 및 상기 상품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상품 착용 이미지를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장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 착용 이미지에 매칭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상기 신발 매장의 신발 착용 장소의 정면, 후면 및 측면의 위치에 배치되되, 각 카메라는 서로 상이한 고유 식별 정보를 보유하는 것이고,
상기 상품의 착용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촬영된 각 상품 착용 이미지 데이터에 상기 각 카메라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촬영 시각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각 상품 착용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된 각 카메라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촬영 시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품 착용 이미지가 하나의 화면에 구성되도록 매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착용 이미지와 상기 상품 착용 평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방법.
In a shoe purchase decision support method,
Receiving, by the management server, a plurality of merchandise-wearing images of a plurality of cameras arranged at a shoe store, the plurality of merchandise being selected by the management serve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image of the goods to be wor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oods by the management server in a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Displaying, by the management server, the product wearing image through a user interface of the store client terminal; And
Receiving merchandise wear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the merchandise wear image from the store client terminal and inputting by the user and storing the received merchandise wear evalu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The plurality of cameras
Rear direction, and side position of a shoe wearing place of the shoe store, each camera hav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the image of the wear condition of the goods
And storing, by the management server,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amera and the information on the photographing time in the photographed image data of each article to be worn,
Wherein the displaying through the user interface comprises:
The management server maps the plurality of commodity-worn images to be composed on one screen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amera matched with the commodity-worn image data and information on the photographing time, , ≪ / RTI >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goods wear image and the goods wear assessm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user.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착용 평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상품의 착용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 평가 요소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상품의 착용 경험을 텍스트에 기반한 리뷰 형태의 정성적 평가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 구매 결정 지원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mmodity wear evaluation information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one or more sub-item evaluation elements for evaluating the wear experience of the article worn by the user,
And a qualitative evaluation of a review type based on a text based on a wearing experience of the product worn by the user.
KR1020170108878A 2016-08-26 2017-08-28 System for providing purchase decision of footwear KR10192750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09053 2016-08-26
KR1020160109053 2016-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877A KR20180023877A (en) 2018-03-07
KR101927504B1 true KR101927504B1 (en) 2018-12-10

Family

ID=6168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878A KR101927504B1 (en) 2016-08-26 2017-08-28 System for providing purchase decision of footwe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5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862A (en) 2020-01-07 2021-07-15 최준호 Street inlet plung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599A (en) * 2012-08-02 2014-02-13 (주)유한프리젠 Fitting room sysyem and method for customized service
KR20150010831A (en) * 2013-07-18 2015-01-29 장소연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stscript on product purchase, server applied to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620938B1 (en) * 2013-11-06 2016-05-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 cloth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A cloth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ever communicating to the appartus, a server recommending a product related the cloth, a A cloth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150119979A (en) * 2014-04-15 2015-10-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Fitting based on User Preference
KR20160011260A (en) * 2014-07-21 2016-02-01 박진수 Method for supplying the fitting image in the off-line clothing st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877A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939B1 (en) Method, apparatus, service server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vendor focused electronic commerce service
CN108037823B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Intelligent mirro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23510283A (en) Systems/methods for identifying products within audiovisual content and allowing viewers/users of the audiovisual content to seamlessly purchase the identified products
JP2018530811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20938B1 (en) A cloth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A cloth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ever communicating to the appartus, a server recommending a product related the cloth, a A cloth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113929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navigable path between pages of a network platform based on linking database entries of the network platform
KR1017568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tention using photographing image
KR2021003822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inforation via influencers
KR101927504B1 (en) System for providing purchase decision of footwear
KR20200132897A (en) Stor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clothes to be tried on
JP67845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s
KR102234869B1 (en) System for recommending shoes corresponding image and method therefor
JP74202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044901B1 (en) System for generating image-based purchase information of fitting goods and terminal device for the same
KR102179916B1 (en) Coordin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
KR101325506B1 (en) Digi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ustomized product and using system there of
KR20190069353A (en) System for providing cloth fitting information of purchaser in connection with fitting room and system for intermediat using the same
KR100777350B1 (en) Mirror using camera and thereby marketing system and method
KR102462481B1 (en) Glasses wearing simulation system using kiosk
JP7420428B1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10110964A (en) System for providing purchase decision of glasses
KR20180064895A (en)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s
KR20180023876A (en) System for providing purchase decision of glasses
TW202131276A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wherein the display control device includes an acquisition unit and a display control unit
KR20200103257A (en) blockchain-based system for processing marketing information interlocked with biometric authentication by smart mirr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