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916B1 - Coordin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 - Google Patents

Coordin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916B1
KR102179916B1 KR1020180129721A KR20180129721A KR102179916B1 KR 102179916 B1 KR102179916 B1 KR 102179916B1 KR 1020180129721 A KR1020180129721 A KR 1020180129721A KR 20180129721 A KR20180129721 A KR 20180129721A KR 102179916 B1 KR102179916 B1 KR 10217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data
smart mirror
coordina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8062A (en
Inventor
이상호
이인배
Original Assignee
(주)임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임픽스 filed Critical (주)임픽스
Priority to KR1020180129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916B1/en
Publication of KR2020004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 매장에서 소비자를 촬영하는 스마트 거울을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 거울에서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여 코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거울에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사진에서 상기 소비자가 시착한 의류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의류를 의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착복 데이터를 생성하는 착복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착복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착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한 의류와 매칭되는 코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거울에 제공하는 코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스마트 거울을 통해 소비자가 시착한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의류와 매칭되는 코디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소유하고 있는 아이템과 해당 의류의 코디네이션을 쉽게 예상할 수 있어 의류 구입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해당 의류의 활용을 높여 교환이나 반품을 줄일 수 있으며, 코디 정보에 포함된 아이템의 추가 구입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착복 데이터를 이용해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는 패션 트렌드 분석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판매된 의류만을 기반으로 분석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패션 트렌드 분석 방법과는 달리, 소비자가 구매하지는 않았으나 시착해 본 의류에 대해서도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패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한 패션 트렌드를 이용해 트렌드에 맞는 코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and more specifically,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a smart mirror for photographing a consumer in a clothing store, using a photo taken from the smart mirror.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a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where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picture taken by the smart mirror through a network;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clothing worn by the consumer from the photo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A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clothing data by linking the clothing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with a clothing database; And a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generating coordin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extracted clothing by using the wearing data generated by the wearing data generating unit and providing it to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llecting data on clothes that a consumer tried on through a smart mirror, by generating and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corresponding clothes, It is possible to easily predict the coordination of items owned by consumers and the corresponding clothing, which can help in the decision to purchase clothing, reduce exchanges or returns by increasing the use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and purchase additional items included in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Can indu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including a fashion trend analysis unit that analyzes fashion trends using clothing data, the conventional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only the sold clothing. Contrary to the fashion trend analysis method, it is possible to analyze more accurate fashion trends by analyzing clothes that consumers have not purchased but tried on, and can provide coordinated information that fits the trend by using the analyzed fashion trends.

Description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COORDIN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s {COORDIN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

본 발명은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상 정보를 제공하거나, 특정 의상을 추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모든 의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사용자가 매일 착용하는 의상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 구분, 상의 및 하의 구분, 색상 정보 추출을 할 수 있다.
In general, in order to provide clothing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mputer or to recommend a specific clothing, it is necessary to store all clo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or to record clothing information that the user wears every day. In addition, by using image process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classify each user, classify top and bottom, and extract color information.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3-0049376호는 전신거울에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의상 착용 정보를 인식하고, 개인별로 소유하고 있는 의상정보 및 과거 의상 착용 정보를 이용하여 오늘의 추천 의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고객의 개인 정보를 폭넓게 활용해야하므로, 의류 매장 등에 설치된 전신거울에는 적용하기가 어렵고, 고객의 취향 또는 구매의중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prior art related to th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9376 attaches a camera and a display device to a full-length mirror to recognize the user's clothing wearing information, and uses clothing information owned by individual and past clothing information. It is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oday's recommended clothing. However, since such prior art needs to use th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widely,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full-length mirror installed in a clothing stor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taste or intention of the customer.

한편, 종래에는 소비자들이 백화점, 쇼핑몰 등에서 자기 신체사이즈에 맞는 사이즈 또는 어울리는 색상의 의류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의류를 직접 일일이 입어보고 확인하곤 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입어 본 의류가, 현재 입고 있는 옷이나 액세서리, 신발 등과 매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자신에게 어울리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힘든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해당 의류가 소비자가 갖고 있는 어떤 의류나 액세서리 등과 어울릴지에 대해 막연하게 생각해 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소비자는 의류 구입 결정을 선뜻 하지 못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마음에 들어서 구매한 의류가 소비자가 갖고 있는 다른 의류 등과 어울리지 않아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거나, 교환이나 반품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in order to purchase clothing of a size or color that matches their body size in department stores, shopping malls, etc., consumers have tried and checked a number of clothing individually.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clothes consumers have worn do not match the clothes, accessories, shoes, etc. currently worn. In addition, there is no choice but to vaguely think about what kind of clothing or accessories that the consumer has. Accordingly, the consumer is not able to make a decision to purchase clothing, and in some cases, the clothing purchased because he likes it does not match with other clothing that the consumer has, so he cannot use it, or it may cause an exchange or return.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마트 거울을 통해 소비자가 시착한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의류와 매칭되는 코디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소유하고 있는 아이템과 해당 의류의 코디네이션을 쉽게 예상할 수 있어 의류 구입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해당 의류의 활용을 높여 교환이나 반품을 줄일 수 있으며, 코디 정보에 포함된 아이템의 추가 구입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by collecting data on the clothes that the consumer tried on through a smart mirror, and generating and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corresponding clothes, It is possible to easily predict the coordination of items owned by consumers and the corresponding clothing, which can help in the decision to purchase clothing, reduce exchanges or returns by increasing the use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and purchase additional items included in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that can induce.

또한, 본 발명은, 착복 데이터를 이용해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는 패션 트렌드 분석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판매된 의류만을 기반으로 분석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패션 트렌드 분석 방법과는 달리, 소비자가 구매하지는 않았으나 시착해 본 의류에 대해서도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패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한 패션 트렌드를 이용해 트렌드에 맞는 코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ashion trend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fashion trend using clothing data, unlike the conventional fashion trend analysis method in which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only the sold clothing, the consumer did not purchase but tried on it. Another alternative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s that can analyze more accurate fashion trends by analyzing clothing, and provide coordinate information that fits the trend by using the analyzed fashion trends. The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은,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의류 매장에서 소비자를 촬영하는 스마트 거울을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As a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using a smart mirror that photographs consumers in a clothing store,

상기 스마트 거울에서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여 코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Including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a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using the picture taken by the smart mirror,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The service providing server,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거울에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는 수신부;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picture taken by the smart mirror through a network;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사진에서 상기 소비자가 시착한 의류를 추출하는 추출부;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clothing worn by the consumer from the photo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의류를 의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착복 데이터를 생성하는 착복 데이터 생성부; 및A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clothing data by linking the clothing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with a clothing database; And

상기 착복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착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한 의류와 매칭되는 코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거울에 제공하는 코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a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coordin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extracted clothing by using the wearing data generated by the wearing data generation unit and provides it to the smart mirr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복 데이터는,Preferably, the wearing data,

브랜드, 의류 코드, 시착 매장 및 시착 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It can include brands, clothing codes, try-on stores, and when to try-o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복 데이터는, 각각의 의류별로 생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wearing data may be generated for each cloth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복 데이터 생성부는,Preferably, the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의류를 상기 의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매칭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착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lothing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may be searched in the clothing database, and clothing data may be generated based on data about matching cloth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디 정보는,Preferably,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상기 추출한 의류에 대한 매칭 아이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matching items for the extracted cloth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Preferabl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상기 착복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착복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는 패션 트렌드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fashion trend analysis unit for analyzing a fashion trend by using the wearing data generated by the wearing data generation uni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션 트렌드 분석부는,More preferably,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상기 착복 데이터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 필터링된 착복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패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A fashion trend may be analyzed using only the wearing data filtered by a predetermined criterion among the wearing data.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Preferabl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복수의 사진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으로 구성하는 3차원 영상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3D image construction unit for synthesizing the plurality of photos received by the receiver to form a 3D image.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스마트 거울을 통해 소비자가 시착한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의류와 매칭되는 코디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소유하고 있는 아이템과 해당 의류의 코디네이션을 쉽게 예상할 수 있어 의류 구입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해당 의류의 활용을 높여 교환이나 반품을 줄일 수 있으며, 코디 정보에 포함된 아이템의 추가 구입을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llecting data on clothes that a consumer tried on through a smart mirror, by generating and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corresponding clothes, It is possible to easily predict the coordination of items owned by consumers and the corresponding clothing, which can help in the decision to purchase clothing, reduce exchanges or returns by increasing the use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and purchase additional items included in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Can induce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착복 데이터를 이용해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는 패션 트렌드 분석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판매된 의류만을 기반으로 분석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패션 트렌드 분석 방법과는 달리, 소비자가 구매하지는 않았으나 시착해 본 의류에 대해서도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패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한 패션 트렌드를 이용해 트렌드에 맞는 코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including a fashion trend analysis unit that analyzes fashion trends using clothing data, the conventional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only the sold clothing. Contrary to the fashion trend analysis method, it is possible to analyze more accurate fashion trends by analyzing clothes that consumers have not purchased but tried on, and can provide coordinated information that fits the trend by using the analyzed fashion trend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스마트 거울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추출부에서 의류를 추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착복 데이터 생성부에서 착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코디 정보 제공부에서, 코디 정보를 출력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SNS 공유부에서 SNS로 공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할인 정보 제공부에서 할인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e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mirror in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erver in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lothing is extracted from an extraction unit of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e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ear data generation unit of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e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wear data.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ordinate information is output by a coordina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of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e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SNS sharing unit of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res it to an SNS.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iscount information is provided by a discou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of a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directly connected', but also'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의류 매장에서 소비자를 촬영하는 스마트 거울(200)을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스마트 거울(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a smart mirror 200 for photographing a consumer in a clothing store. As a system, it may include a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nd a smart mirror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user device 300.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by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스마트 거울(200)에서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여 코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소비자가 의류 매장에서 의류를 시착한 후, 스마트 거울(200)로 신체를 촬영하면, 스마트 거울(200)에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시착한 의류와 어울리는 코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스마트 거울(200)에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제공하는 패션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를 이용해 패션 트렌드에 따른 코디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서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거울(200)로부터 사진을 수신하여 사진을 분석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may provide a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using a picture taken by the smart mirror 200. That is,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receives and analyzes the photos taken by the smart mirror 200 when a consumer tries on clothes in a clothing store and then photographs a body with the smart mirror 200, and then tries on them using this. Coordination information that matches one clothing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can provide a fashion trend analysis service that analyzes fashion trends by receiving and analyzing photos taken by the smart mirror 200 and providing the analysis results to the user device 300, Coord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fashion trends can also be provided using the analysis results.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is not limited to a server, and if it can receive a photo from the smart mirror 200 and analyze the photo, i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type and may serve as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

스마트 거울(200)은, 의류 매장에서 의류를 시착한 소비자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스마트 거울(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매장에서 소비자가 의류를 시착한 다음, 스마트 거울(200)을 이용해 다양한 각도에서 의류 시착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스마트 거울(200)은, 소정의 위치에 서 있는 소비자를 촬영한 소비자 사진을 출력하는 카메라부, 카메라부로부터 소비자 사진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소정의 위치에 서 있는 소비자를 비추어 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마트거울부, 및 스마트거울부의 일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소비자로부터 소비자에 대한 고객정보를 제공받아 인증여부를 체크하고, 카메라부로부터 소비자 사진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수 장의 소비자의 사진 중 소비자가 선택한 사진을 스마트거울부에 제공하는 터치인증스크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거울(20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소비자가 의류를 시착한 모습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면, 전술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스마트 거울(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smart mirror 200 may be a device capable of photographing a consumer who tries on clothes in a clothing sto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mirror 200 in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by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fter a consumer tries on clothes in a clothing store, the smart mirror 200 may be used to photograph the clothes try-on from various angles. The smart mirror 200 is a camera unit that outputs a consumer picture taken of a consumer stand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mart mirror that receives and displays a consumer picture from the camera unit, or is formed to view the consumer stand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arranged side by side on one side of the mirror part and the smart mirror part, receives customer information about the consumer from the consumer, checks whether it is authenticated, receives and displays a consumer photo from the camera part, or displays a photo selected by the consumer among a plurality of consumer photos It may include a touch authentication screen unit that provides the smart mirror unit. However, the smart mirror 200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while checking the state of the consumer trying on clothing through the display. Meanwhile, the smart mirror 2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소비자 또는 스마트 거울(200)의 관리자가 소지하는 디바이스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코디 정보 제공 서비스가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및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전술한 디바이스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user device 300 may be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The user device 300 is a device possessed by a consumer or an administrator of the smart mirror 200, and may be a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in which a service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is implemented through a network. Meanwhile, the user device 300 may include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a wearable device. However, the user device 300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the device described above, and if i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it can serve as the user device 300 regardless of the specific type. have.

한편,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is a wired network or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It may include all types of wireless networks such as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s,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수신부(110), 추출부(120),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 및 코디 정보 제공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 3차원 영상 구성부(160), SNS 공유부(170) 및 할인 정보 제공부(18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3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in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by a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of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110, the extraction unit 120 ,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130 and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be included, and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3D image composition unit 160, SNS sharing unit 170 and discount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roviding unit 180.

수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거울(200)에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신부(110)는, 스마트 거울(200)로부터 직접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스마트 거울(200)이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IP를 통해 직접 사진을 송신하는 경우, 스마트 거울(200)로부터 직접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신부(110)는, 스마트 거울(200)로부터 직접 사진을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서버를 통해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거울(200)에서는 미디어 서버로 사진을 업로드하고, 수신부(110)는, 해당 미디어 서버로부터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신부(110)로 직접 사진을 송신하도록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복잡한 설정 과정 없이 간편하게 사진을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The receiver 110 may receive a picture taken by the smart mirror 200 through a network.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receiving unit 110 may directly receive a picture from the smart mirror 200. That is, when the smart mirror 200 directly transmits a picture through the IP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may directly receive the picture from the smart mirror 20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a photo through a separate server instead of directly receiving a photo from the smart mirror 200. That is, the smart mirror 200 may upload a photo to a media server, and the receiver 110 may receive the photo from the corresponding media server.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need to set the smart mirror 200 to directly transmit the photo to the receiver 110, the photo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without a complicated setting process.

추출부(12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사진에서 소비자가 시착한 의류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추출부(120)에서 의류를 추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추출부(120)는, 사진에서 배경으로부터 소비자의 모습을 분리하고, 소비자의 모습에서 시착한 의류를 검출하여 추출해 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추출부(120)는, 기계 학습을 통해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진에서 의류의 이미지만을 추출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부(120)는, 스마트 거울(200)에서 촬영한 사진에서 의류의 이미지만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에서 소비자가 시착한 의류만을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심층 신경망의 한 종류인 컨볼루셔널 뉴럴 네트워크(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그 중에서도 tiny YOLO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tiny YOLO는, 9개의 컨볼루션 레이어(Convolution layers), 6개의 맥스 풀링 레이어(Max pooling layers) 및 1개의 완전 연결 레이어(fully connected layers)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사진에서 의류만을 인식하여 추출할 수 있다면, 추출부(120)에서 의류를 추출하는 방법이 특정한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extraction unit 120 may extract clothing that the consumer tried on from the photo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110.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lothing is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20 of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e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extraction unit 120 of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appearance of the consumer from the background in the photo, It can detect and extract clothes that have been tried on from the shape of the consum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extraction unit 120 may be trained to extract only an image of a clothing from a photo using learning data through machine learning. Therefore, the extraction unit 120 may accurately extract only the image of the clothing from the picture taken by the smart mirror 200. For example, as a method of recognizing only clothes worn by consumers in a photo,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hich is a kind of deep neural network, may be used, among others, tiny YOLO. Here, tiny YOLO may be composed of 9 convolution layers, 6 max pooling layers, and 1 fully connected layer. However, if only clothing can be recognized and extracted from a photo, the method of extracting clothing by the extraction unit 12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는,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의류를 의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착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는,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의류를 의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매칭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착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 데이터베이스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의류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외부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130 may generate clothing data by linking the clothing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20 with a clothing database. That is, the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130 may search the clothing database for clothing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20 and generate clothing data based on data about matching clothing. Here, the clothing database may be a database in which data on clothing is stored. Such a clothing database may be included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or may be implemented as an external databas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착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는,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의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의류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미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의류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미지가 매칭되는 의류가 있다면,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는 해당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착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는, 의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착복 데이터에 해당하는 의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130 of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e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generates cloth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130 of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lothing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unit 120. An image search can be performed in the clothing database using the image. If there is clothing matching the image in the clothing database, the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130 may generate clothing data based on data on the corresponding clothing. That is, the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130 may extract cloth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clothing data from the clothing database.

이때, 착복 데이터는, 브랜드, 의류 코드, 시착 매장 및 시착 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착 매장은, 스마트 거울(200)에서 미리 설정된 매장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매장별로 설치되는 스마트 거울(200)마다 해당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가 미리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거울(200)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사진에 매장 정보 및 촬영 시기에 대한 정보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는, 사진에서 매장 정보 및 시착 시기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착복 데이터는, 의류의 카테고리, 의류의 색상 및 사이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의류 코드에 의해 해당 의류에 대한 색상 및 사이즈 등이 분류되어 있는 경우, 의류 코드만으로도 해당 의류에 대한 색상 및 사이즈를 특정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wearing data may include a brand, a clothing code, a try-on store, and a try-on time. Here, the try-on store may be store information preset in the smart mirror 20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tore information for a corresponding store may be input in advance for each smart mirror 200 installed for each store. In this case, when a picture is taken by the smart mirror 200, information on the store information and the recording timing may be included in the picture. Accordingly, the wearing data generation unit 130 may extract store information and try-on timing from the pho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earing data may further include a category of clothing, a color and size of clothing, and the like. However, when the color and size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are classified by the clothing code, the color and size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may be specified using only the clothing code.

한편, 착복 데이터는, 각각의 의류별로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소비자가 2개 이상의 의류를 동시에 시착한 후 사진을 촬영한 경우, 추출부(120)는 각각의 의류를 개별적으로 추출하며,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는 각각의 의류에 대해 개별적으로 착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2개 이상의 의류에 대해 각각의 착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wearing data may be generated for each clothing. If a consumer tries on two or more clothing at the same time and then takes a picture, the extraction unit 120 individually extracts each clothing, and the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130 individually wears clothing data for each clothing. Can be created. That is, each wearing data may be generated for two or more clothes.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는,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생성한 착복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착복 데이터는 해당 의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는 누적된 착복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는, 착복 데이터 중 ‘원피스’에 대해서 소비자가 가장 많이 시착한 원피스가 어떤 브랜드의 어떤 상품인지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의류에 대해 어느 시기에 소비자가 가장 많이 시착을 했는지, 어떤 매장에서 시착을 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may analyze a fashion trend using the wear data generated by the wear data generation unit 130. Since the wearing data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lothing,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may analyze the fashion trend using the accumulated clothing data. For example,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may analyze information on which brand and which product the dress that consumers try on the most for the'one piece' among the wearing dat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information on the time at which consumers tried-on the most for arbitrary clothing, and in which store they tried-on.

이때,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는, 착복 데이터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 필터링 된 착복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패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기준은, 소비자의 피드백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비자의 선호 여부일 수 있다. 소비자가 착복 데이터에 대한 선호 여부를 피드백하는 경우,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는, 선호 여부가 ‘선호’에 해당하는 착복 데이터에 대해서만 패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소비자가 여러 의류에 대해 착복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 중에서 소비자가 마음에 드는 의류는 일부만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착복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없이 모든 착복 데이터에 대해 패션 트렌드 분석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대로 패션 트렌드가 분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는,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 착복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착복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패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미리 정해진 기준은, 전술한 소비자의 선호 여부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비자가 실제 선호하는 의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착복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may analyze the fashion trend using only the wearing data filtered by a predetermined criterion among the wearing data. Here,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set based on a consumer's feedback, and may be, for example, whether or not a consumer prefers it. When the consumer feeds back on whether or not to prefer the wear data,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may analyze the fashion trend only for the wear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ference of'preference'. Even if a consumer wears a variety of clothes, there may be only some of the clothes that the consumer likes. Therefore, if fashion trend analysis is performed on all clothing data without filtering on the clothing data, the fashion trend may not be properly analyzed. Therefore,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may filter the clothing data based on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analyze the fashion trend using only the filtered clothing data. However,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preference of the above-described consumer, and may be set in various ways as long as the consumer can provide feedback on the actual preferred clothing and the filtering criteria for the clothing data can be presented.

한편,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는, 착복 데이터에 따른 정량적인 통계량을 생성할 수 있다.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는, 통계량을 생성함으로써 전체적인 패션 트렌드를 수치화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의류 별로 특정 기간에서의 일별 평균 시착 횟수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그래프로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는, 다양한 통계량을 사용하여 패션 트렌드를 요약할 수 있으며, 계절 또는 소비자의 연령 별로 다양한 분석 기준에 따른 통계량을 생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may generate a quantitative statistic according to the wearing data.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may quantify and quantitatively analyze overall fashion trends by generating statistic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average number of try-ons per day in a specific period for each garment, and this can also be expressed as a graph. Accordingly,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may summarize fashion trends by using various statistics, and may generate statistics according to various analysis criteria according to seasons or ages of consumers.

코디 정보 제공부(150)는,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생성한 착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한 의류와 매칭되는 코디 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 거울(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코디 정보는, 추출한 의류에 대한 매칭 아이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코디 정보 제공부(150)는, 스마트 거울(200) 뿐 아니라, 사용자 디바이스(300)에도 코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generate coordin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extracted clothing by using the clothing data generated by the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130 and provide it to the smart mirror 200. Here,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matching items for the extracted clothing.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coordination information not only to the smart mirror 200 but also to the user device 30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코디 정보 제공부(150)에서, 코디 정보를 출력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코디 정보 제공부(150)는,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의류를 포함하는 코디네이션을 추천하고, 해당 코디네이션에 포함된 매칭 아이템을 소개할 수 있다. 이때, 코디 정보 제공부(150)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이나 최신 패션 잡지 정보 검색, 소셜 미디어 검색 등을 통해 코디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착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의류를 포함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코디네이션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소비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매칭 아이템으로 제시된 목걸이나 하이힐을 선택하여, 상세한 정보나 구매 정보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of the coordinat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coordinate information. 6,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of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ing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20 It is possible to recommend the included coordination and introduce matching item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coordination. At this time,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collect coordination information through a database search, the latest fashion magazine information search, social media search, etc., and coordin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lothing using the wearing data You can also search for and provide. In this case, the consumer may check detailed information or purchase information by selecting a necklace or high heel presented as a matching item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

이와 같이, 코디 정보 제공부(150)가 해당 의류와 매칭되는 코디 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 거울(2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제공함으로써, 해당 의류와 다른 아이템과의 조화를 미리 확인하고, 매칭 아이템과 유사한 아이템을 소비자가 갖고 있는 경우 코디네이션을 쉽게 할 수 있어 의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해당 의류의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generates coordin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corresponding clothing and provides it to the smart mirror 200 or the user device 300, thereby confirming the harmony between the clothing and other items in advance, and matching. If a consumer has an item similar to an item, coordin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utilization of clothing can be increased, which can help in the purchase decision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한편, 코디 정보 제공부(150)는,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코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해, 해당 의류를 구매하거나 시착한 소비자들이 함께 구매하거나 함께 코디한 매칭 아이템을 파악하고, 코디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최신의 패션 트렌드를 반영한 코디 정보를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generate coordin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In other words, through fashion trend analysis, consumers who purchase or try on the apparel can identify matching items purchased or coordinated together, and generate coordination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coordination information reflecting the latest fashion trends. I can.

3차원 영상 구성부(160)는, 수신부(110)가 수신한 복수의 사진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소비자는 스마트 거울(200)에서 다양한 각도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데, 앞모습, 뒷모습, 좌/우 옆모습을 촬영한 사진 등 복수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3차원 영상 구성부(160)는, 이와 같은 복수의 사진을 합성하여 영상 합성 기술을 이용해 3차원 영상으로 구성하고, 스마트 거울(2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이미 촬영한 각도 이외의 다양한 각도의 의류 시착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소비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3차원 영상을 회전시킴으로써, 소비자가 원하는 각도의 모습을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3D image construction unit 160 may synthesize a plurality of photos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110 to form a 3D image. That is, the consumer may take a picture from the smart mirror 200 at various angles, and may take a plurality of pictures, such as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picture of a left/right side view. The 3D image constructing unit 160 synthesizes a plurality of such photos, constructs a 3D image using image synthesis technology, and provides it to the smart mirror 200 or the user device 300, thereby You can see how to try on clothes from various angles other than the ang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by rotating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customer's manipula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hape of the desired angle by the consumer.

SNS 공유부(170)는, 수신부(110)가 수신한 사진 및 착복 데이터를 SNS로 공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SNS 공유부(170)에서 SNS로 공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SNS 공유부(170)는, 수신부(110)가 수신한 사진 및 착복 데이터를 SNS로 공유할 수 있으며, SNS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받아볼 수도 있다.
The SNS sharing unit 170 may share the photo and clothing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110 through an SNS.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NS sharing unit 170 of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res it with SNS. As shown in FIG. 7, the SNS sharing unit 170 of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 and clothing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110. Data can be shared through SNS, and various opinions can be received through SNS.

이때, 도 7을 참조하면, SNS 공유부(170)는, 착복 데이터를 함께 공유하므로 착복 데이터에 포함된 매장 정보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SNS를 통해 해당 의류를 시착한 매장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매장에 입고된 의류에 대해서도 동시에 홍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소규모 의류 매장에서도 소비자의 SNS 공유를 통해 해당 매장 및 매장 내 상품에 대해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SNS를 통해 해당 의류가 어울리는지에 대한 의견을 받아볼 수 있으므로, 의류 구입에 대한 친구나 지인, 제3자의 조언을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7, since the SNS sharing unit 170 shares the clothing data together, sto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lothing data may be shared together. Accordingly, through the consumer's SNS, the store where the apparel was tried can be promoted, and at the same time, the apparel worn in the store can be promot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even a small clothing store can effectively promote the store and the products in the store through SNS sharing of consumers. In addition, since consumers can receive opinions on whether the clothing suits them through SNS, they can check the advice of friends, acquaintances, and third parties about clothing purchase.

할인 정보 제공부(180)는, 착복 데이터에 대한 할인 정보를 스마트 거울(2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할인 정보 제공부(180)에서 할인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할인 정보 제공부(180)는, 소비자가 해당 의류를 시착한 매장에 대한 할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코디 정보 제공부(150)가 제공한 코디 정보에 포함된 매칭 아이템을 함께 구매하면 할인을 받을 수 있는 할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소비자가 시착한 의류의 재고/이월 할인이 계획된 경우에는, 할인이 시작되기 전에 해당 의류를 시착한 소비자에게 시크릿 할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맞춤형 할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할인 정보 제공부(180)는, 소비자가 해당 의류를 시착한 매장에서 그 의류를 구입할 수 있도록 소비자에게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할인 정보 제공부(180)는, 소비자의 의류 시착이 해당 매장에서 의류의 구매로 이루어지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The discou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may provide discount information on the wearing data to the smart mirror 200 or the user device 300.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cou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of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provides disc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discou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of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er Discou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nd discount information for receiving a discount when a matching item included in the coordinat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ordina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is purchased together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when a stock/carry-over discount for clothes that a consumer tried on is planned, customized discou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providing secret discount information to the consumer who tried on the corresponding clothes before the discount started. That is, the discou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may provide customized marketing to the consumer so that the consumer can purchase the clothing at a store where the clothing has been tried on. Accordingly, the discou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may naturally induce a consumer to try on clothes by purchasing clothes at a corresponding stor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스마트 거울(200)을 통해 소비자가 시착한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의류와 매칭되는 코디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소유하고 있는 아이템과 해당 의류의 코디네이션을 쉽게 예상할 수 있어 의류 구입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해당 의류의 활용을 높여 교환이나 반품을 줄일 수 있으며, 코디 정보에 포함된 아이템의 추가 구입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착복 데이터를 이용해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는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를 더 포함함으로써, 판매된 의류만을 기반으로 분석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패션 트렌드 분석 방법과는 달리, 소비자가 구매하지는 않았으나 시착해 본 의류에 대해서도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패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한 패션 트렌드를 이용해 트렌드에 맞는 코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ata on the clothing worn by the consumer through the smart mirror 200 are collected and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clothing. By creating and providing coordinat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edict the coordination of items owned by consumers and the corresponding clothing, which can help in the decision to purchase clothing, and reduce exchanges or returns by increasing the use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You can induce additional purchases of items included in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by further including a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that analyzes fashion trends using clothing data, unlike the conventional fashion trend analysis method in which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only the sold clothing, consumers have not purchased but tried Clothing can also be analyzed to analyze more accurate fashion trends, and the analyzed fashion trends can be used to provide coordinated information that fits the trend.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modified or applied in various way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서비스 제공 서버
110: 수신부
120: 추출부
130: 착복 데이터 생성부
140: 패션 트렌드 분석부
150: 코디 정보 제공부
160: 3차원 영상 구성부
170: SNS 공유부
180: 할인 정보 제공부
200: 스마트 거울
300: 사용자 디바이스
100: service providing server
110: receiver
120: extraction unit
130: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140: Fashion Trend Analysis Department
150: Cody information provider
160: 3D image construction unit
170: SNS sharing unit
180: discount information provider
200: smart mirror
300: user device

Claims (8)

의류 매장에서 소비자를 촬영하는 스마트 거울(200)을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 거울(200)에서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여 코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
의류 매장에서 의류를 시착한 소비자를 촬영하는 스마트 거울(200);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코디 정보 제공 서비스가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거울(200)에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는 수신부(110);
상기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사진에서 상기 소비자가 시착한 의류를 추출하는 추출부(120);
상기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의류를 의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착복 데이터를 생성하는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
상기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생성한 상기 착복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는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
상기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생성한 상기 착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한 의류와 매칭되는 코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거울(200)에 제공하는 코디 정보 제공부(150); 및
상기 수신부(110)가 수신한 앞모습, 뒷모습, 좌/우 옆모습을 촬영한 복수의 사진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스마트 거울(2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제공하며, 소비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3차원 영상을 회전시키는 3차원 영상 구성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120)는,
기계 학습을 통해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진에서 의류의 이미지만을 추출하도록 학습되되, 심층 신경망의 한 종류인 컨볼루셔널 뉴럴 네트워크(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로서, 9개의 컨볼루션 레이어(Convolution layers), 6개의 맥스 풀링 레이어(Max pooling layers) 및 1개의 완전 연결 레이어(fully connected layers)로 구성되는 tiny YOLO를 사용하여 학습되어, 상기 스마트 거울(200)에서 촬영한 사진에서 의류의 이미지만을 정확하게 추출하며,
상기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는,
상기 착복 데이터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 필터링된 착복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되,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소비자의 선호 여부에 의해 설정되며, 소비자가 피드백 한 착복 데이터에 대한 선호 여부가 ‘선호’에 해당하는 착복 데이터에 대해서만 상기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고,
상기 코디 정보 제공부(150)는,
상기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의류를 포함하는 코디네이션을 추천하되, 상기 패션 트렌드 분석부(140)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의류를 구매하거나 시착한 소비자들이 함께 구매하거나 함께 코디한 매칭 아이템을 파악하고, 상기 코디 정보를 생성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As a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smart mirror 200 photographing a consumer in a clothing store,
A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that provides a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by using a picture taken by the smart mirror 200;
A smart mirror 200 for photographing consumers who try on clothes in a clothing store; And
Including a user device 30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and in which an application implementing a service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is installe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 receiving unit 110 for receiving a picture taken by the smart mirror 200 through a network;
An extraction unit 120 for extracting the clothing that the consumer tried on from the photo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110;
A clothing data generation unit 130 for generating clothing data by linking the clothing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20 with a clothing database;
A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for analyzing a fashion trend using the wear data generated by the wear data generation unit 130;
A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for generating coordin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extracted clothing by using the clothing data generated by the wearable data generating unit 130 and providing it to the smart mirror 200; And
The reception unit 110 combines a plurality of photographs of the front view, the back view, and the left/right side view and provides it to the smart mirror 200 or the user device 300 b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photos taken of the front view, the back view, and the left/right side view. Including a 3D image construction unit 160 for rotating the 3D image according to a signal,
The extraction unit 120,
It is trained to extract only the image of clothing from a photo using the training data through machine learning, but a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hich is a kind of deep neural network, it has 9 convolution layers, It is learned using tiny YOLO consisting of 6 Max pooling layers and 1 fully connected layer, and accurately extracts only the image of the clothing from the picture taken by the smart mirror 200. ,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The fashion trend is analyzed using only the clothing data filtered by a predetermined criterion among the wear data, bu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set based on the preference of the consumer, and the preference for the clothing data fed back by the consumer is'preferred'. Analyzing the above fashion trends only for the cloth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Coordination including the clothing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20 is recommended, but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fashion trend analysis unit 140, consumers who purchase or try on the corresponding clothing purchase or coordinated with the matching item are identified. And,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and providing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복 데이터는,
브랜드, 의류 코드, 시착 매장 및 시착 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earing data is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rand, a clothing code, a try-on store, and a try-on ti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복 데이터는,
각각의 의류별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earing data,
Coord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mirror 20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ted for each cloth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복 데이터 생성부(130)는,
상기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의류를 상기 의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매칭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착복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earing data generation unit 130,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mirror 200,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thing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20 is searched in the clothing database to generate clothing data based on data on matching clothing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 정보는,
상기 추출한 의류에 대한 매칭 아이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거울(2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e information using data collected by the smart mirror 2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matching item for the extracted cloth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29721A 2018-10-29 2018-10-29 Coordin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 KR102179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721A KR102179916B1 (en) 2018-10-29 2018-10-29 Coordin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721A KR102179916B1 (en) 2018-10-29 2018-10-29 Coordin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062A KR20200048062A (en) 2020-05-08
KR102179916B1 true KR102179916B1 (en) 2020-11-17

Family

ID=7067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721A KR102179916B1 (en) 2018-10-29 2018-10-29 Coordin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9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979A (en) 2021-12-29 2023-07-06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Object recognition mirror and object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938B1 (en) * 2013-11-06 2016-05-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 cloth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A cloth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ever communicating to the appartus, a server recommending a product related the cloth, a A cloth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541180B1 (en) * 2014-01-22 2015-08-03 이상호 Smart mirror device and thereby system
KR101643917B1 (en) * 2014-09-15 2016-08-01 (주)인더스웰 The smart fitting apparatus based real image
KR20170060736A (en) * 2015-11-25 2017-06-02 박진수 Method for supplying a fitting image from offline clothing stores with digital sign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979A (en) 2021-12-29 2023-07-06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Object recognition mirror and object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062A (en)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72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all-in-one personal fashion coaching and assista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eer-to-peer network databases
US11915288B2 (en) Useful and novel shopping application
US10963939B1 (en) Computer vision based style profiles
TW201907350A (en) Offline shopping guide method and device
US20170255820A1 (en)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in images and associated content delivery
KR102374861B1 (en) O2O(On-line to Off-line) BASED SYSTEM AND METHOD FOR SUGGESTING CUSTOMIZED INFORMATION
KR20200011569A (en) Image feature data extraction and use
KR102223444B1 (en)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personal clothing coordination
KR1023207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inforation via influencers
US113929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navigable path between pages of a network platform based on linking database entries of the network platform
CN106462615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program, and system
KR1023653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view
KR20200079721A (en) Smart clothe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8112777A (en) Recommendation item output program, output control program, recommendation item output apparatus, recommendation item output method and output control method
KR20210131198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dvertising recommended product
KR102179916B1 (en) Coordin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
KR102064653B1 (en) Wearable glasses and method for clothes shopping based on augmented relity
KR102335918B1 (en) Digital signage to sell fashion goods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US20150052013A1 (en) Customer service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to customers when assessing and/or purchasing items
CN111447260A (en) Information pushing and information publishing method and device
US201600929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data for targeted advertisements
US105218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electronic wardrobes
US201600635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photography
KR102044901B1 (en) System for generating image-based purchase information of fitting goods and terminal device for the same
KR20090003507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tyle coordinate goods using wireless recognition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