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214B1 -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 Google Patents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214B1
KR101927214B1 KR1020170059550A KR20170059550A KR101927214B1 KR 101927214 B1 KR101927214 B1 KR 101927214B1 KR 1020170059550 A KR1020170059550 A KR 1020170059550A KR 20170059550 A KR20170059550 A KR 20170059550A KR 101927214 B1 KR101927214 B1 KR 101927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us
knob
sea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4648A (en
Inventor
안재동
윤재곤
신상훈
백종진
김성찬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214B1/en
Publication of KR2018012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6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2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가 개시된다. 상기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는 'U'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손잡이부, 상기 'U'자 또는 'ㄷ'자 형상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되고 끝부분이 첨예하도록 원 또는 각형의 뿔 형상을 갖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본체; 및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본체와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본체가 상기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장착되도록 하는 손잡이본체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an emergency escape is disclosed. The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includes a handle portion having a U-shape or a U-shape and a pair of U-shaped or U-shaped end portions, A knob body extending from the striking portion and connected to opposite end portions of the knob portion; And a handle main body fixing member which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a seat of the bus and is coupled to the knob main body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knob main body and is engaged with the knob main body so that the knob main body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of the bus .

Description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an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의 버스 좌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시 탈출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는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seat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escape bus seat handle assembly that can be used as an emergency escape tool.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버스나 전철(지하철) 등에는 강도가 높은 특수유리가 사용된다.As we all know, special glass with high strength is used for buses and subways.

이러한 특수유리는 잘 깨지지 않기 때문에 긴급상황시 탈출에 어려움을 격게된다.These special glasses do not break easily, which makes them difficult to escape in an emergency.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차량(버스 또는 전철)에 비상시 유리창을 파괴할 목적으로 비상탈출용 망치가 구비되어 있다.In view of this, vehicles (buses or trains) are provided with an emergency escape hammer for the purpose of destroying windows in an emergency.

그러나 상기한 비상탈출용 망치를 위급한 상황에서 망치의 위치를 숙지하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신속하게 찾기란 쉽지 않으며, 또한 쉽게 분실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흉기로 사용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mergency escape hammer is not easy to find quickly in a situation where the position of the hammer is not known in an emergency, and it is not only easy to lose but also can be used as a weapon in some cases.

또한, 차량에 비치되는 비상탈출용 망치는 통상 2개 이하의 개수로 구비되며, 이에 따라, 차량 탑승객들 중 소수의 인원만이 상기 망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망치를 휴대한 탑승객이 유리창을 파쇄하기까지 나머지 탑승객은 대기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emergency escape hammers provided in the vehicle are usually provided in a number of two or less, only a small number of passengers of the vehicle can use the hammer, so that a passenger carrying the hammer can crush the window glass The rest of the passengers had to wait.

특허출원 제10-2012-0067130호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67130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평상시 버스 좌석의 손잡이로써 사용되고, 버스 내의 화재, 버스의 전복 등의 비상 상황에는 버스의 좌석으로부터 분리하여 탈출용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버스의 좌석마다 설치되므로 다수의 탑승자에게 탈출용 도구로써 제공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handle of a bus seat, and can be used as an escape tool by separating it from a seat of a bus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in a bus or overturning of a bus, To provide an assembly of a bus seat handle for emergency escape that can be provided to a plurality of passengers as an escape tool.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는 'U'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손잡이부, 상기 'U'자 또는 'ㄷ'자 형상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되고 끝부분이 첨예하도록 원 또는 각형의 뿔 형상을 갖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본체; 및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본체와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본체가 상기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장착되도록 하는 손잡이본체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aspect, an emergency escape bus seat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having a U-shape or a U-shape, a U-shaped or U- A knob body extending from the hitting part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knob part; And a handle main body fixing member which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a seat of the bus and is coupled to the knob main body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knob main body and is engaged with the knob main body so that the knob main body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of the bus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본체 고정부재는,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본체의 양측의 타격부와 결합되는 손잡이 연결구; 및 상기 손잡이 연결구 상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본체의 양측의 타격부를 상기 손잡이 연결구에 고정시키는 손잡이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연결구는,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만입부 및 상기 만입부의 양측으로 연장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바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구비된 제1 손잡이연결부 및 제2 손잡이연결부, 상기 수용홈의 측벽에서 돌출된 돌출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고정구는,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탄성막대부, 상기 탄성막대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가 상기 제1 손잡이연결부 및 제2 손잡이연결부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타격부의 삽입된 상태를 고정하는 홀더부, 상기 탄성막대부 상에 구비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is a knob connector fixed to a back surface of a seat of a bus and engaged with the hitt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knob body; And a handle fastener coupled on the handle fastener and fastening the strik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handle body to the handle fastener. The handle fastener includes a recessed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 first handle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handle connection part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triking part and protruding pieces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handle fastener includes an elastic rod por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the elastic rod portion being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elastic rod portion, and the striking portion being provided on the first handl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connecting portion A holder part coupled to the fixing part when inserted and fixing the inserted state of the hitting part, It may include a button that is provided on the elastic rod portion group.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 연결구는 상기 만입부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coupling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received within the indentation.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는 상기 각각의 타격부 둘레에 구비되고, 버스의 유리를 파쇄할 수 있는 세기로 진동하는 진동부재; 상기 진동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진동부재를 온/오프시키는 진동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n emergency escape bus seat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scillating member provided around each of the hitting portions and vibrating at an intensity capable of crushing a glass of a bu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vibration member; And a vibration operation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vibration member.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에 의하면, 평상시 버스 좌석의 손잡이로써 사용되고, 버스 내의 화재, 버스의 전복 등의 비상 상황에는 버스의 좌석으로부터 분리하여 탈출용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버스의 좌석마다 설치되므로 다수의 탑승자에게 탈출용 도구로써 제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escape bus seat handle assembly is normally used as a handle of a bus seat, and can be used as an escape tool by separating from a seat of a bus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in a bus or overturning of a bus, So that it can be provided as a tool for escape to a plurality of passengers.

또한, 진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경우 진동부재를 이용하여 유리창을 파쇄할 수 있으므로 유리창을 파쇄하기 위해 탑승자에게 큰 힘이 요구되지 않고, 진동부재를 이용한 전기적인 진동을 통해 버스의 유리창을 쉽고 빠르게 파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vibrating member further includes the vibra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crush the windshield so that the occupant does not need much force to crush the windshield, and the windshield of the bus can be easily and quickly broken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의 손잡이본체를 손잡이본체 고정부재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an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parating the handle body of the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shown in FIG. 1 from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제1 1st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의 손잡이본체를 손잡이본체 고정부재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body of the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shown in FIG. And FIG.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parating from the fixing memb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는 손잡이본체(1100) 및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ndle body 1100 and a handle body fixing member 1200.

손잡이본체(1100)는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에 의해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본체(1100)는 손잡이부(1110), 타격부(1120), 고정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knob body 1100 can be mounted on the back side of the seat of the bus by the knob body fixing member 1200. [ For example, the handle body 1100 may include a handle 1110, a striking portion 1120, and a fixing portion 1130.

손잡이부(1110)는 버스 승객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손잡이부(1110)는 'U'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110)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The handle 1110 is a part that the bus passenger can grasp by hand. The handle 1110 may be provided in a form bent in a U shape or a U shape.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bent in a 'C' shape. The material of the handle 1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metal or synthetic resin.

타격부(1120)는 손잡이부(1110)의 'ㄷ'자 형상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타격부(1120)는 비상시 버스의 유리창을 타격하여 파쇄할 수 있는 재질 및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타격부(1120)는 끝부분이 첨예하도록 원 또는 각형의 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타격부(1120)의 재질은 손잡이부(1110)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리의 파쇄가 용이하도록 금속재질일 수 있다.The striking part 112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U' shape of the handle 1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hitting portion 1120 has a material and shape capable of hitting and breaking the window of the bus in an emergency. For this purpose, the striking portion 1120 may have the shape of a circular or prismatic horn so as to have a sharp tip. For example, in a conical shape. The material of the hitting portion 112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handle 1110, and preferably i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glass can be easily broken.

고정부(1130)는 타격부(1120)로부터 연장되어 손잡이부(1110)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1130)는 타격부(11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130)는 손잡이본체(1100)가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와 결합할 때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와 결합되어 손잡이부(1110)가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fixing portion 1130 may extend from the striking portion 1120 and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1110. [ The fixing portion 1130 may extend in the shape of a cylinder or a polygonal colum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tting portion 1120. When the handle body 1100 is engaged with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1200, the fixing portion 1130 is engaged with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1200 so that the handle 1110 is fixed to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1200 can do.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는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설치되어 손잡이본체(1100)가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장착되도록 한다.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는 손잡이본체(11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는 손잡이 연결구(1210) 및 손잡이 고정구(1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1200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seat of the bus so that the handle body 1100 is mounted on the back side of the seat of the bus.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12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body 1100. [ For example,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1200 may include a handle fitting 1210 and a handle fixture 1220.

손잡이 연결구(1210)는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고정되고, 손잡이본체(1100)의 양측의타격부(1120)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 연결구(1210)는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 연결구(1210)는,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만입부(1211a) 및 상기 만입부(1211a)의 양측으로 연장된 수용홈(1211b)을 포함하는 바 형태의 몸체부(1211), 상기 몸체부(12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1120)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구비된 제1 손잡이연결부(1212) 및 제2 손잡이연결부(1213), 상기 수용홈(1211b)의 측벽에서 돌출된 돌출편들(12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knob connector 1210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of the bus and can be engaged with the striking portions 1120 on both sides of the knob body 1100. The handle connection port 1210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For example, the handle fitting 1210 includes a bar-shaped body portion 1211 including a recessed portion 1211a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d a receiving groove 1211b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recessed portion 1211a, A first knob connection portion 1212 and a second knob connection portion 1213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211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receiving the hitting portion 1120, As shown in FIG.

상기 만입부(1211a)는 수용홈(1211b)의 깊이 보다 깊고, 수용홈(1211b)은 손잡이 고정구(1220)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The depressed portion 1211a may be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1211b and the receiving groove 1211b may have a depth capable of receiving the handle 1220b.

상기 제1 손잡이연결부(1212) 및 제2 손잡이연결부(1213)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The first handle connection part 1212 and the second handle connection part 1213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ed upper surface.

상기 돌출편들(1214)은 2개의 돌출편(1214)이 서로 마주하는 배치 형태로 수용홈(12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수용홈(1211b)에 결합되는 손잡이 고정구(12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truding pieces 1214 can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211b in the arrangement in which the two protruding pieces 1214 face each other and the handle fastener 1220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211b, Can be prevented.

이러한 손잡이 연결구(1210)가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고정되는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제1 손잡이연결부(1212) 및 제2 손잡이연결부(1213)를 나사를 통해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고정하여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handle connecting portion 1212 and the second handle connecting portion 1213 may be screw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of the bus, And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of the bus.

손잡이 고정구(1220)는 손잡이 연결구(1210) 상에 결합되어 손잡이본체(1100)의 양측의 타격부(1120)를 손잡이 연결구(1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 고정구(1220)는, 손잡이 연결구(1210)의 수용홈(1211b) 내에 수용되고 손잡이 연결구(1210)의 몸체부(121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탄성막대부(1221), 상기 탄성막대부(122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손잡이본체(1100)의 타격부(1120)가 손잡이 연결구(1210)의 제1 손잡이연결부(1212) 및 제2 손잡이연결부(1213)에 삽입될 때 손잡이본체(1100)의 고정부(1130)에 결합되어 상기 타격부(1120)의 삽입된 상태를 고정하는 홀더부(1222), 탄성막대부(1221) 상에 구비되는 버튼부(12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fastener 1220 is coupled on the handle fastener 1210 to fasten the striking portions 1120 on both sides of the handle body 1100 to the handle fastener 1210. The handle fastener 1220 includes an elastic rod portion 1221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211b of the handle fitting 1210 an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211 of the handle fitting 1210, When the striking portions 1120 of the handle body 110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bar portion 1221 and inserted into the first handle connecting portion 1212 and the second handle connecting portion 1213 of the handle connecting hole 1210 A holder part 1222 coupled to the fixed part 1130 of the handle body 1100 to fix the inserted state of the hitting part 1120 and a button part 1223 provided on the elastic rod part 1221 can do.

상기 탄성막대부(1221)는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금속 재질인 경우 탄성을 갖도록 얇은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it may be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In case of a metal material,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thin thickness so as to have elasticity.

상기 홀더부(1222)는 일부분이 개방된 원형 고리 형상일 수 있다. 홀더부(122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홀더부(1222)는 손잡이본체(1100)의 고정부(1130)에 끼워질 수 있다. 홀더부(1222)는 탄성막대부(1221)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The holder 1222 may have a circular ring shape with a part thereof opened. The holder portion 1222 can be fitted into the fixing portion 1130 of the handle body 1100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holder portion 1222. [ The holder portion 122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상기 버튼부(1223)는 홀더부(1222)를 손잡이본체(1100)의 고정부(113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탄성막대부(1221)를 가압할 수 있다. 버튼부(1223)는 탄성막대부(1221)가 손잡이 연결구(1210)의 수용홈(1211b) 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 연결구(1210)의 몸체부(1211)에 형성된 만입부(1211a) 위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버튼부(1223)는 탄성막대부(1221)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부(1223)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버튼부(1223)는 탄성막대부(1221)를 가압하게 되고, 탄성막대부(1221)의 가압되는 부분은 상기 만입부(1211a)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부(1223)가 가압되는 경우 손잡이 고정구(1220)는 각각의 홀더부(1222)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휘어지면서 변형될 수 있다.The button portion 1223 may press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to separate the holder portion 1222 from the fixing portion 1130 of the pull main body 1100. [ The button portion 1223 is positioned above the indent 1211a formed in the body portion 1211 of the handle fitting 1210 in a state where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is engaged in the receiving groove 1211b of the handle fitting 1210 . The button portion 1223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button portion 1223, the button portion 1223 presses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and the portion of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to be pressed enters the indented portion 1211a can do. Accordingly, when the button portion 1223 is pressed, the handle fastener 1220 can be deformed while being warped in such a shap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espective holder portions 1222 is narrowed.

한편, 손잡이 연결구(1210)는 만입부(1211a)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1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300)은 만입부(1211a) 내에 수용되어 하단부가 만입부(1211a)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만입부(1211a)의 위로 위치하는 상기 탄성막대부(1221)의 일부분에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13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탄성막대부(1221)의 가압되는 부분이 만입부(1211a) 내로 진입되면 수축하고, 상기 버튼부(1223)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복원되면서 만입부(1211a) 내로 진입된 탄성막대부(1221)의 일부분을 밀어서 변형된 탄성막대부(1221)가 쉽고 빠르게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le fitting 1210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1300 accommodated in the indent portion 1211a. The spring 1300 is received in the indentation 1211a so that the lower end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ent 1211a and the upper end is supported on a portion of the resilient rod 1221 located above the indent 1211a have. The spring 1300 contracts when the portion of the elastic rod 1221 to be press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211a is contracted and the recessed portion 1211a of the spring 1300 is restored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buttoned portion 1223 is released,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can be easily and quickly restored by pushing a portion of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that has entered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의 조립 구조를 먼저 설명하고, 비상시 손잡이본체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해 이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ssembly structure of the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nd a process of using the handle body in an emergency will be described.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는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설치된다. 이때, 손잡이본체고정부재(2200)는 나사가 손잡이 연결구(1210)의 제1 손잡이연결부(1212) 및 제2 손잡이연결부(1213)를 관통한 후 좌석의 배면에 조여져서 고정될 수 있다.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1200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seat of the bus. At this time, the handle main body fixing member 2200 can be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after the screw passes through the first handle connection portion 1212 and the second handle connection portion 1213 of the handle connection hole 1210.

손잡이 연결구(1210)의 몸체부(1211)의 수용홈(1211b) 내에는 손잡이 고정구(1220)가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 고정구(1220)의 탄성막대부(1221)는 수용홈(1211b) 내에 수용되어 돌출편들(1214)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탄성막대부(1221) 양측의 홀더부(1222)는 손잡이 연결구(1210)의 제1 손잡이연결부(1212) 및 제2 손잡이연결부(1213)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버튼부(1223)는 손잡이 연결구(1210)의 몸체부(1211)에 형성된 만입부(1211a)의 위로 위치하고, 스프링(1300)은 만입부(1211a) 내에서 탄성막대부(1221)를 만입부(1211a) 외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A handle fastener 122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211b of the body portion 1211 of the handle fitting 1210. At this time,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of the handle fastener 122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211b and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protruding pieces 1214, and the holder portion 1222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And the button portion 1223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andle connection portion 1212 and the second handle connection portion 1213 of the handle connection port 1210, And the spring 1300 can press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in the indent portion 1211a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indent portion 1211a.

손잡이본체(1100)는 손잡이부(1110)의 양측의 타격부(1120)가 제1 손잡이연결부(1212) 및 제2 손잡이연결부(1213)의 내부로 삽입되어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와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본체(1100)의 고정부(1130)는 손잡이 고정구(1220)의 홀더부(1222)에 결합되어 손잡이본체(1100)가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에 결합된 상태가 고정된다.The knob body 1100 is engaged with the knob body fixing member 1200 by inserting the impact portions 1120 on both sides of the knob portion 1110 into the first knob connection portion 1212 and the second knob connection portion 1213 . 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1130 of the knob body 1100 is coupled to the holder portion 1222 of the knob fastener 1220, and the state where the knob body 1100 is coupled to the knob body fixing member 1200 is fixed.

이와 같이 손잡이 고정부재(2200)가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고정되고, 손잡이본체(1100)가 손잡이 고정부재(2200)에 고정된 상태로 손잡이본체(1100)는 버스 좌석의 손잡이로서 사용된다.The handle main body 1100 is used as a handle of a bus seat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fixing member 2200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of the bus and the handle main body 1100 is fixed to the handle fixing member 2200. [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는 버스의 운행 중 비상 상황, 예를 들면, 버스 내의 화제, 버스의 전복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탑승자의 탈출을 위한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다. 즉, 버스의 유리창을 파쇄하기 위한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emergency escape bus seat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tool for escape of an occupant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a topic in a bus, . That is, it can be used as a tool for crushing the windshield of a bus.

비상시 버스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탑승자는 손잡이본체(1100)를 손잡이 고정부재(2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손잡이본체(1100)의 분리를 위해 탑승자는 손잡이 고정구(1220)의 버튼부(1223)를 눌러서 손잡이본체(1100)를 손잡이 고정부재(2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탑승자가 버튼부(1223)를 누르면 버튼부(1223) 위치에서 탄성막대부(1221)가 가압되어 탄성막대부(1221)의 가압되는 부분이 도 2와 같이 손잡이 연결구(1210)의 만입부(1211a) 내측으로 진입되면서 탄성막대부(1221)는 양측의 홀더부(1222)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휘어지면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홀더부(1222)는 손잡이본체(1100)의 양측의 고정부(1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손잡이본체(1100)는 손잡이 고정부재(2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order to escape from the bus in an emergency, the occupant can separate the handle body 1100 from the handle holding member 2200. [ The occupant can press the button portion 1223 of the handle fastener 1220 to separate the handle main body 1100 from the pull holding member 2200 in order to separate the handle main body 1100. [ That is, when the passenger presses the button portion 1223,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is pressed at the position of the button portion 1223 and the portion of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pressed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210 of the knob connector 1210, The elastic rod portion 1221 can be deformed while being warped in such a manner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holder portions 1222 on both sides is narrowed. At this time, the respective holder portions 1222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portions 1130 on both sides of the knob body 1100, whereby the knob body 1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knob fixing member 2200.

손잡이본체(1100)가 분리되면 탑승자는 손잡이본체(1100)의 손잡이부(1110)를 손으로 잡은 채로 손잡이부(1110) 양측의 타격부(1120)를 이용하여 버스의 유리창을 가격하여 버스의 유리창을 파쇄할 수 있다.The occupant grips the handle 1110 of the handle 1100 with his or her hand and uses the striking portion 1120 on both sides of the handle 1110 to wind the windshield of the bus so that the windshield 1100 of the bus .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의 조립체는 평상시 버스 좌석의 손잡이로써 사용되고, 버스 내의 화재, 버스의 전복 등의 비상 상황에는 버스의 좌석으로부터 분리하여 탈출용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버스의 좌석마다 설치되므로 다수의 탑승자에게 탈출용 도구로써 제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assembly of the bus seat handle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used as a handle of a bus seat.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a bus or a rollover of a bus, the assembly is separated from a seat of a bus and used as an escape tool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provided as a tool for escape to a plurality of passengers since it is installed every seat of the bus.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는 손잡이본체(2100), 손잡이본체 고정부재(2200), 스프링(2300), 진동부재(2400), 전원공급부(2500), 진동작동스위치(260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body 2100, a handle body fixing member 2200, a spring 2300, a vibration member 2400, A vibration operation switch 2500, and a vibration operation switch 2600. [

손잡이본체(2100)는 손잡이부(2110), 타격부(2120), 고정부(2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body 2100 may include a handle 2110, a striking portion 2120, and a fixing portion 2130.

손잡이부(2110)는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손잡이부(2110)에는 상기 진동부재(2400), 전원공급부(2500), 진동작동스위치(2600)가 설치될 수 있다. 진동부재(2400), 전원공급부(2500), 진동작동스위치(2600)의 설치를 위해, 손잡이부(2110)는 중공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손잡이부(2110)의 양측 끝은 손잡이부(2110) 전체보다 직경이 점차 증가하여 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원 형상을 이루는 양측 끝은 타격부(2120) 및 고정부(2130)의 연결을 위해 밀폐될 수 있다.The handle 2110 may be in a " C " shape. The oscillation member 2400, the power supply unit 2500, and the vibration operation switch 2600 may be installed on the handle 2110. The handle 21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vibration member 2400, the power supply unit 2500 and the vibration operation switch 2600. Both ends of the handle 2110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2110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shape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and both ends of the circular shape may be sealed for connection of the hitting portion 2120 and the fixing portion 2130.

타격부(2120) 및 고정부(2130)는 손잡이부(2110)의 양측 끝에 구비되며, 타격부(2120) 및 고정부(2130)의 구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의 타격부(1120) 및 고정부(113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triking part 2120 and the fixing part 213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part 2110 and the structure of the striking part 2120 and the fixing part 2130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ergency escape b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triking portion 1120 and the fixing portion 1130 of the seat handle assembly,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손잡이본체 고정부재(2200)는 손잡이 연결구(2210) 및 손잡이 고정구(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연결구(2210)는 만입부(2211a) 및 수용홈(2211b)을 포함하는 몸체부(2211), 제1 손잡이연결부(2212) 및 제2 손잡이연결부(2213), 돌출편들(2214)을 포함할 수 있고, 손잡이 고정구(2220)는 탄성막대부(2221), 홀더부(2222), 버튼부(2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본체 고정부재(2200) 및 상기 스프링(23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의 손잡이본체 고정부재(1200) 및 스프링(1300)과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2200 may include a handle fitting 2210 and a handle fixture 2220. The knob connection port 2210 includes a body portion 2211 including a recess portion 2211a and a receiving groove 2211b, a first knob connection portion 2212 and a second knob connection portion 2213 and protruding pieces 2214 And the handle fastener 2220 may include an elastic rod portion 2221, a holder portion 2222, and a button portion 2223. [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2200 and the spring 2300 are the same as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1200 and the spring 1300 of the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진동부재(2400)는 손잡이본체(2100)의 각각의 타격부(2120)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진동부재(2400)는 손잡이본체(2100)의 양측의 원 형상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고, 타격부(2120)를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본체(2100)가 손잡이본체 고정부재(2200)에 결합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진동부재(2400)의 내경은 손잡이본체 고정부재(2200)의 손잡이 연결구(2210)의 제1 손잡이연결부(2212) 및 제2 손잡이연결부(2213)를 수용할 수 있는 직경일 수 있고, 진동부재(2400)의 일부분이 절개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본체(2100)가 손잡이본체 고정부재(2200)에 결합될 때 상기 절개된 부분으로 손잡이 연결구(2210)의 몸체부(2211)의 일부 및 손잡이 고정구(2220)의 탄성막대부(2221)의 일부가 진입하게 되고, 진동부재(2400)의 내측에는 제1 손잡이연결부(2212) 및 제2 손잡이연결부(2213)가 수용됨에 따라 손잡이본체 고정부재(2200)가 손잡이본체(2100)와 결합할 때 진동부재(2400)의 간섭 없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본체 고정부재(2200) 및 손잡이본체(2100)가 결합되는 구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vibrating member 2400 may be provided around each striking part 2120 of the handle body 2100. That is, the vibrating member 2400 may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shape of both sides of the knob body 2100, and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striking part 2120. The inner diameter of the oscillating member 2400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handle connection portion 2210 of the handle fitting portion 2210 of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2200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the handle body 2100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2200. [ May be of a diameter capable of receiving the second handle connection 2212 and the second handle connection 2213, and a portion of the oscillating member 2400 may be incised.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211 of the handle fitting 2210 and the elastic rod portion 2221 of the handle fastener 2220 are inserted into the cut portion when the knob body 2100 is engaged with the knob body fixing member 2200. [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2200 is engaged with the knob body 2100 as the first knob connection portion 2212 and the second knob connection portion 2213 are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vibration member 2400 Can be combined without interference of the vibration member 2400. [ He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2200 and the handle body 2100 are coupled is the same as that of the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원공급부(2500)는 진동부재(2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동부재(2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 예로, 전원공급부(2500)는 손잡이본체(2100)의 손잡이부(2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500)는 배터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bration member 2400 to supply power to the vibration member 2400.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25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andle 2110 of the handle body 2100. The power supply unit 25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ttery.

진동작동스위치(2600)는 진동부재(2400) 및 전원공급부(2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동부재(2400)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차단되도록 하여 진동부재(2400)가 작동되도록 한다. 진동작동스위치(2600)는 손잡이본체(2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vibration operation switch 26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bration member 2400 and the power supply unit 2500 so that the vibration member 2400 is energized or cut off so that the vibration member 2400 is operated. The vibration operation switch 260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knob main body 2100.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는 진동부재(2400)를 이용하여 버스의 유리창을 파쇄할 수 있다.The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rush the windshield of the bus using the vibration member 2400. [

즉, 비상 상황 발생시 탑승자는 손잡이본체(2100)를 손잡이본체 고정부재(2200)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손잡이본체(2100)의 손잡이부(2110)를 손으로 잡은 채로 손잡이부(2110) 양측의 진동부재(2400)를 버스의 유리창에 밀착시킨 후, 진동작동스위치(2600)가 온(ON)되도록 조작하여 진동부재(2400)를 작동시킨다. 진동부재(2400)는 유리창을 파쇄할 수 있는 주파수로 진동하여 유리창을 파쇄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본체(2100)를 손잡이본체 고정부재(22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at i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occupant separates the handle body 2100 from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2200 and holds the handle 2110 of the separate handle body 2100 by hand, After the member 24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indshield of the bus, the vibration operation switch 2600 is turned on to operate the vibration member 2400. The vibrating member 2400 can vibrate at a frequency capable of crushing the windshield and crush the windshield. Here,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handle body 2100 from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2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를 이용하면, 비상 상황 발생시 손잡이본체(2100)를 분리한 후 진동부재(2400)를 이용하여 유리창을 파쇄할 수 있으므로 유리창을 파쇄하기 위해 탑승자에게 큰 힘이 요구되지 않고, 진동부재(2400)를 이용한 전기적인 진동을 통해 버스의 유리창을 쉽고 빠르게 파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lass window can be broken by using the vibration member 2400 after detaching the handle body 2100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indshield of the bus can be easily and quickly shredded through the electrical vibration using the vibration member 2400 without requiring a large force to the occupant.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Claims (4)

삭제delete 'U'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손잡이부, 상기 'U'자 또는 'ㄷ'자 형상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되고 끝부분이 첨예하도록 원 또는 각형의 뿔 형상을 갖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본체; 및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본체와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본체가 상기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장착되도록 하는 손잡이본체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본체 고정부재는,
버스의 좌석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본체의 양측의 타격부와 결합되는 손잡이 연결구 및
상기 손잡이 연결구 상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본체의 양측의 타격부를 상기 손잡이 연결구에 고정시키는 손잡이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연결구는,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만입부 및 상기 만입부의 양측으로 연장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바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구비된 제1 손잡이연결부 및 제2 손잡이연결부, 상기 수용홈의 측벽에서 돌출된 돌출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고정구는,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탄성막대부, 상기 탄성막대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가 상기 제1 손잡이연결부 및 제2 손잡이연결부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타격부의 삽입된 상태를 고정하는 홀더부, 상기 탄성막대부 상에 구비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
A handle portion having a shape bent in a 'U' shape or a 'C' shape, a handle portion provided in both end portions of the 'U' shape or 'D' shape and having a circular or angular shape A handle body including a striking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triking portion and connect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handle portion; And
And a handle main body fixing member which is provided on the backside of the seat of the bus and is coupled to the knob main body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knob main body and is engaged with the knob main body so that the knob main body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of the bus ,
The handle body fixing member
A knob connector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of the bus and engaged with the hitt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knob body,
And a handle fastener coupled to the knob connector to fasten the strik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knob body to the knob connector,
The handle attachment includes a bar shaped body portion having a recessed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d a receiving groove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indentation portion and an internal spac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hitting portion, A first handle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handle connecting portion, and protruding pieces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The handle fastener includes an elastic rod por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the elastic rod portion being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rod portion, and the striking portion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handl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connecting portion A holder portion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to fix the inserted state of the hitting portion, and a button portion provided on the elastic bar portion.
Emergency escape bus seat handle assemb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연결구는 상기 만입부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coupling further comprises a spring received in the indentation,
Emergency escape bus seat handle assemb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타격부 둘레에 구비되고, 버스의 유리를 파쇄할 수 있는 세기로 진동하는 진동부재;
상기 진동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진동부재를 온/오프시키는 진동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버스 좌석 손잡이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An oscillating member provided around each of the hitting portions and vibrating at an intensity capable of crushing the glass of the bu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vibration member; And
And a vibration operation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vibration member.
Emergency escape bus seat handle assembly.
KR1020170059550A 2017-05-12 2017-05-12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KR1019272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550A KR101927214B1 (en) 2017-05-12 2017-05-12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550A KR101927214B1 (en) 2017-05-12 2017-05-12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648A KR20180124648A (en) 2018-11-21
KR101927214B1 true KR101927214B1 (en) 2018-12-10

Family

ID=6460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550A KR101927214B1 (en) 2017-05-12 2017-05-12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2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001B1 (en) * 2019-08-28 2020-01-23 최은석 Vehicle assist grip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hammer
KR20230141134A (en) * 2022-03-31 2023-10-10 (주)대한솔루션 Inner door handle for door of vehicle with emergency hammer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178B1 (en) * 2019-08-23 2021-02-22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Assist grip device having hammer for an emergency esc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142223A (en) 2022-04-01 2023-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mergency escape system for vehicle having glass breaking by high temperatu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001B1 (en) * 2019-08-28 2020-01-23 최은석 Vehicle assist grip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hammer
KR20230141134A (en) * 2022-03-31 2023-10-10 (주)대한솔루션 Inner door handle for door of vehicle with emergency hammer function
KR102659018B1 (en) 2022-03-31 2024-04-19 (주)대한솔루션 Inner door handle for door of vehicle with emergency hammer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648A (en)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214B1 (en) Bus seat handle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JP4081216B2 (en) Wiper pivot
JP2006336821A (en) Fixing tool with high fixing strength
WO2018058771A1 (en) Battery clamping mechanism, batter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harging device
US10967808B2 (en) Interior cover mount assembly
KR20100085601A (en) Apparatus for breaking glass for emergency evacuation
KR20210147482A (en) Emergency hammer using assist handle of vehicle
EP1211130A1 (en) Footrest fastening clip and footrest assembly
JP5364922B2 (en) Vehicle horn switch device
KR20220062240A (en) Shower head holder
CN202783063U (en) Safety device for automobile
JPH1035385A (en) Casing for air bag device of vehicle and its cover member
KR101028027B1 (en) Plastic fastner for vehicle
JP5809454B2 (en) Interior structure for vehicles
CN111361628B (en) Steering wheel
CN210212314U (en) Escape window breaker
CN113580045B (en) Copilot air bag detonating clamping device
CN105459872A (en) Automotive safe handle assembly
CN218536610U (en) Vehicle with a steering wheel
KR102000778B1 (en) Accessory for antenna of car
JP2022172570A (en) Hammer for emergency escape
JP2008213532A (en) Air bag device
KR940002956Y1 (en) Arrangement for holding video set
KR200226412Y1 (en) Crash panel fixing clip
KR0122213Y1 (en) A plug press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