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018B1 - Disposable wearing article - Google Patents

Disposable wearing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018B1
KR101927018B1 KR1020177032688A KR20177032688A KR101927018B1 KR 101927018 B1 KR101927018 B1 KR 101927018B1 KR 1020177032688 A KR1020177032688 A KR 1020177032688A KR 20177032688 A KR20177032688 A KR 20177032688A KR 101927018 B1 KR101927018 B1 KR 10192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joint
longitudinal direction
zone
j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2752A (en
Inventor
다케시 시마즈
유스케 가와카미
다쿠미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7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61F13/4901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33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ic in transversal dir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끌어올림 조작이 하기 쉽고, 앞뒤 허리 영역의 측가장자리부가 부주의하게 인열(引裂)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착용 물품의 사이드 접합 영역(22)에는, 가로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31)와,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접합부(32)와,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접합부(33)를 갖는 복수의 접합부(30)가 위치하고 있고, 제1 구역(64)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세로 방향(Y)의 이격 치수(R1)가 다른 구역에 비해 크고, 또한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가랑이 영역(13)측으로 경사지는 제1 방향(M)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및 제3 접합부는,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상기 가랑이 영역측으로 경사지는 제2 방향(N)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wearing article which can be easily pulled up and can prevent a side edge of a front and back waist region from inadvertently tearing. A side joint region (22) of a disposable wearing article is provided with a first joint portion (31)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X), a second joint portion (32) located on the outer side, A plurality of joining portions 30 having a third joining portion 33 positioned between the joining portions are located in the first joining portion 64. In the first joining portion 64, And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M) inclined toward the crotch region (13) from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econd and third junctions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N) inclined toward the crotch region toward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joint does not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Disposable wearing article

본 개시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disposable wearing articles.

종래, 앞뒤 허리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 허리 개구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를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은 공지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앞뒤 허리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 허리 개구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를 갖는 착용 물품이 개시되어 있고, 앞뒤 허리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는, 세로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합부가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 영역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접합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접합부는 가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Conventionally, disposable wearing articles having a front and back waist region, a crotch region, a waist opening and a pair of leg openings are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wearing article having a front and back waist region, a crotch region, a waist opening, and a pair of leg openings, and a side edge portion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 includes a plurality Are joined to each other in the side-joining region where the joining portions of the joining portions are located. In the side joint regions, the plurality of joint portions extend linear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078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2078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착용 물품은, 사이드 접합 영역의 허리 개구측에, 다른 구역에 비해 접합부의 이격 치수가 큰 제1 구역을 갖고 있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착용 조작에 있어서 착용 물품을 끌어올릴 때에, 제1 구역에 손가락을 걸어 끌어올림 조작을 하기 쉽다.The wearing articl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has, on the waist opening side of the side joining region, a first region having a larger separation distance than the other regions. In such a wearing article, when raising the article to be worn in the wearing operation, it is easy to lift the fingers in the first section.

그러나, 제1 구역에서는, 다른 구역에 비해 접합 강도가 약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찢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착용 조작에 있어서 찢어짐이 발생한 경우에, 사이드 접합 영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접합부를 따라, 앞뒤 허리 영역의 측가장자리부가 부주의하게 인열(引裂)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first zone, since the joining strength is weaker than that of the other zones, it is easy to cause tearing, and in the case where tearing occurs in the wearing operation, the joining region, which continuously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side joining reg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ide edges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re inadvertently torn.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개량으로서, 끌어올림 조작이 하기 쉽고, 앞뒤 허리 영역의 측가장자리부가 부주의하게 인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제공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osable wearing article which can be easily lifted up and prevented from inadvertently tearing the side edges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s an improvement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앞 허리 영역과, 뒤 허리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허리 개구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를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향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disposable wearing article comprising a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 a front waist region, a back waist region, a crotch region located betwee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 waist opening and a pair of leg openings.

상기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적어도 한쪽의 측가장자리부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합부가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 영역을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접합 영역은, 상기 허리 개구측에 위치하는 제1 구역을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와,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접합부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세로 방향의 이격 치수가 다른 구역에 비해 크고, 또한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상기 가랑이 영역측으로 경사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의 상기 가랑이 영역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상기 가랑이 영역측으로 경사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다.In the wearing article, at least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 is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 side bonding region where a plurality of bonding portions extending dis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located, and the side bonding region And a first reg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waist opening, wherein the joi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joining portion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second joining portion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third joint positioned between the joint and the second joint, wherein in the first joint, the first joint is larger than a region having a different spacing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joining portion and the third joining portion extend in a first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crotch region toward the first joining portion and the second joining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crotch region side from the out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and the third joint portion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 And does not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제1 구역에 있어서, 제1 접합부의 세로 방향의 이격 치수가 다른 구역에 비해 크기 때문에, 유연하고, 손가락을 걸어 끌어올림 조작이 하기 쉽다. 사용 후에는, 제1 접합부에 의해 사이드 접합 영역을 인열하기 쉽고, 착용 조작 시나 착용 중에는, 제2 및 제3 접합부에 의해, 사이드 접합 영역이 부주의하게 인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such a wearing article, since the length of the first join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arger than that in the other regions in the first region, it is flexible and easy to pull up the fingers. After use, the side joint regions are easily torn by the first joint portions, and the side joint regions are prevented from being inadvertently torn by the second and third joint portions during wearing operation or during wearing.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1 접합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3 접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1 열과, 상기 제1 열에 인접하여 상기 가랑이 영역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및 제3 접합부가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접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2 열이, 상기 세로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article to be worn, the first zone comprises a first row in which the first junction is disposed and in which the third junction is not disposed, and a second row adjacent to the first row, A plurality of second rows in which the second and third junctions are arranged and in which the first junctions are not arranged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제1 접합부를 따라 찢어짐이 발생한 경우에, 제2 열에 있어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및 제3 접합부에 의해 찢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wearing article, when tearing occurs along the first joint, tearing can be suppressed by the second and third joint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second row.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하나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열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first article, the first joint is disposed in the first row, and in the second row, the second joint and the third joint ar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제1 구역에 있어서의 부주의한 인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높다. In such a wearing article, the effect of preventing inadvertent tearing in the first area is high.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가 서로 동일하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first region, the first bonding portion and the third bonding portion have the same spacing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사이드 접합 영역의 유연성을 높이면서, 인열을 방지할 수 있다.In such a wearing article, tearing can be prevented while enhancing the flexibility of the side joint region.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의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는, 상기 제1 접합부의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보다 작다.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first region, the spacing dimension of the second join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of the first join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찢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높다. In such wearing articles, the effect of preventing tearing is high.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위치가 어긋나 있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first zone, the first junction, the second junction, and the third junction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가로 방향으로의 찢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such a wearing article, tear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접합 영역은, 상기 제1 접합부가 위치하는 내측 영역과, 상기 제2 접합부가 위치하는 외측 영역과, 상기 제3 접합부가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갖고, 적어도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ide joint region has an inner region in which the first joint portion is located, an outer region in which the second joint portion is located, and an intermediate region in which the third joint portion is located, In the first region, the inner region is elastically stretch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앞뒤 허리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벌어지기 쉬워져, 착용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외관으로 보아 접합부가 눈에 띄지 않게 되어, 미관이 향상된다.In such a wearing article,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tend to sprea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earing operation is easy. Also, the appearance of the joint is not conspicuous in appearance, and the appearance is improved.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은,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가장 많다.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ide joint region, the first region has the largest number of laminated sheet members.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허리 개구 근방에 있어서, 촉감을 양호하게 하여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In such a wearing artic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imulation by improving the feeling in the vicinity of the waist opening.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접합 영역은,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하여 상기 가랑이 영역측에 위치하고, 단위 면적당 상기 접합부의 비율이 상기 제1 구역에 비해 높은 제2 구역을 가지며, 상기 제2 구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3 접합부의 이격 치수는,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3 접합부의 이격 치수보다 작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ide bonding region is located on the crotch region side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and the ratio of the bonding portion per unit area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The spacing dimension of the third abutment portion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econd region is small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of the third abutment portion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사용 후에 있어서, 사이드 접합 영역을 인열하기 쉽다. 또한, 착용 조작 시나 착용 중에는, 사이드 접합 영역이 부주의하게 인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uch a wearing article tends to tear the side joint region after u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de joint region from being inadvertently torn during wearing or wearing.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구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 접합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 접합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econd zone, the third junction includes a first inclined joining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inclined joining portion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착용 시에 있어서 찢어짐을 방지하면서, 착용 물품의 사용 후에 사이드 접합 영역을 인열할 때에는, 찢어짐을 유도하여 인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In such a wearing article, when tearing the side joint region after use of the wearing article while preventing tearing at the time of wearing, it is easy to induce tearing and tear easily.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해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많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egion has a larger number of laminated sheet members than the lower end portion.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접합 강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In such a wearing article, fluctuation of the bonding strength can be suppressed.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접합 영역은,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가랑이 영역측에 위치하는 제3 구역을 더 갖고, 상기 제2 구역과 상기 제3 구역은, 적어도 상기 제3 접합부의 배치 패턴이 서로 상이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ide joint region further has a third zone located on the crotch region side than the second zone, and the second zone and the third zone have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joint The placement patter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부주의한 찢어짐을 방지하고, 또한, 폐기 처리에 있어서 사이드 접합 영역을 의도적으로 인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In such a wearing article, inadvertent tearing can be prevented, and the side joint region can be intentionally torn easily in the disposal process.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 영역을 갖고, 상기 탄성 영역 중,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이 위치하는 외측 탄성 영역은, 상기 제3 구역이 위치하는 내측 탄성 영역에 비해 소정 폭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이 낮다.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have elastic regions elastically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of the elastic regions, the outer elastic regions in which the first region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retching stress at a predetermined width is lower than that at the inner elastic region where the third zone is located.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제1 구역을 잡고 착용 물품을 끌어올림 조작이 하기 쉽다. In such a wearing article, it is easy to pull up the wearing article by holding the first section.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에 의하면, 끌어올림 조작이 하기 쉽고, 사이드 접합 영역이 부주의하게 인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osable wearing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operation is easy, and the side joint reg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advertently torn.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이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의 일례로서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각 탄성체의 최대 신장 시(탄성 재료의 수축 작용에 의한 개더가 없어질 정도)까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신장한 기저귀의 일부 파단 전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저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점 쇄선 IV로 둘러싼 영역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5의 (a)는 도 2의 Va-Va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 (b)는 도 2의 Vb-Vb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 (c)는 도 1의 일점 쇄선 IV로 둘러싼 영역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의 (a)는 도 4에 있어서 일점 쇄선 VIa로 둘러싼 영역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 (b)는 종래의 기저귀의 제1 구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있어서 일점 쇄선 VII로 둘러싼 영역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의 (a)는 도 4에 있어서 일점 쇄선 VIIIa로 둘러싼 영역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 (b)는 도 4에 있어서 일점 쇄선 VIIIb로 둘러싼 영역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다.
The drawings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nclude optional and preferred embodiments as well as essential features of the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diaper shown as an example of a disposable wearing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ly enlarged plan view of a diaper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up to the maximum elongation of the respective elastic members (to the extent that the gathers due to the shrinking action of the elastic material are eliminat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aper shown in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area surrounded by the one-dot chain line IV in Fig.
FIG. 5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Va-Va in FIG. 2, FIG. 5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Vb-Vb in FIG. 2, Fig.
Fig. 6 (a)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area surrounded by the one-dot chain line VIa in Fig. 4, and Fig. 6 (b) is a view showing a first region of a conventional diaper.
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area surrounded by the one-dot chain line VII in FIG.
FIG. 8A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area surrounded by the one-dot chain line VIIIa in FIG. 4. FIG. 8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area surrounded by the one-dot chain line VIIIb in FIG.

하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인 도 1~8에 도시된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이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후술하는 각 탄성체는, 그 수축력에 대항하여,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으로의 수축력에 의해 각 탄성체가 부착된 부재에 발생한 개더가, 자연스러운 시각에 의해 실질적으로 없어진 것처럼 보일 정도로까지 신장된 상태에 있다. 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the disposable wearing article shown in Figs. 1 to 8, which is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 not only indispensable constitution of the invention, but also optional and preferable constitutions. 2 and 3, gathers formed on members having respective elastic members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contractive for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gainst the contractive force thereof, To the extent that it appears to have substantially disappeared.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의 일례인 일회용 기저귀(10)는, 세로 방향(Y) 및 그것에 교차(직교)하는 가로 방향(X)과,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의 피부 비대향면과,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를 이등분하는 종축(P)과,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이등분하는 횡축(Q)을 가지며, 종축(P)에 대해 거의 대칭이고, 앞 허리 영역(11)과, 뒤 허리 영역(12)과, 앞 허리 영역(11) 및 뒤 허리 영역(12)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13)을 포함한다. 1 to 3, a disposable diaper 10, which is an example of a disposable wearing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a lateral direction X intersecting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X) and a transverse axis (Q) bisecting the longitudinal dimens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is substant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P) And a crotch region 13 located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the back waist region 12 and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the back waist region 12. [

기저귀(10)는, 베이스 형태를 이루는 섀시(14)를 포함하고, 섀시(14)는, 가랑이 영역(13)을 획정(劃定)하는 양측 가장자리부가 오목한 만곡 형상을 갖는다. 앞 허리 영역(11)의 전측 가장자리부(11a, 11b)와 뒤 허리 영역(12)의 후측 가장자리부(12a, 12b)는, 기저귀(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겹쳐지고, 세로 방향(Y)으로 불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접합부(30)가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 영역(22)을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후측 가장자리부(11a, 11b, 12a, 12b)가 연결됨으로써, 허리 개구(23) 및 한 쌍의 다리 개구(24)가 획정된다. 접합부(30)에서는, 예컨대,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한 엠보스·데보스 가공 등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서로 중첩되는 시트끼리가 융착된다.The diaper 10 includes a chassis 14 that is in the form of a base and the chassis 14 has a concave curved shape with both side edge portions defining the crotch region 13. The front side edge portions 11a and 11b of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the back side edge portions 12a and 12b of the back waist region 12 are overlapp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aper 10, Are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a side joint region (22) where the joint portions (30) extending discontinuously to the center (Y) are located. By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ide edge portions 11a, 11b, 12a, and 12b in this manner, the waist opening 23 and the pair of leg openings 24 are defined. In the joining portion 30, sheets overlapping each other are fused together by known means such as embossing or debossing by heat or ultrasonic waves.

<섀시><Chassis>

섀시(14)는, 피부 대향면에 위치하고, 앞뒤 허리 영역(11, 12) 및 가랑이 영역(13)을 일련(一連)으로 획정하는 섬유 부직포제의 베이스 시트(25)와,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이격 대향하는, 섬유 부직포제의 앞 허리 시트(26) 및 뒤 허리 시트(27)와, 베이스 시트(25)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가랑이 영역(13)으로부터 앞뒤 허리 영역(11, 12)으로 연장되는 흡액(吸液) 구조체(15)를 포함한다. The chassis 14 includes a base sheet 25 made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and positioned on the skin facing surface and defining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and the crotch region 13 as a series, A front waist sheet 26 and a back waist sheet 27 made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a back waist covering member 27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base sheet 25 opposite to the skin and facing the crotch region 13, To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12).

베이스 시트(25)는,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이격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端)가장자리(25a, 25b)와,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이격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25c, 25d)를 갖는다. 양측 가장자리(25c, 25d)는, 앞뒤 허리 영역(11, 12)에 있어서의 직선형 부위와, 가랑이 영역(13)에 있어서, 종축(P)을 향해 뒤 허리 영역(12)측으로부터 앞 허리 영역(11)측으로 보다 깊게 볼록하게 만곡하는 만곡형 부위로 형성된다.The base sheet 25 has first and second end edges 25a and 25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opposite side edges 25c and 25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X ). The side edges 25c and 25d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and a front waist region 12 in the crotch region 13 toward the vertical axis P 11) side in a curved shape.

앞 허리 시트(26)는, 앞 허리 영역(11)과 가랑이 영역(13)의 일부를 형성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며,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중간 내단(內端) 가장자리(26a) 및 외단 가장자리(26b)와,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외측 가장자리(26c, 26d)와, 양 외측 가장자리(26c, 26d)와 중간 내단 가장자리(26a)를 연결하는 양측 내단 가장자리(26e, 26f)로 형성된다. 양측 내단 가장자리(26e, 26f)는, 외측 가장자리(26c, 26d)로부터 가로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부위와, 상기 직선형 부위로부터 중간 내단 가장자리(26a)로 연장되는 만곡형 부위를 갖는다. 앞 허리 시트(26)는, 허리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8)를 갖는다. 절곡부(28)는, 베이스 시트(25)의 내면에 흡액 구조체(15)가 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시트(25)의 제1 단가장자리(25a)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고, 베이스 시트(25) 및 흡액 구조체(15)의 피부 대향면에 고정된다. The front waist sheet 26 has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that forms a part of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the crotch region 13 and has an inner end edge 26a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X, 26f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two side inner edges 26e and 26f connecting the two outer edges 26c and 26d and the middle inner edge 26a, . Each of the inner end edges 26e and 26f has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linearly in the lateral direction X from the outer edges 26c and 26d and a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straight portion to the middle inner edge 26a . The front waist sheet 26 has a bent portion 28 bent inward along the waist opening edge. The bent portion 28 is bent inward along the first end edge 25a of the base sheet 25 in a state where the liquid absorbing structure 15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sheet 25 and the base sheet 25 ) And the liquid-absorbing structure (15).

뒤 허리 시트(27)는, 뒤 허리 영역(12)과 가랑이 영역(13)의 일부를 형성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며,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중간 내단 가장자리(27a) 및 외단 가장자리(27b)와, 외단 가장자리(27b)로부터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외측 가장자리(27c, 27d)와, 양 외측 가장자리(27c, 27d)와 중간 내단 가장자리(27a)를 만곡형으로 연결하는 양측 내단 가장자리(27e, 27f)로 형성된다. 뒤 허리 시트(27)는, 허리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9)를 갖는다. 절곡부(29)는, 베이스 시트(25)의 내면에 흡액 구조체(15)가 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시트(25)의 제2 단가장자리(25b)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고, 베이스 시트(25) 및 흡액 구조체(15)의 피부 대향면에 고정된다. The back waist sheet 27 has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that forms a part of the waist region 12 and the crotch region 13 and has an intermediate inner end edge 27a and an outer end edge 27b, Two outer side edges 27c and 27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from the outer end edge 27b and two outer side edges 27c and 27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from the outer end edge 27b to both the inner end edges 27c and 27d and the middle inner end edge 27a, (27e, 27f). The back waist sheet (27) has a bend (29) bent inward along the waist opening edge. The bent portion 29 is bent inward along the second end edge 25b of the base sheet 25 in a state where the liquid absorbing structure 15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sheet 25, ) And the liquid-absorbing structure (15).

베이스 시트(25) 및 앞뒤 허리 시트(26, 27)로서는, 질량이 약 10~40 g/㎡이고, 섬유 밀도가 약 0.03~0.10 g/㎤인, 예컨대,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 S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플라스틱 시트, 또는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 시트(25)로서 질량 약 10~18 g/㎡, 바람직하게는 질량 약 15 g/㎡의 SMS 섬유 부직포, 앞뒤 허리 시트(26, 27)로서 질량 약 15~25 g/㎡, 바람직하게는 질량 약 20 g/㎡의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앞뒤 허리 시트(26, 27)의 외면에는, 옵션으로서 격자형의 엠보스·데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 요철의 모양이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랑이 영역(13)의 중앙부(13C)가 베이스 시트(25)만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복수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The base sheet 25 and the front and back waist seats 26 and 27 may be made of a spunbond fiber nonwoven fabric having a mass of about 10 to 40 g / m 2 and a fiber density of about 0.03 to 0.10 g / Meltblown spunbond) fiber nonwoven fabric, air-through nonwoven fabric, plastic sheet, or laminate sheet of these. In this embodiment, as the base sheet 25, an SMS fibrous nonwoven fabric having a mass of about 10 to 18 g / m 2, preferably about 15 g / m 2, and a front and aft waist sheet 26, 27 having a mass of about 15 to 25 g / M &lt; 2 &gt;, preferably about 20 g / m &lt; 2 &gt;, can be used as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The outer surfaces of the front and back waist seats 26 and 27 are optionally embossed and debossed in a lattice shape, and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and recesses is arrang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ral portion 13C of the crotch region 13 is formed of only the base sheet 25, but it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heet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앞 허리 시트(26)와 베이스 시트(25) 사이에는, 앞 허리 영역(11)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앞 허리 탄성체(41)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된다. 뒤 허리 시트(27)와 베이스 시트(25) 사이에는, 뒤 허리 영역(12)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뒤 허리 탄성체(42)와, 뒤 허리 영역(12)으로부터 가랑이 영역(13)을 향해 만곡형으로 연장되는 둔부 탄성체(43)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된다. 앞뒤 허리 영역(11, 12)은, 앞뒤 허리 탄성체(41, 42)가 배치됨으로써,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앞뒤 허리 탄성 영역(45, 46)을 갖는다. 또한, 뒤 허리 영역(12) 및 가랑이 영역(13)에는, 둔부 탄성체(43)가 배치됨으로써 둔부 탄성 영역(47)이 형성된다. 2 and 3, a front waist elastic body 41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 in the front waist region 11 is stretched between the front waist sheet 26 and the base sheet 25 in a stretched state And is shrinkably attached. A back waist elastic body 42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X in the back waist region 12 and a waist elastic body 42 extending from the back waist region 12 to the crotch region 13 The hindlimb elastic body 43 extending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hindlimb elastic body 43 is shrinkably attached in a stretched state.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have front and back waist elastic regions 45 and 46 that are elastically stretchable by disposing the front and back waist elastic members 41 and 42. The buttocks elastic region 47 is formed by arranging the hip elastic members 43 in the back waist region 12 and the crotch region 13.

앞뒤 허리 탄성체(41, 42)는,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탄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앞뒤 허리 탄성체(41, 42)는, 섬도가 약 470~940 dtex이고, 세로 방향(Y)으로 서로 약 5~20 ㎜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뒤 외측 탄성 영역(45A, 46A)에 배치된 앞뒤 허리 탄성체(41, 42)는, 섬도가 약 620 dtex, 신장 배율이 약 2.2~2.8배이고, 세로 방향(Y)으로 약 6 ㎜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앞뒤 내측 탄성 영역(45B, 46B)에 배치된 앞뒤 허리 탄성체(41, 42)는, 섬도가 약 470~940 dtex, 신장 배율이 약 2.2~2.8배이고, 세로 방향(Y)으로 약 5.0~15.0 ㎜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둔부 탄성체(43)는, 섬도가 약 500~800 dtex이고, 신장 배율이 약 1.1~2.5배로 신장된 복수 개의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탄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The front and back waist elastic members 41 and 42 can be formed of a string-like or strand-shaped elastic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and back waist elastic members 41 and 42 are arranged with a fineness of about 470 to 940 dtex and spaced about 5 to 20 mm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 The front and back waist elastic members 41 and 42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outer elastic regions 45A and 46A have a fineness of about 620 dtex and an elongation magnification of about 2.2 to 2.8 times, 6 mm apart. The front and back waist elastic members 41 and 42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inner elastic regions 45B and 46B are formed to have a fineness of about 470 to 940 dtex and an elongation magnification of about 2.2 to 2.8, 15.0 mm apart. The hippocampal elastic body 43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tring-shaped or strand-shaped elastic materials stretched at an elongation magnification of about 1.1 to 2.5 times with a fineness of about 500 to 800 dtex.

<앞뒤 허리 탄성 영역> <Front and back waist elastic region>

도 2를 참조하면, 앞 허리 탄성 영역(45)은, 허리 개구(23)측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앞 외측 탄성 영역(45A)과, 가랑이 영역(13)측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앞 내측 탄성 영역(45B)을 갖는다. 뒤 허리 탄성 영역(46)은, 허리 개구(23)측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뒤 외측 탄성 영역(46A)과, 가랑이 영역(13)측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뒤 내측 탄성 영역(46B)을 갖는다. 앞 외측 탄성 영역(45A)과 뒤 외측 탄성 영역(46A), 및 앞 내측 탄성 영역(45B)과 뒤 내측 탄성 영역(46B)은, 각각,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 외측 탄성 영역(45A)의 소정 폭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은, 앞 내측 탄성 영역(45B)의 소정 폭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보다 낮게 되어 있고, 뒤 외측 탄성 영역(46A)의 소정 폭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은, 뒤 내측 탄성 영역(46B)의 소정 폭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보다 낮게 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 소정 폭이란, 각 탄성 영역의 신장 응력을 비교할 수 있을 정도의 폭 치수(세로 방향(Y)의 치수)를 말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20 ㎜ 폭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을 비교하고 있다.2, the front waist elastic region 45 includes a front outer elastic region 45A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X on the side of the waist opening 23 and a front elastic region 45A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X on the crotch region 13 side. And an anterior medial elastic region 45B extending to the distal end X. [ The back waist elastic region 46 has a rear outer elastic region 46A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X on the side of the waist opening 23 and a rear elastic region 46A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X on the crotch region 13 side And a rear inner elastic region 46B. The front outer elastic region 45A and the back outer elastic region 46A and the front inner elastic region 45B and the back inner elastic region 46B are positioned facing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wearing state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ongation stress at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front outer elastic region 45A is lower than the elongation stress at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front inner elastic region 45B, The extension stress at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back inner elasticity region 46B is lower than the extension stress at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back inner elasticity region 46B. Here, the predetermined width refers to a width dimension (dimens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sufficient to compare elongation stresses of the respective elastic reg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later, elongation stress at a width of 20 mm .

<흡액 구조체>&Lt; Absorption structure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흡액 구조체(15)는, 세로 방향(Y)으로 이격 대향하여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15a) 및 후단 가장자리(15b)와,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이격 대향하여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15c, 15d)를 가지며, 전단부(16A)와, 후단부(16B)와, 전후 단부(16A, 16B)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16C)를 갖는다. 흡액 구조체(15)는,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투액성(透液性)을 갖는 섬유 부직포제의 신체측 라이너(50)와, 만곡형의 양측 가장자리를 갖는 흡액성의 흡수체(51)와, 한 쌍의 배리어 커프 시트(52)와, 누설 방지 시트(53)를 포함한다. 흡수체(51)는, 예컨대, 플러프 펄프와, 흡수성 폴리머 입자 등의 혼합물로 형성된 흡액성 코어와, 흡액성 코어 전체를 포피(包被)하는 티슈페이퍼 등의 액 흡수 확산성의 코어랩 시트를 포함한다. 흡액성 코어는, 앞 허리 영역(11)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와, 전단 가장자리와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이격 대향하고, 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후단 가장자리를 갖는다. 신체측 라이너(50)와 배리어 커프 시트(52) 및 누설 방지 시트(53)는, 흡액성 코어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엔드 플랩을 형성한다. 흡액 구조체(15)와 베이스 시트(25)는, 이들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한쪽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으로 형성된 접합 영역(60)을 통해 서로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합 영역(60)은,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이격된 복수의 접합 부위로 구성되어 있으나, 흡액 구조체(15)의 이면 전체를 접합하도록 연속된 접합 영역이어도 좋다. 2 and 3, the liquid absorbing structure 15 includes a front end edge 15a and a rear end edge 15b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X And a rear end portion 16B and a front end portion 16A and a rear end portion 16B loca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s 16A and 16B and having side edges 15c and 15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16C). The absorbing structure 15 includes a body side liner 50 made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having liquid permeability and a liquid absorbing absorbent 51 having curved both side edges, A pair of barrier cuff sheets 52, and a leakage preventing sheet 53. The absorbent body 51 includes, for example, a liquid absorbent core lap sheet such as fluff pulp, a liquid-absorbent core formed of a mixture of absorbent polymer particles and the like, and a tissue paper encapsulating the entire liquid-absorbent core do. The liquid-absorbent core has a front edg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X) in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a front edg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 in the back waist region And has an extended trailing edge. The body side liner 50, the barrier cuff sheet 52 and the leakage preventing sheet 53 form an end flap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from the front edge and the rear edge of the liquid-absorbent core, respectively. The liquid absorbing structure 15 and the base sheet 25 ar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 bonding region 60 formed by a known bonding means such as a hot melt adhesiv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se opposing fac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nding region 6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nding portion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but may be a continuous bonding region to bond the entire back surface of the liquid absorbing structure 15.

한 쌍의 배리어 커프 시트(52)는, 둘로 접혀져 내면을 서로 고정한 것이며, 신체측 라이너(50)의 피부 대향면에 고정된,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이격 대향하는 앞 고정부 및 뒤 고정부와,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고정측 가장자리부(52b)와, 고정측 가장자리부(52b)로부터 가로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는 자유측 가장자리부(52a)를 갖는다. 배리어 커프 시트(52)의 자유측 가장자리부(52a) 내에는,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커프 탄성체(57)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된다. 커프 탄성체(57)가 수축함으로써, 자유측 가장자리부(52a)가 신체측 라이너(50)로부터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이격되어, 체액의 가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누설 방지 커프가 형성된다. 누설 방지 시트(53)는,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불투액성이며 투습성의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흡수체(51)의 하면의 거의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흡액 구조체(15)의 피부 비대향면(바닥면)측으로부터 체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pair of barrier cuff sheets 52 are folded in two to fix their inner surfaces to each other. The pair of barrier cuff sheets 52 are fixed to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body side liner 50, A fixed side edge portion 52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a free side edge portion 52a located inside the transverse direction X from the fixed side edge portion 52b. A cuff elastic body 57 made of a string or strand elastic material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provided in the free side edge portion 52a of the barrier cuff sheet 52 so as to contract do. The cuff elastic body 57 is contracted so that the free side edge portion 52a is spaced from the body side liner 50 toward the wearer's body side to form a pair of leak-barrier cuffs for preventing lateral leakage of body fluids. The leak-barrier sheet 53 is made of a liquid-impervious fibrous nonwoven fabric, a liquid-impervious, moisture-permeable plastic film or a laminate sheet of these, and is arranged to cover at least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absorber 51, (Bottom surface) side of the skin 15 to prevent the body fluid from leaking.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뒤 허리 영역(11, 12) 및 가랑이 영역(13)은, 베이스 시트(25)에 의해 일련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후술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에 있어서, 앞뒤 허리 영역(11, 12) 및 가랑이 영역(13)을 별체(別體)의 패널, 예컨대, 앞 허리 패널, 뒤 허리 패널 및 가랑이 패널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12 and the crotch region 13 are formed in series by the base sheet 25, but as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are exhibited, The waist regions 11 and 12 and the crotch region 13 may be formed by separate panels such as a front waist panel, a back waist panel and a crotch panel.

<사이드 접합 영역><Side Joint Area>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양측 가장자리부는, 사이드 접합 영역(22)을 통해 연결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 영역(22) 중 한쪽의 측가장자리부의 사이드 접합 영역(2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지만, 다른쪽의 측가장자리부의 사이드 접합 영역(22)도 동일한 특징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양측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 영역(22) 중 적어도 한쪽의 측가장자리부가, 이러한 사이드 접합 영역(22)의 특징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사이드 접합 영역(22)은, 각각, 세로 방향(Y)에 있어서, 편의상, 제1~제4 구역(64, 65, 66, 67)으로 구분된다. 각 구역에 있어서, 사이드 접합 영역(22)은, 가로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영역(61)과,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62)과, 내외측 영역(61, 6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63)을 갖는다. 사이드 접합 영역(22)에 위치하는 접합부(30)는, 내측 영역(61)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31)와, 외측 영역(62)에 위치하는 제2 접합부(32)와, 중간 영역(63)에 위치하는 제3 접합부(33)를 갖는다. 제1, 제2 및 제3 접합부(31, 32, 3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1 and 4, both side edges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are connected through the side joint regions 22. [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side joint region 22 of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side joint regions 22 located at both side edges of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12 will be described below. However, The side bonding region 22 also has the same characteristic structure. At least one of the side edge regions of the side junction regions 22 located on both side edge portions may have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such side junction regions 22. [ The side junction regions 22 are divided into first to fourth regions 64, 65, 66 and 67 for convenie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respectively. In each zone, the side junction region 22 includes an inner region 61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X, an outer region 62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X, And an intermediate region 63 located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61 and 62. The bonding portion 30 located in the side bonding region 22 includes a first bonding portion 31 located in the inner region 61, a second bonding portion 32 located in the outer region 62, And a third joint 33 located at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joint 63. The first, second, and third joints 31, 32, 3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구역(64)은, 허리 개구(23)측에 위치하고, 제1 접합부(31)의 세로 방향(Y)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R1)가 다른 구역(65, 66, 67)에 비해 크다. 여기서 세로 방향(Y)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란,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접합부(30) 사이에 위치하는 비접합부의 세로 방향(Y)의 거리를 말한다. 제2 구역(65)은, 제1 구역(64)과 인접하여 가랑이 영역(13)측에 위치하고, 제3 구역(66)은, 제2 구역(65)과 인접하여 가랑이 영역(13)측에 위치한다. 제4 구역(67)은, 제1 구역(64)과 허리 개구(23) 사이에 위치한다. 각 구역(64~67)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접합부(31, 32, 33)의 각각은, 접합부(30)의 면적이 거의 동일해지도록,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고 있다.The first region 64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waist opening 23 and the distance R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first joint portion 31 is larger than the other regions 65, . Here, the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refers to the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non-joint portion located between the adjacent joint portions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The second zone 65 is located on the crotch region 13 side adjacent to the first zone 64 and the third zone 66 is located on the crotch region 13 side adjacent to the second zone 65 Located. The fourth zone 67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zone 64 and the waist opening 23. In each of the sections 64 to 67,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joint sections 31, 32, and 33 has substantially the same size so that the joint sections 30 have substantially the same area.

도 6을 참조하면, 제1 구역(64)에 있어서, 제1 접합부(31)는, 가로 방향(X)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가랑이 영역(13)측으로 경사지는 제1 방향(M)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및 제3 접합부(32, 33)는,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가랑이 영역(13)측으로 경사지는 제2 방향(N)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1 구역(64)에 있어서, 제1 접합부(31)는 제2 방향(N)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고, 제2 및 제3 접합부(32, 33)는, 제1 방향(M)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다. 6, in the first region 64, the first joint portion 31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M, which is inclin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transverse direction X toward the crotch region 13 side . The second and third joint portions 32 and 33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N from the out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X toward the inside toward the crotch region 13 side. In the first region 64,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31 and 32 do not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N and the second and third joint portions 32 and 33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M It is not extended.

제1 방향(M)과 횡축(Q)의 교각(交角)(교각 중, 값이 작은 쪽의 각도)(θ1)의 값은, 0도<θ1<90도의 범위이며, 5도≤θ1≤45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방향(N)과 횡축의 교각(θ2)의 값은, 0도<θ2<90도의 범위이며, 5도≤θ2≤45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접합부(31, 32, 33)는, 각각 직사각형 형상이지만,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방향(M) 또는 제2 방향(N)으로 긴 형상이면 되고, 예컨대, 타원형 형상 등이어도 좋다.The value of the intersection angle (the angle of the smaller one of the piers)? 1 between the first direction M and the transverse axis Q is in the range of 0 degree <? 1 <90 degrees, and 5 degrees? Is more preferable. Further, the value of the piercing angle? 2 between the second direction N and the abscissa is in the range of 0 degree <? 2 <90 degrees, more preferably 5 degrees?? 2? 45 degrees. Alth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joint portions 31, 32 and 33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each rectangular,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joint portions 31, And may be, for example, an oval shape or the like.

제1 구역(64)은, 편의상,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제1 접합부(31)가 배치되는 제1 열(71)과, 제1 열(71)과 인접하여 가랑이 영역(13)측에 위치하고, 제3 접합부(33)가 배치되는 제2 열(72)을 가지며, 제1 및 제2 열(71, 72)은, 세로 방향(Y)으로 복수 배치되어 제1 구역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제1 열(71)의 세로 방향(Y)의 치수(D1)는, 제1 접합부(31)의 세로 방향(Y)의 치수와 동일하고, 이러한 제1 열(71)에는, 제3 접합부(33)가 비배치이다. 제2 열(72)의 세로 방향(Y)의 치수(D2)는, 제1 열(71)의 하단으로부터 제3 접합부(33)의 하단까지의 치수와 동일하고, 이러한 제2 열(72)에는, 제1 접합부(31)가 비배치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접합부(32)가 배치된다. 한편, 제2 열(72)에 배치되는 제2 접합부(32)는, 제1 열(71)과 제2 열(72)에 걸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열(71)에는, 하나의 제1 접합부(31)가 배치되어 있고, 제2 열(72)에는, 하나의 제2 및 제3 접합부(32, 33)가 제2 방향(N)으로 직선형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The first zone 64 is formed by a first row 71 in which the first joining portion 31 is disposed and a second row 71 in which the first joining portion 31 is disposed, And a second row 72 in which the third junctions 33 are disposed and the first and second rows 71 and 72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to form a first zone . On the other hand, the dimension D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first row 71 is equal to the dimens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first joint portion 31. In this first row 71, The joint 33 is not disposed. The dimension D2 of the second row 7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the same as the dimens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row 71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joining portion 33. In this second row 72, , The first bonding portion 31 is not disposed and at least one second bonding portion 32 is dispos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joint portion 32 disposed in the second row 72 may be disposed over the first row 71 and the second row 72. [ In this embodiment, one first joint portion 31 is disposed in the first row 71, and one second and third joint portions 32 and 33 are provided in the second row 72,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wo directions (N).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제2 열(72)과 인접하여 가랑이 영역(13)측에 위치하고, 제2 접합부(32)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3 열(73)을 갖는다. 제3 열(73)은 또한 제1 열(71)과 인접하고, 제1~제3 열(71~73)이 세로 방향(Y)으로 복수 배치되어, 제1 구역(64)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제3 열(73)에 배치되는 제2 접합부(32)는, 제1 열(71)에 걸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구역(64)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접합부(31, 32, 33)는,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위치가 어긋나 있다(즉, 각 접합부의 상단이 가로 방향(X)으로 늘어서 있지 않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the third row 73 (the third row)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joint portion 32 is disposed is disposed on the crotch region 13 side adjacent to the second row 72, ). The third column 73 is also adjacent to the first column 71 and the first to third columns 71 to 73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to form the first section 64 .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joining portion 32 disposed in the third row 73 may be disposed over the first row 71. [ In the first region 64, the first, second and third joint portions 31, 32 and 33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that is, X).

제1 구역(64)에 있어서, 제1 접합부(31)의 세로 방향(Y)의 이격 치수(R1)와, 제3 접합부(33)의 세로 방향(Y)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R3)는, 거의 동일하고, 제2 접합부(32)의 세로 방향(Y)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R2)는, 제1 접합부(31)의 이격 치수(R1)보다 작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3 접합부(31, 33)의 이격 치수(R1, R3)는, 약 3.0~10.0 ㎜이고, 제2 접합부(32)의 이격 치수(R2)는, 약 1.0~5.0 ㎜이다. The separation dimension R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first joint portion 31 and the separation dimension R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third joint portion 33 in the first region 64 are And the spacing dimension R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second joint portion 32 is small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R1 of the first joint portion 3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acing dimensions R1 and R3 of the first and third bonding portions 31 and 33 are about 3.0 to 10.0 mm and the spacing dimension R2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32 is about 1.0 To 5.0 mm.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앞뒤 허리 탄성체(41, 42)는, 사이드 접합 영역(22)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고, 제1~제4 구역(64~67) 중, 적어도 제1 구역(64)의 내측 영역(61)은, 가로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도록 앞뒤 허리 탄성 영역에 겹쳐져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구역의 내측 영역(61)으로부터 외측 영역(62)에 걸쳐 가로 방향(X)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2, 제3 및 제4 구역(65, 66, 67)에 있어서도, 적어도 내측 영역(61)이 가로 방향(X)으로 신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4 and 5, the front and back waist elastic members 41 and 42 extend to the outer edge of the side joint region 2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o fourth regions 64 to 67, The inner region 61 of the elastic member 64 is overlapped with the front and rear waist elastic zones so as to be elastically stretch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X. [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contract in the lateral direction X from the inner region 61 to the outer region 62 of the first region.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referable that at least the inner region 61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X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regions 65, 66 and 67 as well.

도 5(a)~(c)를 참조하면, 제1 구역(64) 및 제4 구역(67)에서는, 앞뒤 허리 영역(11, 12)에 있어서의 베이스 시트(25), 피부 비대향면을 형성하는 앞 허리 시트(26), 앞 허리 시트(26)의 절곡부(28), 피부 비대향면을 형성하는 뒤 허리 시트(27), 및 뒤 허리 시트(27)의 절곡부(29)가 적층된 상태로 용착되어 있고,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가장 많게 되어 있다. 제2 구역(65)은,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변화하는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 예에 있어서, 제2 구역(65)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는, 상단부(65A)에서는 6장, 하단부(65B)에서는 4장, 중간부(65C)에서는 5장으로 되어 있다. 제3 구역(66)에서는,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다른 구역에 비해 적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비교적 많은 제1 및 제4 구역(64, 67)에서는, 쿠션성이 높아져, 착용자가 자극을 느끼기 쉬운 허리 개구(23) 근방에 있어서, 촉감을 양호하게 하여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5 (a) to 5 (c), in the first region 64 and the fourth region 67, the base sheet 25 in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12, the skin non- The front waist sheet 26 forming the front waist sheet 26 and the back waist sheet 27 forming the skin non-opposing face and the bent portions 29 of the back waist sheet 27 They are welded in a laminated state, and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s is the largest. The second area 65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s of the sheet member change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 members in the second region 65 is six in the upper end portion 65A, four in the lower end portion 65B, and five in the middle portion 65C. In the third zone 66, the number of stacked sheet members is smaller than in the other zones. In the first and fourth sections 64 and 67, in which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 members is relatively large, the cushioning property is enhanced and the wearer feels a good feeling in the vicinity of the waist opening 23, can do.

도 6(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저귀(100)에 있어서는, 사이드 접합 영역(22)의 내측 영역으로부터 외측 영역에 걸쳐, 접합부(130)가 가로 방향(X)으로 연속적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사이드 접합 영역(22)에 있어서 시트 부재에 찢어짐이 발생한 경우, 비접합부(비용착부)에 있어서 시트 부재가 접합부(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찢어지기 쉬워진다. 종래의 기저귀(100)에서는, 접합부(130)를 따라 일방향(즉 가로 방향(X))으로 시트 부재가 찢어지기 쉽고, 상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는 접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찢어짐을 억제할 수 없어,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측가장자리부가 부주의하게 인열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6B, in the conventional diaper 100, the joint portion 130 extends continuously from the inner side region to the outer side side of the side joint region 22 linearly in the lateral direction X have. When the sheet member tears in the side joint region 22, the sheet member tends to be torn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joint portion 130 in the non-joined portion (non-bonded portion). In the conventional diaper 100, the sheet member tends to tear in one direction (that is, in the lateral direction X) along the joining portion 130, and no join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joining portion 130, So that the side edges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12 may be inadvertently torn.

도 6(a)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0)는, 제1 구역(64)에 있어서 제1 접합부(31)의 이격 치수(R1)가 다른 구역에 비해 크기 때문에, 사이드 접합 영역(22)의 내측 영역(61)의 유연성이 높아, 착용 조작에 있어서 제1 구역(64)에 손가락을 걸어 기저귀(10)를 끌어올리기 쉽다. 또한, 기저귀(10)의 끌어올림 조작 시에, 제1 구역(64)에 있어서 제1 접합부(31) 근방에서 찢어짐이 발생한 경우에, 제1 접합부(31)에 대해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제1 방향(M)과 교차하는 제2 방향(N)으로 연장되는, 제2 및/또는 제3 접합부(32, 33)에 의해 찢어짐이 억제되어,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측가장자리부가 부주의하게 인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접합부(31, 32, 33)는, 각각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방향(X)으로의 찢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6A, in the diap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pacing dimension R1 of the first abutment portion 31 in the first region 64 is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regions, The flexibility of the inner region 61 of the diaper 10 is high and it is easy to pull the diaper 10 by pulling the finger in the first region 64 in the wearing operation. When the tearing occurs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abutment 31 in the first region 64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diaper 10, the outer side of the first abutment 3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 Tearing is suppressed by the second and / or third joint portions 32, 33 which are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M and which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advertently torn. Further, 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joint portions 31, 32, 33 are arranged so as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tearing in the lateral direction X have.

또한, 제1 열(71)에 배치된 하나의 제1 접합부(31)에 대해, 제1 열(71)에 인접하는 제2 열(72)에서는, 제2 및 제3 접합부(32, 33)가 하나씩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 제1 방향(M)으로 연장되는 접합부(30)의 길이 치수(즉, 제1 접합부(31)의 길이 치수)보다, 제2 방향(N)으로 연장되는 접합부(30)의 길이 치수(즉, 제2 및 제3 접합부(32, 33)의 길이 치수의 합) 쪽이 길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접합부(31)의 이격 치수(R1)를 비교적 크게 해도, 찢어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열(73)에 있어서, 제2 접합부(32)가 배치됨으로써, 부주의한 찢어짐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In the second row 72 adjacent to the first row 71, the second and third junctions 32 and 33 are formed in the first row 31 disposed on the first row 71, Of the joint portions 3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M and the joint portions 30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N are arrang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s of the joint portions 3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M (I.e.,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second and third joints 32, 33). Therefore, even if the spacing dimension R1 of the first joint portion 31 is relatively large, tearing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econd joint portion 32 is disposed in the third row 73, inadvertent tearing can be further suppressed.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제1 구역(64)에서는, 제1 접합부(31)의 이격 치수(R1)와, 제3 접합부(33)의 이격 치수(R3)가 거의 동일하고, 제3 접합부(33)의 이격 치수(R3)가 비교적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접합 영역(22)의 유연성이 높다. 또한, 제1 및 제3 접합부(31, 33)보다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접합부(32)의 이격 치수(R2)는, 제1 접합부(31)의 이격 치수(R1)보다 작기 때문에, 사이드 접합 영역(22)의 외측 영역(62)에서는 접합 강도를 높여, 부주의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in the first region 64, the spacing dimension R1 of the first joint portion 31 and the spacing dimension R3 of the third joint portion 33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third joint portion 33 Is relatively large, the flexibility of the side joint region 22 is high. The spacing dimension R2 of the second joint portion 32 located outside the first and third joint portions 31 and 33 in the lateral direction X is larg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R1 of the first joint portion 3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in the outer region 62 of the side joint region 22 and to prevent inadvertent tearing.

사용 후의 기저귀(10)를 폐기 처리하는 경우, 사이드 접합 영역(22)은 의도적으로 인열된다. 이러한 폐기 조작에 있어서, 사이드 접합 영역(22)의 허리 개구(23)측의 단부에는, 내측 영역(61)으로부터 외측 영역(62)으로, 세로 방향(Y)의 내측을 향하도록 인장력(F)이 작용되고(도 4 참조), 사이드 접합 영역(22)은, 이러한 힘(F)에 의해 찢어지기 쉽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0)에서는, 내측 영역(61)에 배치된 제1 접합부(31)가, 인장력(F)의 작용 방향과 평행하도록 제1 방향(M)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폐기 조작에 있어서 사이드 접합 영역(22)을 인열하기 쉽게 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접합 영역(22)을 인열하여 기저귀(10)를 폐기하는 경우, 가장 허리 개구(23)측의 구역에 있어서 접합 강도가 약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착용 조작 시나 착용 중에 있어서, 사이드 접합 영역(22)의 세로 방향(Y)의 양단부는, 외력이 집중되어 찢어짐이 발생하는 기점이 되기 쉽기 때문에, 가장 허리 개구(23)측에 위치하는 제4 구역(67)에서는, 국소적으로 접합 강도를 높게 하여, 부주의한 찢어짐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제4 구역(67)에 있어서, 내측 영역(61)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31)는, 제1 방향(M)으로 연장되어 있다. When the used diaper 10 is discarded, the side joint region 22 is intentionally torn. A tensile force F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side joint region 22 on the side of the waist opening 23 from the inner region 61 to the outer region 62 and toward the in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See Fig. 4),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joint regions 22 are easily torn by such a force F. Fig. Since the first joint portion 31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61 is extended in the first direction M so as to be parallel to the acting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F in the diap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joint regions 22 can be easily tor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isposing the diaper 10 by tearing the side joint region 22, it is preferable that the joint strength is weak in the region nearest to the waist opening 23. However, The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region 22 tend to become the starting points where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and tearing occurs and therefore in the fourth region 67 located closest to the waist opening 23, The strength is increased to prevent inadvertent tearing. On the other hand, in the fourth region 67, the first joint portion 31 located in the inner region 61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M.

또한, 사이드 접합 영역(22)은, 앞뒤 허리 탄성체(41, 42)에 의해 가로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수축 가능하기 때문에, 외관으로 보아, 접합부(30)는, 앞뒤 허리 영역(11, 12)에 형성되는 주름에 뒤섞여 눈에 띄지 않게 되어, 기저귀(10)의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앞뒤 허리 탄성체(41, 42)의 수축 작용에 의해, 허리 개구(23)가 전후 방향으로 벌어지기 쉬워져, 착용 조작에 있어서 허리 개구(23)를 용이하게 벌릴 수 있다. Since the side joint regions 22 are elastically contractible in the lateral direction X by the front and back waist elastic members 41 and 42 in appearance, the joint portions 30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12,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diaper 10 is improved. Further, the waist opening 23 is easily open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due to the contraction action of the front and back waist elastic members 41, 42, so that the waist opening 23 can be easily opened in the wearing opera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2 구역(65)에서는, 단위 면적당 접합부(30)의 면적의 비율이 제1 구역(64)에 비해 높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구역(65)의 단위 면적당 접합부(30)의 면적의 비율은, 제1 구역(64)과 거의 동일해도 좋으나, 제1 구역(64)보다 높게 함으로써, 착용 조작 시나 착용 중에 있어서, 사이드 접합 영역이 부주의하게 인열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구역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접합부(30)의 비율이란, 각 구역에 있어서, 구역의 전면적에 대한, 상기 구역에 배치된 접합부(30)의 총 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제1 구역(64)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접합부(30)의 비율은, 약 5~15%이고, 제2 구역(65)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접합부(30)의 비율은, 약 5~20%이다.Referring to FIG. 7,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joint portion 30 per unit area in the second region 65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64.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bonding area 30 per unit area of the second area 65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area of the first area 64 but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rea 64,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region from being inadvertently torn. Here, the ratio of the joining portions 30 per unit area in each zone means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joining portions 30 arranged in the zone to the entire area of the zone in each zone. The ratio of the bonding portion 30 per unit area in the first region 64 is about 5 to 15% and the ratio of the bonding portion 30 per unit area in the second region 65 is about 5 to 20% to be.

제2 구역(65)에 있어서, 제1 접합부(31)는 제1 방향(M)으로 연장되어 있고,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1 접합부(31)의 이격 치수(R4)는, 제1 구역(64)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R1)보다 작다. 제2 접합부(32)는, 제2 방향(N)으로 연장되어 있고,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2 접합부(32)의 이격 치수(R5)는, 제1 접합부(31)의 이격 치수(R4)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구역(65)에 있어서의 제2 접합부(32)의 이격 치수(R5)가, 제1 구역(64)에 있어서의 제2 접합부(32)의 이격 치수(R2)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3 접합부(33)는, 제1 방향(M)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 접합부(33a)와, 제2 방향(N)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 접합부(33b)를 갖는다. 제1 경사 접합부(33a)는, 제1 접합부(31)와 제1 방향(M)으로 직선형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경사 접합부(33b)는, 제2 접합부(32)와 제2 방향(N)으로 직선형으로 나란히 배치된다.In the second zone 65, the first joints 31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M and the spacing dimension R4 of the first joints 3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Is small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R1) in the first region (64). The second joint portion 32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N and the spacing dimension R5 of the second joint portion 3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R5 of the first joint portion 31 And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spacing dimension R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acing dimension R5 of the second joining portion 32 in the second region 65 is larg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R2 of the second joining portion 32 in the first region 64 ). The third joining portion 33 has a first inclined joining portion 33a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M and a second inclined joining portion 33b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N. [ The first oblique joining portion 33a is arranged linearly in the first direction M and the second oblique joining portion 33b is disposed in the second joining portion 32 in the second direction N ). &Lt; / RTI &gt;

제2 구역(65)은, 편의상, 세로 방향(Y)으로 늘어서는, 제1, 제2 및 제3 열(74, 75, 76)로 구분된다. 각 열의 세로 방향(Y)의 치수(D4)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고, 각 열에는, 제1 접합부(31)와 제2 접합부(32)가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제1~제3 열(74~76)이 세로 방향(Y)으로 복수 배치되어, 제2 구역(66)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열(74)에 있어서, 제3 접합부(33)는, 제1 접합부(31)와 제2 접합부(32)에 나란히 늘어서도록 제1 경사 접합부(33a)와 제2 경사 접합부(33b)가 배치된다. 제2 열(75)에서는, 제2 접합부(32)와 나란히 늘어서도록 제2 경사 접합부(33b)가 배치된다. 제3 열(76)에서는 제3 접합부(33)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한편, 제1 열(74) 및 제2 열(75)에 배치되는 제2 경사 접합부(33b)는, 각각, 일부가 제2 열(75) 및 제3 열(76)에 걸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The second zone 65 is divided into first, second and third rows 74, 75 and 76, which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for convenience. The dimension D4 of each colum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substantially the same. In each column, the first bond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32 are arranged one by one. A plurality of first to third rows 74 to 76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to form a second zone 66. [ The first joining portion 33 and the second joining portion 33b are arranged so as to lie side by side in the first join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joining portion 32. In the first row 74, . In the second row 75, the second oblique joint portion 33b is arranged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second joint portion 32. [ In the third row 76, the third bonding portion 33 is not dispos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blique joining portions 33b disposed in the first row 74 and the second row 75 may be partially disposed over the second row 75 and the third row 76 .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제2 구역(65)에서는,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상단부(65A)와 하단부(65B)에서 상이하다. 기저귀(10)의 제조 시에 있어서,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부(30)를 형성할 때에는,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변화하는 부위에 있어서, 개개의 접합부(30)의 접합 강도에 변동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0)에서는, 제2 구역(65)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접합부(30)의 면적의 비율을 비교적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소요의 접합 강도를 유지하여 부주의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역(65)에 있어서, 제3 접합부(33)는, 제1 방향(M)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 접합부(33a)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3 접합부(33)가 제2 방향(N)으로만 연장되어 있는 것과 비교해서, 폐기 조작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의 찢어짐을 유도하여 사이드 접합 영역(22)을 인열하기 쉽게 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in the second section 65,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 members is different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65A and the lower end portion 65B. When the joint 30 is formed on both side edges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diaper 10, It is likely that the bonding strength of the bonding agent is changed. In the diap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joint portion 30 per unit area is relatively large in the second area 65,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equired joint strength and prevent inadvertent tearing have. Since the third joining portion 33 has the first inclined joining portion 33a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M in the second region 65, The tearing of the sheet member in the discarding operation is induced, and the side joint region 22 can be easily torn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ly the side joint region 22 is extended.

도 8(a)를 참조하면, 제3 구역(66)은, 단위 면적당 접합부(30)의 면적의 비율이 제1 구역(64)에 비해 높고, 적어도 제3 접합부(33)의 배치 패턴이 제2 구역(65)과 상이하다. 한편, 제3 구역(66)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접합부(30)의 면적의 비율은, 제2 구역(65)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제2 구역(65)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구역(66)에 있어서, 제1 접합부(31)는 제1 방향(M)으로 연장되어 있고,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1 접합부(31)의 이격 치수(R6)는, 제1 구역(64)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R1)보다 작다. 제2 접합부(32)는, 제2 방향(N)으로 연장되어 있고,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2 접합부(32)의 이격 치수(R7)는, 제1 접합부(31)의 이격 치수(R6)와 거의 동일하다. 제3 접합부(33)는, 제2 방향(N)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방향(M)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으며,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3 접합부(33)의 이격 치수(R8)는, 제1 접합부(31)의 이격 치수(R6)와 거의 동일하다. 제3 구역(66)에 있어서의 제2 접합부(32)의 이격 치수(R7)는, 제1 구역(64)에 있어서의 제2 접합부(32)의 이격 치수(R2)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8A, the third zone 66 is formed such that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joining portion 30 per unit area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zone 64, and at least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third joining portion 33 is 2 zone 65. In this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bonding portion 30 per unit area in the third region 66 is substantially equal to or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65. The first bonding portion 31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M and the spacing dimension R6 of the first bonding portions 3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Is small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R1) in the first region (64). The second joint portion 32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N and the spacing dimension R7 of the second joint portion 3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R7 of the first joint portion 31 It is almost the same as the spacing dimension (R6). The third joint 33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N and does not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M. The third joint 33 has a spacing dimension of the third joint 33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R8)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spacing dimension (R6) of the first joint portion (31). The spacing dimension R7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32 in the third region 66 is substantially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R2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32 in the first region 64, .

제3 구역(66)에서는, 하나의 제1 접합부(31)에 대해, 제2 및 제3 접합부(32, 33)가 제1 접합부(31)의 가랑이 영역(13)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제2 접합부(32)와 제3 접합부(33)는, 제2 방향(N)으로 직선형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구역(65)과 제3 구역(66)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접합부(30)의 면적의 비율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고, 제3 접합부(33)의 배치 패턴만이 상이하다. 제3 구역(66)에서는, 제1 구역(64)에 비해, 제1 접합부(31)의 횡축(Q)에 대한 경사 각도가 작게 되어 있는(즉, 제1 구역(64)에 비해, 교각(θ1)의 값이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hird zone 66, the second and third joints 32 and 33 are disposed one by one on the crotch region 13 side of the first joint 31 with respect to one first joint 31. The second joining portion 32 and the third joining portion 33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second direction N.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bonding portion 30 per unit area in the second area 65 and the third area 66 is substantially the same, and only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third bonding portion 33 is different Do. In the third zone 66 the angle of inclination relative to the transverse axis Q of the first abutment 31 is smaller than the first zone 64 the value of? 1) is small).

사이드 접합 영역(22)에 있어서, 가장 다리 개구(24)측에 위치하는 제3 구역(66)에서는, 착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기저귀(10)의 착용 중에 찢어짐이 발생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0)에서는, 단위 면적당 접합부(30)의 면적의 비율이 제1 구역(64)에 비해 높게 되어 있고, 제3 구역(66)의 접합 강도를 높여, 착용 중의 부주의한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역(65)과 제3 구역(66)에서는, 접합부(30)의 배치 패턴을 변경하고 있고,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가장 많은 구역(제1 구역(64))과, 적층 매수가 가장 적은 구역(제3 구역(66))과, 적층 매수가 변화하는 구역(제2 구역(65))의 적어도 3개의 구역에 있어서 접합부(30)의 배치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소요의 접합 강도를 유지하여, 부주의한 찢어짐을 방지하면서, 폐기 조작에 있어서의 인열하기 용이함을 실현하고 있다.Tearing is likely to occur during wear of the diaper 10 due to the movement of the wearer's legs in the third region 66 located at the most leg opening 24 side in the side joint region 22. [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joint 30 per unit area of the diap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rea 64 and the strength of the joint of the third area 66 is increased to prevent inadvertent tearing Can be prevented. In the second zone 65 and the third zone 66,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joining portions 30 is changed, and the zones (the first zone 64)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sheets stacked and the number By changing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joining portions 30 in at least three zones, that is, the zone having the smallest number of zones (the third zone 66) and the zone having the number of laminations (the second zone 65) So that it is easy to tear in the disposal operation while preventing inadvertent tearing.

도 8(b)를 참조하면, 제4 구역(67)은, 제1 구역(64)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허리 개구 가장자리까지의 구역이고, 단위 면적당 접합부(30)의 비율이 다른 구역에 비해 높게 되어 있다. 제4 구역(67)에 있어서, 제1 접합부(31)는 제1 방향(M)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2 접합부(32)는 제2 방향(N)으로 연장되어 있다.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1 접합부(31)의 이격 치수(R9)는,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2 접합부(32)의 이격 치수와 동일하고, 또한, 제1 구역(64)에 있어서의 제2 접합부(32)의 이격 치수(R2)와 동일하다. 제4 구역(67)에 있어서, 제3 접합부(33)는, 하나의 제1 접합부(31)에 대해, 제1 방향(M)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제1 경사 접합부(33a)가 제1 방향(M)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하나의 제2 접합부(32)에 대해, 제2 방향(N)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제2 경사 접합부(33b)가 제2 방향(N)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이러한 제4 구역(67)을 허리 개구(23)측의 단부에 배치함으로써, 착용 조작에 있어서의 부주의한 찢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8 (b), the fourth zone 67 is a zone from the upper edge of the first zone 64 to the edge of the waist opening, and the ratio of the joining portions 30 per unit area is higher than the other zones have. In the fourth zone 67, the first joint 31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M and the second joint 32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N. The spacing dimension R9 of the first abutment portions 3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equal to the spacing dimension of the second abutment portions 3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equal to the spacing dimension R2 of the second joint portion 32 in the first region 64. [ In the fourth zone 67, the third junction 33 has a first inclined joining portion 33a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M with respect to the first joining portion 31, And one second inclined joint portion 33b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N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N with respect to one second joint portion 32. The second inclined joint portions 33b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second direction N. [ By arranging the fourth zone 67 at the end on the side of the waist opening 23, inadvertent tearing in the wearing opera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4를 참조하면, 제1 구역(64)의 길이 치수(세로 방향(Y)의 치수)(L2)는, 사이드 접합 영역(22)의 길이 치수(L1)의 약 15.0~60.0%의 크기이고, 제2 구역(65)의 길이 치수(L3)는, 길이 치수(L1)의 약 25.0~40.0%의 크기이며, 제3 구역(66)의 길이 치수(L4)는, 길이 치수(L1)의 약 10.0~35.0%의 크기이다. 한편, 제4 구역(67)의 길이 치수(L5)는, 약 0~10.0 ㎜이고, 제4 구역(67)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즉, 길이 치수(L5)=0 ㎜) 구성이어도 좋다. 제2 구역(65)의 길이 치수(L3)는, 제1 구역(64)의 길이 치수(L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제4 구역(64, 65, 66, 67)에 있어서, 제1 접합부(31)는, 전부 제1 방향(M)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폐기 조작에 있어서, 사이드 접합 영역(22)을 인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2 접합부(32)의 세로 방향(Y)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R2, R7)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앞뒤 허리 탄성체(41, 42)에 의해, 제1~제4 구역(64, 65, 66, 67)의 내외측 영역(61, 62) 및 중간 영역(63)이 가로 방향(X)으로 수축되어, 길이 방향(세로 방향(Y))의 전역에 걸쳐, 접합부(30)가 외관으로 보아 눈에 띄기 어렵게 되어 있다.4, the length dimension L2 of the first section 64 is about 15.0 to 60.0% of the length dimension L1 of the side joint area 22 And the length L3 of the second section 65 is about 25.0 to 40.0% of the length L1 and the length L4 of the third section 66 is the length L3 About 10.0 to 35.0%.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L5 of the fourth zone 67 may be about 0 to 10.0 mm, and the fourth zone 67 may not be formed (i.e., the length L5 may be 0 mm). The length dimension L3 of the second section 65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length dimension L2 of the first section 64. [ Since the first joining portion 31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M in the first to fourth regions 64, 65, 66 and 67, the side joining regions 22, Can be easily torn. The spacing ratios R2 and R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second joint portion 32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 inner and outer regions 61 and 62 and the middle region 63 of the first to fourth regions 64, 65, 66 and 67 ar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X by the front and back waist elastic members 41 and 42, So that the joint portion 30 is hard to stand out from the outside view over the entir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Y).

도 5를 참조하면, 앞뒤 외측 탄성 영역(45A, 46A)에는, 제1 및 제4 구역(64, 67)이 위치하고 있고, 앞뒤 내측 탄성 영역(45B, 46B) 및 둔부 탄성 영역(47)에는, 제3 구역(66)이 위치하고 있다. 제2 구역(65)에는, 앞뒤 외측 탄성 영역(45A, 46A)과, 앞뒤 내측 탄성 영역(45B, 46B)의 경계 부분이 위치하고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제1 구역(64)이 위치하는 앞뒤 외측 탄성 영역(45A, 46A)은, 제3 구역(66)이 위치하는 앞뒤 내측 탄성 영역(45B, 46B)에 비해, 소정 폭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이 낮게 되어 있다. 이러한 기저귀(10)에서는, 착용 조작에 있어서, 제1 구역(64)을 잡아 허리 개구(23)를 넓히는 것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높아, 보다 끌어올림 조작을 하기 쉬워진다. 한편, 제3 구역(66)이 위치하는 다리 개구(24)측에서는, 피트성을 높여 가로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앞 외측 탄성 영역(45A)과 앞 내측 탄성 영역(45B)의 경계 부분, 및 뒤 외측 탄성 영역(46A)과 뒤 내측 탄성 영역(46B)의 경계 부분은, 각각, 배치된 앞뒤 허리 탄성체(41, 42)의 색이나 섬도, 세로 방향(Y)의 이격 치수(피치) 등이 상이함으로써 식별할 수 있다.5, first and fourth regions 64 and 67 are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outer elastic regions 45A and 46A, respectively. In the front and back inner elastic regions 45B and 46B and the hip elastic region 47, A third zone 66 is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65, the boundary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outer elastic regions 45A and 46A and the front and rear inner elastic regions 45B and 46B are positioned. The front and rear outer elastic regions 45A and 46A in which the first region 64 is located ar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front and rear inner elastic regions 45B and 46B in which the third region 66 is located The elongation stress in the case is low. In the diaper 10, in the wearing operation, it is easy to hold the first section 64 to widen the waist opening 23, and the flexibility is high,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On the other hand, on the side of the leg opening 24 where the third zone 66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fitability and effectively prevent the side leakage. On the other hand, the boundary portions between the front outer elastic region 45A and the front inner elastic region 45B and the boundary portions between the back outer elastic region 46A and the back inner elastic region 46B, 41, and 42, and the spacing distance (pitch)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the like.

<신장 응력의 측정 방법>&Lt; Measurement method of elongation stress >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각 탄성 영역의 신장 응력은, 인스트론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사 제조의 인장 시험기(INSTRON 형식: 5564)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를 100 ㎜/min으로 설정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각 탄성 영역 중에서 흡액 구조체와 겹쳐지는 일이 없는 부분에 대해, 그 부분으로부터 가로 방향(X)의 길이가 30~50 ㎜인 시편(試片)을 잘라내고, 자연 상태에 있는 시편에 가로 방향(X)의 이격 치수가 20 ㎜인 한 쌍의 표선을 기입하며, 그 이격 치수가 1.7배가 될 때까지 신장했을 때의 각 시편의 신장력을 구하여, 비교한다. 한편, 각 시편에 있어서 그 폭 치수인 기저귀(10)의 세로 방향(Y)의 치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 시편에 대한 신장력을 폭 20 ㎜인 경우의 값으로 환산했을 때의 신장 응력에 의해 각 시편을 비교한다.The elongation stress of each elastic region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was measured by using a tensile tester (INSTRON type: 5564) manufactured by Instron Japan Company Limited at a tensile speed of 100 mm / min, . A specimen having a length of 30 to 50 mm in the lateral direction X is cut out from a portion of the elastic region not overlapping with the liquid absorbing structure, X) is 20 mm, and the stretching force of each specimen is measured when the spacing distance is increased to 1.7 times, and compa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diaper 10, which is the width dimension of each specimen, is not constant, the elongation stress when the extension force for each specimen is converted into the value when the width is 20 mm To compare each specimen.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러한 종류의 물품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된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동일한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The diap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ituent members of the diaper 10 without limitation, in addition to the material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various commonly known materials commonly used in these types of articles.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simply distinguish the same element, position, and the like.

10: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착용 물품) 11: 앞 허리 영역
12: 뒤 허리 영역 13: 가랑이 영역
22: 사이드 접합 영역 23: 허리 개구
30: 접합부 31: 제1 접합부
32: 제2 접합부 33: 제3 접합부
61: 내측 영역 62: 외측 영역
63: 중간 영역 64: 제1 구역
65: 제2 구역 66: 제3 구역
71: 제1 열 72: 제2 열
X: 가로 방향 Y: 세로 방향
10: disposable diaper (disposable wearing article) 11: front waist region
12: back waist region 13: crotch region
22: side joint region 23: waist opening
30: joint part 31: first joint part
32: second joining portion 33: third joining portion
61: inner region 62: outer region
63: Middle area 64: First area
65: Zone 2 66: Zone 3
71: first column 72: second column
X: horizontal direction Y: vertical direction

Claims (13)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앞 허리 영역과, 뒤 허리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허리 개구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를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한쪽 또는 양쪽의 측가장자리부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합부가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 영역을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접합 영역은, 상기 허리 개구측에 위치하는 제1 구역을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와,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접합부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세로 방향의 이격 치수가 다른 구역에 비해 크고, 또한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상기 가랑이 영역측으로 경사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의 상기 가랑이 영역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상기 가랑이 영역측으로 경사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은 것인 일회용 착용 물품.
A disposable wearing article comprising a crotch region located betwee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direction, a front waist region, a back waist region, and a front waist region, a waist opening and a pair of leg openings,
One or both side edge portions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r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a side joint region where a plurality of joint portions extending dis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located,
The side joint region has a first region located on the waist opening side,
The joi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joining portion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second joining portion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third joining portion located on the third join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joining portion and the second joining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Wherein the first joint portion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larger than a region having a different spacing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clined toward the crotch region from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econd joint portion and the third joint portion are located on the crotch region side of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crotch region side inward from the out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third joint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does not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1 접합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3 접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1 열과, 상기 제1 열에 인접하여 상기 가랑이 영역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및 제3 접합부가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접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2 열이, 상기 세로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인 일회용 착용 물품.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zone comprises a first row in which the first junction is disposed and in which the third junction is not disposed, and a second row adjacent to the first row and located on the crotch region side, And a second row in which the first joint portion is not disposed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하나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열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인 착용 물품.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one of the first joints is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joint and the third joint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second row artic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가 서로 동일한 것인 착용 물품. The wearing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bonding portion and the third bonding portion in the first region have the same spacing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의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는, 상기 제1 접합부의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보다 작은 것인 착용 물품. The wearing articl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joint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joint in the first reg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것인 착용 물품. 4.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in the first zone, the first junction, the second junction, and the third junction are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earable good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접합 영역은, 상기 제1 접합부가 위치하는 내측 영역과, 상기 제2 접합부가 위치하는 외측 영역과, 상기 제3 접합부가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것인 착용 물품.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ide joint region has an inner region in which the first junction is located, an outer region in which the second junction is located, and an intermediate region in which the third junction is located Lt; / RTI &gt;
Wherein in the first region, the inner region is elastically stretch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은,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가장 많은 것인 착용 물품. The wearing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in the side joint region, the first region has the largest number of laminated sheet member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접합 영역은,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하여 상기 가랑이 영역측에 위치하고, 단위 면적당 상기 접합부의 비율이 상기 제1 구역에 비해 높은 제2 구역을 가지며,
상기 제2 구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3 접합부의 이격 치수는, 상기 제1 구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3 접합부의 이격 치수보다 작은 것인 착용 물품.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ide bonding region is located on the crotch region side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and the ratio of the bonding portion per unit area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Zone,
And the spacing dimension of the third abutment portion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econd region is small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of the third abutment portion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합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 접합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인 착용 물품. 10. The article of claim 9, wherein in the second zone, the third junction comprises a first oblique joint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oblique join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해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많은 것인 착용 물품. The wearing articl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g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larger number of laminated sheet members than the lower end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접합 영역은,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가랑이 영역측에 위치하는 제3 구역을 더 갖고, 상기 제2 구역과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3 접합부의 배치 패턴이 서로 상이한 것인 착용 물품.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ide joined region further comprises a third zone located on the crotch region side than the second zone, wherein the second zone and the third zone are configured such that an arrangement pattern of the third zone And wherein the article is different from the artic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 영역을 갖고, 상기 탄성 영역 중,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이 위치하는 외측 탄성 영역은, 상기 제3 구역이 위치하는 내측 탄성 영역에 비해 소정 폭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이 낮은 것인 착용 물품.
13.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have elastic regions elastically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elastic regions, the outer elastic region in which the first region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longation stress at a predetermined width is lower than that at the inner elastic region where the third region is located.
KR1020177032688A 2015-05-27 2016-02-22 Disposable wearing article KR1019270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7967A JP6385311B2 (en) 2015-05-27 2015-05-27 Disposable wearing articles
JPJP-P-2015-107967 2015-05-27
PCT/JP2016/054980 WO2016189906A1 (en) 2015-05-27 2016-02-22 Disposable wearable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752A KR20180012752A (en) 2018-02-06
KR101927018B1 true KR101927018B1 (en) 2019-03-07

Family

ID=5739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688A KR101927018B1 (en) 2015-05-27 2016-02-22 Disposable wearing articl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85311B2 (en)
KR (1) KR101927018B1 (en)
CN (1) CN107530210B (en)
MY (1) MY189685A (en)
WO (1) WO201618990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1729B1 (en) 2020-10-02 2022-03-2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Disposable absorbent goods
JP7045437B1 (en) 2020-10-27 2022-03-3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Disposable absorbent goods
JP2022184092A (en) * 2021-05-31 2022-12-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Underpants type absorbent artic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572A (en) 2001-07-27 2003-02-12 Oji Paper Co Ltd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JP2009509620A (en) 2005-09-29 2009-03-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Side seams for disposable clothing
JP2010115424A (en) 2008-11-14 2010-05-27 Kao Corp Underpants type absorbent article
JP2011147608A (en) 2010-01-21 2011-08-04 Unicharm Corp Underpants 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2013146549A (en) 2011-12-20 2013-08-01 Kao Corp Underwear-type worn article
JP2013233383A (en) 2012-05-11 2013-11-21 Kao Corp Underpants-type absorbent article
JP2014233624A (en) 2013-10-11 2014-12-1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Pants-type disposable diaper
JP2016193056A (en) 2015-03-31 2016-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clothing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4545Y2 (en) * 1992-10-08 2000-05-22 トーヨー衛材株式会社 Pants-type disposable diapers
JP3706553B2 (en) * 2001-07-12 2005-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Pants-type disposable diapers
JP2003093445A (en) * 2001-09-27 2003-04-02 Oji Paper Co Ltd Underwear type disposable diaper
JP3749855B2 (en) * 2001-11-09 2006-03-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Pants-type disposable diap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RU2472482C1 (en) * 2008-11-14 2013-01-20 Као Корпорейшн Stretchable absorbing product
JP5203158B2 (en) * 2008-12-04 2013-06-05 花王株式会社 Pants-type wearing article
AR074979A1 (en) * 2008-12-25 2011-03-02 Uni Charm Corp PUMP TYPE GARMENT
JP5238567B2 (en) 2009-03-23 2013-07-17 花王株式会社 Pants-type absorbent article
WO2010110203A1 (en) * 2009-03-23 2010-09-30 花王株式会社 Underwear-type absorbent article
JP5809941B2 (en) * 2011-11-24 2015-11-1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Disposable diaper manufacturing method
JP5988620B2 (en) * 2012-03-06 2016-09-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wearing items
JP5895019B2 (en) * 2014-04-28 2016-03-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Pants-type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572A (en) 2001-07-27 2003-02-12 Oji Paper Co Ltd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JP2009509620A (en) 2005-09-29 2009-03-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Side seams for disposable clothing
JP2010115424A (en) 2008-11-14 2010-05-27 Kao Corp Underpants type absorbent article
JP2011147608A (en) 2010-01-21 2011-08-04 Unicharm Corp Underpants 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2013146549A (en) 2011-12-20 2013-08-01 Kao Corp Underwear-type worn article
JP2013233383A (en) 2012-05-11 2013-11-21 Kao Corp Underpants-type absorbent article
JP2014233624A (en) 2013-10-11 2014-12-1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Pants-type disposable diaper
JP2016193056A (en) 2015-03-31 2016-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clothing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0210B (en) 2019-02-15
WO2016189906A1 (en) 2016-12-01
JP2016220771A (en) 2016-12-28
CN107530210A (en) 2018-01-02
JP6385311B2 (en) 2018-09-05
KR20180012752A (en) 2018-02-06
MY189685A (en) 2022-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947B1 (en) Underwear-type diaper
KR101660571B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5871507B2 (en) Disposable wearing items
JP5996511B2 (en) Pants-type wearing items
KR20120113261A (en) Pull-up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5602971B1 (en) Pants-type wearing items
WO2017002469A1 (en) Disposable wearable article
JP6479047B2 (en) Disposable diapers
KR101927018B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KR20180040528A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WO2015001914A1 (en) Underpants-type wearable article
JP6415401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s
KR102511265B1 (en) disposable wearables
JP6296761B2 (en) Disposable wearing items
KR102539926B1 (en) Disposable body fluid absorbent wearables
JP3206405U (en) Disposable wearing items
JP6479046B2 (en) Disposable diapers
JP5871506B2 (en) Disposable wearing items
JP6425583B2 (en) Disposable diapers
KR20170098230A (en) Disposable diaper
KR20180063146A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6479048B2 (en) Disposable diapers
JP2016193057A (en) Disposable clothing article
JP6195724B2 (en) Disposable pants-type diap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