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981B1 -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981B1
KR101925981B1 KR1020140176086A KR20140176086A KR101925981B1 KR 101925981 B1 KR101925981 B1 KR 101925981B1 KR 1020140176086 A KR1020140176086 A KR 1020140176086A KR 20140176086 A KR20140176086 A KR 20140176086A KR 101925981 B1 KR101925981 B1 KR 10192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tal shell
shell
mold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901A (ko
Inventor
최정훈
최경해
김동희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9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판상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금속 쉘; 절연성 소재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금속 쉘의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어셈블리의 뒷부분에 결합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정해진 피치로 조립되어 상기 결합부까지 연장된 메인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쉘이 상기 결합부의 선단을 제외한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의 선단 부분은 절연성 수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MICRO USB PLUG CONNECTOR}
본 발명은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되는 부분에 금속 쉘이 구비된 구조를 가진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는 휴대폰, 노트북, PMP, 휴대용 게임기, MP3 플레이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그 종류와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커넥터 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커넥터 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되어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전원 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 장치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마이크로 유에스비(Micro-USB)이다.
마이크로 USB 커넥터는 근래에 출시되고 있는 휴대폰과 같이 슬림한 형태의 모바일 단말기에 적합하도록 접속부가 매우 얇게 설계되는 것으로서, USB 2.0 규격부터 지원하고 있다.
마이크로 USB 커넥터에 관한 기술은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811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28762호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8114호는 전자기기의 PCB에 USB 소켓, 즉 리셉터클 본체를 고정 장착하기 위한 납땜 공정에서 전자기기의 PCB에 대한 USB 소켓 본체의 장착위치가 비뚤어지는 현상이 사전에 방지되고 안정된 납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셸의 커버 조립구멍에 대응하는 셸 커버의 양쪽 측면 상에는 내향 탄성편이 형성이 되어 상기 커버 조립구멍에 상호 조립이 되며 상기 셸 커버의 하단에는 셸과 일체로 된 고정용 발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고정용 발이 형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제안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11-0128762호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에 추가 접속단을 구비함에 있어 다른 접속단과의 접속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의 소켓접속부의 후방에 추가 접속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를 제안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는 복수개의 컨택트(11)가 조립되는 사출물인 인슐레이터(10)와, 상기 인슐레이터(10)의 외부에 결합되어 부품의 강도 유지와 PCB에 대한 접합 강도 향상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금속 쉘(12)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는 인슐레이터(10)에 컨택트(11)를 조립한 후, 금속 쉘(12)의 후미 부분을 통하여 인슐레이터(10)의 앞부분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는 끝부분에 금속 쉘(12)의 선단 부분(13)이 위치하는 구조로 인해 제조공정의 테스트 단계 또는 실제 사용 시에, 삽입 및 발거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경우 금속 쉘(12)의 선단 부분(13)이 대응 리셉터클 커넥터나 기기와 접촉하여 제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플러그의 삽입 및 발거 시 대응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플러그의 끝부분에 수지 몰드 부분이 위치하는 구조를 가진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판상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금속 쉘; 절연성 소재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금속 쉘의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어셈블리의 뒷부분에 결합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정해진 피치로 조립되어 상기 결합부까지 연장된 메인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쉘이 상기 결합부의 선단을 제외한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의 선단 부분은 절연성 수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는 사출물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금속 쉘이 배치되는 제1 몰드부와, 상기 제1 몰드부에 비해 직경 및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되 선단에 위치하는 제2 몰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몰드부의 외부면과 상기 금속 쉘의 외부면이 동일 평면상에서 나란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결합부와 상기 금속 쉘은 서로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1 몰드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쉘 결합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 쉘의 일면에는 상기 쉘 결합용 홈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쉘 결합용 홈에 코킹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1 몰드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 쉘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을 형성하는 'ㄷ'자형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쉘과 상기 바디부는 서로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쉘의 후단에는 단면이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접힌 접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편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디부 결합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는 상기 바디부 결합용 홀에 끼워질 수 있는 제2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는 커버 케이스 결합용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쉘의 앞단에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2 몰드부를 지지 및 보강하는 돌출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쉘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기판 실장용 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결합부에 정해진 피치로 조립된 서브 컨택트 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택트 어레이와 상기 서브 컨택트 어레이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멀티 레이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의 테스트 단계나 실제 사용 시에, 삽입 및 발거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금속 쉘의 끝부분이 대응 리셉터클 커넥터나 기기에 접촉하지 않지 않고 수지 몰드 부분이 접촉하므로 예컨대, 휴대폰 케이스와 같은 관련 제품의 손상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결합부가 바디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품의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멀티 레이어의 컨택트 어레이를 구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금속 쉘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결합 돌기가 쉘 결합용 홈에 코킹 결합되는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포함되는 결합부와 금속 쉘 간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포함되는 결합부 및 금속 쉘의 어셈블리와 바디부 간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결합부(110)와, 결합부(11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결합된 금속 쉘(120)과, 결합부(110) 및 금속 쉘(120)의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바디부(100)와, 바디부(100)에 조립되어 결합부(110)까지 연장된 메인 컨택트 어레이(130)를 포함한다.
결합부(110)는 범용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 가능한 슬림한 형태의 실질적인 판상체로서,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성 수지의 사출물에 의해 제공된다. 여기서, 결합부(11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결합부(110)는 금속 쉘(120)이 배치되는 부분인 제1 몰드부(113)와, 제1 몰드부(113)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 및 두께가 더 크게 형성되고 선단에 위치하는 제2 몰드부(114)를 구비한다. 즉, 제2 몰드부(114)는 제1 몰드부(113)에 대하여 단차를 가짐으로써 상하 좌우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단차는 금속 쉘(120)의 두께에 대응한다. 따라서, 금속 쉘(120)의 결합 시 제2 몰드부(114)의 외부면과 금속 쉘(120)의 외부면은 동일 평면상에서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제2 몰드부(114)와 금속 쉘(120) 간의 경계 부분에는 플러그의 삽입을 방해하는 걸림턱이 존재하지 않고 매끄러운 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쉘(120)은 결합부(110)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부품의 강도 유지와 PCB에 대한 접합 강도 향상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금속 쉘(120)은 결합부(110)의 제1 몰드부(113)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결합부(110)의 선단 부분에 위치한 제2 몰드부(114)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 삽입 및 발거 조작 시 결합부(110)의 끝부분에 있는 제2 몰드부(114)가 대응 리셉터클이나 관련 기기에 접촉하게 되므로 제품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금속 쉘(120)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바디부(100)의 후면 바깥으로 인출되는 기판 실장용 핀(125)이 마련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금속 쉘(120)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 쉘(120)의 앞단에는 결합부(110)의 제2 몰드부(114)를 지지 및 보강하는 돌출편(124)이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몰드부(114)의 하부면에는 돌출편(124)이 끼워질 수 있는 소정의 수용홈(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수용홈은 돌출편(124)의 외부면이 제2 몰드부(114)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상에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조립 공정의 편의상 결합부(110)와 금속 쉘(120)은 서로 홈(또는 홀)-돌기 구조에 의해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결합부(110)의 상기 제1 몰드부(11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쉘 결합용 홈(115)이 형성되고, 금속 쉘(120)의 일면에는 상기 쉘 결합용 홈(115)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 돌기(121)가 마련된다. 결합 돌기(1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 결합용 홈(115)에 코킹(Cauling) 결합된다. 결합 돌기(121)가 원활하게 쉘 결합용 홈(115) 내부로 접혀들어갈 수 있도록, 결합 돌기(121)의 주위에는 'ㄷ'자형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 실시예로서, 결합 돌기(121)는 쉘 결합용 홈(115)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그 하면이 하방, 즉 금속 쉘(120)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미도시)로 구성되거나, 결합 돌기(121)는 상기 'ㄷ'자형 절개부 없이 쉘 결합용 홈(115)에 대응하는 위치에 금속 쉘(120)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금속 쉘(120)에 결합용 홈이 형성되고, 제1 몰드부(113)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디부(10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성 수지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결합부(110) 및 금속 쉘(120)의 어셈블리가 커넥터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어셈블리의 뒷부분에 결합된다.
커넥터 조립 공정의 편의상 금속 쉘(120)과 바디부(100)는 홈(또는 홀)-돌기 구조에 의해 서로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금속 쉘(120)의 후단에는 바디부(100)와 결합되는 접편부(122)가 구비된다. 접편부(122)는 금속 쉘(120)의 상부면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일체로 후방으로 연장되되 단면이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접히고, 그 평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디부 결합용 홀(12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대응하도록, 바디부(100)의 상면에는 바디부 결합용 홀(123)에 끼워질 수 있는 쉘 결합용 돌기(101)가 구비된다. 전술한 결합부(110)와 금속 쉘(120) 간의 끼워맞춤 결합과 마찬가지로, 접편부(122)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바디부(100)에 결합 홈을 형성할 수도 있고, 접편부(122)에 'ㄷ'자형 절개부를 형성하여 바디부(100)의 홈과 코킹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바디부(100)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는 소정 형상의 커버 케이스(미도시)를 바디부(100)에 결합하기 위한 커버 케이스 결합용 돌출부(102)가 마련된다.
메인 컨택트 어레이(130)는 바디부(100)에 정해진 피치로 배열되되 플러그의 종방향, 즉 플러그 삽입방향으로 조립되어 결합부(110)까지 연장되어 결합부(110)에 마련된 컨택트 조립홈(112)에 끼워진다.
부가적으로, 결합부(110)에는 서브 컨택트 어레이(111)가 정해진 피치로 조립되어 I/O(입출력) 단자와 같은 소정의 추가적인 컨택트를 제공한다. 이 경우 메인 컨택트 어레이(130)와 상기 서브 컨택트 어레이(111)는 모두 바디부(100)의 후면 바깥으로 인출되고, 바디부(10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멀티 레이어(Multi layer)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포함되는 결합부(110)와 금속 쉘(120) 간의 조립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쉘(120)은 결합부(110)의 후미로부터 전방으로 끼워져서 어셈블리를 이룬다. 이때, 금속 쉘(120)과 결합부(110)는, 결합부(110)에 마련된 쉘 결합용 홈(115)과 금속 쉘(120)에 마련된 결합 돌기(121)를 이용한 끼워맞춤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쉘(120)은 결합부(110)의 제1 몰드부(113)만을 감싸도록 부분적으로 결합되므로 결합부(110)의 선단에 위치한 제2 몰드부(114)는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금속 쉘(120)이 결합부(110)의 후미로부터 끼워지는 특성상, 제2 몰드부(114)의 직경 및 두께가 제1 몰드부(11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되더라도 금속 쉘(120)은 원활히 결합부(110)에 끼워질 수 있으며, 금속 쉘(120)의 외부면과 제2 몰드부(114)의 외부면은 상호간에 걸림턱이 없는 매끈한 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110) 및 금속 쉘(120)의 어셈블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에 조립되어 완제품을 이룬다. 이때, 결합부(110) 및 금속 쉘(120)의 어셈블리와 바디부(100)는, 금속 쉘(120)에 마련된 바디부 결합용 홈(123)과 바디부(100)에 마련된 쉘 결합용 돌기(101)를 이용한 끼워맞춤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는 제조공정의 테스트 단계나 실제 사용 시에, 삽입 및 발거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커넥터의 끝부분에 제2 몰드부(114)가 위치한 구조에 의해 금속 쉘(120)의 단부가 대응 리셉터클 커넥터나 기기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제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의 도 3 내지 도 8에서는 메인 컨택트 어레이(130)가 5개의 컨택트 핀들로 이루어진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5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메인 컨택트 어레이(130)의 컨택트 핀의 개수는 대응되는 커넥터 또는 설계변경 등에 의해 더 많거나 적을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충분히 알 수 있으므로, 별도로 개시하지 않았다.
100: 바디부 101: 쉘 결합용 돌기
102: 커버 케이스 결합용 돌출부 110: 결합부
111: 서브 컨택트 어레이 112: 컨택트 조립홈
113: 제1 몰드부 114: 제2 몰드부
115: 쉘 결합용 홈 120: 금속 쉘
121: 결합 돌기 122: 접편부
123: 바디부 결합용 홀 124: 돌출편
125: 기판 실장용 핀 130: 메인 컨택트 어레이

Claims (12)

  1. 삭제
  2.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판상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금속 쉘;
    절연성 소재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금속 쉘의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어셈블리의 뒷부분에 결합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정해진 피치로 조립되어 상기 결합부까지 연장된 메인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쉘이 상기 결합부의 선단을 제외한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의 선단 부분은 절연성 수지가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결합부는 사출물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금속 쉘이 배치되는 제1 몰드부와, 상기 제1 몰드부에 비해 직경 및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되 선단에 위치하는 제2 몰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몰드부의 외부면과 상기 금속 쉘의 외부면이 동일 평면상에서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금속 쉘은 서로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1 몰드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쉘 결합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 쉘의 일면에는 상기 쉘 결합용 홈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쉘 결합용 홈에 코킹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쉘과 상기 바디부는 서로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쉘의 후단에는 단면이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접힌 접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편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디부 결합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는 상기 바디부 결합용 홀에 끼워질 수 있는 쉘 결합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는 커버 케이스 결합용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쉘의 앞단에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2 몰드부를 지지 및 보강하는 돌출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쉘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기판 실장용 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정해진 피치로 조립된 서브 컨택트 어레이;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택트 어레이와 상기 서브 컨택트 어레이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멀티 레이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KR1020140176086A 2014-12-09 2014-12-09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KR10192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086A KR101925981B1 (ko) 2014-12-09 2014-12-09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086A KR101925981B1 (ko) 2014-12-09 2014-12-09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901A KR20160069901A (ko) 2016-06-17
KR101925981B1 true KR101925981B1 (ko) 2018-12-06

Family

ID=5634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086A KR101925981B1 (ko) 2014-12-09 2014-12-09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823B1 (ko) * 2018-12-12 2020-03-1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141B1 (ko) 2012-05-25 2014-01-1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1393003B1 (ko) * 2012-12-14 2014-05-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구조가 개선된 플러그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141B1 (ko) 2012-05-25 2014-01-1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1393003B1 (ko) * 2012-12-14 2014-05-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구조가 개선된 플러그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823B1 (ko) * 2018-12-12 2020-03-1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901A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975B1 (ko) 접지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접지 단자 및 접지 피스를 함께 구비하는 신호 커넥터
TWM497362U (zh) 電連接器
US9401573B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TWM524574U (zh) 電連接器
US9263829B2 (en) Durable plug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860849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ructure to pre-set solder balls
KR101552916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CN104795658A (zh) 一种可正反方向对插的usb插座及其制作方法
CN105071141B (zh) 正反插usb插头及其制造方法
KR101925981B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US9385462B2 (en) Card edge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s
US7866989B1 (en) Electrical connector seated in printed circuit board
KR101348141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US7575466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896054B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TWM499690U (zh) 電連接器
KR101381909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CN108615999B (zh) 电连接器
KR101435662B1 (ko) 쉘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N109524827B (zh) 插座连接器
CN110600932A (zh) 一种电连接器
KR101711365B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TWM468802U (zh) 直立型電連接器
TWI606660B (zh)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KR101990509B1 (ko) 기판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