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721B1 - Wheelchair - Google Patents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721B1
KR101925721B1 KR1020170097308A KR20170097308A KR101925721B1 KR 101925721 B1 KR101925721 B1 KR 101925721B1 KR 1020170097308 A KR1020170097308 A KR 1020170097308A KR 20170097308 A KR20170097308 A KR 20170097308A KR 101925721 B1 KR101925721 B1 KR 101925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frame
main frame
sub
cam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희
이종호
심재우
백상진
조영웅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7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7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3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d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heelchair comprises: a main frame; a front wheel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main frame; a rear wheel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main frame; and a lifting unit for lifting the main frame for an obstacle. The main frame includes a pair of side frames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ifting unit includes: a cam shaft connecting the pair of side frames; a cam connected to the cam shaft to lift the main frame as rotating; and a motor transmitting rotation power to the cam.

Description

휠체어{Wheelchair}Wheelchair {Wheelchair}

이하의 설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wheelchair.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휠체어의 전단부에 조향을 위한 앞바퀴를, 휠체어의 후단부 양 측면에 뒷바퀴를 장착한다. 휠체어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바퀴의 구동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바퀴를 돌리는 수동식과 전동기의 동력에 의해 바퀴가 회전하는 전동식으로 분류된다.The wheelchair is equipped with a front wheel for steering on the front end of the wheelchair and a rear wheel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wheelchair for the sick, elderly or disabled to move while sitting on the wheelchair. The type of wheelchair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a manual type in which the user manually turns the wheel by hand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wheel and an electric type in which the wheel rotates by the power of the electric motor.

한편, 전동식 휠체어는 수동식 휠체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가정 형편이 어려운 휠체어 사용자는 수동식 휠체어를 주로 사용하는 편이다. 다만, 수동식 휠체어는 문지방, 턱, 계단,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석, 건물의 입구 등과 같은 높이 차이가 있는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의 자력만으로 오르기 힘들다.On the other hand, electric wheelchairs are relatively expensive compared to manual wheelchairs, so wheelchairs users who are difficult to use at home tend to use manual wheelchairs. However, when there is an obstacle with a height difference such as a threshold, a jaw, a stairway, a boundary between a road and a sidewalk, an entrance of a building, etc., a manual wheelchair can not be climbed only by the user's magnetic force.

따라서, 수동식 휠체어의 사용자는 휠체어를 타고 외출할 경우, 다양한 장애물을 마주하게 되어 이동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user of the hand-operated wheelchair goes out on the wheelchair, various obstacles are confronted and the movement is limit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329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23292

본 개시는 캠축과 연결된 캠의 회전함에 따라 휠체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provide a wheelchai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connected to the camshaf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 상에 배치되는 앞바퀴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 상에 배치되는 뒷바퀴와, 장애물에 대해 상기 메인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는 휠체어로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캠축; 상기 캠축과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메인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캠; 및 상기 캠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heelchair comprising: a main frame; a front wheel disposed on a front end of the main frame; a rear wheel disposed on a rear end of the main frame; The main frame includes a pair of side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elevation portion includes a pair of side frames, ; A cam connected to the camshaft and moving up and down the main frame as it rotates; And a motor that transmits rotational power to the cam.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 상에 전방을 향하여 연결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장애물에 대해 지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를 포함하는 제1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rame connected forwar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may include a first sub-frame including a first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backwar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as to support the main frame with respect to the obstacle, . ≪ / RTI >

또한, 상기 제1서브프레임에는 상기 제1경사부를 따라 제1보조바퀴가 배열될 수 있다.The first sub-frame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wheel alo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또한, 상기 제1서브프레임은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bframe may be provided with a pair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서브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으로서, 일측 상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제2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A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first sub-frames may include a second sub-frame including a second inclined portion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on one side.

또한, 상기 제2서브프레임에는 상기 제2경사부를 따라 제2보조바퀴가 배열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sub-frame may be arranged with the second auxiliary wheels along the second inclined portion.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위치하여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상기 지면과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내로 좁혀지는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sensor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main frame to sense a distance to the ground, and the distance sensor may output a warning signal when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is narrow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경고신호에 따라 상기 뒷바퀴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r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rake for braking the rear wheel according to the warning signal.

본 개시에 따르면, 캠축과 연결된 캠의 회전에 의해 휠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 wheelchair can be provided by rotation of a cam connected to a camshaf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캠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가 장애물을 오르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is a side view of a wheelchai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3 is a side view of the ca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bframe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side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wheelchair ascends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상기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a known function can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부분이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특정 구성 외의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singular value. And, when a particular section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the particular section may include other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specific configuration, as long as there is no specially contradictory descrip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휠체어(100)의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캠(22)의 측면도와 서브프레임부(30)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side view of a wheelchair 100. Fig. 3 and 4 are a side view of the cam 22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frame portion 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는 메인프레임(10)과,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 상에 배치되는 앞바퀴(11)와, 메인프레임(10)의 후단부 상에 연결되는 뒷바퀴(12)와, 장애물에 대해 메인프레임(1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heelchai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frame 10, a front wheel 11 dispose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0, a rear wheel 12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0, And an elevating portion 20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main frame 10 with respect to the obstacle.

메인프레임(10)은 좌우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0a, 10b)을 포함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0)의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0)은 휠체어(100)의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탑승부(미도시), 또는 사용자의 발을 받칠 수 있는 받침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들을 생략하였다.The main frame 10 may include a pair of side frames 10a and 10b that are spaced apart in parallel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form a frame of the wheelchair 10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main frame 10 may include a boarding portion (not shown) on which the user of the wheelchair 100 can sit, or a supporting plate (not shown) on which the user's feet can be supported. However, These ar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프레임(10a, 10b)은 봉부재의 결합체로, 도 1에서 회색음영 처리된 부분일 수 있다. 한 쌍의 측면프레임(10a, 10b)은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면프레임(10a)과,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면프레임(10b)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frames 10a and 10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assemblies of the rod members, and may be grayscale portions in FIG. The pair of side frames 10a and 10b may include a right side frame 10a located on the right side and a left side frame 10b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앞바퀴(11)는 측면프레임 전단부(10a-1, 10b-1)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앞바퀴(11)는 측면프레임 전단부(10a-1, 10b-1)의 하단에서 연결부재(111)를 통해 측면프레임(10a, 10b)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앞바퀴(11)는 연결부재(111) 상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도 1 참조)가능하도록 연결부재(11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휠체어(100)는 이동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front wheels 11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frames 10a-1 and 10b-1, respectively. 1, the front wheel 11 can be connected to the side frames 10a and 10b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11 at the lower ends of the front end portions 10a-1 and 10b-1 of the side frames. The front wheel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11 so that the front wheel 11 can rotate around the rotational axis X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11 (see FIG. Therefore, the wheelchair 100 can facilitate the direction of movement.

뒷바퀴(12)는 측면프레임 후단부(10a-2, 10b-2)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뒷바퀴(12)는 측면프레임 후단부(10a-2, 10b-2)의 하측에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뒷바퀴(12)는 휠체어(100)의 사용자가 뒷바퀴(1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뒷바퀴(12)의 외각을 따라 형성된 고리 형태의 뒷바퀴손잡이(121)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rear wheels 12 can be connected to the side frame rear ends 10a-2 and 10b-2, respectively. 1, the rear wheels 12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rear ends 10a-2 and 10b-2, respectively. The rear wheel 12 may include an annular rear wheel handle 121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rear wheel 12 so that a user of the wheelchair 100 can rotate the rear wheel 12. [

메인프레임(10), 앞바퀴(11), 및 뒷바퀴(12)의 구성은 통상의 휠체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메인프레임(10), 앞바퀴(11), 및 뒷바퀴(12)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들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configurations of the main frame 10, the front wheel 11, and the rear wheel 12 can be easily found in an ordinary wheelchai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urther, the configurations of the main frame 10, the front wheel 11, and the rear wheel 12 shown in FIG. 1 are merely one embodiment, and they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승강부(20)는 장애물에 대해 메인프레임(10)을 승강시키기 위해, 한 쌍의 측면프레임(10a, 10b) 사이를 연결하는 캠축(21); 캠축(21)과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메인프레임(10)을 승강시키는 캠(22); 및 캠(2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portion 20 includes a camshaft 21 for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ide frames 10a and 10b to elevate the main frame 10 with respect to the obstacle; A cam 22 connected to the camshaft 21 to raise and lower the main frame 10 as it rotates; And a motor 23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cam 22.

캠축(21)은 양단부가 측면프레임(10a, 10b)과 각각 연결되는 봉부재일 수 있다. 또한, 캠축(21)은 후술할 모터(23)에 의해 캠축(21)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도 1 참조)할 수 있다. 이때 캠축(21)은, 도 1을 참조했을 때 캠축(2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오름방향(A)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내림방향(C)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캠축(21)의 양단부는 뒷바퀴(12)보다 낮은 위치, 즉 측면프레임(10a, 10b)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부분(10a-3, 10b-3)에서 측면프레임(10a, 10b)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캠축(21)은 이와 같이 연결됨으로써, 뒷바퀴(12)와 측면프레임(10a, 10b)의 연결부위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캠(22)은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축(21)과 함께 회전할 때 탑승부(미도시)나 후술할 제1경사부(311), 제2경사부(321)와 같은 휠체어(100)의 다른 구성들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The camshaft 21 may be a rod member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side frames 10a and 10b, respectively. Further, the camshaft 21 can be rotated arou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mshaft 21 (see Fig. 1) by a motor 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1, the camshaft 21 can rotate in the ascending direction A in which the camshaft 21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in the descending direction C in which the camshaft 21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1, both ends of the camshaft 2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positioned at positions lower than the rear wheel 12, that is, portions 10a-3 and 10b (see FIG. 1) extending backward from the lower ends of the side frames 10a and 10b -3, respectively, of the side frames 10a, 10b. The camshaft 2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positioned behind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rear wheel 12 and the side frames 10a and 10b. Therefore, when the cam 22 rotates together with the camshaft 21 rotating about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cam 22 is provided with a boarding portion (not shown), a first inclined portion 311, a second inclined portion 321 And may not be in contact with other configurations of the same wheelchair 100.

일 실시예에 따른 캠(22)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테두리가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금속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캠(22)은 일측의 면적이 타측의 면적보다 큰 비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캠(22)의 일측에는 캠축(21)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21)은 캠(22)이 캠축(21)과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도록, 캠축(21)을 삽입한 상태에서 캠축(21)과 용접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캠(22)은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축(21)과 함께 회전 운동할 수 있고, 회전 중 캠축(21)과 연결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아 휠체어(100)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캠(22)을 복수로 구성하여 회전시키는 경우 휠체어(100)가 수평을 유지하여 전복되지 않기 위해서는, 복수의 캠(22)은 서로 수평이 되도록 캠축(21)과 연결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된 캠(22)의 테두리로 인해 메인프레임(10)과 지면과의 거리는 캠(22)의 회전 운동에 따라 서서히 변할 수 있다. 그 결과, 캠(22)을 포함하는 휠체어(100)의 사용자는 휠체어(100)의 승강 작동 시 메인프레임(10)과 지면과의 거리 변화에 따른 부담을 적게 느낄 수 있다.At least one cam 2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provided,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tal plate having a curved rim. 3, the cam 22 may be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in which the area of one side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ther side. A through hole 221 through which the camshaft 21 can pas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m 22. The through hole 221 can be connected to the camshaft 21 by welding or the like while the camshaft 21 is inserted so that the cam 22 can not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camshaft 21. [ Therefore, the cam 22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camshaft 21 rotating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afety of the wheelchair 100 can be ensur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position connected to the camshaft 21 during rotation. It is advantageous that the plurality of cams 22 are connected to the camshaft 21 so as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wheelchair 100 from being inverted while keeping the level of the wheelchair 100. [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frame 10 and the ground surface can be gradually changed due to the rotation of the cam 22 due to the rim of the cam 22 formed in a gentle curve. As a result, the user of the wheelchair 100 including the cam 22 can feel less burden due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main frame 10 and the ground when the wheelchair 100 is lifted and lower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3)는 캠축(21)의 일단부(도 1 기준 좌측)와 근접한 위치에서 좌측면프레임(10b)과 연결될 수 있고, 모터(23)에는 캠축(21)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모터(23)는 전동기와 같은 통상적인 구동수단으로, 모터(23) 내부로 삽입된 캠축(21)의 일단부를 회전시켜 캠축(21)에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1, the motor 23 can be connected to the left side frame 10b at a position close to one end (left side in FIG. 1) of the camshaft 21, and the camshaft 21 is connected to the motor 23, One end portion of the end portion can be inserted. The motor 23 is a conventional driving means such as an electric motor and can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to the camshaft 21 by rotating one end of the camshaft 21 inserted into the motor 23.

추가적으로, 승강부(20)는 상기 모터(23)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축(21)의 타단부(도 1 기준 우측)와 근접한 위치에서 우측면프레임(10a)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unit 20 may include a battery 24 for driving the motor 23. The battery 2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the right side frame 10a at a position close to the other end (reference right side in FIG. 1) of the camshaft 21, as shown in FIG.

또한, 승강부(20)는 모터(23)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S)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터(23)에 작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S)는 모터(23)가 캠축(21)을 오름방향(A) 또는 내림방향(C)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두 가지의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S)는 토글 스위치 형식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S)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프레임 전단부(10a-1)의 중간측에 연결될 수 있다. 측면프레임 전단부(10a-1, 10b-1)의 중간측은 휠체어(100)에 탑승한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곳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휠체어(100)에 탑승한 상태에서 스위치(S)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Further, the lifting portion 20 may include a switch S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23. [ The switch 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to the motor 23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t this time, the switch S can generate two operation signals that cause the motor 23 to rotate the camshaft 21 in the ascending direction (A) or the descending direction (C). To this end, the switch S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oggle switch or may comprise a plurality of buttons. The switch 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be connected to the middle side of the right side frame front end portion 10a-1 as shown in Fig. Since the middle side of the front end portions 10a-1 and 10b-1 of the side frames is where the hand of the user who rides on the wheelchair 100 is located, the user can easily push the switch S in a state of being aboard the wheelchair 100 .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는 장애물을 오르내릴 때 메인프레임(10)을 장애물에 대해 지지할 수 있도록 서브프레임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부(30)는 제1서브프레임(31); 제1서브프레임(31) 사이를 연결하는 제2서브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부(30)의 각 부분을 용이하게 구분하기 위해, 도 4에서 제2서브프레임(32)을 회색음영으로 표시하였다.Meanwhile, the wheel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the subframe portion 30 to support the main frame 10 against an obstacle when raising and lowering an obstacle. 1 and 4, the subframe portion 30 includes a first subframe 31; And a second sub-frame 32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sub-frames 31. In order to easily distinguish each portion of the subframe portion 30, the second subframe 32 is shown in gray shading in Fig.

제1서브프레임(31)은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 상에 전방을 향하여 연결되는 프레임으로서, 메인프레임(10)을 장애물에 대해 지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서브프레임(31)은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 즉 측면프레임 전단부(10a-1, 10b-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서브프레임(3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된 형태로 측면프레임 전단부(10a-1, 10b-1)의 하단 및 그로부터 일정거리 위에 있는 부분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서브프레임(31)은 측면프레임 전단부(10a-1, 10b-1)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좌측(도면기준)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서브프레임(31)의 형상 및 연결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한 쌍으로 마련되지 않을 수 있고, 다양한 위치에서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ub-frame 31 is a frame connected forwar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0, and is provided with a downwardly inclined downwardly extend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in frame 10 against an obstacle. 1 inclined portion 311 as shown in Fig. 1 and 2, the first sub-frame 31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0, that is, to the front end portions 10a-1 and 10b-1 of the side frames. 1, the first sub-frame 3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side frames 10a-1 and 10b-1 at the lower ends of the side frame front portions 10a-1 and 10b-1, And can be connected to a portion over a certain distance,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sub-frame 3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 frames front ends 10a-1 and 10b-1 to the left (drawing reference). However, the shape an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sub-frame 31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y may not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0 at various positions.

제1경사부(311)는 제1서브프레임(31)의 좌단부(도 2 기준)로부터 우측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전진하는 휠체어(100)의 전단부는 제1경사부(311)를 따라 특정 높이의 장애물을 서서히 오르내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경사부(311)가 형성된 제1서브프레임(31)을 통해 휠체어(100)가 평지를 주행할 때와 유사한 힘만으로도 휠체어(100)의 전단부를 장애물 위로 올라가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경사부(311)는 앞바퀴(11)의 회전축(X)에 대한 회전반경에 포함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그러므로, 제1경사부(311)는 앞바퀴(11)가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제1경사부(311)의 전단과 지면 사이의 거리는 20~30cm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휠체어(100)는 보행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약 20~30cm 높이의 연석을 쉽게 오르내릴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may be a portion formed by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left end of the first subframe 31 (refer to FIG. 2). The front end of the advancing wheelchair 100 can gradually raise or lower an obstacle at a specific height alo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 Therefore, the user can move the front end of the wheelchair 100 above the obstacle by a force similar to that when the wheelchair 100 travels on the ground through the first sub-frame 31 formed with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 On the other h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included in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front wheel 11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X (see FIG. 1). Therefore,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does not prevent the front wheel 11 from rotating about the rotation axis X. [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and the ground may be 20 to 30 cm. The wheelchair 100 having such characteristics can easily ascend and descend a curb about 20 to 30 cm high, which can be easily seen on a walkway.

제2서브프레임(32)은 한 쌍의 제1서브프레임(31)을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으로서, 그 일측 상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제2경사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서브프레임(32)은 제1경사부(311)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봉부재일 수 있다. 제2서브프레임(32)의 하부는 후방(B)으로 갈수록 아래 방향(도면기준)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2경사부(321)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b-frame 32 is a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first sub-frames 31 to each other and may include a second inclined portion 321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on one side thereof.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sub-frame 3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a rod member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s 311 to each other.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b-frame 32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econd inclined portions 321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viewed in the drawing) toward the rear (B).

제2경사부(32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서브프레임(32)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경사부(321)는 앞바퀴(11)의 회전축(X)에 대한 회전반경에 포함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제2경사부(321)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위로 더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경사부(321)는 휠체어(10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휠체어(100)가 장애물을 오르내릴 때 휠체어(100)의 중앙부에 장애물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1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sub-frame 32 as shown in FIGS. At this tim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not included in the turning radius of the front wheel 11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X (see FIG. 1).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1 may be further extended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Sinc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1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heelchair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bstacle from being caught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wheelchair 100 when the obstacle is raised or lowered by the wheelchair 100.

한편, 제1서브프레임(31)에는 제1경사부(311)를 따라 제1보조바퀴(312)가 배열될 수 있고, 제2서브프레임(32)에는 제2경사부(321)를 따라 제2보조바퀴(322)가 배열될 수 있다. 제2보조바퀴(322)는 제1보조바퀴(312)와 비교했을 때, 연결되는 위치 외에는 그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하의 제1보조바퀴(312)에 대한 설명으로 제2보조바퀴(322)에 대한 설명을 대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조바퀴(312)는 제1보조바퀴(312)의 회전축이 되는 보조바퀴축(312a)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바퀴축(312a)은 제1경사부(311)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고, 제1보조바퀴(312)의 중앙을 통과하는 형태로 제1보조바퀴(312)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바퀴(312)는 복수로 구성되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부(311)의 좌우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제1보조바퀴(312)의 배열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제1보조바퀴(312)는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개수를 가지고 제1경사부(311)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The first sub-frame 3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auxiliary wheel 312 alo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and the second auxiliary frame 312 may be arranged along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1 in the second sub- 2 auxiliary wheels 322 may be arranged. Since the second auxiliary wheel 322 has the same shape and function as those of the first auxiliary wheel 312 except for the connecting position thereof, 322). The first auxiliary wheel 3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auxiliary wheel shaft 312a which is a rotational axis of the first auxiliary wheel 312. [ The auxiliary wheel axle 312a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and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auxiliary wheel 312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auxiliary wheel 312. [ In addition, the first auxiliary wheels 312 may b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uxiliary wheels 312 shown in FIGS. 1 and 4 is merely an embodiment, and the first auxiliary wheels 312 may have various numbers of first inclined portions 311 ). ≪ / RTI >

제1서브프레임(31)에 제1보조바퀴(312)를 추가함으로써, 휠체어(100)의 사용자는 제1보조바퀴(312)가 없는 경우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여 장애물을 오르내릴 수 있다. 이는 제1보조바퀴(312)가 장애물과 접촉하여 회전함에 따라 제1경사부(311)와 장애물 간의 마찰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는, 제1보조바퀴(312)에 자동차의 쇽업쇼버와 같은 탄성체를 포함하여 표면에 많은 요철을 포함하는 장애물을 보다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다.By adding the first auxiliary wheel 312 to the first subframe 31, the user of the wheelchair 100 can use the lesser force to raise and lower the obstacle than when the first auxiliary wheel 312 is absent. This is becau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and the obstacle decreases as the first auxiliary wheel 312 rotates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wheelchai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elastic body such as a shock absorber of an automobile on the first auxiliary wheel 312 to more easily raise and lower an obstacle including many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thereof have.

아울러, 본 개시의 휠체어(100)는 메인프레임(10)의 후단부에 위치하여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거리감지센서(40)는 지면과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내로 좁혀지는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wheelchair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sensor 40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0 to sense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surfac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alarm signal when the distance is narrow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거리감지센서(40)는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등 일반적으로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체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감지센서(40)는 적외선, 초음파 등의 감지 수단을 이용하여 거리감지센서(40)와 지면과의 수직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지면과의 수직거리를 측정한 거리감지센서(40)는 측정된 수직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경고신호를 조건에 맞게 생성하기 위해, 거리감지센서(40)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거리감지센서(40)의 경고신호 생성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기판, 집적회로칩, 하드웨어에 탑재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펌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감지센서(40)는 휠체어(100) 주행 중 사용자가 미처 감지하지 못한 턱, 연석 등 경고 설정된 수직거리를 초과하는 높이 차가 있는 지형을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거리감지센서(40)의 경고신호를 통해 위험을 알아차리고 휠체어(100)를 정지시켜 예상치 못한 장애물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40 may include any means generally used to detect distance, such as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The distance sensor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measure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sensor 40 and the ground using a sensing means such as infrared rays or ultrasonic waves. The distance sensor 40, which measures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ground, can generate a warning signal when the measured vertical distanc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In order to conditionally generate the warning signal, the distance sensor 40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The control uni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uit board, an integrated circuit chip, a series of computer programs, firmware, software, etc. mounted on the hardware that can control the generation of the warning signal of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0. The distance sensor 40 may generate a warning signal by sensing a terrain having a height difference exceeding a set vertical distance such as a jaw, a curb, etc., which the user has not sensed while driving the wheelchair 100. As a result, the user can recognize the danger through the warning signal of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0 and stop the wheelchair 100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n unexpected obstacle.

한편, 거리감지센서(40)는 다양한 위치에서 휠체어(100)와 연결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3)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모터(23)는 휠체어(100)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모터(23)의 하단에 연결된 거리감지센서(40)는 휠체어(100)의 후진 시 행로의 높이 차에 따른 위험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휠체어(100) 후방의 지형을 관찰하기 어려우므로 거리감지센서(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휠체어(100)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안전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거리감지센서(40)를 배터리(24)의 하단이나 측면프레임(10a, 10b)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부분(10a-3, 10b-3)에 연결한 경우에도 달성할 수 있다. 다만, 휠체어(100) 사용자가 전방을 주시하지 못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거리감지센서(40)는 휠체어(100)의 전방에도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감지센서(40)는 제1서브프레임(31) 및/또는 제2서브프레임(3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tance sensor 40 may be connected to the wheelchair 100 at various positions, but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tor 23, as shown in FIG. The distance sensor 4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tor 23 is dangerous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path of the wheelchair 100 when the wheelchair 100 moves backward It can be detected early.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observe the terrain at the back of the wheelchair 100. Therefore, the distance sensor 40 may be advantageously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wheelchair 100 as described above in terms of safety. This effect can also be achieved when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24 or to the portions 10a-3, 10b-3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ower ends of the side frames 10a, 10b . However, the distance sensor 4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wheelchair 100 to prevent an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the user of the wheelchair 100 can not watch the front. For example, the distance sensor 4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frame 31 and / or the second sub-frame 32.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는 거리감지센서(40)에서 생성된 경고신호를 휠체어(100) 사용자가 쉽게 알아챌 수 있도록 하는 장애물경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물경보기(미도시)는 실시예에 따라 거리감지센서(4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내는 스피커, 경고용 빛을 발산하는 램프 등 다양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heel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obstacle alarm (not shown) for allowing the user of the wheelchair 100 to easily recognize the warning signal generated by the distance sensor 40. [ An obstacle alarm (not shown) may use various devices such as a speaker for receiving a warning signal from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0 and emitting a warning sound, and a lamp for emitting warning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또한, 휠체어(100)는 거리감지센서(40)에서 생성된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뒷바퀴(12)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미도시)는 경고신호를 수신했을 때 뒷바퀴(12)를 용이하게 제동할 수 있도록 뒷바퀴(12)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미도시)는 사용자가 경고신호를 간과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100)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wheelchair 100 may include a brake (not shown) for receiving the warning signal generated by the distance sensor 40 and for braking the rear wheel 12. The brake (not shown)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rear wheel 12 so that the rear wheel 12 can be easily braked when the warning signal is receiv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ke (not shown) can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the user ignoring the warning signal,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safety of the wheelchair 10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휠체어(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가 장애물(O)을 오르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서 장애물(O)은 소정의 길이를 가진 턱일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의 서브프레임부(30)는 제1서브프레임(31)만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휠체어(100)의 작동 과정은 1차적으로 휠체어(100)의 앞바퀴(11)가 장애물(O)을 오르는 과정, 2차적으로 뒷바퀴(12)가 장애물(O)을 오르는 과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heelchai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wheelchai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limbs the obstacle O. FIG. In FIG. 5, the obstacle O may be a chi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subframe portion 30 of the wheelchai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ly the first subframe 31. The operation of the wheelchair 100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the process in which the front wheel 11 of the wheelchair 100 first climbs the obstacle O and the second process in which the rear wheel 12 climbs the obstacle O.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0)가 주행 중에 장애물(O)을 마주할 경우, 휠체어(100)와 장애물(O)은 서브프레임부(30)의 제1경사부(311)에서 가장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제1경사부(311)는 측면에서 봤을 때 서브프레임부(30)의 전단부에서 앞바퀴(11)에 이르기까지 완만하게 경사져 있으므로, 휠체어(100)의 전단부는 사용자가 뒷바퀴(12)를 구동하면 제1경사부(311)를 따라 서서히 장애물(O) 위로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휠체어(100)에 제1경사부(311)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보다 적은 힘으로 뒷바퀴(12)를 구동하여 휠체어(100)의 전단부를 장애물(O)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5 (a), when the obstacle O is encountered while the wheelchair 100 is running, the wheelchair 100 and the obstacle O are positioned at the first inclined portion of the subframe portion 30, The first contact can be made at the first contact 311. Since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is gently inclined from the front end of the subframe portion 30 to the front wheel 11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wheelchair 100, when the user drives the rear wheel 12 The obstacle O can be gradually raised alo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Accordingly, the user can move the front end of the wheelchair 100 over the obstacle O by driving the rear wheel 12 with less force than in the case where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1 is not formed on the wheelchair 100.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0)의 전단부가 장애물(O)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 사용자는 휠체어(100)의 후단부가 장애물(O)을 오를 수 있도록 스위치(S)를 작동할 수 있다. 스위치(S) 작동에 따라 생성된 작동 신호는 모터(23)에 전송될 수 있고, 모터(23)는 전송된 작동 신호에 따라 캠축(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휠체어(100)가 장애물(O)을 올라가는 과정에서, 모터(23)는 캠축(21)을 오름방향(A)으로 회전시키게 된다(도 1 참조). 캠축(21)이 오름방향(A)으로 회전함에 따라, 캠축(21)에 연결된 캠(22)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캠(22)은 회전 이동 중 지면과 접촉하여 지면에 힘을 가하게 되고, 그에 따른 반작용에 의해 휠체어(100)의 후단부는 도 5-(c)와 같이 장애물(O)에 올라탄 상태가 될 수 있다. 그 결과, 뒷바퀴(12)의 외각은 장애물(O) 위의 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뒷바퀴(12)를 구동하여 휠체어(100)를 일정 거리 전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휠체어(100)는 캠(22)의 지지력 없이도 장애물(O) 위의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는 캠(22)이 장애물(O) 또는 지면에 걸려 휠체어(100)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스위치(S)를 한번 더 조작하여 모터(23)에 오름방향(A) 작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캠(22)은 폭이 좁은 부분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0)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동하게 되고, 휠체어(100)는 캠(22)이 평평한 지면과 접촉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게 된다.5B, when the front end of the wheelchair 100 is raised above the obstacle O,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S so that the rear end of the wheelchair 100 can climb the obstacle O can do. The operation signal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 S ope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motor 23 and the motor 23 can rotate the camshaft 21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operation signal. The motor 23 rotates the camshaft 21 in the ascending direction A (see Fig. 1) in the course of the wheelchair 100 climbing the obstacle O like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camshaft 21 rotates in the ascending direction A, the cam 22 connected to the camshaft 21 can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t this time, the cam 2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while rotating, and the rear end of the wheelchair 100 is put on the obstacle O as shown in FIG. 5- (c) . As a result, the outer angle of the rear wheel 12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obstacle O. [ In this state, the user can drive the rear wheel 12 to advance the wheelchair 100 a certain distance. Therefore, the wheelchair 100 can stably rest on the ground on the obstacle O without the support force of the cam 22. [ Further,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S once more so that the cam 2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f the wheelchair 100 due to the obstacle O or the ground, so that the motor 23 is operated in the ascending direction (A) Lt; / RTI > 5 (d), the cam 22 is pivoted toward the rear of the wheelchair 100, and the wheelchair 1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of the cam 22 It is possible to run without.

휠체어(100)가 장애물(O)을 내려가는 과정은 모터(23)가 캠축(21)을 내림방향(C)으로 회전시킨다는 차이를 제외하고, 전술한 과정의 역순에 불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ocess in which the wheelchair 100 descends the obstacle O is only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except for the difference that the motor 23 rotates the camshaft 21 in the downward direction C, and therefor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아울러, 본 개시의 승강부(20), 서브프레임부(30), 및 거리감지센서(40) 등의 구성은 휠체어뿐만 아니라 물건을 수용하여 운반할 수 있는 손수레에 설치되어 본 개시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on part 20, the subframe part 30, and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not only in a wheelchair but also in a hand-held basket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porting objects, Can be achieved.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도 서로 분산되어 실시되거나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 may b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in the drawings.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s or features described together in the specific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the configurations or features described in each of the different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manner. Likewise, the configurations or features described in each claim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manner or in combination. And all such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휠체어 10: 메인프레임
10a, 10b: 측면프레임 11: 앞바퀴
12: 뒷바퀴 20: 승강부
21: 캠축 22: 캠
23: 모터 24: 배터리
30: 서브프레임부 31: 제1서브프레임
311: 제1경사부 312: 제1보조바퀴
32: 제2서브프레임 321: 제2경사부
322: 제2보조바퀴 40: 거리감지센서
S: 스위치
100: wheelchair 10: main frame
10a, 10b: side frame 11: front wheel
12: rear wheel 20:
21: camshaft 22: cam
23: motor 24: battery
30: Sub-frame section 31: First sub-frame
311: first inclined portion 312: first auxiliary wheel
32: second sub-frame 321: second inclined portion
322: second auxiliary wheel 40: distance sensor
S: Switch

Claims (8)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 상에 배치되는 앞바퀴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 상에 배치되는 뒷바퀴와, 장애물에 대해 상기 메인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는 휠체어로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모터;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축; 및
상기 캠축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캠축에 대해 편심회전하는 캠을 포함하며,
상기 캠의 편심회전에 의해 지면과 캠축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장애물에 대해 승강되는, 휠체어.
A wheelchair comprising a main frame, a front wheel disposed on a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frame, a rear wheel disposed on a rear end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a lift portion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main frame relative to the obstacle,
The main frame includes a pair of side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elevating unit includes:
motor;
A camshaft rotated by the motor between the pair of side frames; And
And a cam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camshaft and eccentricall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amshaf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camshaft is adjusted by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cam, so that the main frame is rais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obsta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 상에 전방을 향하여 연결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장애물에 대해 지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를 포함하는 제1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am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forward and including a first sub-frame including a first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backwar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as to support the main frame with respect to the obstacle Wheelchai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프레임에는 상기 제1경사부를 따라 제1보조바퀴가 배열되는, 휠체어.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irst sub-frame is arranged alo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in the first sub-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프레임은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휠체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ubframe is provided with a pair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서브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으로서, 일측 상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제2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휠체어.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econd sub frame including a second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back on one side as a frame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first sub fram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프레임에는 상기 제2경사부를 따라 제2보조바퀴가 배열되는, 휠체어.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second sub-frame is arranged along the second inclined portion in the second sub-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위치하여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상기 지면과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내로 좁혀지는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tance sensor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main frame to sense a distance from the ground,
Wherein the distance sensor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is narrow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신호에 따라 상기 뒷바퀴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brake for braking the rear wheel in accordance with the warning signal.
KR1020170097308A 2017-07-31 2017-07-31 Wheelchair KR1019257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308A KR101925721B1 (en) 2017-07-31 2017-07-31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308A KR101925721B1 (en) 2017-07-31 2017-07-31 Wheel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721B1 true KR101925721B1 (en) 2018-12-05

Family

ID=6474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308A KR101925721B1 (en) 2017-07-31 2017-07-31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7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1848A (en) * 2019-01-11 2019-03-22 伍尚强 Push-rod assembly and car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749A (en) * 2000-09-08 2002-03-19 Kyowa Kinzoku Kk Wheel for wheelchair
JP3697638B2 (en) * 1994-11-18 2005-09-21 ドゥゴンダ レアブ ソシエテ アノニム Wheelchair for transporting or assisting handicapped persons
KR101632824B1 (en) 2015-01-12 2016-06-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wheelper
JP2016202512A (en) 2015-04-21 2016-12-08 株式会社をくだ屋技研 wheel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638B2 (en) * 1994-11-18 2005-09-21 ドゥゴンダ レアブ ソシエテ アノニム Wheelchair for transporting or assisting handicapped persons
JP2002078749A (en) * 2000-09-08 2002-03-19 Kyowa Kinzoku Kk Wheel for wheelchair
KR101632824B1 (en) 2015-01-12 2016-06-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wheelper
JP2016202512A (en) 2015-04-21 2016-12-08 株式会社をくだ屋技研 wheelch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1848A (en) * 2019-01-11 2019-03-22 伍尚强 Push-rod assembly and cart
CN109501848B (en) * 2019-01-11 2024-02-02 伍尚强 Push rod assembly and trolle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575B1 (en) The driving method of driving device to climb stairs
JP5350157B2 (en) Walking assistance vehicle
KR101386197B1 (en) Rollover preventing apparatus for power wheelchair or walk assistance appliance
KR101215285B1 (en) Feasible driving electric wheelchair in sidewalk and stairs
JP2004303134A (en) Vehicle
JP5316142B2 (en) Inverted wheel type moving body
KR101188862B1 (en) Electrically-powered stair-climbing vehicle
KR101925721B1 (en) Wheelchair
KR20130130618A (en) Assistive device to prevent accidents of pedestrians hurt
KR101488132B1 (en) Cane for the blind
KR102366931B1 (en) Electric assist module and detection method of the entry section of flat land
JP2013208246A (en) Wheelchair and method for making the wheelchair ascend/descend
KR102382528B1 (en) Lift method for wheel chair using lift apparatus
KR102381643B1 (en) Lift apparatus for wheel chair
KR101383044B1 (en) Electric wheelchairs
KR101289966B1 (en) Device of walking guidance for a blind person
KR201500624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road su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user in walking
JP2019048581A (en) Stair lift for wheelchair
KR102393474B1 (en) Wheelchair carrier
KR20220156129A (en) Safe wheelchair for safe driving and its driving method
KR20170063051A (en) A wheel chair has a overthrow prevention function
KR101272604B1 (en) Riding robot and oper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40128000A (en) Driving robot
JP2013208245A (en) Wheelchair
KR20110137962A (en) Wheelchair with two legs to climb stai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