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497B1 - 악기 조율 장치 - Google Patents

악기 조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497B1
KR101925497B1 KR1020170080515A KR20170080515A KR101925497B1 KR 101925497 B1 KR101925497 B1 KR 101925497B1 KR 1020170080515 A KR1020170080515 A KR 1020170080515A KR 20170080515 A KR20170080515 A KR 20170080515A KR 101925497 B1 KR101925497 B1 KR 101925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information
string
unit
s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홍
남궁성섭
Original Assignee
김민홍
남궁성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홍, 남궁성섭 filed Critical 김민홍
Priority to KR102017008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의 줄감개를 회전시켜 현음을 조율하는 조율부; 상기 현음을 감지하여 현음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현의 종류에 대한 기준 현 정보 및 기준 음역 정보를 포함하는 현음 기준값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감지 센서에서 획득되는 상기 현음 정보와 상기 기준 현 정보를 비교하여 조율 객체가 되는 현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조율 객체가 되는 현에 대한 상기 기준 음역 정보에 도달하도록 하는 상기 조율부를 회전시켜 상기 현악기를 튜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악기 조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악기 조율 장치{DEVICE FOR TUNING INSTRUMENT}
본 발명은 기타나 우쿨렐레 같은 현악기에 대한 자동 조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기는 그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를 발한다. 특히, 현악기의 경우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강도로 고정되고, 사용자의 손이나 보조 도구 등을 이용하여 줄과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악기는, 줄이 당겨져 있는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에는 악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악기의 조율에 관한 전문적인 기술을 구비한 일명 악기 조율사들을 통해 교정을 맡겨야만 했다.
하지만, 악기 조율사의 인원이 많지 않아 많은 비용과 조율 기간이 오래 걸니다. 또한, 조율사의 청력에 의존하여 조율이 이루어짐으로써 개개인의 역량에 따라 악기 조율 능력의 차이가 있어, 사용자가 의도한 균일한 악기 조율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악기의 소리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조율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는, 악기 조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악기 조율 장치는, 현악기의 줄감개를 회전시켜 현음을 조율하는 조율부; 상기 현음을 감지하여 현음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현의 종류에 대한 기준 현 정보 및 기준 음역 정보를 포함하는 현음 기준값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감지 센서에서 획득되는 상기 현음 정보와 상기 기준 현 정보를 비교하여 조율 객체가 되는 현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조율 객체가 되는 현에 대한 상기 기준 음역 정보에 도달하도록 하는 상기 조율부를 회전시켜 상기 현악기를 튜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의 종류 정보, 회전 속도 정보, 음계 정보, 튜너 모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음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노이즈 제거 동작을 하도록 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보정 현음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시 모듈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음 정보가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음 발생 요청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에는 상기 조율부 및 상기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조율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율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는 커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튜닝 동작을 위한 제1 동작 프로그램과 줄교체 동작을 위한 제2 동작 프로그램을 저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에서의 상기 동작 모두에 대응되는 동작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상기 조율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악기의 몸체에 부착되어 상기 현을 물리적으로 타격하도록 형성되는 탄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현부는, 상기 몸체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탄현 하우징; 상기 탄현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현을 타격하도록 형성되는 탄현체; 및 상기 탄현체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탄현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현악기의 줄감개를 회전시켜 현음을 조율하는 조율부; 상기 현음을 감지하여 현음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현음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현음이 발생되는 현의 종류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현악기의 조율에 관한 조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조율 정보에 따라 상기 조율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율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 조율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로 보정된 조율 정보인 보정 조율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상기 조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악기 조율 장치에 의하면, 악기 소리 감지에 대응되는 악기 조율을 자동으로 실시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균일한 악기 조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율 상태를 디스플레이부로 확인 가능하며, 수동 조작에 따라 조율을 진행할 수 있어 이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율 중 발생되는 악기 줄을 절삭하는 구성을 구비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악기의 탄현을 위한 구성을 구비하여 탄현에서부터 조율까지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율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조율 장치(100)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조율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현부(19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2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조율 장치(100)의 구성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악기 조율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조율 장치(100)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조율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현부(19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2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조율 장치(100)의 구성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 조율 장치(100)는 일측에 형성되는 조율부(120)를 통해 현악기(G)의 줄감개(J)과 결합하여 이를 회전시킬 수 있다. 현악기(G)는 줄감개(J)가 현(W)을 고정하고 있는 수단이므로, 줄감개(J)의 회전에 따라 이에 고정되는 현(W)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현(W)의 장력이 변화되는 경우, 이에 따라 기타에서 발생되는 소리인 현음 역시 조절됨으로써, 줄감개(J)의 회전을 통해 현악기(G)의 조율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현악기(G)를 기타로 적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현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다른 종류의 악기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악기 조율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율 하우징(110), 조율부(120), 감지 센서(130), 디스플레이부(140), 근거리 통신 모듈(150), 사용자 입력부(160), 전원 공급부(170), 메모리부(180), 탄현부(190), 커팅부(21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율 하우징(110)은, 악기 조율 장치(100)의 외관에 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은 직사각형이고 하단은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건 타입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조율 하우징(110)은 건 타입으로 형성되어 하단을 손잡이처럼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해당 부분을 손으로 잡고 현악기(G)의 조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율 하우징(110)은 현악기(G)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는 조율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타측을 통해 현악기(G)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결합 시 현악기(G)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율 하우징(110)을 기타에 결합한 체로 현악기(G)의 조율을 실시할 수 있다.
조율부(120)는, 기타의 줄감개(J)을 회전시켜 현음을 조율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율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율부(120)는 조율 하우징(110)의 일단에 설치되어 현악기(G)의 줄감개(J)을 수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율부(120)는 회전 구동기(121) 및 탈착 조율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기(121)는, 조율 하우징(110)의 일단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탈착 조율기(123)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조율 하우징(110)을 향해 오목되게 형성되는 회전홈(121a)을 구비할 수 있다.
탈착 조율기(123)는, 일측을 통해 회전 구동기(121)와 결합되고 타측을 통해 줄감개(J)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착 조율기(123)는, 줄감개(J)이 수용될 수 있는 줄감개홈(123a)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회전 구동기(121)의 회전홈(121a)에 탈착될 수 있는 회전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구동기(121)는 회전 나사를 통해 회전 구동기(121)에 결합되고, 회전홈(121a)을 통해 줄감개(J)와 결합됨으로써, 회전 구동기(121)의 회전력을 줄감개(J)에 인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탈착 조율기(123)는 줄감개(J)를 수용하는 줄감개홈(123a)이 일자 나사 또는 십자 나사와 같은 공구 구조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조율부(120)를 통해서 줄감개(J)뿐 아니라, 악기의 다른 부품들에 대한 결합 및 분리 등의 다양한 작업을 악기 조율 장치(100)로 수행할 수 있다.
감지 센서(130)는, 현악기(G)의 현음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현음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율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센서(130)는 마이크와 같이 음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현(W)이 진동하여 발생되는 현음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현음 정보는 현(W)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주파수 정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조율부(120), 감지 센서(130) 및 후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150), 사용자 입력부(160), 전원 공급부(170), 메모리부(180), 탄현부(190), 제어부(230) 등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율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에는 현(W)의 종류 정보, 조율부(120)의 회전 속도 정보, 현음의 음계 정보, 튜너 모드 정보, 및 현음 발생요청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해당 정보들은 후술하는 제어부(230)와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40)는 전기적인 신호들을 이미지화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악기 조율 장치(100)의 상태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50)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 구성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을 서버나 사용자 단말기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를 공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여기서의 근거리 통신 모듈(150)은 현음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현음 정보의 노이즈가 제거된 보정 현음 정보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수동 입력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조율 하우징(110)의 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40)와 통합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60)는 조율부(120)의 속도 조절을 위한 신호, 자동 모드 및 수동 모드 변환 신호, 수동 모드에서의 줄 감기 신호 및 줄 풀기 신호, 튜닝 동작을 위한 제1 동작 모드 및 줄교체 동작을 위한 제2 동작 모드에 관한 동작 프로그램 신호 등에 관한 수동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악기 조율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율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탈착 및 교환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70)는 도시하지 않은 USB 케이블과 같은 전원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메모리부(180)는, 악기 조율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에 관한 제1 동작 프로그램 및 제2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특히 현음 정보에 대한 기준값인 현음 기준값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탄현부(190)는, 현(W)을 물리적으로 타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W)이 구비되는 현악기(G)의 몸체(O)에 설치되어 현(W)을 선택적으로 타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현부(190)는 탄현 하우징(191), 탄현체(193), 및 탄현 구동기(195)를 포함할 수 있다.
탄현 하우징(191)은, 현악기(G)의 몸체(O)와 결합되기 위한 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가 몸체(O)를 향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탄현 하우징(191)은 내부 공간에 현(W)이 배치될 수 있도록 현악기(G)의 몸체(O)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현 하우징(191)의 구조는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일측이 현악기(G)의 몸체(O)와 결합되고 일면은 현(W)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탄현 하우징(191)은, 현악기(G)의 몸체(O)와 접촉하는 각 영역에 탄현 결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탄현 결합부는 그 구조가 한정된 것이 아니며, 몸체(O)에서 탈착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데, 현(W)의 양측 몸체(O)에는 금속판이 각각 부착될 수 있고, 탄현 결합부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해당 금속판에 각각 부착 및 탈착될 수도 있다.
탄현체(193)는, 현(W)을 타격하여 현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탄현 하우징(191)의 내부에 설치되어 현(W)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탄현체(193)는 현(W)의 개 수에 대응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단일 구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현체(193)는 현(W)과 접촉하여 현(W)을 일 방향으로 팅길 수 있다.
탄현 구동기(195)는, 탄현체(193)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탄현 하우징(191)의 일측에서 탄현체(193)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모터 등의 구동력으로 탄현체(193)가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탄현 구동기(195)는 복수의 탄현체(193)에 대응되는 복수로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단일 구동기로 형성되어 각각의 탄현체(193)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현부(190)는, 탄현 케이블을 통해 조율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제어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탄현부(190)는 도시하지 않은 탄현 통신부를 구비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150)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뿐만아니라, 탄현부(190)의 일측에는 전원 공급부를 설치하여 해당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탄현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현(W)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현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커팅부(210)는, 조율 중에 발생되는 불필요한 현(W)을 절삭하기 위한 수단으로, 커팅 결합부(211) 및 커터(213)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팅 결합부(211)는, 조율 하우징(110)에 커터(21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커터(213)의 일단 영역을 관통하여 조율 하우징(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커팅 결합부(211)는 힌지로 구성될 수 있다.
커터(213)는, 현(W)을 절삭하기 위한 구성으로 커팅 결합부(211)에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이 조율 하우징(110)으로부터 전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커터(213)는 조율 하우징(110)을 향하는 일측면이 커터날로 형성되어 현(W)을 조율 하우징(110)과 커터(213)날 사이에 위치시켜 절삭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커터(213)는 자유단의 끝단이 가위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해당 가위 구조를 통해 현(W)을 수용하여 절삭시킬 수도 있다. 뿐만아니라, 커팅부(210)는 조율 하우징(110)에서 탈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커터(213)는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현(W)의 위치에 따라 길이를 조절 할 수도 있다.
커팅부(210)는 날카로운 칼날로 형성됨에 따라 조율 하우징(110)은 해당 칼날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커팅부(210)가 위치하는 일면이 보호 커버와 결합되거나, 커터(213)의 칼날 부위를 덮기 위해 커터(213)와 결합한 조율 하우징(110)의 일면에서 커터(213)의 칼날 부위를 덮도록 가이드씰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상술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감지 센서(130)를 통해 현(W)에 대한 탄현에 따라 현음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조율부(1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30)의 동작 방법은 아래와 같이 악기 조율 장치(100)의 순차적인 작동 방법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최초 사용자는, 현(W)의 조율을 위해 악기 조율 장치(100)의 조율부(120)를 기타의 줄감개(J)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후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해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에 관한 모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230)는 해당 모드 선택 정보에 따라 조율부(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먼저, 자동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자동 모드에서 생성되는 탄현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탄현부(190)를 통해 메모리부(180)에 저장된 기준 탄현값인 기준 탄현 정보에 따라 현(W)을 타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탄현부(190)가 구비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손이나 도구를 이용해 현(W)을 팅길 수 있다. 이렇게 현(W)이 타격되어 현음이 발생되면 제어부(230)는 감지 센서(130)를 통해 현음에 대한 현음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지 센서(130)를 통해 현음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현음 정보에 노이즈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노이즈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 모듈(150)을 통해 현음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시킬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현음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을 실시하여 이에 대한 보정 현음 정보를 생성해 악기 조율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현음 정보에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230)는 해당 현음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동작 없이 다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30) 현음 정보 또는 보정 현음 정보를 메모리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현음 기준값 정보와 비교하여 이에 대응되도록 조율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현음 기준값 정보는 현음에 해당되는 현(W)의 종류에 관한 기준 현 정보 및 기준 음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먼저 현음 정보를 통해 해당 현음 정보를 기준 현 정보와 비교하여 탄현된 현(W)의 종류에 대하여 판단하고, 해당 현(W)에 대해 기설정된 기준 음역 정보를 참고하여 조율부(12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제어부(230)는 현재 현음 정보를 통해 탄현된 현(W)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현(W)의 종류에 대응되는 기준 음역 정보에 도달하도록 줄감개를 조이거나 푸는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율부(120)를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현(W)에 대하여 탄현이 기준값에 도달하기까지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현음 정보가 감지 센서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탄현 완료 상태가 되고, 조율이 기준값에 도달하지 못했거나, 조율에 대한 확인을 위해 현음을 발생시키라는 현음 발생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탄현부(190)를 구동하여 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조율부(1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줄감개(J)을 회전시킬 수 있다. 감지 센서(130)는 기설정된 주기 또는 상시적으로 현음을 감지하여 현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30)는 조율부(120)에 의해 회전되는 줄감개(J)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회전 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현음 정보를 분석하여 음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상술한 회전 속도 정보 및 음계 정보와 현재 악기 조율 장치(100)의 모드 상태에 관한 모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되는 이미지 정보를 통해 현재 악기의 조율 상태 및 악기 조율 장치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근거리 통신 모듈(150)를 통해 현음 정보, 회전 속도 정보, 모드 정보 등에 관한 조율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전송된 정보의 응답으로 보정 조율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참고하여 조율부(12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나, 전문가들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정된 조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 것으로, 관련 조율 서버나 조율 커뮤니티, SNS 등으로 조율 정보가 전송하여, 이들에 의해 수정된 수정 조율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음은, 수동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한다.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탄현부(190)가 수동으로 선택되어 구동되면서 발생되는 현음이나, 사용자의 타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현음이 감지 센서(130)에 의해 감지되어 현음 정보로 생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음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현음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현음 정보는 그래프나 수식과 같은 이미지 정보로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해 조율부(120)의 회전에 대한 수동 입력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230)는 해당 수동 입력 신호에 따라 조율부(120)를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현재 조율 상태가 기준값 정보와의 차이에 관한 조율 비교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악기 조율 장치(100)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탄현 및 악기의 조율을 실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악기 조율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악기 조율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악기 조율 장치 170: 전원 공급부
110: 조율 하우징 180: 메모리부
120: 조율부 190: 탄현부
130: 센서부 210: 커팅부
140: 디스플레이부 230: 제어부
150: 근거리 통신 모듈
160: 사용자 입력부

Claims (10)

  1. 현악기의 줄감개를 회전시켜 현음을 조율하는 조율부;
    상기 현음을 감지하여 현음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현의 종류에 대한 기준 현 정보 및 기준 음역 정보를 포함하는 현음 기준값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감지 센서에서 획득되는 상기 현음 정보와 상기 기준 현 정보를 비교하여 조율 객체가 되는 현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조율 객체가 되는 현에 대한 상기 기준 음역 정보에 도달하도록 하는 상기 조율부를 회전시켜 상기 현악기를 튜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악기 조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의 종류 정보, 회전 속도 정보, 음계 정보, 튜너 모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악기 조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음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노이즈 제거 동작을 하도록 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보정 현음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악기 조율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음 정보가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음 발생 요청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악기 조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조율부 및 상기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조율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악기 조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는 커팅부를 더 포함하는, 악기 조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튜닝 동작을 위한 제1 동작 프로그램과 줄교체 동작을 위한 제2 동작 프로그램을 저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에서의 상기 동작 모두에 대응되는 동작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상기 조율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악기 조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의 몸체에 부착되어 상기 현을 물리적으로 타격하도록 형성되는 탄현부를 더 포함하는, 악기 조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현부는,
    상기 몸체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탄현 하우징;
    상기 탄현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현을 타격하도록 형성되는 탄현체; 및
    상기 탄현체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탄현 구동기;를 포함하는, 악기 조율 장치.
  10. 현악기의 줄감개를 회전시켜 현음을 조율하는 조율부;
    상기 현음을 감지하여 현음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현음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현음이 발생되는 현의 종류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현악기의 조율에 관한 조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조율 정보에 따라 상기 조율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율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 조율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로 보정된 조율 정보인 보정 조율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상기 조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악기 조율 장치.
KR1020170080515A 2017-06-26 2017-06-26 악기 조율 장치 KR10192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515A KR101925497B1 (ko) 2017-06-26 2017-06-26 악기 조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515A KR101925497B1 (ko) 2017-06-26 2017-06-26 악기 조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497B1 true KR101925497B1 (ko) 2019-02-27

Family

ID=6556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515A KR101925497B1 (ko) 2017-06-26 2017-06-26 악기 조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65B1 (ko) * 2021-01-28 2021-05-17 김민준 기타를 위한 줄감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222A (ko) * 2004-07-05 2006-01-10 김총훈 자동연주가 가능한 기타
US7659466B1 (en) * 2009-03-16 2010-02-09 Jin Tae Jang Tuning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R101035027B1 (ko) * 2008-09-08 2011-05-19 김해웅 기타 현 조율기
WO2012037639A1 (en) * 2010-09-21 2012-03-29 Jalgha Inc. A universal musical string adjusting apparatus for use with a tun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222A (ko) * 2004-07-05 2006-01-10 김총훈 자동연주가 가능한 기타
KR101035027B1 (ko) * 2008-09-08 2011-05-19 김해웅 기타 현 조율기
US7659466B1 (en) * 2009-03-16 2010-02-09 Jin Tae Jang Tuning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O2012037639A1 (en) * 2010-09-21 2012-03-29 Jalgha Inc. A universal musical string adjusting apparatus for use with a tun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65B1 (ko) * 2021-01-28 2021-05-17 김민준 기타를 위한 줄감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180B2 (en) Apparatus for a reed instrument
US6397186B1 (en) Hands-free, voice-operated remote control transmitter
US7501571B2 (en) Lighting display responsive to vibration
US5756913A (en) Automatic piano tuner
US20150047493A1 (en) Automatic Tuning Devices and Methods
WO2007019408A2 (en) Multi-functional pick for a stringed instrument
KR101925497B1 (ko) 악기 조율 장치
JP4159555B2 (ja) 楽器用プリアンプおよび電気楽器
JP4654291B2 (ja) ギターまたはベースの自動調弦装置
US6465723B2 (en) Automatic string instrument tuner kit
KR100707806B1 (ko) 자가 발전기능을 갖는 현악기 조율기 또는 박절기가 구비된연주용품
CN105466608B (zh) 一种操作简单的琴弦测力装置的工作方法
JP4448486B2 (ja) 音階練習機
US20020184993A1 (en) Electric drum stroke counting machine
KR20190004025A (ko) 악기 조율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악기 조율 시스템
US20040255756A1 (en) Electronic metronome
JP4125559B2 (ja) 電子調律器
WO2023119889A1 (ja) 楽音制御装置及び楽音制御プログラム
US11158294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R2962248A1 (fr) Guitare électrique sans fil avec émetteur intégré conçu spécialement pour jouer et pour chanter avec un micro branché sur la guitare
EP3267601B1 (en) Audio mixer
WO2022029351A1 (es) Afinador de pianos
WO20241150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sounds of a wind instrument
JP2004109302A (ja) 調律器及び調律方法
WO2013093211A1 (fr) Guitare electrique sans fil avec prise de microphone pour chanter et emetteur integ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