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905B1 - Hoist rail-bar - Google Patents

Hoist rail-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905B1
KR101924905B1 KR1020170003031A KR20170003031A KR101924905B1 KR 101924905 B1 KR101924905 B1 KR 101924905B1 KR 1020170003031 A KR1020170003031 A KR 1020170003031A KR 20170003031 A KR20170003031 A KR 20170003031A KR 101924905 B1 KR101924905 B1 KR 101924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hoist
coupling
ba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2011A (en
Inventor
최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00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905B1/en
Publication of KR2018008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0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miting trolley or crane travel; Arrangements of buffer-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 레일 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상기 호이스트가 왕봉이동되는 가이드레일을 선택적으로 달리 적용하여 저중량부터 고중량까지 다양한 중량의 이송대상물의 이송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 레일 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이스트 레일 바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는, 작업공간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고정구(10); 상기 레일고정구(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결합레일(20); 상기 결합레일(2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주행롤러가 장착된 호이스트용 이송부(3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31)의 왕복이동을 가능케 하는 선택형 가이드레일(30);로 구성되어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 rail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ist rail bar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a guide rail to which a hoist is moved according to a weight of a conveyed object to be conveyed by a hoist, So that the hoist rail bar can be smoothly op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hoist rail bar, the rail bar includes a pair of rail fasteners (10)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work space; A coupling rail 2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l fixing hole 10;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nveying part 31 for the hoist,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upling rail 20 and on which the traveling roller is mounte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allow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onveying part 31, And a rail (30), wherein the guide rail can be selectively replac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nveyed object conveyed by the hoist.

Description

호이스트 레일 바{HOIST RAIL-BAR} Hoist rail bar {HOIST RAIL-BAR}

본 발명은 호이스트 레일 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상기 호이스트가 왕봉이동되는 가이드레일을 선택적으로 달리 적용하여 저중량부터 고중량까지 다양한 중량의 이송대상물의 이송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 레일 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 rail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ist rail bar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a guide rail to which a hoist is moved according to a weight of a conveyed object to be conveyed by a hoist, So that the hoist rail bar can be smoothly operated.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중량물을 들어올려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계장치의 하나로, 각종 공장, 항만, 창고 등에서 재료나 제품 또는 기타 중량물을 입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사용된다. Generally, a hoist is a type of mechanical device for lifting a heavy object and moving it vertically or horizontally, and is used for three-dimensionally moving materials, products, or other heavy objects in various factories, ports, warehouses,

이러한 호이스트는 작업공간의 상부나 건물 천장 부분에 설치되는 레일 바와 상기 레일 바를 따라 이동되는 호이스트 이송부와 상기 호이스트 이송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중량물 파지부로 이루어진다. The hoist includes a rail ba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a work space or a ceiling of a building, a hoist transfer portion moved along the rail bar, and a weight grip portion coupled to the hoist transfer portion to lift a heavy object.

그러나, 종래의 호이스트는 다양한 중량물 특히 상기 레일 바가 지탱할 수 있는 중량 이상의 중량물을 이송하는 경우에 상기 중량물의 장시간 지속적인 작업에 의해 레일 바가 휘어지거나 파손되어 중량물의 원활한 이송작업을 진행하는데 차질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ist, when a heavy object having a weight greater than a weight that can be supported by various kinds of heavy objects, such as a rail bar, is transported, the rail bar is bent or broken due to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heavy object for a long time, It is tru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5668호의 호이스트 크레인용 레일 바가 개시되어 있다. A rail bar for a hoist crane of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015668 is disclosed 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상기 호이스트가 왕봉이동되는 가이드레일을 결합레일에 선택적으로 달리 적용하여 저중량부터 고중량까지 다양한 중량의 이송대상물의 이송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중량의 이송대상물로 인한 호이스트 레일 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 레일 바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moving a guide rail on which a hoist is mov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a conveyed object conveyed by a hois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ist rail bar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a conveying operation of conveyed objects of various weights and preventing breakage of the hoist rail bar due to a high-weight conveying objec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이스트 레일 바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는, 작업공간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작업공간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구(12)가 결합되는 상판(11)과, 상기 상판(11)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되 조임구의 관통을 위한 조임공(14)가 형성된 측판(13)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레일고정구(10);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레일고정구(10)의 측판(13)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조임공(14)을 관통하는 조임구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부(21)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부(21)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구(22)와, 상기 연장구(22)의 단부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구(23)으로 이루어진 일정길이를 갖는 사각봉체의 결합레일(20); 주행롤러가 장착된 호이스트용 이송부(3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31)의 왕복이동을 가능케 하고, 상기 수용공간(32)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딩구(23)의 슬라이딩결합을 위한 결합홈부(33)기 형성되어 상기 결합레일(2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30);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레일(2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0)이 상기 슬라이딩부(21)와 결합홈부(33)를 매개로 상기 결합레일(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측면을 관통하는 결속볼트(26)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속너트(25)가 상기 결합레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ist rail bar, wherein the rail bar includes a top plate (11)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a work space and having a fixture (12) fixed to an upper structure of a work space, A pair of rail fasteners 10 formed by bending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 and having a side plate 13 formed with a tightening hole 14 for penetrating a fastener;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serted between the side plates 13 of the rail fastener 10 so as to be fixed by a fastening hole passing through the tightening hole 14 and a sliding portion 21 The sliding part 21 is formed with a protrusion 22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a sliding part 23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end of the extending part 22, A coupling rail 20; A receiving space 32 for accommodating the conveying portion 31 for the hoist equipped with the traveling roller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abl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onveying portion 31.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32, And a guide rail 30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33 for sliding engagement of the coupling rail 20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rail 20, The guide rail 30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rail 20 via the sliding portion 21 and the coupling groove portion 33 so that the coupling bolt 26 passing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30 And a plurality of binding nuts (25) for screw connection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rail (20).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대상물의 중량이 고중량인 경우, 이송대상물의 중량에 대응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을 결합레일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중량의 이송대상물의 효과적인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고중량의 이송대상물로 인한 호이스트 레일 바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ight of the conveyed object conveyed by the hoist is high, the guide rail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conveyed objec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coupling rail, so that an effective conveying operation of the conveyed object of various weights can be perform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hoist rail bar due to a high-weight conveyance obj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레일 바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레일 바의 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레일 바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너트와 결속볼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이 이송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달리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1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hoist rai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lateral state of the hoist rai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ist rai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binding nut and a binding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lines and the siz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 or practice of the manufacturer or manufacturer producing the article.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are sta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레일 바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Hereinafter, the hoist rai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레일 바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레일 바의 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레일 바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너트와 결속볼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이 이송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달리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FIG. 2 is a side view of a hoist rai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hoist rai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r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FIG. 4 is a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inding nut and the binding bol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레일 바는 작업공간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고정구(10)과, 상기 레일고정구(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레일(20)과, 상기 결합레일(2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레일(30)로 이루어진다. 1 to 7, the hoist rai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rail fasteners 10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work space, (20), and a guide rail (30) detachab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rail (20).

즉,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레일 바는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30)을 선택적으로 달리 적용하여 이송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호이스트용 레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hoist rail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perform the feeding operation by selectively applying the guide rail 30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nveyed object conveyed by the hoist, and prevents the hoist rail from being damaged To be able to do so.

상기 레일고정구(10)는 폭 단면상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작업공간의 천정 또는 상부 구조물의 지정된 부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천정 또는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구(12)가 결합되는 상판(11)과, 상기 상판(11)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결합레일(20)에 결속되는 조임구의 관통을 위한 조임공(14)이 형성된 측판(13)으로 이루어진다. The rail fastener 10 is fixed to a specified portion of a ceiling or an upper structure of the work space so as to have a shape of "∩" in cross section on the width, and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11 And a side plate 13 which is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11 and has a tightening hole 14 for penetrating a tightening fastener coupled to the coupling rail 20.

여기서, 상기 레일고정구(10)가 한 쌍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천정 또는 상부 구조물에 복수개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Here, it is explained that the rail fixing holes 10 are a pair,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plurality of rail fixing holes 10 may be combined with the ceiling or the upper structure if necessary.

상기 결합레일(20)은 상기 레일고정구(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사각봉체로,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레일고정구(10)의 측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조임공(14)을 관통하는 조임구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The coupling rail 20 is a rectangular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l fixing hole 10. Both ends of the coupling rail 20 are longitudinally inserted between the side plates of the rail fixing hole 10 to penetrate the tightening hole 14 And is fixedly fixed by a fastening port.

이때, 상기 결합레일(20)의 하부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부(21)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손쉬운 교체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a sliding portion 21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rail 20 so that the guide rail 30 can be easily replaced.

상기 슬라이딩부(21)는 상기 결합레일(20)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구(22)와 상기 연장구(22)의 단부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구(23)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구(23)가 후술되는 가이드레일(30)의 결합홈부(33)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The sliding part 21 includes an extending part 2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upling rail 20 and a sliding part 23 formed perpendicularly to an end of the extending part 22, (23)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33) of the guide rail (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가이드레일(30)은 상기 결합레일(2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주행롤러가 장착된 호이스트용 이송부(3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31)의 왕복이동을 가능케 한다. The guide rail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rail 20 and includes a receiving space 32 for accommodating the conveying portion 31 for the hoist on which the traveling roller is mounted, 31).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수용공간(32)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딩구(23)의 슬라이딩결합을 위한 결합홈부(33)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a coupling groove portion 33 for sliding engagement of the sliding hole 23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32 of the guide rail 30.

즉,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대상물의 중량이 고중량인 경우, 이송대상물 고중량에 대응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을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레일(20)에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중량의 이송대상물을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고중량의 이송대상물로 인한 호이스트 레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weight of the conveyed object conveyed by the hoist is a heavy weigh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vey the conveyed objects of various weights by coupling the guide rails capable of coping with the weight of the conveying object selectively to the coupling rails 20, Efficiency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and breakage of the hoist rail due to a high-weight conveyance objec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상기 결합레일(2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측면을 관통하는 결속볼트(26)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속너트(25)가 설치된다. A coupling nut 25 for screwing a coupling bolt 26 passing through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3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rail 20.

이때, 상기 결속너트(25)는 상기 결합레일(20)의 길입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It is to be noted that the plurality of binding nuts 25 may be install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rails 20 are inserted.

즉, 상기 가이드레일(30)이 상기 슬라이딩부(21)와 결합홈부(33)를 매개로 상기 결합레일(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히 함으로써 호이스트를 통한 이송대상물의 이송작업시, 안정된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guide rail 30 is further coupled to the coupling rail 20 via the sliding portion 21 and the coupling groove portion 33, so that the coupling state is further strengthened, So that a stable transfer operation can be perform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지정된 부위에 상기 레일고정구(10)를 배치한 후, 상기 상판(11)에 결합된 고정구(12)에 의해 고정한다. The rail fastener 10 is disposed at a designated position and is then fixed by a fastener 12 coupled to the upper plate 11. As shown in FIG.

이후, 상기 결합레일(20)의 길이방향 양측을 상기 레일고정구(10)의 측판(13)사이로 삽입하여 상기 측판(13)의 조임공(14)을 관통하는 조임구(미도시)에 의해 고정한다. Both sides of the coupling rail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serted between the side plates 13 of the rail fastener 10 and fastened by fasteners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4 of the side plates 13 do.

그 다음으로 상기 결합레일(20)의 하측에 상기 슬라이딩부(21)와 결합홈부(33)를 매개로 상기 가이드레일(30)을 슬라딩결합하여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30)의 견고한 결합상태의 유지를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측면을 관통하는 결속볼트(26)가 상기 결합레일(20)에 설치된 결속너트(25)에 나사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용 레일의 설치를 완료한다. The guide rail 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rail 20 through the sliding portion 21 and the coupling groove 33. The rigid coupling The coupling bolt 26 passing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30 is screwed to the coupling nut 25 provided on the coupling rail 20 so as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hoist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이러게 설치된 상태에서 고중량의 이송대상물을 이송하여야 하는 경우, 고중량의 이송대상물에 대응하는 두께나 높이를 갖는 다른 가이드레일을 상기 결합레일(20)에 결합함으로써 고중량의 이송대상물의 이송 또한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where a high-weight conveying object is to be conveyed in a state where it is installed in this way, another conveying guide rail having a thickness or height corresponding to a conveying object of a high weight is coupled to the coupling rail 20,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 RTI ID = 0.0 > appreciat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patent registration scope to be described later.

10: 레일고정구 11: 상판
12: 고정구 13: 측판
14: 조임공 20: 결합레일
21: 슬라이딩부 22: 연장구
23: 슬라이딩구 25: 결속너트
26: 결속볼트 30: 가이드레일
31: 이송부 32: 수용공간
33: 결합홈부
10: rail fastener 11: top plate
12: fixture 13: side plate
14: Fastening ball 20: Coupling rail
21: Sliding part 22: Extension hole
23: Sliding opening 25: Coupling nut
26: coupling bolt 30: guide rail
31: transfer part 32: accommodation space
33:

Claims (3)

호이스트 레일 바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는, 작업공간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작업공간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구(12)가 결합되는 상판(11)과, 상기 상판(11)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되 조임구의 관통을 위한 조임공(14)가 형성된 측판(13)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레일고정구(10);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레일고정구(10)의 측판(13)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조임공(14)을 관통하는 조임구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부(21)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부(21)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구(22)와, 상기 연장구(22)의 단부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구(23)으로 이루어진 일정길이를 갖는 사각봉체의 결합레일(20);
주행롤러가 장착된 호이스트용 이송부(3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31)의 왕복이동을 가능케 하고, 상기 수용공간(32)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딩구(23)의 슬라이딩결합을 위한 결합홈부(33)기 형성되어 상기 결합레일(2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30);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레일(2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0)이 상기 슬라이딩부(21)와 결합홈부(33)를 매개로 상기 결합레일(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측면을 관통하는 결속볼트(26)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속너트(25)가 상기 결합레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레일 바.
In the hoist rail bar,
The rail bar includes an upper plate 11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a work space and coupled with a fixture 12 fixed to an upper structure of a work space, and a lower plate 11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11, A pair of rail fasteners 10 formed of side plates 13 on which fastening holes 14 are formed;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serted between the side plates 13 of the rail fastener 10 so as to be fixed by a fastening hole passing through the tightening hole 14 and a sliding portion 21 The sliding part 21 is formed with a protrusion 22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a sliding part 23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end of the extending part 22, A coupling rail 20;
A receiving space 32 for accommodating the conveying portion 31 for the hoist equipped with the traveling roller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abl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onveying portion 31.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32, And a guide rail (30) formed in an engagement groove portion (33) for sliding engagement of the coupling rail (23) and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rail (20)
The guide rails 30 are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guide rails 30 in a state where the guide rails 30 are coupled to the coupling rails 20 via the sliding portions 21 and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s 33, Wherein a plurality of fastening nuts (25) for threaded engagement of the fastening bolts (26) passing through the upper side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rail (2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03031A 2017-01-09 2017-01-09 Hoist rail-bar KR101924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031A KR101924905B1 (en) 2017-01-09 2017-01-09 Hoist rail-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031A KR101924905B1 (en) 2017-01-09 2017-01-09 Hoist rail-b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011A KR20180082011A (en) 2018-07-18
KR101924905B1 true KR101924905B1 (en) 2018-12-04

Family

ID=6304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031A KR101924905B1 (en) 2017-01-09 2017-01-09 Hoist rail-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9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572A (en) 2019-12-12 2021-06-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Lifting equipment for short soot blo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5849B (en) * 2022-10-27 2023-09-26 山东恒安泰重型机械有限公司 Electric single-beam crane for circular tr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40B1 (en) * 2014-02-19 2014-05-27 주식회사 이영 Conductor rai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190Y1 (en) * 1998-06-26 2000-11-01 장갑현 A rail for hang a hoist
KR100879042B1 (en) * 2007-09-21 2009-01-15 스웰 주식회사 Clamp for the hoist installation of rail
JP2011025281A (en) * 2009-07-24 2011-02-10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Friction welding method
KR20150015668A (en) * 2013-08-01 2015-02-11 김주성 Booth-bar for hoist cra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40B1 (en) * 2014-02-19 2014-05-27 주식회사 이영 Conductor rai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572A (en) 2019-12-12 2021-06-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Lifting equipment for short soot bl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011A (en)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771B1 (en) Safe transport trolley with fixed sub-precise equipment
US7156436B2 (en) Clamping device having an actuating carriage which moves a movable jaw toward a stationary jaw
DE1756438C3 (en) Conveyor track intended for flow production
KR101924905B1 (en) Hoist rail-bar
CN107176460A (en) A kind of double feed mechanism
ATE412593T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T LEAST ONE ROLL OF MATERIAL
CN102744585A (en) Chassis truck assembly system
KR102195786B1 (en) A Belt Conveyor Having Improved Safety
AU2009201632A1 (en) Clamping Device for Lifting Slab, Panel or Sheet Material
KR20090015221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high load structure
KR101807768B1 (en) Sling assembly
KR20080047739A (en) Horizontal adjusting device for different devices
KR20130006534U (en) Jig fixed on forklift
KR20120122056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objects
KR101807222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isson
KR20140006129U (en) Apparatus of transporting for scaffold
CN206969690U (en) A kind of workpiece high-low-position feed device
KR200484497Y1 (en) Guide rail for access hole
KR101286146B1 (en) The safe loadpost of width control type for a forklift
CN218092141U (en) Concrete prefabricated component board seam adjustment structure for architectural design
JP2012236662A (en) Conveying device for elevator landing unit
CN216331726U (en) Steel construction wallboard conveyer
CA2500249A1 (en) Clamping device for lifting slab, panel, or sheet material
JP7488160B2 (en) Transport head
KR200463667Y1 (en) Fitting system of trolly rear c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