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845B1 -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845B1
KR101924845B1 KR1020120047040A KR20120047040A KR101924845B1 KR 101924845 B1 KR101924845 B1 KR 101924845B1 KR 1020120047040 A KR1020120047040 A KR 1020120047040A KR 20120047040 A KR20120047040 A KR 20120047040A KR 101924845 B1 KR101924845 B1 KR 101924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communication unit
band communication
content
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706A (ko
Inventor
김영리
함성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845B1/ko
Priority to US13/872,696 priority patent/US9491774B2/en
Publication of KR20130123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랜(wireless LAN; Wi-Fi)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수신한 콘텐츠를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가지는 제 1 외부 장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에 응답하여 제 1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제 2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가지는 장치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CAST SERVICE}
본 발명은 무선 랜(wireless LAN; Wi-Fi)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랜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장치가 급증하면서, 장치에서 무선랜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장치에서 콘텐츠를 다른 장치로 캐스팅(casting)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장치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예,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로 저장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또 다른 장치(예, 스마트폰)로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주지된 바와 같이,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무선 랜과 관련된 표준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를 유선 장치 또는 무선 장치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특정 시점에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장치는 다수의 외부 장치(예컨대, 제 1 외부 장치와 제 2 외부 장치)에 동시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PHY 계층의 통신 채널(실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주기적으로 전환(switching)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장치는 제 1 주파수 대역(예, 2.4GHz)의 채널을 통해 제 외부 장치(예, WAP)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한 후 저장한다. 그 후 장치의 PHY 계층의 채널을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주파수 대역(예, 5GHz)의 채널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장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통해 제 2 외부 장치(예, TV)로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전송한다. 또 다시 WAP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PHY 계층의 채널을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시분할에 따른 처리량(throughput) 손실 및 주파수 대역의 전환에 따른 시간 손실로 인해 각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처리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장치에서 2.4GHz로 VoIP를 사용하는 중에 5GHz로 대용량 콘텐츠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 5GHz로 송신 가능한 콘텐츠 용량에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MAC 계층과 PHY 계층의 주파수 대역을 주기적으로 전환함으로 인해 시간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그와 동시에, 송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다른 외부 장치로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송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들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수신한 콘텐츠를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가지는 제 1 외부 장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에 응답하여 제 1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제 2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가지는 장치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콘텐츠를 제 1 외부 장치 및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2외부장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제 1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제 2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가지는 장치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수신한 촬영 영상을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제 1 대역 통신부를 통해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을 제 2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가지는 장치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제 1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1 대역 통신부;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제 2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대역 통신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고,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가지는 상기 제 1 외부 장치의 선택을 검출하며, 상기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제 1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1 대역 통신부;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제 2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대역 통신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콘텐츠를 상기 제 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의 선택을 검출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2외부장치의 선택을 검출하며,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제 1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1 대역 통신부;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제 2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대역 통신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촬영 영상을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고,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을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그와 동시에, 송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다른 외부 장치로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송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들에 콘텐츠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시, 시간 영역에서의 신호 송수신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0은 듀얼모드/리피터모드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캐스트'는 장치에서 하나의 외부 장치에게만 콘텐츠를 전송하는 유니캐스트(unicast)와, 장치에서 특정 그룹의 외부 장치들에게만 콘텐츠를 전송하는 멀티캐스트(multicast)와, 장치에서 불특정 다수의 외부 장치에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단말에 적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TV, 내비게이션 장치 및 비디오폰 등과 같은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통신 기기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가 융합된 기기(예, 통신 기능 및 TV를 가지는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무선 랜을 이용하여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다른 방식(예, 블루투스 등)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멀티캐스트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캐스트 즉, 유니캐스트나 브로드캐스트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터치패널(111)과 표시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터치패널 컨트롤러(125), 저장부(130), 오디오 처리부(135), 스피커(SPK), 마이크(MIC), 제 1 무선통신부(140), 제 2 무선통신부(145)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2)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으며, 터치패널(111)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2)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부(112)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제스처를 검출하여 상기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처는 크게, 터치(Touch)와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구분된다. 다시 터치 제스처는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플릭(Flick) 및 프레스(pr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입력 수단(예,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접촉하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touch-off)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플릭은 튀기듯이, 드래그에 비해 터치 입력 수단을 빠르게 이동시킨 다음 터치 해제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프레스는 터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터치제스처는 터치가 터치스크린에 접촉(touch-on)해서 터치 해제(touch-off)까지의 터치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터치패널(111)은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지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 정보는 제어부(180)로 전달되고, 제어부(180)는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터치와 프레스를 구분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및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부(112)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12)는 장치(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이하 줄여 '앱(App)'이라 한다) 실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인터넷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부(112)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9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앱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앱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앱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앱 예컨대, 동영상 플레이어를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2)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장치(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키입력부(120)는 터치패널(111)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장치(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화면 온/오프 및 장치 온/오프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패널 컨트롤러(125)는 터치패널(111)에 연결되고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이벤트를 AD(Analog to Digital)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전달된 터치이벤트로부터 터치제스처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180)는 터치 지점, 터치의 이동 거리, 터치의 이동 방향, 터치의 빠르기 및 터치의 압력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광 저장 장치 및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각종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 통신 모듈, 그래픽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모듈은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표현될 수도 한다. 운영 체제 모듈(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제 1 및 제 2 무선통신부(140, 145)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특히, 통신 모듈은 검출된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와,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은 터치스크린(110)에 그래픽을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그래픽(graphics)은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및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모듈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터치스크린(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위젯(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및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상술한 모듈들 이외에 다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모듈들 중 일부 모듈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35)은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과 결합하여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을 위한 오디오 신호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35)는 스피커 (SPK)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MIC)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35)은 제어부(18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전기 신호(electric signal)를 스피커(SPK)로 제공한다. 오디오 처리부(135)는 마이크(MIC)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후, 오디오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제공한다. 스피커(SPK)는 오디오 처리부(135)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를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MIC)는 사람이나 기타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제 1 무선통신부(140) 및 제 2 무선통신부(145)는 외부 장치와 신호(예,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무선통신부(140)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통신부(140)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제 2 무선통신부(145)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랜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며,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조의 제 1 대역 통신부(150) 및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통신부들(150, 160)을 통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대역 통신부(150) 및 제 2 대역 통신부(160) 각각은 2.4Ghz 및 5GHz를 지원할 수 있으며, 설계 방식에 따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도 있다. 제 1 대역 통신부(150) 및 제 2 대역 통신부(160) 각각은 별도의 RF부, PHY 계층 및 MAC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무선통신부(145)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무선통신부(145)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각각의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 또는 송신할 수도 있다. 제 1 대역 통신부(832)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과 제 2 대역 통신부(833)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은 각각, 예컨대 2.4GHz와 5GHz으로써 서로 중첩되지 않고 독립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 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RF 성능의 열화가 방지될 수 있다.
제 1 대역 통신부(150)는 제 1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 1 RF부(151), 제 1 PHY계층(152), 제 1 MAC계층(153) 및 제 1 안테나(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 대역 통신부(160)는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RF부(161), 제 2 PHY계층(162), 제 2 MAC계층(163) 및 제 2 안테나(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대역 통신부(150)와 제 2 대역 통신부(160)는 하나의 칩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안테나(154)의 수신 신호는 제 1 RF부(151), 제 1 PHY계층(152) 및 제 1 MAC 계층(153)을 거쳐 응용 프로세서(110)로 전달되고, 응용 프로세서(110)의 송신 신호는 제 1 MAC 계층(153), 제 1 PHY계층(152) 및 제 1 RF부(151)를 거쳐 제 1 안테나(154)로 전달된다. 제 2 안테나(164)의 수신 신호는 제 2 RF부(161), 제 2 PHY계층(162) 및 제 2 MAC 계층(163)를 거쳐 응용 프로세서(110)로 전달되고, 응용 프로세서(110)의 송신 신호는 제 2 MAC 계층(163), 제 2 PHY계층(162) 및 제 2 RF부(161)를 거쳐 제 2 안테나(164)로 전달된다. 응용 프로세서(110)의 제어 하에, 제 1 대역 통신부(150)가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 제 2 대역 통신부(160)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대역 통신부(150)가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에 제 2 대역 통신부(160)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대역 통신부(150)가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 제 2 대역 통신부(160)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대역 통신부(150)가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에 제 2 대역 통신부(160)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대역 통신부(150)에 대응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예, 2.4GHz)과 제 2 대역 통신부(160)에 대응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예, 5GHz)이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 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신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RF 성능의 열화가 방지될 수 있다.
제 1 RF부(151) 및 제 2 RF부(161) 각각은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및 PHY 계층(152) 및 제 2 PHY계층(162)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RF부(151) 및 제 2 RF부(161) 각각은 제 1 및 PHY 계층(152) 및 제 2 PHY계층(162) 각각으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안테나(154) 및 제 2 안테나(164)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RF부(151, 161)는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 DAC,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PHY 계층(152) 및 제 2 PHY 계층(162) 각각은 무선랜 통신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베이스밴드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랜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방식을 따르는 경우, 제 1 PHY 계층(152) 및 제 2 PHY 계층(162) 각각은 데이터 송신 시,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하여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제 1 PHY 계층(152) 및 제 2 PHY 계층(162) 각각은 데이터 수신 시, 베이스밴드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제 1 MAC 계층(153) 및 제 2 MAC 계층(163) 각각은 통신을 위하여 다양한 알고리즘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알고리즘들은 망 구성을 위한 접근 제어 프로토콜(혹은 Addressing), 멀티 노드 간 채널 공유 프로토콜(혹은 충돌 회피), 패킷 암호화, 단편화(Fragmentation), 전원 절약 모드(Power save mode) 및 흐름 제어(Flow control)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장치가 제 1 안테나(154)와 제 2 안테나(164)를 구비하여 각 통신부별(150, 160)로 별도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물론, 장치는 설계 방식에 따라 제 1 RF부(151)의 패스(path)와 제 2 RF부(161)의 패스(path)에 다이플렉서(diplexer)를 적용하여 하나의 안테나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제 2 무선통신부(145)는 다른 대역 통신부들(150, 160)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되 단지 통신 가능한 주파수 대역만 다른 제 3 대역통신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3 대역통신부(170)는 제 3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 3 RF부(171), 제 3 PHY계층(172), 제 3 MAC계층(173) 및 제 3 안테나(1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장치(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1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응용 프로세서(181)는 캐스트 요청 이벤트(예,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캐스트'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가 검출된 경우, 수신 주파수 대역과 송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용 프로세서(181)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제 2 주파수 대역을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 1 주파수 대역을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제 2 주파수 대역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2주파수 대역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예, 2.4GHz)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주파수 대역은 상호 겹치지 않는 직교 채널(orthogonal channel)로 결정된다. 예컨대,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은 2.4GHz대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2.4GHz 대역은 총 14개의 채널로 구성되고, 채널 간 간격(interval)은 5MHz이며, 각각의 채널은 22MHz의 대역(band)를 갖는다. 그리고 채널 1, 6 및 11이 상호 중첩되지 않을 경우, 제 1 주파수 대역은 채널 1번으로 결정되고 제 2 주파수 대역은 채널 6 번 또는 11번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세서(181)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세서(181)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응용 프로세서(181)는 수신 주파수 대역과 송신 주파수 대역을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의 기능 및 콘텐츠를 송수신할 외부 장치에 따라 수신 주파수 대역과 송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응용 프로세서(181)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시, 실행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주파수 혹은 외부 장치들이 지원하는 주파수를 고려하여 수신 주파수 대역과 송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용 프로세서(181)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시에 실행되는 기능이 웹 브라우징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일 경우, 웹 브라우징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각각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수신 주파수 대역과 송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징 기능은 장치에서 외부 장치 예컨대, WAP(Wireless Access Point; 이하 간단히 'AP'라 함)를 통해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기능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능은 장치에서 외부 장치 예컨대, TV로 콘텐츠(예컨대, 상기 수신된 웹페이지)를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응용 프로세서(181)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시, 먼저 접속 중인 AP가 존재하는 경우, AP 접속에 이용된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수신 주파수 대역과 송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AP 접속에 이용된 주파수 대역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하고 다른 주파수 대역을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응용 프로세서(181)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콘텐츠를 수신하면서 동시에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통해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이때, 응용 프로세서(181)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시에 실행되는 기능에 따라 리피터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 혹은 듀얼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동작 모드가 리피터 모드인 경우, 응용 프로세서(181)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가 응용 프로세서(181)를 거치지 않고 제 2 대역 통신부(160)로 바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동작 모드가 듀얼 모드인 경우, 응용 프로세서(181)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를 처리(예, 해상도의 리사이징(resizing))하며, 처리된 콘텐츠를 제 2 대역 통신부(160)로 전달한다. 또한 응용 프로세서(181)는 장치(1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제 1 대역 통신부(150) 및 제 2 대역 통신부(160)로 동시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응용 프로세서(181)는 제 1 대역 통신부(150) 및 제 2 대역 통신부(160)로부터 동시에 콘텐츠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외부 포트, 진동 모터, GPS 수신부 및 카메라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 콘텐츠를 다른 장치로 캐스트하는 장치를 '메인 오너(Main owner)'라 한다. 이러한 메인 오너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콘텐츠 그룹(Contents Group)'이라 한다. 메인 오너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캐스팅 그룹(Casting Group)'이라 한다. 여기서 캐스팅 그룹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오너와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는 그룹을 제 1 캐스팅 그룹이라 하고 메인 오너와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는 그룹을 제 2 캐스팅 그룹이라 한다. 또한 콘텐츠 그룹도 캐스팅 그룹과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메인 오너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오너(210)는 상술한 구성들(181, 150, 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오너(210)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AP와 연결될 수 있다. AP와 연결된 상태에서 메인 오너(210)는 콘텐츠 그룹(220)으로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예컨대, 메인 오너(210)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유투브(YouTube) 접속 아이콘"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그룹(220)은 클라우드 서버, SNS 서버(예컨대,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등) 및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서버(예컨대, 유투브(YouTube) 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오너(210)는 검출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연결된 AP를 통해 콘텐츠 그룹(22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외부 장치로 접속하고,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며, 수신된 콘텐츠를 실시간 재생할 수 있다.
메인 오너(210)는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통해 캐스팅 그룹(23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대역 통신부(160)는 단말들 간을 상호 연결하는 매개체(예컨대, AP) 없이, 캐스팅 그룹(230)과 직접(direct)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오너(210)와 캐스팅 그룹(230) 간의 직접 연결은 예컨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에서 생략한다.
메인 오너(210)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예, 메인 오너(210)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캐스트' 버튼을 터치)을 검출할 수 있다. 메인 오너(210)는 검출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AP를 통해 콘텐츠 그룹(220)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캐스팅 그룹(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으로 메인 오너(210)는 AP를 통해 콘텐츠 그룹(220)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그와 동시에, 수신된 콘텐츠를 캐스팅 그룹(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메인 오너(210)에 대응)을 이용하여 유투브(콘텐츠 그룹(220)에 대응)의 동영상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시청 중인 동영상을 근처의 친구들(캐스팅 그룹(230)에 대응)에게 공유하고, 같이 봄으로써 친구들과 재미를 공유할 수 있다.
메인 오너(210)는 리피터 모드(240)로의 동작이 필요한지 듀얼 모드(250)로의 동작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오너(210)는 수신된 콘텐츠가 문서 파일이나 압축 파일인 경우, 동작모드를 리피터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메인 오너(210)는 수신된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동작모드를 듀얼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리피터 모드(300)로 결정된 경우, 메인 오너(210)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AP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 2 대역 통신부(160)로 전달한다. 듀얼 모드(250)로 결정된 경우, 메인 오너(210)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AP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응용 프로세서(181)로 전달하여 처리(예컨대, 해상도의 리사이징(resizing))하도록 한다. 메인 오너(210)는 응용 프로세서(200)에서 처리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 2 대역 통신부(160)로 전달한다. 듀얼 모드(150)인 경우, 캐스팅 그룹(230)으로 전송되는 콘텐츠는 AP로부터 수신되어 처리된 콘텐츠일 수도 있고, 이와 별개로 메인 오너(210)에서 생성된(또는 메인 오너(210)에 저장된) 콘텐츠(예, 카메라의 촬영 영상)일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시, 시간 영역에서의 신호 송수신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오너(21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면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두 개의 통신부(150, 160)를 하나의 칩으로 구비함으로써, 콘텐츠 그룹(220)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시에 캐스팅 그룹(230)으로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를 송신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칭 시간이 필요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를 수신(300, 302)하는 동시에 송신(310, 312)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의 수신과 동시에 송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즉, 주파수 대역의 전환에 따른 시간 지연이 없음), 종래와 비교하여 실시간 재생에 효과적이다. 도 3에서 지연 시간(320, 322)은 주파수 대역의 전환과는 무관하며 단지, 메인 오너(210)에서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AP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통해 캐스팅 그룹(230)으로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일 뿐이다.
응용 프로세서(181)와 통신부들(150, 160) 사이에 통신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Host Interface)가 하나인 경우, 응용 프로세서(181)는 제 1 대역 통신부(150) 및 제 2 대역 통신부(160)와 교대로 신호를 송수신해야 한다. 이 경우, 제 1 대역 통신부(150) 및 제 2 대역 통신부(160)는 응용 프로세서(181)의 제어 하에, 송수신 프레임을 다수의 패킷으로 단편화(즉, 여러 조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응용 프로세서(181)는 단편화된 패킷 데이터를 기준으로 제 1 대역 통신부(150) 및 제 2 대역 통신부(160)와 교대로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응용 프로세서(18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패킷(400 내지 404)과 송신 패킷(410 내지 414)을 교대로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응용 프로세서(181)의 동작은 MAC 계층과 PHY 계층의 주파수 대역을 주기적으로 전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즉, 주파수 대역의 전환에 따른 시간 지연이 없음), 종래와 비교하여 실시간 재생에 효과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오너(510)는 상술한 구성들(181, 150, 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오너(510)는 AP 및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콘텐츠 그룹(520)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그와 동시에, 수신된 콘텐츠를 캐스팅 그룹(5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컨대, 메인 오너(510)는 홈 네트워크 서버이다. 캐스팅 그룹(530)은 홈 네트워크에 구비된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 기기들이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 기기들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술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기기들은 스마트폰, TV, 태블릿 PC, TV를 가지는 냉장고 및 노트북 PC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오너(610)는 상술한 구성들(181, 150, 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오너(610)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AP와 연결되고 AP를 통해 제 2 캐스팅 그룹(63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오너(610)는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통해 제 1 캐스팅 그룹(62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오너(610)는 예컨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을 이용하여 제 1 캐스팅 그룹(62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오너(610)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예, 메인 오너(610)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캐스트' 버튼을 탭)을 검출할 수 있다.
메인 오너(610)는 검출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 1 캐스팅 그룹(620)의 정보와 제 2 캐스팅 그룹(63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캐스팅 그룹 정보는 제 1 캐스팅 그룹(620)에 속한 외부 장치들의 식별 정보(예, 전화 번호, 사용자 이름, 사용자 이미지 및 기기 명칭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메인 오너(610)와 제 1 캐스팅 그룹(620) 간의 연결 과정에서 메인 오너(610)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수신한 정보와 연관된 메인 오너(610)에 저장된 정보(예, 폰북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도 제 2 캐스팅 그룹(630)에 속한 외부 장치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오너(610)는 표시된 제 1 및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에서 사용자의 선택(즉, 콘텐츠를 캐스팅할 외부 장치에 대한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메인 오너(6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자신의 콘텐츠(예, 현재 메인 오너(610)에서 재생 중인 음악 파일)를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제 2 캐스팅 그룹(630) 중 선택된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그와 동시에 메인 오너(610)는 자신의 콘텐츠를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통해 제 1 캐스팅 그룹(620) 중 선택된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컨대,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메인 오너(610)에 대응)을 이용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청취 중인 음악을 근거리에 있는 친구들(제 1 캐스팅 그룹(620)에 대응)에게 실시간으로 들려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거리에 있는 친구들(제 2 캐스팅 그룹(630)에 대응)에게도 실시간으로 들려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촬영 중인 영상을 근거리 및 원거리에 있는 친구들에게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통화 중인 상대방의 음성을 근거리 및 원거리에 있는 친구들에게 실시간으로 들려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장치에서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조의 두 개의 통신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세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조의 세 개 이상의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오너(710)는 상기 구성들(181, 150, 160)은 물론, 제 3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 3 대역 통신부(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오너(210)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콘텐츠 그룹(72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그룹(720)은 메인 오너(210)와 직접 연결 가능한 통신 기능(예컨대, 와이파이 다이렉트)을 가지는 액세서리들로써, 예컨대 카메라, CCTV, 원격 조정이 가능하고 카메라를 가지는 소형 자동차 또는 소형 헬리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오너(210)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콘텐츠 그룹(720)으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예컨대, 소형 헬리콥터에서 촬영한 영상)를 실시간 재생할 수 있다.
메인 오너(710)는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통해 제 1 캐스팅 그룹(73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오너(710)는 제 3 대역 통신부(170)를 통해 AP와 연결되고 AP를 통해 제 2 캐스팅 그룹(740)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오너(610)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예,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촬영 영상 화면에서 '캐스트'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메인 오너(7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 1 캐스팅 그룹(730)의 정보와 제 2 캐스팅 그룹(74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메인 오너(710)는 표시된 제 1 및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에서 사용자의 선택(즉, 콘텐츠를 캐스팅할 외부 장치에 대한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메인 오너(7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콘텐츠 그룹(720)으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통해 제 1 캐스팅 그룹(730)으로 전송한다. 그와 동시에 메인 오너(710)는 수신한 콘텐츠를 제 3 대역 통신부(140)를 통해 제 2 캐스팅 그룹(740)으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1 및 도 8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부(112)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홈 화면에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선택(예, 해당 아이콘을 탭)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801에서 제어부(18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01)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802에서 제어부(180)는 실행 화면(901)에서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실행 화면(901)에서 옵션 메뉴에 대응되는 제 1 오브젝트(902)의 선택(예컨대, 제 1 오브젝트(902)에 대한 터치)을 검출할 수 있다. 제 1 오브젝트(902)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옵션 메뉴(903)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를 제어한다.
단계 803에서 제어부(180)는 캐스트 요청 이벤트의 검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옵션 메뉴(903)에서 콘텐츠의 캐스트에 대응되는 제 2 오브젝트(예컨대, 캐스트 음악(cast music)(904))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단계 804에서 제어부(180)는 플레이 리스트(905)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한다.
단계 805에서 제어부(180)는 플레이 리스트(905)에서 캐스트할 음악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음악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단계 806에서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대역 통신부(150, 160)에 각각 연결된 예컨대, 제 1 및 제 2 외부 장치로 상기 선택된 콘텐트(음악)을 전송하도록 제 1 및 제 2 대역 통신부(150, 160)를 제어한다.
단계 806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악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음악 캐스트의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1001)를 채팅 창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 1 캐스팅 그룹에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 1 대역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제 1 캐스팅 그룹과, 매개체(예, AP) 없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제 1 대역 통신부(150)는 AP통해 제 1 캐스팅 그룹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제 2 캐스팅 그룹에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 2 대역 통신부(160)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 2 대역 통신부(160)는 제 2 캐스팅 그룹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AP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대역 통신부(150)가 통신 중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통해 제 2 캐스팅 그룹으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다음으로,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제 1 캐스팅 그룹으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대역 통신부(150) 및 제 2 대역 통신부(160) 모두 통신 없이 대기(ready) 중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제 1 캐스팅 그룹으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다음으로,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통해 제 2 캐스팅 그룹으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캐스팅 그룹의 채팅 화면에 캐스트 요청 메시지(1002)가 표시된다. 또한 제 2 캐스팅 그룹의 채팅 화면에 캐스트 요청 메시지(1003)가 표시된다. 제 1 캐스팅 그룹에 해당되는 제 1 외부 장치는 캐스트 요청 메시지(1002)에서 수락(join) 버튼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수락 버튼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 1 외부 장치는 장치(100) 즉, 메인 오너에게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 2 캐스팅 그룹에 해당되는 제 2 외부 장치도, 캐스트 요청 메시지(1003)에서 수락(join) 버튼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장치(100)에게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캐스트 대기 중임을 안내하는 메시지(1101)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한다. 제 1 캐스팅 그룹 및 제 2 캐스팅 그룹으로부터 캐스트 수락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80)는 음악 캐스트 실행 화면(1102)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음악을 제 1 캐스팅 그룹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080)는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통해 음악을 제 2 캐스팅 그룹으로 전송한다. 한편, 제 1 캐스팅 그룹에 해당되는 제 1 외부 장치는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장치(100)에게 전송한 후, 캐스트 대기 중임을 안내하는 메시지(1103)를 표시한다. 제 1 외부 장치는 장치(100)로부터 음악이 수신된 경우 음악 캐스트 실행 화면(1104)를 표시하고, 수신된 음악을 재생한다. 또한 제 2 캐스팅 그룹에 해당되는 제 2 외부 장치도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장치(100)에게 전송한 후, 캐스트 대기 중임을 안내하는 메시지(1105)를 표시한다. 제 2 외부 장치는 장치(100)로부터 음악이 수신된 경우 음악 캐스트 실행 화면(1106)를 표시하고, 수신된 음악을 재생한다. 음악 캐스트 실행 화면들(1102, 1104, 1106) 중 장치(100)의 실행 화면(1102)에는 음악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1107, 1108)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러한 버튼을 통해 캐스트하기 위한 음악의 추가 및 삭제 등을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 및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거리 및 원거리에 있는 지인들과 채팅 중에 자신이 좋아하는 콘텐츠 예컨대, 음악을 지인들에게 소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1 및 도 12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단계 1201에서 제어부(180)는 SNS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예컨대, 홈 화면에서 SNS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탭)에 응답하여 SNS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SNS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301)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1202에서 제어부(180)는 실행 화면(1301)에서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실행 화면(1301)에서 옵션 메뉴에 대응되는 제 1 오브젝트(1302)의 선택(예컨대, 제 1 오브젝트(1302)에 대한 터치)을 검출할 수 있다. 제 1 오브젝트(1302)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옵션 메뉴(1303)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를 제어한다.
단계 1203에서 제어부(180)는 캐스트 요청 이벤트의 검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옵션 메뉴(1303)에서 콘텐츠의 캐스트에 대응되는 제 2 오브젝트(예컨대, 캐스트 음악(cast music)(1304))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단계 1304에서 제어부(180)는 플레이 리스트(1305)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한다.
단계 1205에서 제어부(180)는 플레이 리스트(1305)에서 캐스트할 음악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음악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단계 1206에서 제어부(180)는 콘텐츠(음악)를 내려 받을 장치들(예컨대, 제 1 및 제 2 외부장치)를 결정한다.
단계 1206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80)는, 플레이 리스트(1305)에서 캐스트를 위한 음악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 1 캐스팅 그룹 정보(1401)와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1402)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한다. 제 1 캐스팅 그룹 정보(1401)는 장치(100)의 대역 통신부들 중 예컨대, 제 1 대역 통신부(150)와 연결된 외부 장치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예컨대, 해당 외부 장치와 연관된 인물 사진 및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정보는 해당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것이거나 장치(100)에 저장된 정보들 중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외부 장치들은 AP 없이 제 1 대역 통신부(832)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AP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1402)는 장치(100)의 대역 통신부들 중 예컨대, 제 2 대역 통신부(160)가 AP와 연결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장치(100)가 AP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1402)는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1402)는 예컨대, 저장부(130)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표시된 캐스팅 그룹 정보들(1401, 1402)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외부장치들을 콘텐츠(음악)를 내려 받을 장치들로 결정한다.
단계 1207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결정된 외부장치들 예컨대, 제 1 대역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제 1 외부 장치와 제 2 대역통신부(160)를 통해 연결 가능한 제 2 외부 장치로 콘텐츠(음악)을 전송하도록 제 1 및 제 2 대역 통신부(150, 160)를 제어한다.
단계 1207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80)는 초대(invite) 버튼(1403)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초대 버튼(1403)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캐스팅 그룹 중 선택된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제 1 대역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제 1 캐스팅 그룹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AP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제 2 캐스팅 그룹 중 선택된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제어한다. 제 2 대역 통신부(16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제 2 캐스팅 그룹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AP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에는 캐스트 요청 메시지(1404)가 표시된다. 제 2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에도 캐스트 요청 메시지(1405)가 표시된다. 제 1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는, 캐스트 요청 메시지(1404)에서 수락(join) 버튼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장치(100)에게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 2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도, 캐스트 요청 메시지(1405)에서 수락(join) 버튼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장치(100)에게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캐스트 절차는 도 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으로 도 1 및 도 12 내지 1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지인들의 SNS 메시지들을 보는 중에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근거리 및 원거리에 있는 지인들에게 소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15및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부(112)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홈 화면에는 장치(100)에 저장된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들 예컨대, 음악 플레이어 및 동영상 플레이어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선택(예, 해당 아이콘을 탭)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1501에서 제어부(180)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실행 화면(1601)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실행 화면(1601)에서 재생 시작 버튼(1608)의 선택에 응답하여 콘텐츠(예, 음악)을 재생한다. 여기서 재생되는 콘텐츠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직전에 마지막으로 재생된 것이거나 또는 플레이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단계 1502에서 제어부(180)는 실행 화면(1601)에서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1503에서 제어부(180)는 검출된 터치가 캐스트 요청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실행 화면(1601)에서 캐스트 버튼(1602)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단계 1504에서 제어부(180)는 재생 중인 콘텐츠(음악)를 내려 받을 장치들(예컨대, 제 1 및 제 2 외부장치)을 결정한다. 단계 1504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캐스트 버튼(1602)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캐스팅 그룹 정보(1603)와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1604)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80)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표시된 캐스팅 그룹 정보들(1603, 1604)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표시된 캐스팅 그룹 정보들(1601, 1602)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외부장치들을 콘텐츠(음악)를 내려 받을 장치들로 결정한다.
단계 1505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결정된 외부장치들 예컨대, 제 1 대역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제 1 외부 장치와 제 2 대역통신부(160)를 통해 연결 가능한 제 2 외부 장치로 콘텐츠(음악)를 전송하도록 제 1 및 제 2 대역 통신부(150, 160)를 제어한다. 단계 1505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제어부(180)는 초대(invite) 버튼(1605)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초대 버튼(1605)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캐스팅 그룹 중 선택된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 2 캐스팅 그룹 중 선택된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에는 캐스트 요청 메시지(1606)가 표시된다. 제 2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에도 캐스트 요청 메시지(1607)가 표시된다. 제 1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는, 캐스트 요청 메시지(1606)에서 수락(join) 버튼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장치(100)에게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 2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도, 캐스트 요청 메시지(1607)에서 수락(join) 버튼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장치(100)에게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캐스트 절차는 도 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으로 도 1, 도 15 및 도 1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예컨대, 스마트 폰에 구비된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음악 플레이어를 통해 음악을 듣다가 해당 음악을 근거리 및 원거리에 있는 지인들에게 소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17및 도 18을 참조하면, 표시부(112)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홈 화면에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에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음악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및 모바일 브라우저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스트리밍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선택(예, 해당 아이콘을 탭)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1701에서 제어부(180)는 스트리밍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스트리밍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실행 화면(1801)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한다.
단계 1702에서 제어부(180)는 제 1 대역통신부(150)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외부장치(예, 유투브(YouTobe) 서버)와 연결한다. 예컨대, 제 1 대역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AP와 연결하고 AP를 통해 제 1 외부장치와 연결한다. 제어부(180)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제 1 외부장치로부터 콘텐츠(예, 동영상, 음악)을 내려 받아,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다.
단계 1703에서 제어부(180)는 실행 화면(1801)에서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1704에서 제어부(180)는 검출된 터치가 캐스트 요청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실행 화면(1801)에서 캐스트 버튼(1802)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단계 1705에서 제어부(180)는 제 2 대역통신부(16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 중 콘텐츠를 내려 받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장치)를 결정한다.
단계 1705의 구체적인 일례는 다음과 같다. 제 2 대역통신부(16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단말들 간을 상호 연결하는 매개체(예컨대, AP) 없이, 근처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제 2 대역통신부(160)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관된 제 1 캐스팅 그룹 정보(1803)를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제 1 캐스팅 그룹 정보(1803)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1804)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1804)는 장치(100)의 제 3 대역 통신부(170)가 AP와 연결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제 3 대역 통신부(170)가 AP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1804)는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1804)는 예컨대, 저장부(130)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1804)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초대(invite) 버튼(1805)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초대 버튼(1805)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캐스팅 그룹 중 선택된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 2 캐스팅 그룹 중 선택된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 3 대역 통신부(17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 1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에는 캐스트 요청 메시지(1806)가 표시된다. 제 2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에도 캐스트 요청 메시지(1807)가 표시된다. 예컨대, 제 1 캐스팅 그룹에 해당되는 제 2 외부 장치는 캐스트 요청 메시지(1806)에서 수락(join) 버튼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장치(100)에게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 2 캐스팅 그룹에 해당되는 제 3 외부 장치도, 캐스트 요청 메시지(1807)에서 수락(join) 버튼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장치(100)에게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제 1 캐스팅 그룹에서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외부 장치 예컨대, 제 2 외부 장치를 콘텐츠를 내려 받을 장치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 2 캐스팅 그룹에서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외부 장치 예컨대, 제 3 외부 장치를 콘텐츠를 내려 받을 장치로 결정한다.
콘텐츠를 내려 받을 외부 장치의 결정 후 단계 1706에서 제어부(180)는 제 1 대역통신부(150)를 통해 제 1 외부장치로부터 콘텐츠(예, 동영상, 뮤직)를 스트리밍으로 수신한다. 단계 1707에서 제어부(180)는 수신한 콘텐츠를 실시간 재생하고, 제 2 대역통신부(160)를 통해 제 2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단계 1707에서 제어부(180)는 수신한 콘텐츠를 제 3 대역통신부(170)를 통해 제 3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 도 17 및 도 1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예컨대, 스마트폰에 구비된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예컨대, 유투브의 동영상을 보다가 해당 동영상을 근거리 및 원거리에 있는 지인들에게 소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19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901)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구동하고,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촬영 영상을 터치스크린(180)을 통해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대역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액세서리(예컨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 및 카메라를 가지고 제어부(180)에 의해 원격 제어 가능한 소형 헬리콥터)와 연결하고, 연결된 액세서리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로부터 수신한 촬영 영상을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실행 화면(1901)에서 캐스트 버튼(1902)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캐스트 버튼(1902)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캐스팅 그룹 정보(1903)와 제 2 캐스팅 그룹 정보(1904)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표시된 캐스팅 그룹 정보들(1903, 1904)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20)는 초대(invite) 버튼(1905)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초대 버튼(1905)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캐스팅 그룹 중 선택된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 2 캐스팅 그룹 중 선택된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 3 대역 통신부(17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 1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에는 캐스트 요청 메시지(1906)가 표시된다. 제 2 캐스팅 그룹의 해당 외부 장치에도 캐스트 요청 메시지(1907)가 표시된다. 이후 캐스트 절차는 도 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으로 도 1 및 도 1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예컨대,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외부의 액세서리를 통해 촬영 영상을 보다가 해당 동영상을 근거리 및 원거리에 있는 지인들에게 소개할 수 있다.
도 20은 듀얼모드/리피터모드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0을 참조하면, 단계 2001에서 제어부(180)는 수신 주파수 대역에 해당되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를 통해 제 1 외부 장치(예, 유투브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한다. 단계 2003에서 제어부(180)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동작 모드의 결정은 수신된 콘텐츠의 종류가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수신된 콘텐츠가 문서 파일이나 압축 파일인 경우, 동작모드는 리피터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수신된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동작모드는 듀얼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2003에서 동작 모드가 리피터 모드로 결정된 경우 단계 2005에서 제어부(180)는 수신된 콘텐츠를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제어한다. 단계 2003에서 동작 모드가 듀얼 모드로 결정된 경우 단계 2007에서 제어부(180)는 제 1 대역 통신부(15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를 처리(예컨대, 해상도 조절)한다. 다음으로 단계 2009에서 제어부(180)는 처리된 콘텐츠를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 2 대역 통신부(160)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장치:
110: 터치스크린 111: 터치패널
112: 표시부 125: 터치패널 컨트롤러
130: 저장부 140: 제 1 무선 통신부
145: 제 2 무선 통신부 150: 제 1 대역 통신부
160: 제 2 대역 통신부 170: 제 3 대역 통신부
180: 제어부 181: 응용 프로세서
210, 510, 610, 710: 메인 오너
220, 520, 720: 콘텐츠 그룹
230, 530: 캐스팅 그룹
620, 730: 제 1 캐스팅 그룹
630, 740: 제 2 캐스팅 그룹

Claims (23)

  1. 콘텐츠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가지는 제 1 외부 장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제 1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캐스팅 그룹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캐스팅 그룹 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제 2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가지는 장치의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상기 제 2 외부장치로 전송되는 콘텐츠의 캐스트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채팅 어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 음악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1 외부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실행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제 2 외부 장치와 연결되거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없이 상기 제 2 외부 장치와 직접 연결된 경우,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스트리밍으로 수신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 2 외부 장치와 연결되거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없이 상기 제 2 외부 장치와 직접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식별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대한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는 상기 장치에 근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외부장치에 대응되는 식별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스트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캐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제2 외부 장치로 상기 콘텐츠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스트리밍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콘텐츠를 제 1 외부 장치 및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 2 외부장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제 1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제 2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고,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가지는 장치의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상기 제 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되는 콘텐츠의 캐스트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채팅 어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 음악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외부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실행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캐스트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14. 수신한 촬영 영상을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캐스팅 그룹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캐스팅 그룹 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제 1 대역 통신부를 통해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을 제 2 대역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가지는 장치의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15.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제 1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1 대역 통신부;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제 2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대역 통신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를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고,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가지는 상기 제 1 외부 장치의 선택을 검출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고,
    캐스팅 그룹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캐스팅 그룹 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외부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선택된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되는 콘텐츠의 캐스트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선택을 검출하며, 상기 오브젝트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제 2 외부 장치와 연결되거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없이 상기 제 2 외부 장치와 직접 연결된 경우,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스트리밍으로 수신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식별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대한 선택을 검출하고, 상기 선택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제 1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1 대역 통신부;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제 2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대역 통신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를 상기 제 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고,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의 선택을 검출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 2 외부장치의 선택을 검출하며,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상기 제 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동시에 전송되도록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상기 제 1 외부 장치 및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되는 콘텐트의 캐스트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선택을 검출하며, 상기 오브젝트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로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며,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제 1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1 대역 통신부;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제 2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대역 통신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촬영 영상을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고,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캐스팅 그룹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캐스팅 그룹 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외부 장치를 선택하고,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을 상기 선택된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제 1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1 대역 통신부 및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제 2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대역 통신부를 가지는 장치에서 구현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콘텐츠를 상기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캐스트 요청 이벤트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출하고, 상기 캐스트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가지는 상기 제 1 외부 장치의 선택을 검출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선택된 제 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고, 캐스팅 그룹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캐스팅 그룹 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외부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선택된 제 2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대역 통신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기록 매체.
KR1020120047040A 2012-05-03 2012-05-03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24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040A KR101924845B1 (ko) 2012-05-03 2012-05-03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3/872,696 US9491774B2 (en) 2012-05-03 2013-04-29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casting ser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040A KR101924845B1 (ko) 2012-05-03 2012-05-03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706A KR20130123706A (ko) 2013-11-13
KR101924845B1 true KR101924845B1 (ko) 2019-02-28

Family

ID=4951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040A KR101924845B1 (ko) 2012-05-03 2012-05-03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91774B2 (ko)
KR (1) KR101924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8792A (zh) * 2013-11-04 2015-05-13 珠海扬智电子科技有限公司 串流方法及其串流系统
CN104797011B (zh) * 2014-01-20 2018-11-30 华为终端有限公司 双频移动WiFi终端的数据传输方法和移动WiFi终端
US10306174B1 (en) 2014-09-15 2019-05-28 Google Llc Multi sensory input to improve hands-free ac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KR102389038B1 (ko) * 2015-09-02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N105764158A (zh) * 2016-02-04 2016-07-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通信方法及装置
JP6700959B2 (ja) * 2016-05-11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82387B2 (en) 2016-06-01 2019-01-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tent via diverse networks
JP6769204B2 (ja) * 2016-09-21 2020-10-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10050457A (zh) * 2016-12-09 2019-07-23 株式会社索思未来 中继装置
CN106713648B (zh) * 2016-12-30 2019-07-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移动终端
US10503314B2 (en) * 2017-01-04 2019-12-10 IC array (Guang Zhou) Science &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 sensing touch display device
KR101977186B1 (ko) * 2017-07-20 2019-05-10 주식회사 코디아 동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CN107449201A (zh) * 2017-07-31 2017-12-08 合肥美的智能科技有限公司 冰箱
CN107943529B (zh) * 2017-10-20 2020-12-2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设备配对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交互智能设备
US11188294B2 (en) 2019-02-28 2021-11-30 Sonos, Inc. Detecting the nearest playback device
US11356777B2 (en) 2019-02-28 2022-06-07 Sonos, Inc. Playback transitions
KR20210069476A (ko) 2019-12-03 2021-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3758A1 (en) * 2005-03-11 2006-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relaying multimedia data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US20070202865A1 (en) * 2004-10-28 2007-08-30 Fujitsu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110163939A1 (en) 2010-01-05 2011-07-0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content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10283334A1 (en) 2010-05-14 2011-11-17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s thereof with othe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6469B2 (en) * 2003-12-24 2013-10-2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and streaming content utilizing multiple stream capacity
KR20090003458A (ko) * 2007-06-12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Ⅰc 칩 기반 항공권 예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2865A1 (en) * 2004-10-28 2007-08-30 Fujitsu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060203758A1 (en) * 2005-03-11 2006-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relaying multimedia data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US20110163939A1 (en) 2010-01-05 2011-07-0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content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10283334A1 (en) 2010-05-14 2011-11-17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s thereof with othe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91774B2 (en) 2016-11-08
US20130294358A1 (en) 2013-11-07
KR20130123706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845B1 (ko) 콘텐츠 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02286B2 (en) Dynamic control of playlists
EP3380927B1 (en) Metho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for screen mirroring
US90814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60770B1 (ko)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에서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EP2858322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sharing media stream
US20120159340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20130262687A1 (en) Connecting a mobile device as a remote control
KR102491005B1 (ko) 비디오 미리보기 방법 및 전자 장치
EP3627807B1 (en) Audio play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4125508A (zh) 视频分享方法和终端
KR20130052751A (ko)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아이콘 배열 방법
US20180316745A1 (en) Terminal apparatus and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967697B2 (en) Copy and paste between devices
US20110312389A1 (en) Interface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KR20150049900A (ko)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2848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20105318A (ko)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86387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9342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in mobile terminal
WO2022247265A1 (zh) 创建聊天界面的方法及电子设备
KR2014001478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48153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71458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EP2854315B1 (en) Initially establishing and periodically prefetching digital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