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625B1 -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625B1
KR101924625B1 KR1020170095656A KR20170095656A KR101924625B1 KR 101924625 B1 KR101924625 B1 KR 101924625B1 KR 1020170095656 A KR1020170095656 A KR 1020170095656A KR 20170095656 A KR20170095656 A KR 20170095656A KR 101924625 B1 KR101924625 B1 KR 10192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peroxide
scrubber
hpae
aerosol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이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재 filed Critical 이승재
Priority to KR102017009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625B1/ko
Priority to PCT/KR2018/008403 priority patent/WO201902249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1Use of hydrogen peroxide, liquid and vaporo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산화수소 용액을 분사하여 멸균 공간을 멸균 처리하는 HPAE로서,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과산화수소 용액 저장 공급부, 에어를 유입시켜 가압된 상태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 저장 공급부 및 상기 에어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과 상기 가압된 상태의 에어를 공급받아 분사 노즐을 통해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을 건무 상태로 분사하는 분무 장치부를 포함하는 연무 발생 장치; 상기 멸균 공간 내의 에어를 흡기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로 흡입된 에어에 포함된 과산화수소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해 과산화수소가 제거된 에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및 상기 스크러버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크러버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는, 과산화수소 분해를 촉진하는 정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에 따르면, 정촉매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함과 동시에 스크러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공기 중의 과산화수소 농도를 더욱 빠르게 감소시켜 과산화수소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에 따르면, 과산화수소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멸균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멸균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HPAE가 오작동하는 경우에도 멸균 공간에 보다 빠르게 진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HYDROGEN PEROXIDE AEROSOL EQUIPMENT WITH CONTROL UNIT FOR SCRUBBER WITH DECOMPOSITION CATALYST FOR HYDROGEN PEROXIDE}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Hydrogen Peroxide Aerosol Equipment, 이하 HPA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HPA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험실, 동물 사육 시설, 우수 의약품 제조시설(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 생물학적 안전 등급(Biological Safety Level-3, BSL-3) 등의 생물 안전, 식품과 제약 등의 무균 조제 및 제조 시설에서 내부 실험실 및 생산 룸들은 청정한 멸균 상태의 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멸균(Sterilization)은 소독(Sanitization)이나 살균(Disinfection) 등과는 달리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통하여 살아있는 모든 종류의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론적으로 100만개의 미생물의 초기 개체군을 0에 매우 가깝게 줄이는 수준(10-6)의 처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멸균 처리를 위한 방법이나 장치는 EO(Ethylene Oxide, 산화에틸렌) 가스, 증기, 과산화수소, 플라즈마 등을 사용한다. EO 가스를 사용하는 멸균 방법은 그 자체로 폭발의 위험이 높고,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유전 독성 물질로서 작용한다는 보고가 있다. 증기 멸균기는 멸균력을 일정 수준까지 충족시키면서도 안전한 방법 중 하나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증기 멸균기는 독성이 없고, 값이 비교적 싸고, 빠른 멸균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습기 및 고온에 노출되어도 부작용이 없는 의료 기구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 오존 및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멸균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를 멸균 챔버에 공급하고 멸균 챔버 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멸균을 행하는 방법, 플라즈마와 멸균제를 멸균 챔버에 동시에 공급하는 방법, 멸균 챔버에 산소를 공급한 상태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오존으로 변환시켜 멸균하는 방법, 및 과산화수소 및 오존을 함께 공급하여 멸균 챔버 내의 피멸균체를 멸균하는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 방법의 각각의 단계에서 공기 중 과산화수소 농도와 소요되는 시간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2는 종래의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시 에어레이션 단계에서 스크러버를 이용하여 멸균 공간(R) 내 과산화수소를 제거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멸균 처리하는 장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처리는 과산화수소를 분사하는 분사(Injection), 분사를 중지하는 휴지(Dwell) 및 과산화수소를 제거하는 에어레이션(Airation) 단계로 나누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레이션 단계에서는 멸균 공간에 공조기가 없을 경우, 스크러버(Scrubber)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분사되어 있는 과산화수소를 제거한다. 스크러버에 포함된 필터는 탄소 필터, 헤파(HEPA) 필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공기 중의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수소 에어로졸(HPA)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레이션에 소요되는 시간은 분사와 휴지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매우 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약 23㎡(7평) 공간에 40분 분사 후 30분 휴지를 진행하는 경우, 에어레이션에는 2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한편, 분사 단계에서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해 과산화수소가 분사가 중지된 경우, 빠르게 멸균 공간 내로 진입하여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의 정비가 필요하다. 그러나 분사 단계에서 분사된 과산화수소로 인해 멸균 공간에 진입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므로, 공기 중 과산화수소 농도가 안전 농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 정비 후, 다시 멸균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된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83501호 ‘과산화수소 증기 멸균 시스템’ 등이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정촉매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함과 동시에 스크러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공기 중의 과산화수소 농도를 더욱 빠르게 감소시켜 과산화수소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멸균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멸균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HPAE가 오작동하는 경우에도 멸균 공간에 보다 빠르게 진입할 수 있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분사하여 멸균 공간을 멸균 처리하는 HPAE로서,
과산화수소 용액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과산화수소 용액 저장 공급부, 에어를 유입시켜 가압된 상태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 저장 공급부 및 상기 에어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과 상기 가압된 상태의 에어를 공급받아 분사 노즐을 통해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을 건무 상태의 에어로졸로 분사하는 분무 장치부를 포함하는 연무 발생 장치;
상기 멸균 공간 내의 에어를 흡기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로 흡입된 에어에 포함된 과산화수소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해 과산화수소가 제거된 에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및
상기 스크러버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크러버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는,
과산화수소 분해를 촉진하는 정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러버 제어 장치는,
상기 연무 발생 장치와 연결되어, 연무 발생 장치의 멸균 과정 중 분사, 휴지 및 에어레이션 단계별로 상기 스크러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러버 제어 장치는,
분사 단계에서 상기 연무 발생 장치가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분사하고 있거나, 휴지 단계에서 상기 연무 발생 장치가 과산화수소 에어로졸 분사를 중지하는 경우, 상기 스크러버의 구동을 중지하고, 분사 및 휴지 단계 이후 에어레이션 단계에 진입하면, 상기 스크러버를 작동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러버 제어 장치는,
분사 단계에서 상기 연무 발생 장치의 과산화수소 에어로졸 분사가 중단되는 경우, 상기 스크러버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촉매는,
이산화망간(MnO2)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촉매는,
아이오딘화칼륨(KI)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촉매는,
과망간산칼륨(KMnO4)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HPAE는,
상기 분무 장치부의 분무 노즐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건무 상태로 분사되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이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 형태로 분사되도록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전극과, 상기 플라즈마 전극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상기 플라즈마 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라즈마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에 따르면, 정촉매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함과 동시에 스크러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공기 중의 과산화수소 농도를 더욱 빠르게 감소시켜 과산화수소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에 따르면, 과산화수소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멸균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멸균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HPAE가 오작동하는 경우에도 멸균 공간에 보다 빠르게 진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 방법의 각각의 단계에서 공기 중 과산화수소 농도와 소요되는 시간을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종래의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시 에어레이션 단계에서 스크러버를 이용하여 멸균 공간 내 과산화수소를 제거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에서 스크러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120)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120)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분사하여 멸균 공간을 멸균 처리하는 HPAE로서, 과산화수소 용액 저장 공급부(111), 에어 공급부(113) 및 분무 장치부(115)를 포함하는 연무 발생 장치(110), 스크러버(120) 및 스크러버 제어 장치(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HPEA는 과산화수소를 에어와 함께 노즐로 분사하여 생성되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HPA)을 이용하여 멸균하는 장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120)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과산화수소 용액 저장 공급부(111)는, 과산화수소 용액을 저장하여 공급할 수 있다. 즉, 과산화수소 용액 저장 공급부(111)는, 저장하고 있는 과산화수소 용액을 분무 장치부(115)에 공급할 수 있다.
에어 공급부(113)는, 에어를 유입시켜 가압된 상태의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는 HPAE 외부의 공기일 수 있다. 에어 공급부(113)는, HPAE 외부의 에어를 HPAE로 유입하여 가압시키고, 가압된 상태의 에어를 분무 장치부(115)에 공급할 수 있다.
분무 장치부(115)는, 과산화수소 용액 저장 공급부(111) 및 에어 공급부(113)와 연결되어 과산화수소 용액과 가압된 에어를 공급받아 분사 노즐(116)을 통해 과산화수소 용액을 건무(Dry-fog) 상태, 즉, 과산화수소 에어로졸(HPA)로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건무 상태로 분사되는 과산화수소 입자의 크기는 15㎛ 이하의 크기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분무 장치부(115)는, 과산화수소 용액과 가압된 상태의 에어를 이용해 과산화수소 용액을 건무 상태로 분사시켜 과산화수소 입자가 서로 충돌 시에도 터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분사되는 과산화수소 입자가 클수록, 서로 충돌 시 터지면서 과다한 잔여 수분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기재의 편의상, 건무 상태로 분사되는 과산화수소를 과산화수소 에어로졸(HPA)로 지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120)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에서 스크러버(1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러버(120)는, 멸균 공간(R) 내의 에어를 흡기하는 흡기부(123), 흡기부(123)로 흡입된 에어에 포함된 과산화수소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25), 및 필터부(125)를 통해 과산화수소가 제거된 에어를 배출하는 배출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레이션 단계에서 멸균 공간(R) 내 에어에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HPA) 및/또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러버(120)는, 보다 빠르게 과산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해 흡기부(123)로 에어를 흡기(석션)할 수 있다. 흡기부(123)를 통해 흡기된 에어는 필터부(125)를 거쳐 과산화수소가 제거되며, 배출부(127)를 통해 스크러버(1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스크러버 제어 장치(121)는, 스크러버(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크러버 제어 장치(121)는, 연무 발생 장치(110)와 연결되어, 연무 발생 장치(110)의 멸균 과정 중 분사, 휴지 및 에어레이션 단계별로 스크러버(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 단계에서 연무 발생 장치(110)가 과산화수소 에어로졸(HPA)을 분사하고 있거나, 휴지 단계에서 연무 발생 장치(110)가 과산화수소 에어로졸(HPA) 분사를 중지하는 경우, 스크러버 구동 제어 장치(121)는, 스크러버(120)의 구동을 중지한다. 분사 및 휴지 단계 이후, 에어레이션 단계에 진입하면, 스크러버 구동 제어 장치(121)는, 스크러버(12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스크러버 제어 장치(121)는, 멸균 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스크러버(120)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스크러버 제어 장치(121)는, 멸균 과정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스크러버(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조건은, 멸균 공간의 크기와 각각의 멸균 단계의 시간을 변수로 하는 함수일 수 있다.
또한, 스크러버 제어 장치(121)는, 분사 단계에서 연무 발생 장치(110)의 과산화수소 에어로졸 분사가 중단되는 경우, 스크러버(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 단계에서 연무 발생 장치(110)의 예상치 못한 이유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HPA)의 분사가 중단되는 경우, 멸균 공간(R) 내에 진입하여 연무 발생 장치(110)를 정비해야 한다. 그러나 분사 단계에서 분사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HPA)로 인해 멸균 공간(R) 내에 곧바로 진입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므로, 공기 중의 과산화수소 농도가 허용 기준 이하로 감소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때, 스크러버 제어 장치(121)는, 스크러버(120)를 작동시켜 공기 중에 분사되었던 과산화수소 에어로졸(HPA)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러버(120)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스크러버 제어 장치(121)와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의 결합으로 인해 공기 중의 과산화수소 제거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 단계에서 연무 발생 장치(110)가 오작동하는 경우에도 멸균 공간(R) 내에 신속하게 진입하여 연무 발생 장치(110)를 정비할 수 있다.
한편, 정촉매는 이산화망간(MnO2), 아이오딘화칼륨(KI) 또는 과망간산칼륨(KMnO4)일 수 있다. 이산화망간(MnO2), 아이오딘화칼륨(KI) 또는 과망간산칼륨(KMnO4)은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하는 정촉매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공기 중의 과산화수소 농도를 빠른 시간에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망간(MnO2)을 촉매로 하는 과산화수소의 분해는 다음의 화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7072746839-pat00001
한편, 아이오딘화칼륨(KI) 및 과망간산칼륨(KMnO4)을 촉매로 하는 과산화수소의 분해는 다음의 화학식 2 및 화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7072746839-pat00002
Figure 112017072746839-pat00003
따라서 이산화망간(MnO2), 아이오딘화칼륨(KI) 및 과망간산칼륨(KMnO4)은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빠르게 촉진하는 정촉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촉매는, 브롬화소듐/브롬화나트륨(NaBr), 염화철(Ⅲ)/염화제2철(FeCl3)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120)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120)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마 발생 장치(130)는, 분무 장치부(115)의 분무 노즐(116)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건무 상태로 분사되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이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Ionized Hydrogen Peroxide Aerosol, IHPA) 상태로 분사되도록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전극(131)과, 플라즈마 전극(131)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플라즈마 전극(131)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라즈마 전원 공급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플라즈마 전원 공급부(133)는, 플라즈마 방전을 위해 플라즈마 전극(131)에 17.5KV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발생 장치(130)는, 건무 상태로 분사되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HPA)이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IHPA) 상태로 분사되도록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재의 편의상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 상태로 분사되는 과산화수소를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IHPA)로 지칭한다.
스크러버(120)는, 도 5를 참조하면, 플라즈마 발생 장치(130)를 통해 분사되는 IHPA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스크러버(120)의 필터부(125)가 포함하는 이산화망간(MnO2), 아이오딘화칼륨(KI), 과망간산칼륨(KMnO4), 브롬화소듐/브롬화나트륨(NaBr), 염화철(Ⅲ)/염화제2철(FeCl3)은 과산화수소와 동일하게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IPHA)의 분해를 촉진하는 정촉매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공기 중의 IHPA 및/또는 과산화수소 농도를 빠른 시간에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에 따르면, 정촉매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함과 동시에 스크러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공기 중의 과산화수소 농도를 더욱 빠르게 감소시켜 과산화수소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에 따르면, 과산화수소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멸균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멸균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HPAE가 오작동하는 경우에도 멸균 공간에 보다 빠르게 진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R: 멸균 공간
110: 연무 발생 장치
111: 과산화수소 용액 저장 공급부
113: 에어 공급부
115: 분무 장치부
116: 분사 노즐
120: 스크러버
121: 스크러버 제어 장치
123: 흡기부
125: 필터부
127: 배출부
130: 플라즈마 발생 장치
131: 플라즈마 전극
133: 플라즈마 전원 공급부

Claims (8)

  1.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분사하여 멸균 공간을 멸균 처리하는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HPAE, Hydrogen Peroxide Aerosol Equipment)로서,
    과산화수소 용액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과산화수소 용액 저장 공급부, 에어를 유입시켜 가압된 상태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 저장 공급부 및 상기 에어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과 상기 가압된 상태의 에어를 공급받아 분사 노즐을 통해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을 건무 상태의 에어로졸로 분사하는 분무 장치부를 포함하는 연무 발생 장치;
    상기 멸균 공간 내의 에어를 흡기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로 흡입된 에어에 포함된 과산화수소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해 과산화수소가 제거된 에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및
    상기 스크러버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크러버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는,
    과산화수소 분해를 촉진하는 정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러버 제어 장치는,
    상기 연무 발생 장치와 연결되어, 연무 발생 장치의 멸균 과정 중 분사, 휴지 및 에어레이션 단계별로 상기 스크러버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스크러버 제어 장치는,
    분사 단계에서 상기 연무 발생 장치가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분사하고 있거나, 휴지 단계에서 상기 연무 발생 장치가 과산화수소 에어로졸 분사를 중지하는 경우, 상기 스크러버의 구동을 중지하고, 분사 및 휴지 단계 이후 에어레이션 단계에 진입하면, 상기 스크러버를 작동시키고,
    상기 스크러버 제어 장치는,
    분사 단계에서 상기 연무 발생 장치의 과산화수소 에어로졸 분사가 중단되는 경우, 상기 스크러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HPAE).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촉매는,
    이산화망간(Mn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HPAE).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촉매는,
    아이오딘화칼륨(K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HPAE).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촉매는,
    과망간산칼륨(KMn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HPAE).
  8.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HPAE)는,
    상기 분무 장치부의 분무 노즐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건무 상태로 분사되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이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 상태로 분사되도록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전극과, 상기 플라즈마 전극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상기 플라즈마 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라즈마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HPAE).
KR1020170095656A 2017-07-27 2017-07-27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KR10192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56A KR101924625B1 (ko) 2017-07-27 2017-07-27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PCT/KR2018/008403 WO2019022496A1 (ko) 2017-07-27 2018-07-25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hpa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56A KR101924625B1 (ko) 2017-07-27 2017-07-27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625B1 true KR101924625B1 (ko) 2018-12-03

Family

ID=6474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656A KR101924625B1 (ko) 2017-07-27 2017-07-27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4625B1 (ko)
WO (1) WO20190224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218B1 (ko) 2020-07-17 2021-01-05 남용일 원격제어가능한 무인화 공간 멸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멸균 장치 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9495A (ja) * 2005-10-13 2010-05-06 Daikin Ind Ltd 滅菌システム
KR101020717B1 (ko) 2009-04-24 2011-03-09 (주)진행홈시스 실내공기의 살균정화 방법 및 살균정화 장치
KR101111388B1 (ko) 2010-04-13 2012-02-24 (주)우정비에스씨 과산화수소 증기를 이용한 이동식 멸균장치
KR101534817B1 (ko) * 2014-11-05 2015-07-06 (주) 태왕사이언스 이중제트노즐을 구비하는 과산화수소 플라즈마 이온화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500B1 (ko) * 2014-11-03 2016-07-2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무균살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9495A (ja) * 2005-10-13 2010-05-06 Daikin Ind Ltd 滅菌システム
KR101020717B1 (ko) 2009-04-24 2011-03-09 (주)진행홈시스 실내공기의 살균정화 방법 및 살균정화 장치
KR101111388B1 (ko) 2010-04-13 2012-02-24 (주)우정비에스씨 과산화수소 증기를 이용한 이동식 멸균장치
KR101534817B1 (ko) * 2014-11-05 2015-07-06 (주) 태왕사이언스 이중제트노즐을 구비하는 과산화수소 플라즈마 이온화 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218B1 (ko) 2020-07-17 2021-01-05 남용일 원격제어가능한 무인화 공간 멸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멸균 장치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2496A1 (ko)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445156B2 (en) Decontamin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ultrasonic cavitation
JP5815415B2 (ja) 滅菌と除染との少なくとも一方の改良
US9375500B2 (en) Sterilisation and decontamination device
KR101955123B1 (ko) 과산화수소 농도센서부를 포함하는 분사헤드를 갖는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
JP5805642B2 (ja) オゾン発生装置
KR101250748B1 (ko)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료용 소형 멸균장치
EP2968632B1 (en) Process for focused gas phase application of biocide
KR20170000048A (ko) 살균 장치
KR20120028413A (ko) 과산화수소, 오존 및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KR101924620B1 (ko) 에어 블로어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KR101948442B1 (ko) 병원 수술실의 멸균을 위한 과산화수소 멸균 시스템
KR102026919B1 (ko)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장치
KR101910152B1 (ko) 습도 반응형 분사 제어 장치를 부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KR101924625B1 (ko) 과산화수소 분해 정촉매 필터 부착 스크러버의 제어 장치를 장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GB2468517A (en) Sterilisation of a environment with ozone and increased humidity
KR101948441B1 (ko) 병원 수술실의 멸균을 위한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
KR101905030B1 (ko)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플라즈마 전원 장치
CN111036612A (zh) 侵入式医疗器材清洗消毒灭菌装置
JP3966152B2 (ja) オゾン殺菌方法とその装置
CN214969468U (zh) 一种用于冷链外包装消毒的等离子体设备
EP33694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nitizing of an electromedical device using nebulised hydrogen peroxide
JP6769719B2 (ja) オゾン殺菌方法
JP2004357888A (ja) プラズマ滅菌装置及びプラズマ滅菌方法
JP2004028532A (ja) 空気浄化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シャワー装置
KR101870811B1 (ko) 자기장을 이용한 ihpa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