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578B1 - dental retractor - Google Patents

dental retr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578B1
KR101924578B1 KR1020170017267A KR20170017267A KR101924578B1 KR 101924578 B1 KR101924578 B1 KR 101924578B1 KR 1020170017267 A KR1020170017267 A KR 1020170017267A KR 20170017267 A KR20170017267 A KR 20170017267A KR 101924578 B1 KR101924578 B1 KR 101924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pulling base
target
base portion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2325A (en
Inventor
최병호
정승미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7001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578B1/en
Priority to CN201780001384.0A priority patent/CN108472107B/en
Priority to EP17767717.6A priority patent/EP3530231A4/en
Priority to US15/563,727 priority patent/US10772493B2/en
Priority to JP2017550814A priority patent/JP6514356B2/en
Priority to AU2017248561A priority patent/AU2017248561B1/en
Priority to PCT/KR2017/003675 priority patent/WO2018074683A1/en
Publication of KR20180092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3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5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33Gingival retract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Abstract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을 위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부의 연조직이 외측방향으로 견인 구속되어 대상잇몸부의 전체적인 외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대상잇몸부의 외측부와 입술의 내면측 사이로 삽입되되, 상기 대상잇몸부의 외측부와 대응되는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되는 견인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단부 중 어느 일측으로 이격된 연결영역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견인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urately acquire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mouth of a subject for precise placement of the impla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ccurately grasping an image of an inside of a mouth of a subject, A traction base inserted between the sides and extending into an arcuate profile corresponding to an outer side of the subject gum; And a handle port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a connection area spaced to either side of both ends about a central por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Description

치과용 견인장치{dental retractor}[0001] DENTAL TRACTOR [0002]

본 발명은 치과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을 위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tra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traction apparatus for accurately acquiring an image of an inside of an oral cavity of a person to be implanted for precise placement of the implant.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만든 픽스츄어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Generally, an implant refers to a substitute that can replace a human tissue when the original human tissue is lost, but implies that an artificial tooth is implanted in the dentist. That is, a fixture made of titanium or the like which does not have a rejection reaction to the human body can be substituted for the lost root, and the tooth can be restored by fixing the artificial tooth after planting the tooth in the alveolar bone.

한편,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시술자가 먼저 드릴을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에 픽스츄어가 식립되는데, 천공의 형성 및 임플란트 식립은 피시술자마다 상이하게 수행된다. 이는 피시술자의 치아 상태나 임플란트가 필요한 치아의 위치, 피시술자의 치조골 상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깊이 및 방향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Meanwhile, in order to implant the implant, the practitioner first forms a hole in the alveolar bone of the recipient using the drill, and the fixture is placed on the perforation. The perforation formation and the implant placement are per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lient. This is because the position, depth and direction of the implant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condition of the dentist, the position of the tooth requiring the implant, and the condition of the alveolar bone of the recipient.

이처럼,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 작업은 초심자뿐만 아니라 경험자에게도 작업 과정에서 깊이 및 방향을 정확하게 가능하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더욱이, 작업 경험이 풍부하지 않은 초보자의 경우 별도의 측정단계 없이 드릴링 도중 형성된 천공의 깊이를 가늠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다.As such, the drilling operation for forming the perforations in the alveolar bone has a difficulty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experienced person as well as the beginner to accurately perform the depth and direction in the process of work. Moreover, for beginners who are not rich in experience, it is very difficult to gauge the depth of the perforations formed during drilling without a separate measurement step.

또한,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시 시술자가 드릴에 힘을 가하여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면서 현재 어느 정도까지 깊이로 드릴링 작업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일정 깊이 이상으로 드릴이 삽입되면 치조골의 신경이 손상될 수 있으며, 상악의 경우 상악동막이 찢어져 훼손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Further, when forming the perforations in the alveolar bone, the practitioner applies the force to the drill to perform the drilling operation,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o what extent the drill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Furthermore, if the drill is inserted over a predetermined depth, the nerve of the alveolar bone may be damaged. In the case of the maxilla, the sinus membrane may be torn and damaged.

이와, 반대로, 일정한 깊이에 도달하기 전에 드릴링 작업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천공의 깊이가 얕에서 픽스츄어 고정에 과도한 힘이 소요된다. 또한, 천공 주위의 나사산이 손상되거나 픽스츄어가 완벽하게 고정되지 못해 추후 재시술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contrary, when the drilling operation is completed before reaching a certain depth, an excessive force is required to fix the fixture with a shallow depth of perfora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crew around the perforation is damaged or the fixture is not fixed perfectly, so that the re-operation is performed later.

이에 따라, 천공 작업을 수행할 정확한 위치 및 방향을 안내하도록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라고 하는 보조 기구를 사용한다.Accordingly, an auxiliary device called a surgical guide is used to guide the exac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drilling operation.

도 1은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ge guide.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먼저, CT 촬영을 통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의 3차원 이미지가 획득되고 오랄스캔을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의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가 획득된다(s1).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surge guide is manufactur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subject's mouth through a CT scan is obtained and a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of the inside of the subject's mouth is obtained through an oral scan (s1).

여기서, CT 촬영을 통하여 획득된 3차원 이미지는 구강 내부의 치관(잇몸 외측으로 드라난 치아의 일부분) 및 치근(잇몸 내부에 치조골과 결합된 부분), 그리고 치조골의 형상 및 치관, 치근, 치조골의 골밀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Here, the three-dimensional image obtained through the CT photographing includes the crown of the oral cavity (a part of the drained tooth outside the gum) and the root (the part of the tooth coupled with the alveolar bone in the inside of the gum), and the shape and crown of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on bone density is included.

또한, 오랄스캔을 통하여 획득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는 구강 내부의 치관 및 잇몸의 외부형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obtained through the oral sca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external shape of the crown and the gums in the oral cavity.

그리고, 각 이미지가 획득되면, 치아의 특이점 등 시술자에 의해 설정된 구강 내부 지점을 기준으로 두 이미지가 영상 정합된다(s2). 이어서, 영상 정합된 결과를 통해 임플란트 식립 계획이 수립되고(s3), 식립 계획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을 안내할 수 잇는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된다(s4).Then, when each image is acquired, the two images are image-matched based on the intraoral point set by the practitioner, such as the singularity of the tooth (s2). Subsequently, an implant placement plan is established through the image-matched result (s3), and a surge guide capable of guiding the implant placement according to the placement plan is manufactured (s4).

한편, CT 촬영을 통하여 획득된 3차원 이미지는 조직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조직, 예컨대 잇몸조직, 혀 및 볼점막 등은 실질적으로 제외된 상태의 이미지로 획득된다.On the other h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obtained through the CT imaging is obtained as an image of a soft tissue having a relatively low density of tissues such as a gum tissue, a tongue, and a ball mucosa substantially excluded.

반면, 오랄스캔을 통하여 획득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는 치관의 외면형상뿐만 아니라 연조직의 외면형상도 함께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이미지와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영상 정합을 통하여 피시술자의 전반적인 구강 내부 정보가 정밀하게 획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플란트 식립 계획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식립을 가이드할 수 있는 상기 서지컬 가이드가 정확하게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obtained through the oral scan not only displays the external shape of the crown, but also the external shape of the soft tissue. Therefore, through the image matching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and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mage, the entire intraor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can be precisely acquired. This allows precise design and manufacture of the surge guide, which can guide implant placement as well as implant placement.

이때,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직접 스캐닝하여 획득된다. 그러나, 입술 및 입술 내측면의 볼점막과 같은 연조직의 유동에 의해 정확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획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연조직은 상기 잇몸부의 외측부를 실질적으로 감싸 밀착된 상태이므로 구강스캐너의 인입이 어려우며,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불필요한 상기 연조직의 이미지가 포함되었다. 이로 인해,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잇몸부의 외측부 형상 정보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is obtained by directly scanning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using the oral scanner.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accurat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due to the flow of the soft tissues such as the lips and the ball mucous membrane on the inner side of the lip. That is, since the soft tissue is in a close contact state with the outer side of the gum portion, it is difficult to pull the mouth scanner, and an image of the soft tissue unnecessary for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mage is includ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gingival section included in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mage is lowered.

또한, 피시술자가 무의식적으로 입을 움직이는 경우 상기 연조직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구강스캐너의 스캐닝 경로가 이탈되므로 획득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왜곡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대한 보정작업 단계 및 소요시간이 가중되므로 임플란트 식립 기간이 증가하고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wearer unconsciously moves his / her mouth, the scanning path of the mouth scanner is displaced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soft tissu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distortion of the obtained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As a result, the correction work step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are increased, so that the implant placement period is increased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더욱이, 잇몸부 외측부의 경우 상기 입술의 내측면과 실질적으로 밀착된 상태이므로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가시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워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획득시 정확성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볼점막 및 입술의 외면형상이 포함되면 영상 정합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이 어려우므로 반복적인 스캐닝 작업이 요구되어 피시술자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portion of the gingival portion is in a state of being substanti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ips, it is difficult for a practitioner to visually and accurately check the interior of the mouth of the subject, which is a problem in that accuracy in obtaining the three- Therefore, if the 3D external shape image includes the ball mucosa and the external shape of the lip, it is difficult to utilize it as data for image matching, and thus it is required to perform repetitive scanning operation, which causes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한편,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상술한 임플란트 식립뿐만 아니라 무치악 내지 부분무치악 환자의 틀니를 제조시에도 획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can be obtained not only in the above-described implant placement but also in manufacturing dentures of edentulous or partial edentulous patients.

상세히,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포함된 잇몸부의 외면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틀니가 상기 구강 내부에 형합될 수 있는 고정홈부가 설계된다. 이때,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상기 연조직의 외면형상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고정홈부의 설계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제조된 틀니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정확하게 설치되지 못하여 저작신뢰도가 저하되며, 교합시 잇몸부의 통증을 야기시켜 피시술자의 불편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detail, a fix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denture can be fitted into the oral cavity is designed based on the external profile of the gingival portion included i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At this time, when the outer shape of the soft tissue is included in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ma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gn precision of the fixing groove portion is lowered. As a result, the manufactured denture can not be accurately installed inside the mouth of the client, which reduces the reliability of the denture and causes the pain of the gum during the occlusion, thereby increasing the discomfort of the client.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49508호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4950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을 위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traction apparatus for accurately acquiring an image of an inside of a mouth of a client to accurately position an implan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부의 연조직이 외측방향으로 견인 구속되어 대상잇몸부의 전체적인 외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대상잇몸부의 외측부와 입술의 내면측 사이로 삽입되되, 상기 대상잇몸부의 외측부와 대응되는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되는 견인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단부 중 어느 일측으로 이격된 연결영역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편심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아치형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연결영역으로부터 사선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대상잇몸부의 아치형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중앙부와의 연장각도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양단측 사이 간격이 선택적으로 변형되는 가변구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기 대상잇몸부의 외측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도록 상기 견인베이스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대상잇몸부의 외측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3차원 소성 변형된 상태로 형상이 유지되는 연성의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외측을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inserting a soft tissue inside an oral cavity, the soft tissue being pulled outwardly to be inserted between an outer side of the target gingiva and an inner side of a lips to expose a whole outer surface of the target gum, A traction base portion extending to a corresponding arcuate profile; And a grip portion eccentrically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a connection region spaced to eith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the grip portion being vertically crossed with an arcuate extension direc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inclined portion at an opposite side of the pulling base portion and an inclined angle between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and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And the shape of the pulling base portion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three-dimensionally plastically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profile of the outer side of the target gingival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ide portion of the target gingival portion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ing base portion is changed Ductile And after providing the unit, and a dental 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er skin of synthetic resin material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wire portion.

여기서,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중앙부에는 구강 내부의 정중선에 대응하여 정렬 배치되도록 정렬기준부가 구비되되, 상기 정렬기준부는 상기 대상잇몸부의 하단부측에 대응하는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일면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center of the pulling base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midline of the oral cavity, and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is formed by recessing one side of the pulling bas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target gingival portion Do.

그리고, 상기 가변구속부의 말단부는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variable restraint portion is formed so that its outer surface is rounded.

또한, 시술자의 파지시 상기 손잡이부의 타면측에 위치하는 손가락에 가압 지지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는 타면부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형되는 가변지지연장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ne end portion of the pull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variable support extension portion which is selectively deformed into a convex shape toward the other side portion so as to be pressed against a finger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pulling portion when the operator grips the manipulation portion.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dental to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견인베이스부가 상악측 잇몸부 및 입술 내면측 사이로 삽입되어 구강 내부 원심측까지의 연조직이 잇몸부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견인함으로써 상악돌기 및 입천장의 전체적인 외면이 명확하게 노출되므로 스캐닝을 통하여 획득되는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pulling base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maxillary gingival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p to pull the soft tissue up to the inner distal side of the mouth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um portion, so that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maxillary protrusion and the palate is clearly exposed. The accuracy of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can be remarkably improved.

둘째, 상기 견인베이스부는 중앙부에 형성된 정렬기준부가 구강 내부의 정중선에 정렬 배치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포함되는 정렬기준부 정보를 기반으로 피시술자의 정확한 정중선 정보가 산출되므로 임플란트 식립 계획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Second, the pulling base portion can be installed at an accurate position by a simple method in which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is aligned with the midline of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Based on the alignment refere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hree- Since the midline information is calculated, the reliability of the implant placement pla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셋째,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말단부으로 갈수록 단면횡폭이 좁아지는 가변구속부가 형성되어 피지술자의 개인별 편차에 따른 잇몸부의 다양한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외력에 의한 선택적인 3차원 소성 변형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소성 변형된 상태에서 시술자의 외력이 가해지면서 상기 잇몸부의 외측부를 감싸고 있는 구강 내부의 순측 및 협측의 전체적인 연조직이 보다 확실하게 견인되므로 스캐닝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irdly, a variable restraining part that narrows the cross section width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pulling base part is formed, so that selective three-dimensional plastic deformation by external force can be smoothly made to correspond to various profiles of the gingival par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eviation of the scissors, The external force of the operator is applied, and the entire soft tissues of the oral cavity and the buccal cavity surrounding the lateral portion of the gum are more reliably pull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at the time of scanning can be remarkably improved.

넷째,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양단부가 말단으로 갈수록 단면횡폭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잇몸부 및 입술 내면측 사이의 좁은 간극으로도 삽입이 용이하므로 피시술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Fourth, since both ends of the pulling base portion become narrower as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becomes narrower toward the distal end, insertion into the narrow gap between the gingival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p is facilitated, so that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can be minimized.

도 1은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가 설치된 구강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가 설치된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의 파지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ge guide. FIG.
FIG. 2 is a plan view of a dental t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FIG.
FIG. 3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inside of an oral cavity provided with a dent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equipped with the dental t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canned.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holding state of a dental t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a dental t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ent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가 설치된 구강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가 설치된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의 파지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2 is a top plan view of a dent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n oral cavity provided with a dent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equipped with the dental to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canned,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holding the dental pu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500)는 견인베이스부(510) 및 손잡이부(5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도 2에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아치형 프로파일 내측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대상잇몸부(4)의 전체적인 외면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대상잇몸부(4)라 함은 상악 및 하악 중 임플란트 식립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획득하고자 하는 어느 일측 잇몸부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악측 잇몸부를 의미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2 to 5, a dental tow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lling base 510 and a handle 52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side the arcuate profile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in FIG. 2 schematically represents the overall outer profile of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Here, the target gingiva 4 means any one of the gingival portions to acquire a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in order to establish an implant placement plan for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implants. In the present invention, .

상세히,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500)는 임플란트 식립 계획을 수립시 구강스캐너(s)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상기 대상잇몸부(4)의 이미지정보가 명확하게 표시되도록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사용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500)의 일측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배치되고 구강의 외측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입술(5), 상기 입술(5)의 내면측 및 볼 내면측(5b)의 점막과 같은 연조직의 유동이 구속되면서 구강의 외측방향으로 견인된다.In detail, the dental traction apparatus 500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image of the subject gum 4 o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obtained using the oral scanner s when the implant placement plan is established.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device is used inside the oral cavity. That is, when one side of the dental traction apparatus 500 is disposed inside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and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ral cavity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lips 5, the inside surface of the lips 5 and the inside surface 5b The flow of the soft tissue such as the mucosa is restrained and is pull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oral cavity.

따라서, 상기 연조직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와 이격되면서 상기 대상잇몸부(4)의 근심측(mesial) 및 원심측(distal,4d)까지의 전체적인 내외측부(4a,4b) 외면형상이 한번에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강스캐너(s)를 통하여 획득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부형상 정보의 정확도 및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 soft tissues ar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ortion 4a of the target gingiva 4 and the entire inner and outer portions 4a and 4b to the mesial and distal sides 4d of the target gingiva 4 ) Outer surface shape can be exposed at a time. This makes it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accuracy and accuracy of the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target gingert part 4 included i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obtained through the oral scanner (s).

물론, 경우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 계획이 더욱 정확하게 수립되도록 상기 대상잇몸부(4)와 함께 대합측 잇몸부도 스캐닝하여 대합측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가 추가로 획득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opposing three-dimensional external contour image may be additionally obtained by scanning the contralateral gingival section together with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so that the implant placement plan may be more accurately established as the case may be.

한편, 상기 견인베이스부(510)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연조직이 구강의 외측방향으로 견인 구속되도록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와 상기 입술(5)의 내측면 사이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시술자에 의해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4c)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구강 내부의 연조직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상기 구강 내부의 연조직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구강 외측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로부터 상기 연조직이 이격된다.The pulling base 510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portion 4a of the subject gum 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ps 5 so that the soft tissue inside the mouth of the subject is pulled and restrained in the direction of the mouth. When the traction base 510 is inserted and pressed by the operator toward the lower end 4c of the target gum 4, the soft tissue inside the mou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ulling base 510 And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ide portion 4a of the target gingiva 4. As the soft tissue inside the oral cavity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um 4, an external force is exerted in the direction outside the mouth of the subject and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um 4, The soft tissue is spaced apart.

이때,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라 함은 순측(labial) 및 협측(buccal)의 내면측과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대상잇몸부(4)의 내측부(4b)라 함은 구강 내부의 입천장(6) 또는 설근측과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술되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상단부는 실질적으로 자연치아 또는 인공치아가 식립되는 치조부이고,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4c)는 상기 치조부의 대향측으로서 상기 순측 및 협측의 연조직과 잇몸의 연조직이 연결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 outer portion 4a of the target gum 4 is preferably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of the labial and buccal portions and the inner portion 4b of the target gum 4 )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of the mouth (6) or the dorsal root in the oral cavity. The lower end portion 4c of the target gum portion 4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enture portion 4 as the opposite side of the denture portion 4,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buccal soft tissue and the soft tissue of the gum are connected.

즉,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내주면(511b)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와 이격되면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외주면(511a)에 밀착된 구강 내부의 연조직이 상기 대상잇몸부(4)로부터 이격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잇몸부(4)의 전체적인 외면형상이 명확하게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대상잇몸부(4)를 스캐닝하여 획득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수립되는 임플란트 식립 계획 및 임플란트 식립물 설계의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inner surface 511b of the pulling base 51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portion 4a of the target gum 4, and the soft tissue inside the oral cavity,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11a of the pulling base 510, Can be separated from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Accordingly, the overall external shape of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can be clearly exposed, and the accuracy of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obtained by scanning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can be improved. Thi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mplant placement plan and implant implant desig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이때, 상기 견인베이스부(510)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근심측부터 원심측(4d)까지의 전체적인 외측부(4a)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ulling base 510 preferably extends in an arcuate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profile of the entire outer side 4a from the mesial side to the distal side 4d of the target gingiva 4.

상세히, 상기 견인베이스부(510)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전치측에 대응되는 근심측부터 양측 대구치측에 대응되는 원심측(4d)까지의 아치형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라운드진 곡선형 와이어몸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되면 전치측에 대응되는 순측 연조직부터 대구치측에 대응되는 원심측 연조직까지 동시에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로부터 이격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구강스캐너(s)가 삽입된 상태에서 한번에 상기 대상잇몸부(4)의 전체적인 외면형상을 스캐닝할 수 있으므로 스캐닝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획득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왜곡이 최소화되어 정보의 신뢰도가 개선되며, 왜곡된 이미지의 보정시 소요되던 시간 및 공정이 최소화되어 작업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detail,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has a rounded curved wire body corresponding to the arched profile from the mesial side corresponding to the anterior side of the target gingertion 4 to the distal side 4d corresponding to both molar teeth side, . Accordingly, when the pulling base 510 is inserted into the mouth of the subject, the distal soft tissue corresponding to the anterior side and the distal soft tissue corresponding to the molar are simultaneously separated from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um 4 Can be separated. Accordingly, since the entire outer surface shape of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can be scanned at a time in a state where the oral scanner s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at the time of scanning. In addition, the distortion of the obtained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is minimiz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the time and process time required for correcting the distorted image can be minimized,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al convenience.

또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실질적으로 작은 단면 직경을 갖는 와이어몸체로 형성됨에 따라 구강 내부의 연조직이 견고하게 견인되면서도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가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 예컨대 상악의 경우 상악돌기의 실질적인 외면이 전체적으로 노출되므로 구강스캐너(s)를 통한 스캐닝면적이 최대로 확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캐닝을 통해 획득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최대한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정보의 신뢰도 역시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is formed of a wire body having a substantially small cross-sectional diameter, the soft tissue inside the oral cavity is firmly pulled, while the outer portion 4a of the subject gum 4 is pulled toward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may be minimized. Accordingly, since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um 4, for example, the upper side of the maxilla, is substantially entirely exposed, the scanning area through the oral scanner s can be maximized. As a result,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from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obtained through scanning can be calculated to the maximum, and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여기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에는 구강 내부의 정중선(midline)에 대응하여 정렬 배치를 가이드하는 정렬기준부(518)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라 함은 실질적으로 구강 내부의 근심측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볼록하게 라운드진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술되는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양단부는 상기 구강 내부의 원심측(4d)에 대응되는 양단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center of the pulling base 510 may be provided with an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for guiding the alignment in accordance with the midline of the oral cavity. Here, the center of the pulling base 510 is substantially a convexly rounded portion of the pulling base 510, corresponding to the mesial side of the inside of the mouth.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to be described later are both en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entrifugal side 4d in the oral cavity.

상세히, 상기 정렬기준부(518)가 상기 구강 내부의 정중선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내주면(511b)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전체적인 외측부(4a)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가 전체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구강스캐너(s)를 통한 스캐닝면적이 최대한으로 확보되므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정밀도 및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midline of the oral cavit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11b of the pulling base 510 is spaced apart from the entir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um 4 by a uniform interval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scanning area through the oral scanner (s) is maximized as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ingertion 4 is exposed as a whole, so tha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can be remarkably improved have.

또한, 상기 견인베이스부(51)의 외면이 상기 대상잇몸부(4)와 함께 스캐닝 됨에 따라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는 상기 정렬기준부(518)가 상기 정중선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태의 이미지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무치악 내지 부분무치악 환자와 같이 구강 내부의 정중선을 산출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정렬기준부(518)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정중선에 대한 정보가 용이하게 산출될 수 있다.As the outer surface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 is scanned together with the target gingival portion 4,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may be provided with image information of a state in which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i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midline, May be included. Therefore,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midline inside the oral cavity such as a edentulous or partial edentulous patient, the information about the midline based on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can be easily calculated from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mage.

상세히,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는 외면형상이 전체적으로 노출된 대상잇몸부(4)의 내외측부(4a,4b), 상단부 및 하단부(4c)에 대한 이미지와 함께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외면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외면에 대한 이미지는 상기 정렬기준부(518)가 상기 구강 내부의 정중선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에 표시된 정렬기준부(518)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표시된 상기 대상잇몸부(4) 이미지의 정중선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In detail,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mage includes an image of the inner and outer side portions 4a and 4b,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4c of the target gingert body 4 to which the outer shape is entirely exposed, Can be displayed. Here, the imag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ulling base 510 is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midline of the oral cavity. Accordingly, the midline position of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image displayed on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mage can be calculated from the image of the alignment reference section 518 displayed on the pulling base section 510.

이때, 피시술자가 무치악 또는 부분무치악인 경우 상기 정렬기준부(518)는 순소대(5a)에 대응하여 정렬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hysician is edentulous or partially edentulous,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may be aligned and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next generational zone 5a.

상세히,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4c)에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 및 상기 입술(5)의 내면측 연조직을 연결하되, 구강 내부의 정중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입술(5)의 유동범위를 제한하는 주름조직인 상기 순소대(5a)가 형성된다. 따라서, 자연치아가 대부분 소실된 무치악 또는 부분무치악 환자의 경우에도 상기 정렬기준부(518)가 상기 순소대(5a)를 기준으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500)가 설치된 상태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획득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로부터 정확한 정중선의 위치정보가 산출되므로 이를 기반으로 수립되는 임플란트 식립 계획의 정밀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In detail, the lower end portion 4c of the target gum 4 is connected to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um 4 and the inner surface side soft tissue of the lips 5, The pure platelet 5a is formed, which is a corrugated tissue that limits the flow range of the lips 5.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an edentulous or partial edentulous patient in which natural teeth have mostly disappeared,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can be aligned and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pure platelet 5a. Accordingly, since th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idline is calculated from the 3D external shape image obtained by scanning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n the state where the dental pulling apparatus 500 is installed, the accuracy of the implant placement plan establish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have.

여기서, 상기 정렬기준부(518)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4c)측에 대응하는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일면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may be formed by recessing one surface of the pulling base 510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4c of the target gum 4.

더욱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 및 상기 입술(5)의 내측면 및 상기 볼의 내면측(5b) 사이에 삽입되면 일면부측이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4c)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순소대(5a)가 상기 정렬기분부(518)의 오목한 내측공간(518b)에 삽입되는 간단한 방법으로도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구강 내부의 정중선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정렬 배치될 수 있다. 3, when the pulling base 510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um 4 and the inner side of the lips 5 and the inner side 5b of the ball And the one side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wer end portion 4c of the target gum portion 4. [ In this case,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can be accurately aligned and aligned with the midline of the oral cavity by a simple method in which the pure platelets 5a are inserted into the recessed inner space 518b of the alignment portion 518 have.

즉, 피시술자가 무치악 또는 부분무치악인 경우에도 상기 순소대(5a)를 기준으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구강 내부의 정중선에 대응하여 쉽고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4c)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내주면(511b)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와 이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입술(5)의 내면측 및 상기 볼의 내면측(5b)의 연조직이 상기 대상잇몸부(4)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가 전체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subject is edentulous or partially edentulous, the pulling base 510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aligned with the midline of the oral cavity on the basis of the pure platelets 5a. When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is pressed toward the lower end portion 4c of the target gum portion 4,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11b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contacts the outer portion 4a of the target gum portion 4, Respectively. This allows the soft tissues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lips 5 and the inner surface side 5b of the ball to be spaced from the target gum part 4 so that the outer side part 4a of the target gum part 4 can be entirely exposed have.

더욱이, 상기 정렬기준부(518)의 내측공간(518b)에 상기 순소대(5a)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좌우측 유동이 구속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스캐닝 작업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신뢰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으며, 신속한 스캐닝 작업을 통한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ight and left side flows of the pulling base 510 can be constrained in a state where the pure quartz 5a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518b of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The posi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may be substantially fixed. Accordingly, the reliability of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discomfort of the operator and the subject through the quick scanning operation may be minimized.

또는, 상기 정렬기준부(518)는 상기 구강 내부의 정중선에 대응하는 한쌍의 전치 사이 치아배열면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세히, 피시술자의 대상잇몸부(4)에 전치측의 잔존치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한쌍의 전치 사이의 치아배열면에 상기 정렬기준부(518)의 타면부측으로 볼록한 돌출부(518c)가 정렬 배치됨에 따라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상기 정중선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a pair of front teeth array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midline of the oral cavity. Specifically, when there is a remaining tooth on the anterior tooth side of the subject's gum part 4 of the patient, convex protrusions 518c are arranged and arranged on the tooth alignment surface between the pair of teeth in th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alignment reference part 518 The pulling base 510 may be accurately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midline.

더욱이, 상기 정렬기준부(518)의 중앙부에는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형상으로 감싸도록 기준표식부(518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정렬기준부(518)의 일면부측 오목한 내측공간(518b) 및 타면부측 돌출부(518c) 프로파일이 완만하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기준표식부(518a)가 명확한 정중선 기준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Further, a reference table portion 518a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in a ring shape. That is, even if the concave internal space 518b and the surface side protrusion 518c are smoothly formed on one side of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the reference table portion 518a can be used as a clear reference index.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정렬기준부는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일면부가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에 상기 기준표식부(518a)만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정렬기준부는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오목한 홈 내지 볼록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준표식부는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일면부 또는 타면부 방향으로 협소한 화살표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명확한 기준지표가 될 수 있는 다양한 표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some cases,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may have a shape in which one side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is convexly protruded, and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as only the reference table portion 518a have. Further,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may be formed as a generally concave groove or convex proj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In addition, the reference table portion may be formed in a narrow arrow shape toward the one surface portion or the other surface por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or may be formed with various markers that can be a definite reference index.

한편,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양단부에는 말단부(517a)로 갈수록 단면횡폭(d3)이 단면종폭(d2)보다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가변구속부(517)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변구속부(517)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아치형으로 연장된 양단부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 variable restraint portion 517 is formed integrally at both ends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The variable restraint portion 517 gradually narrows the cross-sectional width d3 from the distal end portion 517a to the longitudinal width d2. At this time, the variable restraining portion 517 can be selective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corresponding to the both end profiles of the target gingert part 4 extending in an arcuate shape.

상세히,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측은 단면종폭(d2) 및 단면횡폭(d1)이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상기 손잡이부(5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임의로 변형됨이 방지되므로 입술(5) 내면측의 연조직이 견인된 상태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enter portion side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is provided so as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width d2 and the cross-sectional width d1. Accordingly,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lling base unit 510 in a state where the operator holds the grip 520, it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deformed, so that the state where the soft tissue on the inner side of the lip 5 is pulled is firmly supported .

그리고,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양단부측, 즉 상기 가변구속부(517)는 말단부(517a)로 갈수록 단면횡폭(d3)이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타원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구강 내부로 삽입시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 및 상기 입술(5) 내면측이 밀착되어 좁은 간극 사이에 상기 가변구속부(517)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구속부(517)의 말단부측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므로 구강 내부에 삽입시 이물감이 최소화되어 피시술자의 불편감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The lateral restraint portions 517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as the cross-sectional width d3 gradually becomes narrower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517a, at both end portions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 Therefore, when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e outer portion 4a of the target gum 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ps 5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variable restraint portion 517 It can be easily inserted. Further, since the distal end of the variable restricting portion 517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n, a foreign body sensation can be minimized when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so that the discomfort of the subjec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이때, 상기 가변구속부(517)의 말단부(517a)로 갈수록 단면횡폭(d3)은 좁아지면서도 단면종폭(d2)은 실질적으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측 단면종폭(d2)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볼 내면측(5b) 연조직을 견인 구속하는 외측 면적은 유지되면서도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와 상기 볼 내면측(5b) 연조직 사이의 이격 간격이 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강스캐너(s)가 이동될 수 있는 스캐닝면적이 최대한으로 확보됨에 따라 스캐닝 작업의 편의성이 개선되며, 획득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포함된 정보의 신뢰도 및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cross-sectional width d3 becomes narrower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517a of the variable restraining portion 517,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width d2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longitudinal mid-section vertical width d2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 As a result, the outer area of the soft tissue of the ball inner surface 5b is retained and the gap between the outer portion 4a of the target gum 4 and the soft tissue of the ball inner surface 5b is maximized . As a result, the scanning area where the oral scanner (s) can be moved is maximized, the convenience of the scanning operation is improved, and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tained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can be remarkably improved .

이때, 상기 가변구속부(517)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아치형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구속부(517)의 형상이 변형된다 함은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양단측의 한쌍의 가변구속부(517) 사이 간격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와의 연장각도, 곡률 등이 외력에 의해 변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variable restraining portion 517 may be selective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corresponding to the arcuate profile of the target gingert portion 4.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variable restraining part 517 is deformed. The shape of the variable restraining part 517 is deformed by an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variable restraint parts 517 at both ends of the pulling base part 510, Angle, curvature, and the like ar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따라서, 피시술자의 개인별 편차에 따른 다양한 대상잇몸부(4)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내주면(511b)과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 사이 간격이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치과용 견인장치(500)를 통하여 다양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511b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and the outer side portion 4a of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can be flexib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cross sectional profile of the various target gingiva portions 4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eviation of the subject's person Lt; / RTI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se interchangeably within the oral cavity of various workers through a single dental traction apparatus 500, so that economical efficiency and ease of use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견인베이스부(510)는 외력에 의해 부드럽게 3차원 소성 변형된 상태로 형상이 유지되는 연성의 와이어부로 구비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변형은 용이하면서도 구강 내부에 삽입된 후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 내부의 연조직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견인 구속함에 따라 스캐닝 작업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ulling base 510 is provided with a flexible wire portion that is smoothly three-dimensionally p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is easi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e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scanning operat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as the soft tissue inside the oral cavity is rigidly and stably pulled and constrained.

여기서, 상기 가변구속부(517)의 말단부(517a)는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호 밀착된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 및 상기 입술(5)의 내면측 사이로 상기 가변구속부(517)의 말단부(517a)가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삽입시 구강 내부의 연조직이 긁히거나 찔림에 의한 통증 또는 상처의 발생이 방지되므로 피시술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Here, the distal end portion 517a of the variable restraint portion 517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its outer surface is rounded. The distal end portion 517a of the variable restraint portion 517 can be smoothly inserted between the outer side portion 4a of the subject gum portion 4 and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lips 5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us, the inconvenience of the subject can be minimized because the soft tissue inside the oral cavity is prevented from being scratched or pinched during the insertion of the pulling base 510, thereby preventing the pain or injury from occurring.

또한, 상기 가변구속부(517)의 말단부(517a)에는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타면부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견인연장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순측보다 연조직의 분포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협측 연조직, 특히 대구치측의 연조직이 상기 가변구속부(517)의 말단부(517a)에 형성된 상기 견인연장부에 의해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4c)측보다 더욱 구강의 내측으로 가압 견인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잇몸부(4)의 순측뿐만 아니라 협측 및 후구치삼각측 외측부까지 전체적인 외면형상이 명확하게 노출되므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정밀도 및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 distal end portion 517a of the variable restraint portion 517 may further include a pull extension portion that is bent obliquely toward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 More specifically, the soft tissue of the buccal soft tissue, in particular the molar of the molar, which has a relatively higher distribution of the soft tissues than that of the transverse side, is pulled by the pull extension of the distal end 517a of the variable restraint 517, 4c) side of the oral cavity. Accordingly, the entire external shape is clearly exposed not only to the forward side of the target gingert part 4 but also to the lateral side of the buccal and posterior three-dimensional sides, so that the accuracy and accuracy of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can be further improved.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500)는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상기 대상잇몸부(4)의 전체적인 외측부(4a) 프로파일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악에서 실질적으로 입술(5), 입술(5) 및 볼의 내면측(5b) 연조직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와 이격되도록 견인되면서도 상기 대상잇몸부(4)의 내측부(4b)와 연속적으로 연결된 입천장(6)의 외면형상이 명확하게 노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ntal pull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pulling base unit 510 corresponds to the profile of the entir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 Thus, while the soft tissues of the lips 5, the lips 5 and the inner surface 5b of the ball are pulled away from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The outer shape of the palate 6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medial side 4b can be clearly exposed.

이에 따라, 상악측 틀니의 설계 및 제조와 같이 입천장(6)의 외면형상 정보를 더 필요로 하는 보철물의 제조시에도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500)를 통하여 상악의 전체적인 외면형상이 정밀하게 획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된 보철물 및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와의 형합도가 향상될 수 있으므로 피시술자의 저작신뢰도 및 사용만족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Accordingly, even when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requiring further information on the external shape of the palate 6, such as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the maxillofacial denture, the entire external shape of the maxilla is precisely acquired through the dental traction device 500 . As a result, the degree of fit of the manufactured prosthesis and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subject can be improved, and thus the reliability and the satisfaction of use of the subje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520)는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단부 중 어느 일측으로 이격된 연결영역(a, 해칭부분)으로부터 편심 연장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the handle 520 is eccentrically extended from a connecting region (a hatched portion) spaced from the center of the pulling base 510 to one of the opposite ends.

상세히, 상기 연결영역(a)은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와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좌측 또는 우측의 견치 및 소구치측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근심측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상기 정렬기준부(518)가 구비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connection area (a)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both ends of the pulling base part 510 and the middle part of the pulling base part 510, and corresponds to the left or right canine and premature side . ≪ / RTI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is understood a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esial side of the target gingival portion 4,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

즉, 상기 손잡이부(520)가 상기 정중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520)가 연장된 타측에 구강스캐너(s) 등의 치과용 기구 등이 인입 가능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과용 기구의 조작반경이 최대로 확보될 수 있으며, 상기 치과용 기구의 조작시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500)의 손잡이부(520)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handle 520 is eccentrically eccentric to the left or right with respect to the median line, a space into which the dental instrument such as the oral scanner (s)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operation radius of the dental appliance can be maximized, and interference with the handle 520 of the dental towing device 500 during operation of the dental appliance can be minimized, have.

이때, 상기 손잡이부(520)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와 대응하여 소정의 반경값을 갖는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아치형 연장방향(e1)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연결영역(a)으로부터 사선 외측방향(e2)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grip 520 intersects the arcuate extension direction e1 of the pulling base 510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valu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um 4, And extends in the diagonal outer direction (e2) from the connecting region (a).

즉, 상기 손잡이부(520)가 시술자의 양측 팔의 자연스러운 운동반경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베이스부(510)로부터 사선 외측방향(e2)으로 연장됨에 따라 시술자가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500)를 파지시 손목 내지 팔목 관절의 꺾임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구강스캐너(s)를 이용한 스캐닝 작업시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스캐닝 경로를 따라 상기 구강스캐너(s)의 이동조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at is, as the handle 520 extends in the diagonal outward direction e2 from the pulling base 510 corresponding to the natural radius of motion of both arms of the practitioner, the practitioner grasps the dental pulling apparatus 500 The wrist or cuff joi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Therefore, the operator can reduce the fatigue in the scanning operation using the oral scanner (s), and the operation of moving the oral scanner (s) stably along the predetermined scanning path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시술자가 상기 손잡이부(520)를 파지시 상기 손잡이부(520)의 타면측에 위치하는 손가락에 가압 지지되도록, 상기 손잡이부(520)의 일단부에는 타면부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형되는 가변지지연장부(5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520)의 일단부는 상기 손잡이부(520)와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연결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520)의 타면부측이라 함은 상기 정렬기준부(518)가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일면측과 대향면(반대면)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handle 520 is selectively deform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other side so that the operator can be pressed against the finger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handle 520 when the operator grips the handle 520. [ A variable support extension portion 521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handle 520 is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handle 520 and the pulling base 510.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520 is a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pulling base 510 in which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is recessed.

상세히,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시술자가 상기 손잡이부(5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 및 상기 입술(5)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가변지지연장부(521)의 일면부측이 피시술자의 입술(5) 외측면에 배치된다. 4 to 5, when the practitioner grasps the grip 520, the pulling base 510 is pulled out of the outer portion 4a of the target gum 4 and the lips 5 The one side of the flexible support extension 521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ps 5 of the client.

여기서, 시술자의 파지시 상기 손잡이부(520)는 일면부측에 위치하는 손가락, 예컨대 검지손가락(f2)의 외면부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손잡이부(520)의 타면부측에 위치하는 손가락, 예컨대 엄지손가락(f1)에 가압되면서 견고하게 클램핑 고정될 수 있다.The grip 520 is held on the outer surface of a finger, for example, the index finger f2, on th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grip 520, And can be firmly clamped and fixed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finger f1.

이때, 상기 가변지지연장부(521)가 상기 손잡이부(520)의 타면부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선택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엄지손가락(f1)에 가압 지지되어 전달되는 가압력이 상기 가변지지연장부(521)의 볼록한 외면에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지지연장부(521)의 일면부측이 검지손가락(f2)에 안착된 상태로 타면부측이 엄지손가락(f1)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구강 내부에 설치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4c)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4c)측으로 가압되면서 구강의 외측방향으로 견인되는 견인력이 가해지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와 상기 입술(5)의 내면측이 이격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variable support extension part 521 is selectively deformed to be convexly rounded to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handle part 520,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to the thumb f1 is transmitted to the variable support extension part 521 Lt; RTI ID = 0.0 > a < / RTI > convex outer surface. Therefore, when the side of the other side is pressed by the thumb f1 in a state in which the one side of the variable support extension part 521 is seated on the index finger f2, the pulling base part 510 installed inside the mouth It can be pressed toward the lower end portion 4c side of the target gingiva 4. When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is pressed toward the lower end portion 4c of the target gingiva 4 and a pulling force is pulled toward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mouth, the outer portion 4a of the target gingival portion 4,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lips 5 can be spaced apart.

또한, 상기 가변지지연장부(521)가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타면부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와 상기 손잡이부(520)는 실질적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단차지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지지연장부(521)의 일면부가 상기 입술(5)의 외면측에 배치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4c)측에 인접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520)를 파지한 상태로 전달되는 가압력이 입술(5)의 외면측보다 내측에 형성된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4c)측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균일하게 전달되므로 상기 연조직이 더욱 안정적으로 견인 구속될 수 있다.The pulling base portion 510 and the pulling portion 520 are formed at substantially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and the pulling portion 520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an be connected step by step. The pulling base 510 is inserted adjacent to the lower end 4c of the target gum 4 when one surface of the variable support extension 521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lips 5, . The pushing force transmitted while holding the grip 520 is uniformly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file of the lower end 4c of the target gum 4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ip 5 The soft tissue can be more stably pulled and restrained.

또한, 상기 가변지지연장부(521)의 일면부가 상기 입술(5)에 밀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입술(5)이 구강의 외측방향으로 견인되므로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가 더욱 명확하게 노출될 수 있다. 더불어, 피시술자의 무의식적인 움직임에도 상기 입술(5)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구강스캐너(s)의 이동시 상기 입술(5)과의 간섭이 방지됨에 따라 스캐닝을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 lips 5 are pulled out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ral cavity so that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ingiva 4 can be pulled out Can be more clearly exposed. In addition, since the flow of the lips 5 is prevented even in the unconscious movement of the physician, interference with the lips 5 when the oral scanner s is moved is prevented, and thus the reliability of the three- Can be remarkably improved.

그리고, 상기 가변지지연장부(521)의 타단부로부터 그립부(522)가 일체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그립부(522)의 단부에는 시술자의 파지시 손바닥측에 밀착 지지되도록 양측방향으로 확장되어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지지가이드면부(5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522 extends integr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support extension portion 521. At this time, the end of the grip portion 522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support guide surface portion 523 having a predetermined area which is extended in both directions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to the palm side at the time of holding the operator's hand.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520)는 시술자의 파지시 실질적으로 주먹 쥔 상태의 손 내측 프로파일에 자연스럽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시술자의 그립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가이드면부(523)가 상기 그립부(522)보다 양측방향으로 넓게 형성됨에 따라 스캐닝 작업 과정에서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500)의 비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520)가 시술자의 손가락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스캐너(s)를 통하여 획득되는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신뢰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handle 520 is provided in a shape naturally corresponding to the hand inner profile in a state of being substantially fisted when the operator grips, the grip feeling of the practition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guide surface portion 523 is formed to be wider in both lateral directions than the grip portion 522, distortion of the dental pulling apparatus 500 during the scanning operation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pulling base 510 can be firmly fixed as the state where the pulling part 520 is fixed between the fingers of the operator is more stably maintained.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obtained through the oral scanner (s) can be further improv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가변지지연장부(521), 상기 그립부(522) 및 상기 지지가이드면부(523)에는 시술자의 파지시 손가락 및 손바닥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요철형상의 논슬립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As a matter of course, a non-slip portion (not shown) having a concavo-convex shape is provided on the flexible support extension portion 521, the grip portion 522, and the support guide surface portion 523 in order to prevent slippage of the finger and palm May be formed.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510)는 외력에 의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3차원 소성 변형된 상태로 형상이 유지되는 연성의 와이어부(510a)와, 상기 와이어부(510a)의 외측을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510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the pulling base 510 includes a soft wire portion (not shown) having a shape retained in a three-dimensional plastic deformed state corresponding to a profile of the outer side portion 4a of the target gum 4 by an external force, And an outer skin 510b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wire portion 510a.

상세히, 상기 와이어부(510a)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에 대응하는 아치형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와이어부(510a)는 피시술자의 개인별 편차에 대응되도록 외력에 의해 3차원적인 변형이 용이하면서도 변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와이어부(510a)는 외력에 의해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금속 재질의 철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detail, the wire portion 510a may be bent to correspond to an arched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um 4. In this case, the wire 510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deformed three-dimensionally by an external for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dividual deviation of the client, while being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until additio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For example, the wire 510a may be formed of a metal wire which can be bent or unfolded by an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와이어부(510a)는 양단부의 단면횡폭(d3)이 상기 단면종폭(d2)보다 좁은 타원형 단면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wire 510a may have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width d3 of both ends is narrow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d2 of the cross-section.

따라서, 순측 및 협측 연조직을 견인할 수 있는 단면종폭 면적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내주면(511b) 사이 간격이 최대한 넓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양단부 즉, 상기 가변구속부(517)의 단면횡폭(d3)이 좁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4a) 및 상기 입술(5)의 내측면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면서도 구강 내부 연조직의 긁힘 또는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피시술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refore, the width of the longitudinal section that can pull the forward and buccal soft tissues is relatively wid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ingert part 4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11b of the pulling base 510 is as wide as possible Can be secured. In addition, both end portions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that is, the cross-sectional width d3 of the variable restricting portion 517 are narrowed. As a result, scratching or interference of the oral soft tissue is minimized while being easily inserted between the outer side 4a of the target gum 4 and the inner side of the lips 5, thereby minimizing the discomfort of the subject.

그리고, 상기 와이어부(510a)의 외측은 상기 외피부(510b)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부(510b)는 실리콘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등과 같이 상기 와이어부(510a)의 소성 변형시 함께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도 의료기구 제조에 사용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ide of the wire portion 510a may be covered by the outer skin 510b. At this time, the outer skin 510b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together with plastic deformations of the wire portion 510a, such as silicone or polyethylene (PE), and can be used for manufacturing a medical instrument.

이때, 상기 외피부(510b)는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부(510a)가 실질적으로 차폐될 수 있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구강스캐너(s)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와이어부(510a)에 반사되어 산란됨이 방지되므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정확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금속재질의 상기 와이어부(510a)가 구강 내부의 연조직에 직접 접촉됨에 의한 피시술자의 불편감 및 구강 내부 연조직의 긁힘이 방지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kin 510b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in which the wire 510a inserted inside can be substantially shielded. As a resul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oral scanner (s) is prevented from being reflected by the wire portion 510a and scattered, so that the accuracy of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mage can be remarkably improved. Also, the discomfort of the subject and the scratching of the oral soft tissue may be prevented by the wire portion 510a made of a metal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ft tissue inside the oral cavity.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520)도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와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의 와이어부 외측에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가 커버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520)측 와이어부는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측 와이어부보다 강성의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금속 재질로 구비되되 두께를 상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손잡이부(520)측 와이어부가 더욱 견고한 강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Here, the handle 520 may be covered with an outer skin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n the outer side of the metal wire, as in the pulling base 510. At this time, the wire portion on the handgrip 52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rigidity higher than that of the wire portion on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and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Side wire portion may be made to have more rigid stiffness.

즉,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500)는 상기 가변구속부(517),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 상기 손잡이부(520) 순으로 강성이 점점 강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변구속부(517)측은 외력에 의해 3차원 소성 변형되어 피시술자의 대상잇몸부(4)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견인베이스부(510)의 중앙부 및 상기 손잡이부(520)측으로 갈수록 기설정된 외력 이하에서는 소성 변형이 제한되므로 연조직의 견인을 위해 가해지는 시술자의 가압력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dental towing apparatus 500 may be provided with increasingly stronger stiffness in the order of the variable restraint 517, the central portion of the pulling base 510, and the handle 520. As a result, the variable restraint part 517 is elastically deformed three-dimensionally by an external force and can be flexib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file of the subject's gum part 4 of the subject. Since the plastic deformation is limited at a center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and below the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toward the handle 520, the pressing force of the practitioner applied for pulling the soft tissue can be stably fixed.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내측견인부(612)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6 is a plan view of a dental t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inner pulling portion 612 is the same as the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견인베이스부(610)에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내측부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아치형의 내측견인부(612)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견인부(612)의 양단부는 상기 견인베이스부(610)의 양단부와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6, the pulling base portion 610 may further include an arcuate inner pulling portion 612 corresponding to a profile of a medial side of the target gum 4, as shown in FIG. Both ends of the inner pulling portion 612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ulling base portion 610.

상세히, 상기 내측견인부(612)는 내주면이 상기 대상잇몸부(4)의 내측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오목한 외주면에 혀가 수용되어 구속되는 가압구속부(6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견인부(612)의 양단부에는 상기 대상잇몸부(4)의 원심측 외측부를 감싸되 상기 견인베이스부(610)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부(612d)가 형성된 연장연결부(614)가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inner pulling portion 612 is formed so th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corresponds to an inner side portion of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and a pressurizing and restraining portion 615 in which a tongue is received and constrained is formed on a concav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both ends of the inner pulling portion 612, an extension connecting portion 614 having a distal side portion of the target gingert portion 4 and a coupling portion 612d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pulling base portion 610 is formed. Can be formed.

즉, 상기 견인베이스부(610)에 상기 내측견인부(612)가 체결되면, 상기 내측견인부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가압구속부(615)에 상기 혀가 수용되어 구속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견인베이스부(610), 상기 내측견인부(612) 및 상기 연장연결부(614)가 전체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대상잇몸부(4)의 전체적인 외면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nner pulling portion 612 is fastened to the pulling base portion 610, the tongue may be received and constrained to the pressurizing and restricting portion 615 formed concave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ulling portion. In addition, the pulling base portion 610, the inner pulling portion 612, and the extended connecting portion 614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accommodate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target gingert portion 4.

따라서,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600)는 상기 내측견인부(612)가 선택적으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대상잇몸부가 하악일 경우 상기 대상잇몸부의 외측부와 인접한 순측 및 협측 연조직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잇몸부의 내측부에 인접한 혀를 동시에 구속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내측견인부(612)가 탈부착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하나의 치과용 견인장치(600)를 이용하여 상악 또는 하악에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ntal traction device 6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ecure the inner and outer soft tissues of the target gingiva to the medial side of the target gingiva in addition to the proximal and distal soft tissues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target gingiva, The adjacent tongue may be constrained simultaneously. That is, since the inner pulling portion 612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e dental pulling device 600 can be flexibly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mandibles using only one dental pulling device 600, so that ease of use and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때, 상기 견인베이스부(610)와 상기 내측견인부(612)의 양단부에 형성된 각 체결부(611d,612d)는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대향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측견인부(612)의 양단부라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연장연결부(614)의 말단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portions 611d and 612d formed at both ends of the pulling base portion 610 and the inner pulling portion 61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protrusions formed on one side are inserted into grooves formed on the opposite sides. At this time, both end portions of the inner pulling portion 612 are substantially understood to be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extended connecting portion 614. [

더욱이, 상기 견인베이스부(610)의 양단부와 상기 내측견인부(612)의 양단부가 상호 중첩되되, 상기 내측견인부(612)의 양단부가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측에 배치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베이스부(610)가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측으로 가압되도록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내측견인부(612)의 양단부를 가압하도록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측견인부(612)의 양단부가 상기 대상잇몸부(4)의 하단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610)의 양단부 사이에 클램핑 고정됨에 따라 구강스캐너를 통한 스캐닝 작업중 상기 내측견인부(612)가 임의로 분리됨이 방지될 수도 있다.The inner pulling part 612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target gingham part 4 so that both end parts of the pulling base part 610 and both ends of the inner pulling part 61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 Thu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push the pulling base portion 610 toward the lower end of the target gum 4 may be transmitted to press both ends of the inner pulling portion 612. As the ends of the inner pulling part 612 are clamp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target gum part 4 and both ends of the pulling base part 610, the inner pulling part 612 May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500,600)는 상기 견인베이스부(510,610) 상악측 잇몸부 및 입술의 내면측 사이로 삽입되어 구강 내부의 연조직을 상기 대상잇몸부(4)의 원심측까지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견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악돌기 및 입천장의 전체적인 외면이 명확하게 노출되므로 이를 스캐닝하여 획득되는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dental traction device 500,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ingival portions of the pulling base portions 510, 610 and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lips so that the soft tissue inside the oral cavity can reach the distal side of the target gingival section 4 As shown in Fig. Therefore, since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maxillary protrusions and the palate is clearly exposed, the accuracy of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mage obtained by scanning the outer surfa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는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정렬기준부(518)를 구강 내부의 정중선에 정렬 배치하는 간단한 방법으로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베이스부(510)가 상기 정중선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획득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정렬기준부 정보를 기반으로 피시술자의 정확한 정중선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500,600)를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식립 계획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조된 임플란트 식립물의 정확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lso, the pulling base 510 can be installed at an accurate position by a simple method of aligning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18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with the midline of the oral cavity. Therefore, the accurate midline information of the subjec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alignment refere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obtained in a state where the pulling base unit 510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midline. Accordingly, the reliability of the implant placement plan can be remarkably improv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obtained using the dental towing apparatuses 500 and 600, and the accuracy of the manufactured implant placement can be remarkably improved have.

더불어, 상기 견인베이스부(510)의 말단부(517a)으로 갈수록 단면횡폭이 좁아지는 가변구속부(517)가 형성되어 피지술자의 개인별 편차에 따른 잇몸부의 다양한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외력에 의한 선택적인 3차원 소성 변형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구속부(517)가 소성 변형된 상태에서 시술자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대상잇몸부(4)의 외측부를 감싸고 있는 구강 내부의 순측 및 협측의 전체적인 연조직이 보다 확실하게 견인되므로 스캐닝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 variable restraint portion 517 is formed to narrow the cross-sectional width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517a of the pulling base portion 510, so that a selective restraining portion 517 is 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as to correspond to various profiles of the gingival portion, Dimensional plastic deformation can be made smooth.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of the operator is applied in the state where the variable restraint portion 517 is plastic-deformed, the entire soft tissues of the inside and the inside of the mouth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target gum 4 are pulled more reliably, The ease of oper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양단부 즉, 상기 가변구속부(517)가 말단으로 갈수록 단면횡폭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대상잇몸부(4) 및 입술 내면측 사이의 좁은 간극으로도 삽입이 용이하므로 피시술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Further, as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section becomes narrower toward both ends of the pulling base portion, that is, the variable restricting portion 517 becomes closer to the distal end, insertion into a narrow gap between the target gum 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uth is facilitated, The feeling can be minimized.

한편, 본 발명의 치과용 견인장치(500,600)는 상술한 임플란트 식립 계획뿐만 아니라 틀니와 같은 다양한 보철물의 설계 및 교정치료 등 구강 내부의 명확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치과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500,600)는 구강 내부에 대한 스캐닝 작업 외에 치주질환 등을 치료시에도 구강 내부의 연조직을 견인 구속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ental towing apparatuses 500 and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for dental treatment that requires a definite three-dimensional outer contour image in the oral cavity, such as designing and orthodontic treatment of various prostheses such as dentures as well as the above- . In addition to the scanning operation for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he dental towing devices 500 and 600 may also be used for pulling and restraining the soft tissue inside the oral cavity when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or the lik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4 : 대상잇몸부 5 : 입술
500 : 치과용 견인장치 510 : 견인베이스부
517 : 가변구속부 518 : 정렬기준부
520 : 손잡이부 521 : 가변지지연장부
522 : 그립부 523 : 지지가이드면부
4: target gingiva 5: lip
500: Dental traction device 510: Traction base part
517: variable restraining portion 518: alignment reference portion
520: Handle 521: Variable Support Extension
522: grip portion 523: support guide surface portion

Claims (5)

구강 내부의 연조직이 외측방향으로 견인 구속되어 대상잇몸부의 전체적인 외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대상잇몸부의 외측부와 입술의 내면측 사이로 삽입되되, 상기 대상잇몸부의 외측부와 대응되는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되는 견인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단부 중 어느 일측으로 이격된 연결영역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편심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아치형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연결영역으로부터 사선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대상잇몸부의 아치형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중앙부와의 연장각도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양단측 사이 간격이 선택적으로 변형되는 가변구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기 대상잇몸부의 외측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도록 상기 견인베이스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대상잇몸부의 외측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3차원 소성 변형된 상태로 형상이 유지되는 연성의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외측을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
A pulling base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subject gum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lips so that the soft tissue inside the oral cavity is pulled and restrained to expose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subject gum portion and extending to an arched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subject gum portion; And
And a grip portion eccentrically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a connection region spaced from the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extends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connecting region so as to intersect perpendicularly with respect to an arcuat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At both ends of the pulling base portion, a variable restrai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ched profile of the target gingiva is 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an extension angle between the center of the pulling base portion and a gap between both ends of the pulling base portion is selectively deformed,
Wherein the pulling base portion has a soft wire portion that is shaped in a three-dimensional plastic deformed state corresponding to an outer side profile of the target gum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an interval between the outer side portion of the target gum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ing base portion is changed, And an outer skin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wir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중앙부에는 구강 내부의 정중선에 대응하여 정렬 배치되도록 정렬기준부가 구비되되,
상기 정렬기준부는 상기 대상잇몸부의 하단부측에 대응하는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일면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lignment reference portion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pulling base portion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midline of the oral cavity,
Wherein the alignment reference portion is formed by recessing one surface of the pulling bas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target gingiva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구속부의 말단부는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variable restraint portion is formed so that an outer surface thereof is rounded.
제 1 항에 있어서,
시술자의 파지시 상기 손잡이부의 타면측에 위치하는 손가락에 가압 지지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는 타면부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형되는 가변지지연장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pulling part is provided with a variable support extension part which is selectively deformed into a convex shape on the side of the other side so as to be pressed against a finger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ulling part when the operator grips the pulling part.
삭제delete
KR1020170017267A 2016-10-20 2017-02-08 dental retractor KR1019245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267A KR101924578B1 (en) 2017-02-08 2017-02-08 dental retractor
CN201780001384.0A CN108472107B (en) 2016-10-20 2017-04-04 Dental retractor
EP17767717.6A EP3530231A4 (en) 2016-10-20 2017-04-04 Dental retractor
US15/563,727 US10772493B2 (en) 2016-10-20 2017-04-04 Dental retractor
JP2017550814A JP6514356B2 (en) 2016-10-20 2017-04-04 Dental traction device
AU2017248561A AU2017248561B1 (en) 2016-10-20 2017-04-04 Dental retractor
PCT/KR2017/003675 WO2018074683A1 (en) 2016-10-20 2017-04-04 Dental re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267A KR101924578B1 (en) 2017-02-08 2017-02-08 dental retr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325A KR20180092325A (en) 2018-08-20
KR101924578B1 true KR101924578B1 (en) 2018-12-04

Family

ID=6344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267A KR101924578B1 (en) 2016-10-20 2017-02-08 dental retr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5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4579A (en) * 2019-10-28 2019-12-20 南微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Oral cavity mouth gag and medical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508A (en) 2007-11-13 2009-05-18 김석필 Dental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325A (en)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3161B2 (en) Sleep apnea oral appliance for use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KR10163125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in mouth for dental implant using tray
KR10186281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US6837246B1 (en) Tongue-airway appliance
US11103334B2 (en) Device for removing material from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JP2006513738A (en) Dental instrument having a longitudinal thickness changed between upper and lower jaw shells, with hinge mechanism for attaching upper and lower jaw shells,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
KR20050004257A (en) A dental appliance having a duplicated tooth area and/or a predicted tooth area and a method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teeth of a patient
CN111588490B (en) Shell-shaped tooth appliance, design method of dental applianc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appliance system
KR101953692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for generating design image based on reference marker
CN108472107B (en) Dental retractor
RU2648828C1 (en) Orthodontic treatment of patients with distal occlusion
KR101924578B1 (en) dental retractor
CN213993777U (en) Novel zygomatic alveolar ridge micro-implant anchorage nail positioning and guiding device
KR101883942B1 (en) dental retractor
JPWO2020033528A5 (en)
CN106344185B (en) Correction device for assisting lower jaw to extend forwards and retract upper anterior teeth inwards
KR10186282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
KR101924582B1 (en) dental retractor
RU201626U1 (en) RETAINER THREAD STACKER
JP3212235U (en) Straightening device
US20200046457A1 (en) Interim Provisional Restoration Placement Instrument-#1
KR101869911B1 (en) orthodontic digital bracket
RU223810U1 (en) Device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eeth
RU71232U1 (en) DENTAL ANGULAR PROBE
KR10197074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u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