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354B1 -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354B1
KR101924354B1 KR1020180004577A KR20180004577A KR101924354B1 KR 101924354 B1 KR101924354 B1 KR 101924354B1 KR 1020180004577 A KR1020180004577 A KR 1020180004577A KR 20180004577 A KR20180004577 A KR 20180004577A KR 101924354 B1 KR101924354 B1 KR 101924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green tea
cosmetic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두
박다정
조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피부 보습력 향상 효과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에 대해 서로 상승 효과를 보이는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면서도 피부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의 보습 저하로 발생되는 아토피 피부염, 피부 건조증, 건선, 습진 등 피부의 질병을 개선 내지 완화시킬 수 있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SALICORNIA HERBACEA, ECKLONIA CAVA AND CALLISTEMON LANCEOLATUS FOR MOISTURIZING THE SKIN}
본 발명은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여러 가지 외부의 자극, 장해, 건조 등의 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피부는 수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표피의 외각에 수분을 함유하는 얇은 각질층을 발달시킨다. 이러한 각질층은 외부환경과 접촉하는 피부의 최외층으로서, 유해 성분의 침입을 방지할 뿐 아니라 피부 내부의 수분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피부의 수분감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각질층의 보호에도 불구하고 자외선, 바람 등의 외부 요인과 노화, 호르몬 불균형 등의 내부 요인에 의해 피부 내의 수분 함유량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피부 탄력 및 유연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피부 건조증, 아토피, 건선, 습진 등의 피부 질병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메이크업 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충분히 밀착되지 않아 미용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 보습을 위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들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9947호에서는 요구르트 파우더, 쌀겨 추출물 및 폴리올이 포함된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보습제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폴리올 등을 포함하는 휴멕턴트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세라마이드 등을 포함하는 폐쇄 보습제를 사용하여 각질층의 수분 보유를 증가 시키고 있다.
그러나, 보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올, 세라마이드 등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에는 끈적함과 녹진한 사용감에 의해 사용감 및 선호도가 저하되며, 유화 제형에 적용 시 제형의 안정도 및 투명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오히려 피부에 자극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의 대안으로 피부 보습을 위해 쌀겨 추출물, 율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등 천연 재료의 추출물을 이용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피부에 저자극성인 천연재료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이용하면서도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9947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보습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저자극성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함초 추출물, 상기 감태 추출물 및 상기 병솔나무 추출물을 1 : 0.1 ~ 1.5 : 0.1 ~ 1.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함초 추출물, 상기 감태 추출물 및 상기 병솔나무 추출물을 0.0001 ~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초 추출물, 상기 감태 추출물 및 상기 병솔나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 건선, 가려움증 등 피부 보습 저하로 발생되는 피부 질병을 개선 내지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은 피부의 보습력 향상 및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에 대해 서로 상승 효과를 갖는바, 피부의 보습력 향상 효과 및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를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피부 내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면서도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의 보습 저하로 발생되는 아토피, 피부 건조증, 건선, 습진 등 피부의 질병을 개선 내지 완화시킬 수 있다.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서, 바닷물이 닿는 해안, 갯벌, 염전 주위에서 무리지어 자라며, 우리나라의 경우 서해안의 염전 주변에서 다량 서식하고 있다. 이러한 함초는 퉁퉁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라고 불리며, 맛이 몹시 짜다고 하여 염초로도 불린다.
함초는 60 % 이상의 식이섬유와 15 ~ 25 %의 미네랄로 이루어져 있어, 예로부터, 암, 축농증, 관절염, 고혈압, 요통, 비만증, 치질, 당뇨병, 갑상선염, 천식, 기관지염, 간 질환 및 피부질환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함초는 물이 거의 없는 환경에서 강한 에너지로 물을 빨아들여 성장하는 식물로, 수분 흡수력이 뛰어나며 90 가지 이상의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의 보습력 향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함초의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함초 추출물"은 함초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함초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 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함초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감태(Ecklonia cava)는 갈조식물 다시마목 미역과의 해조류로서, 줄기는 원주상이며 충분히 자란 것은 1m 이상의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감태는 노화를 방지시키는 시놀과 다량의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알긴산, 요오드, 칼륨 등의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효과, 항암 효과, 항염 효과, 노화 억제효과 및 혈압 억제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감태는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키면서도 면역반응 유도 물질인 사이토카인에 해당하는 흉선 기질상 림포포이에틴(TSLP)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태의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감태 추출물"은 감태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태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 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감태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병솔나무(Callistemon lanceolatus)는 수고가 2 ~ 10 미터에 달하는 녹나무과인 상록교목으로서 주로 오스트리아에서 서식하며, 국내의 경우 제주에 관상용 나무로 정착되어 있다. 상기 병솔나무의 줄기는 단단하며 연갈색을 나타내고,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형성되어 뻣뻣하고 광택을 내며, 꽃은 수상화서로 병을 닦는 솔과 같이 형성되어 붉은 홍색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병솔나무 추출물"은 병솔나무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솔나무 추출물은 병솔나무의 잎, 줄기, 가지, 꽃잎, 꽃잎의 수술 등의 추출부위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부위의 추출물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병솔나무 줄기의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병솔나무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 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병솔나무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병솔나무 추출물을 함초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피부 보습력 향상 효과 및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에 대해 상승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인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1 : 0.1 ~ 1.5 : 0.1 ~ 1.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상세히,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인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은 1 : 0.1 ~ 1.5 : 0.1 ~ 1.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3 ~ 1 : 0.3 ~ 1의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5 ~ 1 : 0.5 ~ 1의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1 : 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이 1 : 0.5 ~ 1 : 0.5 ~ 1의 중량비로 포함될 경우에는 피부의 보습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고, 상기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피부의 보습력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병솔나무 추출물을 0.0001 ~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상세히,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0.0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피부의 보습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피부 보습력 향상 효과에 큰 차이가 없어 경제적이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또는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화장수, 미스트, 크림제, 로숀제 또는 입욕제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 알콜, 유동 파라핀, 천연 오일, 실리콘계 오일, 항산화제, 방부제, 정제수 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혀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피부 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또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개시된 성분들 이외에,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또는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 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 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히, 본 실시예의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안제 또는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또는 비누 베이스에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6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준비하여 하기 표 1(단위 : 중량%)에 개시된 조성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은 하기 (1) ~ (3)으로 제조되었다. 이때, 표 1에서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의 혼합비율(중량비)을 표 2에 기재하였으며, 소수점 이하 두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첫 번째 자리까지만 표기하였다.
(1) 함초 추출물 제조
함초(전초)와 에탄올을 1 : 20 비율(중량비)로 넣고 3일 동안 3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이를 350 ~ 400 메쉬로 여과하고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된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40 ℃로 감압 농축한 후 감압 증발하여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 농축물을 동결건조함으로써 분말 형태의 함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감태 추출물 제조
감태(전초)와 에탄올을 1 : 20 비율(중량비)로 넣고 3일 동안 3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이를 350 ~ 400 메쉬로 여과하고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된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40 ℃로 감압 농축한 후 감압 증발하여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 농축물을 동결건조함으로써 분말 형태의 감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3) 병솔나무 추출물 제조
병솔나무(줄기)와 에탄올을 1 : 20 비율(중량비)로 넣고 3일 동안 3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이를 350 ~ 400 메쉬로 여과하고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된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40 ℃로 감압 농축한 후 감압 증발하여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 농축물을 동결건조함으로써 분말 형태의 병솔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2 3 4 5 6
유효성분 혼합물 함초 추출물 0.5 0.4 0.3 0.2 0.18 0.16
감태 추출물 0.05 0.1 0.15 0.2 0.21 0.22
병솔나무 추출물 0.05 0.1 0.15 0.2 0.21 0.22
글리세린 5.0
1,3-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에틸렌 글리콜 2.0
카보머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이즈 0.2
에탄올 3.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100
실시예
1 2 3 4 5 6
유효성분 혼합물
(중량비)
함초 추출물 1.0 1.0 1.0 1.0 1.0 1.0
감태 추출물 0.1 0.3 0.5 1.0 1.2 1.4
병솔나무 추출물 0.1 0.3 0.5 1.0 1.2 1.4
비교예
비교예 1 내지 12
표 3 및 4(단위 : 중량%)의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내지 12에 따른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비교예
1 2 3 4 5 6
유효
성분 혼합물
함초 추출물 0.2 - - - 0.2 0.2
감태 추출물 - 0.2 - 0.2 - 0.2
병솔나무 추출물 0.2 0.2 0.2 -
글리세린 5.0
1,3-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에틸렌 글리콜 2.0
카보머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이즈 0.2
에탄올 3.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100
성분(중량%) 비교예
7 8 9 10 11 12
유효
성분 혼합물
함초 추출물 0.6 - - - 0.3 0.3
감태 추출물 - 0.6 - 0.3 - 0.3
병솔나무 추출물 0.6 0.3 0.3 -
글리세린 5.0
1,3-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에틸렌 글리콜 2.0
카보머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이즈 0.2
에탄올 3.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100
실험예 1 : 피부 보습 평가
(1) 피부 수분 증가율 평가 시험
피부 상태(수분)가 유사한 20 ~ 40세 여성을 선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그룹(10 명씩)을 나눈 뒤, 각각의 그룹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에센스를 매일 2회씩(저녁) 15일 동안 얼굴 전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이때, 상기 에센스를 도포하기 전에 미리 항온, 항습 조건(24 ℃, 습도 40%)에서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tk,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건조도를 측정한 뒤 이를 기본값으로 하고, 15 일이 경과한 후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이의 변화량을 평가하였다.
상기에 따라 계산된 피부 수분 증가율(%)을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 개시된 값은 각 그룹의의 피부 수분 증가율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피부 수분 증가율(%)
실시예 1 77.8
실시예 2 82.8
실시예 3 85.6
실시예 4 94.1
실시예 5 73.4
실시예 6 72.9
비교예 1 42.1
비교예 2 41.2
비교예 3 40.7
비교예 4 49.3
비교예 5 53.8
비교예 6 54.0
비교예 7 50.3
비교예 8 49.7
비교예 9 49.0
비교예 10 60.1
비교예 11 63.8
비교예 12 64.2
표 5를 보면,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6의 피부 수분 증가율이,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예 7 내지 9 및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 중 두 종류의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비교예 4 내지 6과 비교예 10 내지 12 보다,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2)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6의 비교를 통한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의 상승효과 검토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 예상되는 기댓값(피부 수분 증가율)을 콜비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계산과정 및 그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콜비식) 기댓값 = A + B - (A × B / 100)
A : 혼합물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농도에서의 활성 성분 A의 관찰된 효능
B : 혼합물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농도에서의 활성 성분 B의 관찰된 효능
(a) 비교예 1( 함초 ) 및 비교예 4( 감태 + 병솔나무 )의 조합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 예상되는 피부 수분 증가율(기댓값)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콜비식의 A에 함초 추출물만을 이용한 비교예 1의 피부 수분 증가율을 대입하고, B에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비교예 4의 피부 수분 증가율을 대입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승효과의 정도[(실제값-기댓값)/기댓값*100]를 계산하여 표 6에 함께 나타내었다. 이 때, 실제값은 실시예 4의 값이며, 기댓값은 콜비식을 통해 도출된 값을 사용하였다.
(b) 비교예 2( 감태 ) 및 비교예 5( 함초 + 병솔나무 )의 조합
상기 콜비식의 A에 감태 추출물만을 이용한 비교예 2의 피부 수분 증가율을 대입하고, B에 함초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비교예 5의 피부 수분 증가율을 대입하여 계산된 기댓값과 이를 이용한 상승효과의 정도를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c) 비교예 3( 병솔나무 ) 및 비교예 6( 함초 + 감태 )의 조합
상기 콜비식의 A에 병솔나무 추출물만을 이용한 비교예 3의 피부 수분 증가율을 대입하고, B에 함초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이용한 비교예 6의 피부 수분 증가율을 대입하여 계산된 기댓값과 이를 이용한 상승효과의 정도를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콜비식 기댓값 상승효과의 정도
비교예 1(함초) + 비교예 4(감태+병솔나무) 70.6 % 33.3 %
비교예 2(감태) + 비교예 5(함초+병솔나무) 72.8 % 29.3 %
비교예 3(병솔나무) + 비교예 6(함초+감태) 72.7 % 29.4 %
표 6을 보면,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 예측되는 기댓값 보다 실제로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값이 29 ~ 34 % 정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는바,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은 피부의 보습력 향상에 대해 서로 상승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5 및 6은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이 1 : 1.2 ~ 1.5 : 1.2 ~ 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으로서, 함초 추출물에 비해 감태 추출물 또는 병솔나무 추출물의 양이 증가할 경우에는 상승효과의 정도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아토피 피부염 개선 평가
팔에 아토피 피부염(증상 및 아토피 피부염 면적이 유사함)을 가진 시험대상자를 18 그룹(10 명씩)으로 나누어 아토피 피부염 부위의 피부 건조증 개선율 및 가려움증 개선 여부를 측정하여 하기의 표 7 내지 9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1) 아토피 피부염 부위의 건조증 개선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12에 따른 에센스를 아토피 피부염 부위(팔)에 매일 2회씩 15일 동안 도포하게 하였다. 이때, 상기 에센스를 도포하기 전에 미리 항온, 항습 조건(24 ℃, 습도 40%)에서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tk, Germany)를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부위의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이를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15 일이 경과한 후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이의 변화량으로부터 피부의 건조증 개선율을 구하였다.
아토피 피부염 부위의 건조증 개선율(%)
실시예 1 75.1
실시예 2 81.7
실시예 3 83.4
실시예 4 90.1
실시예 5 70.2
실시예 6 69.8
비교예 1 40.7
비교예 2 38.5
비교예 3 37.9
비교예 4 45.8
비교예 5 49.4
비교예 6 50.1
비교예 7 52.8
비교예 8 48.9
비교예 9 46.4
비교예 10 55.3
비교예 11 60.7
비교예 12 62.4
표 7을 보면,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6의 개선율이,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예 7 내지 9 및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 중 두 종류의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비교예 4 내지 6과 비교예 10 내지 12 보다,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2)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6의 비교를 통한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의 상승효과 검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콜비식을 통한 기댓값 및 이를 이용한 상승효과의 정도를 계산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콜비식 기댓값 상승효과의 정도
비교예 1(함초) + 비교예 4(감태+병솔나무) 67.9 % 32.7 %
비교예 2(감태) + 비교예 5(함초+병솔나무) 68.9 % 30.8 %
비교예 3(병솔나무) + 비교예 6(함초+감태) 69.0 % 30.6 %
표 8을 보면,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 예측되는 기댓값 보다 실제로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값이 30 ~ 33 % 정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는바,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에 대해 서로 상승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5 및 6은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이 1 : 1.2 ~ 1.5 : 1.2 ~ 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으로서, 함초 추출물에 비해 감태 추출물 또는 병솔나무 추출물의 양이 증가할 경우에는 상승효과의 정도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아토피 피부염 부위의 가려움증 개선도
상기 (1)의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상기 (1)을 진행하기 전의 가려움의 정도와 상기 실험(1)을 진행한 뒤의 가려움의 정도를 각각 1 ~ 10 점으로 표기하도록 하고, 이의 평균값을 표 9에 개시하였다. 이때, 10 점에 가까울수록 가려움증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실험 진행 전 15일 후
실시예 1 9.0 ± 0.2 4.0
실시예 2 3.5
실시예 3 3.3
실시예 4 2.7
실시예 5 4.4
실시예 6 4.5
비교예 1 7.1
비교예 2 7.3
비교예 3 7.4
비교예 4 5.8
비교예 5 5.8
비교예 6 5.5
비교예 7 6.4
비교예 8 6.6
비교예 9 6.7
비교예 10 5.2
비교예 11 5.0
비교예 12 5.0
표 7 - 9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염 부위의 피부 건조증 및 가려움증이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다. 특히,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6의 아토피 피부염 부위의 건조증 및 가려움증이 비교예 1 내지 12 에 비해 현저히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예 2로부터,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내지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각각 사용할 때 보다 아토피 피부염 개선 내지 완화에 대해 서로 상승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제형예
제형예 1 : 유연화장수의 제조
상기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화장수의 조성은 하기 표 10과 같다.
구체적으로,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프로펠러믹서(3000rpm)로 정제수에 분산하여 1% 용액상태로 준비하였다. 소듐히알루로네이트를 제외한 원료 1 내지 8은 프로펠러믹서를 사용하여 수상 용해조에 500rpm으로 균일화시키고 75 ℃에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후,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1을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고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실시예의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연화장수 제조
성분 함량(중량%)
1 실시예의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 0.01
2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5
3 글리신 3.3
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5 1,3-부틸렌 글리콜 3.0
6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7 에탄올 5.0
8 항산화제 0.1
9 트리에탄올아민 0.1
10 EDTA 0.1
11 방부제 적량
12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의 제조
상기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영양화장수의 조성은 하기 표 11과 같다.
구체적으로, 프로펠러믹서를 이용하여 카보머를 4000 rpm으로 분산하여 2 % 용액상태로 준비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6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한 후, 75 ℃까지 가온하였다. 유상 용해조에 원료 7 내지 14을 투입하여 75 ℃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그 다음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 rpm/5 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실시예의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양화장수 제조
성분 함량(중량%)
1 실시예의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 0.01
2 글리세린 7.0
3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4 미네랄 오일 4.0
5 트리옥타노인 1.0
6 스테아릭에씨드 1.0
7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8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9 디메치콘 0.5
10 항산화제 0.3
11 트리에탄올아민 0.1
12 카보머 0.2
13 EDTA 0.1
14 방부제 적량
15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크림의 제조
상기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크림의 조성은 하기 표 12와 같다.
구체적으로,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8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한 후, 75 ℃까지 가온하였다. 별도의 유상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6을 투입하여 80 ℃까지 가온 용해한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 rpm/10 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실시예의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림 조성
성분 함량(중량%)
1 실시예의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 0.01
2 1,3-부틸렌글리콜 3.0
3 글리세린 3.0
4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0
5 옥틸도데카놀 3.0
6 트리옥타노인 2.0
7 스테아릭에씨드 1.5
8 세토스테아릴알콜 2.0
9 폴리솔베이트60 1.5
1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11 디메치콘 3.0
12 항산화제 0.3
13 산탄검 0.2
14 트리에탄올아민 0.1
15 EDTA 0.1
16 방부제 적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팩의 제조
상기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팩의 조성은 하기 표 13과 같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8을 완전 용해시켜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실시예의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투입한 후,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팩의 조성
성분 함량(중량%)
1 실시예의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 0.01
2 글리세린 7.0
3 1,3-부틸렌글리콜 3.0
4 스쿠알렌 3.0
5 디메치콘 3.0
6 소듐히알루로네이트 0.1
7 글리신 2.0
8 폴리아크릴아마이드 5.0
9 항산화제 0.3
10 트리에탄올아민 0.1
11 EDTA 0.1
12 방부제 적량
13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클렌징 폼의 제조
상기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클렌징 폼의 조성은 하기 표 14와 같다.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클렌징 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렌징 폼의 조성
성분 함량(중량%)
1 실시예의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 0.01
2 스테아린산 6.5
3 미리스틴산 28.0
4 자가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5 프로필렌 글리콜 5.0
6 농글리세린 10.0
7 수산화나트륨 7.0
8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1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잔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함초 추출물, 상기 감태 추출물 및 상기 병솔나무 추출물을 1 : 0.1 ~ 1.5 : 0.1 ~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함초 추출물, 상기 감태 추출물 및 상기 병솔나무 추출물을 0.0001 ~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초 추출물, 상기 감태 추출물 및 상기 병솔나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04577A 2017-08-11 2018-01-12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4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2546 2017-08-11
KR1020170102546 2017-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354B1 true KR101924354B1 (ko) 2018-12-03

Family

ID=6474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577A KR101924354B1 (ko) 2017-08-11 2018-01-12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785B1 (ko) * 2020-03-19 2020-09-29 주식회사 씨씨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785B1 (ko) * 2020-03-19 2020-09-29 주식회사 씨씨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265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471818B1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0021B1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4695B1 (ko)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49691B1 (ko) 오신채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6800A (ko) 화장료 조성물
KR101924353B1 (ko) 함초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4354B1 (ko)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102081066B1 (ko) 한방 초고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5356B1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KR101882657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CN105441230A (zh) 一种茶油冷制皂
KR102516381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용 앰플 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10154168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60551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926783B1 (ko) 곤약 뿌리 추출물, 골든베리 열매 추출물 및 월하미인 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8832A (ko)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생강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